KR100737102B1 -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 Google Patents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7102B1
KR100737102B1 KR1020060036660A KR20060036660A KR100737102B1 KR 100737102 B1 KR100737102 B1 KR 100737102B1 KR 1020060036660 A KR1020060036660 A KR 1020060036660A KR 20060036660 A KR20060036660 A KR 20060036660A KR 100737102 B1 KR100737102 B1 KR 100737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roller
housing
rolling roll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6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학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36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7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7/00Rolls, roll alloys or roll fabrication; Lubricating, cooling or heating rolls while in use
    • B21B27/02Shape or construction of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 B21B31/20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 B21B31/22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 B21B31/24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by moving rolls perpendicularly to roll axis mechanically, e.g. by thrust blocks, inserts for removal by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0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heavy work, e.g. ingots, slabs, blooms, or billets, in which the cross-sectional form is unimportant ; Rolling combined with forging or pressing
    • B21B2001/028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사상압연기의 압연롤러부(4)가 이송레일부(3)를 따라 이송된 슬라브(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 압연롤러(10)와, 이 제 1 압연롤러(10)의 상부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제 2 압연롤러(20)와, 이 제 2 압연롤러(2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하우징(30)과, 이 롤러하우징(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가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되며 이 롤러하우징(30)의 높이를 조정하는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하여 이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으로 롤러하우징(30)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으로 롤러하우징(3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라브(1)를 압연하는 제 1, 2 압연롤러(10, 20) 사이의 간격을 간단히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연 시 발생하는 슬라브(1) 표면의 긁힘현상이나 압연 후 슬라브(1) 단부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 1, 2 압연롤러(10, 20)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 불량률을 저감시키고, 생산성과 압연품질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Rolling Roller Structure of Finishing Mill}
도 1은 종래의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슬라브 2 : 압연기하우징
3 : 이송레일부 4 : 압연롤러부
5 : 슬라브가이드부 10 : 제 1 압연롤러
20 : 제 2 압연롤러 30 : 롤러하우징
31 : 롤러장착부 32 : 연장부
40 : 하우징높이조절수단 41 : 높이지지구
42 : 높이조절바 43 : 지지판부재
44 : 체결부재 50 : 조절바제어구
51 : 가압볼트부
본 발명은 압연 롤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사상 압연 시 슬라브를 가압하는 압연 롤러의 높이를 조절하여 강재 압연 시 작업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기는 제강로에서 제조된 용강을 래들로 이송하여 턴디쉬로 주입한 후 다시 주형 내로 주입시켜 주편으로 1차응고 시킨 후 연주기 말단까지 통과시키면서 2차냉각대로 고속의 수냉분사장치로 급냉시키는 과정이 반복되어 일정한 크기의 슬라브를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이다.
이 슬라브는 압연 공정을 거쳐 강재로 제조되며, 이러한 압연공정으로는 슬라브를 고온에서 압연하여 주문자가 원하는 두께와 폭으로 압연하는 열간압연공정, 열간압연으로 두껍고 평평한 판을 제조하는 후판공정, 막대기 모양의 빌릿을 가열한 후 다 수의 압연기를 연속적으로 통과시켜 단면을 축소하고 길이를 증대시켜 철사모양의 선재를 생산하는 선재공정, 열연공정을 마친 열연강판을 화학처리하여 표면의 녹을 제거하고 상온에서 다시 한번 압연하는 냉간압연공정 등이 있다.
압연공정의 기본이 되는 열간압연공정은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슬라브(Slab)를 가열로에 장입하여 고온으로 재가열한 조압연, 사상압연 등의 과정을 거쳐 냉각설비에서 냉각되어 최종 강재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 조압연은 압연되어 생산되는 강재의 폭을 조정하고 사상압연에서 두께를 조정하는 단계를 거치는 것이다.
이 사상압연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연기의 몸체를 이루며, 슬라브(1)를 압연하는 압연롤러부(4)가 장착된 압연기하우징(2)과, 연속주조된 슬라브(1)를 압연기하우징(2)의 압연롤러부(4)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3)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레일부(3)는 연속주조기에서 사상 압연기(100)로 연장되는 이송대(3a)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수의 이송롤러(3b)를 포함한다.
또 압연롤러부(4)는 이송레일부(3)를 따라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되는 제 1 압연롤러(10)와, 상기 제 1 압연롤러(10)의 상부로 간격을 두고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고정되어 상기 제 1 압연롤러(10) 사이로 슬라브(1)를 가압하여 인출하는 제 2 압연롤러(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압연롤러(20)는 롤러하우징(30)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이 롤러하우징(30)은 그 상부로 소정길이를 가지는 고정편(30a)이 돌출되어 이 고정편(30a)이 압연기하우징(2)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즉, 연속주조에 의하여 제조한 슬라브(1)는 이송레일부(3)의 이송롤러(3b)를 따라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 사이를 통과하면서 사상압연이 이루어져 최종 강재로 생산되는 것이다.
이 강재는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 사이의 간격에 의해 폭이 결정되며 조압연에 의해 압연된 슬라브(1)의 두께에 따라 그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의 간격을 조절하여 압연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방법은 상기 롤러하우징(30)의 고정편(30a)을 절단한 후 압연기하우징(2)에 용접시켜 고정하거나, 길이가 긴 고정편(30a)으로 교체하여 압연기하우징(2)과 롤러하우징(30)을 용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압연롤러부는 슬라브를 압연하는 제 1, 2 압연롤러의 사이 간격을 좁힐 경우 고정편을 절단하거나, 넓힐 경우 고정편을 길이가 긴 것으로 교체하여 용접해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롭고, 용이하지 못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고정편의 길이조절로는 제 1, 2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사상압연 시 슬라브의 표면에 긁힘이 발생하고, 슬라브의 단부가 말아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압연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롤러부에서 제 1, 2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용이하고,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압연 작업의 편의성과 압연 품질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압연 롤러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연기의 몸체를 이루며, 슬라브를 압연하는 압연롤러부가 장착된 압연기하우징과, 연속주조된 슬라브를 압연기하우징의 압연롤러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를 포함한 사상압연기의 압연롤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부는 이송레일부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 압연롤러와, 이 제 1 압연롤러의 상부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제 2 압연롤러와, 이 제 2 압연롤러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하우징과, 이 롤러하우징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가 압연기하우징에 장착되며 이 롤러하우징의 높이를 조정하는 하우징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달성된다.
즉, 상기 롤러하우징은 하우징높이조절수단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어 슬라브를 압연하는 제 2 압연롤러와 제 1 압연롤러의 사이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로서, 슬라브가이드부를 통과한 슬라브가 본 발명인 압연롤러부로 압연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지지판부재가 높이조절바로 높이지지구에 나사결합되어 지지판부재가 회전방향에 따라 승, 하강되어 롤러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로서, 높이조절바의 외주면에 사다리꼴나사산이 연속적으로 돌출되어 높이지지구에 나사결합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사상압연기(100)는 압연기의 전체 몸체를 이루는 압연기하우징(2)이 연속주조기에 이어져 설치되며, 연속주조기에서 제조된 슬라브(1)를 이송하는 압연기하우징(2) 내부로 이송하는 이송레일부(3) 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레일부(3)는 연속주조기에서 압연기하우징(3)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이송대(3a)와, 상기 이송대(3a)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되, 간격을 두고 다수 장착되어 슬라브(1)의 하부를 지지하는 다수의 이송롤러(3b)를 포함하여 연속주조기에서 인출되는 슬라브(1)가 압연기하우징(2)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것이다.
상기 이송레일부(3)는 압연기하우징(2)의 배출구 측으로 연장 설치되어 압연된 슬라브(1)를 이송시켜 다음 작업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압연기하우징(2)의 배출구 측에는 상기 이송롤러(3b)를 통해 이송되는 슬라브(1)를 압연하는 압연롤러부(4)가 구비된다.
또 상기 압연롤러부(4)와 이송레일부(3) 사이에는 슬라브(1)가 압연롤러부(4)로 용이하게 진입하도록 안내하는 슬라브가이드부(5)가 구비된다.
즉, 연속주조기에서 제조되어 인출되는 슬라브(1)는 압연기하우징(2)의 출구 측으로 유입되고, 이송레일부(3)를 따라 압연기하우징(2)의 출구 측으로 이송된다.
이 이송 중 배출구 측에 구비된 압연롤러부(4)에서 압연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는 종래의 사상 압연기의 구조와 동일하며 공지된 사실임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압연롤러부(4)에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되는 것이다.
압연롤러부(4)의 제 1 압연롤러(10)는 압연기하우징(2)의 출구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이송레일부(3)의 이송롤러(3b)와 슬라브가이드부(5)로부터 이송되어 안내되는 슬라브(1)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압연롤러(10)는 이송롤러(3b)와 일직선을 이루도록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되어 이송레일부(3)와 슬라브가이드부(5)를 따라 이송하는 슬라브(1)가 수평으로 통과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압연롤러(10)의 상부로 간격을 두고 제 2 압연롤러(20)가 구비되며, 이 제 2 압연롤러는 롤러하우징(3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롤러하우징(30)은 압연기하우징(2)의 출구 측을 향하는 일 측이 제 2 압연롤러(20)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장착부(31)로 형성되고 타 측이 연장되어 압연기하우징(2)에 결합 고정되는 연장부(32)로 형성된다.
상기 롤러장착부(31)의 상부에는 이 롤러하우징(3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이 구비되며, 이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은 하부면이 롤러장착부(31)에 장착 고정되고, 상부면이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 고정된다.
또 상기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은 상부면에 내주면으로 연속된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홈(41a)이 형성되며 롤러하우징(3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높이지지구(41)와;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41a)의 나사홈에 대응되는 연속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지지구(41)의 체결홈(41a)에 나사결합하는 높이조절바(42)와;
상기 높이조절바(42)의 단부에 고정되며 장착구멍(43a)이 다수개 뚫려져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고정되는 지지판부재(43)와;
상기 지지판부재(43)의 장착구멍으로 결합하여 압연기하우징(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44)는 체결볼트를 사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지지판부재(43)를 압연기하우징(2)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 고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바(42)의 나사산은 사다리꼴나사로 형성하고, 높이지지구(41)의 체결홈(41a)은 내주면에 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나사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다리꼴나사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다리꼴나사는 큰 하중에 견딜 수 있어 압연 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해 높이조절바(42)의 나사산과 체결홈(41a)의 나사홈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이조절바(42)와 높이지지구(41)의 결합 내구성과 사용 수명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즉, 지지판부재(43)는 회전 방향에 따라 높이조절바(42)가 체결홈(41a) 내부로 삽입되거나 체결홈(41a)의 상부로 돌출되어 그 높이가 조절되는 것이고 이 높이에 따라 제 1, 2 압연롤러(10, 2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의 간격은 지지판부재(43)의 회전량에 의해 미세하게 조절이 가능하여 슬라브(1) 압연 시 슬라브(1) 표면에 발생하는 긁힘이나 그 끝단이 말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높이지지구(41)에는 상기 높이조절바(4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조절바제어구(50)가 구비된다.
상기 조절바제어구(50)는 높이지지구(41)의 측면에서 체결홈(41a)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체결구멍을 통해 나사결합하는 가압볼트부(51)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볼트부(51)는 체결구멍에 나사결합하여 회전방향에 따라 그 단부가 체결홈(41a)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면서 높이조절바(4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높이조절바(42)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와 반대로 회전하면 높이지지구(41)의 외측면을 향해 이동하여 단부가 높이조절바(42)를 가압한 상태가 해제되어 높이조절바(42)가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가압볼트부(51)는 지지판부재(43)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높이조절바(4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지지판부재(43)를 체결부재(44)로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고정하거나, 해제하여 분리할 경우에 조절된 높이지지판이 움직여 그 조절된 높이가 장착된 후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지판부재(43)의 높이를 작업 시 필요한 높이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어 미세하고 정밀하게 제 1, 2 압연롤러(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압연롤러(10)와 제 2 압연롤러(20)의 간격을 재조절할 경우에는 상기 가압볼트부(51)를 풀어 높이조절바(42)를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여 높이조절바(42)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만들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높이조절수단으로 롤러하우징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슬라브를 압연하는 제 1, 2 압연롤러 사이의 간격을 간단히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 작업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압연 시 발생하는 슬라브 표면의 긁힘현상이나 압연 후 슬라브 단부가 말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 1, 2 압연롤러의 간격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어 불량 률을 저감시키고, 생산성과 압연품질을 동시에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압연기의 몸체를 이루며, 슬라브(1)를 압연하는 압연롤러부(4)가 장착된 압연기하우징(2)과, 연속주조된 슬라브(1)를 압연기하우징(2)의 압연롤러부(4)로 이송시키는 이송레일부(3)를 포함한 사상압연기의 압연롤러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부(4)는 이송레일부(3)를 따라 이송되는 슬라브(1)의 하부를 지지하는 제 1 압연롤러(10)와, 상기 제 1 압연롤러(10)의 상부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제 2 압연롤러(20)와, 상기 제 2 압연롤러(20)가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롤러하우징(30)과, 상기 롤러하우징(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가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되며 상기 롤러하우징(30)의 높이를 조정하는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높이조절수단(40)은 상부면에 내주면으로 연속된 나사홈이 형성된 체결홈(41a)이 형성되며 롤러하우징(30)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높이지지구(41)와;
    외주면에 상기 체결홈(41a)의 나사홈에 대응되는 연속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높이지지구(41)의 체결홈(41a)에 나사결합하는 높이조절바(42)와;
    상기 높이조절바(42)의 단부에 고정되며 장착구멍(43a)이 다수개 뚫려져 압연기하우징(2)에 장착고정되는 지지판부재(43)와;
    상기 지지판부재(43)의 장착구멍으로 결합하여 압연기하우징(2)에 체결되는 체결부재(44)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바(42)의 나사산은 사다리꼴나사로 형성하고, 높이지지구(41)의 체결홈(41a)은 내주면에 이에 대응되는 사다리꼴나사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사다리꼴나사결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지지구(41)에는 상기 높이조절바(42)의 위치를 고정, 해제하는 조절바제어구(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절바제어구(50)는 높이지지구(41)의 측면에서 체결홈(41a)의 내측으로 관통되는 체결구멍을 통해 나사결합하는 가압볼트부(51)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KR1020060036660A 2006-04-24 2006-04-24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KR10073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60A KR100737102B1 (ko) 2006-04-24 2006-04-24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6660A KR100737102B1 (ko) 2006-04-24 2006-04-24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7102B1 true KR100737102B1 (ko) 2007-07-06

Family

ID=3850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6660A KR100737102B1 (ko) 2006-04-24 2006-04-24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71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2309U (ko) 1985-03-29 1986-10-08
JPH06154809A (ja) * 1992-11-20 1994-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ックアップロールレス圧延機
KR20000005102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압연기의 전동식 패스라인 조절장치
KR20020028924A (ko) * 2002-01-08 2002-04-17 유병섭 선재 압연을 위한 가열장치 및 그 가열장치가 설치된 압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2309U (ko) 1985-03-29 1986-10-08
JPH06154809A (ja) * 1992-11-20 1994-06-03 Mitsubishi Heavy Ind Ltd バックアップロールレス圧延機
KR20000005102U (ko) * 1998-08-21 2000-03-15 이구택 압연기의 전동식 패스라인 조절장치
KR20020028924A (ko) * 2002-01-08 2002-04-17 유병섭 선재 압연을 위한 가열장치 및 그 가열장치가 설치된 압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84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здействия на распределение температур по ширине
US9186711B2 (en) Rolling line and relative method
JP6236525B2 (ja) 複数の共圧延ラインを有する鉄鋼プラントおよび対応する製造方法
KR101187221B1 (ko) 스트리퍼 치즐의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
KR100737102B1 (ko) 사상 압연기의 압연 롤러 구조
KR20200059080A (ko) 압연기의 레스트바 장치
JP4760403B2 (ja) サーマルクラウン制御装置、圧延機及びその圧延機を用いた金属帯の製造方法
JP7307339B2 (ja) 矩形断面鋼片の圧延方法、連続鋳造圧延設備及び圧延設備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CN107921497B (zh) 轧制方法和设备
JP3646216B2 (ja) ビレットのガイドレス連続圧延方法
KR101109488B1 (ko) 압연장치
KR20120016370A (ko) 박판 사행 방지용 로울러 테이블 및 사행방지 방법
KR20100107803A (ko) 냉각기를 구비하는 압연장치
KR101286192B1 (ko) 수직 쌍롤식 연속박판 주조기의 용강 균일공급 장치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US2024000972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metallurgical products, in particular of the merchant type, in particular in an endless mode
KR200443441Y1 (ko) 압연 스텐드용 가이드장치
KR20090005519U (ko) 압연롤의 냉각 장치
US20220226883A1 (en) Crystallizer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a metal product, and corresponding casting method
KR101298754B1 (ko) 압연기용 피드롤러 교체장치
RU50451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оны вторичного охлаждения машины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заготовок
RU52345U1 (ru) Система регулируемого охлаждения рабочих валков клетей чистовой группы широкополосного стана горячей прокатки
KR100721922B1 (ko) 연속주조기의 풋롤 설치구조
JP5830037B2 (ja) 熱間板材製造設備及び熱間板材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