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6328B1 -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6328B1
KR101106328B1 KR1020100007041A KR20100007041A KR101106328B1 KR 101106328 B1 KR101106328 B1 KR 101106328B1 KR 1020100007041 A KR1020100007041 A KR 1020100007041A KR 20100007041 A KR20100007041 A KR 20100007041A KR 101106328 B1 KR101106328 B1 KR 10110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acid solution
secondary battery
battery case
seal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562A (ko
Inventor
김성갑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328B1/ko
Priority to US12/835,560 priority patent/US9166210B2/en
Publication of KR20110087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5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2/00Chemic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reaction of the surface with a reactive liquid,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e.g. conversion coatings, passivation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06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 C25D11/10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s used containing organ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2Anodising more than once, e.g. in different bath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25D11/243Chemical after-treatment using organic dye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1/00Electrolytic coating by surface reaction, i.e. forming conversion layers
    • C25D11/02Anodisation
    • C25D11/04Anodisation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25D11/18After-treatment, e.g. pore-sealing
    • C25D11/24Chemical after-treatment
    • C25D11/246Chemical after-treatment for seal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 H01M50/128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omprising three or more layers with two or more layers of only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기계적 강도 및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별도의 도색 작업 없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케이스의 표면에 색 또는 무늬를 넣을 수 있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이차 전지용 케이스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피막과, 그리고 산화피막 상에 형성되는 유색의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색 봉공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CASE FOR A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서, 휴대폰, PDA, 노트북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작동전압이 3.6V로서, 전자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 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다른 종류의 이차 전지에 비해 고출력, 고용량 및 경량 등의 특성을 가지므로, 내연기관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에도 사용된다.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주로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한다. 여기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그리고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극 조립체와, 그리고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전도성 재질의 케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표면의 경도 및 절연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별도의 도색 작업 없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케이스의 표면에 색 또는 무늬를 넣을 수 있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피막; 및 상기 산화피막 상에 형성되는 유색의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색 봉공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판일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산화피막은 상기 알루미늄 판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알루미늄 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알루미늄 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일 수 있다.
상기 알루미늄 판의 기계적 경도를 더욱 확보하기 위해,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는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에 의해 더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일 수 이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봉공층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상기 유색 봉공층은 여러 색의 유기물이 서로 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기 몸체는 고용량 또는 고출력의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기 몸체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전지 또는 전기 자동차용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전도성 재질의 몸체를 산화성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산화성 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몸체의 표면에 산화피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피막 상에 유색의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색 봉공층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상기 유색 봉공층은 여러 색의 유기물이 서로 배합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알루미늄 판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알루미늄 판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에 유색의 유기물로 이루어진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이 형성된 상기 알루미늄 판을 붕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붕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유색 봉공층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상기 유색 봉공층은 여러 색의 유기물이 서로 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유색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설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은 상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설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화피막이 케이스의 몸체에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스가 전극 조립체를 지지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구조적으로 그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화피막에 유색 봉공층이 형성됨에 따라, 산화피막의 미세공들이 유색 봉공층에 의해 메워지므로 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외부적 힘에 의해 케이스와 이에 내장된 전극 조립체가 서로 접촉되어도 쇼트 및 부식 등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세공을 메우는 봉공층이 유색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도금이나 도색 작업 없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케이스의 표면에 색 또는 무늬를 넣을 수 있다. 특히, 시각 디자인 측면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대에서 케이스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서 별도의 외관 공정 없이 봉공층을 형성하는 봉공처리 공정에서 한 번에 봉공 처리 및 케이스의 외관을 꾸밀 수 있게 된다면 제조 공정의 증가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1를 II-II 선으로 잘라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이에 수용된 전극 조립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도 1를 II-II 선으로 잘라서 본 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C)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조립체(120)를 수용하는 몸체(100)와, 산화 피막(200)과, 그리고 유색 봉공층(300)을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20)는 충전 또는 방전을 하기 위한 주요 구성으로서, 양극판(111)과, 음극판(112)과, 그리고 세퍼레이터(113)(separator)을 포함하고, 그리고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은 세퍼레이터(113)(separator)를 사이에 두고 적층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전극 조립체(120)의 각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양극판(111)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 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또한, 양극판(111)의 양 말단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 영역, 즉 양극 무지부(111a)가 형성된다. 또한, 양극 무지부(111a)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20)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형상을 갖는 양극 단자(130)가 결합된다.
음극판(112)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 또는 니켈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와, 그리고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한다. 또한, 음극판(112)의 양 말단에는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 영역, 즉 음극 무지부(112a)가 형성된다. 또한, 음극 무지부(112a)의 일단에는 일반적으로 니켈 재질로 형성되며, 전극 조립체(120)로부터 일정 길이 돌출된 형상을 갖는 음극 단자(140)가 결합된다.
세퍼레이터(113)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2)의 단락을 방지하며, 리튬 이온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다공막 고분자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0)는 이러한 전극 조립체(120)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판형상을 가지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판형 몸체(100)는 전지의 형상에서 따라 원통 형상과, 각 형상과, 그리고 파우치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몸체(100)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즉, 알루미늄을 베이스로 하는 알루미늄 판일 수 있다.
산화피막(200)은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된다. 특히, 몸체(100)가 알루미늄 판(이하, 몸체와 함께 도면부호 "100"으로 가리킴)일 경우 산화피막(200)은 산화알루미늄 막(이하, 산화피막과 함께 도면부호 "200"으로 가리킴)일 수 있다. 이하,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산화알루미늄 막(200)은 알루미늄 판(100)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에 형성 즉,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이 산화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 일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일 수 있다.
여기서,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가 0.5M 보다 작게 되면 아디핀산이 희박하여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요구 경도(350 내지 450Hv) 및 절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그리고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가 1.5M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아디핀산 용액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온도가 60℃ 보다 작으면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요구 경도 및 절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온도가 80℃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지지 않고 단지 온도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전압이 100V 보다 작으면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추후 요구 경도 및 절연성 확보가 어려울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전압이 150V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전압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판의 비커스 경도(Vicker Hardness)는 대략 160 내지 170Hv인데 비해, 상술한 조건으로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되면, 비커스 경도가 350 내지 450Hv를 갖는 것으로 실험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C)가 이러한 경도를 가질 경우, 케이스(C)에 대한 신뢰성 평가인 진동 평가 및 기계적 충격 평가를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케이스(C)에 대한 안정성 평가인 관통, 충돌, 충격 시험 등을 만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케이스(C)의 비커스 경도가 높기 때문에 스웰링(swelling) 등의 케이스(C)의 변형에도 우수한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화알루미늄 막(200)에 의해 케이스(C)가 절연성을 갖게 되므로 외부의 힘에 의해 케이스(C)가 양극 또는 음극 무지부(111a 또는 112a)에 접촉되더라도 단락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차 전지용 케이스(C)는 고용량 또는 고출력의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되어도 그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이차 전지용 케이스(C)는 노면 충격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거나 외부 물체와 충돌이 일어날 수 있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전지 케이스,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전지의 케이스 또는 전기 자동차용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되어도 그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이하, 산화알루미늄 막(200) 상에 형성되는 유색 봉공층(3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유색 봉공층(300)은 산화알루미늄 막(2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세공(미도시)을 메우는 역할과 함께 케이스(C)의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유색 봉공층(300)은 산화알루미늄 막(200)에 존재하는 다수의 미세공을 통해 알루미늄 판(100)과 통전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유색 봉공층(300)은 유색의 유기물로 이루어지므로 즉, 유색을 가지므로 케이스(C)의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시각 디자인 측면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대에서 케이스(C)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서 별도의 외관 공정 없이 봉공층을 형성하는 봉공처리 공정에서 한 번에 봉공 처리 및 케이스(C)의 외관을 꾸밀 수 있게 된다면 제조 공정의 증가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유색 봉공층(300)을 이루는 유색의 유기물로는 유색의 합성 수지 또는 유색의 이중 합성 고무(EPDM)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색 봉공층(300)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100)에 유색의 유기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알루미늄 판(100)을 유색의 유기물에 침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외관미를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즉, 유색 봉공층(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유색의 유기물은 여러 색의 염료들과 함께 배합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flow chart)이다.
먼저, 알루미늄 판(100)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다(S110 참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형성 즉, 알루미늄 판의 표면을 산화시켜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형성한다(S120 참조). 이 때,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 후, 이렇게 형성된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봉공 처리함과 동시에 케이스의 외관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산화알루미늄 막(200) 상에 유색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유색 봉공층(300)을 형성시킨다(S130 참조). 이 때, 유색 봉공층(300)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100)에 유색의 유기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알루미늄 판(100)을 유색의 유기물에 침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요구에 보다 정확히 맞추기 위하여 즉, 유색 봉공층(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포 또는 침지하기 전에 유색의 유기물은 여러 색의 염료들과 함께 배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 후, 산화알루미늄 막(200) 및 유색 봉공층(300)이 형성되면 알루미늄 판(100)을 임팩(Impact) 방식 또는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을 통해 설정 형상으로 가공한다. 여기서, 설정 형상은 전지의 형상에 따라 원통 형상, 각 형상, 또는 파우치 형상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후가 아닌 상술한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기 전에, 알루미늄 판(100)을 상술한 설정 형상으로 미리 가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되기 전(前)이므로 산화알루미늄 막(200)의 파손 등의 주의 없이 알루미늄 판(100)을 설정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는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더 행하여 이미 형성된 산화알루미늄 막(200)의 두께를 더 증가시킨다는 특징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하므로 이하에서는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에 대해서만 살펴본다.
이미 아디핀산 용액을 통해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상태에서 알루미늄 판(100)의 비커스 경도를 더욱 확보할 목적으로, 산화알루미늄 막(200)의 두께를 더 증가시키기 위해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한번 더 할 수 있다. 특히,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일 수 있다.
여기서, 붕산 용액의 몰농도가 0.5M 보다 작게 되면 붕산이 희박하여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가 2.0M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아디핀산 용액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온도가 60℃ 보다 작으면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온도가 80℃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지지 않고 단지 온도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처리 전압이 250V 보다 작으면 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전압이 500V 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의 산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단지 전압에 따른 비용만이 증가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먼저, 알루미늄 판(100)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다(S210 참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에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형성 즉, 알루미늄 판(100)의 표면을 산화시켜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형성한다(S220 참조). 이 때,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으며,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그리고 나서,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100)을 붕산 용액에 침지한다(S230 참조).
붕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산화알루미늄 막(200)의 두께를 증가시킨다(S240 참조). 이 때,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일 수 있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일 수 있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일 수 있다. 이러한 수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바 있으므로 생략한다.
이 후, 이렇게 형성된 산화알루미늄 막(200)을 봉공 처리함과 동시에 케이스(C)의 외관을 소비자의 요구에 맞추기 위해 산화알루미늄 막(200) 상에 유색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유색 봉공층(300)을 형성시킨다(S130 참조). 이 때, 유색 봉공층(300)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알루미늄 판(100)에 유색의 유기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사용되거나, 알루미늄 판(100)을 유색의 유기물에 침지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소비자의 요구에 보다 정확히 맞추기 위하여 즉, 유색 봉공층(300)의 표면에 다양한 색 또는 무늬를 나타내기 위하여, 도포 또는 침지하기 전에 유색의 유기물은 여러 색의 염료들과 함께 배합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 후, 산화알루미늄 막(200) 및 유색 봉공층(300)이 형성되면 알루미늄 판(100)을 임팩(Impact) 방식 또는 디프 드로잉(Deep Drawing) 방식을 통해 설정 형상으로 가공한다. 여기서, 설정 형상은 전지의 형상에 따라 원통 형상, 각 형상, 또는 파우치 형상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결정질 장벽형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된 후가 아닌 상술한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기 전에, 알루미늄 판(100)을 상술한 설정 형상으로 미리 가공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결정질 장벽형 산화알루미늄 막(200)이 형성 전이므로 결정질 장벽형 산화알루미늄 막(200)의 파손 등의 주의 없이 알루미늄 판(100)을 설정 형상으로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으므로 제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화피막(200)이 케이스(C)의 몸체(100)에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C)의 경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케이스(C)가 전극 조립체(120)를 지지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구조적으로 그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산화피막(200)에 유색 봉공층(300)이 형성됨에 따라, 산화피막(200)의 미세공들이 유색 봉공층(300)에 의해 메워지므로 절연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외부적 힘에 의해 케이스(C)와 이에 내장된 전극 조립체(120)가 서로 접촉되어도 쇼트 및 부식 등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세공을 메우는 봉공층이 유색을 가짐에 따라, 별도의 도색 작업 없이 소비자의 기호에 맞게 케이스(C)의 표면에 색 또는 무늬를 넣을 수 있다. 특히, 시각 디자인 측면이 중요시 되고 있는 현 시대에서 케이스의 외관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발 맞춰서 별도의 외관 공정 없이 봉공처리 공정에서 한 번에 봉공 처리 및 케이스(C)의 외관을 꾸밀 수 있게 된다면 제조 공정의 증가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몸체(또는 알루미늄 판) 120: 전극 조립체
200: 산화피막(또는 산화알루미늄 막)
300: 유색 봉공층

Claims (17)

  1.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면 및 외면에 형성되는 산화피막; 및
    상기 산화피막 상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내면 및 외면에 위치하며, 유기물로 이루어진 봉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봉공층은 상기 봉공층의 표면에 복수의 색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복수 색의 유기물이 서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판이고, 그리고
    상기 산화피막은 상기 알루미늄 판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알루미늄 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산화알루미늄 막인 이차 전지용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이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이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인 이차 전지용 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판의 기계적 경도를 증가 시키기 위해,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는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에 의해 증가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이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이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인 이차 전지용 케이스.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기 몸체는 고용량 또는 고출력의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피막이 형성된 상기 몸체는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용 전지 또는 전기 자동차용 전지의 케이스에 사용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
  9. 삭제
  10. 삭제
  11. 알루미늄 판을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상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알루미늄 판의 내면과 외면에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봉공층은 상기 알루미늄 판의 내면과 외면에 위치하며, 상기 봉공층의 표면에 복수의 색 또는 무늬가 나타나도록 복수 색의 유기물이 서로 배합되어 이루어지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아디핀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아디핀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1.5M이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이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100 내지 150V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이 형성된 상기 알루미늄 판을 붕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및
    상기 붕산 용액에 침지한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처리를 통해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알루미늄 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붕산 용액 내에서의 전기화학적 처리를 위한 조건으로,
    상기 붕산 용액의 몰농도는 0.5 내지 2.0M이고;
    처리 온도는 60 내지 80℃이고; 그리고
    처리 전압은 250 내지 500V인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5. 삭제
  16. 제11항에서,
    상기 봉공층을 형성하는 단계 후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설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디핀산 용액에 침지하는 단계 전에,
    상기 알루미늄 판을 설정 형상으로 가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의 제조 방법.
KR1020100007041A 2010-01-26 2010-01-26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41A KR101106328B1 (ko) 2010-01-26 2010-01-26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US12/835,560 US9166210B2 (en) 2010-01-26 2010-07-13 Cas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041A KR101106328B1 (ko) 2010-01-26 2010-01-26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562A KR20110087562A (ko) 2011-08-03
KR101106328B1 true KR101106328B1 (ko) 2012-01-18

Family

ID=4430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041A KR101106328B1 (ko) 2010-01-26 2010-01-26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166210B2 (ko)
KR (1) KR101106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224B1 (ko) * 2012-02-07 2014-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내장형 이차전지 팩
US9299969B2 (en) 2012-07-10 2016-03-2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DE102012213868A1 (de) * 2012-08-06 2014-02-06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einem metallischen Gehäus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Beschichtung von metallischen Batteriegehäusen und Kraftfahrzeug
DE102013208135B4 (de) * 2013-05-03 2023-11-09 Robert Bosch Gmbh Batterie mit Überladungsschutz
USD782409S1 (en) * 2015-03-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terminal washers
CN107634227B (zh) * 2017-08-21 2020-07-03 清华大学 铝集流体及其制备方法,以及锂二次电池及其制备方法
DE102019106617A1 (de) * 2019-03-15 2020-09-1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Elektrische Baueinheit mit elektrisch isoliertem Gehäuse; sowie Antriebsstrangeinheit
CN110983412B (zh) * 2019-03-26 2022-03-29 国研新能(深圳)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原位生成法制备硬质氧化铝膜在铝壳锂电池绝缘密封中的应用
DE102021111440A1 (de) 2021-05-04 2022-11-10 Audi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s Zellgehäuseteils, Zellgehäuseteil und Batteriezelle für eine Hochvolt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39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16293A (en) * 1957-07-29 1962-01-09 Reynolds Metals Co Method of multi-coloring sealed anodized aluminum
US3079309A (en) * 1960-06-20 1963-02-26 Horizons Inc Coloring of anodized aluminum
US3293895A (en) * 1962-10-23 1966-12-27 American Can Co Method of forming a coated metal container
JPS492739Y1 (ko) * 1968-07-20 1974-01-23
JPS492739A (ko) * 1972-04-30 1974-01-11
JPS5830960B2 (ja) * 1980-02-27 1983-07-02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着色アルミニウム多面体
JPS59117675U (ja) * 1983-01-24 1984-08-08 旭可鍛鉄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又はその合金における陽極酸化皮膜の構造
GB2160352B (en) 1984-06-08 1987-08-26 Venture Tech Ltd Insulating seal for electrochemical cells
EP0356394A3 (de) * 1988-08-26 1990-03-21 Ciba-Geigy Ag Reaktivfarbstoff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KR920010628B1 (ko) 1989-12-31 1992-12-12 대우전자부품 주식회사 알루미늄 전해 콘덴서용 화성박 유전체 피막의 결정화 방법
JPH092739A (ja) * 1995-06-16 1997-01-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コイル巻取りラインにおける制御方法
US6809928B2 (en) * 2002-12-27 2004-10-26 Intel Corporation Sealed and pressurized liquid cooling system for microprocessor
US7041160B2 (en) * 2003-12-15 2006-05-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olubility additive for ink compositions
JP2006134737A (ja) * 2004-11-08 2006-05-25 Jeol Ltd イオンビーム加工装置
JP4902133B2 (ja) * 2005-04-20 2012-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EP1918427B1 (en) * 2005-06-17 2015-08-05 Tohoku University Metal oxide film, laminate, metal memb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WO2007072833A1 (ja) * 2005-12-19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682962B1 (ko) 2006-02-03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ES2426582T5 (es) 2006-09-05 2016-11-22 Tungaloy Corporation Herramienta de corte recubierta y método para producirla
US9166206B2 (en) * 2008-04-24 2015-10-20 Boston-Power, Inc. Prismatic storage battery or cell with flexible recessed por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39A (ko) * 2005-05-03 2006-11-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83192A1 (en) 2011-07-28
KR20110087562A (ko) 2011-08-03
US9166210B2 (en) 201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328B1 (ko)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EP2410595B1 (en) Terminal of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911949B2 (en) Secondary battery having pouch type exterior member with downwardly folded sealing part
EP1160893B1 (en) Lithium secondary cell and assembly thereof
KR100648731B1 (ko)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52738B1 (ko) 활물질이 패턴 코팅된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전지
US9680136B2 (en) Rechargeable battery
US11462772B2 (en) Electrode assembly comprising separator having insulation-enhancing part formed on edge portion of electrode
WO2008096834A1 (ja) 予備ドープ前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の製造方法
JP2015505128A (ja) 防湿層を有するハードシェルセルハウジング
US20190260069A1 (en) Secondary battery
US20140342227A1 (en) Lithium-sulphur cell cathode with a layer system
US10388936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325986B (zh) 二次电池
JP3470051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4024525A1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負極およ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なら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KR101558702B1 (ko) 고전압 배터리
JPWO2010095230A1 (ja) 全固体電池
EP3182486B1 (en) Rechargeable battery
KR20180109703A (ko) 전기 화학 디바이스
JP2002216716A (ja) リチウム二次単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単電池の接続構造体
KR20150089311A (ko) 이차 전지
CN103370814A (zh) 锂离子电芯、锂离子蓄电池以及带有锂离子蓄电池的机动车辆
KR101094014B1 (ko) 이차 전지용 케이스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8682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