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5536B1 - 평면 변압기 - Google Patents

평면 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5536B1
KR101105536B1 KR1020100052949A KR20100052949A KR101105536B1 KR 101105536 B1 KR101105536 B1 KR 101105536B1 KR 1020100052949 A KR1020100052949 A KR 1020100052949A KR 20100052949 A KR20100052949 A KR 20100052949A KR 101105536 B1 KR101105536 B1 KR 101105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nty
planar core
core
delete delete
pla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299A (ko
Inventor
김은수
정봉근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52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5536B1/ko
Priority to PCT/KR2011/004095 priority patent/WO2011152686A2/en
Priority to US13/702,038 priority patent/US9000874B2/en
Priority to TW103138213A priority patent/TWI520163B/zh
Priority to TW100119554A priority patent/TWI471878B/zh
Priority to EP11790044.9A priority patent/EP2577690B1/en
Priority to EP13168557.0A priority patent/EP2637183B1/en
Publication of KR20110133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5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5536B1/ko
Priority to US14/639,569 priority patent/US934322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F3/10Composite arrangements of magnetic circuits
    • H01F3/14Constrictions; Gaps, e.g. air-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08High-leakag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평면 코아,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평면 변압기{Planar Transformer}
실시예는 평면 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를 채용한 전원 공급 장치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러한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는 모스 트랜지스터(MOS 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나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와 같은 스위칭 소자와 변압기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전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가전 제품 등이 경박단소의 경향으로 개발됨에 따라,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도 슬립화하게 구현되도록 요구받고 있으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를 구성하는 회로 부품 중 큰 부피를 차지하는 변압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서 평면 변압기가 각광받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 LLC 공진컨버터에 적용되고 있는 평면 변압기는 누설 인덕턴스가 작아서 별도로 외부에 누설 인덕터를 설치하거나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별도로 사용하였으므로, 평면 변압기의 부피가 커지거나 평면 변압기의 제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별도로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후방 단턱과, 상기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후방 단턱과, 상기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 전방 단턱과, 상기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좌방 단턱에 이격된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후방 단턱과 제 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좌방 단턱과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과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배치된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1 본체와, 상기 제 21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 및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2 본체와, 상기 제 22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우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우측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 제 11 전방 단턱 및 제 1 좌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 및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 제 12 전방 단턱 및 제 1 우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측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1 본체와, 상기 제 11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좌측 평면 코아,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2 본체와, 상기 제 12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우측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1 본체와, 상기 제 21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 및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2 본체와, 상기 제 22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 우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우측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1 본체와, 상기 제 11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좌측 평면 코아,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2 본체와, 상기 제 12 본체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본체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우측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1 좌측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 제 11 전방 단턱 및 제 1 좌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 및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1 우측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 제 12 전방 단턱 및 제 1 우방 단턱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측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과, 상기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1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8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과, 상기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2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과, 상기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1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과, 상기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2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프라이머리 권선과 세컨더리 권선이 쇄교하지 않은 면적을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별도로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를 채용하지 않더라도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 및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변형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제 1 평면 코아(1100)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1111)와, 제 1 본체(1111)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1 본체(1111)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1123)과, 제 1 본체(1111)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1131)과, 제 1 본체(1111)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1121)과,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11 전방 단턱(11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1132)과, 제 12 후방 단턱(1123)과 제 12 전방 단턱(11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 1 좌방 단턱(1132)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11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평면 코아(1100)는 제 11 후방 단턱(1133), 상기 제 12 후방 단턱(1123), 상기 제 11 전방 단턱(1131), 상기 제 12 전방 단턱(1121), 상기 제 1 좌방 단턱(1132)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1122)이 상기 제 1 본체(1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본체(11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11 전방 단턱(1131) 사이에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 좌방 단턱(1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프라이머리 권선(1211)은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 상에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 좌방 단턱(1132)과 제 1 우방 단턱(112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프라이머리 권선(1211)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 좌방 단턱(1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제 2 평면 코아(1400)는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1411)와, 제 2 본체(1411)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1433)과, 제 2 본체(1411)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1423)과, 제 2 본체(1411)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1431)과, 제 2 본체(1411)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1421)과, 제 21 후방 단턱(1433)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14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1432)과, 제 22 후방 단턱(1423)과 제 22 전방 단턱(14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 2 좌방 단턱(1432)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14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평면 코아(1400)는 제 21 후방 단턱(1433), 제 22 후방 단턱(1423), 상기 제 21 전방 단턱(1431), 상기 제 22 전방 단턱(1421), 상기 제 2 좌방 단턱(1432) 및 상기 제 2 우방 단턱(1422)이 상기 제 2 본체(14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본체(14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평면 코아(1100),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 프라이머리 권선(1211),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 및 제 2 평면 코아(140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변압기(TR1)를 구성하며, 제 1 평면 코아(1100), 프라이머리 권선(1211) 및 제 2 평면 코아(140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누설 인덕터(Lr1)를 구성한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1100)와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 사이,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과 프라이머리 권선(1211) 사이, 프라이머리 권선(1211)과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 사이,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과 제 2 평면 코아(1400) 사이 및 프라이머리 권선(1211)과 제 2 평면 코아(1400) 사이에는 절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것처럼, 누설 인덕터(Lr1)는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이 프라이머리 권선(1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에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별도의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를 채용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이 프라이머리 권선(1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1)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전방 단턱(1121)의 길이나, 제 1 우방 단턱(1122)의 길이나, 제 12 후방 단턱(1123)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1)의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전방 단턱(1131)과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전방 단턱(1121)사이의 길이(Icw1)나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후방 단턱(112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전방 단턱(1131)과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전방 단턱(1121) 사이의 길이(Icw1)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후방 단턱(1123)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전방 단턱(1431)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전방 단턱(1421)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후방 단턱(143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후방 단턱(1423)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도,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전방 단턱(1131)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전방 단턱(143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1100)와 제 2 평면 코아(1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전방 단턱(1131)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전방 단턱(1431) 사이의 공극 간격(ITg1)을 조정하면, 변압기(TR1)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후방 단턱(143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1100)와 제 2 평면 코아(1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1 후방 단턱(1133)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1 후방 단턱(1433) 사이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변압기(TR1)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전방 단턱(1121)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전방 단턱(142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1100)와 제 2 평면 코아(1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전방 단턱(1121)과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전방 단턱(1421) 사이의 공극 간격(ILg1)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1)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후방 단턱(112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후방 단턱(142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 하도록 제 1 평면 코아(1100)와 제 2 평면 코아(1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2 후방 단턱(112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2 후방 단턱(1423) 사이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1)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 좌방 단턱(1132)이나 제 1 우방 단턱(1122) 또는,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 좌방 단턱(1432)이나 제 2 우방 단턱(1422)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1100)의 제 1 좌방 단턱(1132)이나 제 1 우방 단턱(1122)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타원 형상(1150)이나 원형 형상(11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세컨더리 권선(1311, 1312), 상부 세컨더리 권선(1313, 1314) 또는 프라이머리 권선(1211)은 제 1 좌방 단턱(1132)이나 제 1 우방 단턱(1122)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평면 코아(1400)의 제 2 좌방 단턱(1432)이나 제 2 우방 단턱(1422)도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평면 코아(2400)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세컨더리 권선(2313, 2314)과 프라이머리 권선(2211) 상에 배치된다. 제 2 평면 코아(2400)도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제 1 평면 코아(3100)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3111)와, 제 1 본체(3111)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1 본체(3111)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3123)과, 제 1 본체(3111)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3131)과, 제 1 본체(3111)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3121)과,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11 전방 단턱(31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3132)과, 제 12 후방 단턱(3123)과 제 12 전방 단턱(31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 1 좌방 단턱(3132)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31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평면 코아(3100)는 제 11 후방 단턱(3133), 상기 제 12 후방 단턱(3123), 상기 제 11 전방 단턱(3131), 상기 제 12 전방 단턱(3121), 상기 제 1 좌방 단턱(3132)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3122)이 상기 제 1 본체(3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본체(31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11 전방 단턱(3131) 사이에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프라이머리 권선(3211)은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 상에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과 제 1 우방 단턱(312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프라이머리 권선(3211)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는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1 본체(3411)와, 상기 제 21 본체(3411)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313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후방 단턱(3433)과, 상기 제 21 본체(3411)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전방 단턱(313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전방 단턱(3431)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3433)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34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방 단턱(343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는 제 21 후방 단턱(3433), 제 21 전방 단턱(3431) 및 제 2 좌방 단턱(3432)이 제 21 본체(34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1 본체(34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는 프라이머리 권선(3211)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2 본체(3412)와, 상기 제 22 본체(3412)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후방 단턱(312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후방 단턱(3423)과, 상기 제 22 본체(3412)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전방 단턱(3421)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3423)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34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우방 단턱(312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방 단턱(34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는 제 22 후방 단턱(3423), 제 22 전방 단턱(3421) 및 제 2 우방 단턱(3422)이 제 22 본체(3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2 본체(3412)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평면 코아(3100),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 프라이머리 권선(3211),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 및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변압기(TR3)를 구성하며, 제 1 평면 코아(3100), 프라이머리 권선(3211) 및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누설 인덕터(Lr3)를 구성한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3100)와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 사이,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과 프라이머리 권선(3211) 사이, 프라이머리 권선(3211)과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 사이,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 사이 및 프라이머리 권선(321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 사이에는 절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것처럼, 누설 인덕터(Lr3)는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이 프라이머리 권선(3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에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별도의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를 채용하지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이 프라이머리 권선(3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3)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의 길이나, 제 1 우방 단턱(3122)의 길이나, 제 12 후방 단턱(3123)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3)의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전방 단턱(3131)과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사이(Icw3)의 길이나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후방 단턱(312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전방 단턱(3131)과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 사이의 길이(Icw3)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후방 단턱(3123)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전방 단턱(3131)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1 전방 단턱(343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3100)와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전방 단턱(3131)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1 전방 단턱(3431)의 공극 간격(ITg3)을 조정하면, 변압기(TR3)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1 후방 단턱(343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3100)와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1 후방 단턱(3133)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1 후방 단턱(3433)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변압기(TR3)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2 전방 단턱(342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3100)와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전방 단턱(312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2 전방 단턱(3421)의 공극 간격(ILg3)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3)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후방 단턱(3123)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2 후방 단턱(342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 하도록 제 1 평면 코아(3100)와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2 후방 단턱(3123)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2 후방 단턱(3423)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3)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이나 제 1 우방 단턱(3122) 또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 좌방 단턱(3432)이나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 우방 단턱(3422)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3100)의 제 1 좌방 단턱(3132)이나 제 1 우방 단턱(3122)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타원 형상(3150)이나 원형 형상(31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세컨더리 권선(3311, 3312), 상부 세컨더리 권선(3313, 3314) 또는 프라이머리 권선(3211)은 제 1 좌방 단턱(3132)이나 제 1 우방 단턱(3122)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좌측 평면 코아(3430)의 제 2 좌방 단턱(3432)이나 제 2 우측 평면 코아(3420)의 제 2 우방 단턱(3422)도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좌측 평면 코아(443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세컨더리 권선(4313, 4314) 상에 제 1 평면 코아(4100)의 제 11 후방 단턱(4133), 제 11 전방 단턱(4131) 및 제 1 좌방 단턱(4132)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좌측 평면 코아(4430)도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 2 우측 평면 코아(4420)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프라이머리 권선(4211)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44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1 평면 코아(4100)의 제 12 후방 단턱(4123), 제 12 전방 단턱(4121) 및 제 1 우방 단턱(4122)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 2 우측 평면 코아(4420)도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1 본체(5111)와, 상기 제 11 본체(5111)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5133)과, 상기 제 11 본체(5111)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5131)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5133)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51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513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는 제 11 후방 단턱(5133), 제 11 전방 단턱(5131) 및 제 1 좌방 단턱(5132)이 제 11 본체(5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1 본체(51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2 본체(5112)와, 상기 제 12 본체(5112)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5123)과, 상기 제 12 본체(5112)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5121)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5123)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51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우방 단턱(51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는 제 12 후방 단턱(5123), 제 12 전방 단턱(5121) 및 제 1 우방 단턱(5122)이 제 12 본체(5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2 본체(5112)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후방 단턱(5133)과 제 11 전방 단턱(5131) 사이에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프라이머리 권선(5211)은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 상에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과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 우방 단턱(512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프라이머리 권선(5211) 상에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는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1 본체(5411)와, 상기 제 21 본체(5411)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후방 단턱(513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후방 단턱(5123)과, 상기 제 21 본체(5411)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전방 단턱(513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1 전방 단턱(5121)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5123)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51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좌방 단턱(51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는 제 21 후방 단턱(5123), 제 21 전방 단턱(5121) 및 제 2 좌방 단턱(5122)이 제 21 본체(54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1 본체(54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는 프라이머리 권선(5211)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2 본체(5412)와, 상기 제 22 본체(5412)의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우측 평면 코아(5430)의 제 12 후방 단턱(512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후방 단턱(5423)과, 상기 제 22 본체(5412)의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2 전방 단턱(5121)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2 전방 단턱(5421)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5423)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54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 우방 단턱(5122)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 2 우방 단턱(5422)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는 제 22 후방 단턱(5423), 제 22 전방 단턱(5421) 및 제 2 우방 단턱(5422)이 제 22 본체(54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2 본체(5412)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 프라이머리 권선(5211),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 및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변압기(TR5)를 구성하며,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 프라이머리 권선(5211) 및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누설 인덕터(Lr5)를 구성한다.
한편,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와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 사이,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과 프라이머리 권선(5211) 사이, 프라이머리 권선(5211)과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 사이,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 사이 및 프라이머리 권선(521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 사이에는 절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것처럼, 누설 인덕터(Lr5)는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이 프라이머리 권선(5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에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별도의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Lr5)를 채용하지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이 프라이머리 권선(5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5)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전방 단턱(5131)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의 제 21 전방 단턱(512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와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전방 단턱(5131)과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5121)의 공극 간격(ITg5)을 조정하면, 변압기(TR5)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후방 단턱(5133)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의 제 21 후방 단턱(512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와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1 후방 단턱(5133)과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의 제 21 후방 단턱(5123)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변압기(TR5)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2 전방 단턱(512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2 전방 단턱(542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와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2 전방 단턱(5121)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2 전방 단턱(5421)의 공극 간격(ILg5)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5)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2 후방 단턱(5123)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2 후방 단턱(542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 하도록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와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2 후방 단턱(5123)과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2 후방 단턱(5423)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5)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이나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 우방 단턱(5122) 또는,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의 제 2 좌방 단턱(5122)이나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 우방 단턱(5422)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좌측 평면 코아(5130)의 제 1 좌방 단턱(5132)이나 제 1 우측 평면 코아(5120)의 제 1 우방 단턱(5122)은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타원 형상(5150)이나 원형 형상(51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세컨더리 권선(5311, 5312), 상부 세컨더리 권선(5313, 5314) 또는 프라이머리 권선(5211)은 제 1 좌방 단턱(5132)이나 제 1 우방 단턱(5122)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 2 좌측 평면 코아(5430)의 제 2 좌방 단턱(5122)이나 제 2 우측 평면 코아(5420)의 제 2 우방 단턱(5422)도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좌측 평면 코아(6430)는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상부 세컨더리 권선(6313, 6314) 상에 제 1 좌측 평면 코아(6130)의 제 11 후방 단턱(6133), 제 11 전방 단턱(6131) 및 제 1 좌방 단턱(6132)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제 2 좌측 평면 코아(6430)도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제 2 우측 평면 코아(6420)는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되며, 프라이머리 권선(6211) 상에 상기 제 2 좌측 평면 코아(6430)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 1 우측 평면 코아(6120)의 제 12 후방 단턱(6123), 제 12 전방 단턱(6121) 및 제 1 우방 단턱(6122)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제 2 우측 평면 코아(6420)도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에 대해서 설명하며, 도 1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의 사시도이다.
제 1 평면 코아(7100)는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7111)와, 제 1 본체(7111)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1 본체(7111)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7123)과, 제 1 본체(7111)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7131)과, 제 1 본체(7111)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7121)과,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11 전방 단턱(71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7132)과, 제 12 후방 단턱(7123)과 제 12 전방 단턱(71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 1 좌방 단턱(7132)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7122)과, 제 1 좌방 단턱(7132)과 제 1 우방 단턱(7122)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1 통풍구(7101)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 1 평면 코아(7100)는 제 11 후방 단턱(7133), 상기 제 12 후방 단턱(7123), 상기 제 11 전방 단턱(7131), 상기 제 12 전방 단턱(7121), 상기 제 1 좌방 단턱(7132)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7122)이 상기 제 1 본체(71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본체(71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11 전방 단턱(7131) 사이에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좌방 단턱(7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프라이머리 권선(7211) 은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상에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좌방 단턱(7132)과 제 1 우방 단턱(712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은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프라이머리 권선(7211)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좌방 단턱(7132)을 둘러싸며 배치된다.
제 2 평면 코아(7400)는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7411)와, 제 2 본체(7411)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7433) 과, 제 2 본체(7411)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7423) 과, 제 2 본체(7411)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7431) 과, 제 2 본체(7411)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7421) 과, 제 21 후방 단턱(7433)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743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7432)과, 제 22 후방 단턱(7423)과 제 22 전방 단턱(7421)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제 2 좌방 단턱(7432)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7422)과, 제 2 좌방 단턱(7432)과 제 2 우방 단턱(7422)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2 통풍구(7402)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 2 평면 코아(7400)는 제 21 후방 단턱(7433), 제 22 후방 단턱(7423), 상기 제 21 전방 단턱(7431), 상기 제 22 전방 단턱(7421), 상기 제 2 좌방 단턱(7432) 및 상기 제 2 우방 단턱(7422)이 상기 제 2 본체(741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2 본체(7411)는 채용되는 전자 제품에 따라서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의 자성체가 이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통풍구(7101)와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통풍구(740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제품에 따라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통풍구(7101)만 포함하거나,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통풍구(7402)만 포함하거나,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통풍구(7101) 및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통풍구(7402) 모두 다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평면 코아(7100),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프라이머리 권선(7211),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 및 제 2 평면 코아(740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변압기(TR7)를 구성하며, 제 1 평면 코아(7100), 프라이머리 권선(7211) 및 제 2 평면 코아(7400)가 오버랩되는 부분에서 누설 인덕터(Lr7)를 구성한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7100)와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사이,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과 프라이머리 권선(7211) 사이, 프라이머리 권선(7211)과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 사이,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과 제 2 평면 코아(7400) 사이 및 프라이머리 권선(7211)과 제 2 평면 코아(7400) 사이에는 절연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것처럼, 누설 인덕터(Lr7)는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이 프라이머리 권선(7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에서 구성되므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별도의 투자율이 적은 코아를 채용하지 않거나 외부에 누설 인덕터(Lr7)를 채용하지 할 필요가 없다.
또한,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이나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이 프라이머리 권선(7211)과 쇄교하지 않는 부분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7)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평면 변압기 내부에 누설 인덕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전방 단턱(7121)의 길이나, 제 1 우방 단턱(7122)의 길이나, 제 12 후방 단턱(7123)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누설 인덕터(Lr7)의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전방 단턱(7131)과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전방 단턱(7121)사이의 길이(Icw7)나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후방 단턱(7123) 사이의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전방 단턱(7131)과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전방 단턱(7121) 사이의 길이(Icw7)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후방 단턱(7123)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전방 단턱(7431)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전방 단턱(7421)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후방 단턱(743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후방 단턱(7423) 사이의 길이와 동일하게 조정함으로써도,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평면 변압기는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통풍구(7101)나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통풍구(7402)를 통해서도 평면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전방 단턱(7131)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전방 단턱(743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7100)와 제 2 평면 코아(7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전방 단턱(7131)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전방 단턱(7431) 사이의 공극 간격(ITg7)을 조정하면, 변압기(TR7)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후방 단턱(743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7100)와 제 2 평면 코아(7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1 후방 단턱(7133)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1 후방 단턱(7433) 사이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변압기(TR7)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전방 단턱(7121)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전방 단턱(7421)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도록 제 1 평면 코아(7100)와 제 2 평면 코아(7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전방 단턱(7121)과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전방 단턱(7421) 사이의 공극 간격(ILg7)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7)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후방 단턱(712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후방 단턱(7423)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 하도록 제 1 평면 코아(7100)와 제 2 평면 코아(7400)를 배치시킬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2 후방 단턱(7123)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2 후방 단턱(7423) 사이의 공극 간격을 조정하면, 누설 인덕터(Lr7)의 누설 인덕턴스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좌방 단턱(7132)이나 제 1 우방 단턱(7122) 또는,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좌방 단턱(7432)이나 제 2 우방 단턱(7422)은 도 16에 도시된 것처럼,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 1 평면 코아(7100)의 제 1 좌방 단턱(7132)이나 제 1 우방 단턱(7122)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타원 형상(7150)이나 원형 형상(7140)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 세컨더리 권선(7311, 7312), 상부 세컨더리 권선(7313, 7314) 또는 프라이머리 권선(7211)은 제 1 좌방 단턱(7132)이나 제 1 우방 단턱(7122)의 형상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제 2 평면 코아(7400)의 제 2 좌방 단턱(7432)이나 제 2 우방 단턱(7422)도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과, 상기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1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는 상기 제 11 후방 단턱, 상기 제 12 후방 단턱, 상기 제 11 전방 단턱, 상기 제 12 전방 단턱, 상기 제 1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이 상기 제 1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는 상기 제 21 후방 단턱, 상기 제 22 후방 단턱, 상기 제 21 전방 단턱, 상기 제 22 전방 단턱, 상기 제 2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2 우방 단턱이 상기 제 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77.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78.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79.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80.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81.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82.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83. 제7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8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8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86.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을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과, 상기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2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8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는 상기 제 11 후방 단턱, 상기 제 12 후방 단턱, 상기 제 11 전방 단턱, 상기 제 12 전방 단턱, 상기 제 1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이 상기 제 1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8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는 상기 제 21 후방 단턱, 상기 제 22 후방 단턱, 상기 제 21 전방 단턱, 상기 제 22 전방 단턱, 상기 제 2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2 우방 단턱이 상기 제 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89.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90.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91.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92.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93.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94.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95.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96.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97.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98. 제8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99.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1 본체와,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1 우방 단턱과, 상기 제 1 좌방 단턱과 상기 제 1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1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1 평면 코아;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제 11 전방 단턱 사이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하부 세컨더리 권선;
    코일이 다수로 감겨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과 제 1 우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프라이머리 권선;
    다수의 코일이 적층되고, 상기 프라이머리 권선 상에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을 둘러싸며 배치된 상부 세컨더리 권선; 및
    상기 상부 세컨더리 권선 상에 배치되며, 사각형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제 2 본체와,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좌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본체의 우측 전방 장변에 연장되어 형성된 제 2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1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2 전방 단턱의 중앙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좌방 단턱에 이격된 제 2 우방 단턱과, 상기 제 2 좌방 단턱과 상기 제 2 우방 단턱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로 통풍가능한 제 2 통풍구를 포함하는 제 2 평면 코아를 포함하는 평면 변압기.
  10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통풍구와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통풍구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평면 변압기.
  10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는 상기 제 11 후방 단턱, 상기 제 12 후방 단턱, 상기 제 11 전방 단턱, 상기 제 12 전방 단턱, 상기 제 1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1 우방 단턱이 상기 제 1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2.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는 상기 제 21 후방 단턱, 상기 제 22 후방 단턱, 상기 제 21 전방 단턱, 상기 제 22 전방 단턱, 상기 제 2 좌방 단턱 및 상기 제 2 우방 단턱이 상기 제 2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3.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104.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 사이의 길이는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 사이의 길이와 동일한 평면 변압기.
  105.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6.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7.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 좌방 단턱이나 제 1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8.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 좌방 단턱이나 제 2 우방 단턱은 타원 형상이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평면 변압기.
  109.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110.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1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1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111.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112. 제9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평면 코아의 제 12 후방 단턱과 상기 제 2 평면 코아의 제 22 후방 단턱은 서로 이격되어 공극이 존재하는 평면 변압기.
KR1020100052949A 2010-06-04 2010-06-04 평면 변압기 KR101105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49A KR101105536B1 (ko) 2010-06-04 2010-06-04 평면 변압기
PCT/KR2011/004095 WO2011152686A2 (en) 2010-06-04 2011-06-03 Planar transformer
US13/702,038 US9000874B2 (en) 2010-06-04 2011-06-03 Planar transformer
TW103138213A TWI520163B (zh) 2010-06-04 2011-06-03 平面變壓器
TW100119554A TWI471878B (zh) 2010-06-04 2011-06-03 平面變壓器
EP11790044.9A EP2577690B1 (en) 2010-06-04 2011-06-03 Planar transformer
EP13168557.0A EP2637183B1 (en) 2010-06-04 2011-06-03 Planar transformer
US14/639,569 US9343220B2 (en) 2010-06-04 2015-03-05 Planar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949A KR101105536B1 (ko) 2010-06-04 2010-06-04 평면 변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7039A Division KR101174006B1 (ko) 2011-09-26 2011-09-26 평면 변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299A KR20110133299A (ko) 2011-12-12
KR101105536B1 true KR101105536B1 (ko) 2012-01-13

Family

ID=450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949A KR101105536B1 (ko) 2010-06-04 2010-06-04 평면 변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000874B2 (ko)
EP (2) EP2577690B1 (ko)
KR (1) KR101105536B1 (ko)
TW (2) TWI471878B (ko)
WO (1) WO201115268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72B1 (ko) * 2010-06-21 2012-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평면 변압기
US9837198B2 (en) 2012-05-15 2017-12-05 Delta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TWI493841B (zh) 2012-05-15 2015-07-21 Delta Electronics Inc 轉換器
US9893536B2 (en) 2012-05-15 2018-02-13 Delta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CN105099132B (zh) * 2014-04-30 2018-08-31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832026B (zh) * 2012-09-19 2015-08-19 国家电网公司 一种高频高压高功率密度变压器
DE202014105168U1 (de) 2013-11-26 2014-11-13 Wen-Hsiang Wu Li Planarwicklungsmodul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s verwendet
DE202014105164U1 (de) 2013-12-31 2014-11-11 Wen-Hsiang Wu Li Modularisierte Planarwindung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 verwendet
DE202014105167U1 (de) 2013-12-31 2014-11-13 Wen-Hsiang Wu Li Modularisierte Planarwindungslage und Planartransformator, der diese verwendet
US10062496B2 (en) * 2015-02-26 2018-08-28 Lear Corporation Planar transformer
CN106803455B (zh) * 2015-11-26 2019-07-26 乾坤科技股份有限公司 平面型电抗器
JP6882056B2 (ja) * 2017-05-10 2021-06-02 矢崎総業株式会社 トランス装置
TWI667673B (zh) * 2018-03-15 2019-08-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平面變壓器
US11205958B2 (en) 2019-09-18 2021-12-21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version system
US11532428B2 (en) 2019-09-18 2022-12-20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agnetic component thereof
US11205963B2 (en) 2019-09-18 2021-12-21 Delta Electronics, Inc. Multiphase buck converter with extended duty cycle range using multiple bootstrap capacitors
US11309878B2 (en) 2019-09-18 2022-04-19 Delta Electronics, Inc. Power conversion system
KR20210098230A (ko) * 2020-01-31 2021-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DE102021106057A1 (de) 2021-03-12 2022-09-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Übertrager mit nichtgeschlossenem Magnetkern
KR102486427B1 (ko) * 2021-03-19 2023-0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트랜스포머 및 이를 포함하는 회로기판
US20240177916A1 (en) * 2021-03-19 2024-05-30 Lg Innotek Co., Ltd. Transformer and circuit board comprising same
DE102022113571A1 (de) 2022-05-30 2023-11-30 Phoenix Contact Gmbh & Co. Kg Kernloser planarer Übertrager
BE1030569B1 (de) 2022-05-30 2024-01-08 Phoenix Contact Gmbh & Co Kernloser planarer Übertrag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929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2057045A (ja) * 2000-08-08 2002-02-2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4297862A (ja) 2003-03-26 2004-10-21 Toko Inc 2出力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8113532A (ja) * 2006-10-31 2008-05-15 Denso Corp 2トランス型dcdcコンバータの磁気回路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0314A (en) 1990-03-30 1991-04-23 Multisource Technology Corp. Low-profile planar transformer for use in off-line switching power supplies
JP2571825Y2 (ja) * 1992-05-08 1998-05-20 株式会社トーキン 偏平トランス
US6000128A (en) * 1994-06-21 1999-12-14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Process of producing a multi-layered printed-coil substrate
JP2000068132A (ja) * 1998-08-26 2000-03-03 Toko Inc 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3368871B2 (ja) 1999-07-23 2003-0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インダクタ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280026B2 (en) * 2002-04-18 2007-10-09 Coldwatt, Inc. Extended E matrix integrated magnetics (MIM) core
US6867678B2 (en) * 2003-01-28 2005-03-15 Entrust Power Co., Ltd. Transformer structure
EP1962302A4 (en) * 2005-12-16 2013-05-29 Murata Manufacturing Co COMPOSITE TRANSFORMER AND ISOLATED CUT POWER SUPPLY
JP5098888B2 (ja) * 2008-08-19 2012-12-1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インダクタンス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0929A (ja) * 1991-09-30 1993-04-09 Nec Corp 半導体集積回路
JP2002057045A (ja) * 2000-08-08 2002-02-22 Shindengen Electric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4297862A (ja) 2003-03-26 2004-10-21 Toko Inc 2出力インバータトランス
JP2008113532A (ja) * 2006-10-31 2008-05-15 Denso Corp 2トランス型dcdcコンバータの磁気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37183B1 (en) 2014-08-20
EP2637183A2 (en) 2013-09-11
US20130207766A1 (en) 2013-08-15
US9343220B2 (en) 2016-05-17
TW201222582A (en) 2012-06-01
EP2637183A3 (en) 2013-11-13
WO2011152686A3 (en) 2012-04-19
EP2577690A4 (en) 2015-07-08
WO2011152686A2 (en) 2011-12-08
TWI520163B (zh) 2016-02-01
TW201511050A (zh) 2015-03-16
EP2577690A2 (en) 2013-04-10
KR20110133299A (ko) 2011-12-12
EP2577690B1 (en) 2016-10-12
TWI471878B (zh) 2015-02-01
US9000874B2 (en) 2015-04-07
US20150200047A1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536B1 (ko) 평면 변압기
US20080224809A1 (en) Magnetic integration structure
US20070052513A1 (en) Structure of transformer
KR101133584B1 (ko) 평면 변압기
KR101174006B1 (ko) 평면 변압기
KR101197562B1 (ko) 통기덕트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용 고압트랜스포머
JP2003234220A (ja) スイッチングトランスとスイッチング電源
KR101054902B1 (ko) 평면 변압기
KR101360532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KR102194135B1 (ko) 자성소자
JP7087083B2 (ja) 変圧器鉄心および変圧器
JP2017195293A (ja) トランス
JP2011210769A5 (ko)
KR20110123083A (ko) 평면 변압기
US20240186053A1 (en) Transformer
JP2006108389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JP2011082304A (ja) 複合型リアクトル
JP2006108390A (ja) トランスコア及びこれを用いたリーケージトランス
KR20130078249A (ko) 일체형 pfc 변압기
JP2010050272A (ja) コイル装置
JP2007149946A (ja) 可飽和リアクトル及び該可飽和リアクトルを用いた非接触給電装置
KR101372124B1 (ko) 일체형 pfc 변압기
TWI627645B (zh) 變壓器結構
JP2020021830A (ja) コイル
JP2016100465A (ja) チョークコ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