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694B1 -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694B1
KR101099694B1 KR1020090127464A KR20090127464A KR101099694B1 KR 101099694 B1 KR101099694 B1 KR 101099694B1 KR 1020090127464 A KR1020090127464 A KR 1020090127464A KR 20090127464 A KR20090127464 A KR 20090127464A KR 101099694 B1 KR101099694 B1 KR 101099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cover
sealing member
ship
ga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604A (ko
Inventor
김현석
이명건
김양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694B1/ko
Publication of KR20110070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B63B19/18Hatch covers sli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8Other safet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4Hatch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1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using sensors, e.g. pressure sensors, strain gauges or acceler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9/0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 B63B79/40Monitoring properties or operating parameters of vessels in operation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vessels, e.g. monitoring their speed, routing or maintenance schedu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24Hatch fastenings, e.g. cleats
    • B63B2019/245Loose or removable fasten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hatch covers to coamings, sill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1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sh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03/00Fluid-pressure and analogous brake systems
    • Y10S303/10Valve block integrating pump, valves, solenoid, accum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ling Devices (AREA)

Abstract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이 개시된다.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1 해치커버; 상기 제1 해치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2 해치커버; 수축 및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와 연통하여 상기 밀폐부재를 수축 및 팽창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함으로써, 수송물에서 발생하는 유증기가 선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해치커버 사이를 견고히 밀폐시킬 수 있어 적재부에 적재된 수송물이 바닷물, 비 또는 눈과 같은 외부 인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박, 해치커버, 밀폐

Description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SHIP WITH HATCH COVER}
본 발명은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에 관한 것으로, 적재부가 견고히 밀폐될 수 있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선박들은 화물수납공간 내에 여러 종류의 수송물을 싣고 장시간, 장거리 운송을 하고 있으며 화물수납공간에 적재된 수송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가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또한, 운항 도중 외부로부터의 비바람 및 파도에 의해 화물수납공간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경우 화물수납공간 내에 적재된 수송물은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유증기가 선박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외부의 비바람 및 파도에 의한 물의 침입 등으로부터 화물수납공간 내에 적재된 수송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수납공간 상부에 창구덮개를 설치한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 창구덮개를 각각 열고 닫고 잠그기 위한 매커니즘은 유압으로 작동되는 피스톤 실린더 잭 혹은 유압 모터와 체인으로 구성되기도 한다. 상술한 창구덮개는 이를 위해 트랙들을 따라 원하는 위치로 휠 상에서 이동한다.
일반적인 창구덮개는 2개의 해치커버가 서로 슬라이딩하여 여닫히는데, 각각 의 해치커버 사이에는 틈이 발생하여 밀폐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아 유증기가 선박의 외부로 유출될 우려가 있다. 그리고 화물수납공간 외부에서 내부로 물 등이 샐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해치커버를 견고히 밀폐할 수 있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1 해치커버; 상기 제1 해치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2 해치커버; 수축 및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와 연통하여 상기 밀폐부재를 수축 및 팽창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해치커버의 단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치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홈과 마주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밀폐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밀폐부재로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펌프; 및 상 기 밀폐부재로부터 기체를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급기펌프 및 상기 배기부 사이에는 방향전환밸브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급기펌프와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 해치커버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 패킹과, 상기 제2 해치커버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패킹과 결합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체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패킹 또는 상기 제2 패킹에 인접하게 상기 제1 해치커버 또는 상기 제2 해치커버에 설치되며, 밀폐부재로부터 누출되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송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가 선박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커버 간의 사이를 견고히 밀폐시킬 수 있어 적재부에 적재된 수송물이 바닷물, 비 또는 눈과 같은 외부 인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선박(100)은, 선체(110)와, 적재부(120)와,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와, 밀폐부재(140) 및 가동부(150)를 포함한다.
선체(110)의 내측에는 원유, 곡물 및 광석과 같은 수송물이 적재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적재부(120)가 설치된다. 적재부(120)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박(100)은 원유, 곡물 및 광석 등의 산적화물을 수송할 수 있다.
적재부(120)의 입구를 커버하도록 제1 해치커버(131) 및 제2 해치커버(135)가 적재부(120)의 상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해치커버(131) 및 제2 해치커버(135)는 적재부(120)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의 하부에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송물을 적재부(120)에 담거나 적재부(120)로부터 꺼낼 때, 제1 해치커버(131) 및 제2 해치커버(135)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적재부(120)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는 서로 마주하게 설치되고,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근접하여 맞닿음으로써 적재부(120)의 입구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서로 멀어짐으로써 적재부(120)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비바람 및 파도에 의한 물의 침입 등으로부터 적재부(120) 내에 적재된 수송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 사이를 밀폐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밀폐부재(140)가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 사이에 수축 및 팽창 가능하도록 개재된다. 밀폐부재(14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닫힌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 사이를 밀폐시킨다. 제2 해치커버(135)와 대향하는 제1 해치커버(131)의 단부에는 제1 홈(133)이 형성되고, 제2 해치커버(135)의 단부에는 제1 홈(133)과 마주하는 제2 홈(137)이 형성되며, 제 2홈에 밀폐부재(140)가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해치커버(135)의 내측에는 밀폐부재(140)가 가동부(150)와 연통되도록 연성재질을 포함하는 주름관(부호 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주름관은 제2 해치커버(135)가 좌우 슬라이딩시 주름관의 주름이 접히고 펼쳐짐으로써 제2 해치커버(135)와 가동부(150) 사이의 길이가 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홈(137)에 밀폐부재(140)가 설치됨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제1 홈(133)에 밀폐부재(140)가 설치되거나, 제1 홈(133) 및 제2 홈(137) 각각에 밀폐부재(140)가 설치되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그리고 가동부(150)는 밀폐부재(140)와 연통하여 밀폐부재(140)를 수축 및 팽창시킨다. 가동부(150)는 밀폐부재(140)를 수축 및 팽창시키도록 선체(110)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적재부(120)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가동부(150)는 밀폐부재(140)를 수축 및 팽창시키는 구성으로 그 위치의 변형예는 다양하다. 가동부(150)는, 밀폐부재(140)로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펌프(151)와, 밀폐부재(140)로부터 기체를 배기시키는 배기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체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질소와 같은 압축 불활성 가스는 폭발의 위험성이 없다. 그리고 가스 유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압축 불활성 가스가 감지 대상 판단 물체로 설정될 수 있어, 아래에 기술되는 가스 감지기(190)가 가스의 유출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해수로부터 용이하게 채취할 수 있는 질소를 이용하여 기체의 공급이 수월할 수 있다.
급기펌프(151)는 급기관(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배기부(155)는 배기관(15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급기관(153)과 배기관(157)은 밀폐부재(140)로 기체를 공급하거나 배기하도록 밀폐부재(140)와 연통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와 급기펌프(151) 및 배기부(155) 사이에는 방향전환밸브(160)가 설치 될 수 있다. 방향전환밸브(160)는 일 예로 쓰리웨이밸브일 수 있으며, 이는 기체 흐름을 변경(Diverting or Change-over)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가 방향전환밸브(16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밸브는 급기관(153) 및 배기관(157)의 개폐를 전기적 신호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가동부(150)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70)는 급기펌프(151)와 방향전환밸브(160)의 작동을 제어하여 밀폐부재(140)의 수축 및 팽창을 조절할 수 있다. 밀폐부재(140)의 수축 및 팽창을 조절하는 제어부(170)는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될 수 있다.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닫히면 제어부(170)는 밀폐부재(140)의 팽창을 명령하여 급기펌프(151)가 밀폐부재(140)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개방되면 제어부(170)는 밀폐부재(140)의 수축을 명령하여 배기부(155)가 개방되어 밀폐부재(140) 내부의 기체를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제1 해치커버(131)의 단부 양측에 제1 패킹(181)이 설치될 수 있고, 제2 해치커버(135)의 단부 양측에 제1 패킹(181)과 결합하는 제2 패킹(183)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패킹(181)과 제2 패킹(183)은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을 포함할 수 있어,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서로 맞닿은 경우, 제1 패킹(181)과 제2 패킹(183)은 밀착될 수 있다. 즉, 제1 패킹(181)은 제2 패킹(183)을 누르고, 제2 패킹(183)은 제1 패킹(181)을 눌러 서로 압착됨으로써 제1 패킹(181)과 제2 패킹(183)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에 공급된 가스가 샐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가스 감지기(190)가 선박(1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스 감지기(190)는 제1 패킹(181)에 인접하게 제1 해치커버(131)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밀폐부재(140)로부터 누출되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가스 감지기(190)는 제2 패킹(183)에 인접하게 제2 해치커버(135)에 설치될 수도 있는 등 그 변형예는 다양하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40)의 수축 및 팽창의 작동에 대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개방될 때, 밀폐부재(140)가 수축상태로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은 방향전환밸브(160)는, 급기관(153)을 폐쇄하고 배기관(157)을 개방하여 배기부(155)와 밀폐부재(140)를 연통시킴으로써, 배기부(155)를 통해 밀폐부재(140) 내의 기체가 밀폐부재(140)의 외측으로 빠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가 닫혀 있을 때,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 사이를 밀폐하도록 밀폐부재(140)가 팽창상태로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로부터 명령을 전달받은 방향전환밸브(160)는 배기관(157)을 폐쇄하고 급기관(153)을 개방하여 급기펌프(151)와 밀폐부재(140)를 연통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급기펌프(151)가 기체 공급을 하도록 급기펌프(151)로 명령하여, 급기펌프(151)는 밀폐부재(140)로 기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의 견고한 밀폐를 위해, 급기펌프(151)에 의해 밀폐부재(140) 내는 기체가 충전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 내의 기체충전 양은 제1 홈(133)과 제2 홈(137) 사이의 공간에 의해 설정될 수 있 다. 제1 홈(133)과 제2 홈(137) 사이에 밀폐부재(140)가 밀착되도록 밀폐부재(140) 내부가 충전되면, 제어부(170)는 방향전환밸브(160)로 명령을 전달하여, 급기관(153) 및 배기관(157)을 폐쇄하여 기체가 충전된 밀폐부재(140)의 형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140), 제1 패킹(181) 및 제2 패킹(183)등 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해치커버(131)와 제2 해치커버(135)사이를 견고히 밀폐시킬 수 있어, 수송물에서 발생되는 유증기가 선박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부에 적재된 수송물이 바닷물, 비 또는 눈과 같은 외부 인자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의 작동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선체 120: 적재부
131: 제1 해치커버 133: 제1 홈
135: 제2 해치커버 137: 제2 홈
140: 밀폐부재 150: 가동부
151: 급기펌프 153: 급기관
155: 배기부 157: 배기관
160: 방향전환밸브 170: 제어부
181: 제1 패킹 183: 제2 패킹
190: 가스 감지기

Claims (8)

  1.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1 해치커버;
    상기 제1 해치커버와 마주하고 상기 적재부에 설치되는 제2 해치커버;
    수축 및 팽창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 및
    상기 밀폐부재와 연통하여 상기 밀폐부재를 수축 및 팽창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치커버의 단부에는 제1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치커버의 단부에는 상기 제1 홈과 마주하는 제2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홈 및 상기 제2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밀폐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밀폐부재로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펌프; 및
    상기 밀폐부재로부터 기체를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와 상기 급기펌프 및 상기 배기부 사이에는 방향전환밸브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급기펌프와 상기 방향전환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해치커버와 상기 제2 해치커버 사이를 밀폐시키도록, 상기 제1 해치커버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는 제1 패킹과, 상기 제2 해치커버의 단부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패킹과 결합하는 제2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킹 또는 상기 제2 패킹에 인접하게 상기 제1 해치커버 또는 상기 제2 해치커버에 설치되며, 밀폐부재로부터 누출되는 압축 불활성 가스를 감지하는 가스 감지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KR1020090127464A 2009-12-18 2009-12-18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KR101099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464A KR101099694B1 (ko) 2009-12-18 2009-12-18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464A KR101099694B1 (ko) 2009-12-18 2009-12-18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04A KR20110070604A (ko) 2011-06-24
KR101099694B1 true KR101099694B1 (ko) 2011-12-28

Family

ID=4440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464A KR101099694B1 (ko) 2009-12-18 2009-12-18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96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898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저항 감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489A (ko) 2015-09-02 2017-03-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치 커버를 구비한 선박
KR20170032685A (ko) 2015-09-15 2017-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988A (ja) 2002-05-09 2003-11-11 Harada Sangyo Kk 船舶甲板上のハッチカバー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7156A (ja) 2004-03-04 2005-09-15 Kawasaki Shipbuilding Corp 船舶のハッチカバーの開閉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20988A (ja) 2002-05-09 2003-11-11 Harada Sangyo Kk 船舶甲板上のハッチカバー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47156A (ja) 2004-03-04 2005-09-15 Kawasaki Shipbuilding Corp 船舶のハッチカバーの開閉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898A (ko) * 2014-03-21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저항 감소장치
KR101588679B1 (ko) 2014-03-21 2016-01-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저저항 감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604A (ko) 201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694B1 (ko)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US6626121B1 (en) Vessel of the OBO or bulk carrier type
CA2572089A1 (en) Manhole system
EP2251255A2 (en) A sectional pontoon bridge
KR102250483B1 (ko) 연료공급시스템
KR101550194B1 (ko) 격납식 쓰러스터용 추진 컨테이너
KR20180053270A (ko)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US8851098B2 (en) Rupture sealing apparatus
KR101258925B1 (ko) 덕트킬을 이용한 화물하역장치를 갖는 선박
CN102695647B (zh) 利用驳船的海上输送方法以及海上输送用驳船
EP2089279B1 (en) A device for an inert gas installation on a floating vessel
CN1211264C (zh) 带有气动锁定机构的容器
KR20170126978A (ko) 화물 컨테이너
KR101305372B1 (ko) 선박 해치커버의 에어패킹 시스템
CA2374839A1 (en) Method for carrying out operations on petroleum and gas fields and deep-sea platform for realising the same
CN1352615A (zh) 用于流体和颗粒物质运输中的装置和方法
CN107499465A (zh) 机动式开底浮箱
US4502405A (en) Floating device comprising storage holds for bulk freight, such as a hopper dredge
KR20140049642A (ko) 선박의 기밀구역 출입 구조
KR101007053B1 (ko) 해치 커버 장치
KR101792830B1 (ko) 액상화물 저장탱크
SU1395560A1 (ru) Контейнер
KR101518806B1 (ko) 유동적 부양 구조물을 구비하는 선박
RU2760364C1 (ru) Балластно-грузовая цистерна подводного газовоз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жиженных газ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сжиженного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RU2521900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лотнения грузовых трюмов безлюк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оз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