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2685A -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2685A
KR20170032685A KR1020150130330A KR20150130330A KR20170032685A KR 20170032685 A KR20170032685 A KR 20170032685A KR 1020150130330 A KR1020150130330 A KR 1020150130330A KR 20150130330 A KR20150130330 A KR 20150130330A KR 20170032685 A KR20170032685 A KR 20170032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container
panel module
coupled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영준
김덕수
정성준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32685A/ko
Publication of KR20170032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6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은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단은 컨테이너의 상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Solar cell panel module for container carrier and container carrier having the same of}
본 발명은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사용 목적에 따라 상선, 군함, 어선 및 특수 작업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선은 여객 또는 화물을 운반하고, 운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운항되는 선박이다. 상선은 운반의 대상에 따라 화물선, 여객선 및 화객선으로 분류될 수 있다. 화물선은 일반 화물을 운반하는 일반 화물선과 특정 화물만을 운반하는 전용 화물선으로 분류될 수 있다.
전용 화물선은 곡물류와 같이 포장하지 않은 화물을 선창에 싣고 운반하는 산적 화물선(bulk cargo), 선박의 화물창을 여러 개의 구획으로 나누어 나뉘어진 각각 구획에 원유를 싣고 운반하는 유조선(oil tanker), 포장하지 않은 화학 제품을 싣고 운반하는 화학 제품 운반선(chemical tanker), 37.8℃에서 절대 증기압이 2.8㎏/㎠ 이상인 가스를 싣고 운반하는 액화 가스 운반선(liquefied gas carrier) 및 화물이 수납된 컨테이너를 싣고 운반하는 컨테이너 선(container carrier)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 선은 대량의 컨테이너를 싣고 주로 대양을 항해함으로써 대량의 컨테이너를 운반한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은 항해 시 필요한 전기를 공급받기 위해 화석 연료로 발전을 하는 화석 연료 발전 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화석 연료 발전 설비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유가에 의해 단위 전력당 원가가 증가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석 연료 발전 설비는 발전 과정에서 배기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환경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단위 전력당 원가를 절감하고 배기 가스의 배출에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대체 발전 설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의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14820호에서 컨테이너 선에 설치되는 태양광 패널 모듈이 제안되었다.
이하, 컨테이너 선에 구비되는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의 태양광 패널이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은 컨테이너 선에 적재된 컨테이너(C)의 상면에 설치되어 태양광의 조사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10), 태양광 패널(10)의 하부와 컨테이너(C)의 상단 모서리의 코너 캐스팅(60)에 설치되는 소켓(20), 태양광 패널(10)이 생산한 전력을 저장하는 축전지(30) 및 축전지(30)에 저장된 전기를 선박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4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은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컨테이너 선의 전력이 필요한 설비에 공급한다.
한편,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의 태양광 패널(10)은 컨테이너(C)에 기울기와 기울기의 방향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10)에 수직으로 입사하지 못할 수 있어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의 전력 생산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70604호(공개일자: 2011년06월24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태양광 패널의 기울기와 기울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전력 생산 능력이 향상된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은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단은 컨테이너의 상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평면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 중 어느 하나의 평명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모서리의 코너에는 결합된 태양광 패널 코너 캐스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높이는 국제 표준화 기구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상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에 결합되고 하단은 피스톤이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고 내부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승강시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 장치;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유압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은 상기 사항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 래싱 브릿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전지가 설치되는 축전지 지지 구조물; 및 일단은 상기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축전지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복수 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 케이블이 감기거나 푸는 전력 케이블 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의 기울기와 기울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태양광 패널 모듈의 전력 생산 능력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의 태양광 패널이 컨테이너에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모듈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이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이라 한다)는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110) 및 상단은 태양광 패널(110)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단은 컨테이너(C)의 상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기둥(140)을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110)의 평면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 중 어느 하나의 평명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태양광 패널(110)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태양광 패널(110)의 평면의 길이(L)와 폭(W)은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 중 어느 하나의 길이와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광 패널(110)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 중 어느 하나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태양광 패널(110)의 상면 모서리의 코너에는 태양광 패널 코너 캐스팅(CC1)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컨테이너 크레인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 모듈(100)을 컨테이너 선에 적재된 컨테이너(C)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복수의 기둥(140) 각각의 높이(H)는 국제 표준화 기구(ISO)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가 컨테이너 선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상부에 설치되는 경우, 컨테이너 선의 휠 하우스의 시야가 방해 받지 않게 된다.
복수의 기둥(140) 각각은 상단은 태양광 패널(110)에 결합되고 하단은 피스톤(142)이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141), 피스톤(142)이 삽입되고 내부 유압에 의해 피스톤(142)을 승강시켜 피스톤 로드(141)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143), 유압 실린더(143)의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 장치(144) 및 유압 실린더(143)의 하단에 결합되어 컨테이너(C)의 코너 캐스팅(CC)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재(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기둥(140) 각각은 복수의 기둥(140) 각각의 유압 장치(144)에 의해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됨으로써 태양광 패널(110)의 기울기와 기울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태양광이 태양광 패널(110)에 수직으로 입사할 수 있게 되어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의 전력 생산 능력이 향상된다.
복수의 기둥(140)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은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151) 및 입력부(151)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복수의 기둥(140) 각각의 유압 장치(144)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부(151)를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110)의 기울기와 기울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을 나타낸 부분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200)(이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이라 한다)은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210), 래싱 브릿지(2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축전지(210)가 설치되는 축전지 지지 구조물(230), 일단은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축전지(210)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PC)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케이블(PC)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축전지(210)에 복수의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100)이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200)은 축전지 지지 구조물(230)에 설치되어 전력 케이블(PC)을 감거나 푸는 전력 케이블 릴(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력 케이블 릴(240)에 의해 전력 케이블(PC)의 길이가 조절되어, 전력 케이블(PC)이 정리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110: 태양광 패널
140: 기둥
150: 제어부
200: 컨테이너 성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
210: 축전지
220: 래싱 브릿지
230: 축전지 지지 구조물
C: 컨테이너
CC: 코너 캐스팅
CC1: 태양광 패널 코너 캐스팅

Claims (9)

  1.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하단은 컨테이너의 상면 테두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는 복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평면은 국제 표준화 기구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 중 어느 하나의 평명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모서리의 코너에는 결합된 태양광 패널 코너 캐스팅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높이는 국제 표준화 기구의 컨테이너 규격에 따른 컨테이너들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은,
    상단은 상기 태양광 패널에 결합되고 하단은 피스톤이 결합되는 피스톤 로드;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고 내부 유압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승강시켜 상기 피스톤 로드의 돌출 길이를 조절하는 유압 실린더;
    상기 유압 실린더의 내부 유압을 조절하는 유압 장치; 및
    상기 유압 실린더의 하단에 결합되어 컨테이너의 코너 캐스팅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아 상기 복수의 기둥 각각의 유압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에서 발전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축전지;
    래싱 브릿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축전지가 설치되는 축전지 지지 구조물; 및
    일단은 상기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축전지에 연결되는 전력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은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케이블이 감기거나 푸는 전력 케이블 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을 구비한 컨테이너 선.

KR1020150130330A 2015-09-15 2015-09-15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KR201700326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30A KR20170032685A (ko) 2015-09-15 2015-09-15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330A KR20170032685A (ko) 2015-09-15 2015-09-15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685A true KR20170032685A (ko) 2017-03-23

Family

ID=58496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330A KR20170032685A (ko) 2015-09-15 2015-09-15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3268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78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브릿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7188B1 (ko) * 2021-04-15 2021-09-01 안정환 견착식 태양광 패널 시스템
KR102306915B1 (ko) * 2021-04-15 2021-09-29 안정환 블라인드에 설치된 태양광 시스템
KR20220033767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자연숲 태양광 지붕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604A (ko) 2009-12-18 2011-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0604A (ko) 2009-12-18 2011-06-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커버를 구비하는 선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678A (ko) * 2018-07-19 2020-01-30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래싱브릿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33767A (ko) * 2020-09-10 2022-03-17 주식회사 자연숲 태양광 지붕 구조물
KR102297188B1 (ko) * 2021-04-15 2021-09-01 안정환 견착식 태양광 패널 시스템
KR102306915B1 (ko) * 2021-04-15 2021-09-29 안정환 블라인드에 설치된 태양광 시스템
KR102354981B1 (ko) * 2021-04-15 2022-02-08 유한회사 광명테크 견착식 태양광 패널 시스템
KR102354968B1 (ko) * 2021-04-15 2022-02-08 유한회사 광명테크 블라인드 부착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32685A (ko) 컨테이너 선용 태양광 패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선
US9061744B2 (en) Working system for floating structure, floating structure, working ship, and working method for floating structure
KR101701279B1 (ko) 태양광 발전장치를 갖는 컨테이너선
US11352100B2 (en) Container transportation ship
CN102395507B (zh) 船舶
KR101348358B1 (ko) 선박의 화물창
KR20110139349A (ko) 천연액화연료탱크를 가진 컨테이너선
CN103395477B (zh) 可组合式半潜船及组合式半潜船
CN103998338A (zh) 发射和回收装置
CN207302652U (zh) 海洋核动力平台的乏燃料发运系统
EP3299274A1 (en) Hybrid ship using wind-powered propulsive force as auxiliary
JP2007085403A (ja) バルクコンテナを用いた液化天然ガスの輸送方法
CN201309574Y (zh) 液化二氧化碳运输船
CN204871484U (zh) 一种罐式lng集装箱运输船
US9132892B2 (en) Floating vessel with tunnel
KR101348614B1 (ko) 액화연료가스 공급용 터미널 선박
KR101258924B1 (ko) 컨테이너 선박
KR101245750B1 (ko)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한 선박
US10081412B2 (en) Floating vessel with tank trough deck
KR20100031833A (ko) 이동항구
KR102098994B1 (ko) 액화가스 운반선
KR20150081882A (ko) 컨테이너선
KR20120138029A (ko) 선박 및 그 운용 방법
CN202728520U (zh) 一种活动平台用作谷物墙时的夹持机构
CN207302650U (zh) 海洋核动力平台新燃料接收和贮存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