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9004B1 -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9004B1
KR101099004B1 KR1020090021867A KR20090021867A KR101099004B1 KR 101099004 B1 KR101099004 B1 KR 101099004B1 KR 1020090021867 A KR1020090021867 A KR 1020090021867A KR 20090021867 A KR20090021867 A KR 20090021867A KR 101099004 B1 KR101099004 B1 KR 101099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tric
composition
licorice
ulcer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305A (ko
Inventor
조일환
권오억
안태군
박지혜
정영미
최낙현
성보현
김영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사이그린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사이그린,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사이그린
Priority to KR1020090021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9004B1/ko
Priority to RU2011141504/15A priority patent/RU2500416C2/ru
Priority to CN2010800139052A priority patent/CN102365091A/zh
Priority to MYPI2011004325A priority patent/MY160409A/en
Priority to BRPI1009105A priority patent/BRPI1009105A2/pt
Priority to CN201410474873.6A priority patent/CN104248666A/zh
Priority to PCT/KR2010/001450 priority patent/WO2010104309A2/ko
Priority to UAA201112018A priority patent/UA99685C2/ru
Publication of KR20100103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9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9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3Bupleur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호(Bupleuri Radix), 황련(Coptidis Rhizoma), 및 감초(Glycyrrhizae Radix)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그리고 그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위장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점막 손상과 관련된 위장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정도로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천연 물질로 이루어져 인체에 독성이 거의 없고 재발의 위험이 거의 없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 스트레스, 흡연, 또는 약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a gastrointestinal disease}
본 발명은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종래 위장질환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생약 성분을 복합적으로 포함하여 효과가 현저히 향상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위는 음식물을 소화시키기 위해 강산인 위산을 분비하는데, 이때 점막 보호층이 위산에 의해 위 점막이 손상되지 않도록 작용한다. 여러 종류의 요인에 의해 위산의 분비가 항진되거나 위 점막 보호층이 손상되었을 때 미란, 발적, 출혈, 부종을 동반한 염증이 발생하게 되며, 이 염증성 병변이 위 점막에 한정되어 발생할 때를 위염이라 하며, 손상이 심하여 위 점막을 뚫고 점막 하 조직과 근육층까지 손상되었을 때 이를 위궤양이라 한다. 또한, 위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십이지장도 비슷한 요인에 의해 염증과 십이지장궤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위궤양과 십이지장궤양을 소화성궤양으로 통칭하고 있다.
위염 및 위궤양 유발 원인은 크게 위산분비 과다 등 공격인자의 병적 과잉에 의한 것과 위산에 의한 공격으로부터 위 점막세포를 보호하는 방어인자의 약화로 나눌 수 있다. 위궤양 치료제는 공격인자의 억제제와 방어인자의 증강제로 개발,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인 공격인자로서 위산, 펩신, 알코올과 흡연, 스트레스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의 감염 등이 알려져 있다. 방어인자의 약화 요인으로는 위 점막의 구조나 형태의 결손, 점액분비의 감소, 중탄산이온 분비의 감소,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의 저하 등을 들 수 있다.
공격인자로 인해 유발된 위와 십이지장의 염증 및 궤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위산분비 억제, 점액분비 촉진, 위 점막 상피세포 재생촉진,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균의 증식억제 및 항염증 약물의 투여 등이 필요하다. 가장 대표적인 위염 및 위궤양 치료제로는 제산제(antacid), 산분비 억제 목적의 H2 저해제(H2-receptor antagonist; H2-RA)와 프로톤 펌프 저해제(proton pump inhibitor; PPI) 및 위 점막 보호제 등의 약물이며,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를 제거할 목적으로 이들 약물과 항생제의 병용처방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위산분비 억제제들은 약물투여 종료 후 높은 재발률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Drug Intell. Clin. Pharm., 21: 493, 1987; Gut, 30: 449, 1989; Yale J. Biol. Med., 65: 649, 1992], 장기간 투여하는 경우, 약물이 체내에 축적되어 투약을 중단하여도 약효가 지속되거나, 투약에 의해 위벽이 두꺼워지는 등의 다소간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위산분비억제를 목적으로 H2 저해제와 프로톤펌프 저해제만을 사용할 경우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있어 가장 문제가 되는 병변의 재발을 억제할 수 없고 만성질환으로 진 행될 경우 장기간 복용이 불가능하다.
위점막 보호제는 이러한 속효성의 위산분비 억제제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점막조직을 정상과 유사한 정도로 재생하는 약물로 알려져 있고(Folia Pharmacol. Japan, 92: 389, 1988), 위염 치료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러나, 위점막 보호제는 속효성이 적고 복용량이 많으며, 비교적 장기간 복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소화성 궤양의 치료제가 다양한 계열의 약물로 개발되어 있으며 각각의 약물을 이용한 여러 치료전략이 제시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근본적으로 소화성 궤양의 상처부분을 아물게 하는 직접적인 치유효과를 보이는 것은 아니다. 이들 약물은 다만 위산으로부터의 공격을 억제하여 상처를 악화시키지 않게 유지하는 역할만을 담당할 뿐, 궤양의 소멸은 결국 인체의 자연치유력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한계는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장기간의 약물투여가 필요하며 약물의 단기적 급성독성뿐만 아니라 만성독성 및 그로 인한 부작용도 고려되어야 좋은 치료제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소화성궤양의 치유기간을 단축하고 재발률을 낮출 수 있는 치료제의 개발이 절실한 상태이며, 이에 대한 대안으로 여러 생약 추출물이 위염치료제로서 개발가능성이 보고되었다.
한국특허공개 1996-0021054는 쑥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위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위장 질환 치료용 조성물은 스티렌정정으로 상업화되어 성공적인 천연물 위염 치료제로 판매 및 처방되고 있다.
시호(Bupleuri Radix)는 미나리과(Umbelliferae)의 다년생 초본인 시호(Bupleurum falcatum)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대한약전 9개정, 2007]로서 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어 근묘와 진흙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시호의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항염증, 해열, 이뇨, 항궤양, 진정 및 진경작용, 항병원체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황련(Coptis Rhizoma)은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의 다년생 초본인 황련(Coptis japonica)과 동속식물의 뿌리를 거의 제거한 뿌리줄기[대한약전 9개정, 2007]로서 가을에 채취하여 잎, 뿌리 및 진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서 코르크층을 제거하여 사용한다. 황련의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항염증, 항궤양, 항암, 항방사선, 항미생물 및 항병원충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감초(Glycyrrhizae Radix)는 콩과(Leguminosae)의 다년생 초본인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및 광과감초(Glycyrrhiza glabra)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주출경을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대한약전 9개정, 2007]으로서 가을에 뿌리를 캐서 줄기의 밑부분, 작은 가지,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적당한 길이로 잘라서 햇볕에 말린 것을 사용한다. 감초의 주요 약리작용으로는 광범위한 해독작용, 항이뇨, 진해거담, 항염증, 항알레르기, 항위궤양, 및 보간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은 항궤양 작용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서 사용할 정도로 충분한 효과를 가지지 못하였으며,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위 또는 십이지장의 점막 손상에 의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개발이 필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우수한 효과를 갖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 연구한 결과,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경우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할 경우에 비해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정도의 현저한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약의 조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효과적인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호(Bupleuri Radix), 황련(Coptidis Rhizoma), 및 감초(Glycyrrhizae Radix)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 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종래에 항궤양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던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을 조합한 결과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에 있어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정도의 현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시호(Bupleuri Radix), 황련(Coptidis Rhizoma), 및 감초(Glycyrrhizae Radix)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에서 시호, 황련, 및 감초는 그 조합되는 비율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시호 100 중량부에 대해 황련 10-30 중량부, 감초 10-3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구성하는 생약들은 당업계에서 자명하게 동속에 해당한다고 여겨지고,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동속생약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은 생약의 용매 추출물로서 조성물에 함유될 수도 있고, 생약 자체의 분쇄물, 건조 생약의 분쇄물 등으로 함유될 수 있는 등 그 함입 형태나 방법에 있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생약의 용매 추출물은 상기 각각의 생약을 별도로 또는 함께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추 출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용매로는 C1-C4 알코올, 아세톤,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C1-C4 알코올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을 예시할 수 있으며,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시호, 황련, 및 감초의 용매 추출물은 생약 추출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실온(25℃)의 추출온도에서 10 내지 80시간, 바람직하게는 2일 내지 3일 동안 열수추출, 냉침추출, 환류냉각추출 또는 초음파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냉침추출로 1회 내지 5회 연속하여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리하여 얻어진 용매 추출물은 감압여과하고 그 여과추출물을 진공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실온(25℃)에서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시킴으로써 최종 추출물로서 얻을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적이며, 상기 위장질환은 위장 및 십이지지장의 점막 손상에 의한 것으로 알려진 모든 위장질환을 포함한다. 상기 위장질환은 알코올, 흡연, 스트레스, 약물,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각종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위장질환을 유발하는 약물로는 대표적으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스테로이드제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는 대표적으로 인도메타신, 디클 로페낙,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멜록시캄, 나프록센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이러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는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랫트에게 투여하고 알코올, 수침구속,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s)에 의해 위궤양이 유발시킨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투여군(대조군)에 비해 투여군에서 위에서의 궤양지수가 현저히 작게 나타났으며, 종래의 생약 위장질환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스티렌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위장질환의 예방효과가 입증되었다. 또한, 초산에 의해 위조직의 직접적인 궤양을 유발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장기적으로 투여한 다음 항궤양 작용 및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한 점막재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비투여군(대조군)에 비해 투여군에서 위장질환 치료 지표가 현저히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종래의 생약 위장질환 치료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스티렌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위장질환의 치료효과가 입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시호, 황련, 및 감초 중에서 2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시호, 황련, 또는 감초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투여한 경우와 비교한 결과, 각각의 투여군을 동일한 용량으로 투여시 본 발명에 따른 2가지 이상의 생약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가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단독으로 투여할 경우에 비해 랫트에 대한 위 손상 억제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나 위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있어서 상승적인 작용을 갖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에서도 특히 시호, 황련, 및 감초 3 가지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는 시호, 황련, 또는 감초 각각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서도 상승작용을 가질 뿐만 아니라, 2 가지 생약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해서도 상승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 매우 오랫동안 사용되면서 안전성이 입증된 생약을 포함하고 있어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위장질환의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하거나, 장기간의 치료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의약품을 제공한다.
상기 의약품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한 각종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의약품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약제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경구투여제제, 주사제, 좌제, 경피투여제제, 및 경비투여제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제화되어 투여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유제, 시럽제, 에어로졸, 또는 엑스제와 같은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제형으로 제제화 시, 각각의 제형의 제조에 필요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부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경구 투 여용 제형으로 제제화 시 상기 담체로서 희석제, 활택제, 결합제, 붕해제, 감미제, 안정제, 및 방부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제로는 향료, 비타민류, 및 항산화제 중에서 1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및 첨가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것은 모두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솔비톨, 자일리톨,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또는 탈크, 결합제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또는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다. 또한, 붕해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나트륨, 폴라크릴린칼륨, 또는 크로스포비돈, 감미제로는 백당, 과당, 솔비톨, 또는 아스파탐, 안정제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백납, 또는 잔탄검,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솔빈산칼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 이외에도 공지의 첨가제로서 미각을 돋구기 위하여, 매실향, 레몬향, 파인애플향, 허브향 등의 천연향료, 천연과즙, 클로로필린, 플라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과 같은 감미성분, 또는 구연산, 구연산 나트륨과 같은 산미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제 중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 등이 있다. 비수성용제, 현탁제의 제조를 위해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 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61, 카카오지, 라우린지, 또는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위장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효과적으로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그 구성생약의 혼합비를 적절하게 가감할 수 있으며,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생약 성분을 0.01-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약품은,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기 조성물의 유효성분을 용매 추출물의 건조분말을 기준으로 0.01-10 g/kg/일, 바람직하게는 1-5 g/kg/일을 1 일 1 회 내지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며,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 식이, 배설율, 현재 복용중인 다른 약물에 따라 적절히 증감하여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은 유효량의 범위를 고려하여 제조하도록 하며,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 제제는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 회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건강기능식품의 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 다른 일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2008년 개정된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통하여 새롭게 정의된 인체에 대한 기능성 및 안전성이 충분하게 확립되어 식품의약품안전청 식약청 고시 제2008-72호에 규정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에 관한 규정에 수재된 건강기능식품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은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건강보조식품은 예를 들어 산제, 과립제, 정제, 환제, 캅셀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침제, 액제, 엑스제, 껌, 차, 젤리, 또는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제조에 당해 기술분야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임의의 담체 또는 첨가제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구성하는 생약 성분을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음료로서 제조될 경우 100 mL를 기준으로 0.1 내지 30g,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g의 비율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음료는 생약성분 이외의 다른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음료에 사용되는 다양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단당류(예: 포도당, 과당 등), 이당류(예: 말토즈, 수크로즈 등), 다당류(예: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와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 함유될 수 있다. 또한,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예: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등) 및 합성 향미제(예: 사카린, 아스파탐 등)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음료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의약품 및 건강보조식품은 활성성분으로 함유되는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동시에 투여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조성물의 위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투여할 수도 있다.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투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활성성분을 별개의 분리된 제형으로 제제화하면 된다.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동시에 투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하나의 제형에 균일하게 혼합된 형태로 제제화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된 제형으로 제제화 한 다음 투여 용법을 동시에 투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함으로써, 위장 또는 십이지장 궤양의 점막 손상과 관련된 위장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당업자가 예측할 수 없는 정도로 현저한 효과를 가지며, 천연 물질로 이루어져 인체에 독성이 거의 없고 재발의 위험이 거의 없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알코올, 스트레스, 흡연, 또는 약물 등에 의해 유발되는 각종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의약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 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3: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의 단독 생약 추출물 제조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시호, 황련 및 감초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생약을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분쇄기로 잘 분쇄한 상태의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 200g 씩을 취하고 각각에 대해 80% 에탄올 수용액 400mL 씩을 가하고 실온에서 3 일간 냉침하는 과정을 2회 실시하여 각각의 액상 추출물을 획득하였다. 그 각각의 액상 추출물을 여과한 후 진공회전농축기(rotary evaporator)로 50℃에서 감압농축하고 진공오븐에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건조시킨 후에 분말화하여 최종적으로 각각 시호 추출물 31g(비교예 1), 황련 추출물 36g(비교예 2), 및 감초 추출물 48g(비교예 3)의 에탄올 건조엑스를 획득하였다.
실시예 1-3: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2가지 조합의 추출물의 제조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시호, 황련 및 감초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생약을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분쇄기로 잘 분쇄한 상태의 시호 및 황련을 각각 780g 및 180g(실시예 1), 시호 및 감초를 각각 780g 및 180g(실시예 2), 그리고 황련 및 감초를 각각 500g씩(실시예 3) 추출기에 넣고 각 조합의 생약에 80% 에탄올 수용액 2 L씩을 가하여 상기 비교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각각의 에탄올 건조엑스 시호-황련 추 출물 165g(실시예 1), 시호-감초 추출물 192g(실시예 2) 및 황련-감초 추출물 210g(실시예 3)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4: 시호, 황련 및 감초의 혼합 추출물의 제조
한약재상에서 건조된 시호, 황련 및 감초를 구입하여 물로 세척하여 협잡물을 제거하고 잘 건조된 상태의 생약을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하였다.
분쇄기로 잘 분쇄한 상태의 시호 및 황련을 시호 6.5kg, 황련 1.5kg 및 감초 1.5kg을 추출기에 넣고 20L의 8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고 상기 실시예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시호-황련-감초 추출물 1.6 kg의 에탄올 건조엑스를 획득하였다.
실험예 1 : 알코올-유발 위 손상의 억제효과 시험(1)
150mM HCl용액으로 제조한 60% 에탄올을 위 손상 유발인자로 사용한 랫트모델 실험을 수행하여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의 위 점막 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에탄올은 위 점막에 대한 직접 자극에 의해 출혈과 점막하 근육층에 부종을 유발시켜 일시적인 허혈상태를 발생시킴으로써 세포의 괴사를 유발시키고, 점막 내 ATP 양의 감소 및 미세혈액순환의 정체가 일어나도록 하며, 또한 염산이 위장 운동을 항진시켜 급성 위염을 유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정 병원체 부재(SPF)인 7 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Charles River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70~280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그룹 당 5 마리씩 되도록 구분한 후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20 시간 동안 절식한 실험동물에게 각각의 추출물을 100 mg/kg 또는 200 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하고 1 시간 후에 150 mM HCl 용액으로 제조한 60% 에탄올을 마리당 1 mL씩 경구투여하고 1시간 동안 위 손상이 유발되도록 하였다. 약물투여 1 시간 후에 CO2로 질식시켜 랫트를 희생시킨 후에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용액으로 고정하고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펼친 후, 육안으로 위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하고 위궤양지수를 산출하였다.
먼저, 비교예 1-3에서 제조된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의 추출물들과 실시예 1-3의 2가지 생약의 복합추출물, 그리고 실시예 4의 시호, 황련 및 감초 모두를 포함하는 복합 추출물을 시험군으로 하여 알코올성 급성위염에 대한 약효를 비교하였다. 대조군으로 물을 투여하였으며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위 점막 육안관찰 결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1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2
상기 표 1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3과 같은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2 가지 이상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가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향궤양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실시예 4에서와 같은 시호, 황련, 및 감초 모두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는 시호, 황련 및 감초 각각의 단일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 뿐만 아니라 2 가지 이상의 복합 추출물을 투여한 경우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향궤양 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호, 황련, 및 감초 중 2 가지 이상의 생약 복합 추출물이 위장 질환에 대해 현저한 예방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알코올-유발 위 손상의 억제효과 시험(2)
상기 실험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의 약효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랫트에게 투여하였고, 비교예 4로서 스티렌정(애엽추출물 60mg, 동아제약)을 랫트에게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물을 각각 투여하여 약효를 비교하였다. 실험 방식은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그 실험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위 점막 육안관찰 결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3
상기 표 2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이 에탄올에 의해 손상된 위 점막에 대해 현재 위장질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스티렌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위장질환의 예방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수침구속-유발 스트레스성 위 손상의 억제효과 시험
스트레스성 위 손상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침구속모델에 의한 약효시험을 수행하였다. 스트레스에 의해 미주신경이 흥분되면 위산분비의 항진, 위 운동 항진, 혈류장애 등의 원인에 의해 위 점막 손상이 유발된다.
특정 병원체 부재(SPF)인 7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Charles River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70~280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그룹 당 5마리씩 되도록 구분한 후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20시간 동안 절식한 실험동물에게 약물을 경구투여하고 30분 후에 스트레스 케이지(stress cage)에 넣어 검상돌기가 물에 잠기도록 물속에 넣고 수온을 21±1℃로 유지하며 8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CO2로 질식시켜 랫트를 희생시킨 후에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고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펼친 후,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하여 위궤양 지수로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시험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였고, 비교예로서 스티렌정(애엽추출물 60mg, 동아제약)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물을 각각 투여하여 약효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위 점막 육안관찰 결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4
상기 표 3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이 수침구속에 의해 손상되는 위 점막에 대해 현재 위장질환 치료용으로 사용되는 스티렌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능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유발 위 손상의 억제효과 시험(1)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의 생합성을 억제하여 위점막의 손상을 유도한다. 이러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의한 위 손상의 예방 및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클로페낙(diclofenac) 투여에 의한 위 손상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특정 병원체 부재(SPF)인 7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Charles River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70~280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그룹 당 5마리씩 되도록 구분한 후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약효시험을 수행하였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의한 급성 위 손상의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20시간 동안 절식한 실험동물에게 약물을 경구투여하고 1시간 후에 디클로페낙을 50mg/kg로 경구투여하여 6시간 동안 방치시켜 위 손상을 유발하였다. CO2로 질식시켜 랫트를 희생시킨 후에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고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펼친 후,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하여 위궤양지수로 평가하여 기록하였다. 또한, 위 손상을 관찰한 결과를 촬영한 사진은 도 1a 및 도 1b와 같다.
시험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였고, 비교예로서 스티렌정 (애엽추출물 60mg, 동아제약)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물을 각각 투여하여 약효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위 점막 육안관찰 결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5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이 디클로페낙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위 점막 손상에 대해 현재 위장질환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스티렌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치료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a 및 도 1b의 사진으로부터, 디클로페낙에 의해 손상된 위벽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 및 비교예 4(스티렌정)을 투여함으로써 위 손상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위 손상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4: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유발 위 손상의 억제효과 시험(2)
또 다른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에 의한 위 손상의 예방 및 억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도메타신(indomethacin) 투여에 의한 위 손상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약물을 6일간 1일 1회 경구투여 후, 24시간 동안 절식시킨 다음 인도메타신을 70mg/kg의 농도로 복강투여하고 7시간 동안 위 손상을 유발하였다. CO2로 질식시켜 랫트를 희생시킨 후에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고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펼친 후,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하여 위궤양지수로 평가하여 기록하였고 각 시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NO(nitric oxide), SOD(Superoxide dismutase) 및 EGF(Epidermal Growth Factor)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험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였고, 비교예로서 스티렌정 (애엽추출물 60mg, 동아제약)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물을 각각 투여하여 약효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위 조직을 고정하여 파라핀 절편을 제조하고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그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5] 인도메타신 유발 급성 위 손상 예방효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6
상기 표 5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이 인도메타신 복강투여에 의해 유발되는 위 점막 손상에 대해 현재 위장질환 치료제로서 사용되는 스티렌정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예방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의 사진으로부터, 정상군(A)에 비해 인도메타신 투여에 의해 손상된 위벽(B)이 비교예 1(C, D)과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E, F)을 투여함으로써 위 손상이 예방됨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은 위 손상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억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5: 초산유발 아만성 위염의 치료효과
초산에 의해 위조직의 직접적인 궤양을 유발시킨 후, 장기적인 약물투여에 의해 항궤양작용 및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한 점막재생 효과의 측정이 가능하며, 이 모델은 육안적 궤양병변 소실 후 4~5개월 이후에 높은 빈도로 궤양재발이 관찰되는 임상적 의미의 만성 위궤양과 유사성이 매우 높고 만성질환인 위궤양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데도 유용한 모델이다.
특정 병원체 부재(SPF)인 7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를 Charles River로부터 구입하여 1주일 간의 순화기간을 거친 후 체중이 270~280g인 건강한 랫트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 그룹 당 5마리씩 되도록 구분한 후 물을 자유로이 섭취할 수 있는 상태에서 비절식 하에 에테르로 마취하여 개복하고 위를 노출시킨 후에 마이크로리터 주사기를 사용하여 초산 50 L를 선위부 유문쪽의 장막하 조직층 안으로 주입하고 복부를 면사로 봉합한다. 3 일간 궤양을 유도한 다음 약물을 14일간 1일 1회 경구투여 하고, 최종 투여 후 24 시간 절식한 다음 CO2로 질식시켜 랫트를 희생시킨 후에 위를 적출하여 1%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고 대만부를 따라 절개하여 펼친 후, 육안으로 위 손상을 관찰하고 위궤양의 길이를 측정하여 위궤양지수로 평가하여 기록하였고 각 시험동물의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 NO, SOD 및 EGF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시험군으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투여하였고, 비교예 로서 스티렌정(애엽추출물 60mg, 동아제약)을 투여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물을 각각 투여하여 약효를 비교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위 조직을 고정하여 파라핀 절편을 제조하고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그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6] 초산 유발 아만성 위염의 치료효과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7
상기 표 6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이 초산에 의해 유발된 아만성 위 점막 손상에 대해 우수한 치료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의 사진으로부터, 정상군(A)에 비해 초산에 의해 손상된 위벽(B)이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E, F) 및 비교예 1(C, D)을 투여함으로써 위 손상이 예방됨을 확인할 수 있고, 실시예 4의 생약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인 위 손상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 인되었다.
제제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경구투여용 정제를 습식과립법 및 건식과립법을 이용하여 과립을 제조한 후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8
제제예 2: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09
제제예 3: 연고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연고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0
제제예 4 : 주사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주사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1
제제예 5 :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액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2
제제예 6 : 산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으로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3
제제예 7 : 환제의 제조
100 mL의 꿀을 가열한 후 여과하고 다시 가열한 후 여과하기를 서너 차례 반복한 후, 손으로 문질러 보아서 점성이 있고 황사(黃絲)가 생기며 냉각된 후에도 손에서 끈적거리지 않게 될 때까지 가열한다. 꿀 대신 물, 호두유 및 식초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뜨거운 꿀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 5g을 첨가하여 반죽한 후 상기 반죽을 인공 혹은 제환기를 이용하여 균등한 크기의 환으로 성형하여 환제를 제조한다. 제조된 환제는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서 건조시킨 후 음냉한 곳에서 밀폐저장하여 보관한다.
제제예 8 : 현탁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 0.1g을 현탁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또는 폴리소르베이트 80와 함께 100mL의 물에 교반, 혼합시키고 감미제로서 사카린 나트륨, 시럽, 백당, 벌꿀, 또는 D-만니톨을 혼합하여 통상의 현탁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현탁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9 : 경피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경피제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4
제제예 10 : 츄잉껌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츄잉껌을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5
제제예 11 : 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음료를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6
제제예 12 : 사탕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사탕을 제조한다.
Figure 112009015512849-pat00017
20%의 생약 추출물 및 80%의 결정 락티톨의 혼합물을 정제수로 희석하고 소스펜에 둔다. 모든 물질이 가용화될 때까지 배치를 먼저 고온 플레이트상에서 가열하고, 이어서 배치를 진공조리기로 옮기고 추가로 가열한다. 형성된 블랜드는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점성의 매쓰를 형성한다. 이어서 시럽을 조리기에서 후판으로 옮기고 낙하 롤링을 위해 적합한 조직이 형성될 때까지 경화시킨다. 경화된 매쓰를 낙하 롤러를 통해 공급한다. 일단 각인된 사탕은 허용되는 품질을 가진다.
제제예 13 : 술(주정)의 제조
시호 650g, 황련 150g 및 감초 150g을 잘 씻은 후 추출용기에 넣고 물 10,000mL을 가하여 100℃에서 약 3시간 동안 달여 농축시켜 추출액을 얻는다. 그와 별도로 쌀 4kg으로 만든 중미, 전통누룩 1kg 및 주모 5k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상기 추출액을 붓고 10 ~ 25ㅀC에서 약 3일간 발효시킨다. 발효액을 여과하여 액 상부분과 고형부분을 분리하고 55 ~ 60ㅀC로 가열한 후 여액에 정제수를 가하여 10,000mL로 조절하여 주제로 제조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물이 디클로페낙에 의해 유발된 위 손상의 억제효과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물이 인도메타신 복강투여에 의해 유발된 위 손상을 예방하는 효과를 조직염색을 통해 관찰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생약 추출물이 초산에 의해 유발된 아만성 위 손상을 치료하는 효과를 조직염색을 통해 관찰한 사진들이다.

Claims (9)

  1. 시호(Bupleuri Radix), 황련(Coptidis Rhizoma), 및 감초(Glycyrrhizae Radix)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둘 이상의 생약을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수술후궤양, 및 위점막의 미란, 출혈, 발적,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호 100 중량부에 대해 황련 10-30 중량부, 감초 10-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호, 황련, 및 감초는 각각 생약 자체의 분쇄물, 생약의 건조 분쇄물, 또는 물, C1-C4 알콜, 및 이들이 조합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용매의 조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장질환은 알코올, 흡연, 스트레스, 약물, 또는 이들이 조합에 의해 유발되는 위 또는 십이지장의 점막 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졸링거-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수술후궤양, 및 위점막의 미란, 출혈, 발적, 및 부종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의약품.
  7. 제 6 항에 있어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액제, 에어로졸, 엑스제, 주사제, 경피 투여제, 또는 좌제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약품.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또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9. 제 8 항에 있어서, 액제, 현탁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엑스제, 차, 젤리, 또는 음료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090021867A 2009-03-13 2009-03-13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099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67A KR101099004B1 (ko) 2009-03-13 2009-03-13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RU2011141504/15A RU2500416C2 (ru) 2009-03-13 2010-03-09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CN2010800139052A CN102365091A (zh) 2009-03-13 2010-03-09 用于预防或改善胃肠道疾病的组合物
MYPI2011004325A MY160409A (en) 2009-03-13 2010-03-09 Composition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gastrointestinal diseases
BRPI1009105A BRPI1009105A2 (pt) 2009-03-13 2010-03-09 composições para prevenir ou melhorar doenças gastrointestinais
CN201410474873.6A CN104248666A (zh) 2009-03-13 2010-03-09 用于预防或改善胃肠道疾病的组合物
PCT/KR2010/001450 WO2010104309A2 (ko) 2009-03-13 2010-03-09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AA201112018A UA99685C2 (ru) 2009-03-13 2010-03-09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или облегчения желудочно-кишеч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67A KR101099004B1 (ko) 2009-03-13 2009-03-13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305A KR20100103305A (ko) 2010-09-27
KR101099004B1 true KR101099004B1 (ko) 2011-12-28

Family

ID=4272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867A KR101099004B1 (ko) 2009-03-13 2009-03-13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KR (1) KR101099004B1 (ko)
CN (2) CN102365091A (ko)
BR (1) BRPI1009105A2 (ko)
MY (1) MY160409A (ko)
RU (1) RU2500416C2 (ko)
UA (1) UA99685C2 (ko)
WO (1) WO2010104309A2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7926A (zh) * 2012-06-12 2012-10-03 查迅 治疗溃疡性结肠炎的中药软膏及其制备方法
KR20120113186A (ko) * 2011-04-04 2012-10-12 정필구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42426A1 (ko) * 2012-09-11 2014-03-20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771A (ko) 2015-11-06 2017-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시호, 승마, 백작약 및 목향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47632A (ko) * 2020-05-29 2021-12-07 동성제약주식회사 안전성이 확보된 소화기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학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91B1 (ko) * 2010-05-06 2013-05-10 주식회사 사이그린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CN102600284A (zh) * 2011-01-21 2012-07-25 李艳娜 一种治疗慢性结肠炎、直肠炎的中药灌肠剂
CN102631432B (zh) * 2012-05-10 2013-09-11 黄炳炎 一种防治亚健康的中药组合物
CN103005063B (zh) * 2013-01-06 2014-02-12 江西省蚕桑茶叶研究所 一种金佛手袋泡茶
CN103223025A (zh) * 2013-05-21 2013-07-31 卫斌 一种治疗胃炎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3432276B (zh) * 2013-09-16 2015-03-25 河北科技师范学院 治疗仔猪急性副伤寒的中草药口服液
CN104622989A (zh) * 2015-01-15 2015-05-20 西安医学院 一种中药复方灭菌剂及其制备方法
KR102434265B1 (ko) * 2017-09-20 2022-08-19 밍츄 리 위궤양 치료용 한방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198B1 (en) 2001-01-28 2002-04-02 Gulf Pharmaceutical Industries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ulcers and hemorrhoid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78A (zh) * 1994-08-23 1995-08-16 路良宇 治疗胃肠炎、溃疡的药物和工艺
AU2003225372A1 (en) * 2002-04-12 2003-10-27 Pangenomics Co., Ltd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gastrointestinal dyskinetic diseases
CN1579485B (zh) * 2004-03-16 2010-04-28 南京师范大学 治疗肠功能紊乱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209340B (zh) * 2006-12-25 2010-09-08 上海中医药大学附属岳阳中西医结合医院 治疗胃食管反流病的中药组合物
CN101342282B (zh) * 2007-07-11 2011-08-10 深圳市齐旺投资有限公司 一种治疗胃病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0569263C (zh) * 2007-11-07 2009-12-16 北京中科雍和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治疗胃痛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5198B1 (en) 2001-01-28 2002-04-02 Gulf Pharmaceutical Industries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the treatment of gastrointestinal ulcers and hemorrhoids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APS PharmSciTech. Vol.6(1):E74-E82 (2005)*
Biol. Pharm. Bull. Vol. 24(11): 1277-1281 (2001)*
Phytotherapy Research. Vol.20(4):256-262 (2006)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3186A (ko) * 2011-04-04 2012-10-12 정필구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06773B1 (ko) 2011-04-04 2016-03-28 정필구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2697926A (zh) * 2012-06-12 2012-10-03 查迅 治疗溃疡性结肠炎的中药软膏及其制备方法
WO2014042426A1 (ko) * 2012-09-11 2014-03-20 씨제이제일제당 (주)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53771A (ko) 2015-11-06 2017-05-17 한국콜마주식회사 시호, 승마, 백작약 및 목향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210147632A (ko) * 2020-05-29 2021-12-07 동성제약주식회사 안전성이 확보된 소화기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학 조성물
KR102428859B1 (ko) 2020-05-29 2022-08-04 동성제약주식회사 안전성이 확보된 소화기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경구투여용 약학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1009105A2 (pt) 2016-03-08
MY160409A (en) 2017-03-15
WO2010104309A9 (ko) 2011-02-24
WO2010104309A2 (ko) 2010-09-16
RU2500416C2 (ru) 2013-12-10
CN104248666A (zh) 2014-12-31
UA99685C2 (ru) 2012-09-10
RU2011141504A (ru) 2013-04-20
KR20100103305A (ko) 2010-09-27
CN102365091A (zh) 2012-02-29
WO2010104309A3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9004B1 (ko)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0927101B1 (ko) 산겨릅나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살리드로사이드를포함하는 위염 및 소화성 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63191B1 (ko) 위장관 운동 장애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2002298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고요산혈증 또는 고요산혈증 관련 대사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690582B (zh) 一种含石斛多糖和苍术硬脂的组合物及其应用
KR101964054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878436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소화성 궤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20140033998A (ko) 사이코사포닌 a, 베르베린 및 리코이소플라본 b를 포함하는 위장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369931B2 (ja) 抗肥満剤
JP6980791B2 (ja) 胃炎または消化性潰瘍予防または治療用組成物
WO2014133286A1 (ko) 한인진 및 울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5492B1 (ko) 증숙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디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14922B1 (ko) 감초 유래 글라블리딘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화기능 개선용 조성물
KR102302045B1 (ko) 엉겅퀴 및 양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06426B1 (ko) 강황 추출물을 함유한 위염, 위궤양 예방 및 치료를 위한조성물
KR20120089045A (ko) 새콩 분말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및 당뇨합병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
CN111920908A (zh) 一种治疗消化性溃疡的药物组合物
KR20080088163A (ko) 호장근 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KR101816200B1 (ko) 한약재 유래의 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조성물
KR20160059152A (ko) 엉겅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31922B1 (ko) 수영 에탄올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2666751B1 (ko)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3728A1 (ko) 벌사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0998B1 (ko) 결명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19974B1 (ko) 감초 및 노랑민들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코올성 위장관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