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5300B1 -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5300B1
KR101095300B1 KR1020100006521A KR20100006521A KR101095300B1 KR 101095300 B1 KR101095300 B1 KR 101095300B1 KR 1020100006521 A KR1020100006521 A KR 1020100006521A KR 20100006521 A KR20100006521 A KR 20100006521A KR 101095300 B1 KR101095300 B1 KR 101095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lock plate
fixed
gear
le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068A (ko
Inventor
신용희
권윤회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00006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5300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5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5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로크플레이트가 고정플랜지에 내접되었다가 해제되는 동작을 통하여 자동차 시트백의 고정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가 소개된다.
상기 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어 비회전되는 고정플랜지(110); 상기 제1관통공(111)에 관통되며 시트백레버 조작시 회전되는 레버샤프트(120); 토션스프링(130);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내주면에 제2기어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함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나머지 반쪽을 이루는 회전플랜지(140);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면상에 평기어(151)가 형성된 로크플레이트(150);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평기어(151)가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기어부(112)와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만 치합되도록 하는 작동유닛(160);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를 결합하는 하우징(17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APPARATUS FOR AUTOMOBI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로크플레이트가 고정플랜지에 내접되었다가 해제되는 동작을 통하여 자동차 시트백의 고정 및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시트백이 전, 후방으로 각도 조절되도록 하는 리클라이닝 장치가 구비된다.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는 자동차의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 장착되어 측방으로 돌출되는 시트백레버를 작동함으로써 시트백이 각도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클라이닝 장치는 그동안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그 중 대표적인 예를 도시된 도 1, 2를 통해 살펴본다.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쿠션 프레임의 내측단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홀더(2)와, 시트백 프레임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어퍼투스브라켓(4)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작동자(5)와, 플레이트홀더(2)의 외측에서 작동수단으로 결합되는 샤프트(6)와, 작동레버 및 리턴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작동자(5)는 플레이트홀더(2)와 어퍼투스브라켓(4) 사이의 공간부에 삽입되어 어퍼투스브라켓(4)에 형성되는 기어치(10)와 연접 및 이탈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및 언리클라이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외측면에 기어치(11)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캠홈(13)과 캠라인(14)을 가지는 로크기어(12)가 구비된다.
상기 로크기어(12)는 샤프트(6)에 결합되는 캠레버(16)에 형성되는 캠(15)에 의하여 밀려지고 당겨져 기어치(10, 11)가 락킹 및 언락킹되도록 한다.
상기 캠레버(16)는 플레이트홀더(2)와 어퍼투스브라켓(4) 상단에 위치하는 레버스프링(8)에 의하여 복귀하도록 하고, 상기 캠레버(16)의 양측으로는 레버스프링(8)을 연결하기 위한 스프링핀(20)을 돌출시켜 형성한다.
상기 로크기어(12)에 형성되는 캠홈(13)과 일체로 캠(15)의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깊게 형성되는 걸림홈(21)을 형성하고, 캠레버(16)에 형성되는 캠(15)에는 걸림홈(21)과 치합할 수 있는 걸림돌기(22)를 형성하여 더욱 쉽게 락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상, 하 양방향으로 로크기어(12)가 기어치(10)와 치합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락킹시 안전성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고, 로크기어(12)의 기어치(10, 11)간의 정확한 밀착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하는 유격에 의하여 리클라이닝 해제시 소음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로크기어(12)와 어퍼투스브라켓(4)에도 리클라이닝 방향으로 더 큰 부하가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언리클라이닝 시 상당한 충격과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을 제공함으로서 리클라이닝 장치 자체의 내구성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시트백의 록킹과 언록킹 동작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로크플레이트 외주면 전체의 선택적인 기어결합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내구성이 개선되고 작동 신뢰성이 증대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어 비회전되며, 중심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기어부가 형성되어 반쪽을 이루는 고정플랜지; 상기 제1관통공에 관통되며 시트백레버 조작시 회전되는 레버샤프트; 상기 레버샤프트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중심에 상기 레버샤프트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와 함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나머지 반쪽을 이루는 회전플랜지; 상기 레버샤프트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면상에 평기어가 형성된 로크플레이트;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평기어가 상기 고정플랜지의 제1기어부와 회전플랜지의 제2기어부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로크플레이트가 상기 회전플랜지의 제2기어부에만 치합되도록 상기 로크플레이트에 축방향 외력을 제공하는 작동유닛; 상기 고정플랜지와 회전플랜지를 결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고정플랜지와 상기 로크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샤프트에 끼워져 무부하시 상기 로크플레이트가 고정플랜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회전플랜지에만 내접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레버샤프트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로크플레이트와 마주보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면서 돌출된 경사단차부가 형성된 컨트롤플레이트와; 상기 로크플레이트 상에서 상기 경사단차부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상기 경사단차부에 의해 상기 고정플랜지쪽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돌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제1기어부 깊이는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회전플랜지의 제2기어부 깊이는 상기 로크플레이트의 두께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샤프트 상에는 사각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중심부는 상기 사각플랜지 외표면에 끼워지도록 사각형태의 장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로크플레이트 전체가 고정플랜지와 치합되거나 치합 해제됨에 따라 회전플랜지의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이 수행되므로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되고 작동 신뢰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충돌시 발생하는 외력에 보다 안정적이며, 이러한 고강성을 바탕으로 전체 사이즈가 축소되므로 결국 제품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언록킹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서의 로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언록킹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서의 로크플레이트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크게 고정플랜지(110)와, 레버샤프트(120)와, 토션스프링(130)과, 회전플랜지(140)와, 로크플레이트(150)와, 작동유닛(160) 및 하우징(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플랜지(110)는 시트쿠션 프레임(미도시)의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결합 후 시트쿠션 프레임과 일체로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는 구성이며,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중심에는 소정직경을 갖는 제1관통공(1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기어부(11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기어부(112)는 내접용 평기어로 이루어져 있고,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할 회전플랜지(140)와 함께 내부에 다른 구성들이 내장되도록 수용공간이 형성되는바,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가 각각 전체의 대략 반쪽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레버샤프트(120)는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위해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시트백레버(미도시)와 연결되어 그 시트백레버 조작시 회전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관통공(111)에 상기 레버샤프트(120)의 일단부가 관통되어 고정플랜지(110) 밖으로 노출되며, 그 노출된 레버샤프트(120)의 일단부는 시트백레버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관통된 후 고정플랜지(110) 밖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확경부(121)가 상기 레버샤프트(120)의 축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는 후술할 토션스프링(130)이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사각플랜지(12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사각플랜지(122)와 토션스프링(130)과의 결합관계는 토션스프링(130)을 설명할 때 다시 하기로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130)은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타단이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토션력을 제공하여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회전된 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시트백레버를 조작한 후 손을 놓으면 원래의 위치로 시트백레버가 되돌아갈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토션스프링(130)은 태엽 형태로 감겨져 있는바, 상기 레버샤프트(120)의 일단은 그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고 타단은 외주면 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션스프링(130)의 일단이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고정되도록 상기 토션스프링(130)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버샤프트(120)의 사각플랜지(122) 외표면에 끼워져 미끄러지지 않고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이 저장되도록 사각형태의 장착부(1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130)의 타단은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내부 일측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고정되면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회전되면 상기 토션스프링(130)이 그 회전량만큼 원주방향으로 감겨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다가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레버샤프트(120)를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플랜지(140)는 자동차시트의 등받이를 이루는 시트백 프레임(미도시)의 회전 중심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시트백 프레임이 각도 조절을 위해 회동될 때 그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중심에는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관통되기 위한 제2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기어부(142)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2기어부(142)는 상기 제1기어부(112)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플랜지(14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나머지 반쪽을 이루어 그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로크플레이트(150)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가 이루는 내부 수용공간에 내장되면서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성이다.
상기 로크플레이트(150)는 상기 레버샤프트(120)의 회전과는 전혀 무관하게 끼워지며 단지 레버샤프트(12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만 한다. 즉,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회전되더라도 그 회전력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외주면 상에는 상기 제1기어부(112)와 대응되는 형태의 기어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기어부(112)가 평기어 형태이므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외주면에도 평기어(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기어(151)의 직경은 상기 제1기어부(112) 및 제2기어부(142)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제1기어부(112)의 깊이는 평기어(151)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제2기어부(142)의 깊이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두께와 같거나 커도 무방한데,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두께와의 관계에서 상기 제1기어부(112) 및 제2기어부(142)의 깊이를 이와 같이 설정하는 것은 도4 및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과 일체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플랜지(140)를 록킹시키거나 언록킹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록킹 또는 언록킹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설명이 끝난 후 뒤에서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다시 한다.
한편, 상기 작동유닛(160)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평기어(151)가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기어부(112)와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하거나(이때는 회전플랜지(140)의 록킹상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만 치합되도록(이때는 회전플랜지(140)의 언록킹상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 축방향의 외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동유닛(160)으로부터 제공된 외력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축방향 이동을 하게 되는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회전플랜지(140)가 록킹되거나 언록킹되어 시트백이 고정되거나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위한 회동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70)은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가 서로 맞대어져서 그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서로 각각의 반쪽을 이루도록 결합하는 구성인데, 여기서 결합의 의미는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를 붙인다는 뜻은 아니고 단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하면서 잡아두고 있다는 뜻이다. 따라서,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때 상기 회전플랜지(140)는 상기 하우징(170) 및 고정플랜지(110)와 접촉하면서 미끄러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유닛(160)은 다시 판스프링(161)과, 컨트롤플레이트(162)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 형성된 경사돌기부(16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판스프링(161)은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끼워지는데, 외부로부터 전혀 힘이 가해지지 않는 무부하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고정플랜지(11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회전플랜지(140)에만 내접되도록 한다.
상기 판스프링(161)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가운데는 오목한 반구 형태를 이루어 외력이 가해지면 납작해지지만 외력이 제거되면 원형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판스프링(161)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회전플랜지(140)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플레이트(162)는 상기 회전플랜지(140)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회전되면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상기 컨트롤플레이트(162)에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와 마주보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면서 표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돌출된 경사단차부(162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는 상기 경사단차부(162a)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상기 경사단차부(162a)에 의해 상기 고정플랜지(110)쪽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돌기부(163)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돌기부(163)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단차부(162a)와 동일한 위치와 개수로 형성되어,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162)의 경사단차부(162a)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경사돌기부(163) 위로 올라가 있는 상태가 되면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판스프링(16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기어부(112)와 내접되는데, 이때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제2기어부(142)와의 치합상태가 완전히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회전플랜지(140)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를 매개로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록킹된 상태가 되어 회전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회전되면 상기 컨트롤플레이트(162)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경사단차부(162a)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경사돌기부(163)로부터 내려오게 되고, 상기 판스프링(16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크플레이트(150)는 상기 회전플랜지(140) 쪽으로 이동하면서 제2기어부(142)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기어부(112)와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플랜지(140)는 고정플랜지(110)로부터 자유 상태가 되어 회전이 가능하므로 시트백 프레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10 : 고정플랜지 111 : 제1관통공
112 : 제1기어부 120 : 레버샤프트
122 : 사각플랜지 130 : 토션스프링
131 : 장착부 140 : 회전플랜지
141 : 제2관통공 142 : 제2기어부
150 : 로크플레이트 151 : 평기어
160 : 작동유닛 161 : 판스프링
162 : 컨트롤플레이트 162a : 경사단차부
163 : 경사돌기부 170 : 하우징

Claims (4)

  1.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어 비회전되며, 중심에 제1관통공(11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1기어부(112)가 형성된 고정플랜지(110);
    상기 제1관통공(111)에 관통되며 시트백레버 조작시 회전되는 레버샤프트(120);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10)에 타단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130);
    시트백 프레임에 결합되어 회전되며, 중심에 상기 레버샤프트(120)가 관통되는 제2관통공(141)이 형성되고 내주면에 제2기어부(142)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함께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회전플랜지(140);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외주면상에 평기어(151)가 형성된 로크플레이트(150);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평기어(151)가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기어부(112)와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하거나,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에만 치합되도록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에 축방향 외력을 제공하는 작동유닛(160);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회전플랜지(140)를 결합하는 하우징(170);을 포함하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160)은,
    상기 고정플랜지(110)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끼워져 무부하시 상기 로크플레이트(150)가 고정플랜지(110)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회전플랜지(140)에만 내접되게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161)과; 상기 레버샤프트(120)에 고정되어 일체로 회전되며,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와 마주보는 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이격되면서 돌출된 경사단차부(162a)가 형성된 컨트롤플레이트(162)와; 상기 로크플레이트(150) 상에서 상기 경사단차부(162a)에 대응되게 돌출되어 상기 경사단차부(162a)에 의해 상기 고정플랜지(110)쪽으로의 축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경사돌기부(16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110)의 제1기어부(112) 깊이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회전플랜지(140)의 제2기어부(142) 깊이는 상기 로크플레이트(150)의 두께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레버샤프트(120) 상에는 사각플랜지(122)가 형성되고, 상기 토션스프링(130)의 중심부는 상기 사각플랜지(122) 외표면에 끼워지도록 사각형태의 장착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00006521A 2010-01-25 2010-01-25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95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21A KR101095300B1 (ko) 2010-01-25 2010-01-25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21A KR101095300B1 (ko) 2010-01-25 2010-01-25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68A KR20110087068A (ko) 2011-08-02
KR101095300B1 true KR101095300B1 (ko) 2011-12-16

Family

ID=4492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21A KR101095300B1 (ko) 2010-01-25 2010-01-25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53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755A (ja) 1999-05-28 2000-12-0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836500B1 (ko) 2006-06-15 2008-06-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2008272001A (ja) 2007-04-25 2008-11-1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904369B1 (ko) 2009-01-14 2009-06-23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3755A (ja) 1999-05-28 2000-12-05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836500B1 (ko) 2006-06-15 2008-06-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2008272001A (ja) 2007-04-25 2008-11-1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904369B1 (ko) 2009-01-14 2009-06-23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68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743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690041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JP2008543387A (ja) メモリ付きディスク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239839B2 (ja) 乗物用シート
JP5961759B2 (ja) 調節可能な車両シート
US9371015B2 (en) Vehicle seat
CN107187357B (zh) 扶手锁定机构及带有扶手锁定机构的汽车座椅扶手
JP6711140B2 (ja) シート調節装置及び乗物用シート
CN108146301B (zh) 交通工具用座椅
JP6441048B2 (ja) 座席装置
KR101095301B1 (ko) 응답성이 개선된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453077B1 (ko) 차량용 직진 리클라이너
KR101095300B1 (ko) 자동차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JP6488155B2 (ja) ヘッドレスト
US10843589B2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4126755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91731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
KR101095299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56405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70633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KR100812232B1 (ko) 자동차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881860B1 (ko) 폴딩겸용 파워 리클라이너 유닛
JP4534068B2 (ja) ショルダーベルト付き自動車用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2024504311A (ja) 回転誤用防止装置及びシート
JP559478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