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682B1 -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682B1
KR101091682B1 KR1020050076641A KR20050076641A KR101091682B1 KR 101091682 B1 KR101091682 B1 KR 101091682B1 KR 1020050076641 A KR1020050076641 A KR 1020050076641A KR 20050076641 A KR20050076641 A KR 20050076641A KR 101091682 B1 KR101091682 B1 KR 101091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ion
route
destination
guide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6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2436A (ko
Inventor
김병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6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682B1/ko
Publication of KR20070022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2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0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transmitted instructions are used to compute a rou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76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using point of interest [POI] information, e.g. a route passing visible PO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79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 G01C21/3682Retrieval, searching and output of POI information, e.g. hotels, restaurants, shops, filling stations, parking facilities output of POI information on a road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 주변의 경로안내를 위한 안내좌표의 효율적인 생성 및 안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잘못된 경로안내(우회경로안내)를 수행하는 시스템적 한계를 극복하여 최종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운전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역(목적지)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역이 최종목적지인 경우에는 경로안내모듈이 안내좌표를 이용해 경로탐색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역이 최종목적지가 아닌 경우에는 중간목적지 도착판정모듈이 판단로직에 의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경로안내모듈 및 중간목적지 도착판정모듈이 경로탐색을 수행한 결과를 탐색경로표시 및 안내모듈에 표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을 제공한다.
경로안내모듈, 중간목적지 도착판정모듈, 탐색경로표시 및 안내모듈

Description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Method for guide and course search around station}
도 1은 역주변에 임의로 선정된 안내좌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안내좌표가 북쪽에 설정된 경우 및 노드중심에 설정된 경우의 경로안내 표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은 역에 대한 POI 좌표를 역 주변의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한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4는 도로형상이 바뀌어 교차점 중심노드의 좌표가 변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역을 중간목적지로 선정한 경우 중간목적지를 통과하지 않아도 목적지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표시하는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역을 중간목적지로 선정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판단로직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역 주변의 경로안내를 위한 안내좌표의 효율적인 생성 및 안내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잘못된 경로안내(우회경로안내)를 수행하는 시스템적 한계를 극복하여 최종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운전자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에 장착되는 사양들이 고급화되면서 네비게이션시스템을 장착한 차량들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시스템은 경로안내(route guidance)기능이 구비되어 있는데, 이 경로안내기능은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기 전에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지도상에서 목적지를 지정하면 자동적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주행 경로를 찾아 표시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목적지를 지정한 다음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을 시작하면 상기 주행 경로를 따라 차량이 주행되는 것이 지도상에 나타나고, 갈림길에서는 어느쪽 길을 선택해야하는지를 화면상에 미리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미리 알려주며, 상기 주행 경로를 벗어나면 다시 검색하여 현재 위치에서 기존에 정해진 목적지까지의 주행경로를 다시 표시한다
한편, 경로안내를 해주기 위해선 최종 목적지까지 안내해주기 위한 안내좌표가 필요하다.
즉, 안내좌표를 어느 지점에 선택해주느냐에 따라 최종 목적지까지 효율적으로 운전자를 유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안내좌표를 잘못 선정한다면 운전자가 가고자 하는 목적지와 정반대 도로로 안내를 한다든지, 전혀 다른 곳으로 안내를 하게 되어 오히려 더욱 혼란만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현재 개발된 차량항법시스템의 경우, 각 회사별로 안내 사양이 상이하고 이를 구현하는 로직 자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일 나라의 지역과 도로에 대해서 각각 다른 안내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같은 회사 제품이라 하더라도 차종의 그레이드나 항법장치의 고가, 저가에 따라 일관되지 않은 안내가 이루어지고 있다.
결과적으로 동일한 자동차 메이커의 경로안내 시스템은 차종별, 항법장치 종류별로 안내가 상이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오해와 불만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잘못 입력된 안내좌표의 경우는 실제로 그 곳을 가보지 않고서는 정확한 안내좌표인지 판단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는 왜 동일한 길에 대하여 제품에 따라 다른 경로안내 결과를 도출하는가에 대한 고객 불만을 야기한다.
특히, 역주변 같은 경우에 안내좌표를 잘못 입력하면 방향별로 각기 다른 경로안내를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우회하는 경로, 유턴(U-turn) 경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역주변에는 각각 출구가 여러 개 존재함에 따라 각 업체들마다 자기들 만의 경험으로 출구근처에 안내좌표를 정해놓는 실태이다.
따라서, 현 양산 시스템에서는 잘못된 경로 안내를 해주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역 주변의 안내좌표는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하여 관리하되, POI 데이터의 구성을 변화시켜 도로형상이 바뀜으로 인한 교차점 중심노드에 대한 좌표가 변하여도 항상 POI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게 하고, 목적지가 최종목적지가 아닌 중간목적지인 경우 별도의 판단로직에 의해 자차가 목적지 도착지역에 들어가게 되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함으로써, 역 주변의 안내좌표의 효율적인 생성 및 적용방법을 구현하고, 경로탐색시 및 중간목적지 설정 시에도 우회경로가 발생하지 않는 효율적이고 간단한 안내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은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역 주변 경로 탐색 및 안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역(목적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역이 최종목적지인 경우, 시스템 내의 안내좌표를 이용하여 탐색을 수행하는 경로안내 모듈에 따라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되,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시켜서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POI의 안내좌표는 노드가 존재하는 해당 맵 좌표 M_XY와 중심교차점 노드의 좌표 N_XY로 구성하여, 중심노드의 좌표가 변하게 되어도 항상 POI의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역(목적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역이 중간목적지인 경우, 시스템 내의 판단로직을 적용하여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되, 상기 판단로직이 자차의 위치가 교차점 중심노드로부터 인접 노드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일정한 반경의 목적지 도착 지역에 들어간 경우에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정하여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역주변에 임의로 선정된 안내좌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안내좌표가 북쪽에 설정된 경우 및 노드중심에 설정된 경우의 경로안내 표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3은 역에 대한 POI 좌표를 역 주변의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한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도로형상이 바뀌어 교차점 중심노드의 좌표가 변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5는 역을 중간목적지로 선정한 경우 중간목적지를 통과하지 않아도 목적지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표시하는 상태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역을 중간목적지로 선정한 경우 본 발명에 따 른 판단로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역 주변에서 발생하는 잘못된 경로안내(우회경로안내)를 수행하는 시스템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역 주변을 목적지로 선택하는 사람들은 역 주변까지만 차량을 유도해도 대부분 목적지에 도착했다고 판단을 할 것이다.
하지만, 역 주변의 경로안내 종료판단은 선정된 안내좌표를 통과해야지만 종료가 되므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 주변에 임의로 선정된 안내좌표인 경우에는 방향별로 서로 각기 다른 안내를 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혼란을 줄뿐 아니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좌표가 노드중심에 설정된 경우에는 직진경로를 제시하지만, 안내좌표가 북쪽에 설정된 경우 우회경로나 유-턴(U-turn) 하는 경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역 주변의 안내좌표(예를 들어 강남역을 사용자가 검색할 경우)는 POI(지형 지물 정보;Point Of Interest)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을 해서 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POI의 좌표는 1/8초 경위도좌표로 구성이 되어 있다. 하지만, 도로는 정규화좌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POI 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을 하기 위해서 먼저 경위도좌표를 정확하게 정규화좌표와 매칭해야 한다.
즉, 도, 분, 초의 분리된 좌표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기록의 편의성을 위해서 1/8초 단위로 환산해 경도와 위도를 기록한다.
경도(1/8초 단위 기록 값) = (경도도 × 60 × 60 × 8) + (경도분 × 60 × 8) + (경도초 × 8)
위도(1/8초 단위 기록 값) = (위도도 × 60 × 60 × 8) + (위도분 × 60 × 8) + (위도초 × 8)
그러나, 위와 같이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와 매칭을 해서 안내좌표를 사용하다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형상이 바뀌거나 하면 교차점 중심노드의 좌표는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중심노드에 매칭한 POI 안내좌표도 바뀌게 되므로, 차후에 역을 검색하여 경로탐색을 하게 되면 역 주변에서 우회하는 경로안내를 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각 교차점 중심노드와 POI 안내좌표에 대한 연결고리를 만들어야 한다.
즉, 기존의 POI 데이터에서는 안내좌표(상수값)를 그냥 저장함으로써, 도로형상이 바뀌어서 교차점 노드에 대한 좌표가 변화하게 되면 노드중심에 매칭한 POI 안내좌표는 쓸모가 없어지므로, 역 주변의 교차점 중심노드의 기록 데이터의 구성을 상수가 아닌 변수(주소)로 변화시켜 중심노드의 좌표가 변하게 되어도 항상 POI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게 만든다.
● 해당 역의 POI 데이터 구성의 변경
Figure 112005045968360-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안내좌표 데이터 검출 및 안내방법은 다음과 같다.
역에 대한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노드 중심에 선정하면 출발지가 어느 방향이어도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는 우회경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는 각 방향별로 보았을 때 안내좌표가 교차로 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그 중심만을 통과하기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는 목적지를 최종목적지로 설정했을 때에는 우회경로라든지 유-턴(U-turn) 경로가 발생하지 않는 직진경로를 제시하지만, 목적지를 중간목적지(통과점)로 선정하는 경우에는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심노드에 위치한 안내좌표가 중간목적지로 선정되는 경우에는 중간목적지를 통과해야지만 목적지에 도달했다고 판단하므로, 우회경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목적지를 꼭 통과하지 않아도 목적지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교통섬에 존재하는 우회전 차선을 이용하는 합리적인 경로 안내를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중심노드 및 주위의 노드를 하나로 보고 통합노드로 관리할 수가 있지만, 중심노드에 각 주위노드 정보를 따로 관리를 해야 하므로 DB(데이터 베이스) 구축 및 관리가 매우 복잡하다.
그러므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판단 로직을 생성하여 시스템에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판단 로직은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목적지 지역(Area)에 자차 위치가 들어간 경우,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정하고, 경로안내를 제시한다. 여기서, L은 중간목적지와 목적지 인접노드 사이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6a는 L이 100m이상인 경우 목적지 도착으로 판정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하고, 도 6b는 L이 100m미만인 경우 목적지 도착으로 판정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한다.
이때, 목적지 도착 지역(AREA)은 반경이 100M인 원이다.
본 발명에 따른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역주변 경로안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① 사용자는 가고자하는 역(N)을 선택한다.
② 상기 단계에서 선택한 역이 최종목적지인지를 판단한다.
③ 상기 단계에서 선택한 역이 최종목적지인 경우에는 경로안내 모듈에서 시스템 내의 맵 데이터 베이스(안내좌표)를 이용해 탐색을 수행하여 탐색경로표시 및 안내모듈로 탐색경로를 표시한다.
④ 선택한 역이 중간목적지인 경우 판단로직을 적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중간목적지 도착판정 모듈을 이용하여 교차점 중심노드로 부터 인접노드 거리를 이용한 안내판단을 수행한다. 즉, 목적지 지역에 자차 위치가 들어간 경우 목적지에 도착으로 판정을 하고 경로안내를 탐색경로표시 및 안내모듈에 표시한다.
따라서, 역 주변의 안내좌표는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하여 관리하되, POI 데이터의 구성을 변화시켜 도로형상이 바뀜으로 인한 교차점 중심노드에 대한 좌표가 변하여도 항상 POI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게 하고, 목적지가 최종목적지가 아닌 경우 판단로직에 의해 자차가 목적지 도착지역에 들어가게 되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함으로써, 역 주변의 안내좌표의 효율적인 생성 및 적용방법을 구현하고, 경로탐색시 우회경로를 제시하지 않는 효과적인 탐색방법을 제시하고, 중간목적지 설정 시에도 우회경로가 발생하지 않는 효율적이고 간단한 안내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의하면, 역 주변의 안내좌표는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하여 관리하되, POI 데이터의 구성을 변화시켜 도로형상이 바뀜으로 인한 교차점 중심노드에 대한 좌표가 변하여도 항상 POI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게 하고, 목적지가 최종목적지가 아닌 경우 판단로직에 의해 자차가 목적지 도착지역에 들어가게 되면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단하여 경로안내를 제시함으로써, 역 주변의 안내좌표의 효율적인 생성 및 적용방법을 구현하고, 경로탐색시 및 중간목적지 설정 시에도 우회경로가 발생하지 않는 효율적이고 간단한 안내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Claims (4)

  1.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역 주변 경로 탐색 및 안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역(목적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역이 최종목적지인 경우, 시스템 내의 안내좌표를 이용하여 탐색을 수행하는 경로안내 모듈에 따라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되, POI의 안내좌표를 교차점 중심노드에 매칭시켜서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OI의 안내좌표는 노드가 존재하는 해당 맵 좌표 M_XY와 중심교차점 노드의 좌표 N_XY로 구성하여, 중심노드의 좌표가 변하게 되어도 항상 POI의 안내좌표는 노드좌표를 가리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3.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역(목적지)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역이 중간목적지인 경우, 시스템 내의 판단로직을 적용하여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되, 상기 판단로직이 자차의 위치가 교차점 중심노드로부터 인접 노드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일정한 반경의 목적지 도착 지역에 들어간 경우에 목적지에 도착한 것으로 판정하여 탐색경로를 표시하고 안내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 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4. 삭제
KR1020050076641A 2005-08-22 2005-08-22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KR101091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41A KR101091682B1 (ko) 2005-08-22 2005-08-22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6641A KR101091682B1 (ko) 2005-08-22 2005-08-22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36A KR20070022436A (ko) 2007-02-27
KR101091682B1 true KR101091682B1 (ko) 2011-12-08

Family

ID=43654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6641A KR101091682B1 (ko) 2005-08-22 2005-08-22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1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6127B1 (ko) * 2007-07-25 2009-07-07 (주)에어포인트 일체형 적응형 귀환 예측 소거기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시분할 이중화 무선중계 장치
CN102387464A (zh) * 2010-08-26 2012-03-21 研深电机工业有限公司 使用行动电话定位系统的到站提示系统
CN107883974B (zh) * 2017-09-30 2020-08-28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导航路径的规划方法、导航服务器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983A (ja) 2001-11-16 2003-05-21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JP2003182578A (ja) 2001-12-16 2003-07-03 Navitime Japan Co Ltd 最適経路探索装置、最適経路探索方法
JP2005127854A (ja) 2003-10-23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48983A (ja) 2001-11-16 2003-05-21 Zenrin Co Ltd 電子地図データおよび経路探索装置
JP2003182578A (ja) 2001-12-16 2003-07-03 Navitime Japan Co Ltd 最適経路探索装置、最適経路探索方法
JP2005127854A (ja) 2003-10-23 2005-05-19 Nissan Motor Co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2436A (ko) 2007-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6326B2 (en) Position registering apparatus, position registering method, position register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1995557B1 (en) Position registration device, route search device, position registration method, position regist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20060271285A1 (en) Navigation device
US20090234572A1 (en) Surrounding Search Data Generating System, Surrounding Search System, Surrounding Search Data Generating Method, Surrounding Search Method, and Navigation Apparatus
JP4461041B2 (ja) 案内経路生成装置、車両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案内経路生成方法
US20090143979A1 (en) Position registering apparatus, route retrieving apparatus, position registering method, position register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3969373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7032654A (ja) 情報案内システム、情報案内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550926B2 (ja) 経路探索装置、経路探索方法、経路探索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7657369B2 (en) Navigation device for a vehicle, method for producing data for a search,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a guided route
JP4115910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代替経路発生告知方法
KR20060050695A (ko) 네비게이션 장치 및 캘린더 정보 데이터
KR101091682B1 (ko) 역주변 경로탐색 및 안내방법
JP3897967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5599737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高速道路走行時案内情報表示方法
JP430518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0038860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施設検索方法
JP2005214783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施設マーク表示方法
US8560226B2 (en) Navigation device and navigation method
JP3414923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経路誘導方法
JP2006221123A (ja) 経路提示装置及び方法
JP2009002885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32350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交通情報表示方法
JPH1134435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6446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情報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