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0891B1 -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891B1
KR101090891B1 KR1020090068226A KR20090068226A KR101090891B1 KR 101090891 B1 KR101090891 B1 KR 101090891B1 KR 1020090068226 A KR1020090068226 A KR 1020090068226A KR 20090068226 A KR20090068226 A KR 20090068226A KR 101090891 B1 KR101090891 B1 KR 101090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unit
inspection
hole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887A (ko
Inventor
이기선
Original Assignee
(주)케이비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비알 filed Critical (주)케이비알
Priority to KR1020090068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8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01M13/04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1/00Bearings for parts which both rotate and move linearly
    • F16C31/04Ball or roller 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6Crack, flaws, fracture or rupture
    • G01N2203/0062Crack or flaws

Abstract

본 발명은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볼을 자중에 의해 순서대로 공급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볼을 순서대로 이송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볼의 양품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그리고, 상기 검사부에서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구분된 상기 볼을 각각 구별하여 적재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볼, 크랙, 검사부

Description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A Ball Crack Automatic Testing device for a Ball Beearing}
본 발명은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 베어링용 볼의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산업장에서의 대형 설비에서 단독 구동장치에 이르기까지 모든 구동부에는 구동작동을 가능토록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의 사용목적은 상당히 광범위하다. 또한, 상기 베어링의 종류도 다양하며, 그 중 볼 베어링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볼 베어링에는 여러개의 볼이 사용되며, 상기 볼은 사용 전에 검사를 하게 된다. 상기 볼을 종래에는 작업자가 평평한 작업대에 올려놓고, 밝은 빛 하에서 굴려가면서 일일이 개별적으로 양품여부를 눈으로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각각의 볼을 일일이 개별적으로 작업자가 검사하면, 작업자의 능력에 따라 작업속도와 작업정확도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볼을 일관적으로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인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는, 볼을 자중에 의해 순서대로 공급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볼을 순서대로 이송하는 로딩부와, 상기 로딩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볼의 양품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그리고, 상기 검사부에서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구분된 상기 볼을 각각 구별하여 적재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로딩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그리고, 가장자리에 상기 볼이 걸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볼이 삽입되는 검사홀이 마련되고, 상기 검사홀의 가장자리에 센서가 마련되는 검사유닛; 그리고, 상기 검사홀의 하방에서 상기 볼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볼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1롤러유닛과, 상기 볼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2롤러유닛; 그리고, 상기 제 1롤러유닛과 상기 제 2롤러유닛을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이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격유닛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 1롤러유닛의 몸체에 형성되는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공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 1롤러유닛이 상기 제 2롤러유닛에서 이격되고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볼 베어링용 볼의 투입부터 검사 후 양품과 불량품이 검사하여 각각 별개로 구분시키는 과정을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작업공정이 정확하게 이루어져, 작업정확도가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용 볼 검사 장치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을 자중에 의해 순서대로 공급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급부(10) 와, 상기 공급부(10)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볼(B)을 순서대로 이송하는 로딩부(20)와, 상기 로딩부(20)로부터 이송된 상기 볼(B)의 양품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30)와, 상기 검사부(30)에서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구분된 상기 볼(B)을 각각 구별하여 적재하는 선별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장치에는 공급부(10)가 마련된다. 상기 공급부(10)는, 검사할 대상인 볼(B)을 아래에서 설명될 검사부(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부(10)는 상기 볼(B)을 검사부(30)로 안내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며,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B)의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볼(B)이 자중에 의해 검사부(30)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0)의 끝단 즉, 상기 하향 경사진 공급부(10)의 말단에는 로딩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기 공급부(10)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볼(B)을 하나씩 개별적으로 검사부(3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로딩부(20)는 상기 볼(B)을 검사부(30)로 안내하는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딩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딩부(20)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B)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22a)이 형성되는 베이스(22)와, 상기 베이스(22)의 상면에 구비되어, 가장자리에 상기 볼(B)이 걸릴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홈(24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24a)이 상기 관통공(22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회전체(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로딩부(20)에는 베이스(22)가 마련된다. 상기 베이스(22)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된 턱(22b)이 구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22b)은 상기 베이스(22) 상의 볼 (B)이 상기 베이스(2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턱(22b)에는 안내홀(22c)이 마련된다. 상기 안내홀(22c)은 상기 공급부(10)의 말단과 연통되어, 상기 공급부(10)를 통하여 안내되는 상기 볼(B)이 상기 베이스(22)로 안내되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22)에는 관통공(22a)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a)은 아래에서 설명될 검사부(30)의 검사홀(32a)에 대응되도록 검사홀(32a)의 상방에 형성된다. 즉, 상기 볼(B)은 상기 베이스(22)의 관통공(22a)을 통하여 검사홀(32a)로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2)의 상방에는 회전체(2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체(24)는, 모터(미도시)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베이스(22)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되는 다수개의 홈(24a)이 마련된다. 상기 홈(24a)에는 상기 볼(B)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홈(24a)의 이동경로 중 일측의 하방에는 상기 관통공(22a)이 마련된다. 이는 상기 홈(24a)과 상기 턱(22b)에 의해 가이드되는 상기 볼(B)이 상기 관통공(22a)을 통하여 검사부(30)로 안내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회전체(24)의 측면 일측에는 로딩센서(26)가 마련된다. 상기 로딩센서(26)는, 상기 회전체(24)의 회전을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회전체(24)의 가장자리에는 구간마다 피감지부(26a)가 마련되어, 상기 로딩센서(26)가 상기 피감지부(26a)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회전체(24)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면서 상기 회전체(24)의 회전을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20)의 하방에는 검사부(30)가 마련된다. 상기 검사부(30)는, 상기 로딩부(20)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볼(B)의 외부표면의 불량여부를 판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사부(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구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사부(30)는, 상기 볼(B)이 삽입되는 검사홀(32a)이 마련되고 상기 검사홀(32a)이 가장자리에 센서(32b)가 마련되는 검사유닛(32)과, 상기 검사홀(32a)의 하방에서 상기 볼(B)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롤러부(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검사부(30)에는 검사유닛(32)이 마련된다. 상기 검사유닛(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22)의 관통홀(22b) 아래에 형성되는 검사홀(32a)에 안착되는 볼(B)의 표면을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검사유닛(32)에는 상기 볼(B)이 안착될 수 있도록 검사홀(32a)이 마련되고, 상기 검사홀(32a)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볼(B)의 외부표면을 센싱할 수 있는 센서(32b)가 마련된다. 상기 센서(32b)에서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어, 상기 볼(B)의 외부표면이 불량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검사홀(32a)의 하방에는 롤러부(34)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부(34)는, 상기 검사홀(32a)에 안착되는 상기 볼(B)의 외부표면이 전체적으로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볼(B)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롤러부(34)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부(34)는, 상기 볼(B)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볼(B)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2롤러유닛(37)과,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을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이격유닛(3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롤러부(34)에는 제 1롤러유닛(36)과 제 2롤러유닛(37)이 마련된다.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B)을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면서, 서로 접근 및 이격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에는 각각 상기 볼(B)의 하방에서 밀착되는 롤러(36a, 37a)와, 상기 롤러(36a, 37a)를 회전시키는 모터(38)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을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이격유닛(39)이 마련된다. 상기 이격유닛(39)은,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볼(B)의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제 1롤러유닛(36)과 상기 제 2롤러유닛(37)이 이격되어, 상기 검사가 완 료된 볼(B)을 하방으로 안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격유닛(39)은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유닛(39)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9a)와, 상기 모터(39a)의 회전축(39b)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39b)과 이격되어 상기 제 1롤러유닛(36)의 몸체에 형성되는 통공(36b)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39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39a)의 회전축(39b) 일단에는 샤프트(39c)가 마련된다. 상기 샤프트(39c)는, 상기 회전축(39b)의 중심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39b)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39c)의 일단은 상기 제 1롤러유닛(36)의 몸체에 형성되는 타원형의 통공(36b)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모터(39a)의 회전축(39b)이 회전할 때, 상기 샤프트(39c)가 상기 제 1롤러유닛(36)의 통공(36b)과 연동되어, 상기 제 1롤러유닛(36)이 상기 제 2롤러유닛(37)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격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30)의 하방에는 선별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선별부(40)는, 상기 검사부(30)에서 검사가 완료된 상기 볼(B)들이 양품인지 불량품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을 불량과 양품으로 분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별부(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해 여러가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검사홀(32a) 하방에 마련되어 진행방향으로 하향경사져 상기 볼(B)을 안내하는 제 1유로(42)와, 상기 제 1유로(42)의 연통되어 상기 볼(B)들 중 양품을 안내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2유로(44)와, 상기 제 1유로(42) 및 상기 제 2유로(44)와 연통되어 상기 볼(B)들 중 불량품을 안내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제 3유로(46)와, 상기 제 2유로(44)와 상기 제 3유로(46)로 상기 볼(B)을 선택적으로 안내하는 스위치(4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유닛(32)의 센서(32a)에서 수신된 정보를 기초로, 제어부에서 모터(미도시)에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스위치(48)에 의해 상기 제 1유로(42)와 제 2유로(44)를 연통시킬 지 제 3유로(46)를 연통시킬 지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각의 모터와 센서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10)에는 호퍼부(5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호퍼부(50)는 상기 공급부(10)로 상기 볼(B)이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퍼부(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0)로 유입되는 상기 볼(B)이 소정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승강부(52)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부(52)는 호퍼가이드(54) 내에 적재되어 있는 상기 볼(B)을 하나씩 순서대로 상기 공급부(1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승강부(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 상기 볼(B)이 안착되는 홈(56a)이 마련되어, 상기 호퍼가이드(54)의 하방에 적재되는 상기 볼(B)을 하나씩 상승시키는 회전판(56)과, 상기 회전판(56)을 회전시키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57)와, 상기 회전판(56)을 따라 상승한 상기 볼(B)이 상기 공급부(10)로 안내되도록 상기 호퍼가이드(54)에 형성되는 관통공(5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호퍼가이드(54)에 적재되는 상기 볼(B)이, 자중에 의해 상기 회전판(56)의 하단으로 밀착되고, 상기 회전판(56)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56)의 홀(56a)에 상기 볼(B)이 하나씩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56)이 회전하면서, 상기 볼(B)도 회전하고, 상기 회전판(56)의 홈(56a)이 상기 관통공(58)에 위치될 때, 상기 볼(B)은 자중에 의해 상기 공급부(10)로 안내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호퍼부(50)의 호퍼가이드(54)에 검사하고자 하는 볼(B)을 적재한다. 상기 볼(B)들은 상기 호퍼가이드(54)를 따라 자중에 의해 하단으로 안내되고, 하단의 승강부(52)에 상기 볼(B)들은 밀착된다.
그리고, 작업자가 제어부를 조작하면, 상기 승강부(52)의 모터(57)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력이 발생하고, 회전판(56)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56)의 홀(56a)에 상기 볼(B)들이 자중에 의해 삽입되어, 상기 회전판(56)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회전판(56)을 따라 상승된 상기 볼(B)들은 관통공(58)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관통공(58)에서 상기 볼(B)들은 자중에 의해 공급부(10)로 안내된다.
상기 공급부(10)로 안내된 상기 볼(B)들은 자중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이동하 게 되고, 상기 공급부(10)의 말단에 있는 로딩부(20)로 안내된다.
상기 볼(B)은 상기 로딩부(20)에 마련되는 베이스(22)의 안내홀(22c)을 따라 회전체(24)의 홈(24a)으로 순서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부(20)로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고, 상기 회전체(24)가 회전하면, 상기 홈(24a)에 상기 볼(B)이 순서대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4)는 회전하면서, 상기 베이스(22)의 관통공(22a)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관통공(22a)에서 상기 회전체(24)의 홈(24a)에 삽입된 상기 볼(B)이 자중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상기 베이스(22)의 관통공(22a)을 통하여 하강된 상기 볼(B)은 검사부(30)의 검사홀(32a)에 삽입된다. 상기 검사홀(32a)에 삽입된 상기 볼(B)은 검사홀(32a)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센서(32b)에 의해 상기 볼(B)의 외부표면이 센싱되어 제어부로 그 정보가 전송된다.
한편, 상기 검사부(30)에서 상기 볼(B)을 검사하고 있을 때, 상기 회전체(24)가 동작하지 않도록, 상기 로딩센서(26)는 상기 회전체(24)의 동작여부를 신호로서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여 동작여부를 제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검사부(30)의 하방의 롤러부(34)의 모터(38)에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롤러부(34)의 각각의 롤러(36a, 37a)가 회전한다. 그러면, 상기 볼(B)이 회전하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검사부(30)의 센서(32b)는 상기 볼(B)의 전면을 센싱하여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볼(B)의 검사가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는 이격유닛(39)이 동작 하도록 한다. 상기 이격유닛(39)의 모터(39a)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모터(39a)가 회전하고, 상기 모터(39a)의 회전축(39b)에 연동되는 샤프트(39c)가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39c)에 제 1롤러유닛(36)의 통공(36b)이 연동하여, 상기 제 1롤러유닛(36)이 제 2롤러유닛(37)에서 이격되면서, 상기 볼(B)이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볼(B)은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볼(B)의 검사 정보에 의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볼(B)이 불량인지 양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볼(B)이 양품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별부(40)의 스위치(48)에 인가하여, 제 1유로(42)와 제 2유로(44)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볼(B)은 상기 제 1유로(42)와 제 2유로(44)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양품수거함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B)이 불량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선별부(40)의 스위치(48)에 인가하여, 제 1유로(42)와 제 3유로(46)가 연통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볼(B)은 상기 제 1유로(42)와 제 3유로(46)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불량품수거함으로 자중에 의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 검사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호퍼부와 공급부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공급부와 로딩부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로딩부와 검사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검사부를 보인 사시도.
도 6a는 도 5의 검사부를 구성하는 롤러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b는 도 5의 검사부를 구성하는 롤러부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a는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선별부를 보인 평면도.
도 7b는 도 1의 볼 베어링 검사 장치를 구성하는 선별부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공급부 20: 로딩부
22: 베이스 24: 회전체
26: 로딩센서 30: 검사부
32: 검사유닛 34: 롤러부
36: 제 1롤러유닛 37: 제 2롤러유닛
38: 모터 39: 이격유닛
40: 선별부 42: 제 1유로
44: 제 2유로 46: 제 3유로
48: 스위치 50: 호퍼부
52: 승강부 54: 호퍼가이드
56: 회전판 57: 모터
58: 관통공

Claims (5)

  1. 볼을 자중에 의해 순서대로 공급되는 진행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공급부;
    상기 공급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기 볼을 순서대로 이송하는 로딩부;
    상기 로딩부로부터 이송된 상기 볼의 양품여부를 검사하는 검사부; 그리고,
    상기 검사부에서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구분된 상기 볼을 각각 구별하여 적재하는 선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검사부는,
    상기 볼이 삽입되는 검사홀이 마련되고, 상기 검사홀의 가장자리에 센서가 마련되는 검사유닛; 그리고,
    상기 검사홀의 하방에서 상기 볼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구성되는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볼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1롤러유닛;
    상기 볼을 하방에서 회전시키는 제 2롤러유닛; 그리고,
    상기 제 1롤러유닛과 상기 제 2롤러유닛을 선택적으로 접근 또는 이격시키는 이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격유닛은,
    전원을 인가받아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축과 이격되어, 상기 제 1롤러유닛의 몸체에 형성되는 통공에 일단이 삽입되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통공은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할 때, 상기 제 1롤러유닛이 상기 제 2롤러유닛에서 이격되고 접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그리고,
    가장자리에 상기 볼이 걸릴 수 있도록 다수개의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회전가능한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90068226A 2009-07-27 2009-07-27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KR101090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226A KR101090891B1 (ko) 2009-07-27 2009-07-27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226A KR101090891B1 (ko) 2009-07-27 2009-07-27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87A KR20110010887A (ko) 2011-02-08
KR101090891B1 true KR101090891B1 (ko) 2011-12-08

Family

ID=43771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226A KR101090891B1 (ko) 2009-07-27 2009-07-27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08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76176B (zh) * 2013-01-15 2016-07-06 五邑大学 一种连杆大头滚针轴承性能检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48A (ja) * 2000-04-11 2001-10-26 Nippon Steel Corp 球状体外観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96248A (ja) * 2000-04-11 2001-10-26 Nippon Steel Corp 球状体外観検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887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643020U (zh) 一种电磁流量计用永磁体的分选装置
CN107777293A (zh) 一种可进行分拣的输送带系统
CN109775212B (zh) 一种测试生产线
KR101572570B1 (ko) 베어링 케이지 검사장치
CN113358078B (zh) 轴承尺寸检测系统
JP5314174B2 (ja) エンコーダの製造装置、外輪シールの製造装置、及びエンコーダシール製造装置
CN109404425A (zh) 一种圆柱滚子轴承全自动装配生产线
KR101056350B1 (ko) 이동 방향 자동 전환 시스템
KR101336651B1 (ko) 회전형 프로브를 이용한 너트 내주면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101090891B1 (ko)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CN109382329B (zh) 一种方板尺寸和重量检测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672320B (zh) 轴承的自动化检测设备
KR100792679B1 (ko) 안티록브레이크시스템 센서 내장 베어링의 검사 장치
CN108445082B (zh) 圆柱滚子自动检测装置
CN106696473B (zh) 一种自动分拣式激光打标机
CN106290400A (zh) 一种应用于板的检孔方法及检孔设备
KR102064495B1 (ko) 볼 베어링 불량선별을 위한 회전식 검사장치
CN207375240U (zh) 一种可进行分拣的输送带系统
KR101336652B1 (ko) 너트 내주면 검사 장치
CN101769855A (zh) 一种皮带撕裂检测装置
WO2017068534A1 (en) A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sorting products, in particular fruit and vegetable products
CN208350666U (zh) 外观检测设备
KR20170030757A (ko) 기판이송장치의 가이드롤러
KR101159518B1 (ko) 볼 베어링용 볼 표면 자동 검사 장치 및 시스템
KR100993952B1 (ko) 강구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