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952B1 - 강구 테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강구 테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952B1
KR100993952B1 KR1020080075980A KR20080075980A KR100993952B1 KR 100993952 B1 KR100993952 B1 KR 100993952B1 KR 1020080075980 A KR1020080075980 A KR 1020080075980A KR 20080075980 A KR20080075980 A KR 20080075980A KR 100993952 B1 KR100993952 B1 KR 100993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ball
unit
steel
roller
b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826A (ko
Inventor
권내형
전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멥스
Publication of KR2010000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13Arrangements for scanning
    • G01N27/9026Arrangements for scanning by moving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93Arrangements for supporting the sensor; Combinations of eddy-current sensors and auxiliary arrangements for marking or for rejecting

Abstract

본 발명은 강구를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강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전류 분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강구 테스트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를 이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강구 이송부와, 강구의 흠결을 감지하는 강구의 흠결 감지부와, 강구를 분류하는 강구 분류부를 포함한다.
강구, 테스트

Description

강구 테스트 장치{Device for testing ball bearing}
본 발명은 강구를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강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전류 분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강구 테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의 표면 또는 강구의 내부에 흠결이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 하는 장치이다. 강구는 강철로 이루어진 구로서, 모든 기계장치에 기본적으로 사용되며, 강구 내부가 비어있거나 또는 내부에 균열이 있게 되면, 기계장치가 고장나는 것은 물론 인명피해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강구의 외부 뿐만 아니라 내부의 흠결도 정밀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를 측정함에 있어서 자주 고장이 나고 안정적으로 동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쉽게 고장이 나지않고 안정적으로 강구를 테스트 하는 장비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서, 강구를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강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전류 분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강구 테스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를 회전시키면서 강구의 흠결을 검사하는 강구의 흠결 감지부; 및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검사결과에 따라 강구를 분류하는 강구 분류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강구 테스트 장치는, 상기 강구 흠결 감지부로 강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동시키는 강구이송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강구의 흠결감지부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강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 구동부는 제1모터 구동부와 제2모터 구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2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는 상기 강구를 지지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자기장을 인가한 후, 상기 인가한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와류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에서 자기장을 인가받는 강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강구 회전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자기장을 인가한 후, 상기 인가한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와류 전류 감지부; 및 제1모터 구동부, 제2모터 구동부, 상기 제1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 상기 제2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강구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가 상기 강구에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강구를 지지하도록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형성된 전류 분포를, 강구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는 ECT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강구 테스트 장치는, 상기 ECT 로부터 판단결과를 받으면,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서로 이격시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강구가 상기 강구 분류부 측으로 하강하도록,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이격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구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롤러가 고정되는 제1베이스; 및
상기 제2롤러가 고정되는 제2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이격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형 구동부; 및
상기 제2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 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과 상기 홀이 정렬되면,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에 있는 강구가 상기 홀 형성부의 홀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홀 형성부의 홀로 이동된 강구는 상기 강구 분류부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 이송하는 제2 강구 이송부; 및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로 강구를 이송하는 제1 강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과 상기 홀이 정렬되면,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에 있는 강구가 상기 홀 형성부의 홀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홀 형성부의 홀로 이동된 강구는 상기 강구 분류부로 이동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 이송하는 제2 강구 이송부; 및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로 강구를 이송하는 제1 강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 이송부는, 상기 제2 강구 이송부의 홈으로 강구를 제공되도록, 강구를 이동시키며 일단부가 상기 홈과 정렬된 가이드레인; 및 상기 가이드레인의 타단부 에서 상기 홈과 정렬된 일단부 방향으로 강구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를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강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전류 분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강구 테스트 장치(1)는, 강구 투입부(100), 강구 적재부(200), 강구 제1이송부(300a, 300b), 강구 제2이송부(400a, 400b),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500b, 600a, 600b) 및 강구 분류부(700)를 포함한다.
강구 테스트 장치(1)는 ECT(Eddy current test)라는 장치로부터 자기장을 공급받고, 공급받은 자기장에 의해 강구에 형성되는 와류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며, 감지한 와류 전류의 분포에 대한 정보를 ECT(3)로 제공한다. ECT(3)는 와류 전류의 분포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강구의 흠결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강구 테스트 장치(1)로 전송하며, 이 판단결과에 따라서, 강구 분류부(700)는 흠결이 있는 강구와 흠결이 없는 강구를 분류한다. 강구 겉표면 또는 강구의 속에 흠결이 있는 경우, 정상적인 강구에 형성되는 와전류와 대비할 때, 흠결이 있는 강구에 형성되는 와류전류의 분포가 달라진다.
ECT(Eddy current test)는 강구의 흠결을 판단하기 위해서 자기장을 발생하고, 그 자기장에 의해 강구에 유도되는 와류 전류의 분포에 따라서 강구의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알려져 있는 장치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평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배면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강구 테스트 장치(1)는, 강구 투입부(100), 강구 적재부(200), 강구 제1이송부(300), 강구 제2이송부(400),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 600) 및 강구 분류부(7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강구 테스트 장치는 2개의 강구 테스트 장치가 구현된 예이다. 즉, 강구 투입부(100)로부터 투입된 강구들은, 강구 적재부(200)에서 2개 그룹으로 나뉘어 지며 이렇게 나뉘어진 강구들은 각각 강구 제1이송부(300a, 300b)로 이동된다. 이는 강구 적재부(200)에 구비된 경사부(201)에 의해 2개 그룹으로 나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강구 적재부(200)에는 강구가 배출될 수 있는 배출구가 2개 구비되고 각각의 배출구로 배출된 강구는 강구 제1 이송부(300a, 300b)로 이동된다.
강구 제1이송부(300a, 300b) 중, 일 방향으로 이송된 강구는 강구 제2이송 부(400a)로 이동되고, 강구 제2이송부(400a)로 이동된 강구들은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로 이동되며,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에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류 전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강구 분류부(700a)는 정상 강구들과 비정상 강구들을 분류한다.
또한, 강구 제1이송부(300a, 300b) 중, 타 방향으로 이송된 강구는 강구 제2이송부(400b)로 이동되고, 강구 제2이송부(400b)로 이동된 강구들은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b, 600b)로 이동되며,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b, 600b)에서 강구에 형성되는 와류 전류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강구 분류부(미도시)는 정상 강구들과 비정상 강구들을 분류한다.
여기서, 도 4에는 강구 분류부(700)는,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가 감지된 강구들 중에서 정상 또는 비정상 강구들을 분류하는 강구 분류부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b, 600b)가 감지한 강구들 중에서 정상 강구 또는 비정상 강구들을 분류하는 강구분류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강구분류부(700)와 구조가 동일하게 미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에서는 강구 제1이송부(300a, 300b), 강구 제2이송부(400a, 400b),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500b, 600a, 600b) 및 강구 분류부(700) 등을 각각 2개씩 구비함으로써 강구의 정상 또는 비정상을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의 경우와 달리, 강구 제1이송부, 강구 제2이송부, 강구의 흠결 감지부 등을 하나씩만 구비하더라도 본원 발명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다. 이처럼, 강구 제1이송부, 강구 제2이송부, 강구의 흠결 감지부등을 하나 만 구비하는 경우, 강구 적재부는 강구를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사부(201)가 없어도 무방할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2와 도 3에서, 강구가 도면번호 100 --> 200 --> 300a --> 400a --> (500a, 600a) --> 700으로 이동시켜 강구를 테스트하는 라인을 a라인이라고 하고, 강구가 100 --> 200 --> 300b --> 400b --> (500b, 600b) --> 강구분류부(미도시)으로 이동시켜 강구를 테스트하는 라인을 b라인이라고 한다. a라인과 b라인은 상호 대칭적인 구조로서 완전 동일하지만, 경우에 따라 a라인과 b라인은 완전 동일할 필요가 없으며,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도 내에서 a라인과 b라인이 서로 달라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서, 강구 제1이송부가 도면번호 300 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는 경우는, 강구 제1이송부가 300a 또는 300b 인 경우로서 특별히 구별될 실익이 없는 때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강구 제1이송부(300)"라고 언급하는 경우에는, 강구 제1이송부(300a) 또는 강구 제1이송부(300b)를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본원 명세서에서, 강구 제2이송부가 도면번호 400 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는 경우는, 강구 제2이송부가 400a 또는 400b 인 경우로서 특별히 구별될 실익이 없는 때에 사용된다. 예를 들면, "강구 제2이송부(400)"라고 언급하는 경우에는, 강구 제1이송부(400a) 또는 강구 제1이송부(400b)를 의미한다. 다른 구성요소들, 예를 들면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 600)도 마찬가지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a라인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가 강구를 테스트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강구는 강구 투입부(100)로 가장 먼저 투입되고, 투입된 강구들은 소정의 과정을 거쳐서 강구 적재부(200)로 적재된다. 적재된 강구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많은 강구들일 수 있지만, 반드시 복수일 필요는 없다.
강구 적재부(200)에 적재된 일부 강구들은, 강구 제1이송부(300a)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구 적재부(200)의 하단에 강구 제1이송부(300a)가 위치되어 있을 수 있다. 강구는, 강구 적재부(200)에 형성된 강구 배출부(203a)를 통해서, 강구 제1이송부(300a) 측으로 낙하된다. 강구 제1이송부(300a)는 강구들을 하나씩 순차적으로 강구 제2이송부(400a)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1이송부(300a)는 모터(301)를 구비하며, 그 모터에 의해 강구들이 강구 제2이송부(400a)로 이동된다.
강구 제2이송부(400a)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구 제1이송부(300a)와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강구 제1이송부(300a)로부터 이동되는 강구들을 하나씩 받아서,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 측으로 하나씩 이동시킨다.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는, 강구에 자기장을 인가하고, 인가한 자기장에 의해 강구에 형성되는 와류 전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a, 600a)는, 와류 전류 감지부(500a)와 강구 회전부(600a)를 포함한다.
강구 회전부(600a)는 2개의 롤러를 포함하며, 이 2개의 롤러 위에 강구가 위치된다. 2개의 롤러가 회전되면 롤러 위에 위치된 강구도 회전될 수 있다. 와류 전 류 감지부(500a)는 회전하는 강구로부터 와류 전류를 감지하며, 감지한 와류 전류에 대한 분포 정보를 ECT(3)로 전송한다.
ECT(3)는, 와류 전류에 대한 분포 정보에 기초하여, 강구의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강구 테스트 장치(1)로 전송하며, 강구 테스트 장치(1)는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정상 또는 비정상 강구들을 분류함으로서 강구 테스트 과정을 완료하게 된다.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 제1이송부(300a)와 강구 제2이송부(400a)를 구비함으로써, 강구들을 연속적이고 규칙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강구들에 대하여 연속하여 규칙적으로 강구를 테스트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강구 테스트 장치는 a라인과 b 라인 2개의 테스트 라인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다 많은 강구들을 측정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는, a라인 또는 b라인 구분없이 어느 하나의 라인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을 밝히도록 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투입부의 사시도를,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투입부의 단면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투입부(100)는 복수의 단차들(101, 103, 105, 107, 111, 113, 115)을 포함한다. 이처럼, 복수의 단차들을 구비하는 이유는 강구들이 이동 중에 흠결이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투입부(100)는 반드시 단차를 복수로 포함할 필요는 없다. 다만, 도 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단차를 구비하게 되면 강구들에게 흠결이 발생될 위험이 줄어드므로, 복수의 단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차 101과 111에는 강구들이 투입된다. 단차 111은, 상승수단(109)에 의해, 상부에 구비된 단차 103과 같은 높이 또는 거의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한다. 단차 111이, 단차 103과 같거나 거의 같은 높이가 되면, 단차 111에 위치한 강구들이 단차 103이나 113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단차 113이 상승수단(109)에 의해 단차 105 와 같거나 거의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한다. 이후, 단차 113에 위치한 강구들이 105 또는 115쪽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또다시 단차 115는 상승수단(109)에 의해 단차 107과 같거나 거의 같은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한다. 이후, 단차 115에 위치한 강구들이 단차 107 쪽으로 이동된다. 단차 107쪽에 이동된 강구들은 강구 적재부(200)로 자연스럽게 다시 이동된다.
상기 단차(101, 103, 105, 107, 111, 113, 115)의 상면부는 약간의 경사부를 구비하여 단차 101로부터 투입되는 강구는 자연스럽게 단차 111로 이동하고 단차 111이 상승수단(109)에 의해 상승하면 강구는 자연스럽게 단차 103 및 113으로 이동한다. 단차 113의 상부에 위치하는 강구는 다시 상승수단(109)에 의해 단차 105 및 단차 115로 이동되며 단차 115의 상단에 위치하는 강구는 다시 상승수단(109)에 의해 단차 107로 이동되어 강구적재부(200)으로 이동되게 된다.
도 5와 도 6의 실시예에서, 단차의 상승이 3번 이루어지는 구조를 가졌지만, 본원 발명에 따른 강구 투입부(100)는, 단차가 이보다 적거나 더 많아서, 단차의 상승이 3번 이하 또는 이상이 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승수단(109)은 예를 들면 실린더와 같은 형태의 구동수단일 수 있다.
이로써 단차 107에 위치한 강구들은 자연스럽게 강구적재부(200)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부분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 적재부와 강구 제1이송부의 상태도를 각 나타낸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적재부(200)는, 강구(311, 이하 강구는 311로만 표시한다.)를 적재할 수 있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 모양을 가지고, 경사부(201), 및 배출부(203a, 203b)를 포함한다. 여기서, 경사부(201)에 의해 강구 적재부(200)에 적재된 강구(311)들은 2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질 수 있다. 1개의 그룹은 배출부 203a 쪽으로 이동되는 강구(311)들이고, 나머지 1개의 그룹은 배출부 203b 쪽으로 이동되는 강구(311)들이다. 도 7과 도 8의 실시예에서는 강구(311)들을 2개의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해서 경사부(201)를 사용하였지만, 강구(311)들을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으로는 이러한 경사부(201)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201)가 아닌 다른 임의의 구성을 사용해서 강구(311)들을 그룹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이처럼, 강구(311)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누는 경우는, 도 2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라인과 b라인 처럼 2개의 테스트 라인을 가지고 있는 강구 테스트 장치의 경우이고, 만약 하나의 라인만을 가지고 있다면 강구(311)들을 2개의 그룹으로 나눌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적재부(200)는 강구(311)들을 적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면 충분하며, 다만 강구 테스트 라인이 a라인과 b라인 처럼 2개를 가지는 경우에는 강구(311)들을 나누는 수단(예를 들면 경사부)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강구(311)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강구(311)들을 2개 이상의 그룹으로 나누는 방법은, 강구 적재부(200)에서 강구(311)들을 임의적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강구(311)들을 그룹화할 수도 있지만, 강구 투입부(100)에서 강구(311)를 2개의 그룹 또는 그 이상 그룹화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강구 투입부(100)의 단차들에 강구(311)들을 그룹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배치해도 괜찮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적재부와 강구 제1이송부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1이송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1이송부(300)는, 구동부(301), 가이드레인(303), 제1강구 안내부(305), 제1이송부 지지대(309)를 포함한다.
구동부(301)에 의해 강구(311)는 강구 제2이송부(400) 쪽으로 이동될 수 있 다. 구동부(301)는 예를 들면 스텝모터일 수 있다. 강구(311)는 제1가이드레인(303)과 제1강구 안내부(305)를 통해서, 강구 제2이송부(400)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이송부 지지대(309)는 제1가이드레인(303)을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1가이드레인(303)에는, 강구가 놓일 수 있는 홈 같은 것이 형성되어도 괜찮다.
구동부(301)는, 제1 강구 이송부의 가이드레인의 타단부에서 상기 홈과 정렬된 일단부 방향으로 강구를 이송시킨다.
구동부(301)가 모터인 경우, 모터는 회전력을 생성하며, 강구(311)는 그 회전력에 의거하여 이동하게 된다. 도 10과 같은 구조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의 당업자라면, 모터와 몇몇 기어를 사용하여 강구(311)를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가이드레인에 위치된 강구(311)는 화살표 방향으로 표시된 것처럼, 제2이송부(400)으로 이동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의 단면사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와 강구의 흠결 감지부 중 와류전류 감지부(500)와의 결합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는, 구동부(405), 원형 강구 수용부(401), 홈(403), 홀(409), 제2이송부 지지대(407), 제2가이드레인(411), 홀(409)이 형성된 홀 형성부(417)를 포함한다.
구동부(405)는 원형 강구 수용부(401)를 회전시킨다. 구동부(405)는 예를 들면 스텝 모터일 수 있다.
원형 강구 수용부(401)는 강구(311)를 수용하는 홈(403)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403)에는 강구 제1이송부(300) 측으로부터 오는 강구(311)를 수용한다. 홈(403)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가이드레인(411)을 따라서 이동하는 강구는 홈(403)에 정확히 적재된다. 이를 위해서, 모터는, 제2이가이드레인(411)을 따라 이동하는 강구가 홈(403)에 정확히 적재되도록, 원형 강구 수용부(41)를 적절하게 회전시킨다.
이후, 원형 강구 수용부(401)의 홈(403)에 수용되어 있던 강구(311)는, 홈(403)이 홀(409)과 정렬되는 순간, 홀(409)로 이동되며, 이렇게 낙하되는 강구(311)는 강구 흠결 감지부(500, 600) 쪽으로 이동된다. 즉, 원형 강구 수용부(401)는 구동부(405)에 의해 일정하게 회전되면서, 강구를 홈(403)과 적재함과 동시에, 홀(409)을 통해서 강구(311)를 강구 흠결 감지부(500, 600) 쪽으로 배출할 수 있다.
강구 제1이송부(300)로부터 오는 강구(311)는, 제2가이드레인(411)을 통해서 원형 강구 수용부(401)쪽으로 이동되며, 바람직하게는, 강구 제1이송부(300)로부터 오는 강구(311)들은 복수개로서 규칙적인 속도로 공급될 수 있다. 원형 강구 수용부(401)는, 적어도 하나의 홈(403)을 가지며, 이들 홈은 강구(311)들을 수용할 수 있다. 원형 강구 수용부(401)가 구동부(405)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이들 홈(403) 중 하나의 홈(403)은, 홀(409)과 대응되도록 회전된다. 홀(409)과 대응되는 홈(403)에 수용된 강구(311)는 홀(409)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낙하하는 강구(311)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 600)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홀(409)을 통해서 낙하한 강구는, 강구 흠결 감지부(500, 600)의 홀(501)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12에서는, 강구 제2이송부(400)와 강구 흠결 감지부(500, 600)가 서로 이격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강구 제2이송부(400)와 강구 흠결 감지부(500, 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밀착되어 위치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의 흠결 감지부 중 와류전류 감지부의 사시도를,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의 흠결 감지부 중 강구회전부의 사시도를,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와 강구 회전부의 결합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 600)는 와류전류 감지부(500)와 강구 회전부(600)로 이루어지며, 이들 양자는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밀착되어 위치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이들 와류전류 감지부(500)와 강구 회전부(600)를 분리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와류 전류 감지부(500)는 홀(501)과 경사면(503), 지지대(505, 507)를 포함한다.
홀(501) 속에서 강구(311)가 회전하며, 경사면(503)은 강구(311)가 강구 제2이송부(400)로부터 낙하할 때 다른 쪽으로 튀지 않고 홀(501)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홀(501)과 경사면(503)은 지지대(507)에 형성되어 있고, 지지대(507)는 또 다른 지지대(505)에 고정된다.
홀(501) 속에 있는 강구(311)는 강구 회전부(600)의 2개의 롤러(603, 604)에 의해 지지된다. 즉, 롤러(603, 604)가 회전하면, 강구(311)도 회전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홀(501) 내부에서 강구(311)가 회전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즉, 도 14에서 롤러(603, 604) 위에 있는 강구(311)는 홀(501) 내부에 있는 상태로 회전하는 것이며, 강구 회전부(600)를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와류 전류 감지부(500)를 제거하고 강구 회전부(600)만을 도시한 것이다. 실제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구 회전부(600a)와 와류 전류 감지부(500a)는 서로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경사면(503)은, 강구 제2 이송부(400)로부터 이동되는 강구가 다른 곳으로 이탈되지 않고 홀(501)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강구(311)가 홀(501)내에서 회전할 때, 홀(501)내의 면과 부딛치지 않고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후술하는 강구 회전부(600)의 롤러(603, 604)에는 홈(615, 627)이 형성되어 있다. 강구(311)는 롤러(603, 604)의 홈(615, 617)에 위치되어 회전됨으로서, 홀(501)내의 면과 부딛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강구 회전부(600)는, 2개의 롤러(603, 604), 2개의 모터 구동부(601, 602), 2개의 실린더형 구동부(605, 606), 2개의 베이스(609, 610), 2개의 완충기(607, 6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롤러(603)은 제1모터 구동부(601)에 의해 회전되고, 제2롤러(604)는 제2모터 구동부(602)에 의해 회전된다. 제1롤러(603)과 제2롤러(604) 사이에, 강구(311)가 위치되어 회전된다. 제1베이스(609)에는 제1롤러(603)가 고정되고, 제2베이스(610)에는 제2롤러(604)가 고정된다.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는 제1베이 스(609)를 X축상에서 움직이며,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는 제2베이스(610)를 X축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강구(311)의 와전류를 감지하는 동안에는,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은 서로 붙어있거나 거의 근접하여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롤러(603)과 제2롤러(604) 바로 밑에,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이 서로 근접하여 붙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A로 지시한 점선 부분을 참조). 강구(311)의 흠결 감지부(500, 600)에서 강구의 흠결 검사가 완료되면,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롤러 603과 604도 서로 멀어지게 되며, 동시에 도 14에서 A로 지시한 점선 부분에 강구가 통과할 만한 공간이 생기게 된다. 롤러 603와 604에 의해 지지되던 강구는 롤러 603과 604가 서로 멀어지므로, 상술한 A로 지시한 점선 부분에 형성된 공간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 부분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는 편의상 와류 전류 감지부(500)의 도시없이 강구 회전부(600)와 강구 제2이송부(400)만을 나타낸 것이고,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의 위쪽에 도 13과 같은 와류 전류 감지부(500)가 위치된다. 도 15에서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는 강구(311)는, 롤러들(603,604)에 지지되어 회전됨과 동시에, 도 13에서의 홀(501) 속에 위치되어 있다. 즉, 홀(501) 속에서 강구(311)가 위치하면서, 롤러들(603, 60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하는 것이다.
도 16은 강구가 분류되기 전에 강구회전부에서 강구가 회전하는 동안의 동작 상태도를, 도 17은 강구를 분류하기 위해서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가 서로 멀어지는 동작 상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강구를 회전시킬 때의 롤러들(603, 604)의 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롤러들(603, 604) 바로 아래에는 원형부(705)가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도 16은, 롤러들(603, 604) 위에 강구가 흠결 감지를 위해서 회전하고 있는 상태일 때의, 롤러들(603, 604),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제2실린더형 구동부(607),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낸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는 서로 멀어져서 양자 사이에 공간이 생기며, 그 공간은 원형부(705)와 연결된다.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가 서로 멀어지면 이들에 의해 지지되던 강구가 원형부(705) 쪽으로 이동되어 강구가 분류되게 된다.
제1롤러(603)는 +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설명한다.
제1롤러(603)는 제1베이스(609)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1베이스는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는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제1베이스(609)를 이동시키며, 따라서, 제1롤러(603)는 제2롤러(604)와 멀어지게 된다.
제2롤러(604)는, -Y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설명한다.
제2롤러(604)는 제2베이스(610)에 고정되어 있으며, 제2베이스는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에 의해 -Y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는 도 1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제2베이스(610)를 이동시키며, 따라서, 제2롤러(604)는 제1롤러(603)와 멀어지게 된다.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가 서로 멀어져서 그 사이에 생긴 공간으로, 강구가 낙하하게 된다. 강구가 낙하하면,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는 다시 서로 근접하여 강구를 지지하면서 회전하게 된다.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가 서로 다시 근접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는, 제1베이스(609)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베이스(609)가 이동되면서 제1베이스(609)에 위치된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제1롤러(603))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제1완충기(607)가 완충작용을 한다.
마찬가지로, 제1실린더형 구동부(606)는, 제1베이스(610)를 +Y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제1베이스(610)가 이동되면서 제1베이스(610)에 위치된 구성요소들(예를 들면, 제2롤러(604))이 충격을 받지 않도록 제2완충기(608)가 완충작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는, 각각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가 서로 멀어지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강구(311)의 와전류 감지 과정이 끝나고, 강구(311)의 정상 또는 비정상의 판단 결과를 ECT(3)로부터 강구 테스트 장치(1)가 수령하면,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는 서로 멀어진다. 여기서, 강구(311)가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 사이로 낙하할 정도로 멀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ECT(3)로부터 강구(311)의 정상 또는 비정상 판단결과가 오면, 그 결과가 무엇인지에 관계없이,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은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를 각각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인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강구(311)를 강구 분류부(700) 측으로 보냄에 있어서,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를 동시에 멀어지게 하는 방법 외에, 제1베이스(609) 또는 제2베이스(610) 중 어느 하나는 고정하고 하나만 움직이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류전류감지부와 강구회전부 및 강구 분류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강구 분류부(700)와 강구의 흠결 감지부(500, 600)간의 상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강구 분류부(700)의 홀(701)은, 강구 회전부(600)의 하단에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강구 분류부(700)는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09)가 서로 만나는 지점의 하단에 위치되고,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가 서로 멀어지면,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간에 공간이 생기며, 그 공간으로 강구(311)가 통과하여 강구 분류부(70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기판(Substrate)(619)을 포함한다. 기판(619)에는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가 각각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위치되며,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가 위치되며, 제1완충기(607)와 제2완충기(608)가 위치된다.
또한, 기판(619)에는 홀(621)을 포함하는데, 이 홀(621)은 강구를 통과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롤러(603)과 롤러(604)가 서로 멀어져서, 롤러(603)와 롤러(604)에 의해 지지되던 강구가 아래로 하강하며, 이 강구는 상기 기판(619)의 홀(621)을 통과하여, 강구분류부(700) 쪽으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강구분류부(700)의 원형부(705)에 형성된 홀(701) 쪽으로 강구가 이동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1베이스(609)는 기판(619)에 위치하며, 제1베이스(609)에는 제1롤러(603)와 제1연결부(625)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연결부(625)는,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연결되며,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로부터의 힘을 받는다. 제1연결부(625)는 제1베이스(609)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가 제1연결부(625)를 +Y 방향으로 당기면, 제1연결부(625)가 고정된 제1베이스(609)가 +Y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제1롤러(603)이 +Y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반대로,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가 제1연결부(625)를 -Y방향으로 밀면, 제1연결부(625)가 고정된 제1베이스(609)가 -Y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제1롤러(603)이 -Y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제1베이스(609)의 이동 동작을 완충시키기 위해서, 제1완충기(607)가 기판(619)에 위치되어 있다.
기판(619)의 하면은, 강구 분류부(700)가 위치되며, 기판(619)의 홀(621)을 통해서 통과하는 강구는 기판(619)의 하면에 위치된 강구 분류부(700)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제1베이스(609)나 제2베이스(610)등과 같은 구성요소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공을 다수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베이스(610)는 기판(619)에 위치하며, 제2베이스(610)에는 제2롤러(604)와 제2연결부(62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연결부(627)는,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와 연결되며,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로부터의 힘을 받는다. 제2연결부(627)는 제2베이스(6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실린더형 구동 부(606)가 제2연결부(627)를 -Y 방향으로 당기면, 제2연결부(627)가 고정된 제2베이스(610)가 -Y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제2롤러(604)이 -Y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반대로,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가 제2연결부(627)를 +Y방향으로 밀면, 제2연결부(627)가 고정된 제2베이스(610)가 +Y방향으로 이동되어 결국 제2롤러(604)이 +Y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제2베이스(610)의 이동 동작을 완충시키기 위해서, 제2완충기(608)가 기판(619)에 위치되어 있다.
기판(619)의 홀(621)을 통과한 강구는, 강구 분류부(700)의 원형부(705)에 형성된 홀(701)로 들어간다. 그리고, 강구를 분류하는 수단(711)에 의해 정상 또는 비정상 강구를 서로 다른 경로로 보내어져 분류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제1실린더형 구동부(605)와 제2실린더형 구동부(606)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그러한 제어기능을, 구현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적 및/또는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강구 테스트 장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각 구성요소들(강구 제1이송부, 강구 제2이송부, 강구의 흠결감지부, 강구 분류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가 강구의 흠결감지부(500, 600)의 결과를 ECT(3)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ECT(3)로부터 판단결과를 제어부(미도시)가 수령하여, 그 결과에 따라서 강구 분류부(7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강구 테스트 장치가 포함하는 구성요소들의 일련의 동작들을 제어함에 있어서, 하나의 제어부가 아니고, 제어부를 여러 개 두는 구성도 가능하다. 어떤 제어방식을 취하더라도, 상술한 각 구성요소들(강구 제1이송부, 강구 제2이송부, 강구의 흠결감지부, 강구 분류부)이 각자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면 본원 발명의 목적은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분류부의 사시도를,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분류부의 분해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베이스(609)와 제2베이스(610)가 서로 멀어지면,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에 의해 지지되는 강구(311)는 아래와 낙하하게 되며, 그 낙하하는 강구(311)는, 홀(701)로 들어가게 된다. 홀(701)로 들어온 강구(311)들은, 경사로(703) 또는 하강로(713)쪽으로 분류되게 되는데, 정상인 경우와 비정상인 경우로 나뉘어서 분류된다. 이동돌기부(711)의 동작에 따라서, 강구(311)는 경사로(703) 또는 하강로(713)로 분류되게 된다. 이동돌기부(711)의 동작은, ECT(3)의 정상 또는 비정상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동돌기부(711)는 ±x 방향으로 움직이며, - x방향으로 이동돌기부(711)이 움직이면(즉, 튀어나오면) 하강로(713)가 막히게 되므로 강구(311)는 경사로(703)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 x방향으로 이동돌기부(711)가 움직이면(즉, 들어가면) 강구(311)는 하강로(713)로 이동하게 된다. 즉, ECT(3)의 정상 또는 비정상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강구를 양, 불량에 따라 서로 다른 장소에 분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어디 까지나 예시적인 것들이므로 본원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강구 분류부(700)가 원형의 형상을 가진 원형부를 가진 것으로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구를 2종류로 분 류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본원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강구 분류부(700)에서 이동돌기부(711)의 동작에 의해 강구를 분류하였지만, 다른 수단으로 강구를 분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를 서로 이격시키는 수단으로, 실린더형 구동부를 사용하였으나 다른 구동수단을 이용하여 이격시키는 구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는, 강구(311)를 안전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하고, 강구를 안정적으로 회전시킴으로서, 강구(311)의 내외에 형성되는 와전류 분포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배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투입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투입부의 단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테스트 장치의 강구 적재부와 강구 제1이송부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적재부와 강구 제1이송부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1이송부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의 단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와 강구의 흠결 감지부 중 와류전류 감지부와의 결합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흠결 감지부 중 와류전류 감지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흠결 감지부 중 강구회전부의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제2이송부와 강구회전부의 결합사시도.
도 16은 강구가 분류되기 전에 강구회전부에서 강구가 회전하는 동안의 동작 상태도,
도 17은 강구를 분류하기 위해서 제1롤러(603)와 제2롤러(604)가 서로 멀어지는 동작 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분류부의 사시도,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구 분류부의 분해사시도를 각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의 설명
1: 강구 테스트 장치 3: ECT
100: 강구 투입부 200: 강구 적재부
300: 강구 제1이송부 400: 강구 제2이송부
500, 600: 강구의 흠결 감지부
700: 강구 분류부

Claims (12)

  1. 강구를 회전시키면서 강구의 흠결을 검사하는 강구의 흠결 감지부; 및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검사결과에 따라 강구를 분류하는 강구 분류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자기장을 인가한 후, 상기 인가한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와류 전류 감지부; 및
    제1모터 구동부, 제2모터 구동부, 상기 제1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1롤러, 상기 제2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제2롤러를 포함하는 강구 회전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가 상기 강구에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동안에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는 상기 강구를 지지하도록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 흠결 감지부로 강구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동시키는 강구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의 흠결감지부는,
    모터 구동부; 및
    상기 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는 강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부는 상기 제1모터 구동부와 상기 제2모터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제1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모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제2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는 상기 강구를 지지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자기장을 인가한 후, 상기 인가한 자기장에 의해 형성되는 전류의 분포를 감지하는 와류 전류 감지부; 및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에서 자기장을 인가받는 강구를 지지하면서 회전시키는 강구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 전류 감지부는 상기 강구에 형성된 전류 분포를, 강구 정상 또는 비정상을 판단하는 ECT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강구 테스트 장치는,
    상기 ECT 로부터 판단결과를 받으면,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서로 이격시켜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강구가 상기 강구 분류부 측으로 하강하도록,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이격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 테스트 장치는,
    상기 제1롤러가 고정되는 제1베이스; 및
    상기 제2롤러가 고정되는 제2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베이스와 상기 제2베이스를 이격시킴으로써 상기 제1롤러와 상기 제2롤러를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1실린더형 구동부; 및
    상기 제2베이스를 이동시키는 제2실린더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과 상기 홀이 정렬되면,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에 있는 강구가 상기 홀 형성부의 홀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홀 형성부의 홀로 이동된 강구는 상기 강구 분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 이송하는 제2 강구 이송부; 및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로 강구를 이송하는 제1 강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 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과 상기 홀이 정렬되면,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홈에 있는 강구가 상기 홀 형성부의 홀 쪽으로 이동하며, 상기 홀 형성부의 홀로 이동된 강구는 상기 강구 분류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구이송부는,
    강구를 상기 강구의 흠결 감지부로 이송하는 제2 강구 이송부; 및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로 강구를 이송하는 제1 강구 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강구 이송부는,
    강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홈; 상기 홈이 형성된 원형 강구 수용부;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의 아래에 위치하며, 홀이 형성된 홀 형성부; 및 상기 원형 강구 수용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강구 이송부는,
    상기 제2 강구 이송부의 홈으로 강구를 제공되도록, 강구를 이동시키며 일단부가 상기 홈과 정렬된 가이드레인; 및
    상기 가이드레인의 타단부에서 상기 홈과 정렬된 일단부 방향으로 강구를 이송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 테스트 장치.
KR1020080075980A 2008-07-03 2008-08-04 강구 테스트 장치 KR100993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64592 2008-07-03
KR1020080064592 2008-07-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26A KR20100004826A (ko) 2010-01-13
KR100993952B1 true KR100993952B1 (ko) 2010-11-11

Family

ID=41814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980A KR100993952B1 (ko) 2008-07-03 2008-08-04 강구 테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66B1 (ko) 2013-11-05 2014-05-27 주식회사 멥스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수율의 강구 검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326A (en) 1993-05-18 1995-10-10 Daio Steel Ball Mfg. Co., Ltd. Surface inspection apparatus of spherical matter
JP2005010012A (ja) 2003-06-19 2005-01-13 Toyo Glass Co Ltd 球状透明体表面検査装置
JP2005121484A (ja) 2003-10-16 2005-05-12 Koyo Seiko Co Ltd 軸受部品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7326A (en) 1993-05-18 1995-10-10 Daio Steel Ball Mfg. Co., Ltd. Surface inspection apparatus of spherical matter
JP2005010012A (ja) 2003-06-19 2005-01-13 Toyo Glass Co Ltd 球状透明体表面検査装置
JP2005121484A (ja) 2003-10-16 2005-05-12 Koyo Seiko Co Ltd 軸受部品の外観検査方法及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9066B1 (ko) 2013-11-05 2014-05-27 주식회사 멥스 생산성 향상을 위한 고수율의 강구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826A (ko) 201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8159B2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KR101573485B1 (ko) 단차 측정 자동화장치
JP2009216698A (ja) 対象物の複数の側面を画像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993952B1 (ko) 강구 테스트 장치
CN110871175B (zh) 弹簧内外径分选装置
KR20230127552A (ko) 검사장치, 이를 포함하는 검사설비 및 검사 방법
KR101494171B1 (ko) 전자 부품 검사 시스템, 로딩 적재함 및 언로딩 적재함 장치, 로딩 적재함 및 언로딩 적재함 장치의 구동 유닛, 그리고 로딩 적재함 및 언로딩 적재함 장치의 구동 방법
KR20190053375A (ko) 볼 베어링 불량선별을 위한 회전식 검사장치
KR20140145708A (ko) 비젼 기반의 강구 자동 분류 장치
CN114735467A (zh) 一种用于多层式检测设备的供料方法及其系统
KR102156154B1 (ko) 트레이 이송장치 및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KR102099126B1 (ko) 차량 등속 조인트용 볼케이지 외형 검사시스템
JP3938074B2 (ja) ボール真球度検査装置
JP3644567B2 (ja) ハンドラのトレイ搬送装置
KR100734572B1 (ko) 아이들러 조립장치
KR101833887B1 (ko) 제품 분류 장치
JP2012197182A (ja) 対象物を検査・選別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777619B1 (ko) 테스트 핸들러 이송장치
KR100295775B1 (ko) 번인 테스터 소팅 핸들러용 소팅부의 트레이 적재장치
KR101158680B1 (ko) 평판형상 프레임용 비전검사기
KR100617273B1 (ko) 반도체 웨이퍼 프로버의 웨이퍼 수용 용기 이송장치
KR200457123Y1 (ko) 반도체소자 검사장치
KR101090891B1 (ko) 볼 베어링용 볼 크랙 자동 검사 장치
KR100442671B1 (ko) 수직식 핸들러의 반도체 소자 걸림 해제장치
KR102291937B1 (ko) 개별 분배가 가능한 파렛타이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