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887B1 - 제품 분류 장치 - Google Patents

제품 분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887B1
KR101833887B1 KR1020160165768A KR20160165768A KR101833887B1 KR 101833887 B1 KR101833887 B1 KR 101833887B1 KR 1020160165768 A KR1020160165768 A KR 1020160165768A KR 20160165768 A KR20160165768 A KR 20160165768A KR 101833887 B1 KR101833887 B1 KR 10183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cradle
unit
inspected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곤
김태진
김주형
Original Assignee
(주)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닉스 filed Critical (주)소닉스
Priority to KR1020160165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8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양부를 검사하는 검사설비에서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을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제품 분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거치대가 배치된 영역을 왕복 이동하는 복수의 이송기를 통해 복수의 거치대에 거치/이송을 반복하여 검사대상물을 단계적으로 이송하고, 검사대상물의 확인, 분류, 수집 및 배출이 검사대상물의 거치대 간 이송과정에서 수행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검사대상물의 전류검사 및 외관검사를 이후에 공급된 각 검사대상물의 양부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검사결과 확인, 분류, 수집 및 배출을 수행하는 복수의 유닛이 검사대상물이 이송되는 시간에 맞춰 검사결과 확인, 분류, 수집 및 배출을 수행함으로써, 검사설비를 통한 검사 및 분류에 일정한 택트타임(Tact time)을 가질 수 있어 검사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분류, 배출 과정에서 동일 거치대 또는 인접한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 간의 위치 변경 및 검사대상물의 방향전환이 해짐에 따라, 검사대상물이 공급되는 방향과 상관없이 분류 배출 과정에서 검사대상물의 수집,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검사대상물을 검사하는 각 검사장치의 배치에 대한 제약이 적고, 제품 분류 장치의 전단에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의 검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을 제품 분류 장치에 공급하는 검사 설비 내 이송라인 설계에 대한 제약이 적어짐에 따라, 검사설비 전체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제품 분류 장치{APPARATUS FOR CLASSIFYING PRODUCTS}
본 발명은 검사가 완료된 제품을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제품 분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을 생산하여 납품/공급하는 기업에서는, 제품생산에 따른 신뢰도와 기술력을 인정받기 위해 생산된 제품의 이상 및 작동을 확인하는 검사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진다.
이렇게 수행된 검사 이후에는, 기 설정된 기준을 통해 제품의 작동 여부 또는 등급에 따라 제품을 분류하여, 검사결과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거나, 특정 등급을 만족하는 제품만을 선별하여 제품의 출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종래에는 복수의 검수자의 육안을 통한 제품 검사 및 분류가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 제품을 생산하는 설비의 자동화로 인해, 종래에 비해 제품의 생산속도가 빨라졌으며, 그에 따라, 제품의 생산속도에 맞춰 검사 및 분류가 수행되기 위한 검수자의 수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검수자의 육안에 의한 검사 또한 객관적이지 못하고, 생산설비의 제품 생상속도 및 총 검수자의 수에 따라, 하나의 제품에 할애되는 검사시간 및 분류시간 또한 검수자에게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을 수 있어, 검수자에 의해 검사결과와 다르게 분류되는 경우와 같이, 검사 완료된 제품에 대한 정확성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2139호(출원일 : 2011.01.25., 공고일 : 2011.02.07.,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에서는 이송툴의 왕복 이동을 통해 전자제품의 양면 비전검사를 수행하며, 비전검사 결과에 따라, 전자제품(검사대상물)을 분류 배출하는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반전부에 의해 검사대상물의 상, 하면이 전환될 뿐, 로딩-이송-검사-분류 과정에서 검사대상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된 채로 이동되기 때문에, 검사장치의 이송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송구조 상에 배치되는 검사장치의 각 유닛(반전부, 비전검사부 등)의 배치영역이 제한적이고, 다수의 검사대상물의 검사가 요구될 경우, 각 유닛이 일렬로 배치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검사장치 전체의 설치면적이 증대되며, 단일의 이송툴에 의해 검사대상물이 분류됨에 따라, 검사대상물의 분류에 따른 지연이 발생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동일 시간대비 검사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검사대상물을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되, 검사대상물의 분류에 따른 지연시간 발생을 최소화한 제품 분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품 분류 장치는, 검사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대향되어, 검사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대향된 형상으로 마련되되, 중심영역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검사대상물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거치영역을 가지고,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대와 상기 복수의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한 채로 해당 거치대의 후방에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안착시키는 복수의 이송기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일 지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검사대상물을 인식하여, 상기 검사장치를 통한 해당 검사대상물의 검사결과를 확인하는 확인유닛; 상기 확인유닛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확인된 검사대상물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분류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유닛을 통해 상기 확인유닛에서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분류 수납되는 수납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검사대상물 이송구간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유닛으로부터 상기 확인유닛에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을 공급받아, 후단의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거치대는,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 거치대; 상기 제1 거치대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제1 거치대로부터 이송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며, 상기 확인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거치대; 상기 제2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확인유닛으로부터 검사결과가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제3 거치대; 및 상기 제3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확인유닛으로부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이송 안착되는 제4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거치대는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거치대는 상기 확인유닛에 의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상기 분류유닛에 의해 이송 안착되는 분류대기영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착기; 상기 흡착기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기는 상기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의 수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3 거치대의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 과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흡착영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흡착기를 통해 각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흡착하여 상기 구동기의 회전 및 승강구동을 통해 서로 다른 거치영역으로 거치시키거나, 상기 구동기 및 이동기를 통해 분류대기영역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거치대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의 중심을 지지한 채로, 상기 검사대상물을 상승시켜 이송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또 다른 거치대로 이동하고, 상기 또 다른 거치대의 거치영역 상에서 상기 검사대상물의 중심을 지지한 채로 상기 검사대상물을 하강시켜 상기 검사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송기는, 상기 제1 거치대, 제2 거치대 및 제3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 거치대와 제2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각각 상기 제2 거치대와 제3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1 이송기; 및 상기 제3 및 제4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3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4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2 이송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기는 상기 제3 거치대의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 중, 상기 제4 거치대와 인접한 거치영역에 거치되고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4 거치대의 거치영역으로 이송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4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제5 거치대; 및 상기 제4 및 제5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4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5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3 이송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기는 상기 제2 이송기가 상기 제4 거치대의 배치위치를 벗어나 상기 제3 거치대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4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5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분류유닛으로부터 분류 이송된 검사대상물이 수납되는 트레이가 안착되는 수집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제공기; 및 상기 제공기에 안착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기는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에 검사대상물이 기 설정된 수납 개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공기에 안착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부에 적재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공기와 수집기는 트레이가 안착되며 안착된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기가 상기 제공기에서 제공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부에 이송 적재시킬 경우, 상기 제공기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공급기가 픽업한 트레이의 적재높이만큼 상승되고, 상기 수집기의 상기 승단수단은 상기 공급기가 적재한 트레이의 적재높이만큼 하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검사대상물의 전류검사 및 외관검사를 이후에 공급된 각 검사대상물의 양부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확인유닛, 분류유닛, 수납유닛 및 배출유닛이 복수의 이송기를 통한 복수의 이송기가 각 거치대와 후방에 위치한 거치대를 왕복하여 검사대상물을 이송하는 시간에 맞춰 검사결과 확인, 분류, 수집 및 배출을 수행함으로써, 검사설비를 통한 검사 및 분류에 일정한 택트타임(Tact time)을 가질 수 있어 검사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둘째, 분류유닛이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검사대상물이 흡착되어진 채로 회전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거치영역 간 배치 변경 및 검사대상물의 거치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배출유닛 또한, 제4 거치대 및 제5 거치대의 각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검사대상물이 흡착되어진 채로 회전 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이송, 거치방향 전환 및 후단으로의 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검사 완료 이후, 검사대상물이 공급되는 방향과 상관없이 분류 배출 과정에서 검사대상물의 수집,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검사대상물을 검사하는 각 검사장치의 배치에 대한 제약이 적고, 제품 분류 장치의 전단에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의 검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을 제품 분류 장치에 공급하는 검사 설비 내 이송라인 설계에 대한 제약이 적어짐에 따라, 검사설비 전체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다.
셋째, 검사결과 불량한 것으로 판단된 검사대상물이 수집되는 수납유닛의 수집기가 분류유닛의 수납동작에 따라 검사대상물이 수납되는 트레이의 수납용량 도달 여부를 확인하여, 공급기가 동일한 위치 및 높이에 제공기에 적층된 빈 트레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이 분류유닛의 이후의 검사대상물의 수납 이전에 수행됨에 따라, 수집기로의 트레이의 지속적인 공급이 가능하고, 분류작업 과정에서 지연이 발생되지 않아, 동일 시간대비 검사의 효율성이 증대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장치가 포함된 검사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유닛 및 분류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유닛 및 수납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 및 배출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제품 분류 장치를 포함하는 검사설비의 구성.>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장치가 포함된 검사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100)는 세척장치(200), 자동검사장치(300) 및 수동검사장치(400)를 포함하는 검사설비(10)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설비(10)는 검사대상물(T)에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검사대상물(T)의 작동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검사대상물(T)의 외관을 검사하여, 검사결과가 관리자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치를 만족하는지 여부를 통해 검사대상물(T)의 양부를 판단하고, 검사대상물(T)을 양호 또는 불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검사대상물(T)은 전기신호에 의해 영상을 출력하는 액정 셀 또는 디스플레이모듈로 마련될 수 있다.
세척장치(200)는 검사대상물(T)의 생산설비 또는 별도의 공급설비의 후단에 배치되어, 투입된 검사대상물(T)을 검사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검사대상물(T)을 세척하는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세척장치(200)는 이후의 전기신호를 통한 검사를 위해 검사대상물(T)의 세척과 건조를 병행할 수 있으며, 세척장치(200)의 선단 또는 후단에는 검사대상물(T)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인식수단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때, 고유한 식별정보는 바코드, qr코드 등과 같이 인쇄정보일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자동검사장치(300)는 세척장치(200)를 통해 이송된 검사대상물(T)을 픽업하여, 둘레를 따라 소정 각도 단위로 검사대상물(T)이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영역을 가지는 인덱스테이블에 검사대상물(T)을 공급하거는 공급수단과, 인덱스테이블의 회전에 따라 검사대상물(T)에 전기신호를 공급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공급위치에 접촉하여 검사대상물(T)의 작동 및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검사대상물(T)의 외관을 검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유닛을 통해 검사를 수행하고, 검사가 완료된 자동검사유닛을 후단에 배출시키는 배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자동검사장치(300)에는 각 검사대상물(T)의 식별정보를 스캔하는 별도의 스캔 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최초 세척장치(200)로부터 식별정보가 식별된 순서에 따라 검사대상물(T)의 공급, 검사, 배출이 이루어졌을 경우, 스캔 수단은 생략될 수도 있다.
수동검사장치(400)는 자동검사장치(300)의 후단에 배치되어, 자동검사장치(300)로부터 배출된 검사대상물(T)을, 전기신호를 공급하여 검사자로 하여금 육안 검사가 수행되는 복수의 수동검사유닛에 순차적으로 로딩하고, 동일한 검사시간동안 수행된 검사의 종료 시에 검사가 완료된 순서에 따라 검사대상물(T)을 후단의 공정으로 언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수동검사장치(400)의 수동검사유닛은 검사대상물(T)이 안착되는 스테이션이 로딩대기위치에서 수동검사유닛의 하방으로 이동하여 검사대상물(T)을 수동검사유닛에 제공하고, 검사가 완료될 경우, 검사대상물(T)을 로딩대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왕복이송유닛이 포함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수동검사장치(400)는 복수의 수동검사유닛을 통해 육안으로 검사를 수행하는 검수자의 배치위치가 검사설비(10)의 외측을 향하게 하고, 검사대상물(T)의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영역이 검사설비(10)의 내측이 되도록, 짝수의 수동검사유닛이 상호 대향되도록 균등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동검사장치(400)는 자동검사장치(300)와 마찬가지로 검사대상물(T)이 안착된 스테이션이 수동검사유닛의 하부에 위치할 때에, 검사대상물(T)의 전기신호를 공급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하고, 공급위치에 접촉하여 검사대상물(T)에 전기신호가 인가된 상태에서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동검사장치(400)는 각 수동검사유닛이 검사대상물(T)의 로딩 및 언로딩이 수행되는 영역이 검사설비(10)의 내측이 되도록, 짝수의 수동검사유닛이 상호 대향되도록 균등 배치됨에 따라, 각 수동검사유닛의 배치 위치에 따라 스테이션에 검사대상물(T)이 안착되는 방향이 전환되도록 자동검사장치(300)로부터 배출된 검사대상물(T)의 검사순서에 따라 검사대상물(T)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전환수단이 로딩수단의 앞단에 더 마련될 수 있다.
이후, 수동검사장치(400)의 각 수동검사유닛을 통한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T)은 검사가 완료된 순서에 따라, 언로딩수단에 의해 후단에 위치한 분류장치(100)의 이송방향 선단에 위치한 거치대(112)에 거치되어 진다.
즉, 자동검사장치(300) 및 수동검사장치(400)의 검사순서는 최초 세척장치(200)에 투입된 투입순서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며, 자동검사장치(300)에서 식별정보가 식별된 검사대상물(T)의 식별 순서는 수동검사장치(400)를 통해 검사가 완료된 순서와 동일하게 유지되어진다.
이하에서는, 수동검사장치(400)로부터 공급된 검사대상물(T)을 자동검사장치(300) 및 수동검사장치(400)를 통한 검사결과에 따라 분류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중복 사용되는 검사대상물(T)의 기재는, 설명의 편의 상, 각 구성에 의한 분류 단계를 기준으로 검사결과 확인 이전의 검사대상물(Tb), 검사결과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 또는 검사결과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n)로 나누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품 분류 장치의 구성.>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송유닛을 도시한 것이며,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류유닛 및 분류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100)는 검사대상물(Tb)의 양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I1, I2)의 후단에 배치되어,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Tb)을 분류할 수 있으며, 이송유닛(110), 확인유닛(120), 분류유닛(130), 수납유닛(140) 및 배출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이송유닛(110)은 각 영역에 검사대상물(Tb)을 단계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거치대(112) 및 이송기(114)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대(112)는 검사대상물(Tb)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대향된 형상으로 마련되되, 중심영역이 검사대상물(Tb)의 길이 또는 폭보다 작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검사대상물(Tb)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거치영역을 가지고,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제3 거치대(112c), 제4 거치대(112d) 및 제5 거치대(112e)가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거치대(112a)는 검사장치(I1, I2)로부터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거치대(112a)는 2개의 거치영역(H)을 가질 수 있으며, 검사장치(I1, I2) 중 후단에 배치된 검사장치(I2)의 언로딩유닛(미도시)을 통해 검사가 완료된 2개의 검사대상물(Tb)이 2개의 거치영역(H) 상에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거치영역(H)에는 검사대상물(Tb)의 크기와 대응되는 홈(Ha)이 형성될 수 있고, 홈(Ha)의 경계는 깊이가 증가할수록 홈(Ha)의 내측 방향으로 홈(H)의 면적이 줄어들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홈(Ha)에는 검사대상물(Tb)을 흡착 고정시키는 진공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진공홀(Hb)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거치대(112a)는 수동검사장치(300)의 상호 대향 배치된 복수의 수동검사유닛에 의해 언로딩유닛(미도시)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180도 회전)되어진 검사대상물(Tb)이 공급될 수 있다.
제2 거치대(112b)는 제1 거치대(112a)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술할 이송기(114)에 의해 제1 거치대(112a)로부터 이송된 검사대상물(Tb)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치대(112b)는 후술할 확인유닛(1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확인유닛(120)에 의해 검사대상물(Tb)의 식별정보가 스캔되는 동안 검사대상물(Tb)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거치대(112c)는 제2 거치대(112b)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기(114)에 의해 확인유닛(120)으로부터 검사결과가 확인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b)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거치대(112c)는 후술할 분류유닛(130)이 확인유닛(120)에 의해 검사결과가 확인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을 분류하기 위해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이 소정의 시간동안 머무를 수 있으며, 제3 거치대(112c)에는 분류유닛(130)의 검사대상물(To 또는 Tn) 분류에 소모되는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류대기영역(B)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H)을 가질 수 있어, 이송기(114)에 의해 두 개의 검사대상물(Tb, To 또는 Tn)이 동시에 거치될 수 있으며, 제1 거치대(112a)의 거치영역(H)과 제2 거치대(112b)의 거치영역(H)이 이루는 간격과 제2 거치대(112b)의 거치영역(H)과 제3 거치대(112c)의 거치영역(H)이 이루는 간격이 동일하도록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는 등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4 거치대(112d)는 제3 거치대(112c)의 후방에 배치되어, 이송기(114)에 의해 확인유닛(120)으로부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이 이송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4 거치대(112d)는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와는 다르게 단일의 거치영역(H)을 가질 수 있다.
제5 거치대(112e)는 제4 거치대(112d)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4 거치대(112d)와 마찬가지로 단일의 거치영역(H)을 가지며, 확인유닛(120)을 통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이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4 거치대(112d)와 제5 거치대(112e)는 후술할 배출유닛(150)에 의해 후단의 공정으로 배출될 검사대상물(To)이 대기하는 구간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송기(114)는 기 설정된 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각 거치대(112a, 112b, 112c, 112d)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한 채로 해당 거치대((112a, 112b, 112c, 112d)의 후방에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거치대(112b, 112c, 112d, 112e)의 거치영역(H)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제1 이송기(114a), 제2 이송기(114b) 및 제3 이송기(114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기(114a)는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의 배치구간(M1)을 왕복 이동하며, 제1 거치대(112a)와 제2 거치대(112b)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b)을 각각 제2 거치대(112b)와 제3 거치대(112c)로 이송 안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이송기(114a)는 제1 거치대(112a)와 제2 거치대(112b)의 각 거치영역(H)에 거치된 4개의 검사대상물(Tb)를 흡착한 상태로 상승시켜, 제2 거치대(112b)와 제3 거치대(112c) 방향으로 이송하고, 제2 거치대(112b)와 제3 거치대(112c)의 거치영역(H)에서 위치시킨 뒤, 하강시키면서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제1 거치대(112a) 및 제2 거치대(112b)에 거치된 4개의 검사대상물(Tb, To 또는 Tn)을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이송기(114a)는 제1 거치대(112a)의 각 거치영역(H)의 간격에 대응되는 2개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2개의 제1 흡착모듈(114a-11), 2개의 제1 흡착모듈(114a-11)을 승강시키는 제1 승강모듈(114a-12)을 포함하는 2개의 제1 지지수단(114a-1)이 제1 거치대(112a)의 거치영역(H)과 제2 거치대(112b)의 거치영역(H)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제1 거치대(112a), 제2 거치대(112b) 및 제3 거치대(112c)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는 제1 이동수단(114a-2)에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이송기(114b)는 제3 거치대(112c)와 제4 거치대(112d)의 배치구간(M2)을 왕복 이동하며, 제3 거치대(112c)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을 제4 거치대(112d)로 이송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기(114b)는 단일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단일의 제2 흡착모듈(114b-11), 제2 흡착모듈(114b-11)을 승강시키는 제2 승강모듈(114b-12)을 포함하는 제2 지지수단(114b-1)이 제3 거치대(112c) 및 제4 거치대(112d)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는 제2 이동수단(114b-2)에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제3 이송기(114c)는 제4 거치대(112d)와 제5 거치대(112e)의 배치구간(M3)을 왕복 이동하며, 제4 거치대(112d)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을 제5 거치대(112e)로 이송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3 이송기(114c)는 단일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단일의 제3 흡착모듈(114c-11), 제3 흡착모듈(114c-11)을 승강시키는 제3 승강모듈(114c-12)을 포함하는 제3 지지수단(114c-1)이 제4 거치대(112d) 및 제5 거치대(112e)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는 제3 이동수단(114c-2)에 결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확인유닛(120)은 제2 거치대(112b)의 상부에 배치되고, 제2 거치대(112b)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b)을 각각 스캔하여, 검사장치(I1, I2)를 통한 해당 검사대상물(Tb)의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확인유닛(120)은 제2 거치대(112b)의 2개의 비전카메라가 각 거치영역(H)의 상부에 배치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각 거치영역(H)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b)의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각 검사장치(I1, I2)로부터 해당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확인유닛(120)은 검사대상물(Tb)의 식별정보를 인식(스캔)하여 자동검사장치(300) 및 수동검사장치(400)가 세척장치(200)를 통해 투입된 검사대상물(Tb)의 투입순서에 따라 검사대상물(Tb)의 이송순서가 유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된 각 검사대상물(Tb)의 검사결과와 매칭시킴으로써, 인식된 검사대상물(Tb)의 자동검사장치(300) 및 수동검사장치(400)를 통한 검사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분류유닛(130)은 확인유닛(120)의 후방에 위치하여, 확인유닛을 통해 확인된 검사대상물의 검사결과에 따라, 제3 거치대(112c)에 이송 거치된 검사대상물(T)을 분류할 수 있고, 2개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제1 흡착기(132), 제1 구동기(134) 및 제1 이동기(1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4 및 도5를 참조하도록 한다.
제1 흡착기(132)는 제3 거치대(112c)의 거치영역(H)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을 흡착할 수 있다.
이때, 제1 흡착기(132)는 거치영역(H)에 거치된 2개의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을 동시에 흡착하거나, 개별적으로 흡착할 수 있다.
제1 구동기(134)는 제1 흡착기(132)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제1 흡착기(132)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이동기(136)는 제1 구동기(13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1 흡착기(132)가 흡착하는 2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경우, 제1 이송기(114a)에 의해 제2 거치대(112b)의 거치영역(H)의 위치가 그대로 유지되어진 채로 제3 거치대(112c)의 거치영역(H)에 이송되기 때문에, 제2 이송기(114b)가 확인유닛(120)에 의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을 제3 거치대(112c)의 후방 거치영역(H)에서 제4 거치대(112c)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제1 이동기(136)가 제1 흡착기(132)의 위치를 추가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제1 이동기(136)가 이동됨으로 인해 검사대상물분류 과정에 시간적 차이가 발생하여 분류에 따른 택트(Tact)타임이 유지되기 어려운 경우, 제1 이동기(136)가 아닌 제1 구동기(134)가 제1 흡착기(13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제3 거치대(112c)의 전방 거치영역(H)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을 후방 거치영역(H)으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을 대해 예를 들어 분류유닛(130)에 의한 분류를 설명하되, 설명의 편의 상, 제3 거치대(112c)의 2개의 거치영역(H) 중, 제2 거치대(112b) 방향에 위치한 거치영역(H)을 제1 거치영역(H1)으로, 제4 거치대(112d) 방향에 위치한 거치영역(H)을 제2 거치영역(H2)으로 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3 거치대(112c)는 2개의 거치영역(H1, H2)을 가지며, 확인유닛(120)에 의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은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되어야만 제2 이송기(114b)에 의해 후단에 위치한 제4 거치대(112d)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이송기(114a)에 의해 제2 거치대(112b)로부터 이송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이 모두 양호한 검사대상물(To)일 경우, 분류유닛(130)의 제1 흡착기(132)는 제3 거치대(112c)의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 만을 흡착하고, 제1 구동기(134)에 의해 상승되어진다.
이후, 제2 이송기(114b)가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을 제4 거치대(112d)로 이송하게 되면, 제1 구동기(134)기가 제1 흡착기(13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 뒤 하강시켜, 제1 흡착기(132)에 흡착된 검사대상물(To)은 제2 거치영역(H2)으로 거치되어, 제2 이송기(114b)에 의해 제4 거치대(112d)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류유닛(130)의 작동은 확인유닛(120)에 의해 확인된 각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검사결과와 각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확인위치(=거치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만약, 확인유닛(120)에 의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과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n)이 제3 거치대(112c)의 각각 제1 거치영역(H1)과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될 경우, 분류유닛(130)은 확인유닛(120)을 통해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이 양호한 검사대상물(To)인 것을 확인하여, 제1 흡착기(132)가 제1 이동기(136) 및 제1 구동기(134)에 의해 제3 거치대(112c)의 상부에서 하강하여,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과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n)을 동시에 흡착하고, 제1 구동기(134)에 의해 상승 회전된 후, 하강되어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되어있던 검사대상물(To)은 제2 거치영역(H2)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흡착기(132)는 흡착을 해제하여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이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될 때,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n)의 흡착을 해제하지 않고, 제1 구동기(134) 및 제1 이동기(136)에 의해 이동되어, 후술할 수납유닛(140)의 수집기(142)에 안착된 트레이(R)에 검사대상물(Tn)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n)과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이 제3 거치대(112c)의 각각 제1 거치영역(H1)과 제2 거치영역(H2)에 거치될 경우에는, 분류유닛(130)은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n)만을 흡착하여, 수집기(142)에 안착된 트레이(R)에 검사대상물(Tn)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분류유닛(130)은 제품 분류 장치(100)의 전단에 배치되는 수동검사장치(400)로부터 검사가 완료된 순서에 따라, 확인유닛(120)에 의해 검사결과가 확인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이 상이한 방향으로 제3 거치대(112c)에 거치되었을 경우, 수동검사장치(400)에서 검사가 완료된 순서에 따라 공급되는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회전 방향이 일정한 주기를 가지기 때문에, 공급되는 순서에 따라 분류유닛(130)의 제1 구동부(134)가 제3 거치대(112c)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흡착 회전시킴으로써, 검사대상물(Tb)이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 공급된다 하더라도 일정한 방향으로 분류될 수 있게 된다.
도6 내지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납유닛 및 수납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수납유닛(140)은 분류유닛(130)을 통해 상기 확인유닛에서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n)이 분류 수납될 수 있으며, 수집기(142), 제공기(144) 및 공급기(14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기(142)는 분류유닛(130)으로부터 분류 이송된 검사대상물(Tn)이 수납되는 트레이(R)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집기(142)는, 트레이(R)에 수납될 검사대상물(Tn)의 개수, 즉, 수집기(142)로 검사대상물(Tn)을 공급하는 기 설정된 분류유닛(130)의 공급횟수를 통해, 트레이(Rf)에 검사대상물(Tn)이 모두 수납되었음을 확인하고, 검사대상물(Tn)이 모두 수납된 트레이(Rf)를 트레이(Rf)의 적재높이만큼 하강시키는 제1 승강수단(142a)가 포함될 수 있다.
제공기(144)는 검사대상물(Tn)이 수납되지 않은 빈 트레이(Re)가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공기(144)는 후술할 공급기(146)에 의해 제공기(144)에 안착된 트레이(Re)가 수집기(142)에 공급될 경우, 공급된 트레이(Re)의 하부에 적재되어있던 트레이(Re)를 공급된 트레이(Re)의 적재높이만큼 상승시키는 제2 승강수단(144a)가 포함될 수 있다.
도7을 확인하면, 공급기(146)는 분류유닛(130)의 기 설정된 공급횟수를 통해, 수집기(142)에 안착된 트레이(Rf)에 검사대상물(Tn)이 모두 수납되었음을 확인하고, 제공기(144)로부터 제공된 트레이(Re)를 픽업하여 수집기(142)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수납유닛(140)은 수집기(142)의 상부에 안착된 트레이(Rf)가 검사대상물(Tn) 수납용량에 도달하였을 경우, 수집기(142)는 제1 승강수단(142a)은 트레이(Rf)의 적재높이만큼 하강하여 공급기(146)를 통한 트레이(Re)의 공급을 준비하고, 이후, 공급기(146)는 제공기(144)의 상부에 안착된 트레이(Re)를 픽업하고 수집기(142) 상부로 이송하여 제1 승강수단(142a)에 의해 하강된 최상단 트레이(Rf)의 상부에 트레이(Re)를 적재시키며, 제2 승강수단(144a)은 공급기(146)에 의해 수집기(142)로 공급된 트레이(Re)의 하부에 적재되어있던 하부 트레이(Re)를 트레이의 적재높이만큼 상승시켜, 트레이(Re)를 공급대기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술한 수납유닛(140)의 수집기(142), 제공기(144) 및 공급기(142)는 분류유닛(130)이 제3 거치대(112c)의 상부에 위치할 경우,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분류유닛(130)을 통한 검사대상물(Tn)의 분류에 지연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8 내지 도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출유닛 및 배출유닛의 구동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배출유닛(150)은 분류유닛(130)의 후방에 배치되어, 분류유닛(130)으로부터 확인유닛(120)에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을 공급받아, 후단의 공정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배출유닛(150)은 상술된 분류유닛(130)과 유사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4 거치대(112d) 및 제5 거치대(112e)의 각 거치영역(H)이 이루는 간격을 가지는 2개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제2 흡착기(152)가 구비되고, 제2 흡착기(152)의 중심축에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기(154)와 제2 구동기(154)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기(156)를 통해 제2 흡착기(152)가 검사대상물(To)에 접촉하여 흡착한 뒤, 흡착한 검사대상물(To)를 후단의 공정방향으로 이송하여 흡착을 해제함으로써 검사대상물(To)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제4 거치대(112d) 또는 제5 거치대(112e) 중 어느 하나의 거치영역(H)에만 검사대상물(To)이 거치될 경우에도 단일의 검사대상물(To)을 흡착하여 후단의 공정방향으로 이송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배출유닛(150)의 제2 흡착기(152)는 각 검사대상물(To)을 동시에 흡착하거나, 둘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두 개의 검사대상물(To)이 후단의 공정 방향으로 이송된 이후에 두 개의 검사대상물(To)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과 마찬가지로 제4 거치대(112d) 또는 제5 거치대(112e)에 거치된 두 개의 검사대상물(To)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흡착할 수도 있다.
또한, 배출유닛(150)은 제2 흡착기(152)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기(154)가 제2 흡착기(152)와 제2 이동기(156)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흡착기(152)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외에도, 제2 흡착기(152)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때, 제2 구동기(154) 및 제2 이동기(156)는 분류유닛(130)의 제1 구동기(134) 및 제1 이동기(136)와 마찬가지로, 확인유닛(120)에 의해 확인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양부 확인결과와 해당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거치위치에 따라 그 구동방식이 달라질 수 있다.
배출유닛(15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도9 내지 도10을 참조하자여 예를 들자면, 제3 거치대(112c)의 제1 거치영역(H1)에 거치되고 확인유닛(120)에 의해 검사결가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To)의 경우, 분류유닛(130)의 수평 회전에 의해, 제3 거치대(112c)의 제2 거치영역(H2)으로 이송될 때, 검사대상물(To) 또한 180도 회전되어진 채로 제2 이송기(114b)에 의해 제4 거치대(112d)로 이송되기 때문에, 이때, 배출유닛(150)은 도9의 (a)와 같이, 제2 흡착기(152)가 제2 구동기(154)에 의해 제4 거치대(112d)에 회전된 채로 거치(검사대상물 상의 화살표가 배출방향과 반대)된 검사대상물(To) 방향으로 하강되어 검사대상물(To)을 흡착하고, 검사대상물(To)을 흡착한 제2 구동기(154)가 흡착기(152)를 회전시켜 제2 이동기(156)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검사대상물(To)의 거치각도는 본래의 거치(검사대상물 상의 화살표가 배출방향과 동일)각도로 변경되면서, 제5 거치대(112e)의 거치영역 상에 거치될 수 있다.
만약, 제5 거치대(112e)의 거치영역 상에 검사대상물(To)이 거치되어 있을 경우, 제5 거치대(112e)에 거치된 검사대상물(To)과 제4 거치대(112d)에 회전되어진 채로 거치된 검사대상물(To)을 동시에 흡착하여, 배출 방향으로 이송시키되, 제5 거치대(112e)로부터 흡착 이송한 검사대상물(To)은 흡착한 방향을 그대로 유지한 채 흡착을 해제하여 배출시키면서, 제4 거치대(112d)로부터 흡착 이송한 검사대상물(To)은 제2 구동기(154)에 의해 회전된 이후에 배출됨으로써, 검사대상물(To)이 어떠한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더라도 배출되는 검사대상물(To)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품 분류 장치(100)는 검사설비(10)의 후단에 배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Tb)의 검사결과를 확인하고, 확인된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을 분류하되, 분류유닛(130) 및 배출유닛(150)이 확인유닛(120)으로부터 확인된 검사결과에 따라 세트화 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To 또는 Tn)의 분류과정에서 지연시간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은, 검사대상물의 전류검사 및 외관검사를 이후에 공급된 각 검사대상물의 양부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과정에서, 확인유닛, 분류유닛, 수납유닛 및 배출유닛이 복수의 이송기를 통한 복수의 이송기가 각 거치대와 후방에 위치한 거치대를 왕복하여 검사대상물을 이송하는 시간에 맞춰 검사결과 확인, 분류, 수집 및 배출을 수행함으로써, 검사설비를 통한 검사 및 분류에 일정한 택트타임(Tact time)을 가질 수 있어 검사의 효율성이 증대되며, 분류유닛이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검사대상물이 흡착되어진 채로 회전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거치영역 간 배치 변경 및 검사대상물의 거치방향 전환이 가능하고, 배출유닛 또한, 제4 거치대 및 제5 거치대의 각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거나, 검사대상물이 흡착되어진 채로 회전 될 수 있어, 검사대상물의 이송, 거치방향 전환 및 후단으로의 배출이 가능해짐에 따라, 검사 완료 이후, 검사대상물이 공급되는 방향과 상관없이 분류 배출 과정에서 검사대상물의 수집, 배출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검사대상물을 검사하는 각 검사장치의 배치에 대한 제약이 적고, 제품 분류 장치의 전단에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의 검사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요구되지 않아,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을 제품 분류 장치에 공급하는 검사 설비 내 이송라인 설계에 대한 제약이 적어짐에 따라, 검사설비 전체의 설치면적을 줄일 수 있는 제품 분류 장치를 제공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검사설비
100 : 제품 분류 장치
110 : 이송유닛
112 : 거치대
112a : 제1 거치대
112b : 제2 거치대
112c : 제3 거치대
112d : 제4 거치대
112e : 제5 거치대
114 : 이송기
114a : 제1 이송기
114b : 제2 이송기
114c : 제3 이송기
120 : 확인유닛
130 : 분류유닛
132 : 제1 흡착기
134 : 제1 구동기
136 : 제1 이동기
140 : 수납유닛
142 : 수집기
142a : 제1 승강수단
144 : 제공기
144a : 제2 승강수단
146 : 공급기
150 : 배출유닛
152 : 제2 흡착기
154 : 제2 구동기
156 : 제2 이동기
200 : 세척장치
300 : 자동검사장치
400 : 수동검사장치

Claims (10)

  1. 검사대상물의 양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의 후단에 배치되어, 검사결과에 따라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제품 분류 장치에 있어서,
    검사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대향된 형상으로 마련되되, 중심영역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검사대상물의 하부 양측을 지지하는 거치영역을 가지고, 이송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거치대와 상기 복수의 거치대의 하부에 위치하여 이송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의 하부를 지지한 채로 해당 거치대의 후방에 인접 배치된 또 다른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안착시키는 복수의 이송기를 포함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일 지점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된 검사대상물을 인식하여, 상기 검사장치를 통한 해당 검사대상물의 검사결과를 확인하는 확인유닛;
    상기 확인유닛의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확인된 검사대상물의 검사결과에 따라,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된 검사대상물을 분류하는 분류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일 측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유닛을 통해 상기 확인유닛에서 불량인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분류 수납되는 수납유닛;
    상기 이송유닛의 검사대상물 이송구간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분류유닛으로부터 상기 확인유닛에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을 분류 공급받아, 후단의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검사장치로부터 검사가 완료된 검사대상물이 안착되는 제1 거치대;
    상기 제1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제1 거치대로부터 이송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며, 상기 확인유닛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거치대;
    상기 제2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확인유닛으로부터 검사결과가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제3 거치대; 및
    상기 제3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기에 의해 상기 확인유닛으로부터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이송 안착되는 제4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제2 및 제3 거치대는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거치대는 상기 확인유닛에 의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상기 분류유닛에 의해 이송 안착되는 분류대기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흡착하는 흡착기;
    상기 흡착기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키거나,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기; 및
    상기 구동기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기는 상기 제3 거치대의 거치영역의 수와 대응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3 거치대의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 과 대응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흡착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유닛은 상기 흡착기를 통해 각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흡착하여 상기 구동기의 회전 및 승강구동을 통해 서로 다른 거치영역으로 거치시키거나, 상기 구동기 및 이동기를 통해 분류대기영역에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상기 거치대의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거치대의 이격공간을 통해 상기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의 중심을 지지한 채로, 상기 검사대상물을 상승시켜 이송방향의 후방에 배치된 또 다른 거치대로 이동하고, 상기 또 다른 거치대의 거치영역 상에서 상기 검사대상물의 중심을 지지한 채로 상기 검사대상물을 하강시켜 상기 검사대상물을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는,
    상기 제1 거치대, 제2 거치대 및 제3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1 거치대와 제2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각각 상기 제2 거치대와 제3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1 이송기; 및
    상기 제3 및 제4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3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4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2 이송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기는 상기 제3 거치대의 적어도 둘 이상의 거치영역 중, 상기 제4 거치대와 인접한 거치영역에 거치되고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4 거치대의 거치영역으로 이송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제4 거치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확인유닛을 통해 양호한 것으로 확인된 검사대상물이 거치되는 제5 거치대; 및
    상기 제4 및 제5 거치대의 배치구간을 왕복 이동하며, 상기 제4 거치대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5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제3 이송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이송기는 상기 제2 이송기가 상기 제4 거치대의 배치위치를 벗어나 상기 제3 거치대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4 거치대의 거치영역에 거치된 검사대상물을 상기 제5 거치대로 이송 안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유닛은,
    상기 분류유닛으로부터 분류 이송된 검사대상물이 수납되는 트레이가 안착되는 수집기;
    트레이가 안착되는 제공기; 및
    상기 제공기에 안착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기는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에 검사대상물이 기 설정된 수납 개수에 도달한 것을 확인한 경우에 한해서, 상기 제공기에 안착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부에 적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기와 수집기는 트레이가 안착되며 안착된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기가 상기 제공기에서 제공된 트레이를 픽업하여 상기 수집기에 안착된 트레이의 상부에 이송 적재시킬 경우, 상기 제공기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공급기가 픽업한 트레이의 적재높이만큼 상승되고, 상기 수집기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공급기가 적재한 트레이의 적재높이만큼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분류 장치.
KR1020160165768A 2016-12-07 2016-12-07 제품 분류 장치 KR10183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68A KR101833887B1 (ko) 2016-12-07 2016-12-07 제품 분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5768A KR101833887B1 (ko) 2016-12-07 2016-12-07 제품 분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887B1 true KR101833887B1 (ko) 2018-03-05

Family

ID=61726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5768A KR101833887B1 (ko) 2016-12-07 2016-12-07 제품 분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21B1 (ko) 2019-11-05 2019-12-31 주식회사 광명테크솔루션 Pcb 제품 제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8340A (ja) * 2006-10-11 2008-04-24 Sharp Corp 光半導体デバイス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101012139B1 (ko) * 2008-12-31 2011-02-07 (주)제이티 비전검사장치
KR101496991B1 (ko) 2013-10-29 2015-03-02 (주) 인텍플러스 휴대폰 부품의 전면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98340A (ja) * 2006-10-11 2008-04-24 Sharp Corp 光半導体デバイスの検査方法および検査装置
KR101012139B1 (ko) * 2008-12-31 2011-02-07 (주)제이티 비전검사장치
KR101496991B1 (ko) 2013-10-29 2015-03-02 (주) 인텍플러스 휴대폰 부품의 전면 검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221B1 (ko) 2019-11-05 2019-12-31 주식회사 광명테크솔루션 Pcb 제품 제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603B1 (ko)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CN111169952A (zh) 一种零件分检摆盘堆叠机
JP2921937B2 (ja) Ic検査装置
KR101866942B1 (ko) 배터리 셀 검사장치
KR101327455B1 (ko) 테스트 핸들러 및 그 반도체 소자 공급 배출 방법
TWI631065B (zh) 檢測系統及檢測方法
WO2008032983A1 (en) Tray handl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device inspecting method using the same
CN109047045A (zh) 一种led灯座的自动检测设备
CN112623674B (zh) 一种基于ccd相机外观检测的输送设备
CN102812544A (zh) 改进的切块基板的分拣方法和设备
JP2010101691A (ja) 樹脂成型品の外観検査装置及びその外観検査方法
JP2009216698A (ja) 対象物の複数の側面を画像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200129812A (ko) 심카드 트레이 분류시스템
CN105689278A (zh) Ic外观检验装置
KR101175770B1 (ko) 렌즈 검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렌즈 검사 방법
CN111071782A (zh) 一种显示器件的复检装置
CN114975195B (zh) 晶圆盒、晶圆搬运设备、晶圆搬运控制方法、电气设备及存储介质
KR100914219B1 (ko) 테스트 핸들러
KR101833887B1 (ko) 제품 분류 장치
KR101748853B1 (ko) 반도체 검사 및 분류시스템
CN110980228B (zh) 一种缓存机构以及缓存方法
CN102439707A (zh) 基片的系统及处理
CN111085463A (zh) 一种分选装置
WO201918243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illing carrier tapes with electronic components
CN114783924B (zh) 晶圆搬运设备、晶圆搬运控制方法、电气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