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9824B1 -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824B1
KR101089824B1 KR1020100039380A KR20100039380A KR101089824B1 KR 101089824 B1 KR101089824 B1 KR 101089824B1 KR 1020100039380 A KR1020100039380 A KR 1020100039380A KR 20100039380 A KR20100039380 A KR 20100039380A KR 101089824 B1 KR101089824 B1 KR 101089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duct
vehicle
engine
inta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9944A (ko
Inventor
홍기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1020100039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824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ised By The Charging Evacuation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RPM 변동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저속 및 고속 주행시 엔진에서 필요한 외부공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엔진의 출력 향상 등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주행시 필요한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제1,제2,제3에어덕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제3에어덕트 상에 외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제1제2가변밸브를 구비하는 가변 흡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VARIABLE INTAKE SYSTEM OF VEHICLE}
본 발명은 가변 흡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엔진의 RPM 변동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저속 및 고속 주행시 엔진에서 필요한 외부공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줄이고 엔진의 출력 향상 등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의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는 자동차 엔진은 통상 4사이클로 이루어지며, 실린더 내에서 승하강되는 피스톤의 반복작용에 의해 부압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공기가 흡입된 연소실로 연료를 분사하여 최적의 혼합기를 만든 후 이를 점화시켜 엔진을 구동하게 된다.
여기서, 흡입 공기는 피스톤이 흡입행정을 위해 하강할 때 흡기밸브가 열려짐으로써 흡기계를 통해 유입된다.
자동차의 흡기계는 흡입되는 공기 속에 들어있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와, 각 실린더에 혼합기 또는 흡입되는 공기를 분배하는 흡기 매니폴드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흡기계에서 흡기의 공급은 차량 엔진룸 속의 에어덕트(10)로 유입되어 이물질 제거를 위한 에어클리너(20)를 지나 스로틀바디(S)와 연결된 흡기관(30)을 통과한 후 엔진으로 공급된다.
도 1 은 상술한 종래의 흡기계를 도시한 흡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불순물이 포함되지 않도록 한 에어클리너(20)와, 상기 에어클리너(20)와 연결되어 스로틀바디(S)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흡기관(3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흡기시스템은 단일의 에어클리너(20)와, 일정 직경으로 형성된 단일의 흡기관(30)을 통해 일정한 양의 공기만을 흡입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어서 차량의 저속 또는 고속 주행시 주행속도에 따라 에어클리너(20)로부터 스로틀바디(S)로의 흡기량을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저속 또는 고속 주행 등 주행속도에 적합하게 흡기량을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없으므로 엔진의 연료 효율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흡기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중ㆍ저속 및 고속 작동 영역에서 엔진의 균일한 토크 전달이 불가능하여 가속성 및 출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차량의 엔진 흡기 부압에 의해 저속 및 고속에서 필요한 공기량을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함으로써, 흡기 효율을 높여 엔진의 안정적인 연소 및 흡기 공기 도입에 따른 소음 발생을 방지, 출력향상 등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중저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1에어덕트와 차량의 최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2에어덕트가 형성된 에어덕트와, 일측이 상기 제1에어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에어덕트와 연결된 인접부위에 차량의 중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3에어덕트가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에어필터가 구비된 메인 에어클리너와, 일단이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와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의 엔진 스로틀바디와 결합되는 흡기관과, 일측이 상기 제2에어덕트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제2에어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필터가 구비된 챔버 에어클리너 및 상기 제2에어덕트와 챔버 에어클리너가 결합되는 부분 및 상기 제3에어덕트와 메인 에어클리너가 결합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제2가변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메인 에어클리너와 스로틀바디를 연결하는 흡기관 상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레조네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밸브는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와 제3에어덕트가 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3에어덕트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 및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 끝단과 상기 제3에어덕트 상에 설치되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는 상기 제2에어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에어덕트와 흡기관을 연결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조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밸브에 설치되는 자석은 상기 제1가변밸브에 설치되는 자석보다 자력이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가변 흡기 시스템은 저속 및 고속 주행에 따라 주행에 필요한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흡기효율을 향상시켜 엔진의 안정적인 연소 및 흡기 공기 도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량의 엔진의 성능 및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엔진의 효율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연비를 높여 소비자로 하여금 제품의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흡기계를 도시한 흡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이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의 측면도;
도 5 는 도 3 의 배면도;
도 6a 및 6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에 사용되는 제1가변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a 및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에 사용되는 제2가변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 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의 중저속 주행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 은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의 중고속 주행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10 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흡기시스템의 최고속 주행시 공기가 유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기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기시스템(100)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엔진 일측에 설치되어 엔진의 구동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기시스템(100)은 엔진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량을 조절하여 소음발생 및 엔진출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에어덕트(110), 메인 에어클리너(120), 흡기관(130)), 챔버 에어클리너(150)를 포함한다.
에어덕트(110)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한 유입구(110a)와, 상기 유입구(110a)를 통해 유입된 외부의 공기를 엔진으로 향하도록 하는 유출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으로, 차량의 저중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에어덕트(112)와, 최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에어덕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110)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에어덕트(112)와 제2에어덕트(114)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제1,제2에어덕트(112,114)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차량의 엔진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각각의 유출구(미도시)에는 제1,제2유동관(112a,114a)이 마련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와 제2에어덕트(114)가 일체로 형성되어 각각의 유입구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나, 상기 제1에어덕트(112)와 제2에어덕트(114)를 분리 형성하는 등 별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에어덕트(112)는 상기 제1유동관(112a)을 통해 메인 에어클리너(120)와 연결된다.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여 엔진에 깨끗한 공기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에어필터(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의 일측에는 차량의 중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3에어덕트(12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에어덕트(122) 상에는 제1가변밸브(124)가 설치되어 엔진의 흡입부압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가변밸브(124)는 상기 제3에어덕트(122)의 유입구(122a) 상에 설치되며, 도 6a 및 6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24a), 자석(124b) 및 스프링(124d)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부재(124a)는 상기 유입구(122a)를 선택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핀(124c)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석(124b)은 상기 차단부재(124a)의 일측 끝단과 상기 차단부재(124a)에 설치되는 자석(124b)과 접촉되는 유입구(122a) 상에 설치된다.
또한, 스프링(124c)은 상기 힌지핀(124c)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124a)에 일단이 위치하고 일단은 제3에어덕트(122)의 유입구(122a) 상에 위치되어 강한 흡입부압 발생시 상기 차단부재(124a)가 탄성력에 의해 천천히 개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단부재가 상기 제3에어덕트(122)와 부딪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회동되는 차단부재(124a)가 상기 제3에어덕트(122)의 일측면과 부딪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제1가변밸브(124)는 엔진의 회전에 필요한 공기량 부족시 흡입부압이 발생되어 상기 자석(124b)을 통해 제3에어덕트(122)를 차단하고 있는 차단부재(124a)가 엔진의 부압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3에어덕트(122)의 유입구(122a)를 개방함으로써, 차량 엔진의 중고속 주행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자석(124b)의 자력보다 큰 흡입부압이 발생되면, 상기 차단부재(124a)가 흡입부압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제3에어덕트(122)를 개방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의 일측에는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흡기관(130)이 연결된다.
상기 흡기관(130)은 일단이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엔진의 스로틀바디(S)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한 유로 역할을 한다.
또한,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로틀바디(S)와 연결되는 상기 흡기관(130)의 일측에는 엔진의 급격한 회전수 변동에 따른 급격한 공기 흐름의 부하변동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완만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14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흡기관(130)의 일측에 레조네이터(140)를 설치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공기의 이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덕트(114)의 유출구(미도시) 말단에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를 엔진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챔버 에어클리너(150)가 제2유동관(114a)을 통해 연결된다.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150)는 상기 제2에어덕트(114)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깨끗한 공기가 엔진 내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동차의 고속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150)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에어클리너 역할을 수행하는 동시에 공기의 흐름이 완만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조네이터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150) 내측에는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와 마찬가지로 에어필터(미도시)가 구비되며, 유입된 공기가 엔진의 스로틀바디(S)로 공급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흡기관(130)과 연결되도록 유로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150)와 상기 제2에어덕트(114)를 연결하는 제2유동관(114a)에는 차량의 고속 주행시에만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유동관(114a)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제2가변밸브(152)가 설치된다.
상기 제2가변밸브(152)는 상기 제3에어덕트(122) 상에 설치되는 제1가변밸브(124)와 마찬가지로 엔진의 흡입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밀폐되는 것으로, 도 7a 및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152a)를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재(152a)의 일측 끝단과 상기 차단부재(152a)의 일측 끝단이 위치되는 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자석(152b)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가변밸브(152)에 사용되는 자석(152b)은 상기 제1가변밸브(124)에 사용되는 자석(124b)의 자력보다 강한 자력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로 중저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고, 상기 제2에어덕트(114)로 최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3에어덕트(122)로 중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에어덕트(112)로 최고속 주행에 필요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상기 제2에어덕트(114)로 중저속 주행에 필요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하는 등 선택적으로 변경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기시스템(100)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8 내지 도 10 에 도시된 공기의 흐름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시기스템(00)은 차량의 엔진 일측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저중속(엔진의 회전수가 0~2400rpm인 경우) 주행이 이루어지면 엔진 시동에 따른 흡입부압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제1에어덕트(112)의 유입구(110a)를 통해 유입된다.
이후,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에어덕트(1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의 유출구(미도시)와 제1유동관(112a)을 통해 연결된 메인 에어클리너(120)로 유동되어 에어필터(미도시)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이 제거된다.
이후,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는 흡기관(130)을 통해 엔진의 스로틀바디(S)로 공급되되, 상기 흡기관(130)에 마련된 레조네이터(140)에 의해 소음이 저감되어 공급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의 중저속 주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엔진에서 필요로 하는 공기량이 중고속 또는 최고속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만으로도 안정적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므로 제1에어덕트(11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만으로 원활한 주행이 이루어진다.
또한, 차량의 중고속(엔진의 회전수가 2400~5500rpm인 경우) 주행이 이루어질 경우에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는 상태에서 엔진의 중고속 주행에 따른 공기량을 필요로 하여 급격한 흡입부압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에어덕트(122)에 설치된 제1가변밸브(124)가 개방되어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게 된다. 즉, 상기 제3에어덕트(122)를 차단하고 있는 제1가변밸브(124)가 흡입부압에 의해 개방되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중고속으로 주행하게 되면 중저속 주행보다 알피엠(RPM)이 급격하게 상승되면서 엔진의 흡입부압은 엔진의 알피엠 변화에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승된 흡입부압은 자석(124b)의 자력을 통해 상기 제3에어덕트(122)를 차단하고 있는 제1가변밸브(124)의 차단부재(124a)가 회전되어 상기 제3에어덕트(122)가 개방됨으로써,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 흡입부압이 자석(124b)의 자력보다 강하게 작용하게 되어 상기 흡입부압이 자력을 극복함으로써, 제1가변밸브(124)의 차단부재(124a)가 힌지핀(124c)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1가변밸브(124)를 개방함으로써, 공기가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120)로 유입되어 에어필터(미도시)를 통해 정화된 후 흡기관(130)을 통해 엔진 스로틀바디(S)로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가변밸브(124)가 개방됨으로써, 상기 제3에어덕트(12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어 차량이 중고속으로 주행시에도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최고속(엔진의 회전수가 5500~6400rpm인 경우) 주행시에는 상기 제1에어덕트(112)와 제3에어덕트(12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상태에서 제2가변밸브(152)가 개방되어 상기 제2에어덕트(114)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변밸브(124)와 마찬가지로 제2가변밸브(152)에 마련되는 자석(152a)의 자력보다 강한 흡입부압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흡입부압이 상기 자석(152a)의 자력을 극복하여 차단부재(152b)가 회전됨으로써, 제2가변밸브(152)가 개방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에어덕트(114)를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는 챔버 에어클리너(150) 내에 마련되는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되어 흡기관(130)을 통해 엔진의 스로틀바디(S)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이 이루어지다 주행속도가 감소하게 되면 엔진의 회전수(rpm)이 감소되어 흡입부압이 저하되면서 상기 제1가변밸브(124)와, 제2가변밸브(152)가 차단되면서 상기 제1에어덕트(112)로만 공기가 유입되는 저중속 주행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 흡기시스템(100)은 차량의 주행속도에 따라 흡입되는 공기량을 달리할 수 있어 공기 도입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엔진의 성능 및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 엔진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인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가변 흡기시스템 110 : 에어덕트
110a : 유입구 112 : 제1에어덕트
112a : 제1유동관 114 : 제2에어덕트
114a : 제2유동관 120 : 메인 에어클리너
122 : 제3에어덕트 122a : 유입구
124 : 제1가변밸브 124a : 차단부재
124b : 자석 124c : 힌지핀
130 : 흡기관 140 : 레조네이터
150 : 챔버 에어클리너 152 : 제2가변밸브
152a : 자석 152b : 차단부재
S : 스로틀바디

Claims (5)

  1. 차량의 중저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1에어덕트와 차량의 최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2에어덕트가 형성된 에어덕트;
    일측이 상기 제1에어덕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1에어덕트와 연결된 인접부위에 차량의 중고속 주행시 필요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제3에어덕트가 형성된 것으로, 내부에 에어필터가 구비된 메인 에어클리너;
    일단이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와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의 엔진 스로틀바디와 결합되는 흡기관;
    일측이 상기 제2에어덕트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흡기관과 연결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제2에어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필터가 구비된 챔버 에어클리너; 및
    상기 제2에어덕트와 챔버 에어클리너가 결합되는 부분 및 상기 제3에어덕트와 메인 에어클리너가 결합되는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흡기부압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제1가변밸브 및 제2가변밸브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와 스로틀바디를 연결하는 흡기관 상에는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레조네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변밸브는 상기 메인 에어클리너와 제3에어덕트가 결합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3에어덕트의 유입구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힌지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부재와,
    상기 차단부재의 일측 끝단과 상기 제3에어덕트 상에 설치되는 자석 및
    일단이 상기 차단부재에 위치하고 일단은 제3에어덕트의 유입구 상에 위치되어 흡입부압 발생시 상기 차단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 에어클리너는 상기 제2에어덕트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엔진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제2에어덕트와 흡기관을 연결하여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조네이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변밸브에 설치되는 자석은 상기 제1가변밸브에 설치되는 자석보다 자력이 더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가변 흡기시스템.
KR1020100039380A 2010-04-28 2010-04-28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KR101089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80A KR101089824B1 (ko) 2010-04-28 2010-04-28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380A KR101089824B1 (ko) 2010-04-28 2010-04-28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44A KR20110119944A (ko) 2011-11-03
KR101089824B1 true KR101089824B1 (ko) 2011-12-08

Family

ID=45391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380A KR101089824B1 (ko) 2010-04-28 2010-04-28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98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82B1 (ko) * 2012-02-29 2014-04-08 현대자동차(주) 엔진의 가변 흡기계 장치
KR200477778Y1 (ko) * 2014-02-17 2015-07-21 주식회사 리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흡기덕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285B1 (ko) * 2014-05-19 2015-12-22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변 밸브가 적용된 가변 흡기 시스템
US10024279B2 (en) 2015-04-08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of engine room in vehicle
KR101704261B1 (ko) * 2015-04-08 2017-0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엔진룸의 냉각성능 개선장치
KR101896776B1 (ko) 2016-10-06 2018-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소음이 저감되는 가변흡기 장치
KR20210117454A (ko) * 2020-03-19 2021-09-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가변 흡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509B1 (ko) 1999-12-31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공기 과급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9509B1 (ko) 1999-12-31 2006-03-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 공기 과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282B1 (ko) * 2012-02-29 2014-04-08 현대자동차(주) 엔진의 가변 흡기계 장치
KR200477778Y1 (ko) * 2014-02-17 2015-07-21 주식회사 리한 차량용 에어클리너의 흡기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944A (ko) 2011-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824B1 (ko) 차량용 가변 흡기시스템
JP5047352B2 (ja) 排気ターボ過給機のハウジング構造
US9617998B2 (en) Roots-style blower with leakage mechanisms
US20100083928A1 (en) Intake system f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5308303A (zh) 湍振升压下气动压缩机再循环阀系统
JP2011106445A (ja) エンジンの可変吸気ダクト構造
EP3014097B1 (en) Air intake arrangement for engine
CN102337992B (zh) 可变进气类型的空气滤清器
CN108678877B (zh) 用于发动机的空气预滤器及空气滤清系统
CN104919170B (zh) 带增压器的内燃机
KR20200095865A (ko) 공기 정화 장치
CN201753632U (zh) 电动涡轮增压器
CN205477913U (zh) 一种电动涡轮增压器
KR20090007011A (ko) 차량용 레조네이터
JP6639880B2 (ja) 渦流ポンプ
JP6594750B2 (ja) 渦流ポンプ
CA2701799A1 (en) Controlled flow air precleaner
CN201858055U (zh) 一种汽车空气滤清器滤芯
KR100807058B1 (ko) 공압식 능동 자연 흡기 장치
CN201457029U (zh) 摩托车低噪声进气过滤器
KR100339810B1 (ko) 자동차용 에어 클리너와 흡기 매니폴드의 통합장치
CN101554903A (zh) 摩托车空气滤清器
JP5983530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20070023124A (ko) 내연기관의 흡기 제어장치
KR20030032412A (ko) 공기청정기의 공기 흡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