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174B1 - 토크센서 - Google Patents

토크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174B1
KR101088174B1 KR1020110057292A KR20110057292A KR101088174B1 KR 101088174 B1 KR101088174 B1 KR 101088174B1 KR 1020110057292 A KR1020110057292 A KR 1020110057292A KR 20110057292 A KR20110057292 A KR 20110057292A KR 101088174 B1 KR101088174 B1 KR 101088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input shaft
auxiliary
fixed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7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동서콘트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콘트롤(주) filed Critical 동서콘트롤(주)
Priority to KR1020110057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1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Abstract

본 발명은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이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와 개방면이 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일측면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축의 개방부와 개방면과 대응되는 공간부와 밀착면이 형성된 보조축으로 구성된 입력축과, 내측으로 상기 입력축의 고정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고정축의 개방면, 보조축의 밀착면이 밀착되는 돌출턱이 돌출되며 삽입홈의 주위로 보조돌출부가 형성된 전달축, 상기 전달축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조전달축으로 구성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사이로 위치되며 내부에 입력축의 고정축과 보조축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입력축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원둘레를 따라 레일홈이 형성된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의 레일홈에 결합되는 고정대와 중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외부의 회전력을 입력받고 출력하는 입력축, 출력축, 중간축을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입력축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나선형태의 바닥면을 통해 중간축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입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센서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토크센서{The torque sensor}
본 발명은 토크센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산업기계, 차량 및 전동차량의 축의 회전력을 검출할 때, 중간축이 입력축에 형성된 나사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된 홈을 통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어 중간축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됨으로써, 축의 회전력을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걸림부가 형성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중간축이 회전하면서 이동한 후, 원활하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토크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산업기계, 차량 및 전동차량에서 축의 회전력을 검출할 때 사용되는 토크센서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번호 제10-1034633호와 같이 입력축과 출력축에 중간축을 결합시키고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중간축이 출력축에서 회전하면서 이동하도록 하여 입력축의 회전력을 중간축이 전달받아 그 값을 센서장치로 전송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입력축, 출력축에 중간축이 결합되고, 중간축이 입력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동한 후, 입력축에 형성된 고정볼트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볼트가 입력축이나 출력축 등에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고 흔들리게 되면서 탄성력에 한계가 발생하게 되어 중간축이 제대로 복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중간축을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판스프링으로 사용할 경우 판스프링을 고정시키기 불편하였으며, 판스프링이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을 경우 판스프링이 입력축이나 출력축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중간축이 출력축에 결합되어 회전하게 될 때, 중간축과 출력축에 형성된 홈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중간축과 출력축이 비스듬하게 결합될 경우, 중간축이 출력축에서 제대로 회전하지 못하면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입력축과 출력축, 중간축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센서는 일측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결합축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슬라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홈의 바닥면이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돌출부가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와 개방면이 형성된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의 일측면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축의 개방부와 개방면과 대응되는 공간부와 밀착면이 형성된 보조축으로 구성된 입력축과, 내측으로 상기 입력축의 고정축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서 상기 고정축의 개방면, 보조축의 밀착면이 밀착되는 돌출턱이 돌출되며 삽입홈의 주위로 보조돌출부가 형성된 전달축, 상기 전달축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조전달축으로 구성된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과 출력축의 사이로 위치되며 내부에 입력축의 고정축과 보조축이 삽입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입력축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어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돌출부가 형성되며, 원둘레를 따라 레일홈이 형성된 중간축과, 상기 중간축의 레일홈에 결합되는 고정대와 중간축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센서는 외부의 회전력을 입력받고 출력하는 입력축, 출력축, 중간축을 간편하게 조립, 분해할 수 있으며, 입력축에 형성된 슬라이드홈과 나선형태의 바닥면을 통해 중간축이 원활하게 이동하게 되어 입력축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센서부로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입력축, 출력축, 중간축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되면 회전스프링에 형성된 제1, 2지지대에 의해 일정간격 회전하게 된 후, 개방면, 밀착면이 밀착되게 되면서 입력축, 출력축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어 회전스프링의 탄성의 저하를 예방할 수 있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이 원활하게 원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입력축과 출력축에는 스프링이 위치되어 있어, 입력축과 출력축이 일정하게 탄성을 유지하게 됨으로써, 중간축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에 돌출부와 보조돌출부에 의해 스프링이 흔들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덧붙여, 입력축과 출력축에 베어링이나 커버 등을 추가로 결합하여 입력축, 출력축이 원활하게 회전하면서도 오일 등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의 고정대를 금속재로 제작함으로써, 중간축의 회전에 따른 고정대의 움직임에 따른 자기장의 변환을 센서부가 더욱 명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중간축의 감지오차율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입력축과 출력축에 형성된 고정축, 보조축, 삽입홈에 의해 입력축의 회전력을 출력축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이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어 흔들림의 오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중간축의 슬라이드돌출부가 입력축의 슬라이드홈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드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토크센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토크센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토크센서(100)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0), 출력축(20), 중간축(30), 센서부(4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입력축(10)은 일측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결합축(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홈(12)의 바닥면(12a)이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돌출부(13)가 형성된 회전축(14)과, 상기 회전축(14)에 연결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5a)와 개방면(15b)이 형성된 고정축(15)과, 상기 고정축(15)의 일측면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축(15)의 개방부(15a)와 개방면(15b)과 대응되는 공간부(16a)와 밀착면(16b)이 형성된 보조축(1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20)은 내측으로 상기 입력축(10)의 고정축(15)이 삽입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1)에서 상기 고정축(15)의 개방면(15b), 보조축(16)의 밀착면(16b)이 밀착되는 돌출턱(22)이 돌출되며 삽입홈(21)의 주위로 보조돌출부(23)가 형성된 전달축(24), 상기 전달축(2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조전달축(25)으로 구성된다.
덧붙여, 상기 돌출턱(22)은 입력축(10)의 고정축(15), 보조축(16)에 형성된 개방부(15a)와 공간부(16a)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축(30)은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사이로 위치되며 내부에 입력축(10)의 고정축(15)과 보조축(16)이 삽입되는 관통홈(3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입력축(10)의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어 바닥면(12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돌출부(32)가 형성되며, 원둘레를 따라 레일홈(33)이 형성된다.
덧붙여, 상기 센서부(40)는 상기 중간축(30)의 레일홈(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가 형성되되 중간축(3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출력축(20)의 삽입홈(21)에는 고정축(15)의 개방면(15b)과 보조축(16)의 밀착면(16b)에 밀착되는 제1지지대(s1)와 제2지지대(s2)가 형성된 회전스프링(s)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출력축(20)의 삽입홈(21)에는 입력축(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베어링(26)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에 베어링(b)을 더 포함하여 결합함으로써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으며, 커버(k)를 추가로 결합하여 오일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중간축(30)의 양측으로 스프링(sp)이 고정되는 탄성고정부(m)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축(10)에 형성된 고정축(15)에 스프링(sp)을 결합하도록 하면서 상기 스프링(sp)이 돌출부(13)에 밀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13)는 입력축(10)과 중간축(30)이 결합될 때, 입력축(10)과 중간축(30)이 서로 밀착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하면서, 스프링(sp)과 회전축(14)이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입력축(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축(10)의 고정축(15)과 보조축(16)을 중간축(30)의 관통홈(31)에 삽입하도록 하는데, 상기 중간홈(30)에 형성된 슬라이드돌출부(32)를 입력축(10)의 회전축(14)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에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중간축(30)의 양측에 형성된 탄성고정부(m)에 상기 입력축(10)의 고정축(15)에 결합된 스프링(sp)의 타측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스프링(sp)이 타측이 상기 탄성고정부(m)에 결합되도록 하여 스프링(sp)이 휘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하면서, 스프링(sp)이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고 입력축(10)과 중간축(30)의 사이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 후, 상기 고정축(15)에 중간축(30)을 결합한 후, 중간축(30)의 타측에 형성된 탄성고정부(m)에 상기와 같이 다른 스프링(sp)을 결합하도록 하면서, 중간축(30)이 결합된 입력축(10)의 보조축(16)에 회전스프링(s)을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스프링(s)을 보조축(16)에 결합하게 되면 상기 고정축(15)의 개방면(15b)과 보조축(16)의 밀착면(16b)에 회전스프링(s)의 제1지지대(s1)와 제2지지대(s2)가 위치되도록 하면서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보조축(16)에 보조베어링(26)을 결합하면서 상기 출력축(20)의 삽임홈(21)에 고정축(15)과 보조축(16)을 결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축(15)과 보조축(16)에 결합된 회전스프링(s)의 제1지지대(s1)과 제2지지대(s2)가 돌출턱(22)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상기 회전스프링(s)의 제1지지대(s1)와 제2지지대(s2)의 일측으로 고정축(15)의 개방면(15b)과 보조축(16)의 밀착면(16b)이 위치되고, 타측으로 출력축(20)의 돌출턱(22)이 위치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중간축(30)과 출력축(20)의 사이로 다른 스프링(sp)을 결합하도록 하는데, 스프링(s)의 일측은 중간축(30)의 타측에 형성된 탄성고정부(m)가 결합되도록 하고, 스프링(s)의 타측은 출력축(20)의 전달축(24)에 형성된 보조돌출부(23)에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고정부(m)와 보조돌출부(23)는 상술한 돌출부(13)과 탄성고정부(m)와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에 베어링(b)을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b)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볼베어링이나 다양한 종류의 베어링을 사용하면 되며, 베어링의 작용은 일반적인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입력축(10)에 중간축(30)을 결합한 후, 출력축(20)을 결합한 후에, 상기 출력축(30)에 형성된 레일홈(33)에 센서부(40)의 고정대(41)를 결합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40)에는 자석(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어 있어 입력축(10), 출력축(20)이 회전하게 되면서 중간축(30)이 좌, 우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중간축(30)에 결합된 센서부(40)의 고정대(41)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면서 센서부(40)에서 이동거리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본 출원인의 특허등록번호 제10-1034633호에 기재된 센서장치와 동일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센서부(40)의 고정대(41)를 금속재질로 제작하게 되면 센서부(40)에 형성된 자석이 고정대(41)의 움직임을 더욱 정확하면서도 원활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입력축(10), 출력축(20), 중간축(30)을 결합하고 센서부(40)를 중간축(30)에 결합할 때, 입력축(10)의 외측으로 커버(k)를 결합하면서 센서부(40)의 하측으로 다른 커버(k)가 위치하도록 하면서, 그 다른 커버(k)가 센서부(40)의 고정대(41)를 감싸도록 함과 동시에, 센서부(40)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입력축(10)에 형성된 결합축(11)을 핸들과 같은 회전력을 입력시키는 장치에 설치하도록 하고, 출력축(20)의 보조전달축(25)은 바퀴와 같이 차량, 기계장치 등의 축에 설치하면 되는 것이다.
이처럼, 입력축(10), 출력축(20), 중간축(30), 센서부(40)를 결합한 후, 사용자가 핸들 등을 시계방향이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 등에 결합된 입력축(10)이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입력축(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입력축(10)과 결합된 출력축(3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는, 입력축(10)의 고정축(15)과 보조축(16)이 출력축(20)의 삽입홈(21)에 삽입되면서 돌출턱(22)에 고정축(15)과 보조축(16)이 걸리게 되면서 입력축(10)과 출력축(20)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입력축(10)의 회전축(14)이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홈(12)의 바닥면(12a)에 위치된 중간홈(30)의 슬라이드돌출부(32)가 바닥면(12a)을 따라 입력축(10)이 회전된 반대방향으로 바닥면(12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중간축(30)이 좌측이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슬라이드돌출부(32)가 회전축(14)의 슬라이드홈(12)에 형성된 바닥면(12a)에 밀차되어 있게 되는데, 상기 바닥면(12a)는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돌출부(32)가 바닥면(12a)을 따라 비스듬하게 상측으로 올라가거나 하측으로 내려가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그래서, 상기 슬라이드돌출부(32)가 형성된 중간축(30)이 입력축(10)의 방향이나 출력축(20)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면서, 상기 중간축(30)의 레일홈(33)에 결합된 센서부(40)의 고정대(41)가 동시에 이동하게 되어, 센서부(40)가 그 이동을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41)는 레일홈(33)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 고정대(41)가 흔들리지 않고 정확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입력축(10)으로 가해졌던 힘이 사라지게 되면 입력축(10), 출력축(20), 중간축(30)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축(10)이 회전하게 되면서 고정축(15)과 보조축(16)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고정축(15)과 보조축(16)의 사이가 이격되어 있게 되는데 그 공간으로 회전스프링(s)이 위치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스프링(s)에 형성된 제1지지대(s1)과 제2지지대(s2)가 각각 일측의 개방면(15b)과 밀착면(16b)에 제1지지대(s1)가 결합되어 있고, 타측의 개방면(15b)과 밀착면(16b)에 제2지지대(s2)가 밀착되어 있으며, 출력축(20)에 형성된 일측의 돌출턱(22)과 타측의 돌출턱(22)이 각각 제1지지대(s1)와 제2지지대(s2)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그런 후, 입력축(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고정축(15)과 보조축(16)의 타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6b)에 위치된 회전스프링(s)의 제2지지대(s2)가 타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6b)에서 이격되면서 일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6b)의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회전하게 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 입력축(10)의 타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6b), 제2지지대(s2)가 출력축(20)의 일측에 위치된 돌출턱(22)이 밀착되면서 상기 출력축(20)도 입력축(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이 회전할 때, 회전스프링(s)이 입력축(10)의 개방면(15b), 밀착면(16b)과 돌출턱(22)의 사이로 위치하게 되는 이유는 입력축(10)과 출력축(20)이 회전하게 된 후,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제거되면 회전스프링(s)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고, 회전스프링(s)의 제2지지대(s2)가 일정각도 회전하다가 일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5b) 및 돌출턱(22)에 밀착되게 하는 이유는 회전스프링(s)으로만 회전하게 되면 회전스프링(s)의 탄성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어 회전스프링(s)이 파손될 수도 있으며, 타측의 개방면(15b), 밀착면(16b), 제2지지대(s2)가 출력축(20)의 일측에 위치된 돌출턱(22)이 밀착되면서 상기 출력축(20)도 입력축(1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스프링(s)은 회전하게 되면서 탄성을 발휘하는 것으로 태엽과 유사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다.
덧붙여,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에 의해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중간축(30)은 입력축(10)의 슬라이드홈(12)에 형성되는 바닥면(12a)이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어, 슬라이드돌출부(32)가 바닥면(12a)을 따라 상측방향이나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중간축(30)이 좌, 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바닥면(12a)이 단순히 곡면형태(동일한 직경)로만 형성되어 있게 되면, 슬라이드돌출부(32)가 입력축(10)의 회전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어 직선운동을 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센서부(40)의 고정대(41)가 좌, 우방향 등으로 이동하게 못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바닥면(12a)을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하게 되어 슬라이드돌출부(32)가 회전함과 동시에, 상, 하, 좌, 우로 이동하게 되어 중간축(30)이 좌, 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간축(30)이 좌측방향이나 우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 후, 외부에서 가해진 힘이 사라지게 되면, 스프링(sp)의 탄성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면서, 중간축(30)이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중간위치로 복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입력축(10)이 반대반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술한 바와 반대로 출력축(20) 및 중간축(30), 센서부(40)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10 : 입력축 11 : 결합축
12 : 슬라이드홈 13 : 돌출부
14 : 회전축 15 : 고정축
16 : 보조축 20 : 출력축
21 : 삽입홈 22 : 돌출턱
23 : 보조돌출부 24 : 전달축
25 : 보조전달축 30 : 중간축
31 ; 관통홈 32 : 슬라이드돌출부
33 : 레일홈 40 : 센서부
41 : 고정대
100 : 토크센서

Claims (5)

  1. 일측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결합축(1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축(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슬라이드홈(12)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드홈(12)의 바닥면(12a)이 나선형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돌출부(13)가 형성된 회전축(14)과, 상기 회전축(14)에 연결되며 일부가 개방된 개방부(15a)와 개방면(15b)이 형성된 고정축(15)과, 상기 고정축(15)의 일측면으로 이격되어 돌출되어 형성되며 고정축(15)의 개방부(15a)와 개방면(15b)과 대응되는 공간부(16a)와 밀착면(16b)이 형성된 보조축(16)으로 구성된 입력축(10);
    내측으로 상기 입력축(10)의 고정축(15)이 삽입되는 삽입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1)에서 상기 고정축(15)의 개방면(15b), 보조축(16)의 밀착면(16b)이 밀착되는 돌출턱(22)이 돌출되며 삽입홈(21)의 주위로 보조돌출부(23)가 형성된 전달축(24), 상기 전달축(24)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보조전달축(25)으로 구성된 출력축(20);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사이로 위치되며 내부에 입력축(10)의 고정축(15)과 보조축(16)이 삽입되는 관통홈(31)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입력축(10)의 슬라이드홈(12)에 삽입되어 바닥면(12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드돌출부(32)가 형성되며, 원둘레를 따라 레일홈(33)이 형성된 중간축(30);
    상기 중간축(30)의 레일홈(33)에 결합되는 고정대(41)와 중간축(30)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4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토크센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20)의 삽입홈(21)에는 고정축(15)의 개방면(15b)과 보조축(16)의 밀착면(16b)에 밀착되는 제1지지대(s1)와 제2지지대(s2)가 형성된 회전스프링(s)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토크센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20)의 삽입홈(21)에는 입력축(1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베어링(26)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토크센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축(10)과 출력축(20)에 베어링(b)을 더 포함하여 결합함으로써 입력축(10)과 출력축(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으며, 커버(k)를 추가로 결합하여 오일의 누수를 예방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토크센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축(30)의 양측으로 스프링(sp)이 고정되는 탄성고정부(m)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토크센서.
KR1020110057292A 2011-06-14 2011-06-14 토크센서 KR101088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92A KR101088174B1 (ko) 2011-06-14 2011-06-14 토크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7292A KR101088174B1 (ko) 2011-06-14 2011-06-14 토크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8174B1 true KR101088174B1 (ko) 2011-12-02

Family

ID=45505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7292A KR101088174B1 (ko) 2011-06-14 2011-06-14 토크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1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4884B2 (en) 2012-11-27 2014-12-09 Hyundai Motor Company Torque sensor
WO2018030575A1 (ko) * 2016-08-11 2018-02-15 주식회사 알에스기전 복합형 토오크센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04884B2 (en) 2012-11-27 2014-12-09 Hyundai Motor Company Torque sensor
WO2018030575A1 (ko) * 2016-08-11 2018-02-15 주식회사 알에스기전 복합형 토오크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8713B2 (ja) 電動弁
JP5734065B2 (ja)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6987667B2 (ja) インパクト工具
KR101251036B1 (ko) 자석을 이용한 밀폐구조용 수동회전 노브 장치
JP2007132819A (ja) 回転角度検出ユニット
CN104251661B (zh) 位置检测装置
WO2013146159A1 (ja) 位置検出装置
KR101088174B1 (ko) 토크센서
WO2018040672A1 (zh) 一种遥控器及其摇杆装置
JP5823165B2 (ja) 回転検出装置及びモータ
US20180059710A1 (en) Remote control and rocker device thereof
JP6783635B2 (ja) 駆動装置
JP2012221342A (ja) 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2009180499A (ja) 角度検出装置
US4893038A (en) Device for limiting direction of rotation of synchronous motor
JP5394361B2 (ja) 車両用電動ロック装置
JP3645508B2 (ja) モータ
JP2000155025A (ja) 回転型センサ
CN110268360A (zh) 摇轮遥控器阻尼结构和摇轮遥控器
JP2007120106A (ja) 引戸の揺れ止め防止具
JP2003237447A (ja) 回転ダンパ及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2013203176A (ja) 位置検出装置
JP2007032634A (ja) 逆入力遮断クラッチ
KR101168084B1 (ko) 캠 슬라이드형 토크센서
JP2004501331A (ja) 位置指示器を備えた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