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673B1 -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6673B1
KR101086673B1 KR1020110056659A KR20110056659A KR101086673B1 KR 101086673 B1 KR101086673 B1 KR 101086673B1 KR 1020110056659 A KR1020110056659 A KR 1020110056659A KR 20110056659 A KR20110056659 A KR 20110056659A KR 101086673 B1 KR101086673 B1 KR 101086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base
slope
reinforcing
dec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6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은
금창준
Original Assignee
(주)신승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승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신승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56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6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6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6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이 개시된다. 측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비탈면이 형성되는 지면의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으로서, 비탈면에 인접하는 지면 또는 비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을 천공하는 단계, 정착부가 구비된 일단이 보강공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보강공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을 보강공에 설치하는 단계, 보강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보강근의 타단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기둥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비탈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베이스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동로를 제공하도록 지지브라켓 상부에 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기둥의 길이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기둥에서 보강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expanding road for slope edge}
본 발명은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파일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파일에서 철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측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비탈면이 형성되는 제방도로, 산간도로, 하천변의 경우 사람이나 자전거 등이 다릴 수 있는 도로가 없거나 매우 좁게 형성되어 이용자들이 매우 불편하고 교통사고, 추락 등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비탈면에 보행로나 자전거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구조를 일부 제거하고 추가적인 성토를 해야 하는 등 많은 시공비용을 요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로 확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로 확장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파기를 하여 형성된 공간부의 바닥면에 보강공(150)을 형성한 후, 보강공(150)에 철근(510)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파일를 형성한다. 그리고, 보강공(150)에 삽입되는 철근(510)의 상부가 공간부의 바닥면(130)보다 일정 높이 노출되도록 하여 콘크리트 파일과 콘크리트 조성물을 서로 결속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조성물에는 보행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50)가 결합된다.
이러한 형태의 보행로 확장 구조는, 보행로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350)가 켄틸레버 형태로 비탈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됨으로 인해 자중과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에 인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따르면, 콘크리트 파일 내부에 설치되는 철근(510)의 외면과 콘크리트와의 마찰력은, 콘크리트 파일의 외면과 지반과의 마찰력보다 작아서 켄틸레버 형태의 보행로 자중과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에서 철근(510)이 뽑힐 수 있은 위험성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한편, 콘크리트 파일에 삽입되는 철근(510)이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더라도, 공간부의 바닥면 위로 노출된 철근(510)에서 콘크리트 파일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조성물이 이탈될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발력에 저항하기 위해 콘크리트 파일의 길이를 길게 형성하거나, 보강공 상부에 노출되는 철근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경우 재료비와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파일의 길이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파일에서 철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파일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측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비탈면이 형성되는 지면의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비탈면에 인접하는 지면 또는 상기 비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을 천공하는 단계; 정착부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보강공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보강공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압부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둥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동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 상기 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강근의 타단에 지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착부는, 상기 보강근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정착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압부는, 상기 보강근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지압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착부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콘헤드를 포함하는 정착헤드; 및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콘헤드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콘헤드의 외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콘헤드를 고정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앵커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헤드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근의 일단은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콘헤드가 상기 보강공의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정착헤드를 상기 보강공의 저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블레이드의 타단이 상기 콘헤드를 향하도록 상기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강근이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근의 외경보다 크며 길이가 상기 보강근의 길이보다 큰 항타파이프를 상기 보강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항타파이프의 상부를 항타하여 상기 콘헤드를 상기 헤드고정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근의 일단은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콘헤드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한 상기 보강근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헤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앵커블레이드의 타단는 상기 보강공의 측벽에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잔골재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잔골재 상에 포장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 잔골재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부직포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유수가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와이어 메쉬가 이격되도록 스페이셔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 메쉬가 설치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기둥의 길이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기둥에서 철근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기둥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행로 확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순서도.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바닥부 형성 방법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지면(12), 비탈면(14), 터파기부(16), 보강공(18), 보강근(20), 지압부(22), 너트(24), 지압판(26), 정착부(28), 콘크리트 기둥(34), 콘크리트 파일(35), 콘크리트 베드(36), 철근(38), 콘크리트 베이스(40), 지지브라켓(42), 골형부(43), 케미컬 앵커(44), 마루부(45), 데크 플레이트(46), 충진재(48), 부직포(50), 잔골재(52), 포장블록(54), 난간(56), 받침 콘크리트(58), 제1 베이스(60), 콘헤드(62), 삽입공(61), 정착헤드(63), 제2 베이스(64), 헤드고정부(65), 앵커블레이드(66), 핀(68), 경사면(70), 단턱(72), 항타파이프(74)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은, 측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비탈면(14)이 형성되는 지면(12)의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으로서, 비탈면(14)에 인접하는 지면(12) 또는 비탈면(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18)을 천공하는 단계, 정착부(28)가 구비된 일단이 보강공(18)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보강공(18)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20)을 보강공(18)에 설치하는 단계, 보강공(18)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34)을 형성하는 단계, 보강근(20)의 지압부(22)가 내부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기둥(3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하는 단계, 비탈면(14) 상부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베이스(40)에 지지브라켓(42)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동로를 제공하도록 지지브라켓(42) 상부에 지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콘크리트 기둥(34)의 길이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콘크리트 기둥(34)에서 보강근(20)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34)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을 살펴 보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14)에 인접하는 지면(12) 또는 비탈면(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18)을 천공한다(S100). 비탈면(14)은 제방도로, 산간도로, 하천변의 측단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경사진 면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경사진 면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경사가 없이 거의 직벽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지면(12)은 제방도로의 상단면, 산간도로의 상단면, 하천변의 상단면으로서, 차량이 다니는 도로일 수 있으며, 나무가 식재된 평탄한 면일 수 있다.
지면(12)과 인접한 비탈면(14)의 상단부를 일부 제거하여 평탄한 바닥면을 갖는 터파기부(16)를 형성하고 터파기부(16)의 바닥면에서 지반을 향하여 보강공(18)을 천공한다. 비탈면(14)과 인접한 지면(12)에서 지반 방향으로 보강공(18)을 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강공(18)은 콘크리트 파일(35)을 형성하기 위해 천공되는 것으로, 비탈면(14)에 인접한 지면(12) 또는 비탈면(14)에 길이 방향으로 따라 설계된 간격을 가지고 복수로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착부(28)가 구비된 일단이 보강공(18)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보강공(18)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20)을 보강공(18)에 설치한다(S200). 콘크리트 기둥(34)과 보강근(20)으로 구성되는 콘크리트 파일(35)이 형성된 경우, 정착부(28)는 콘크리트 기둥(34)에 대하여 보강근(20)의 인발에 저항한다. 보강근(20)으로서는 강봉, 철근 등 구조용 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근(20)으로서 철근을 사용한 형태를 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는, 제1 베이스(60)와, 제1 베이스(60)에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콘헤드(62)를 포함하는 정착헤드(63)와; 제2 베이스(64)와, 제2 베이스(64)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제2 베이스(64)에 결합되며, 타단에 콘헤드(62)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콘헤드(62)의 외면에 상응하는 경사면(70)이 형성되고, 삽입된 콘헤드(62)를 고정하도록 단턱부(72)가 형성되는 앵커블레이드(66)를 구비하는 헤드고정부(65)를 포함한다.
정착헤드(63)의 제1 베이스(60) 또는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 중 어느 하나는 보강공(18)의 저면에 놓일 수 있으며, 정착헤드(63)의 제1 베이스(60) 또는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 중 나머지 하나는 보강근(20)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헤드(62)가 보강공(18)의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정착헤드(63)의 제1 베이스(60)가 보강공(18)의 저면에 놓이고,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콘헤드(62)를 향하도록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에 보강근(20)의 일단이 결합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로 정착헤드(63)의 제1 베이스(60)에 보강근(20)의 일단이 결합되고,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가 보강공(18)의 저면에 놓이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블레이드(66)은 제2 베이스(64)에 대해 외측 또는 내측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헤드고정부(65)는 강화 플라스틱 또는 강재 등로 제작될 수 있다.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경우 강화 플라스틱의 고유 탄성을 이용하여 앵커블레이드(66)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강재 등으로 제작된 경우에는 제2 베이스(64)에 앵커블레이드(66)의 일단이 핀(68) 등으로 힌지결합되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앵커블레이드(66)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미도시)를 개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콘헤드(62)가 보강공(18)의 상부를 향하여 배치되도록 정착헤드(63)의 제1 베이스(60)가 보강공(18)의 저면에 놓이고,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콘헤드(62)를 향하도록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에 보강근(20)의 일단이 결합된 경우, 보강근(20)의 일단은 제2 베이스(64)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제2 베이스(6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상응하여 콘헤드(62)에는 제2 베이스(64)를 관통한 보강근(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6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근(20)의 타단에는 지압부(22)를 설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압부(22)는, 보강근(20)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지압판(26)을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를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콘헤드(63)가 보강공(18)의 상부를 향하도록 정착헤드(63)를 보강공(18)에 삽입하고, 헤드고정부(65)의 앵커블레이드(66)가 콘헤드(63)를 향하도록 보강근(20)을 보강공에 삽입한다. 이때, 헤드고정부(65)의 제2 베이스(64)를 관통한 보강근(20)의 일단은 일부가 콘헤드(62)의 삽입공(6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보강근(2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고 보강근(20)의 길이 보다 긴 길이를 갖는 항타파이프(74)를 보강근(20)이 항타파이프(74)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항타파이프(74)를 보강공(18)에 삽입하고 항타파이프(74)의 상단을 항타한다. 항타파이프(74)의 항타에 따라 콘헤드(62)가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에 형성된 경사면(70)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앵커블레이드(66)가 벌어지게 되고 보강근(20)의 일단이 콘헤드(62)의 삽입공(61)에 삽입되면서 콘헤드(62)가 헤드고정부(65)에 삽입된다. 삽입공(61)은 항타에 따른 콘헤드(63)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콘헤드(62)가 완전히 헤드고정부(65)에 삽입되면 앵커블레이드(66)가 오므려지면서 앵커블레이드(66) 타단에 형성된 단턱부(72)가 콘헤드(62)의 단부와 맞물리면서 콘헤드(62)를 고정하게 된다.
이후 항타파이프(74)를 제거하고 보강근(20)의 타단에 지압판(26)을 결합한다(도 6 참조). 보강근(20)의 타단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체결홀을 갖는 지압판(26)을 수나사부에 삽입한 후 너트(24)를 체결하여 지압판(26)을 보강근(20)의 타단에 고정할 수 있다.
보강공(18)이 천공되는 지반이 토사 등으로 이루어져 연약한 경우 보강공(18)의 저면에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하여 미리 받침 콘크리트(58)를 제작하여 항타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 파일(35)과 주변 지반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콘헤드(62)의 삽입에 따라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보강공(18)의 측벽에 압입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콘헤드(62)가 헤드고정부(65)에 삽입되어 앵커블레이드(66)가 벌어진 경우 복수의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형성하는 가상의 면이 보강공(18)의 내경 보다 크도록 구성하여, 콘헤드(62)의 삽입에 따라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보강공(18)의 내벽에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앵커블레이드(66)의 타단이 보강공(18)의 내벽에 대해 쐐기로 작용하여 콘크리트 파일(35)과 주변 지반의 마찰력을 증가시키게 되어 콘크리트 파일(35)의 인발력에 저항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42)은 콘크리트 베이스(40)에 켄틸레버 형태로 결합되는데, 지지브라켓(42), 바닥부 등의 자중과 사람과 자전거 등의 이동하중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35)에는 큰 인발력이 작용하게 된다(도 11 참조).
보강공(18)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파일(35)을 형성하는 경우 굳지 않은 콘크리트가 지반의 틈 등으로 유입되어 양생 후 콘크리트 파일(35)과 지반과의 마찰력은 크게 증대될 수 있다. 그러나, 보강근(20)과 콘크리트 기둥(34)의 마찰력은 콘크리트 파일(35)과 지반과의 마찰력 보다 작아 상술한 큰 인발력으로 인해 콘크리트 파일(35)에서 보강근(20)이 뽑힐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기둥(34)에 삽입되는 보강근(20)이 인발력에 저항할 수 있더라도, 보강공(18) 상부에 노출되는 보강근(20)의 길이가 짧아 콘크리트 기둥(34)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40)가 콘크리트 파일(35)에서 이탈될 우려가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강근(20)의 일단에는 정착부(28)를 두고, 보강근(20)의 타단에는 지압부(22)를 두어, 정착부(28)는 인발에 저항하고 지압부(22)는 콘크리트 파일(35)과 콘크리트 베이스(40)를 결속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정착부(28)와 지압부(22)를 통하여 콘크리트 파일(35)의 지반에 대한 인발에 저항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콘크리트 파일(35)의 형성 깊이를 줄일 수 있어 재료비와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공(18)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34)을 형성한다(S300). 정착부(28)가 구비된 보강근(20)의 일단이 보강공(18) 내부에 위치하고 지압부(22)가 구비된 보강근(20)의 타단이 보강공(18)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20)을 보강공(18)에 삽입시킨 후 보강공(18) 내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34)을 형성한다. 이로써, 보강근(20)과 콘크리트 기둥(34)으로 구성된 콘크리트 파일(35)이 완성된다. 이때, 콘크리트 베이스(40)의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등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보강공(18)에 상부에 콘크리트 베드(36)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공(18) 상부에 노출된 보강근(20)의 타단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콘크리트 기둥(34)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한다(S400). 이에 따라 콘크리트 기둥(34)과 콘크리트 베이스(40)가 서로 결속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하기 이전에 보강공(18) 상부에 노출된 보강근(20)의 타단에 미리 지압부(22)를 설치한 형태로서, 보강공(18) 상부에 노출된 보강근(20)의 지압부(22)가 콘크리트 베이스(40) 내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 베이스(40)와 콘크리트 파일(35)의 결속력을 강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베드(36) 위에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하는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콘크리트 베드(36)를 형성하지 않고 보강공(18) 상부에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계에 따라 철근(38)을 조립하고 그 외측에 거푸집을 형성한 후 거푸집 내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할 수 있다.
콘크리트 베이스(40)에는 이후 설명할 지지브라켓(42)이 결합되는데 지지브라켓(42)이 켄틸레버 형태로 비탈면(14)의 상부에 돌출되므로 켄틸레버 작용에 의해 콘크리트 파일(35)에는 콘크리트 파일(35)을 지반에서 뽑아 내려는 인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인발력을 줄이기 위해 콘크리트 베이스(40)의 중량을 크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14) 상부에 돌출되도록 콘크리트 베이스(40)에 지지브라켓(42)을 결합한다(S500). 지지브라켓(42)을 콘크리트 베이스(4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앵커볼트, 케미컬 앵커(44)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커플러의 일단이 거푸집 면에 접하도록 거푸집에 부착하여 놓고 콘크리트 베이스(40)를 형성한 후, 콘크리트 베이스(40)에 지지브라켓(42)을 배치하고 커플러의 암나사부에 고장력 볼트로 나사결합하여 지지브라켓(42)을 콘크리트 베이스(40)에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콘크리트 타설을 하기 전에 커플러의 타단에는 인발에 저항할 수 있도록 정착장치를 부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브라켓(42)은 상부 플랜지, 웨브 및 하부 플랜지로 구성된 I형 강재 형태로서, 일단을 콘크리트 베이스(40)에 부착되어 고정단을 형성하고 타단은 자유단을 형성하여 켄틸레버 형태로 형태로 콘크리트 베이스(40)에 부착된다. 지지브라켓(42)은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이 축소되는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베이스(40)와의 결합부에서 가장 큰 모멘트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콘크리트 베이스(40)와의 결합력을 강하하기 위해 지지브라켓(42)의 일단에서 상부 플랜지가 콘크리트 베이스(40) 상부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연장된 상부 플랜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어 있고 앵커볼트나 케미컬 앵커(44)를 통하여 연장된 상부 플랜지를 콘크리트 베이스(40) 상면에 결합할 수 있다. 지지브라켓(42)은 지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콘크리트 베이스(40)에 복수로 결합된다. 지지브라켓(42)의 타단에는 확장 도로 이용 시 사람이나 자전거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난간(56)이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브라켓(42)은 이러한 I형 강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박스형 강재 등 다양한 형태의 구조 강재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로를 제공하도록 지지브라켓(42) 상부에 지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부를 형성한다(S600). 바닥부는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형성되어 지지브라켓(42)에 의해 지지되며,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사람이나 자전거의 이동로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먼저, 골형부(43)가 지지브라켓(42)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6)를 배치한다. 데크 플레이트(46)는 골형부(43)와 마루부(45)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구조용 플레이트로서, 골형부(43)가 지지브라켓(42)의 길이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결합된다. 다음에, 데크 플레이트(46)의 골형부(43)에 충진재(48)를 충진한다. 데크 플레이트(46)의 마루부(45)와 동일 높이까지 충진재(48)를 데크 플레이트(46)의 골형부(43)에 충진한다. 충진재(48)를 골형부(43)에 충진하는 방법으로는, 굵은 골재를 골형부(43)에 포설하거나, 골형부(43)의 단면과 동일 단면을 갖는 탄성블록, 투수블록, EPS(Expanded PolyStyrene) 블록을 제작하여 이를 골형부(43)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충진재(48)가 충진된 데크 플레이트(46)의 상부에 모래 등의 잔골재(52)를 포설하고 평탄면을 형성한다. 다음에, 잔골재(52) 상에 포장블록(54)을 배치한다. 고무 등으로 제조되는 탄성블록, 시멘트 블록, 투수블록 등 사용자의 형태에 맞게 선정된 포장블록(54)을 평탄면이 형성된 잔골재(52) 상에 배치한다.
한편, 충진재(48)가 충진된 데크 플레이트(46) 위에 부직포(50)를 깔고 그 위에 잔골재(52)를 포설하여 잔골재(52)가 충진재(48) 사이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46)에는 배수공을 형성하여 우천시 포장블록(54) 사이로 스며드는 유수를 비탈면(14)으로 배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골형부(43)가 지지브라켓(42)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6)를 배치하는 단계; 데크 플레이트(46)의 골형부(43)에 충진재(48)를 포설하는 단계; 충진재(48)가 충진된 데크 플레이트(46)의 상부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골형부(43)에 충진재(48)가 충진된 후 잔골재(52)를 포설하지 않고 충진재(48)가 충진된 데크 플레이트(46)에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을 수행하여 바닥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바닥부 형성 방법의 변형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브라켓(42), 데크 플레이트(46), 스페이셔(76), 와이어 메쉬(78), 콘크리트 포장(8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닥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변형례로서, 본 변형례는, 골형부가 지지브라켓(42)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6)를 배치하는 단계; 데크 플레이트(46) 상부에 와이어 메쉬(78)를 설치하고, 데크 플레이트(46)와 와이어 메쉬(78)가 이격되도록 스페이셔(76)를 설치하는 단계 및 와이어 메쉬(78)가 설치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46)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골형부가 지지브라켓(42)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지지브라켓(42)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46)를 배치하고, 데크 플레이트(46) 상부에 와이어 메쉬(78)를 설치한다. 그리고, 데크 플레이트(46)와 와이어 메쉬(78)가 서로 이격되도록 스페이셔(76)를 개재한다. 데크 플레이트(46)와 와이어 메쉬(78)의 이격 거리는 상부에 포장되는 콘크리트 포장(80)의 두께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데크 플레이트(46) 상부에 와이어 메쉬(78)가 설치되면 콘크리트 포장(80)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다.
와이어 메쉬(78)는, 종방향 철선과 횡방향 철선이 교차되도록 제작되는 것으로 공장에서 제작된 와이어 메쉬를 사용할 수 있으나, 현장에서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이 교차되도록 배근하여 와이어 메쉬(78)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면(12), 비탈면(14), 보강공(18), 보강근(20), 지압부(22), 너트(24, 32), 지압판(26), 정착부(28), 정착판(30), 콘크리트 기둥(34), 콘크리트 파일(35), 콘크리트 베드(36), 철근(38), 콘크리트 베이스(40), 브라켓(42), 골형부(43), 케미컬 앵커(44), 마루부(45), 데크 플레이트(46), 충진재(48), 부직포(50), 잔골재(52), 포장블록(54), 난간(56)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착부로서 정착헤드와 헤드고정부를 사용한 형태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부로서 정착판(30)을 사용한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정착부(28)는, 보강근(20)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정착판(30)을 포함하고, 지압부(22)는, 보강근(20)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지압판(26)을 포함한다. 보강근(20)의 단부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삽입공을 갖는 정착판(30) 또는 지압판(26)을 수나사부에 삽입한 후 너트(24, 32)를 체결하여 정착판(30) 또는 지압판(26)을 보강근(20)의 단부에 고정할 수 있다.
비탈면(14)에 인접하는 지면(12) 또는 비탈면(14)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18)을 천공한 후, 정착판(30)이 구비된 보강근(20)의 일단이 보강공(18) 내부에 위치하고 지압판(26)이 구비된 보강근(20)의 타단이 보강공(18)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20)을 보강공(18)에 삽입한다. 이 후, 보강공(18)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34)을 형성한다. 정착판(30)과 지압판(26)은 보강근(20)의 단면에 비해 큰 단면을 갖게 되는데, 이러한 단면은 콘크리트 기둥(34)과 콘크리트 베이스(40)에 대해 지압면으로 작용하여 콘크리트 기둥(34)에서 보강근(20)이 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콘크리트 기둥(34)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 베이스(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의 구성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2 : 지면 14 : 비탈면
16 : 터파기부 18 : 보강공
20 : 보강근 22 : 지압부
24, 32 : 너트 26 : 지압판
28 : 정착부 30 : 정착판
34 : 콘크리트 기둥 35 : 콘크리트 파일
36 : 콘크리트 베드 38 : 철근
40 : 콘크리트 베이스 42 : 지지브라켓
43 : 골형부 44 : 케미컬 앵커
45 : 마루부 46 : 데크 플레이트
48 : 충진재 50 : 부직포
52 : 잔골재 54 : 포장블록
56 : 난간 58 : 받침 콘크리트
60 : 제1 베이스 62 : 콘헤드
63 : 정착헤드 64 : 제2 베이스
65 : 헤드고정부 66 : 앵커블레이드
68 : 핀 70 : 경사면
72 : 단턱 74 : 항타파이프
76 : 스페이셔 78 : 와이어 메쉬
80 : 콘크리트 포장

Claims (12)

  1. 측단에 길이 방향을 따라 비탈면이 형성되는 지면의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 비탈면에 인접하는 지면 또는 상기 비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공을 천공하는 단계;
    정착부가 구비된 일단이 상기 보강공 내부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보강공의 상부에 노출되도록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보강공에 콘크리트를 충전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강공 상부에 노출된 상기 보강근의 타단이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콘크리트 기둥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콘크리트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비탈면 상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에 지지브라켓을 결합하는 단계; 및
    이동로를 제공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 상부에 상기 지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부는,
    제1 베이스와, 상기 제1 베이스에 결합되며 외측을 향하여 단면이 축소되는 콘헤드를 포함하는 정착헤드; 및
    제2 베이스와, 상기 제2 베이스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일단이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며, 타단에 상기 콘헤드의 삽입에 따라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상기 콘헤드의 외면에 상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삽입된 상기 콘헤드를 고정하도록 단턱부가 형성되는 앵커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헤드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베이스를 형성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보강근의 타단에 지압부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부는,
    상기 보강근에 대해 단면이 확대되는 지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근의 일단은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콘헤드가 상기 보강공의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정착헤드를 상기 보강공의 저면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앵커블레이드의 타단이 상기 콘헤드를 향하도록 상기 보강근을 상기 보강공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보강근이 삽입되도록 상기 보강근의 외경보다 크며 길이가 상기 보강근의 길이보다 큰 항타파이프를 상기 보강공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항타파이프의 상부를 항타하여 상기 콘헤드를 상기 헤드고정부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근의 일단은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제2 베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콘헤드에는 상기 제2 베이스를 관통한 상기 보강근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헤드의 삽입에 따라 상기 앵커블레이드의 타단는 상기 보강공의 측벽에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잔골재를 포설하는 단계; 및
    상기 잔골재 상에 포장블록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에 잔골재의 유출을 방지하도록 부직포를 포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기 골형부에 충진재를 충진하는 단계;
    상기 충진재가 충진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아스팔트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에는 유수가 배수되는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골형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의 횡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부에 데크 플레이트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데크 플레이트 상부에 와이어 메쉬를 설치하고, 상기 데크 플레이트와 상기 와이어 메쉬가 이격되도록 스페이셔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와이어 메쉬가 설치된 상기 데크 플레이트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KR1020110056659A 2011-06-13 2011-06-13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KR101086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59A KR101086673B1 (ko) 2011-06-13 2011-06-13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6659A KR101086673B1 (ko) 2011-06-13 2011-06-13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6673B1 true KR101086673B1 (ko) 2011-11-24

Family

ID=4539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6659A KR101086673B1 (ko) 2011-06-13 2011-06-13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667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23B1 (ko) 2011-11-25 2012-06-21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6-02-29 이경표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KR101703815B1 (ko) 2016-11-29 2017-02-22 이경표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설치구조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2087554B1 (ko) *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CN115012263A (zh) * 2022-06-02 2022-09-06 江苏众智交通创新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刚性路面拼宽时硬路肩开挖台阶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16B1 (ko) * 2004-04-13 2006-06-22 이근희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862387B1 (ko) * 2008-04-02 2008-10-13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005469B1 (ko) *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416B1 (ko) * 2004-04-13 2006-06-22 이근희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862387B1 (ko) * 2008-04-02 2008-10-13 주식회사 신도이엔아이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KR101005469B1 (ko) * 2010-07-29 2011-01-05 주식회사 남광이앤씨 보행로 확장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23B1 (ko) 2011-11-25 2012-06-21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6-02-29 이경표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KR101757427B1 (ko) * 2016-09-01 2017-07-26 휴먼이엔씨주식회사 강관을 이용한 친환경 켄틸레버 인도교 및 그 인도교의 형성 방법
KR101703815B1 (ko) 2016-11-29 2017-02-22 이경표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제작방법 및 그 캔틸레버 합성거더의 설치구조
KR102087554B1 (ko) * 2019-08-27 2020-04-09 (주)신승이앤씨 지중장애물 구간에 설치가 용이한 법면 확장 인도교 및 그의 시공 방법
CN115012263A (zh) * 2022-06-02 2022-09-06 江苏众智交通创新产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刚性路面拼宽时硬路肩开挖台阶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6673B1 (ko)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KR100799358B1 (ko)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023660B1 (ko) 앵커와 콘크리트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111411637B (zh) 高陡地形泡沫混凝土轻质路堤结构及施工方法
KR101241566B1 (ko) 띠장 겸용 캡 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KR101363878B1 (ko) 가설구조와 본구조의 합벽식 공법을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KR101167183B1 (ko) 파형강판 구조물
KR102468702B1 (ko) 비탈면 보강용 매립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05469B1 (ko) 보행로 확장방법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1158523B1 (ko)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된 도로확장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확장 시공방법
CN108589769A (zh) 一种超长嵌岩t形组合式柱板高挡墙施工方法
KR101021137B1 (ko)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확장 보도용 프리캐스트 블록, 이를 이용한 확장 보도 및 그 시공 방법
KR100862387B1 (ko)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을 위한 긴장용 키트와이를 이용한 지압형 영구 앵커의 탑다운 시공 방법
JP2004353267A (ja) 永久アンカーが施工された壁構造の構築方法、この方法で構築された壁構造
KR100919921B1 (ko) 패널을 이용한 옹벽 및 그 시공방법
JPH10317381A (ja) 擁壁による法面の保護構造及びその構築方法
JP3856791B2 (ja) 張出歩道の敷設方法
KR100884391B1 (ko) 옹벽 상단의 배수기능을 보강한 보강토 옹벽 및 이 시공방법
KR100499338B1 (ko) Phc 말뚝을 이용한 암거
KR100964721B1 (ko) 도로 확장 블록 시공방법
KR102353664B1 (ko) 자립식 흙막이용 rps 빔과 rps 빔 공법
KR101674865B1 (ko) 숏크리트를 이용한 합벽식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