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477B1 -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 Google Patents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477B1
KR101598477B1 KR1020150118726A KR20150118726A KR101598477B1 KR 101598477 B1 KR101598477 B1 KR 101598477B1 KR 1020150118726 A KR1020150118726 A KR 1020150118726A KR 20150118726 A KR20150118726 A KR 20150118726A KR 101598477 B1 KR101598477 B1 KR 101598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cantilever
cantilever beam
beams
doubl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표
Original Assignee
이경표
(주) 이레기술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표, (주) 이레기술개발 filed Critical 이경표
Priority to KR1020150118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8/00Brid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or func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aqueducts, bridges for supporting pipe-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틸레버 보에 의한 바닥판의 장스팬화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2거더를 다수 개의 가로보로 일체화시킨 이중복합거더와, 상기 이중복합거더에 직각으로 강결합된 다수 개의 캔틸레버 보와, 상기 제1, 2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2지주 및, 상기 이중복합거더와 캔틸레버 보 중 적어도 캔틸레버 보의 상부에 놓여지는 데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캔틸레버 보는 각각의 가로보와 일직선이 되도록 제2거더에 결합되고, 제1지주는 제1거더에서 가로보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고, 제2지주는 제2거더에서 캔틸레버 보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Long-span system for the cantilever type deck}
본 발명은 캔틸레버 보에 의한 바닥판의 장스팬화를 위한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캔틸레버 보의 지지점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캔틸레버 보의 장스팬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활동이 다양한 만큼 야외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인간의 활동도 다양하고, 특히 현대에 들어서는 경제적인 여건이 향상됨과 더불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조깅, 자전거 타기 등 야외에서의 레저활동이 대폭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는 천변 등 과거에 버려졌던 공간에 대하여 산책, 조깅 또는 자전거 등을 위한 레저용 도로를 개설하고, 하천이나 그 주변에 분수시설, 공연 또는 휴식을 위한 각종 시설을 설치하여 제공함으로써 주민들이 건강한 생활체육과 문화생활을 쉽게 즐길 수 있도록 시설구축에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런데 도심지를 흐르는 소하천의 경우 통상 제방 위에는 차량이 통행하는 차로가 설치되어 있고, 하천의 규모도 그리 크지 않기 때문에 분수쇼나 공연 등을 관람하거나 휴식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그다지 용이하지 않다.
다른 한편으로 제방의 비탈면을 이용하여 인도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들이 제안되고 있는 바, 그 예로 2014. 3. 17.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375525호의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이 있다.
상기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탈면의 지중에 근입되는 지주파일(10)과 상기 지주파일(10)의 상단에 연결되면서 콘크리트 취부부(12)에 매립된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캔틸레버(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캔틸레버(1)에 의해 확장된 공간을 구축하고 이를 인도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캔틸레버의 구조는 브라켓과 연결된 지지점에서의 큰 휨모멘트로 인하여 스팬의 길이가 제한되어 휴식이나 다양한 문화활동을 위한 넓은 공간을 구축할 수 없기 때문에 요구되는 돌출 폭이 그다지 크지 아니한 인도 등 도로의 일부 확장용으로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 다른 예로, 2012. 6. 1. 공고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150537호의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도 2의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는, 도 1에서 개시한 캔틸레버 구조에서의 문제점, 즉 지지점에서의 지속적인 큰 휨모멘트에 의해 발생되는 피로하중으로 인하여 파손되는 캔틸러버 구조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탈면에 구조물의 폭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지주(40)를 형성시켜 상판부(70)가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지주(40)로 상판부(7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면 비탈면으로 돌출되는 폭을 크게 할 수 있어 넓은 공간을 구축할 수는 있으나, 상판부(70)의 하부에 많은 지주(40)가 노출될 수 밖에 없어 그 하부공간에 대한 활용이 곤란할 뿐 아니라 천변의 미관을 저해하게 되어 레저용 도로 이용자들에게 혐오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86673 B1 KR 10-1150537 B1 KR 10-1375525 B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닥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지지말뚝이나 기둥이 노출되지 않거나 노출되더라도 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 장스팬화를 통해 넓은 활용공간을 가질 수 있게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2거더를 다수 개의 가로보로 일체화시킨 이중복합거더와, 상기 이중복합거더에 직각으로 강결합된 다수 개의 캔틸레버 보와, 상기 제1, 2거더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2지주 및, 상기 이중복합거더와 캔틸레버 보 중 적어도 캔틸레버 보의 상부에 놓여지는 데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캔틸레버 보는 각각의 가로보와 일직선이 되도록 제2거더에 결합되고, 제1지주는 제1거더에서 가로보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고, 제2지주는 제2거더에서 캔틸레버 보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중복합거더에는 캔틸레버 보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역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가 제공된다. 이때 각 가로보의 사이에는 가로보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제1연결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개의 거더로 이루어지는 이중복합거더 및 이들 2개의 각 거더에 설치되는 2개의 지주를 이용하여 가로보와 캔틸레버 보가 시이소 작용을 하게 함으로써 캔틸레버 보의 지지점에 대한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캔틸레버 보의 장스팬화를 도모하게 한다.
이러한 캔틸레버 보의 장스팬화는 천변 제방으로부터 돌출되는 폭을 크게 가질 수 있게 하여 넓은 면적의 바닥판을 구축하게 하여 휴식이나 문화활동 등 다목적의 소광장을 형성시킬 수 있게 하면서도, 바닥판의 하부에 대하여도 가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어 외관보호는 물론 주민들에 대한 다양한 복지공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비탈면의 이용을 위한 인도 구조물을 확장시킨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의해 비탈면을 이용하기 위한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를 적용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의 장스팬 구조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한 장스팬 구조에 대한 평면도이다.도이다.
도 6은 캔틸레버 보와 가로보를 연결플레이트로 일체화시킨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이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이중복합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각 실시에의 설명도이다.
도 9는 각 가로보의 사이에 제1연결대를 구비시킨 부분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를 적용하여 천변 제방의 비탈면에 다목적의 넓은 공간을 구축시킨 구체적인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5는 상기한 장스팬 구조를 도모하기 위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횡단면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는, 이중복합거더(100)와, 이에 직각으로 강결합된 다수 개의 캔틸레버 보(200)와, 상기 이중복합거더(100)와 캔틸레버 보(200) 중 적어도 캔틸레버 보(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데크(400)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주들(310,320)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복합거더(100)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2거더(110,120)가 다수 개의 가로보(130)에 의해 사다리 형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로보(130)의 하중 분배기능에 의해 제1, 2거더(110,120)는 이중복합거더(100)에 작용하는 모든 수직 하중에 대하여 공동 저항하는 구조적 일체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의 이중복합거더(100)에는 다수 개의 캔틸레버 보(200)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직각으로 강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캔틸레버 보(200)는 도 5의 평면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각각의 가로보(130)와 일직선이 되도록 제2거더(120)에 결합된다.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에 대한 상기한 결합구조는 캔틸레버 보(20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전달과정을 명확하게 함과 더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거더(120)를 지지점(O)으로 하여 상기 캔틸레버 보(200)에 의해 발생되는 시계방향의 휨모멘트(M1)에 저항하는 역모멘트(M2)를 발생시켜 캔틸레버 보(200)의 장스팬화를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의 일체적 결합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캔틸러버 보와 가로보(130)의 각 상면에는 연결플레이트(2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6은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를 연결플레이트(221)로 일체화시킨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a)는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 및 제2거더(120)의 상면이 일치하는 경우의 예이고, (b)는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의 상면이 제2거더(120)의 상면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의 예이다. 상기 도 6의 (b)에서와 같이 각 상면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결플레이트(221)의 하부에 끼움재(222)를 삽입시킴으로써 불일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가 제2거더(120)에 강접합되면서 구조적으로 단일보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면서 제2거더(120)를 지지점(O)으로 하여 상호간에 시이소 작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점(O)에 작용하는 휨모멘트를 감소시켜 캔틸레버 보(200)의 장스팬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것인바, 이를 위해 제1, 2거더(110,120)의 하부에는 이를 지지하는 제1, 2지주(310,320)가 설치된다.
제1지주(310)는 제1거더(110)에서 가로보(130)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고, 제2지주(320)는 제2거더(120)에서 캔틸레버 보(200)가 접한 부위에 위치한다. 즉 가로보(130)와 캔틸레버 보(200)를 연결시키면서 제2지주(320)에 의해 지지되는 제2거더(120)가 지지점(O)이 되도록 하고, 제2거더(120)에 접합되는 가로보(130)의 타측 단부는, 상부의 하중 또는 제1지주(310)의 인장작용을 이용하여 캔틸레버 보(20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가로보(130) 측의 작용점(P)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점(O)이 되는 상기의 제2지주(320)는 압축응력에 대응하는 지지말뚝으로 이루어지나, 제1지주(310)는 인장응력에 대응할 수 있는 인장말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중복합거더(100)가 토사에 매립되는 등 그 상부의 하중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역모멘트가 캔틸레버 보(200)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다면 상기 제1지주(310)에 대하여 인장응력을 고려하지 않는 지지말뚝으로 구성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제1, 2지주(310,320)는 캔틸레버 보(200)에 의해 구축되는 바닥판의 하부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천변 제방의 지중에 매립되게 함으로써 상기의 하부공간은 도 3에서와 같이 또 다른 휴식 내지는 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보(130)와 캔틸러버 보가 제2거더(120)를 지지점(O)으로 하는 것에 의해 시이소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캔틸레버 보(200)의 장스팬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시이소 작용과 더불어, 이중복합거더(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2거더(110,120)와 가로보(130)가 판상의 구조를 이루면서 구조적으로 일체적 거동을 하게 되는 바, 이를 이용하여 이중복합거더(100)에 프리스트레스를 미리 도입시킴으로서 상기한 캔틸레버 보(200)의 장스팬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이중복합거더(100)에 대한 상기의 프리스트레스는, 캔틸레버 보(200)에 의해 발생되는 시계방향의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반시계방향의 역모멘트가 발생하도록 도입된다.
도 7과 8은 상기와 같이 이중복합거더(100)에 역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키는 과정을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고 있다.
상기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에 관한 제1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거더(120)에 상향력을 유도시킴으로써 이중복합거더(100)에 역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제1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일반적인 H형강에서와 같이 평탄하게 제작된 형강이 제1거더(110)를 구성하게 하고, 상향으로 볼록하게 미리 캠버(△)가 형성되도록 제작된 형강이 제2거더(120)를 구성하도록 배치한다.
다음으로 캠버(△)가 형성된 제2거더(120)에 대하여 직하방으로 하중을 가하여 제1거더(110)와 같이 평탄하도록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제1거더(110)와 제2거더(120)의 사이에 다수 개의 가로보(130)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제1, 2거더(110,120)에 가로보(130)가 결합된 사다리 형상의 이중복합거더(100)가 구성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제2거더(120)에 가하였던 하중을 제거하면, 제2거더(120)에 상향력이 발생되면서 이중복합거더(100)에는 캔틸레버 보(200)와의 결합부위에서 반시계방향의 역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도 8은 상기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거더(110)에 하향력이 발생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중복합거더(100)에 반시계방향의 역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한다.
즉 제1거더(110)는 하향으로 볼록하도록 캠버(△)가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제2거더(120)는 평탄하게 제작된 형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2거더(110,120)를 평행하게 배치한 다음, 상기 제1거더(110)에 대하여 직상방으로 하중을 가하여 제2거더(120)와 같이 평탄하도록 한 상태에서 다수 개의 가로보(130)를 제1, 2거더(110,120)에 결합시켜 이중복합거더(100)가 구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제1거더(110)에 가하였던 하중을 제거하게 되면, 제1거더(110)에는 하향력이 발생하게 되면서 이중복합거더(100)에는 캔틸레버 보(200)와의 결합부위에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반시계방향의 역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거더(120)에 상향력이 발생하게 하거나 제1거더(110)에 하향력이 발생하게 하면서 이중복합거더(100)에 역모멘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의 효율성은 이중복합거더(100)의 판상 구조에 대한 일체성을 크게 증대시킴에 따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중복합거더(100)의 일체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각 가로보(130)의 사이에는 가로보(130)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제1연결대(131)를 더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각 가로보(130)의 사이에 제1연결대(131)가 구비된 상태의 이중복합거더(100)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함께 캔틸레버 보(200)의 자유단에는 각 캔틸레버 보(200)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제2연결대(21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제2연결대(211)는 각 캔틸레버 보(200)들을 일체화시켜 흔들리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그 위에 설치되는 데크(400)를 통해 캔틸레버 보(200)에 작용하는 하중을 다른 캔틸레버 보(200)에 분산시켜 바닥판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도모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이중복합거더 110; 제1거더
120; 제2거더 130; 가로보
131; 제1연결대 200; 캔틸레버 보
211; 제2연결대 221; 연결플레이트
222; 끼움재 310; 제1지주
320; 제2지주 400; 데크

Claims (6)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2거더(110,120)를 다수 개의 가로보(130)로 일체화시킨 이중복합거더(100)와, 상기 이중복합거더(100)에 직각으로 강결합된 다수 개의 캔틸레버 보(200)와, 상기 제1, 2거더(110,1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2지주(310,320) 및, 상기 이중복합거더(100)와 캔틸레버 보(200) 중 적어도 캔틸레버 보(200)의 상부에 놓여지는 데크(4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각각의 캔틸레버 보(200)는 각각의 가로보(130)와 일직선이 되도록 제2거더(120)에 결합되고, 제1지주(310)는 제1거더(110)에서 가로보(130)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며, 제2지주(320)는 제2거더(120)에서 캔틸레버 보(200)가 접한 부위에 위치하되,
    상기 이중복합거더(100)에는 캔틸레버 보(200)에 의해 발생되는 휨모멘트에 저항하는 역모멘트가 발생하도록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고,
    각 가로보(130)의 사이에는 가로보(130)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제1연결대(131)가 설치되고, 캔틸레버 보(200)의 자유단에는 각 캔틸레버 보(200)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한 제2연결대(211)가 더 설치되며,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의 각 상면에는 캔틸레버 보(200)와 가로보(130)를 일체화시키기 위한 연결플레이트(22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1거더(110)는 평탄하게 제작된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제2거더(120)는 상향으로 볼록하도록 캠버(△)가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이중복합거더(100)는 제2거더(120)에 하중을 가하여 제1거더(110)와 같이 평탄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로보(130)를 결합시킨 후 제2거더(120)에 가했던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제2거더(120)에 상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제1거더(110)는 하향으로 볼록하도록 캠버(△)가 형성된 형강으로 이루어지고, 제2거더(120)는 평탄하게 제작된 형강으로 이루어지며, 이중복합거더(100)는 제1거더(110)에 하중을 가하여 제2거더(120)와 같이 평탄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로보(130)를 결합시킨 후 제1거더(110)에 가했던 하중을 제거함으로써 제1거더(110)에 하향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5. 삭제
  6. 삭제
KR1020150118726A 2015-08-24 2015-08-24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KR101598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26A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5-08-24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726A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5-08-24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477B1 true KR101598477B1 (ko) 2016-02-29

Family

ID=55448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726A KR101598477B1 (ko) 2015-08-24 2015-08-24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47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407A (ko) * 2009-12-24 2010-06-07 서평원 도로 사면가장자리용 보도확장장치
KR101086673B1 (ko) 2011-06-13 2011-11-24 (주)신승이앤씨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KR101150537B1 (ko) 2010-05-28 2012-06-01 안건욱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101170631B1 (ko)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KR101367919B1 (ko) * 2013-09-24 2014-02-27 이경표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375525B1 (ko) 2013-11-28 2014-03-17 주식회사 태하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58088B1 (ko) * 2014-06-18 2014-11-05 이경표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407A (ko) * 2009-12-24 2010-06-07 서평원 도로 사면가장자리용 보도확장장치
KR101150537B1 (ko) 2010-05-28 2012-06-01 안건욱 비탈면 통행로 설치 구조
KR101086673B1 (ko) 2011-06-13 2011-11-24 (주)신승이앤씨 비탈면 도로 확장 시공 방법
KR101170631B1 (ko)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도로의 캔틸레버식 확장 구조
KR101367919B1 (ko) * 2013-09-24 2014-02-27 이경표 종·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KR101375525B1 (ko) 2013-11-28 2014-03-17 주식회사 태하 경사지용 확장 인도 구조물
KR101458088B1 (ko) * 2014-06-18 2014-11-05 이경표 횡방향 프리모멘트 거더부재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360B1 (ko) 설치시공이 용이한 데크로드 시스템
Sung et al. Optimum post-tensioning cable forces of Mau-Lo Hsi cable-stayed bridge
EP3325721B1 (en) Structural system for arch bridges, with mobilization of external reactions through definitive ties
US7478450B2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JP2006316580A (ja) 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及びその波形鋼板ウエブpc合成桁を使用した橋梁構築方法
CN104805769B (zh) 一种自平衡弧形梁现浇支架及其施工方法
KR101722977B1 (ko) 기초보강재
KR101664990B1 (ko) 모듈로 조립되는 복합 터널 방식 교량
KR101209674B1 (ko)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의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조립식 하이브리드 거더
KR101598477B1 (ko) 캔틸레버 바닥판의 장스팬 구조
KR20160113917A (ko) 자전거 통행용 연속 교량
KR101709209B1 (ko) 돌출형 케이블과 트러스구조로 변단면 구조를 보강하여 강성을 증대시킨 저형고 pc콘크리트빔 구조
DE502006009300D1 (de) Fachwerk-trägerrost-system
KR101299089B1 (ko) 입체형 복합교량
KR101583401B1 (ko) 콘크리트 블록과 강재블록으로 구성되며 블록들의 연결부 접합면 상단의 이격거리와 하단의 이격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연속지간 하이브리드 거더
KR100998954B1 (ko) 모듈화된 플로어구조
KR20200013911A (ko) 단면강성 증대용 새들이 장착된 가설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CN104532732B (zh) 鱼脊梁结构的自锚式悬索桥
KR20140063920A (ko) 수평재의 강재거더와 수직재의 연결부 접합면 간극차이를 이용하여 수평재의 강재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라멘구조물
Bhivgade Analysis and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bridge
JP2013194354A (ja) 既設構造物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KR200408466Y1 (ko) 단위블럭구조를 이용한 가설교량의 트러스 아치 구조
Ricciotti et al. Museum of European and Mediterranean Civilizations (MuCEM): high UHPFRC content structure design
Veie et al. New dimensions in bridge construction in Norway
CN204959618U (zh) 一种张拉反力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