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231B1 -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231B1
KR101083231B1 KR1020030081802A KR20030081802A KR101083231B1 KR 101083231 B1 KR101083231 B1 KR 101083231B1 KR 1020030081802 A KR1020030081802 A KR 1020030081802A KR 20030081802 A KR20030081802 A KR 20030081802A KR 101083231 B1 KR101083231 B1 KR 101083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heat
fiber
layer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166A (ko
Inventor
도요시마야스오
네모또겐
사까와따루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4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5/00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5/06Non woven fabrics formed of mixtures of relatively short fibres and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strengthened or consolidated by welding-together thermoplastic fibres, filaments, or ya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yarns or filaments produced by we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595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and varying density
    • Y10T428/24603Fiber containing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10) 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 (3) 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열융착부 (3,3)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 (4a,4b) 를 형성하고 있다.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 (4b) 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TOPSHEET OF ABSORBENT ARTICLE}
도 1 은 본 발명의 표면 시트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표면 시트의 종단면도이고; 그리고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표면 시트의 수평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층 섬유층 2 : 하층 섬유층
3 : 열융착부 4a : 상층 융기부
4b : 하층 융기부 5 : 돌출부
10 : 표면 시트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표면 시트 및 기타 섬유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단 흡수된 액의 역유출(wet-back) 방지성이 우수하고, 또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하기 쉬운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및 기타 섬유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전에, 제 1 층과 이것에 인접하는 제 2 층을 갖고, 제 1 층과 제 2 층이 소정 패턴의 접합부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고, 이 접합부 간에서 제 1 층이 삼차원적 입체 형상을 이루고, 제 2 층이 엘라스토머와 같은 거동을 나타내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시트 전체가 엘라스토머와 같은 거동을 나타냄과 동시에 통기성을 갖는 입체 시트 재료를 제안했다 (일본 공개특허 공보 2002-187228호 참조).
이 입체 시트 재료에 의하면, 평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경우의 회복성 및 두께 방향으로 압축시켰을 때의 압축 변형성이 충분해진다. 따라서, 이 입체 시트 재료는, 생리용 냅킨이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서의 표면 시트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흡수성 물품에 대한 요구가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어, 그 표면 시트로서도 더욱 성능이 높은 것, 예를 들어 일단 흡수된 액의 역유출 방지성,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높을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이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열융착부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 융기부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열융착부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 융기부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로서, 상기 부직포가 상층 및 이것에 인접하는 하층을 갖고, 이 부직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하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층에는 권축(捲縮)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self-crimping fiber)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고, 상층에는 실질적으로 열수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잠재 권축성 섬유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상기 하층과, 실질적으로 열수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상층을 적층하고,
상기 하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고 다수의 열융착부에 의하여 양 웨브를 부분적으로 접합시켜 부직포로 함과 동시에, 이 하층에서의 이 열융착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를 예비적으로 권축시키고,
이어서, 이 부직포를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하층을 수축시키고, 상기 상층 및 상기 하층 각각을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켜 융기부를 다수 형성함과 동시에,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된 이 융기부의 기부를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액의 역유출 방지성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높은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및 기타의 섬유 시트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이하, 간단히 표면 시트라고 함) 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고, 도 2 에는 도 1 에서의 종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 에 나타낸 표면 시트 (10) 는, 상층 섬유층 (1) 및 이것에 인접하는 하층 섬유층 (2) 을 구비하는 2 층 구조의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상층 섬유층 (1) 은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하층 섬유층 (2) 은 상층 섬유층 (1) 을 구성하는 섬유와 다른 종류 및/또는 배합의 섬유 집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층 섬유층 (1) 과 하층 섬유층 (2) 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 (3) 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층 섬유층 (1) 과 하층 섬유층 (2) 은 이들 전체면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지 않다. 표면 시트 (10) 의 상층이란, 표면 시트 (10) 가 흡수성 물품에 부착되는 경우에 착용자에 대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한편, 하층이란, 흡수성 물품에서의 흡수체에 대향하는 측을 의미한다.
열융착부 (3) 는 작은 원형이며 이산적으로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지그재그 격자 형상의 배치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열융착부 (3) 는 압밀화되어 있고, 표면 시트 (10) 에서의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고 또한 밀도가 높게 되어 있다. 상층 섬유층 (1) 과 하층 섬유층 (2) 은 열융착부 (3) 에 의해 두께 방향으로 일체화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융착부 (3) 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나, 열융착부 (3) 의 형상은 타원형,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또는 이것들의 조합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열융착부를 연속된 형상, 예를 들어 직선이나 곡선 등의 선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표면 시트 (10) 의 면적에 대한 열융착부 (3) 의 면적률 (표면 시트 (10) 의 단위 면적당 열융착부 (3) 의 면적) 은 표면 시트 (10) 의 구체적인 용도 등에 따라 다르나, 제 1 섬유층 (1) 과 제 2 섬유층 (2) 과의 접합을 충분히 높이는 점, 및 볼록 형상의 입체적인 형상을 충분히 형성하여 용적 높이를 발현시키는 점에서, 4 ~ 35 %, 특히 5 ~ 3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따라서 표면 시트 (10) 를 제조하는 경우, 수축전의 상기 면적률은 2 ~ 15 %, 특히 5 ~ 1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10) 에서는, 이것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섬유가 열융착부 (3) 간에서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직포의 상면에 다수의 융기부 (4a) 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면에도 다수의 융기부 (4b) 가 형성되어 있다. 부직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융기부 (4a: 이하, 상층 융기부라고 함) 는 주로 상층 섬유층 (1) 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 성되어 있는 융기부 (4b: 이하, 하층 융기부라고 함) 는 주로 하층 섬유층 (2)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 (10) 가, 지그재그 격자 형상의 배열 패턴으로 이루어진 열융착부 (3) 에 의해 둘러싸여 형성된 폐쇄 영역을 다수 갖고 있고, 이 폐쇄된 영역에서 상층 섬유층 (1) 및 하층 섬유층 (2) 은 각각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되어 상층 융기부 (4a) 및 하층 융기부 (4b) 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 (10)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층 융기부 (4a) 와 하층 융기부 (4b) 는 동일 위치에 존재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층 융기부 (4a) 와 하층 융기부 (4b) 는 모두 돔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것들의 내부는 각 섬유층을 구성하는 섬유로 채워져 있다. 열융착부 (3) 는 상층 융기부 (4a) 및 하층 융기부 (4b) 에 대해 상대적으로 오목부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면 시트 (10) 는 전체적으로, 양측에 다수의 요철부를 갖는 고용적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열융착부 (3) 를 잇는 면을 기준면으로 할 경우, 상층 융기부 (4a) 는 그 높이 (h1) 가 하층 융기부 (4b) 의 높이 (h2) 보다도 높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융기부 (4a) 의 높이 (h1) 는 0.3 ~ 5 ㎜ 정도이고, 하층 융기부 (4b) 의 높이 (h2) 는 0.1 ~ 3 ㎜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표면 시트 (10) 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그 장착감이 양호해지고, 흡수체에 일단 흡수된 액의 역유출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각 융기부 (4a,4b) 의 높이는 표면 시트 (10) 의 종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측정할 수 있다.
표면 시트 (10) 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하층 융기부 (4b) 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기부, 예를 들어 열융착부 (3) 근방의 부위가 표면 시트 (10) 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돌출부 (5) 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부 (5) 는, 하층 융기부 (4b)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 기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 융기부 (4b) 는 그 종단면 형상에 있어서 거의 역 Ω자형을 하고 있다. 돌출부 (5) 는 열융착부 (3) 의 일부를 덮듯이 평면 방향으로 연장돌출되어 있다. 돌출부 (5) 에서는, 섬유가 주로 표면 시트 (10) 에서의 하층 융기부 (4b) 의 외형을 따라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것은 돌출부 (5) 를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표면 시트 (10) 가 하층 융기부 (4b) 를 구비하는 점에서, 이 표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표면 시트 (10) 의 하면과 흡수체의 상면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유지된다. 따라서, 흡수체에 일단 흡수된 액이 표면 시트 (10) 에 역유출 (소위, 웨트 백(wet-back)) 하기가 어렵게 된다. 특히, 하층 융기부 (4b) 에 돌출부 (5)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의 장착 중에 착용자의 체압이 표면 시트 (10) 에 가해져도, 돌출부 (5) 가 압축에 대한 저항이 되어, 표면 시트 (10) 의 두께가 줄어들기 어렵게 되고, 그 결과 웨트 백이 더욱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돌출부 (5) 가, 압밀화되어 단단하게 형성되어 있는 열융착부 (3) 의 일부를 덮듯이 연장돌출되어 있는 점에서, 압축에 대한 저항이 더욱 높아지고, 이에 의해서도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게다가, 돌출부 (5) 에서는 섬유가 주로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서도 압축에 대한 저항이 높아져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는 효과에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10) 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높고, 그 결과 이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장착 중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는 이점도 있다. 상세하게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하층 융기부 (4b) 는 돌출부 (5) 를 갖는 역 Ω자형을 하고 있으므로,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층 융기부 (4b) 는 수평 방향의 움직임 (동 도면 중의 화살표 A 방향의 움직임) 에 대해 자유도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하층 융기부 (4b) 는 상층 융기부 (4a) 의 움직임과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착용자가 움직일 경우, 상층 융기부 (4a) 는 그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동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있으나, 하층 융기부 (4b) 는 상층 융기부 (4a) 의 위치와는 독립적으로,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10) 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장착 중에 위치 어긋남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층 섬유층 (2) 이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 하층 섬유층 (2) 에 신축성이 발현되고 그것을 평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회복성이 높아진다. 그 결과, 표면 시트 (10) 전체로서도 평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회복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이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흡수성 물품의 피트성(fit)이 향상되고, 액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상의 여러 효과에 부가하여,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10) 는, 그 양측에 융기부 (4a,4b) 가 다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고용적의 구조를 갖고, 또한 압축에 대한 변형성 및 회복성이 높다는 효과도 얻는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하층 섬유층 (2) 이,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적어도 이 하층 섬유층 (2) 은 신축성을 갖는 결과, 하층 섬유층 (2) 은 장착 중인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해 자유롭게 신축하면서 움직임에 추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층 섬유층 (1) 의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다는 효과도 얻는다. 따라서, 표면 시트 (10) 의 텍스쳐(texture)는 매우 양호하고, 이것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쾌적한 장착감을 부여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10) 에서의 하층 섬유층 (2) 은,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한다.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는 코일 형상의 권축 상태로 되어 있다. 잠재 권축성 섬유로는, 그 섬도(fineness)가 1 ~ 7 dtex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잠재 권축성 섬유는, 예를 들어 수축률이 상이한 2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를 성분으로 하는 편심 코어-시스형(sheath/core) 복합섬유 또는 사이드ㆍ바이ㆍ사이드형(side-by-side) 복합섬유로 이루어진다. 그 예로는, 일본 공개특허 공보 평9-296325호 또는 일본 특허공보 제 2759331호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수축률이 상이한 2 종류의 열가소성 폴리머 재료의 예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EP) 와 폴리프로필렌 (PP) 과의 조합을 적합하게 들 수 있다.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는, 하층 섬 유층 (2) 중에 50 중량% 이상, 특히 70 ~ 90 중량% 포함되어 있는 것이, 상층 융기부 (4a) 및 하층 융기부 (4b) 의 형성성 및 돌출부 (5) 의 형성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물론, 하층 섬유층 (2) 은,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 100% 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하층 섬유층 (2) 에,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 이외의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이 섬유로는,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에서는 실질적으로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수축성을 가지나,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에서는 실질적으로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 또는 열수축성을 실질적으로 갖지 않는 열융착 섬유를 들 수 있다 (이하, 이들 섬유를 총칭하여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라고 함).
하층 섬유층 (2) 으로 형성되는 하층 융기부 (4b) 에서는,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 끼리가 열융착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잠재 권축성 섬유는, 하층 융기부 (4b) 에 포함되어 있는 다른 섬유와도 열융착되어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하층 융기부 (4b) 에서의 섬유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하층 융기부 (4b) 는 수평 방향의 움직임에 대한 자유도가 더욱 높아진다 (도 3 참조).
상층 섬유층 (1) 은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섬유층 (1) 은 코어-시스형 또는 사이드ㆍ바이ㆍ사이드형의 열융착 복합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층 섬유층 (1) 에는, 하층 섬유층 (2) 에 포함되는 잠재 권축성 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상층 섬유층 (1) 으로 형성되는 상층 융기부 (4a) 를 압축했을 때의 회복성이 높아 진다. 게다가, 상층 섬유층 (1) 을 평면 방향으로 신장시켰을 때의 회복성도 높아진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층 섬유층 (1) 에 포함되는 잠재 권축성 섬유의 양은 3 ~ 50 중량%, 특히 10 ~ 30 중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층 섬유층 (2) 은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원활한 액의 투과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층 섬유층 (1) 도 친수화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하층 섬유층 (2) 은 그 친수화 정도가 상층 섬유층 (1) 의 그것보다도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웨트 백이 더 한층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친수화 처리로는, 예를 들어 섬유 표면에 친수화제를 부여하거나, 섬유에 친수화제를 혼합하여 넣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층 섬유층 (1) 보다도 하층 섬유층 (2) 의 친수도를 높이는 수단으로서, 하층 섬유층 (2) 에 흡수성을 갖는 섬유 (셀룰로오스 파이버, 코튼, 레이온 등) 를 혼면해도 된다.
상층 섬유층 (1) 은, 그 평량(basis weight)이 10 ~ 100 g/㎡, 특히 20 ~ 6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하층 섬유층 (2) 의 평량은 10 ~ 100 g/㎡, 특히 20 ~ 6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표면 시트 (10) 를 제조하는 경우, 수축전의 상층 섬유층 (1) 의 평량은 5 ~ 50 g/㎡, 특히 10 ~ 30 g/㎡ 인 것이 바람직하고, 한편 하층 섬유층 (2) 의 평량은, 상층 섬유층 (1) 의 평량보다도 크게 하여 하층 융기부 (4b) 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5 ~ 50 g/㎡, 특히 10 ~ 3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시트 (10) 는, 비교적 섬유 밀도가 낮은 상층 융기부 (4a) 를 갖고 있는 점에서, 두께 방향으로 압축시켰을 때의 압축 변형성이 충분히 크다.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 시트 (10) 는, 0.5 cN/㎠ 압력 하에서의 겉보기 밀도가 0.005 ~ 0.05 g/㎤, 특히 0.01 ~ 0.05 g/㎤ 인 것이, 표면 시트 (10) 에 고용적감을 부여하고, 또한 압축 변형성, 나아가서는 유연성을 높이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시트 (10) 는, 50 cN/㎠ 압력 하에서의 시트 (10) 전체의 겉보기 밀도가 0.04 ~ 0.1 g/㎤, 특히 0.05 ~ 0.08 g/㎤ 인 것이, 표면 시트 (10) 에 충분한 강도가 부여되어 볼록 형상의 삼차원적인 입체 형상의 보형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0.5 cN/㎠ 의 압력은, 흡수성 물품의 장착중의 압력과 거의 동등하고, 50 cN/㎠ 의 압력은, 흡수성 물품의 장착중에 체압이 걸린 경우의 압력과 거의 동등하다.
표면 시트 (10) 의 0.5 cN/㎠ 압력하 및 50 cN/㎠ 압력하의 겉보기 밀도는, 그 평량을, 후술하는 0.5 cN/㎠ 압력하 및 50 cN/㎠ 압력하의 두께로 각각 나누어 산출된다.
표면 시트 (10) 의 두께는, 그 구체적인 용도에 따라 다르나, 0.5 cN/㎠ 압력하의 두께가, 0.5 ~ 5 ㎜, 특히 1 ~ 3 ㎜ 이고, 50 cN/㎠ 압력하의 두께가 0.2 ~ 3 ㎜, 특히 0.5 ~ 2 ㎜ 인 것이, 고용적성 및 압축 변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0.5 cN/㎠ 압력하 및 50 cN/㎠ 압력하에서의 두께는, 카토테크(Kato Tech) 주식회사 제조, KES-FB3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이 시험기는, 면적 2 ㎠ 의 원형 압축면을 갖는 가압부를 하강-상승시킴으로써, 포 (布) 또는 필름 형상의 시료에 압축-회복 하중을 부여하고, 그 압축 및 회복 과정의 일 사이클의 압축 하중-압축 변형량의 히스테리시스 곡선을 얻어, 이것을 통해 시료 두께, 압축 작업량, 회복성 등을 구할 수 있는 것이다. 표면 시트를 2.5 ㎝ ×2.5 ㎝ 의 정사각형으로 잘라내고, 이것을 시료로 하여 압축 시험기에 세팅한다. 그리고, 가압속도 0.02 ㎜/초로 가압부를 하강시켜 시트를 0.5 cN/㎠ 및 50 cN/㎠ 의 압력이 가해질 때까지 가압한다. 그 때의 두께를 측정하여, 0.5 cN/㎠ 압력하 및 50 cN/㎠ 압력하에서의 두께로 한다.
표면 시트 (10) 는, 상기 기술한 0.5 cN/㎠ 압력하의 두께 T1 및 50 cN/㎠ 압력하의 두께 T2 에 대하여, 이하의 식 (1) 으로 정의되는 압축률이 30 ~ 85 %, 특히 40 ~ 70 % 인 것이, 이 표면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착용자의 체형 또는 움직임에 대해 추종되기 쉽고, 또한 표면 시트 (10) 의 감촉이 향상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압축률 (%) = (T1-T2) / T1 ×100 (1)
표면 시트 (10) 에 충분한 압축 변형성 및 고용적감을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표면 시트 (10) 는 그 평량이 20 ~ 200 g/㎡, 특히 40 ~ 150 g/㎡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량은, 표면 시트 (10) 를 50 ㎜ ×50 ㎜ 이상의 크기로 재단하여 측정편을 채취하고, 이 측정편의 중량을 최소 표시 1 ㎎ 의 전자저울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평량으로 환산하여 구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표면 시트 (10) 의 바람직한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층 섬유층 (1) 및 하층 섬유층 (2) 을 제조한다. 상층 섬유층 (1) 은 예를 들어,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를 포함하는 웨브 또는 부직포의 형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 및 필요에 따라서 잠재 권축성 섬유를 원료로 하여 카드 웨브를 형성하고, 이 웨브를 그대로, 혹은 에어 스루(air-through) 방식으로 열처리된 에어 스루 부직포의 형태로, 상층 섬유층 (1) 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하층 섬유층 (2) 으로는, 하층 융기부 (4b) 및 돌출부 (5) 의 형성성의 관점에서, 잠재 권축성 섬유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웨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웨브 대신에 부직포를 사용하면, 하층 융기부 (4b) 및 돌출부 (5) 를 형성하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상층 섬유층 (1) 과 하층 섬유층 (2) 을 적층시켜 엠보싱(embossing) 가공하고, 양 섬유층이 열융착부 (3) 에서 부분적으로 일체화된 부직포를 얻는다. 엠보싱 가공으로는, 소정 온도로 가열된 한 쌍의 롤 장치 또는 초음파 엠보싱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잠재 권축성 섬유를 포함하는 하층 섬유층 (2)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 「하층 섬유층 (2)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라고 함은, 한 쌍의 롤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조각 롤이 하층 섬유층 (2) 에 맞닿도록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평활 롤이 상층 섬유층 (1) 에 맞닿음), 초음파 엠보싱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horn)이 하층 섬유층 (2) 에 맞닿도록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층 섬유층 (2)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하층 섬유층 (2) 에 포함되어 있는 잠재 권축성 섬유 중, 열융착부 (3) 의 주위에 위치하는 것이 예비적으로 권축되어, 열융착부 (3) 의 주위에 모여든다. 잠재 권축성 섬유의 예비적인 권축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하여, 엠보싱 가공의 온도, 즉 하층 섬유층 (2) 에 맞닿는 엠보싱 장치의 온도는 충분히 높게 한다. 구체 적으로는,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보다도 5 ~ 30 ℃, 특히 5 ~ 20 ℃ 높은 온도에서 엠보싱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비 권축시키는 것은, 후술하는 하층 섬유층 (2) 의 열수축에 의해 하층 융기부 (4) 및 돌출부 (5) 를 용이하게 형성시키는 점, 그리고 돌출부 (5) 에서의 섬유 배향을 제어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한편, 상층 섬유층 (1) 에 맞닿는 엠보싱 장치의 온도는 이렇게 고온으로 할 필요는 없고, 열융착부 (3) 의 형성을 보조하는 정도의 온도이면 충분하다. 구체적으로는, 상층 섬유층 (1) 에 포함되는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의 융점 또는 이 융점보다도 10 ~ 20 ℃ 정도 높은 온도이면 된다.
이어서, 얻어진 부직포를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열처리한다. 열처리에는, 예를 들어 열풍 분무 (에어 스루 가공) 또는 적외선 조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열처리에 의해, 하층 섬유층 (2) 은 열융착부 (3) 사이에서 수축된다. 그러나, 상층 섬유층 (1) 에는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하층 섬유층 (2) 의 수축에 부합되는 분만큼 상층 섬유층 (1)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층 융기부 (4a) 가 다수 형성된다. 이 경우, 상층 섬유층 (1) 에 수축이 일어나지 않는 것은, 하층 섬유층 (2) 이 수축되는 것에 대해 저항이 된다. 그 결과, 하층 섬유층 (2) 은 완전히 평면 방향으로 수축되지 않고,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수축되고, 이에 의해 하층 융기부 (4b) 가 형성된다. 특히, 하층 섬유층 (2) 의 평량이 전술한 범위이면, 하층 융기부 (4b) 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층 섬유층 (1) 과 하층 섬유층 (2) 을 엠보싱 가공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합하는 경우에, 하층 섬유층 (2)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면, 열융착부 (3) 의 주위에 위치하는 것이 예비적으로 권축되어, 열융착부 (3) 의 주위에 모여든다. 이런 상태하에서, 하층 섬유층 (2) 이 수축되어 돌출되면, 열융착부 (3) 의 주위에 모여들었던 예비 권축섬유가 더욱 권축됨과 동시에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이동하여 하층 융기부 (4b) 의 기부가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다. 그 결과, 돌출부 (5) 가 형성된다.
하층 섬유층 (2) 의 수축시에는, 그 수축 정도를 제어하여 하층 융기부 (4b) 및 돌출부 (5) 를 처음과 끝이 양호하게 형성하기 위해, 부직포를 핀 텐터(pin tenter) 등의 구속수단에 장착하면 된다. 하층 섬유층 (2) 은, 그 면 내에서 거의 등방적으로 수축되는 점에서, 부직포를 구속수단에 장착하는 경우에는, 그 주위 전체를 구속수단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수축 정도는, 면적 수축률로 표시하여 30 ~ 80%, 특히 30 ~ 6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수축률은, 수축전의 기준 면적을 S0 으로 하고, 기준 면적의 수축후의 면적을 S1 으로 하면, 아래의 식 (2) 으로 표시된다.
면적 수축률 (%) = (S0 - S1) / S0 ×100 (2)
이렇게 하여 얻어진 표면 시트 (10) 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은,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려워, 드라이감이 우수하고, 쾌적한 장착감을 발현하게 된다. 또 한,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양호하므로, 흡수성 물품이 적정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일어나기 힘들어져, 액 누출이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시트가 2 층 구조의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이 대신에, 표면 시트를 단층 구조 또는 3 층 이상의 다층 구조 부직포로 구성해도 된다. 표면 시트를 단층 구조의 부직포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잠재 권축성 섬유 및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를 포함하는 웨브를 엠보싱 가공하여 열융착부를 형성한 후에 열처리하여 잠재 권축성 섬유를 권축시키면 된다. 엠보싱 가공시에는, 웨브의 일측 면의 엠보싱 가공 온도를 타측 면의 엠보싱 가공 온도보다도 높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지금까지 설명한 표면 시트 (10) 를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이외의 섬유 시트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의 섬유 시트 (일반적으로 중간 시트 또는 서브 레이어 시트라고 함) 로서, 표면 시트 (10) 와 동등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하면, 액 흡수성이 양호하고, 웨트 백의 양이 적은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 경우에는, 상층 섬유층 (1) 이 표면 시트 측을 향하고, 하층 섬유층 (2) 이 흡수체 측을 향하도록 시트가 배치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1) 상층 섬유층의 제조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로서, 다이와 방적주식회사 제조의 코어-시스형 복합 섬유 (상품명 NBF-SH, 코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스: 폴리에틸렌, 코어/시스 중량비 = 5/5, 섬도 2.2 dtex, 섬유 길이 51 ㎜) 를 사용하였다. 이 섬유를 카드기를 사용하여 해섬하여 웨브로 하고, 계속하여 이것을 에어 스루 방식으로 열처리 (120 ℃) 하여 평량 20 g/㎡ 의 에어 스루 부직포를 얻었다.
(2) 하층 섬유층의 제조
잠재 권축성 섬유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코어 성분으로 하고, 폴리프로필렌을 시스 성분으로 한 열수축성을 보이는 코어-시스형 복합섬유, 섬도 2.2 dtex, 다이와 방적주식회사 제조, 권축 개시 온도 90 ℃) 를 원료로 사용하여, 상층 섬유층과 동일하게 카드 웨브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카드 웨브의 평량은 20 g/㎡ 이었다.
(3) 표면 시트의 제조
상층 섬유층과 하층 섬유층을 중첩시켜, 조각 롤과 평활 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열 엠보싱 롤 장치에 통과시키고, 양층을 부분적으로 접합 일체화하여 부직포를 얻었다. 이때, 조각 롤을 제 2 섬유층에 맞닿게 하고, 제 2 섬유층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이 실시되도록 하였다. 조각 롤은 175 ℃ 로, 평활 롤은 125 ℃ 로 설정되어 있었다. 조각 롤의 엠보싱 패턴은, 소위 지그재그 격자 형상의 패턴으로서, 각각의 엠보싱 점이 원형 (엠보싱 면적 0.047 ㎠) 이고 또한 기계 방향을 따르는 엠보싱 점의 거리 (피치) 는 7 ㎜, 가로 방향을 따르는 엠보싱 점의 거리 (피치) 는 7 ㎜, 경사 45°의 방향을 따르는 엠보싱 점의 거리는 5 ㎜ 이었다. 이 시점에서의 엠보싱 면적률은 7.2 % 이었다.
얻어진 부직포를 130 ℃ 로 가열한 열풍 건조기 내에서 1 ~ 3 분간 열처리하였다. 이때, 원하는 수축률로 하기 위해, 수축후의 치수에 맞추어 부직포의 4 변을 핀 텐터에 고정시켜, 그 이상의 수축을 규제하였다. 면적 수축률은 표 1 에 나타낸 값이었다. 얻어진 부직포는 평량 80 g/㎡ 이고,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층 융기부 및 하층 융기부를 갖고, 하층 융기부의 기부에 돌출부를 갖는 것이었다. 또한,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하층 융기부의 구성 섬유는 융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돌출부의 섬유는 주로 하층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비 열수축성 융착 섬유와 잠재 권축성 섬유를 중량비 85 : 15 (전자 : 후자) 의 비율로 혼면하고, 이 혼합섬유를 카드기를 사용하여 해섬하여 웨브로 하고, 이어서 이것을 에어 스루 방식으로 열처리 (120 ℃) 하여 평량 20 g/㎡ 의 에어 스루 부직포를 얻었다. 이 부직포를 상층 섬유층으로서 사용하였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2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얻었다. 평량은 80 g/㎡ 이었다. 또한,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하층 융기부의 구성 섬유는 융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돌출부의 섬유는 주로 하층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상층 섬유층의 평량을 15 g/㎡ 으로 하고, 하층 섬유층의 평량을 35 g/㎡ 으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2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얻었다. 평량은 100 g/㎡ 이었다. 또한,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하층 융기부의 구성 섬유는 융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돌출부의 섬유는 주로 하층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4]
상층 섬유층의 평량을 16 g/㎡ 으로 하고, 하층 섬유층의 평량을 16 g/㎡ 으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도 2 에 나타낸 구조를 갖는 표면 시트를 얻었다. 평량은 65 g/㎡ 이었다. 또한, 전자현미경 관찰에 의하여, 하층 융기부의 구성 섬유는 융착되어 있지 않고, 또한 돌출부의 섬유는 주로 하층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잠재 권축성 섬유를 원료로 하여 카드 웨브를 제조하였다. 조각 롤과 평활 롤로 이루어지는 열 엠보싱 롤 장치 (조각 롤 온도: 145 ℃) 를 사용하여 이 웨브를 엠보싱 가공하여 평량 20 g/㎡ 의 히트 엠보싱 부직포를 얻었다. 이 히트 엠보싱 부직포를 하층 섬유층으로서 사용하였다. 엠보싱 패턴은 산점 (散点) 형상이고, 개개의 엠보싱 점은 원형 (0.0055 ㎠) 이며 또한 기계 방향을 따르는 엠보싱 점의 거리는 1.4 ㎜, 가로 방향을 따르는 엠보싱 점의 거리는 1.4 ㎜ 이었다. 이 시점에서의 엠보싱 면적률은 28% 이었다. 이외의 것은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평량 60 g/㎡ 의 표면 시트를 얻었다. 이 표면 시트에는 하층 융기부 및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비교예 2]
카오 (주) 제조의 생리용 냅킨인「로리에
Figure 112003043494337-pat00001
사라사라 쿠션 슬림 (날개 없음)」 (로리에 UN-f) 에 사용되고 있는 부직포제의 표면 시트를 꺼내어 이것을 비교예 2 로 하였다. 이 부직포는, 다이와 방적주식회사 제조의 코어-시스형 복합섬유 (상품명 NBF-SH, 코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스: 폴리에틸렌, 코어/시스 중량비 = 5/5, 섬도 2.2 dtex, 섬유 길이 51 ㎜) 를 카드기로 해섬하여 웨브로 한 후, 열 엠보싱 처리하여 얻어진 것으로, 평량은 25 g/㎡ 이었다. 이 부직포에는 개공처리가 실시되어 있다.
[비교예 3]
프록터 앤드 갬블사 제조의 생리용 냅킨인「위스퍼TM」(위스퍼 WGa1-a) 에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의 개공 필름제의 표면 시트를 꺼내어 이것을 비교예 3 으로 하였다. 이 개공 필름은, 부직포에 히트 엠보싱 고정되어 있는 상태로 사용하였다.
[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면 시트에 대하여, 현미경 관찰에 의해 상층 융기부 및 하층 융기부의 높이를 측정하였다. 또한, 전술한 방법으로 0.5 cN/㎠ 압력하 및 50 cN/㎠ 압력하에서의 겉보기 밀도 및 두께를 측정하였다. 나아가, 이하의 방법으로, 10 gf/㎠ 의 하중에서 압축 변형시켰을 때의 1 gf/㎠ 당의 두께 변형량, 가압시의 액의 역유출량 및 액의 확산면적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두께 변형량]
앞서 기술한 카토테크 주식회사 제조, KES-FB3 압축 시험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먼저, 표면 시트를, 2.5 ㎝ ×2.5 ㎝ 의 정사각형으로 잘라내고, 이것을 시료로 하여 압축 시험기에 세팅한다. 그리고, 가압 속도 0.02 ㎜/초로 가압부를 하강시키고 시트를 가압하여, 하중 50 gf/㎠ 이 될 때까지 압축한다. 하중이 10 gf/㎠ 일 때의 시료의 두께 (t1) 및 0.5 gf/㎠ 의 두께 (t2) 를 구하고, 두께의 감소량 [t2-t1] (㎜) 을 산출하고, 이것을 10 으로 나누어 1 gf/㎠ 당의 두께 변형량을 계산한다. 두께 변형량은, 하중이 10 gf/㎠ 이라는 낮은 값인 경우에서 시트가 압축되기 쉬운 정도 (즉 시트의 부드러움) 를 나타내는 척도가 된다.
[가압시의 액의 역유출량]
카오 (주) 제조의 생리용 냅킨인「로리에
Figure 112003043494337-pat00002
사라사라 쿠션 슬림 (날개 없음)」 (로리에 UN-f) 에서 흡수체를 꺼내고, 여기에 탈섬유 마혈(馬血) (닛뽄 바이오테스트 제조) 을 3 g 주입한다. 흡수체의 혈액 주입면 위에, 길이 100 ㎜ ×폭 80 ㎜ 로 절단한 표면 시트를 중첩시킨다. 이때, 하층 섬유층이 흡수체와 대향하도록 중첩시킨다. 그 위에 아크릴 플레이트를 놓고, 50 g/㎠ 의 하중을 가하여 3 분간 방치한다. 아크릴 플레이트는 표면 시트의 전역을 덮는 크기로 한다. 3 분 경과후에 아크릴 플레이트를 벗겨내고, 여기에 부착되어 있는 혈액을, 사전에 중량을 측정해 놓은 여과지 (Toyo Roshi Kaisha Ltd. 제조) 로 흡수시킨다. 혈액을 완전히 흡수시킨 후, 여과지의 중량을 재차 측정한다. 혈액의 흡수 전후에서의 여과지의 중량차를 산출하고, 그 값을 액의 역유출량으로 한다.
[액의 확산면적]
카오 (주) 제조의 생리용 냅킨인「로리에
Figure 112003043494337-pat00003
사라사라 쿠션 슬림 (날개 없음)」 (로리에 UN-f) 에서 표면 시트를 제거하고, 노출된 흡수체 위에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표면 시트를 배치한다. 표면 시트의 크기는 길이 100 ㎜ ×폭 70 ㎜ 로 한다. 이 냅킨을 카오 (주) 제조의 생리용 쇼트인 로리에
Figure 112003043494337-pat00004
스탠더드 쇼트 (상품명) 의 사타구니부에 장착한다. 이 쇼트를 인체 허리부 모델에 장착시키고, 모델을 보행 동작시킨다. 1 분 경과 후에 2g/15초의 주입 속도로 탈섬유 마혈을 3 g 주입한다. 그 후 다시 30 분간 보행 동작을 계속시킨다. 30 분의 보행 동작후, 쇼트에서 냅킨을 빼내어, 표면 시트에서의 혈액의 확산 면적을 화상해석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액의 확산면적은, 착용자의 동작에 기인하는 냅킨의 위치 어긋남의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가 되는 것이다.
Figure 112003043494337-pat00005
표 1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확하듯이, 각 실시예의 표면 시트는 유연하고, 또 액의 역유출량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액의 확산면적이 작고, 하층 섬유층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움직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의 표면 시트 및 기타의 섬유 시트는, 액의 역유출 방지성 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대한 추종성이 높다. 따라서, 이들 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은, 웨트 백이 일어나기 어려워, 드라이감이 우수하며, 쾌적한 장착감을 발현하게 된다. 흡수성 물품이 적정한 장착 위치로부터 어긋나는 것이 힘들어져, 액의 역유출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변형될 수 있 다.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보아서는 아니되며, 또한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은 이러한 모든 변형은 부속 청구항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Claims (6)

  1.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열융착부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 융기부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열융착부의 일부를 덮듯이 평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서는, 섬유가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상층 및 이것에 인접하는 하층을 갖고, 이 부직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하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층에는 권축(捲縮)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고, 상층에는 열수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하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에서는, 권축이 발현된 상기 잠재 권축성 섬유 끼리가 열융착되어 있지 않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는, 그 높이가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보다도 높게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5.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열융착부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 융기부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열융착부의 일부를 덮듯이 평면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고, 상기 돌출부에서는, 섬유가 융기부의 외형을 따라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
  6.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다수의 열융착부를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이 열융착부 간에서 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하여, 이 부직포의 상하면 각각에 다수의 융기부를 형성하고 있고,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이 융기부는, 그 기부가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로서, 상기 부직포가 상층 및 이것에 인접하는 하층을 갖고, 이 부직포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융기부가 하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층에는 권축이 발현된 잠재 권축성 섬유가 50 중량% 이상 포함되어 있고, 상층에는 열수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의 제조방법으로서,
    잠재 권축성 섬유를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상기 하층과, 열수축성을 갖지 않거나 또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하에서는 열수축되지 않는 열융착 섬유를 포함하는 상기 상층을 적층하고,
    상기 하층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고 다수의 열융착부에 의하여 양 웨브를 부분적으로 접합시켜 부직포로 함과 동시에, 이 하층에서의 이 열융착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이 잠재 권축성 섬유를 예비적으로 권축시키고,
    이어서, 이 부직포를 이 잠재 권축성 섬유의 권축 개시 온도 이상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상기 하층을 수축시키고, 상기 상층 및 상기 하층 각각을 이 부직포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시켜 융기부를 다수 형성함과 동시에, 이 부직포의 하면측에 형성된 이 융기부의 기부를 이 부직포의 평면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흡수성 물품용의 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030081802A 2002-11-19 2003-11-18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KR1010832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34527A JP3868892B2 (ja) 2002-11-19 2002-11-19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JP-P-2002-00334527 2002-1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66A KR20040044166A (ko) 2004-05-27
KR101083231B1 true KR101083231B1 (ko) 2011-11-14

Family

ID=3221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802A KR101083231B1 (ko) 2002-11-19 2003-11-18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67860B2 (ko)
EP (1) EP1421925B1 (ko)
JP (1) JP3868892B2 (ko)
KR (1) KR101083231B1 (ko)
CN (1) CN100348793C (ko)
DE (1) DE60309268T2 (ko)
TW (1) TWI29705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7459B2 (en) 2002-12-20 2009-03-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ression resistant nonwovens
JP3989468B2 (ja) * 2004-06-14 2007-10-10 花王株式会社 立体賦形不織布
BRPI0512053B1 (pt) * 2004-06-21 2017-1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gienic absorbent of non-fabrics resistant to compression
DE202004021610U1 (de) 2004-07-29 2009-07-02 Ahlstrom Corp. Weicher und dreidimensionaler Vliesstoff
US20060128247A1 (en) 2004-12-14 2006-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mbossed nonwoven fabric
US20060135923A1 (en) * 2004-12-20 2006-06-22 Boggs Lavada C Nonwoven fabrics for use in personal care products
JP4526026B2 (ja) * 2005-02-23 2010-08-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その包装構造
RU2394544C2 (ru) * 2005-03-04 2010-07-20 Ска Хайджин Продактс Аб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слой передачи жидкости
JP4566109B2 (ja) * 2005-10-06 2010-10-20 花王株式会社 パンティライナー
JP4889273B2 (ja) * 2005-10-05 2012-03-07 花王株式会社 表面シート
JP4549254B2 (ja) * 2005-08-02 2010-09-2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09028236A1 (ja) * 2007-08-28 2009-03-05 Kao Corporation 賦形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180617B2 (ja) * 2008-02-29 2013-04-10 花王株式会社 機能性シート
JP5441356B2 (ja) 2008-05-15 2014-03-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表面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5401177B2 (ja) * 2009-06-04 2014-01-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20110162989A1 (en) * 2010-01-06 2011-07-07 Ducker Paul M Ultra thin laminate with particulates in dense packages
JP5842353B2 (ja) * 2010-04-13 2016-01-13 Jnc株式会社 嵩高性不織布
JP4996766B2 (ja) * 2010-11-30 2012-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透液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474660B2 (en) 2012-10-31 2016-10-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US9480609B2 (en) 2012-10-31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US9327473B2 (en) 2012-10-31 2016-05-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having hollow projections and a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9480608B2 (en) 2012-10-31 2016-11-0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a fluid-entangled body facing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low projections
US10070999B2 (en) 2012-10-31 2018-09-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JP5748818B2 (ja) * 2013-09-28 2015-07-15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
JP6005019B2 (ja) * 2013-09-30 2016-10-1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15134371A1 (en) *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CN106102677B (zh) * 2014-03-06 2019-11-08 宝洁公司 多组分顶片
JP2017510397A (ja) 2014-03-06 2017-04-1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3次元基材
JP6581337B2 (ja) * 2014-09-03 2019-09-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064766B2 (en) 2014-09-12 2018-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woven material having discrete three-dimensional deformations that are configured to collapse in a controlled manner
MX2017003322A (es) 2014-09-12 2017-11-22 Procter & Gamble Metodo para fabricar materiales de tela no tejida que tienen deformaciones tridimensionales distintas con aberturas de base amplia que se unen a una capa adicional.
CN106804103A (zh) 2014-09-12 2017-06-06 宝洁公司 具有带有基部粘结到附加层的宽基部开口的离散的三维变形部的非织造材料
US20160074248A1 (en) 2014-09-12 2016-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layer laminate
JP6158992B2 (ja) * 2015-08-17 2017-07-0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10973702B2 (en) 2015-08-26 2021-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 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CN108348376B (zh) * 2015-11-20 2021-07-23 花王株式会社 吸收性物品
DE102016001807A1 (de) 2016-02-17 2017-08-17 Carl Freudenberg Kg Vliesstoff mit geprägtem Netzmuster
EP3216434A1 (en) 2016-03-08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topsheet/acquisition web laminate
EP3478235B1 (en) 2016-07-01 2020-10-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topsheet dryness
US11365495B2 (en) 2017-02-28 2022-06-2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cess for making fluid-entangled laminate webs with hollow projections and apertures
WO2018182601A1 (en) 2017-03-30 2018-10-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corporation of apertured area into an absorbent article
JP6726135B2 (ja) 2017-06-15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JP6776209B2 (ja) * 2017-06-15 2020-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WO2020066622A1 (ja) * 2018-09-28 2020-04-02 東レ株式会社 スパンボンド不織布
EP3898220A1 (en) 2018-12-20 2021-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laminate including a formed nonwoven substrate
CN110051476A (zh) * 2019-04-19 2019-07-26 泉州市泰迪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凹凸型底层的纸尿裤的制备方法
JP2021146733A (ja) * 2020-03-16 2021-09-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繊維メッシュ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繊維メッシュシートを用いた細胞培養チップ
JP7240475B2 (ja) * 2020-12-17 2023-03-15 花王株式会社 包装体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394A (en) 1993-11-08 1998-10-06 Kimberly-Clark Corporation Fibrous laminated web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3250836A (ja) 2001-12-28 2003-09-09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7943A (en) * 1965-10-04 1970-04-21 Kendall & Co Method for rolling nonwoven fabrics
CA1109654A (en) * 1978-08-21 1981-09-29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mbossed dust mop having embossed, nonwoven fabric cleaning element
JP2727242B2 (ja) * 1989-10-18 1998-03-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フロッピーディスクジャケット用ライナー
DK0767644T3 (da) * 1994-04-29 2002-03-18 Mcneil Ppc Inc Flerlags absorberende produkter
JP3609361B2 (ja) 2000-10-12 2005-01-1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材料
KR100665456B1 (ko) * 2000-10-12 2007-01-04 가오가부시끼가이샤 3차원적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입체시트 재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7394A (en) 1993-11-08 1998-10-06 Kimberly-Clark Corporation Fibrous laminated web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03250836A (ja) 2001-12-28 2003-09-09 Kao Corp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21925A1 (en) 2004-05-26
TW200424384A (en) 2004-11-16
DE60309268T2 (de) 2007-02-15
JP2004166849A (ja) 2004-06-17
JP3868892B2 (ja) 2007-01-17
DE60309268D1 (de) 2006-12-07
EP1421925B1 (en) 2006-10-25
CN100348793C (zh) 2007-11-14
TWI297050B (en) 2008-05-21
CN1502736A (zh) 2004-06-09
US7267860B2 (en) 2007-09-11
US20040142151A1 (en) 2004-07-22
KR20040044166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231B1 (ko)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JP3609361B2 (ja) 立体シート材料
JP3611838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US7534928B2 (e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
JP4895710B2 (ja) 不織布の製造方法
EP1803429B1 (en) Topsheet for absorbent articles
EP1346712B1 (en) Absorbent article
KR100665456B1 (ko) 3차원적 형태의 돌출부를 갖는 입체시트 재료
JP3877682B2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4889273B2 (ja) 表面シート
KR20130080424A (ko) 흡수성 물품
JP2012005701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096208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4219223B2 (ja) シート材料
JP5094173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808032B2 (ja) 立体シート材料
JP4274809B2 (ja) 洗浄シート
RU273565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KR102566980B1 (ko)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용의 적층 부직포, 및 상기 적층 부직포의, 흡수성 물품의 액 투과성 시트로의 사용
JP4549254B2 (ja) 吸収性物品
JP5225449B2 (ja) 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4545182B2 (ja) 洗浄シート
JP2022174632A (ja) 不織布及びこれを構成部材として含む吸収性物品
KR20080061283A (ko) 흡수성 물품용 표면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