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조사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조사 데이터 저장 시스템은 자주차(1), 및 원격 제어 장치(8)를 포함할 수 있다.
자주차(1)는 하수관과 같은 관로에 진입하여 관로의 내부를 조사한다. 자주차(1)와 원격 제어 장치(8)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 규격에 따라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자주차(1)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원격 제어 장치(8)는 자주차(1)의 운행을 원격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8)는 자주차(1)의 운행 방향을 다양한 각도로 제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8)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차(1)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주차(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자주차(1)에서 본체(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자주차(1)는 관로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본체(100), 본체(100)의 상측 전방에 구비되는 촬영부(200), 본체(100)의 상측 후방에 구비되는 관변형 측정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200)는 관로 내부를 촬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촬영부(200)는 관로 내부를 밝게 비추기 위한 조명부(210), 관로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220), 및 촬영부(200)를 승강시키거나, 카메라부(220) 또는 조명부(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1 구동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210)는 관로 조사용 자주차(1)를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자 형태를 가지며, 조명부(210)의 내측 중앙에는 카메라부(220)가 안착된다. 조명부(210)의 좌측 날개 및 우측 날개 상에는 촬영 시, 관로 내부를 밝게 하기 위한 주 표시등이 위치한다. 이러한 조명부(210)는 z축을 중심으로 360˚ 회전될 수 있다. 조명부(210)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조명부(210)의 내측 중앙에 안착된 카메라부(220) 역시 회전하게 된다.
카메라부(220)는 조명부(210)의 내측 중앙에 안착되며, 조명부(210)의 양 날개를 가로지르는 회전 축(미도시)을 기준으로 360˚ 회전될 수 있다. 카메라부(220)는 관로 내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와, 촬영 시 관로 내부를 밝게 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보조 표시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 표시등은 카메라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조 표시등은 조명부(210)에 구비된 주 표시등의 역할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므로, 보조 표시등의 밝기는 주 표시등의 밝기 보다 낮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보조 표시등의 밝기는 조명부(210)에 구비된 주 표시등의 밝기와 동일하거나 더 밝을 수도 있다.
제1 구동부(240)는 조명부(210)의 후방에 위치한다. 제1 구동부(240)의 일측은 조명부(210)와 결합된다. 제1 구동부(240)의 타측에는 제1 케이블(미도시)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는 촬영부측 제1 케이블 연결부(2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케이블의 타단은 본체(100)의 상측 중앙에 구비된 본체측 제1 케이블 연결부(11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구동부(240)의 몸체에는 촬영부(2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촬영부 지지대(230)가 삽입된다. 제1 촬영부 지지대(230)의 좌우 양측에는 관로의 직경에 맞추어 촬영부(2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 가이드 바(251)(bar)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가 각각 구비된다.
촬영부(2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 가이드 바(2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며, 완만한 곡선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1 승강 가이드 바(2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1 승강 가이드 바(2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의 한쪽 끝은 제1 촬영부 지지대(230)와 힌지 결합한다. 제1 승강 가이드 바(2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의 다른쪽 끝은 본체(100)에 구비된 제2 촬영부 지지대(130)와 힌지 결합한다. 제2 촬영부 지지대(130)는 자주차(1)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 형태를 가지며, 본체(1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조명부(210), 카메라부(220), 제1 구동부(240)는 제어부(400)의 제2 처리부(420)와 데이터나 제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22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제2 처리부(420)로 전송될 수 있고, 조명부(210)의 주 표시등을 온/오프시키는 제어 신호, 카메라부(220)의 보조 표시등을 온/오프시키는 제어 신호, 조명부(210) 또는 카메라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촬영부(20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을 제2 처리부(420)로부터 수신할 수 있 다.
관변형 측정부(300)는 원형 관로의 변형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변형 측정부(300)는 원형 관로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와,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의 승강 구동을 위한 제2 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는 제2 구동부(340)의 후방에 위치하며, 원형 관로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관변형 측정 센서(321)를 포함할 수 있다. 관변형 측정 센서(321)로는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관로의 반경 방향에 대한 관변형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출력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관로의 내측면을 향하여 설치된 측정봉이 관로의 내측면과 맞닿아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관변형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출력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는 관변형 측정 센서(321)가 후자인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에는 하나 이상의 관변형 측정 센서(32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에는 4개의 관변형 측정 센서(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4개의 관변형 측정 센서(321)는 십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관변형 측정 센서(321)는 센서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측정봉이 관로의 내벽과 맞닿아 휘어질 수 있도록 관로의 내벽을 향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변형 측정 센서(321)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제어부(400)의 제1 처리부(410)로 제공되어 변환 및 증폭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40)는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제어 부(400)의 제2 처리부(420)로부터 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관변형 측정부(300)를 승강시킨다. 제2 구동부(340)의 일측은 관변형 측정 센서부(320)와 결합된다. 제2 구동부(340)의 타측에는 제2 케이블(미도시)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는 관변형 측정부측 제2 케이블 연결부(360)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케이블의 타단은 본체(100)의 상측 중앙에 구비된 본체측 제2 케이블 연결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40)의 몸체에는 관변형 측정부(300)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관변형 측정부 지지대(330)가 삽입된다. 제1 관변형 측정부 지지대(330)의 좌우 양측에는 관로의 직경에 맞추어 관변형 측정부(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 가이드 바(2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252)가 각각 구비된다.
관변형 측정부(300)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제1 승강 가이드 바(3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352)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며, 완만한 곡선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1 승강 가이드 바(3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35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다. 제1 승강 가이드 바(351) 및 제 승강 조절 바의 한쪽 끝은 제1 관변형 측정부 지지대(330)와 힌지 결합한다. 제1 승강 가이드 바(351) 및 제2 승강 가이드 바(352)의 다른쪽 끝은 본체(100)에 구비된 제2 관변형 측정부 지지대(140)와 힌지 결합한다. 제2 관변형 측정부 지지대(140)는 앞서 설명한 제2 촬영부 지지대(130)와 마찬가지로, 정면에서 보았을 때 '└┘' 형태를 가지며, 본체(100)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센서블록(190)은 본체(100)의 상측 후방에 설치된다. 센서블록(190)의 내부에는 관로의 경사 즉, z축을 기준으로 관로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경사 측정 센서(192)와, 자주차(1)의 자세 즉, x축을 기준으로 자주차(1)의 본체(100)가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세 측정 센서(191)가 구비된다. 경사 측정 센서(192)는 관로의 길이 방향 즉, z측 방향으로 설치되고, 자세 측정 센서(191)는 관로의 수평 지름 방향 즉, x축 방향으로 설치된다. 경사 측정 센서(192) 및 자세 측정 센서(191)에 의해 측정된 값은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부(400)의 제1 처리부(410)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전방에는 이동용 표시등(150)이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동용 표시등(150)은 관로 조사용 자주차(1)가 관로 내부에서 이동할 때, 관로 내부를 밝게 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조명부(210)의 주 표시등이나, 카메라부(220)의 보조 표시등과는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본체(100)의 후방에는 원격 제어 장치(8)와의 통신을 위한 제3 케이블(미도시)이 연결될 수 있는 제3 케이블 연결부(160)가 구비된다. 원격 제어 장치(8)에서 발생된 제어 신호는 제3 케이블을 통해 자주차(1)의 본체(100)로 제공될 수 있으며, 자주차(1)의 촬영부(20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나 센서블록(190)에서 출력된 신호들은 제3 케이블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8)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100)의 좌측 및 우측에는 다수의 바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수의 좌측 바퀴(170a, 170b)를 구동하는 구동부(이하, '좌측 바퀴 구동부'라 한다)와 다수의 우측 바퀴를 구동하는 구동부(이하, '우측 바퀴 구동부'라 한다)는 별도로 구비된다. 좌측 바퀴 구동부 및 우측 바퀴 구동부(500)는 본체(100)의 내부에 좌우로 나란히 구비된다. 좌측 바퀴 구동부와 우측 바퀴 구동 부(500)는 그 구조가 서로 대응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우측 바퀴 구동부(50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우측 바퀴 구동부(500)는 동력 발생을 위한 모터부(510), 모터부(510)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다수의 우측 바퀴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5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서보모터(512)(Servo-motor), 서보모터(512)의 회전 속도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서보모터 엔코더(511), 및 서보모터(5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감속기(513)를 포함할 수 있다. 서보모터(512)는 원통형의 프레임 내부에 회전자(미도시) 및 고정자(미도시) 등이 구비된다. 서보모터 엔코더(511)에 의해 검출되는 신호는 본체(100) 내부에 구비된 제어부(400)로 피드백(Feedback) 된다.
동력 전달부(520)는 서보모터(512) 회전축에 고정설치된 우측원동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우측구동 베벨기어가 설치되는 우측전방 기어축, 우측구동 베벨기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서보모터(512)에서 발생한 동력을 제공받는 우측전방 휠(미도시), 우측전방 휠의 외측에 설치되어 우측전방 바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우측전방 바퀴 고정부(미도시), 외측에 우측후방 바퀴(미도시)가 설치되는 우측후방 기어축(521b), 우측후방 바퀴 보다 내측에 설치되어 우측후방 바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우측후방 바퀴 고정부(522b), 우측후방 바퀴 고정부(522b 보다 내측에 설치되며 동력 벨트(524)에 의해 우측전방 휠과 연결되는 우측후방 휠(523b)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후방 기어축(521b)은 후방 기어축 지지대(525)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방 기어축 지지대(525)는 자주차(1)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 '└┘' 형태를 갖는다. 후방 기어축 지지대(525)의 좌우 돌출부 중에서 우측 돌출부에는 우측후방 기어축(521b)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된다. 이 홀을 통과한 우측후방 기어축(521b)의 일단은 너트(526)와 결합하여 후방 기어축 지지대(525)의 우측 돌출부에 고정된다.
한편, 제어부(400)는 원격 제어 장치(8)에서 제공된 제어 신호에 따라 자주차(1)를 제어하고, 카메라부(220)나 각종 센서에 의해 측정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원격 제어 장치(8)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400)는 제1 처리부(410), 제2 처리부(420), 및 저장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부(410)는 자주차(1)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에서 측정된 신호를 처리하여 원격 제어 장치(8)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처리부(410)는 센서에서 측정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크기를 증폭하여 원격 제어 장치(8)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처리부(420)는 촬영부(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여 원격 제어 장치(8)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8)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자주차(1)의 운행 속도나 운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주차(1)의 운행 방향에 대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처리부(420)는 좌측 바퀴 구동부 및 우측 바퀴 구동부(500) 각각에 대하여 전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된 전류의 크기를 각각 증폭하여 각각의 구동부로 제공할 수 있 다.
또한, 제2 처리부(420)는 자주차(1)의 본체(100)가 좌우 수평 상태를 유지하도록 자주차(1)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처리부(420)는 서보모터 엔코더(511)에서 피드백된 신호 및 자세 측정 센서(191)에서 피드백된 신호에 근거하여, 자주차(1)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좌측 바퀴 및 우측 바퀴의 움직임을 별도로 제어할 수 있다. 자주차(1)의 자세를 제어할 때, 제2 처리부(420)는 기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매핑 테이블은 자주차(1)의 자세 즉, 자주차(1)의 본체(100)가 x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 좌측전방 바퀴(170a)에 대한 제어량, 및 우측전방 바퀴에 대한 제어량 간의 매핑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로서, 사전 실험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이 때, 매핑 테이블은 자주차(1)가 기울어진 각도에 대하여 0.1˚의 정밀도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매핑 테이블은 자주차(1)의 본체(100)가 x축을 기준으로 0.1˚ 만큼 기울어진 경우, 자주차(1)의 본체(100)를 수평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좌측전방 바퀴(170a) 및 우측전방 바퀴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제어량과, 자주차(1)의 본체(100)가 x축을 기준으로 0.2˚ 만큼 기울어진 경우, 자주차(1)의 본체(100)를 수평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좌측전방 바퀴(170a) 및 우측전방 바퀴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제어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430)는 자주차(1)의 자세 제어에 필요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430)는 롬(ROM: Read Only Memory), 이이피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비 휘발성 메모리 또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술한 제어부(400)는 센서블록(19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제어부(400)를 본체(100) 내부에 탑재하되, 센서블록(190)과 가깝게 배치함으로써, 빠른 응답 특성을 얻을 수 있으며, 자주차(1)의 자세를 실시간으로 보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8)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8)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원격 제어 장치(8)의 입력부(830)에 구비될 수 있는 운행 방향 조절 버튼을 예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원격 제어 장치(8)에서 제공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8)는 입력부(830), 데이터 처리부(820), 데이터 저장부(840), 및 디스플레이부(81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830)는 운영자로부터 원격 제어 장치(8)에 전원을 인가하는 명령, 자주차(1)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830)는 원격 제어 장치(8)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공급 버튼(831), 자주차(1)의 운행을 제어하기 위한 자주차 제어용 버튼(832, 833, 834, 835), 자주차(1)에 탑재된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용 버튼(836, 837, 838, 839)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용 버튼(836, 837, 838, 839)은 카메라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 원 공급 버튼(836), 카메라의 원점 조정을 위한 원점 조정 버튼(837), 조도 조정을 위한 조도 조정 버튼(838), 카메라의 회전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버튼(839)을 포함할 수 있다.
자주차 제어용 버튼(832, 833, 834, 835)은 자주차(1)의 운행을 시작하는 시동 버튼(831), 운행을 정지시키는 정지 버튼(833), 자주차(1)의 운행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 조절 버튼(834), 자주차(1)의 운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운행 방향 조절 버튼(8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행 방향 조절 버튼(835)은 자주차(1)의 운행 방향과 관련하여 다양한 레벨의 각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운행 방향 조절 버튼(835)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주차(1)의 운행 방향을 15˚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행 방향 조절 버튼은 자주차(1)의 운행 방향을 15˚ 보다 더욱 작은 단위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운행 방향 조절 버튼(835)은 일정 간격의 각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지만, 사전 지정된 범위 내에서 임의의 각도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데이터 처리부(820)는 원격 제어 장치(8)의 각 구성요소를 서로 연결하고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행 방향 조절 버튼(835)을 통해 소정 각도가 입력되는 경우, 데이터 처리부(820)는 이전에 입력되었던 각도와 현재 입력된 각도 간의 차이를 계산하고, 계산된 값을 자주차(1)로 송신할 수 있다. 그러면, 자주차(1)의 제2 처리부(420)는 원격 제어 장치(8)로부터 수신한 각도 값에 따라, 좌측 바퀴 구 동부로 공급될 전류의 크기와 우측 바퀴 구동부(500)로 공급될 전류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그 다음, 계산된 각 전류의 크기를 증폭하여 좌측 바퀴 구동부 및 우측 바퀴 구동부(500)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이외에도, 데이터 처리부(820)는 자주차(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주차(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가 아날로그 영상 신호인 경우, 데이터 처리부(820)는 수신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820)는 사전 지정된 초당 프레임 수에 맞추어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820)는 자주차(1)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를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데이터 처리부(820)에 의해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600)는 영상 데이터 표시 영역(610), 입력 정보 표시 영역(620), 측정 데이터 표시 영역(630), 제어 버튼 표시 영역(640), 및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데이터 표시 영역(610)은 데이터 처리부(820)에 의해 변환된 영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영상 데이터 표시 영역(610)에 표시되는 영상 데이터는 자막이 추가되지 않은 영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 정보 표시 영역(620)은 입력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이다. 입력 정보는 관로 조사와 관련하여 운영자로부터 입력받은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공사명, 공사 개요, 발주처, 시공사, 기본 정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기본 정보는 조사하려는 관로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의미하며, 관로의 식별번호, 관로의 직경, 관로의 종류, 배수 종류, 관로 길이, 측정일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운영자는 앞서 설명한 입력부를 통해 예시된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입력부는 문자 입력을 위한 다수의 키패드나 포인팅 디바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정 데이터 표시 영역(630)은 자주차(1)에 탑재된 각종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영역이다. 측정 데이터로는 관로가 기울어진 각도(관기울기), 자주차(1)의 본체가 수평방향 축을 기준으로 기울어진 각도(차체경사), 관로가 변형된 정도(관변형률), 측정거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어 버튼 표시 영역(640)은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버튼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도 6에는 제어 버튼으로서,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버튼(641)과,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각종 데이터를 보고서로 출력하기 위한 보고서 출력 버튼(642)이 예시되어 있다. 저장 버튼(641)이 선택되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가 서로 다른 영역에 구분되어 표시된 상태의 유저 인터페이스(600) 화면 자체가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유저 인터페이스(600) 화면을 저장하면, 저장 후에도 원본 영상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은 측정 데이터의 변화량이 텍스트 이외의 형식으로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면,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 역(650)에는 측정시간이나 측정거리에 따른 관기울기의 변화, 차체경사의 변화, 관변형률 등이 그래프나 그림이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다.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에 표시되는 그래프나 그림은 2차원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고, 3차원 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에 표시하려는 데이터의 종류나 표시 방법 등은 운영자에 의해 변경 가능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600)에 포함되는 다수의 표시 영역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유저 인터페이스(600)의 화면 전체를 좌우로 분할하였을 때, 영상 데이터 표시 영역(610)은 예를 들어, 화면의 왼쪽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은 화면의 왼쪽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화면의 오른쪽에는 입력 정보 표시 영역(620), 측정 데이터 표시 영역(630), 및 제어 버튼 표시 영역(640)이 상부에서부터 하부쪽으로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600)는 윈도우를 운영체제로 사용하는 디지털 장치에서도 운용될 수 있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데이터 저장부(840)는 데이터 처리부(820)에 의해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와 관련된 데이터,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600)의 비텍스트 데이터 표시 영역(650)에 측정 데이터의 변화량을 그림 또는 그래프로 그리는데 필요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각 표시 영역을 통해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600) 화면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10)는 명령 처리 결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영상 데이터와 측정 데이터가 서로 다른 표시 영역에 구 분되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처럼 명령 처리 결과나 데이터 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부(810)는 액정 표시 화면(Liquid Cristal Display; LCD)과 같은 영상 표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 조사 데이터 처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관로 조사와 관련하여 운영자가 입력한 입력 정보를 유저 인터페이스(600)의 입력 정보 표시 영역(620)에 표시한다(S710).
이 후, 자주차(1)로부터 영상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가 수신되면(S720), 데이터 처리부(820)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를 유저 인터페이스(600)의 영상 데이터 표시 영역(610) 및 측정 데이터 표시 영역(630)에 각각 표시한다(S730). 상기 S730 단계는 수신된 영상 데이터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다음, 기 설정된 설정 정보에 따라 비텍스트 표시 영역에 그래프나 그림을 표시한다(S740). 상기 S740 단계는 데이터 처리부(8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600)의 서로 다른 표시 영역을 통해 영상 데이터 및 측정 데이터를 구분하여 표시하다가 제어 버튼이 선택된다면(S750, 예), 유저 인터페이스(600)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데이터를 선택된 제어 버튼의 종류에 따라 처리한다(S760). 예를 들어, 저장 버튼(641)이 선택되었다면,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을 저장하고, 보고서 출력 버튼(642)이 선택되었다면, 유저 인터페이스(6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 는 데이터를 보고서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S750 단계는 데이터 처리부(8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상으로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로 조사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