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9425B1 -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9425B1
KR101079425B1 KR1020090000435A KR20090000435A KR101079425B1 KR 101079425 B1 KR101079425 B1 KR 101079425B1 KR 1020090000435 A KR1020090000435 A KR 1020090000435A KR 20090000435 A KR20090000435 A KR 20090000435A KR 101079425 B1 KR101079425 B1 KR 101079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layer
primary
winding
primary segments
secondary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641A (ko
Inventor
이창호
이옥구
한정후
안규환
김형욱
이동호
양기석
김학선
조이 라스카
Original Assignee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지아 테크 리서치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75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9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9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56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3F1/565Modifications of input or output impedan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induc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18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 H03F3/19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195High-frequency amplifiers, e.g. radio frequency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3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0Amplifiers in which coupling networks have distributed constants, e.g. with waveguide reson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42Networks for transforming balanced signals into unbalanced signals and vice versa, e.g. balu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87A circuit being add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to adapt the output impedance of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output circuit of an amplifying stage comprising an LC-networ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99A parallel resonance being added in shunt in the output circuit, e.g. base, gate, of an amplifier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02A series resonance being added in shunt in the output circuit, e.g. base, gate, of an amplifier stag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541Transformer coupled at the output of a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138Two or more differential amplifiers in IC-block form are combined, e.g. measuring amplif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상기 시스템 및 방법은, 제1 차동 출력 신호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증폭기와, 병렬 연결된 복수의 1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1차 권선 및 상기 복수의 1차 권선과 유도 결합되는 단일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1 단은 제1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2 단은 제2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1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1차, 2차, 권선, 트랜스포머, 전력증폭기, 세그먼트

Description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MULTI-SEGMENT PRIMARY AND MULTI-TURN SECONDARY TRANSFORMER FOR POWER AMPLIFIER SYSTEMS}
본 발명은 전력 증폭기(Power Amplifier: PA)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를 부하에 연결하기 위한 전압-부스팅(voltage-boosting) 트랜스포머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능들(예를 들어, 저잡음 증폭기, 믹서, 전압 제어 발진기 등)을 하나의 반도체 기술(예를 들어, 단일 칩)으로 집적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전력 증폭기를 완전하게 단일 칩 영역으로 집적하는 것은 매우 많은 여려움이 있다. 특히, 벌크 전력 매칭 구조는 매우 큰 칩 면적을 요구하며, 이러한 매칭구조가 칩 영역 전체에 분포하는 경우, 전력 증폭기로부터의 높은 출력 파워가 다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일부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전력 증폭기의 매칭 구조가 다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기능으로부터 한 영역으로 아이솔레이션 되어야 하며, 전력 증폭기의 레벨을 충분히 높게 가져가는 반면 전체 매칭 구조의 사이즈는 비용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 현저하게 축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완전하게 집적된 고출력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개선된 전력 매칭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집적된 고출력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개선된 전력 매칭 구조를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증폭기, 제1 턴수(N1)를 갖는 다중 세그먼트(multi-segment)의 단일 1차 트랜스포머 권선(winding), 및 제2 턴수(N2)를 갖는 단일 2차 트랜스포머 권선을 포함하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1차 트랜스포머 권선으로부터 상기 2차 트랜스포머 권선으로의 턴비(turn ratio)는 N1:N2로 표현되며, 1차 권선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N2/N1의 비로 2차 권선에 부스팅하기 위해 N2>N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은 자기 결합을 증가시켜 패시브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 증폭기는 상기 1차 권선에서 시스템 입력 포트에 연결된 차동 입력과 같은 입력을 포함하며, 상기 1차 권선은 상기 제2 권선의 차동 출력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단일 2차 트랜스포머 권선은 상기 1차 트랜스포머 권선에 유도결합될(inductively coupled) 수 있으며, 부하가 연결되는 시스템 출력 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시스템은 제1 차동 출력 신호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병렬 연결된 복수의 1차 세그먼트(primary segment)를 포함하는 1차 권선 및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에 유도결합된 단일 2차 권선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1 단은 제1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2 단은 제2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1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제1 차동 출력 신호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를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차동 출력 신호를 제1 공통 입력 포트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제2 공통 입력 포트에서 수신하는 단계-상기 제1 공통 입력 포트는 1차 권선을 형성하는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1 단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2 단에 연결됨-와,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를 단일 2차 권선에 유도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전력 매칭구조를 통해 전력증폭기 시스템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기술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모든 실시형태가 개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개시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형태들은 출원을 위한 법적 요구사항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참조부호가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포트(101), 선택적인 드라이버 증폭 스테이지(102),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스위칭 전력 증폭기(103),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104)를 포함하는 스위칭 전력 증폭기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드라이버 증폭기 스테이지(102)는 기저대역 신호 또는 RF 신호와 같은 입력은 입력 포트(101)로부터 수신하고, 스위칭 전력 증폭기(103)를 구동하기 위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전력 증폭기(103)는 전원전압 공급 포트(Vdd)(10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이어, 스위칭 전력 증폭기(103)는 증폭된 출력 신호를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104)에 제공하고,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104)는 출력 포트(105)에 존재하는 부하 임피던스에 상기 전력 증폭기(103)의 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태에 따르면, 상기 부하는 스위치, 멀티플렉서, 필터, 안테나 또는 기타 다른 형식의 부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 임피던스는 50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 임피던스가 50Ω일 때,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104)는 스위칭 전력 증폭기(103)의 출력 임피던스를 50Ω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더 높은 출력 파워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104)로서 N1:N2 트랜스포머에 의해 임피던스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다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는 각각이 N1의 턴수를 갖는 M 개의 다중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1차 권선(206) 및 N2의 턴수를 갖는 단일 2차 권선(207)을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은 상기 단일 다중턴 2차 권선(207)과 유도결합될(inductively coupled)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로부터 유도된 전류들은 상기 제2 권선(207)에서 동일 위상으로 합산된다. 2차 권선(207)은 부하(Rload)(209)가 결합되는 시스템 출력 포트(Vout)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부하(209)는 스위치, 멀티플렉서, 필터, 안테나 또는 기타 다른 종류의 부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로부터 2차 권선(207)으로의 턴비(turn ratio)는 N1:N2일 수 있으며, 1차 권선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N2/N1의 비로 2차 권선에 부스팅하기 위해 N1<N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계속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AMP 1)(20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증폭기(203)는 차동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차동 전력 증폭기(AMP 1)는 차동 입력(Vin 1+, Vin 1-)(201, 202)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201)은 정(positive) 신호 입력이며, 입력(202)은 부(negative) 신호 입력이다. 더하여, 증폭기(AMP 1)는 출력(204, 205)과 같은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204)은 정 출력이고, 상기 출력(205)은 부 출력이며, 출력(204, 205)은 차동 출력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출력(204, 205)은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206)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203)로부터 제2 권선(207)에 제공되는 전류는 실질적으로 i1=(N/M)×i2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i2는 2차 권선에 흐르는 전류이고, M은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 내의 각 세그먼트 수이고, N은 2차 권선(207)의 턴수에 대한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의 턴수의 비이다. 이와 유사하게, 전력 증폭기(203)로부터 2차 권선(207)으로 제공되는 전압은 실질적으로 v1=(1/N)×v2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v2는 2차 권선(207)에서 전압이고, N은 2차 권선(207)의 턴수에 대한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의 턴수의 비이다.
계속 도 2를 참조하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는 Vdd 1-M에 대응되는 각각의 센터탭(center tap) 포트(210a-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에 대해 차동 증폭기에 의해 차동 신호가 생성될 때, 센터탭 포트(210a-m)는 가상 교류 접지(virtual AC ground)에 존재할 수 있다. 차동 증 폭기의 전원 전압은 센터탭 포트(210a-m)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센터 탭 포트(210a-m)의 위치는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206)의 각 세그먼트의 중앙 또는 대칭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센터탭 포트(210a-m)의 위치는, 차동 증폭기에 의해 생성된 차동 신호의 크기에 따라 중앙 또는 대칭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증폭기에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이 연결된 트랜스포터의 회로도이다. 특히, 도 3에서, 각각이 N1의 턴수를 갖는 M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1차 권선(312) 및 N2의 턴수를 갖는 단일 2차 권선(313)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M 개의 세그먼트는 상기 단일 2차 권선(313)에 유도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증폭기(307a-l)(예를 들어, 차동 증폭기)의 출력(310, 311)은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에 입력으로서 연결된다. 특히, 전력 증폭기(302a-l)의 차동 출력을 구성하는 정(positive) 신호 출력(310)과 그에 대응되는 부(negative) 신호 출력(311)은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에 입력으로서 연결된다. 정 입력 신호(301a-l) 및 그에 대응되는 부 입력신호(302a-l)는 각 전력 증폭기(307a-l)에 입력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의 각 세그먼트로부터 유도된 전류 각각은 2차 권선(313)에서 동일 위상으로 합산된다. 2차 권선(313)은, 부하(Rload)가 연결된 시스템 출력 포트(Vout)(314)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부하(315)는 스위치, 멀티플렉서, 필터, 안테나 또는 기타 다른 종류의 부 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의 각 세그먼트로부터 2차 권선(313)으로의 턴비(turn ratio)는 N1:N2일 수 있으며, 1차 권선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N2/N1의 비로 2차 권선에 부스팅하기 위해 N1<N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계속 도 3을 참조하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의 각 세그먼트는 Vdd 1-M에 대응되는 각각의 센터탭 포트(316a-m)를 포함할 수 있다.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에 대해 차동 증폭기에 의해 차동 신호가 생성될 때, 센터탭 포트(316a-m)는 가상 교류 접지(virtual AC ground)에 존재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의 전원 전압은 센터탭 포트(316a-m)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센터 탭 포트(316a-m)의 위치는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312)의 각 세그먼트의 중앙 또는 대칭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형태에서, 센터탭 포트(316a-m)의 위치는, 차동 증폭기에 의해 생성된 차동 신호의 크기에 따라 중앙 또는 대칭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변화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변압기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세그먼트(407, 408)를 포함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1차 권선 및 2회의 턴수를 갖는 2차 권선(409)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세그먼트(407, 408)의 제1 단은 공통 정(positive) 입력 포트(420)에 연결되고, 세그먼트(407, 408)의 제2 단은 부(negative) 입력 포트(42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통 입력 포트(420)와 부 입력 포트(421)는 패드 또는 다른 전도성 연결수단으로 제조될 수 있다.
계속 도 4를 참조하면, 세그먼트(407, 408)를 포함하는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1차 권선은 전력 증폭기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전력 증폭기는 차동 전력 증폭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증폭기는 트랜지스터(401, 4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401, 402)는 각각이 소스, 게이트 및 드레인을 갖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 MOSFET)일 수 있다. 도 4에서, 트랜지스터(402, 403)의 소스는 접지될 수 있으며, 트랜지스터(402)의 게이트는 정(positive) 신호 입력(Vin 1+)(401)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403)의 게이트는 부(negative) 신호 입력(Vin 1-)(40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트랜지스터(402)의 드레인은 차동 증폭기의 정(positive) 출력(405)을 제공한다. 상기 차동 증폭기의 정 출력(405)은 제1 및 제2 세그먼트(407, 408)에 제1 입력을 제공하는 공통 정 입력 포트(4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트랜지스터(403)의 드레인은 차동 증폭기의 부(negative) 출력(406)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차동 증폭기의 부 출력(406)은, 제1 및 제2 세그먼트(407, 408)에 제2 입력을 제공하는 공통 부 입력 포트(421)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트랜지스터(402, 403)는 MOSFET인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트랜지스터(402, 403)는 양극성 접합 트랜지스터(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또는 기타 다른 형식의 트랜지스터를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1차 권선의 두 세그먼트(407, 408)의 여기기에 의해 자기적으로 유도된 전류는 동일한 위상으로 2차 권선(409)에 함께 합산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1차 권선의 세그먼트(407, 408)의 전류들이 자기 소거(self-cancellation)을 방지하기 위해 동일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트랜스포머가 설계 또는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하가 2차 권선(409)의 출력 포트(410, 41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1차 권선의 세그먼트들과 2차 권선은 서로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아 연결(via connection)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닝 블록을 이용한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튜닝 블록은 트랜스포머의 동작 파라미터들을 조정하거나 변경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스포머는, 각각이 N1의 턴수를 갖는 두 개의 세그먼트를 갖는 1차 권선(506)과 N2의 턴수를 갖는 단일 2차 권선(507)을 포함한다.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은 다중 턴수의 단일 2차 권선(507)에 유도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의 각 권선으로부터 유도된 전류는 2차 권선(507)에서 동일한 위상으로 합산된다. 2차 권선(507)은 부하(Rload)(509)가 연결되는 시스템 출력 포트(Vout)(508)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부하(509)는 스위치, 멀티플렉서, 필터, 안테나 또는 기타 다른 종류의 부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 선(506)의 각 세그먼트로부터 2차 권선(507)으로의 턴비(turn ratio)는 N1:N2일 수 있으며,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의 각 세그먼트의 전압을 실질적으로 N2/N1의 비로 2차 권선(507)에 부스팅하기 위해 N1<N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계속 도 5를 참조하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력 증폭기(503)(AMP 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503)는 차동 증폭기일 수 있다. 차동 전력 증폭기(AMP 1)는 차동 입력(Vin 1+, Vin 1-)(501, 502)와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동입력(Vin 1+)(501)은 정(positive) 신호 입력이고, 상기 차동입력(Vin 1-)(502)은 부(negative) 신호 입력이다. 더하여, 증폭기(AMP 1)는 차동 출력(504, 505)와 같은 출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504)은 정(positive) 출력이고, 상기 출력(505)은 부(negative) 출력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출력(504, 505)은 트랜스포머의 1차 권선(506)에 연결될 수 있다.
계속 도 5를 참조하면, 차동 증폭기의 사용은 멀티 스테이지 1차 권선(506)의 각 세그먼트가 각 센터탭 포트(510, 511)를 갖게 한다. 센터탭 포트(510, 511)는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에 대해 차동 전력 증폭기에 의해 차동 신호가 생성될 때 가상 교류 접지(virtual AC ground)에 존재할 수 있다. 차동 증폭기의 전원 전압이 센터탭 포트(510, 511)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튜닝 블록(512)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의 제1 세그먼트의 센터탭 포트(510)에 제공될 수 있다. 유사하게, 2차 튜닝 블록(513)이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506)의 제2 세그먼트의 센터탭 포트(511)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512, 513)은 결합 주파수 대역의 제어, 조정, 필터 또는 다른 방식의 튜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512, 513)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강하거나 억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공진회로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닝 블록을 이용한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2차 권선에 유도결합되는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의 복수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1회의 턴수(N1=1)를 갖는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의 두 1차 세그먼트(607, 608) 및 2회의 턴수(N2=2)를 갖는 2차 권선(609)이 존재할 수 있다. 두 세그먼트(607, 608)는 공통 정(positive) 입력 포트(620) 및 공통 부(negative) 입력 포트(621)를 통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폭기(AMP 1)(603)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증폭기는 정(positive) 입력 신호(Vin 1+) 및 부(negative) 입력 신호(Vin 1-)를 수신할 수 있고, 각각의 공통 정 입력 포트(620) 및 공통 부 입력 포트(621)로 정 출력(604) 및 부 출력(605)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 증폭기(603)는 차동 증폭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동 증폭기에 의한 차동 출력(604, 605)의 생성은 제1 및 제2 세그먼트(607, 608) 각각의 센터탭 포트(612, 613)에 가상 교류 접지(virtual AC ground)를 나타나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동 증폭기의 전원 전압이 센터탭 포트(612, 613)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튜닝 블록(614)은 제1 센터탭 포트(612)에 연결되고, 제2 튜닝 블록(615)은 제2 센터탭 포트(613)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튜닝 블록(614, 615)은, 트랜스포머 구조가 형성된 기판과 동일한 기판의 일부로서 제조되거나, 트랜스포머 레이아웃 구조와 통신하는 별도의 모듈로서 제조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614, 61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강하거나 억제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공진회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일부에 인접하거나 트랜스포머의 일부를 실질적으로 둘러싸는 보조 권선을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트랜스포터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7은 도 6의 트랜스포머 레이아웃 구조에 추가적인 보조 권선(702)이 부가된 형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보조 권선(702)은 1차 권선의 세그먼트(607, 608)와 2차 권선(702) 사이의 결합량을 검출하기 위해 트랜스포머에 결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보조 권선(702)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력 검출을 위한 보조 권선이 결합량을 검출하기 위해 트랜스포머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보조 권선은 결합량을 검출하기 위해 트랜스포머의 일측 또는 복수의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더하여, 보조 권선은 도 7의 트랜스포머에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른 형태의 트랜스포머에도 유사하게 보조 권선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5 내지 7에 도시된 튜닝 블록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은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튜닝 블록으로서 사용될 수 있는 공진회로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튜닝블록의 일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은 서로 직렬 연결된 용량성 요소(capacitive component)(801) 및 유도성 요소(inductive component)(802)를 포함하는 공진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진 회로의 포트(800)는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의 센터탭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8a의 공진 회로는 공진 주파수(fn)(803)를 가질 수 있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튜닝블록의 다른 예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닝 블록은 서로 병렬로 연결된 용량성 요소(capacitive component)(811) 및 유도성 요소(inductive component)(812)를 포함하는 공진회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진 회로의 포트(810)는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의 센터탭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진회로는 공진 주파수(fn)(813)를 가질 수 있다.
도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튜닝블록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회로 도이다.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fn1, fn2, fn3)(827, 828, 829)와 같은 복수의 공진 주파수를 갖는 공진 회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용량성 요소(capacitive component)(821) 및 유도성 요소(inductive component)(822)는 공진 주파수(fn1)(827)를 제공하도록 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용량성 요소(capacitive component)(823) 및 유도성 요소(inductive component)(824)는 공진 주파수(fn2)(828)를 제공하도록 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용량성 요소(capacitive component)(825) 및 유도성 요소(inductive component)(826)는 공진 주파수(fn3)(829)를 제공하도록 서로 직렬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진회로의 포트(820)는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의 센터탭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c는 특정 구조의 공진 회로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다양한 형식의 직렬/병렬 공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튜닝 블록이 센터탭 포트에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다른 위치에서 튜닝 블록이 1차 권선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8c에 도시된 용량성 요소 및 유도성 요소의 값과 파라미터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원하는 공진 주파수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튜닝 블록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주파수는 불필요한 하모닉을 필터링하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주파수에서 다른 하모닉을 증강시키며, 이를 이용하여 결합 주파수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은 평면 구조(planar structure), 스택 구조(stacked structure) 및 다중층 구 조(multi-layered structure)를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평면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권선의 모든 세그먼트들이 동일한 금속층 상에 실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가 1차 권선의 다른 세그먼트에 직접 인접할 수 있도록, 복수의 턴수를 갖는 2차 권선은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와 1차 권선의 다른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평면 기판 구조와 같이, 1차 권선의 제1 세그먼트는 전체적으로 제1 금속층(902) 상에 형성되고,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1차 금속층(902) 상에 1차 권선의 제2 세그먼트가 제조된다. 유사하게, 복수의 턴수를 갖는 제2 권선이 1차 권선의 세그먼트들 사이에 위치한 층 표면에 실질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1차 세그먼트 또는 2차 권선의 교차부(cross-over section)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아 연결(904)을 이용해서 경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택 구조(stacked structure)를 이용하여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이 실시될 수 있다. 스택구조를 이용하여, 1차 권선의 모든 세그먼트들은 수평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하나의 금속층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2차 권선은 다른 금속층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도 10의 스택 기판 구조에서, 1차 권선의 세그먼트들은 금속층(1002)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2차 권선은 금속층(1004)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또 다른 스택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이 구조에서,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의 각 세그먼트는 서로 다른 층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1차 권선의 층들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지 않는 다. 복수의 턴수를 갖는 2차 권선은, 1차 권선의 한 세그먼트가 형성된 금속층과 1차 권선의 다른 세그먼트가 형성된 금속층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2차 권선의 다중 턴들은 비아를 이용하여 연결된 다중 층을 차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의 스택 기판 구조에서, 1차 권선의 제1 세그먼트는 금속층(1102) 상에 형성될 수 있고, 1차 권선의 제2 세그먼트는 다른 금속층(1106)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복수의 턴수를 갖는 단일 2차 권선은 금속층(1104) 및 금속층(1108)의 조합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비아(11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더하여,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1차 권선의 각 세그먼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아를 이용하여 공통 정(positive) 입력 포트 및 공통 부(negative) 입력 포트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는 다중 층 구조(multi-layer structure)로 실시될 수 있다. 다중층 구조를 이용하여, 1차 권선의 각 세그먼트는 둘 또는 그 이상의 금속층 상에 제조되며 비아를 통해 연결된다. 유사하게, 2차 권선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층을 사용하여 제조되며 비아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권선의 제1 세그먼트는 제1 금속층(1202)의 제1 부분 및 제3 금속층(1206)의 제1 부분 상에 제조되며 적어도 하나의 제1 비아(121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하게, 1차 권선의 제2 세그먼트는 제1 금속층(1202)의 제2 부분 및 제3 금속층(1206)의 제2 부분 상에 제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비아(121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단일 2차 권선은 제2 금속층(1204) 및 제4 금속층(1208) 상에 제조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아(121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트랜스포머로부터 전력증폭기의 코어로의 자기 결합을 감소시켜 안정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력증폭기의 코어 및 트랜스포머의 권선은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전력증폭기의 코어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된 트랜스포머는, 서로 다른 기법에 의해 제공되는 분리된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와 전력 증폭기는 하나의 제조 기법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공간적으로 인터위브된(interweaved) 트랜스포머는 사이즈의 콤팩트화가 가능하다. 트랜스포머의 다른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에 개시된 기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많은 변형예와 다른 실시형태들을 도출해낼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변형예 및 다른 실시형태들은 이하 기재되는 특허 청구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반적이고 설명을 위한 의미로 사용되었을 뿐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드라이버 스테이지 및 임피던스 변환 네트워크를 갖는 전력 증폭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다중 세그먼트 1차 권선이 복수의 증폭기에 연결된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닝 블록을 이용한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닝 블록을 이용한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일부분에 인접하거나 트랜스포머의 일부분을 실질적으로 둘러싸는(encapsulating) 보조 권선을 갖는 전력 증폭기 시스템의 트랜스포머의 레이아웃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8b 및 8c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튜닝 블록으로 사용된 공진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구현하기 위한 평면(planar) 기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구현하기 위한 스택(stacked) 기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구현하기 위한 다중층(multi-layer) 기판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3)

  1. 제1 차동 출력 신호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증폭기;
    병렬 연결된 복수의 1차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1차 권선; 및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와 유도 결합되는 단일 2차 권선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1 단은 제1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제2 단은 제2 공통 입력 포트에 연결되며, 상기 제1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1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은 제1 턴수를 가지며,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상기 제1 턴수보다 큰 제2 턴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은 센터탭 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상기 센터탭 포트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튜닝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닝 블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 회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용량성 요소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유도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닝 블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강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상기 공진 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는,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에 의해 상기 2차 권선에서 유도된 플럭스 또는 전류가 동일 위상으로 합산되도록 상기 단일 2차 권선에 대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는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와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ⅰ) 평면 구조(planar structure), (ⅱ) 스택 구조(stacked structure) 및 (ⅲ) 다중층 구조(multi-layered structure)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조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는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금속층상에 제조되며, 상기 제2 권선은 인접한 상기 1차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층 상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에 대향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조되며,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는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제조되고,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제조되며,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상에 제조되며,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은 적어도 하나의 비아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층 구조는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금속층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1 부분 상에 제조되고, 상기 제1 금속층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바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2 세그먼트는 상기 제1 금속층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2 부분 상에 제조되고, 상기 제1 금속층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상에 제조되고, 상기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아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트랜스포머를 형성하며,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및 상기 단일 2차 권선 사이의 결합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 또는 복수의 측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보조 권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14. 제1 차동 출력 신호 및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제1 차동 출력 신호를 제1 공통 입력 포트에서 수신하고, 상기 제2 차동 출력 신호를 제2 공통 입력 포트에서 수신하는 단계; 및
    복수의 1차 세그먼트를 단일 2차 권선에 유도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공통 입력 포트는 1차 권선을 형성하는 복수의 1차 세그먼트의 제1 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공통 입력 포트는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의 제2 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은 센터탭 포트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튜닝블록을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각각의 상기 센터탭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공진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튜닝 블록을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튜닝 블록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주파수 성분을 선택적으로 증강하거나 억제하기 위해 상기 공진 회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동일한 전류 방향을 갖는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와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ⅰ) 평면 구조(planar structure), (ⅱ) 스택 구조(stacked structure) 및 (ⅲ) 다중층 구조(multi-layered structure)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구조는 금속층을 포함하며,
    실질적으로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층상에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인접한 상기 1차 세그먼트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금속층 상에 상기 2차 권선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는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1 금속층에 대향하는 제2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상기 1차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상기 단일 2차 권선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택 구조는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금속층 상에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금속층 상에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2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상에 상기 단일 2차 권선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은 적어도 하나의 비아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층 구조는 제1 금속층, 제2 금속층,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금속층은 상기 제1 금속층 및 상기 제2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금속층은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금속층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1 부분 상에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1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금속층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2 부분 상에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중 제2 세그먼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금속층 및 상기 제4 금속층 상에 상기 단일 2차 권선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금속층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1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바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1 금속층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금속층의 제2 부분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바아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3 금속층 및 제4 금속층은 적어도 하나의 제3 비아에 의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권선 및 상기 단일 2차 권선은 트랜스포머를 형성하며,
    상기 1차 권선의 상기 복수의 1차 세그먼트 및 상기 단일 2차 권선 사이의 결합량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트랜스포머의 일측 또는 복수의 측부에 인접하여 보조 권선을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제공 방법.
KR1020090000435A 2008-01-03 2009-01-05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 KR1010794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68,862 2008-01-03
US11/968,862 US7576607B2 (en) 2008-01-03 2008-01-03 Multi-segment primary and multi-turn secondary transformer for power amplifier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641A KR20090075641A (ko) 2009-07-08
KR101079425B1 true KR101079425B1 (ko) 2011-11-02

Family

ID=40834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435A KR101079425B1 (ko) 2008-01-03 2009-01-05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576607B2 (ko)
KR (1) KR101079425B1 (ko)
CN (1) CN101488729B (ko)
DE (1) DE102009003891B4 (ko)
FI (1) FI20095002A (ko)
FR (1) FR2926415A1 (ko)
GB (1) GB24560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08356B2 (en) 2004-08-31 2010-10-05 Theta Microelectronics, Inc. Integrated high frequency BALUN and inductors
JP5247367B2 (ja) 2008-11-13 2013-07-24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Rf電力増幅器
US8666340B2 (en) * 2009-03-03 2014-03-0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n-chip impedance control to impedance match a configurable front end
EP2489048B1 (en) * 2009-10-12 2014-12-31 ST-Ericsson (France) SAS Integrated transformer with multiple transformation ratios
US8115555B2 (en) * 2010-03-12 2012-02-14 Samsung Electro-Mechanics Balun function with reference enhancement in single-ended port
US7944296B1 (en) * 2010-03-12 2011-05-17 Samsung Electro-Mechanics Company Low power mode amplification with a transformer output matching and a virtual ground
KR101197904B1 (ko) * 2011-04-04 2012-11-05 삼성전기주식회사 전력 결합기, 이를 갖는 전력 증폭 모듈 및 신호 송수신 모듈
JP5719259B2 (ja) * 2011-09-06 2015-05-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高周波電力増幅装置
AT512064B1 (de) * 2011-10-31 2015-11-15 Fronius Int Gmbh Hochstromtransformator, transformatorelement, kontaktplatte und sekundärwickl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hochstromtransformators
US8928405B2 (en) 2012-09-10 2015-01-06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Power amplification circuits
US9088334B2 (en) * 2013-01-23 2015-07-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Transceiver with asymmetric matching network
DE102013101768A1 (de) 2013-02-22 2014-08-28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Transformator und elektrische Schaltung
WO2014179240A1 (en) 2013-04-29 2014-11-06 Skyworks Solutions, Inc. Devices and methods related to low loss impedance transformers for radio-frequency applications
US9231538B1 (en) * 2013-08-21 2016-01-05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Energy efficient, low distortion amplification apparatus
CN104810349B (zh) * 2014-01-24 2017-12-29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一种差分电感器
US10060962B2 (en) 2014-03-31 2018-08-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and method for tuning transformers
WO2016054617A2 (en) * 2014-10-03 2016-04-07 Zaretsky, Howard Transformer based impedance matching network and related power amplifier, adpll and transmitter based thereon
TWI532064B (zh) * 2014-10-20 2016-05-01 立積電子股份有限公司 變壓器、射頻放大器及藉由變壓器以提供阻抗匹配的方法
US10270401B2 (en) 2014-10-20 2019-04-23 Richwave Technology Corp. Two-stage electromagnetic induction transformer
US10020793B2 (en) 2015-01-21 2018-07-10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filters in output match elements
CN104767021B (zh) * 2015-05-04 2017-10-03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五十四研究所 一种宽带高平衡度的片上变压器巴伦
DE112017001304T5 (de) 2016-03-14 2018-11-22 Analog Devices, Inc. Aktive Linearisierung für Breitbandverstärker
US10848109B2 (en) 2017-01-26 2020-11-24 Analog Devices, Inc. Bias modulation active linearization for broadband amplifiers
US10389312B2 (en) 2017-01-26 2019-08-20 Analog Devices, Inc. Bias modulation active linearization for broadband amplifiers
EP3613066A4 (en) * 2017-04-19 2020-12-02 Narayan Powertech Pvt. Ltd. CURRENT CONVERTER WITH CURRENT BRANCHES ON PRIMARY CONDUCTORS
US11195655B2 (en) 2018-10-24 2021-12-07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egmented winding techniques for a coupled inductor circuit
TWI722946B (zh) * 2019-09-11 2021-03-2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
US11430600B2 (en) 2020-04-17 2022-08-30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Segmented winding center-tap techniques for a coupled inductor circuit
US11574766B2 (en) 2020-04-17 2023-02-07 Analog Devices International Unlimited Company Techniques for a coupled inductor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760A (en) 1985-02-14 1991-02-19 Signal On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output signals from parallelly coupled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s in high frequency amplifiers
US6323686B1 (en) 1999-07-30 2001-11-27 Catena Networks, Inc. Crest factor compensated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0266A (en) * 1962-10-23 Stereophonic sound reproducing system
US2710312A (en) * 1952-05-20 1955-06-07 Acro Products Company Ultra linear amplifiers
US4105941A (en) * 1977-08-11 1978-08-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river for reactive load
US5091703A (en) * 1990-02-22 1992-02-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alog line connection
GB9019571D0 (en) * 1990-09-07 1990-10-24 Electrotech Instr Ltd Power transformers and coupled inductors with optimally interleaved windings
JP3141562B2 (ja) 1992-05-27 2001-03-05 富士電機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ス装置
US5796165A (en) * 1996-03-19 1998-08-18 Matsushita Electronics Corporation High-frequency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US6885275B1 (en) * 1998-11-12 2005-04-26 Broadcom Corporation Multi-track integrated spiral inductor
US6097273A (en) 1999-08-04 2000-08-01 Lucent Technologies Inc. Thin-film monolithic coupled spiral balun transformer
US6476704B2 (en) * 1999-11-18 2002-11-05 The Raytheon Company MMIC airbridge balun transformer
US6396362B1 (en) 2000-01-10 2002-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act multilayer BALUN for RF integrated circuits
DE10035584A1 (de) * 2000-07-21 2002-01-31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Mobilfunkgerät
ATE522979T1 (de) * 2000-10-10 2011-09-15 California Inst Of Techn Verteilte leistungsverstärkerarchitektur mit kreisförmiger geometrie
US6462950B1 (en) * 2000-11-29 2002-10-08 Nokia Mobile Phones Ltd. Stacked power amplifier module
US6577199B2 (en) * 2000-12-07 2003-06-10 Ericsson, Inc. Harmonic matching network for a saturated amplifier
US6466094B2 (en) * 2001-01-10 2002-10-15 Ericsson Inc. Gain and bandwidth enhancement for RF power amplifier package
US6577219B2 (en) * 2001-06-29 2003-06-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interleaved integrated circuit transformer
JP3890947B2 (ja) * 2001-10-17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周波半導体装置
US6614308B2 (en) * 2001-10-22 2003-09-02 Infineon Technologies Ag Multi-stage, high frequency, high power signal amplifier
US6731166B1 (en) * 2001-11-26 2004-05-04 Analog Devices, Inc. Power amplifier system with multiple primary windings
US6801114B2 (en) * 2002-01-23 2004-10-05 Broadcom Corp. Integrated radio having on-chip transformer balun
US7042325B2 (en) 2002-05-31 2006-05-09 International Rectifier Corporation Planar transformer arrangement
US7091813B2 (en) 2002-06-13 2006-08-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transformer for radio frequency applications
US6737916B2 (en) * 2002-06-27 2004-05-18 Harris Corporation RF amplifier system having improved power supply
US7260152B2 (en) 2002-08-07 2007-08-21 Spirent Communications Method and device for injecting a noise signal into a paired wire communication link
US6798295B2 (en) * 2002-12-13 2004-09-28 Cree Microwave, Inc. Single package multi-chip RF power amplifier
JP2004214258A (ja) * 2002-12-27 2004-07-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モジュール
JP4012840B2 (ja) * 2003-03-14 2007-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6521748A (ja) * 2003-03-28 2006-09-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増幅器における帰還キャパシタンスの中和
TWI220337B (en) * 2003-08-05 2004-08-11 Delta Electronics Inc Front-end module for wireless network system
JP2005175262A (ja) * 2003-12-12 2005-06-30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157965B1 (en) * 2004-06-21 2007-01-02 Qualcomm Incorporated Summing power amplifier
US7242245B2 (en) 2004-07-08 2007-07-10 Amalfi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mproved power amplifier
US7091791B1 (en) * 2004-07-23 2006-08-15 Atheros Communications, Inc. Transformer implementation using bonding wires
US7129784B2 (en) * 2004-10-28 2006-10-31 Broadcom Corporation Multilevel power amplifier architecture using multi-tap transformer
US7372336B2 (en) 2004-12-31 2008-05-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mall-sized on-chip CMOS power amplifier having improved efficiency
US7288995B2 (en) * 2005-06-15 2007-10-30 Nokia Corporation Power amplifier of a transmitter
US7276420B2 (en) * 2005-07-11 2007-10-02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assive integrated matching network for power amplifiers
US7486167B2 (en) 2005-08-24 2009-02-0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Cross-coupled inductor pair formed in an integrated circuit
US7362182B2 (en) * 2005-08-31 2008-04-22 Ge Security, Inc. Power amplifier
US7348656B2 (en) * 2005-09-22 2008-03-25 International Rectifier Corp. Power semiconductor device with integrated passive component
US20070069717A1 (en) * 2005-09-28 2007-03-29 Cheung Tak S Self-shielded electronic components
US7675365B2 (en) * 2007-01-10 2010-03-09 Samsung Electro-Mechanics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amplifiers with voltage boosting multi-primary transformers
US8242872B2 (en) * 2007-05-18 2012-08-14 Globalfoundries Singapore Pte. Ltd. Transformer with effective high turn ratio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94760A (en) 1985-02-14 1991-02-19 Signal One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ining output signals from parallelly coupled power field effect transistors in high frequency amplifiers
US6323686B1 (en) 1999-07-30 2001-11-27 Catena Networks, Inc. Crest factor compensated dri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823679D0 (en) 2009-02-04
US20090184786A1 (en) 2009-07-23
GB2456065A (en) 2009-07-08
KR20090075641A (ko) 2009-07-08
DE102009003891A1 (de) 2009-07-23
CN101488729A (zh) 2009-07-22
US20090174477A1 (en) 2009-07-09
FR2926415A1 (fr) 2009-07-17
US7576607B2 (en) 2009-08-18
DE102009003891B4 (de) 2012-06-21
US7936215B2 (en) 2011-05-03
GB2456065B (en) 2011-01-26
FI20095002A (fi) 2009-07-04
FI20095002A0 (fi) 2009-01-02
CN101488729B (zh) 201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425B1 (ko) 다중 세그먼트 1차측 권선 및 다중 턴 2차측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포함하는 전력증폭기 시스템 및 방법
US76753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amplifiers with voltage boosting multi-primary transformers
JP5191559B2 (ja) 変圧器電力合成器
US8319593B2 (en) Signal transforming circuit
US8044759B2 (en) Overlapping compact multiple transformers
US7940152B1 (en) Multi-primary and distributed secondary transformer for power amplifier systems
KR101079474B1 (ko) 내부 정합 인덕터를 공유하는 무선 통신을 위한 병렬 증폭 장치
US8314658B2 (en) Power amplifier
US20200252036A1 (en) Power amplifier using multi-mode distributed active transformer
US8145160B2 (en) Tx module for wireless communication
An et al. A monolithic voltage-boosting parallel-primary transformer structures for fully integrated CMOS power amplifier design
US10236841B2 (en) Differential amplifier
US20220321067A1 (en) Low noise amplifier incorporating sutardja transformer
US11121676B1 (en) Methods and circuits for harmonic suppression
US20240136991A1 (en) Pulse-Shaping Networks with Coupled Magnetics
JP2009260619A (ja) 分布型増幅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