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339B1 - 개봉 확인용 테이프 - Google Patents

개봉 확인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339B1
KR101074339B1 KR1020090016369A KR20090016369A KR101074339B1 KR 101074339 B1 KR101074339 B1 KR 101074339B1 KR 1020090016369 A KR1020090016369 A KR 1020090016369A KR 20090016369 A KR20090016369 A KR 20090016369A KR 101074339 B1 KR101074339 B1 KR 10107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tape
opening
release agent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260A (ko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정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호 filed Critical 정진호
Publication of KR2010006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3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as tamper-evident tape or lab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피착면에서 떨어질 때 일부 영역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므로, 스티커의 개봉 흔적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개봉 시에 점착제층은 피착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므로 피착물에 오염물질이 남지 않고, 스티커의 양면 모두에 개봉 흔적이 남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 개봉, 이형제층, 식별층, 점착제층, 피착면

Description

개봉 확인용 테이프{Tape for identification of unsealing}
본 발명은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 부착시키고 떼어내면, 이형제층 하부의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므로 스티커의 양면에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한 번 떼어낸 스티커를 다시 피착물에 부착시키더라도 이미 변화된 식별층의 형상이 유지되므로 보안이 유지되도록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분야에서 기술개발에 의한 경쟁력 확보가 최우선적인 과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개발된 기술의 보안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기업이나 연구소들은 방문자들이 소지한 핸드폰 등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해 기술 내용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문자의 카메라 렌즈에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부착하여 출입시키는 경우가 잦다. 또한 보안이 요구되는 물건의 포장이나 서류봉투에 부착하여 포장이나 봉투가 개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보안이 필요한 대상물에 부착한 후, 스티커를 떼어내 면 흔적이 남도록 한 보안 장치이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1989-9269호는 테이프를 떼어낼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테이프가 불투명하게 변하는 가압-불투명성 재료를 이용한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행문헌은 가압-불투명성 재료로 이루어진 필름의 일면에 봉인이 개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문자를 인쇄하고, 다른 일면에는 개봉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문자를 중첩되게 인쇄함으로써, 밀봉테이프를 떼어낼 때 테이프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개봉되었음을 확인하는 문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프는 테이프를 떼어내는 압력 외에도 다른 외부의 힘에 의해서도 문자가 변화될 수 있으므로, 테이프를 롤 형태로 제조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44944호 및 등록특허 제0840407호는, 봉인된 테이프를 떼어낼 때 투명한 베이스 필름층의 배면에 부분적으로 인쇄된 부분 이형제층이 분리됨과 아울러 색상 인쇄층(또는 알루미늄 증착층)이 복구 불가능하게 파괴됨으로써 개봉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기술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피착면에 이물질이 남아 방문자가 소지한 카메라 렌즈 등의 대상물에 오염물질이 남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보안의 대상이 되는 물건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대상물에 오염물질이 남지 않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필름,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공한다. 이때,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 및 피착면에서 분리되면서 끊어진 후 탄성에 의하여 상기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전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지필름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 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형제층이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이 엘라스토머와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점착부여제의 조성비는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가 고무,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가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이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이거나 금속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에 포함된 안료가 자외선에 의하여 발광하거나, 온도에 의하여 색이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이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사용하지 아니하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점착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이형박리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대상물에 부착한 후 떼어내면 스티커의 이형제층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다른 영역으로 전이되어 식별층의 형상이 변화되므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물건의 보안상태를 확인하거나 정품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스티커의 양면에서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개봉 시에 점착제층이 대상물의 표면에서 완전히 분리되므로 피착물에 오염물질이나 이물질을 남기지 않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기초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101), 이형제층(102), 식별층(103) 및 점착제층(104)을 포함한다. 지지필름(101)은 대상물 에 부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으로 하부층을 보호하고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형제층(102)은 지지필름(101)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식별층(103)에 시각적인 변화가 유발되도록 식별층(103)과 약하게 결합되어 있다. 식별층(103)은 상기 지지필름(101)과 이형제층(102)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스티커가 떼어지면 시각적인 변화가 관찰되도록 일정한 색이나 음영을 띠고 있다. 점착제층(104)은 상기 식별층(103)의 하부면에 전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착면에 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착성을 가지고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101), 이형제층(102) 및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층(105)을 포함한다. 이때, 안료가 포함된 점착제층(105)은 피착면과의 접착성을 부여하는 기능과 스티커의 사용 여부를 관찰할 수 있는 식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층이다. 안료는 일정한 색을 가지는 고체 안료이거나 액체 잉크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안료라 부르지 않는 물질이라도 시각적으로 그 존재의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가능한 물질이라면 어떠한 물질이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이루는 식별층이나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홀로그램은 일정한 형상이 인쇄된 복수 개의 층을 적층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시야각에 따라 다른 형상이 관찰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홀로그램이 포함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위변조가 어려워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보안 기능을 이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 이프를 이루는 식별층이나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은 자외선에 발광하거나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이용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었는지 여부를 비밀리에 확인할 수 있다.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점착층의 하부면에 이형박리지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형박리지는 점착층의 접착성을 유지하며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사용 시 점착층과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점착층과의 접착력이 매우 약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물에서 떼어낸 후의 단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지지필름(201) 및 이형제층(202)만으로 단면이 이루어져 있고,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지지필름(201), 제 1식별층(203a), 점착제층(204) 및 제 2식별층(203b)으로 단면이 이루어져 있다. 식별층(203a, 203b)은 일정한 색이나 음영을 이루고 있으므로 피착물에서 한 번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그 흔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이형제층(202)의 하부에 식별층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떼어내기 전의 색이나 음영과 다른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변화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앞면이나 뒷면 모두에서 관찰이 가능하다. 도면에서는 이형제층(202)의 하부면에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형제층(202)의 하부면에는 일부의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남아 있을 수도 있다. 다만 이렇게 일부 남아 있는 식별층과 점착제층은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사용여부를 식별하는데 실질적으로 지장을 주지 아니 한다. 이형제층(202)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영역의 점착제층(204)은 인접한 영역의 점착제층이 전이되어 그 두께 또는 양이 증가되어 있고, 그 하부면에는 인접한 영역에서 전이된 제 2식별층(203b)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점착제층(204)과 제 2식별층(203b)이 각각 상부와 하부로 층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점착제층과 제 2식별층은 층을 이루지 아니하고 일정한 형상없이 엉겨 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구비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대한 내용만을 기술하였지만, 별도의 식별층 없이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한 경우에도 유사한 단면이 관찰될 것이다. 즉, 이형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은 지지필름 및 이형제층만으로 단면이 이루어질 것이고, 이형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영역은 지지필름 및 점착제층으로 단면이 이루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 전의 상태와 피착물에서 한 번 떼어낸 후의 상태가 변화되므로 스티커를 떼어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면에서 떼어질 때 일어나는 단면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필름(301), 이형제층(302a, 302b), 식별층(303) 및 점착제층(304)을 포함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물(305)에 부착되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한쪽 끝단을 떼어내면 이형제층(302a)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점착제층(304)과 피착물(305)이 분리되다가, 이형제층(302a)이 존재하는 영역에서는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현상은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의 결합력이 점착제층(304)과 피착물(305)의 결합력보다 약하기 때문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늘어남에 따라 스티커가 떼어진 부분에서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완전히 분리된다. 이때, 점착제층(304)도 서서히 피착물(305)에서 분리되기 시작하는데, 그 과정에서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은 탄성을 가지고 늘어나며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에서 이형제층(302a)과 식별층(303)이 완전히 분리된다는 의미는 이형제층(302a)의 하부면에 식별층(303)이 전혀 남아 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스티커가 떼어지는 방향으로 이형제층(302a)의 모든 하부면에서 식별층(303)간의 결합이 파괴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3d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더 늘어나면 두께가 얇아진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이 끊어진다. 이때 끊어지는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의 부위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기 시작한 부분에 가까운 부분이 되고, 나머지 부분은 다시 탄성을 지닌 상태로 늘어난다. 도 3e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적이 더 늘어나면 끊어진 점착제층(304)이 피착물(305)에서 분리되며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된다. 이러한 현상은 점착제층(304)이 탄성을 가지고 늘어난 상태에서 갑자기 피착물(305)에서 분리되므로, 탄성력에 의하여 인접한 영역으로 이동하여 달라붙게 되는 것이다. 도 3f를 참조하면, 피착물에서 완전히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이형제층(302a, 302b, 302c)의 하부에 식별층이나 점착제층이 남아 있지 않고, 이형제층(302a, 302b, 302c)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하부에는 인접한 영역에서 식별층(303)과 점착제층(304)이 전이되어 있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단면 변화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어느 정도 도식화 시킨 것이다. 즉, 실제로 떼 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이형제층의 하부면에는 일부 식별층이 남아 있을 수 있고, 끊어진 식별층과 이형제층은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늘어진 상태로 붙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라도 떼어진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서 변화된 식별층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기능에는 이상이 없다. 별도의 식별층 없이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사용한 경우에도 상기에서 설명한 원리에 의하여 동일하게 점착제층의 전이 현상이 발생하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각 층간의 결합력의 조절이 중요하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약해야 한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크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이형제층과 식별층이 분리될 수 없으므로 식별층에 변화가 생길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이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크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낼 때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이 먼저 분리되어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인접한 영역으로 전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점착제를 포함한 이물질이 피착면에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층간의 결합력 관계는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의 조성이나 특 별한 표면처리 기술 등으로 만족시킬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포함되는 각 층의 물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지지필름은 스티커에 일정한 인장강도를 부여하고 하부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다양한 재질의 고분자 필름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필름은 하부의 식별층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이루는 지지필름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도록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필름의 하부면은 이형제층 및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표면처리될 수 있다. 표면처리는 코로나 처리와 같이 플라즈마 방전에 의하여 지지필름 하부면의 거칠기(roughness)를 증가시키거나 친수성 기능기를 도입함으로써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하거나, 별도의 프라이머층을 형성하여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형제층은 식별층과 결합력이 높지 않은 재료로 선택되어야 하는데,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제층은 식별층을 이루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 아크릴계 에멀전과 같은 수용성 수지를 물에 혼합하여 인쇄하거나, 유기용매에 녹는 수지를 그라비아 인쇄할 수도 있다. 상기 수용성 수지, 유기용매에 녹는 수지, 물 및 유기용매의 조합은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
식별층은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을 도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금속을 진공증착하여 식별층을 형성하는 경우 공정압력이나 증착속도 등을 조절하여 증착되는 면과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지지필름과의 결합력은 높고 이형제층과의 결합력은 약하게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조절은 지지필름의 하부면이 표면처리된 경우에는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으로 식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식별층의 재료와 결합력이 작은 수지를 선택하여 식별층과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수지층에 포함되는 안료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거나 자외선에 발광하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식별층이 홀로그램의 기능을 하도록 복수개의 무늬를 가진 복수개의 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은 피착물의 표면 성질에 따라 다양한 조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피착물과의 적절한 결합력을 가져야 하고, 동시에 보안 테이프가 피착물에서 떨어질 때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 신장되다가 끊어질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물성은 점착제층을 이루는 물질들의 종류나 혼합비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elastomer)와 점착부여제(tackfier)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는 천연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폴리이소부틸렌(polyisobutylene)과 같은 고무이거나, 아크릴계 공중합체이거나,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검 로진(gum rosin), 우드 로진(wood rosin) 또는 톨 로진(tall rosin)와 같은 로진계 점착부여제이거나, 지방족계, 방향족계 또는 공중합체와 같은 석유계 점착부여제일 수 있다. 로진계 점착 부여제는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수소화 반응을 통해 변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의 점착부여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착부여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보안 테이프와 피착물간의 결합력이 지나치게 약하므로 이형제층과 식별층의 분리가 일어나기 어렵고, 2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점도가 너무 낮아 보안 테이프의 보관이 어렵다. 또한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엘라스토머에 고무가 10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점착제층의 탄성이 부족하여 보안 테이프를 떼어낼 때 점착제층의 신장이 일어나기 어렵고, 90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점착제층이 끊어져 전이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30:70 내지 70:30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별층과 점착제층을 별도로 형성하는 대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점착제의 조성에 일정 성분의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료의 혼합비에 따라 결합력과 탄성도가 변화되는 것을 고려하여 조성비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이형박리지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과 같이 범용적인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형박리지는 개봉 확인 테이프의 분리가 쉽도록 종이에 상기 고분자 필름을 코팅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에도 이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것들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필 름의 하부면에 일정한 패턴을 가진 이형제층을 형성한다. 이때, 선택적으로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코로나 처리를 하거나 프라이머 층을 코팅하어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형제층의 형성은 그라비아 인쇄와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이형제층이 형성된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식별층을 형성한다. 식별층의 형성은 금속을 진공증착하거나 안료가 혼합된 수지층을 전면 인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별층의 하부면에 점착제층을 도포한다. 점착제층의 도포는 아크릴계 모노머와 점착력 조절제를 초산에틸,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에 녹이고, 이를 중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식별층의 형성 단계가 생략될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지지필름의 상부면을 코로나 처리하고, 그 위에 아크릴계 에멀전과 물이 9:1의 중량비로 혼합된 수지용액으로‘VOID'라는 글씨를 연속적으로 인쇄하였다. 이어서, 글씨가 인쇄된 지지필름의 위에 알루미늄을 스퍼터링 증착방법으로 전면 증착하였다. 스퍼터링 증착은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증착기에서 방전기체로 Ar를 20sccm 주입하고, 기판(지지필름)의 가열 없이 3분간 진행하였다. 이어서, 증착된 알루미늄 층을 다시 코로나 처리하고, 그 위에 점착제를 도포하였다. 점착제는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몰비=97:3,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와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를 6:4의 중량비로 포함한 엘라스 토머 90중량%와, 점착부여제(Estergum AAG) 10중량%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부틸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는 에틸아세테이트와 톨루엔의 혼합용액(중량비=2:1)에 85:15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고, 점착부여제는 에틸아세테이트에 5:5의 중량비로 용해시켜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점착제까지 도포된 지지필름을 5cm×11cm 크기로 절단하여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아크릴 판 위에 부착시키고, 1분이 경과한 뒤에 테이프의 끝단부터 손으로 떼어내었다. 폴리에틸렌 판 위에 부착된 테이프와 떼어낸 테이프의 외관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비교하였다.
도 4a는 아크릴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윗면에 대한 사진이고, 도 4b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 대한 사진이며,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떼어진 부분의 앞, 뒷면에 대한 사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아크릴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전면이 금속색을 띠고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아크릴 판 위에 점착액이 전혀 남아 있지 않는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떼어진 면은 앞, 뒷면에서 'VOID'라는 글씨가 쓰여진 부분이 투명하게 변하여 주변의 금속색과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대상물에 부착되었다가 떼어지게 되면 이형제층의 패턴을 따라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도록 테이프의 외관이 변 하므로 보안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도 1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일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물에서 떼어낸 후의 단면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3a 내지 도 3f는 본 발명의 개봉 확인용 테이프가 피착면에서 떼어질 때 일어나는 단면 구조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폴리에틸렌 판 위에 부착된 개봉 확인용 테이프의 윗면에 대한 사진이고, 도 4b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떼어내는 과정에 대한 사진이며, 도 4c 및 도 4d는 각각 떼어진 부분의 앞, 뒤면에 대한 사진이다.

Claims (15)

  1. 피착물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상기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상기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 및 상기 식별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서 떼어낼 때,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식별층과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 이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층과 식별층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과 피착면간의 결합력은,
    지지필름과 이형제층간의 결합력, 지지필름과 식별층간의 결합력 및 식별층과 점착제층간의 결합력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스타이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제층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비닐계 수지, 파라핀계 수지 및 수용성 수지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엘라스토머와 점착부여제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부여제의 조성비는 엘라스토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 내지 25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고무, 아크릴계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고무와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10:90 내지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층은 안료가 포함된 수지층이거나 금속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자외선에 의하여 발광하거나, 온도에 의하여 색이 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층은 홀로그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4. 피착물에 부착하여 개봉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개봉 확인용 테이프는 지지필름, 상기 지지필름의 하부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이형제층, 상기 지지필름과 이형제층의 하부면에 형성되고 안료가 혼합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개봉 확인용 테이프를 피착면에서 떼어낼 때, 이형체층의 하부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이 이형제층의 하부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이형제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으로 전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봉 확인용 테이프.
  15. 삭제
KR1020090016369A 2008-12-08 2009-02-26 개봉 확인용 테이프 KR101074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233 2008-12-08
KR20080016233 2008-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60A KR20100066260A (ko) 2010-06-17
KR101074339B1 true KR101074339B1 (ko) 2011-10-18

Family

ID=4236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369A KR101074339B1 (ko) 2008-12-08 2009-02-26 개봉 확인용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3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76B1 (ko) 2015-03-05 2016-12-20 (주)태백보안컨설팅 보안테이프
KR102019603B1 (ko) * 2018-06-14 2019-09-06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봉인장치 및 방법
KR102142949B1 (ko) * 2019-02-19 2020-08-10 성진특수잉크(주) 개봉 확인 테이프 및 이를 위한 이형층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44Y1 (ko) 2003-10-08 2004-03-11 권경점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
JP2005134818A (ja) 2003-10-31 2005-05-26 Nhk Spring Co Ltd 識別媒体および識別対象物品
KR100840407B1 (ko) 2007-03-26 2008-06-23 권경점 개봉 확인용 테이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4944Y1 (ko) 2003-10-08 2004-03-11 권경점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
JP2005134818A (ja) 2003-10-31 2005-05-26 Nhk Spring Co Ltd 識別媒体および識別対象物品
KR100840407B1 (ko) 2007-03-26 2008-06-23 권경점 개봉 확인용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260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96995A (ja) 開封顕示用のテープ
JP2006099051A (ja) 貼替防止用積層体
KR101074339B1 (ko) 개봉 확인용 테이프
KR20150092919A (ko) 재부착 방지 테이프
JP6858680B2 (ja) 粘着フィルム
JP4301800B2 (ja) 改ざん防止用部材
CN201266454Y (zh) 防伪胶带
KR102055205B1 (ko) 보안 스티커
TW201912704A (zh) 脆丙烯酸薄膜和包含它的防偽標籤
JP2002072889A (ja) 再貼付不正使用防止ラベル
JP2006293386A (ja) タックラベル付きポリエステル製ボトル
JP3907258B2 (ja) 両面接着シート
JP5396007B2 (ja) 改ざん防止用粘着ラベル
JP4674981B2 (ja) 剥離検知粘着シート
JP4588554B2 (ja) タックラベル、及びタックラベルの製造方法
JP2002040946A (ja) 再貼付不正使用防止ラベル
JP4137930B2 (ja) 積層粘着体の貼着方法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8700964U (zh) 具有金油层与撕断裂口的防伪胶带
KR200344944Y1 (ko) 개봉 여부 확인용 테이프
JP4684441B2 (ja) 粘着ラベル
JPH0713013Y2 (ja) 偽造防止用シール
JP4155475B2 (ja) 再使用防止粘着ラベル
JP2019172938A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TWM574611U (zh) 防偽膠帶結構
JP2006301236A (ja) 封緘ラベ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