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166B1 -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166B1
KR101074166B1 KR1020090090350A KR20090090350A KR101074166B1 KR 101074166 B1 KR101074166 B1 KR 101074166B1 KR 1020090090350 A KR1020090090350 A KR 1020090090350A KR 20090090350 A KR20090090350 A KR 20090090350A KR 101074166 B1 KR101074166 B1 KR 101074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ain body
pipe
moto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2719A (ko
Inventor
허치영
신용수
Original Assignee
허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치영 filed Critical 허치영
Priority to KR1020090090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166B1/ko
Priority to PCT/KR2010/006377 priority patent/WO2011037368A2/ko
Publication of KR20110032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28/06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 B60K28/06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responsive to incapacity of driver preventing starting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4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fixed structures, i.e. where neither the seat nor a part thereof are displaced during a cra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79Head-rests with additional features not related to head-rest positioning, e.g. heating or cooling devices or loudspea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60R25/257Voice recogn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microphones or ear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4Drug level, e.g. alcohol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1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조작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인식장치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음주운전을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중 핸즈프리 상태로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 자동 조작부, 수동 조작부, 베벨 기어, 웜기어,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Description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HEADRESTS, METHOD OF PREVENTING DRUNK DRIVING USING THE SAME, METHOD OF RECEIVING MOBILE PHONE MESSA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피커, 마이크, 감시카메라 또는 음주측정 센서를 헤드레스트에 장착하여 운전 중 핸드폰 사용으로 인한 사고, 졸음운전 및 음주운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드레스트(headrest)는 탑승자의 머리에 대응하는 차량의 좌석 상부에 장착되어 탑승자를 편안하게 하고, 차량의 충돌시 탑승자의 머리가 꺾여지는 것을 방지하여 목 부위에 가해질 수 있는 치명적인 부상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탑승자의 머리 위치에 따라 높이와 간격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안전운전에 지장이 없도록 졸음운전 방지장치 및 음주측정 센서와 같은 다양한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대한 기술의 일례가 하기 문헌 1(자동차용 졸음 방지용 헤드레스트)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문헌 1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백(1)의 전방 상부에 약 45°각도로 시트홈부(2)가 형성되며, 그 내부에 헤드레스트(3)가 장착되는바, 상기 헤드레스트(3)의 후부에는 래크기어부(4)가 형성되고, 그 래크기어부(4)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부(5)가 상기 시트백(1)의 길이방향으로 축(6)고정되며, 그 피니언기어부(5)의 일측 중앙에는 'ㄴ'자 형상의 돌출부(7)가 장착되어 있는 한편, 상기 돌출부(7)에 형성된 홀(8)에 결합된 볼트(9)의 끝단에 코일 스프링(1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시트백(1)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졸음 방지용 헤드레스트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졸음운전을 방지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에 대한 기술의 다른 예가 하기 문헌 2(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문헌 2에 있어서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5) 내부에 매입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안마기능 및 속도감지 프로그램이 입력되는 메인콘트롤러(20), 상기 메인콘트롤러(20) 및 자동차의 시거잭소켓에 연결접속되어 메인콘트롤러(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거잭(21), 상기 메인콘트롤러(20)에 접속되어 이를 조작하는 리모콘(22), 상기 메인콘트롤러(20)와 자동차의 속도계에 연결되는 속도감지선(23), 상기 헤드레스트(25) 내부 전방에 매입되고 상기 메인콘트롤러(20)에 접속되어 상기 메인콘트롤러(20)에서 전달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작동되는 다수의 충격기(24)들을 구비하는 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가 제시되고 있다.
한편, 자동차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음주 또는 약물에 의한 운전으로 교통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지만, 직접적으로 음주운전을 방지하는 것이 어려우며 단속에 의한 간접적인 방법으로 음주운전을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음주운전을 미리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일례가 하기 문헌 3(차량용 키 및 음주운전 방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하기 문헌 3에 있어서는, 선단부가 차량의 열쇠구멍에 삽입가능한 키부와, 상기 키부의 기단부에 설치된 홀더부와, 이 홀더부로부터 돌출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키부의 차량의 열쇠구멍에의 삽입을 방지하는 삽입 방지수단과, 사용자의 호기에 포함되는 알코올 및/또는 약물을 검출하는 호기성분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 방지수단은 상기 호기성분 검출수단의 검출결과에 따라 홀더부에 수납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키가 제시되고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2-0051223호 (2002. 6.28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38686호 (2005. 4.29 공개)
[문헌 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87518 (2006.08.02 공개)
그러나, 상기 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운전 중에 운전자가 고개를 전방으로 강제로 숙이게 하여 시야를 가림으로써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헤드레스트의 높이 및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헌 3에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는 운전자의 실제 음주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없고,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헤드레스트의 높이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뒤차와의 충돌시 탑승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자의 음주여부를 판단하여 음주운전을 사전에 방지하고, 차량의 도난을 막을 수 있는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주측정 센서, 스피커, 마이크 등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음주 운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고 운전중에 핸즈프리 상태로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 드폰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 깜빡임 감지 카메라 등을 구비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는, 본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1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조작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인식장치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 내부의 하측에는 차량의 시트 내에 설치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절곡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 프레임에는 고정 기어가 고정 결합된 제1 바가 고정되며, 상기 자동 조작부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하나 이상의 평기어; 상기 평기어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베벨 기어; 및 상기 베벨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고정 기어와 치형 결합하여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의 하측에는 차량의 시트 내에 설치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절곡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 프레임에는 고정 기어가 고정 결합된 제1 바가 고정되며, 상기 자동 조작부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고정 기어와 치형 결합하여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모터, 웜기어 및 고정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의 하단부에는 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최대 회전 위치에서 상기 고정기어가 상기 사이드 커버의 제한돌기에 걸린 상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본체는 과전류 계전기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함에 의해 상기 본체와 사용자 후두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포토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전방 표면에는 회전조절스위치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절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1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된 수동 버튼; 상기 사이드 커버를 관통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오목한 오목홈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접촉하고 상 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사이드 커버에 걸리도록 다수회 절곡된 걸림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부 내에 장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상기 오목홈부를 형성하도록 각각 제1,제2 연장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 중 다른 하나에 비접촉하며, 상기 걸림절곡부의 저면은 상기 오목홈부의 바닥면에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식장치부는, 상기 제2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와 상기 제1 풀리와 벨트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풀리;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절곡된 타단부에는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슬립패드 브라켓; 상기 삽입돌기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방 단부에 스토퍼가 부착되는 파이프 지지대; 및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 지지대를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조합으로 구성되는 파이프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바는 상기 사이드 커버를 관통하여 사이드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제1 바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회전시에 상기 파이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이 구비된 고정 가이드가 고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제1 바에 일정하게 수평 상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과 파이프 지지대의 사이에는, 상기 삽입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과 파이프 지지대와 각각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는 슬립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돌기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 방향으로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조립체의 양단에는 파이프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 파이프; 상기 외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됨이 가능하도록 외관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된 내관 파이프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 파이프의 단부에는 벨로우즈 구조의 유연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의 상호 접촉하는 각각의 면부에는 방사형의 슬립돌기가 상기 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립돌기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은, (a) 차량 시동 온 및 시트 스위치를 온(on)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단계 후에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음주측정 장치가 장착된 인식장치부를 인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알콜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에 비밀번호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비밀번호가 맞는 경우 알콜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알콜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이면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 후에 상기 인식장치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h) 상기 (d)단계에서 비밀번호의 틀린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상등 점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i) 차량 시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j) 상기 차량 시동의 오프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음주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알콜농도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 접점이 오프되고, 허용범위 이내이면 솔레노이트 코일 접점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수신방법은, (a) 핸드폰 전원 인가 및 핸드폰의 신호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핸드폰 신호음이 발생되면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인식장치부의 파이프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d) 핸드폰의 통화 버튼을 온하여 통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어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에 의하면, 운전자의 음주운전을 미리 예방할 수 있고,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운전중 핸즈프리 상태로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이와 각도를 탑승자에 맞게 조절하여 편안한 승차감 및 사고발생시 탑승자 목 부위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자동 조작부를 평기어, 베벨 기어, 웜기어 등의 기어 배열로 구성함으로써 그 구조가 보다 간단해 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도록 수동 조작부를 구비하되, 평상시 수동 조작부의 판스프링이 사이드 커버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가 아닌 외부의 갑작스런 충격 등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2차적인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홀이 제1 바에 일정하게 수평을 유지함으로써 헤드레스트의 기울어진 각도에 관계없이 인식장치부의 파이프는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여 스피 커, 마이크 등이 사용자의 귀, 입 등에 대응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의 상호 접촉하는 각각의 면부에 방사형의 슬립돌기를 형성함으로써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면서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파이프 지지대를 회전시켜 파이프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도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이 사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자동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수동 조작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수동 조작부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인식장치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파이프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각각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본체의 회전 시에 인식장치부의 경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H)는 외관을 형성하는 가죽 등의 완충부재 내에 배치되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의 하부에 연결되어 본체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장치(200)를 구비한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에는 본체(100)를 자동 회전시키기 위한 자동 조작부(300), 본체(100)를 수동 회전시키기 위한 수동 조작부(400),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는 인식장치부(500), 본체(100)에 진동을 발생하기 위한 진동발생부(600)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본체(100)는 차량 탑승자(이하, '사용자'라 한다)의 머리 부분을 받치거나 기댈 수 있는 적합한 크기와 디자인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시트 상부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0)는 모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 상기 스크류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켓 등을 이용하는 통상의 기구 장치를 적용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기 승강장치(200)와 절곡 프레임(110)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승강장치(200)의 작동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승강장치(200)에는 도시되지 않은 포토센서 등의 위치 제어를 위한 센서를 더 부착하여 본체(10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조작부(300)는 본체(100) 내에 설치된 제1 모터(111)를 구동시켜 본체(10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수동 조작부(400)는 사용자의 필요시에 후술하는 사이드 커버(113)를 가압하여 이동시켜 고정 기어(114)와 웜기어(316)의 결합을 분리시킴으로써 본체(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이하에서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승강장치(200)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수직 이동과 자동 조작부(300)에 의한 헤드레스트(H)의 상하 회전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진동발생부(600)는 본체(100)의 상부에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진동스위치(610)와 본체(100) 내부에 장착된 진동모터(61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진동모터(611)는 진동스위치(610)의 입력 신호를 전달받아 본체(100)를 진동시키도록 동작한다. 한편, 상기 진동스위치(610)는 푸쉬에 의해 ON/OFF 변환될 수 있는 스위치로 적용되며 사용자가 목을 뒤로 젖혀서 후두부로 푸싱함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이 변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구성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 도 6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113)가 상호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사이드 커버(113)는 각각 좌,우측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113) 구체적으로, 상기 좌,우측 커버에는 모두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바(116)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절곡 프레임(110)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커버(113)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 바(116)에는 고정 기어(114)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드 커버(113)의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웜기어(316)가 고정 기어(114)의 치형을 따라 회전함에 의해 사이드 커버(113)를 동시에 회전시킬 때 그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한돌기(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커버(113)는 사이드 커버(113) 서로의 상부를 연결하는 고정플레이트(117)에 의해서 견고하게 지지되며, 이때 상기 사이드 커버(113)와 고정플레이트(117)는 제1 바(116)를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를 가지지만, 사이드 커버(113)에 접촉함과 동시에 사이드 커버(113)를 지지하도록 제1 바(116)에 코일스프링(118)을 장착함으로써 사이드 커버(113)의 이동은 탄성적으로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사이드 커버(113)의 전술한 이동을 좀 더 원활히 하도록 사이드 커버(113)와 제1 바(116) 사이에는 부싱(119)이 끼워져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조작부(300)는 제1 모터(111), 평기어(310), 베벨 기어(313) 및 웜기어(3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고정플레이트(117)에는 모터 브라켓을 통해 제1 모터(11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평기어(310), 베벨 기어(313) 및 웜기어(316)는 제1 모터(111)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도록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평기어(310)는 제1 모터(111)의 회전축에 직결되는 제1 평 기어(311)와 제1 평기어(311)에 치형 결합되는 제2 평기어(312)로 구성되어지는데, 감속비를 조절하기 위해 그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고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모터(111)는 자체적으로 충분한 토크를 가지도록 기어드 모터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벨 기어(313)는 제2 평기어(312)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제1 베벨 기어(314)와 상기 제1 베벨 기어(314)와 치형 결합하여 제1 베벨 기어(314)의 회전 동력 전달 방향을 90도 변환하는 제2 베벨 기어(315)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양측의 사이드 커버(113) 내에 각각 배치된 제1 베벨 기어(314)는 축(317)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웜기어(316)는 제2 베벨 기어(315)의 회전축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바(116)에 고정된 고정 기어(114)와 치형 결합하도록 장착된다.
즉, 상기 제1 모터(111)의 작동시 그 동력은 평기어(310), 베벨 기어(313)를 통해 웜기어(316)로 전달되고 상기 웜기어(316)는 고정된 고정 기어(114)를 따라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사이드 커버(113) 즉, 본체(100)의 전후 방향 회전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 기어(114)란 웜기어와 치합되어 본체(100)를 회전시키는 휠기어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양측의 사이드 커버(113) 내에 각각 베벨 기어(313), 웜기어(316)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축(317)을 생략하여 어느 한 쪽의 사이드 커버(113) 내에만 베벨 기어(313), 웜기어(316)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기어(114), 평기어(310), 베벨 기어(313) 및 웜기어(316)는 사이드 커버(113) 내에 배치되지 않고 제1 바(116)의 중앙부 측에 배치될 수 있고,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벨 기어(313)가 생략되어 제1 모터(111)의 회전력이 바로 웜기어(316)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모터(111)의 장착 위치는 변경되어 사이드 커버(113) 내측에 설치될 수 있고 사이드 커버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모터, 웜기어 및 고정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316)가 고정 기어(114)의 치형을 따라 회전할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커버(113)의 하단부에는 제한돌기(11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웜기어(316)의 회전에 의한 상기 본체(100)의 상,하 최대 회전 위치에서 상기 고정 기어(114)는 상기 제한돌기(115)에 걸린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상, 하 최대 회전 위치에서 과전류계전기(OCR: Over Current Relay)에 의해 자동으로 그 회전이 정지된다. 즉, 상기 고정 기어(114)가 스토퍼 역할을 하는 제한돌기(115)에 걸림에 의해 제1 모터(111)에는 과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를 인식하여 제1 모터(111)의 전원은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본체(100)의 상하 최대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사이드커버 내부 또는 고정 기어의 일측에 포토센서를 장착하여 본체(100)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100)의 양쪽 또는 일측의 전방 가장자리에는 사용자의 후두부(後頭部)를 감지하여 제1 모터(111)의 회전력을 조절하여 상기 본체(100)의 전면과 사용자 후두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포토센서(1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포토센서(120)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발광부는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수광부는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도록 발광부에 대응하여 본체(100)의 타측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포토센서는 적외선 또는 레이저센서나 기타 다른 스위치 센서로 대체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사용자가 차량 시트에 착석하기 전에는 앞으로 숙여진 상태를 가지고, 상기 착석이 감지되면 제1 모터(111)의 회전에 의해 상향 회전하여 90도로 수직한 상태를 가지게 되며 그 후 상기 포토센서(120)와 후술하는 자동스위치(320)의 감지 및 동작을 통해 일정 각도까지만 하향 회전하여 전방으로 간격 조절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본체(100)를 다시 일정각도 상향 회전할 필요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의 후두부로 가압하여 이를 실행하도록 상기 본체(100)의 전방 표면에는 회전조절스위치(12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절스위치(121)의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1 모터(111)로 전달되도록 하며, 이때 회전조절스위치(121)의 신호를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은 제1 모터(111)는 상기 신호가 입력되는 동안 계속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본체(100)를 상향 회전시키게 된다.
여기서, 예를 들어 사용자의 후두부로 회전조절스위치(121)를 지속적으로 3초 가압할 경우, 초기 1초 이후부터 3초까지 상기 제1 모터(111)를 구동시킬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스위치(320)는 사이드 커버(113)의 일측에 구비되며, 고정접점(321), 유동접점(322) 및 볼(3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접점(321)은 헤드레스트(H)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사이드 커버(113)의 일측에 장착된다. 상기 유동접점(322)은 고정접점(321) 및 고정 기어(11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볼(323)은 일측 사이드 커버(113)를 관통하여 위치하고, 고정 기어(114)의 동작 위치에 따라 유동접점(322) 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볼(323)은 접촉에 따라 유동접점(322)을 이동시켜 고정접점(321)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자동스위치(320)는 탑승자의 탑승으로 헤드레스트(H)가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에 3단계 지점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3단계를 정의하면, 상기 헤드레스트(H)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탑승자 머리와 헤드레스트간의 간격을 단계별로 구분하여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헤드레스트(H)는 탑승자의 머리를 향하여 최초 1단계 회전한 후에 소정의 시간 동안 포토센서가 탑승자 뒷머리를 감지한다. 상기 1단계 후에 2단계 회전하고, 소정의 시간 동안 다시 정지한 후에 다시 3단계로 회전하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헤드레스트(H)의 회전은 설정된 시간(초)에 따라 단계별 불연속적인 동작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자동스위치(320)의 접점이 오프 되어 3단계까지 자동으로 간격을 조절하고, 그 후에는 자동스위치(320)의 접점이 온 되어 헤드레스트(H)를 더 이상 회전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탑승자 및 헤드레스트(H)의 간격이 조절되어 뒤차와의 충돌 시 목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자동스위치(320)는 헤드레스트(H)가 수직으로 세워질 때 자동스위치(320)에 구비된 볼(323)이 고정 기어(114)의 일부분과 접촉함으로 이동되어 유동접점(322)을 고정접점(321)에 접촉시켜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H)가 앞쪽으로 회전한 후에 볼(323)이 고정 기어(114)로부터 빠져 자동스위치(320)가 온 되고, 상기 헤드레스트(H)의 회전을 멈추게 한다. 여기서 전기적으로 B접점을 이용한 것으로 접점이 오프 되면 자동조절이 되고 접점이 온 되면 자동조절이 멈추게 한 것이다.
상기 자동 스위치(320)가 설치된 위치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제어를 위해 포토센서가 더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운전자는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헤드레스트(H)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자동으로 헤드레스트(H)의 회전을 조절하는 경우, 운전자는 차량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별도로 설치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온하여 자동조작부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헤드레스트를 수직으로 세운 후에 회전시킬 수 있고,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 상기 스위치를 오프시킴으로써 제1모터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H)의 회전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기어(114)를 원형의 치형부와, 상기 치형부의 외주면에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선치형부로 구성하여 본체(100)가 앞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수직으로 회전이동 한 다음 후방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커버(113)의 제1 바(116)가 관통되는 홀의 형상을 장공으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수동 조작부(400)는 사용자의 필요시에 본체(100)를 상향 또는 하향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특히 외부의 예상치 못한 가압에 의해 본체(1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서만 본체(100)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동 조작부(400)는 사이드 커버(113)를 측면 가압하여 이동시켜 고정 기어(114)와 웜기어(316)의 결합을 분리시킴으로써 본체(1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수동 버튼(410), 지지대(413), 스프링부재(417) 및 판스프링(41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동 버튼(410)은 상기 본체(100)의 외측으로 사용자가 누를수 있도록 노출되는 캡부와, 상기 캡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중공의 삽입홈(411)이 형성된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홈(411)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대(413)는 상기 사이드 커버(113)의 측면을 관통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411)에 삽입되고 오목한 오목홈부(414)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대(413)의 양단에는 상기 오목홈부(414)를 형성하도록 각각 제1,제2 연장 돌기(415,416)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장돌기를 포함하는 지지대(413)의 단면 형상은 삽입홈(411)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113)에도 상기 지지대(413)의 단면 형상과 대응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부재(417)는 상기 지지대(413)의 일단부 측면에 접촉하도록 상기 삽입홈(41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홈(411)에 삽입되며, 통상의 코일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418)은 상기 사이드 커버(113)에 걸리도록 다수회 절곡된 걸림절곡부(419)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부(414) 내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스프링(418)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415,416) 중 어느 하나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415,416) 중 다른 하나에 비접촉하도록 이격되며, 상기 걸림절곡부(419)의 저면은 상기 오목홈부(414)의 바닥면에 비접촉하도록 이격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수동 버튼(410)의 헤드레스트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가지며 상기 판스프링(418)의 걸림절곡부(419)는 사이드 커버(113)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동 버튼(410)을 누르게 되면 수동 버튼(410)의 단부가 판스프링(418)의 상단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판스프링(418)의 탄성 변형에 의해 걸림절곡부(419)는 사이드 커버(113)에 걸린 상태가 해제된다.
다음, 상기 수동 버튼(410)을 계속 누르면, 수동 버튼(410)의 삽입홈(411) 내로 지지대(413) 및 판스프링(418)이 삽입되고 상기 수동 버튼(410)의 단부는 사이드 커버(113)에 접촉되어 사이드 커버(113)를 가압시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커버(113) 내에 배치된 고정 기어(114)와 웜기어(316)의 치형 결합이 분리되면서 사용자는 수동 버튼(410)을 계속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손쉽게 본체(100)를 수동으로 상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수동 회전을 정지하고자 할 경우, 수동 버튼(410)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부재(41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지지대(413) 및 판스프링(418)은 초기 상태로 위치 복원된다. 이때, 상기 수동 버튼(41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본체(100)에 걸리도록 걸림부(412)를 형성함으로써 수동 버튼(410)이 헤드레스트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인식장치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운전 중 핸즈프리(hands-free) 상태로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음주상태를 사전에 체크하며, 졸음운전을 방지하도록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식장치부(500)는 제2 모터(112), 제1,제2 풀리(510,511), 슬립패드 브라켓(512), 파이프 지지대(514), 파이프 조립체(517) 및 슬립패드(5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모터(112)는 사이드 커버(113) 사이를 연결하는 고정플레이트(117)에 별도의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풀리(510)는 제2 모터(112)의 회전축 상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풀리(511)는 복수로 이루어져서 제1 풀리(510)와 벨트(525)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대략 벨트(525)가 삼각형 형상을 유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512)은 상기 사이드 커버(113)의 외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절곡된 타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돌기(5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는 후술하는 파이프 조립체(517)가 전후 이동하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길이가 긴 플레이트 형상이 절곡되어 이루어지며 사용자를 향하는 방향의 전방 단부에는 파이프 조립체(517)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도록 스토퍼(5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는 상기 절곡된 플레이트 형상 부재의 하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삽입돌기(513)가 관통하도록 제1 관통홀(516)이 형성되는 원형 형상의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파이프 조립체(517)는 복수의 파이프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제2 모터(112)의 구동에 의한 벨트(525)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 상에서 전후 이동하게 된다.
도 15에서, 상기 파이프 조립체(517)는 3개 파이프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파이프 조립체(517)의 양단에는 파이프 브라켓(518)이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브라켓(518) 중 어느 하나는 벨트(525)의 회전에 따라 동시에 이동이 가능하도록 벨트(525)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벨트(525)의 회전에 의한 파이프 조 립체(517)의 전방 이동시에 상기 파이프 브라켓(518)이 스토퍼(515)에 걸림으로써 그 전방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
그러나, 이외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스토퍼(515) 또는 파이프 브라켓(518)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에 포토센서를 장착하여 전술한 이동 거리의 제한을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파이프 조립체(517)가 3개의 파이프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운데에 위치한 파이프의 단부에는 스피커(526)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나머지 2개 파이프의 단부에는 각각 마이크(527), 음주측정 센서(528)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529)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피커(526)와 마이크(527)는 핸즈프리 상태로 사용자가 핸드폰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핸드폰과 제어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음주측정 센서(528)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529)도 사용자의 음주 운전 여부와 졸음 운전 여부를 판단하도록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는 차량의 시트 내에 설치되거나 헤드레스트(H)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핸드폰과는 별도의 통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조립체(517)를 구성하는 각각의 파이프는, 외관을 형성하며 양단에 상기 파이프 브라켓(518)이 결합되는 외관 파이프(519), 상기 외관 파이프(519)의 외측으로 인출됨이 가능하도록 외관 파이프(519)의 내측에 배치된 내관 파이프(520)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관 파이프(520)의 단부에는 수축 및 팽창이 자유로운 벨로우즈 구조의 유연관(521)이 더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이크(527), 음주측정 센서(528)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529)를 상기 유연관(521)에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내관 파이프(520)를 인출시키고 유연관(521)을 자유롭게 구부림으로써 그 위치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상하 회전각도에 상관없이 차량의 시트에 대해 상기 파이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제1 바(116)는 상기 사이드 커버(113)를 관통하여 사이드 커버(113)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제1 바(116)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회전시에 상기 파이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고정 가이드(122)가 고정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 가이드(122)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슬립패드(522)의 가이드돌기(524)가 삽입되어 그 이동이 안내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123)이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홀(123)은 제1 바(116)에 평행한 상태 즉, 제1바에 일정하게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며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일정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512)과 파이프 지지대(514)의 사이에는 슬립패드(522)가 배치되는데, 상기 슬립패드(522)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513)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512)과 파이프 지지대(514)와 각각 면접촉하는 접촉부(523)와, 상기 접촉부(523)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12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52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524)는 상기 접촉부(523)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별개로 구성되어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덧붙여, 전술한 수동 조작부(400)에 의한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에 상기 인식장치부(500)도 같이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돌기(524)는 단순히 가이드홀(123)에 삽입되어 가이드홀의 내측면에 접하면서 그 이동이 안내되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본체(100)의 좌측 또는 우측 이동시에도 가이드홀(1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와 슬립패드(522)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돌기(513)에 장착되는 스프링(530)과 상기 스프링(530)을 고정하도록 상기 삽입돌기(513)의 단부에 체결되는 볼트(531)에 의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512) 방향으로 압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제1 모터(111)의 구동에 의해 본체(100)의 기울어진 각도가 변화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홀(123)이 제1 바(116)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슬립패드(522)의 가이드돌기(524)가 가이드홀(123) 내에서 그 이동이 안내됨으로써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파이프는 본체(100)의 기울어짐에 상관없이 그 기울어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헤드레스트(H)가 단계별로 앞으로 숙여 질 때 인식장치부(500)도 같이 숙여짐에 의해 상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등이 사용자의 눈, 귀, 입 위치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512), 슬립패드(522)의 접촉부(523), 파이프 지지대(514)의 상호 접촉하는 부분은 대략적으로 원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와 슬립패드(522)의 상호 접촉하는 각각의 면부에는 방사형의 슬립돌기(532)가 상기 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슬립돌기(532)는 서로 접촉하는 상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와 슬립패드(522)는 상기 스프링(530)에 의한 압착 및 상기 슬립돌기(532)에 의한 접촉면적 상승으로 인해 상호간에 미끄럼 회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덧붙여,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는 슬립패드 브라켓(512) 및 슬립패드(522)에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는 상기 파이프를 잡고 강제로 상하 회전시킴으로써 파이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 지지대(514)와 슬립패드(522)의 상호 접촉하는 각각의 면부에 형성된 슬립돌기(532)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면서 상호 결합위치가 변경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슬립돌기(53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호간의 미끄럼 접촉이 가능하도록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헤드레스트(H)에는 비밀번호 입력버튼, 스피커 볼륨조절 버튼, 리셋버튼, 졸음감지 작동버튼, 음주측정 장치 작동버튼 및 핸즈프리 조절버튼과 같은 다양한 버튼들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레스트(H)는 운전석, 조수석 및 뒷좌석의 시트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조수석 및 뒷좌석의 시트 상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인식장치부(500)는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자동 작동 방법에 대해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및 뒷좌석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자동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여 조수석의 헤드레스트 자동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도어 스위치나 차량 시트에 장착된 압력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사용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한다(S100). 이때, 상기 본체(100)는 전방으로 젖혀진 초기 상태로 있다.
상기 S100단계에서 사용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승강장치(200)의 모터를 구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상승시킴과 동시에 제1 모터(111)를 구동하여 본체(100)가 후방으로 젖혀지도록 회전시킨다(S110).
이어서, 상기 본체(100)의 전면 양측 끝단에 장착된 포토센서(12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지한다(S120). 여기서, 상기 포토센서(120)는 본체(100)의 전면 일단에 장착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100)의 전면 타단에 장착되어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120 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5초 내지 25초 동안 사용자의 후두부가 상기 포토센서(120)에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헤드레스트는 제1 모터(111)의 역회전 구동으로 인해 전방으로 단계별 회전된다(S130).
이 경우, 상기 제1 모터(111)에 입력되는 구동 전원은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시간동안의 스텝 형식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상기 S130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S120단계를 반복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차량 시트의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비연속적으로 회전한다. 예를 들어, 제1 모터(111)에 소정 시간의 간격을 두면서 전원이 스텝 형식으로 입력되도록 한 후, 포토센서(120)로 사용자 뒷머리를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따라 2단계,3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는 각각의 단계별로 비연속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100)의 단계별 회전각도는 제1 모터(111)의 작동 시간(초)을 조절하는 것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후두부가 감지되면 헤드레스트의 전방 회전은 정지한다(S140).
이후, 사용자의 탑승 상태를 재감지하여(S150) 사용자가 하차하면 차량 시트에 장착된 압력감지 센서가 오프 되면서 승강장치(200)의 모터가 구동하여 헤드레스트를 하강시킴과 동시에 제1 모터(111)를 구동하여 본체(100)가 전방으로 젖혀지도록 회전되어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S160).
이와는 달리 상기 포토센서(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사용자의 뒷머리를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부는 그동안 카운터 된 시간(초)을 리셋하고, 사용자의 뒷머리를 감지하지 못한 시간부터 다시 카운터를 시작한다.
한편, 뒷좌석 시트 상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작동 순서는 조수석과 동일하 나 고정 기어(114) 및 웜기어, 베벨기어 등과 같은 일부 부품의 방향을 바꾸어 본체를 뒤쪽에서 수직으로 세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목을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의 하차 시 헤드레스트가 뒤쪽으로 숙여져 운전자의 측방 및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자동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7(b)를 참조하여 운전석의 헤드레스트 자동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사용자가 차량 엔진 시동 스위치 온이나 차량 시트에 장착된 압력감지 센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운전자의 탑승여부를 감지한다(S170). 이때, 상기 본체(100)는 수직으로 세워진 초기 상태로 있다.
상기 S170 단계에서 운전자의 탑승이 감지되면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직으로 상승하며(S171), 그 후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본체(100)의 전면 양측 끝단에 장착된 포토센서(120)는 운전자의 후두부를 감지한다(S172). 여기서, 상기 포토센서(120)는 본체(100)의 전면 일단에 장착되어 빛을 방출하는 발광부 및 상기 본체(100)의 전면 타단에 장착되어 발광부에서 방출된 빛을 수신하는 수광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S172 단계에서 포토 센서(120)에서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5초 내지 25초 동안 운전자의 뒷머리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헤드레스트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제1모터(111)에 인가된 전원으로 회전하게 된다(S173).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는 포토 센서(12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운전자의 뒷머리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제1모터(111)에 전원이 인가되고, 사용자가 승차한 차량 시트의 전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는 차량 시트의 전방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비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모터(111)의 인가된 전원을 소정의 시간(초) 동안 인가한 후 포토센서(120)로 사용자 뒷머리를 감지하여 감지 여부에 따라 2단계, 3단계로 넘어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는 각각의 단계별로 비연속적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100)의 단계별 회전각도는 제1모터의 작동 시간(초)을 조절하는 것으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탑승자 머리와 헤드레스트(H)의 1단계 간격조절이 끝나면 포토 센서(120)에 의해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7초 내지 20초 동안 운전자의 머리를 감지하고 2단계 간격조절 단계로 들어간다. 상기 2단계 간격조절이 끝나면 3단계까지 간격을 조절한다. 상기 3단계의 간격조절이 끝나면 포토 센서(120)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헤드레스트(H)는 3단계의 간격조절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본체(100)가 3단계로 회전하는 동안 각각의 단계에서 운전자의 뒷머리가 포토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74).
상기 S172 및 S174 단계에서 사용자의 후두부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제1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여 헤드레스트를 정지시킨다(S175).
그 결과, 헤드레스트(H) 및 사용자 머리의 간격을 자동조작부(300)에 의해 자동으로 맞추어 차량 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목과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하차하거나 차량의 엔진을 off시키면 차량 시트에 장착된 압력감지 센서가 오프 되면서 제1 모터(111)를 구동하여 본체(100)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회전되어 초기 상태로 되돌아간다(S176,S177).
여기서, 운전석에도 조수석과 같이 승강장치(200)를 설치해 자동으로 높이조절을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동 조작부(400)를 통해 헤드레스트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수신방법에 대해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핸드폰의 수신방법은 차량의 운전자가 별도의 손을 이용하지 않고 핸드폰을 수신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며, (a) 핸드폰 전원 인가 및 핸드폰의 신호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핸드폰 신호음이 발생되면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인식장치부의 파이프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d) 핸드폰의 통 화 버튼을 온하여 통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어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핸드폰과 헤드레스트는 유선 또는 블루투스를 포함하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서 핸드폰에 전원의 인가 유무 및 핸드폰의 신호음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200).
상기 S200단계에서 핸드폰의 신호음이 발생되는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에서는 제2 모터(112)를 구동하여 상기 인식장치부(500)의 파이프를 운전자의 얼굴 측면으로 전방 이동시킨다(S210).
상기 S210단계에서의 이동이 완료되면 상기 제2 모터(112)의 구동을 중지시킨다(S220). 이어서, 운전자는 핸드폰의 통화 버튼을 ON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S230). 이때, 상기 인식장치부(500)의 스피커는 운전자의 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고, 마이크는 운전자의 입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다음, 핸드폰 통화가 종료되어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가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S240),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모터(112)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S250).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발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드폰 발신방법도 전술한 수신방법과 마찬가지로 먼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서 핸드폰에 전원의 인가 유무 및 핸드폰의 신호음 발생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한다(S300).
상기 S300단계에서 사용자의 핸드폰 통화버튼 ON으로 인한 신호음 발생이 감지되면 제어부에서는 제2 모터(112)를 구동하여 상기 인식장치부(500)의 파이프를 운전자의 얼굴 측면으로 전방 이동시킨다(S310).
다음, 상기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를 감지한 후(S320), 핸드폰 통화가 종료되어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모터(112)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S33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방법을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온(ON)하고 운전자의 탑승 여부를 감지하고(S400,S410), 운전자의 탑승 여부가 감지되면 제2 모터(112)가 구동되어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를 운전자의 눈 깜빡임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420).
상기 S420단계에서, 감지카메라가 운전자의 눈 주위에 위치하면 운전자 각각의 정상 눈 깜빡임 기준값의 세팅 여부를 판단한다(S421). 상기 S421단계에서, 기준값을 다시 세팅하면 정상적인 눈 깜빡임 시간을 입력하고(S422), 세팅버튼을 온 한다(S423).
상기 S423단계에서, 기준값을 다시 세팅하거나 미리 세팅된 값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는 동안 상기 감지카메라는 제1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24). 상기 S424단계에서, 감지카메라에 의하여 측정된 제1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경고 1단계로 졸음운전 경고음, 예를 들어 "지금 졸음운전이 예상되니 주의 하십시요"의 멘트가 발생된다(S425). 상기 S425단계 후에, 제2 눈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26), 상기 제2 눈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경고 2단계로 경고음, 예를 들어 "지금 졸음운전 중입니다. 잠시 쉬어 가십시요" 멘트 및 헤드레스트가 진동하게 된다(S427).
상기 S427단계에서, 운전자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 졸음을 깬 후에 경고 해제 리셋버튼을 눌러 경고음 및 헤드레스트의 진동을 해제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428), 상기 경고음을 오프 및 헤드레스트의 진동을 해제했으면, 상기 S424단계를 반복한다. 이와는 달리, 운전자가 상기 리셋버튼을 누르지 않은 경우 제3 눈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429), 상기 제3 눈 깜빡임 시간이 기준값 미만인 경우 경고 3단계로 경고음, 헤드레스트 진동, 차속 제어 및 비상등이 점등된다(S430). 이 경우, 상기 경고 3단계는 차량 엔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경우 해제된다.
여기서 졸음운전 방지 방법으로 운전자가 수동으로 인식장치부(500)의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를 인출해 감지할 수도 있지만 차량 속도를 미리 설정해 설정된 속도 이상이면 자동으로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가 인출돼 감지 할 수도 있고 또한, 연속운전 시간을 미리 셋팅 해 졸음이 올 시간이 되면 자동으로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가 인출돼 졸음운전을 감지하게 함으로서 미연에 졸음운전을 예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에 대해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 시동이 on되며, 운전자가 승차하여 시트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고(S510), 상기 센서에서 감지된 신호는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장착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된다.
상기 S510단계 후에, 차량시동이 온 되고, 제2 모터(112)가 구동하여 인식장치부의 파이프를 인출한다(S511). 상기 S511단계 후에, 운전자는 차량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인식장치부(500)의 파이프에 장착된 음주측정 장치(즉, 음주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알콜 농도를 측정한다(S512).
상기 S512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설정된 비밀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S513), 동일한 경우에 알콜 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인가를 판단한다(S514).
상기 S514단계에서 상기 알콜 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인 경우에 브레이크 페달에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 접점이 온(ON)되어 브레이크 페달은 작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S515), 만약 알콜농도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 접점이 오프되어 브레이크 페달은 작동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상기 S515단계 후, 상기 인식장치부(500)는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S516).
이와는 달리, 상기 S513단계에서, 입력된 비밀번호가 틀린 경우에 틀린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517), 연속해서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여 틀린 경우에 비상등이 점등되고, 경고음이 발생하게 된다(S518). 예를 들어, 비밀번호의 입력을 연속으로 3회까지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하면 4번째 비밀번호 입력부터 비상등 점등 및 핸즈프리 스피커에서 도난경고음 멘트가 생성된다.
상기 S518단계에서, 차량의 시동을 오프 시키는 것으로 비상등 점등 및 발생된 경고음을 해제할 수 있고(S519), 차량 시동의 오프 된 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20), 일정한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 비밀번호를 재입력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을 운행하기 위하여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선택적으로 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의 제조번호에 따라 제작사와 협의하여 비밀번호를 변경하거나 재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비밀번호 입력은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고, 알콜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졸음 방지용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졸음운전 방지용 자동차 헤드레스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다른 적용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이 사이드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자동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수동 조작부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수동 조작부의 작동 후 상 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인식장치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파이프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각각의 파이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본체의 회전 시에 인식장치부의 경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및 뒷자석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자동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전석에 장착된 헤드레스트의 자동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수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발신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졸음운전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절곡 프레임
111: 제1 모터 112: 제2 모터
113: 사이드 커버 114: 고정 기어
115: 제한돌기 116: 제1 바
117: 고정플레이트 118: 코일스프링
119: 부싱 120: 포토센서
121: 회전조절스위치 122: 고정 가이드
123: 가이드홀 200: 승강장치
300: 자동 조작부 310: 평기어
311: 제1 평기어 312: 제2 평기어
313: 베벨 기어 314: 제1 베벨 기어
315: 제2 베벨 기어 316: 웜기어
317: 축 320: 자동스위치
321: 고정접점 322: 유동접점
323: 볼 400: 수동 조작부
410: 수동 버튼 411: 삽입홈
412: 걸림부 413: 지지대
414: 오목홈부 415: 제1 연장돌기
416: 제2 연장돌기 417: 스프링부재
418: 판스프링 419: 걸림절곡부
500: 인식장치부 510: 제1 풀리
511: 제2 풀리 512: 슬립패드 브라켓
513: 삽입돌기 514: 파이프 지지대
515: 스토퍼 516: 제1 관통홀
517: 파이프 조립체 518: 파이프 브라켓
519: 외관 파이프 520: 내관 파이프
521: 유연관 522: 슬립패드
523: 접촉부 524: 가이드돌기
525: 벨트 526: 스피커
527: 마이크 528: 음주측정 센서
529: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530: 스프링
531: 볼트 532: 슬립돌기
600: 진동발생부 610: 진동스위치
611: 진동모터 H: 헤드레스트

Claims (21)

  1. 본체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제1 모터의 구동에 의해 본체의 기울어진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자동 조작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제2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하는 인식장치부; 및
    상기 사이드 커버를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동 조작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일부가 노출되며 중공의 삽입홈이 형성된 수동 버튼;
    상기 사이드 커버를 관통하며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오목한 오목홈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부에 접촉하고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스프링부재; 및
    상기 사이드 커버에 걸리도록 다수회 절곡된 걸림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오목홈부 내에 장착되는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하측에는 차량의 시트 내에 설치된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이 가능하도록 절곡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절곡 프레임에는 고정 기어가 고정 결합된 제1 바가 고정되며,
    상기 자동 조작부는,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고정 기어와 치형 결합하여 상기 제1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본체를 회전시키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 웜기어 및 고정 기어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의 하단부에는 제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하 최대 회전 위치에서 상기 고정기어가 상기 사이드 커버의 제한돌기에 걸린 상태를 가지게 되며, 상기 본체는 과전류 계전기에 의해 자동으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모터의 회전력을 조절함에 의해 상기 본체와 사용자 후두부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포토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전방 표면에는 회전조절스위치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전조절스위치의 스위칭 신호는 상기 제1 모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상기 오목홈부를 형성하도록 각각 제1,제2 연장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제2 연장돌기 중 다른 하나에 비접촉하며, 상기 걸림절곡부의 저면은 상기 오목홈부의 바닥면에 비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장치부는,
    상기 제2 모터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풀리와 상기 제1 풀리와 벨트 연결되는 복수의 제2 풀리;
    상기 사이드 커버의 외면에 일단부가 고정되며, 절곡된 타단부에는 외주면 일부에 나사산이 구비된 삽입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슬립패드 브라켓;
    상기 삽입돌기가 관통하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전방 단부에 스토퍼가 부착되는 파이프 지지대; 및
    상기 제2 풀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파이프 지지대를 따라 전후 이동하며, 상기 스피커, 마이크, 음주측정 센서 및 눈 깜빡임 감지카메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복수의 파이프 조합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는 상기 사이드 커버를 관통하여 사이드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돌출된 제1 바의 단부에는 상기 본체의 회전시에 상기 파이프의 기울어진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관통된 가이드홀이 구비된 고정 가이드가 고정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제1 바에 일정하게 수평 상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과 파이프 지지대의 사이에는,
    상기 삽입돌기에 삽입되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과 파이프 지지대와 각각 면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로 구성되는 슬립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는, 외측으로부터 상기 삽입돌기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고정하도록 상기 삽입돌기의 단부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해 상기 슬립패드 브라켓 방향으로 압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조립체의 양단에는 파이프 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파이프 브라켓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벨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관 파이프;
    상기 외관 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됨이 가능하도록 외관 파이프의 내측에 배치된 내관 파이프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관 파이프의 단부에는 벨로우즈 구조의 유연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지지대와 슬립패드의 상호 접촉하는 각각의 면부에는 방사형의 슬립돌기가 상기 면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돌기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또는 반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18. (a) 차량 시동 온 및 시트 스위치를 온(on)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단계 후에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음주측정 장치가 장착된 인식장치부를 인출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후에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알콜농도를 측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 후에 비밀번호가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비밀번호가 맞는 경우 알콜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인가를 판단하는 단계;
    (f) 상기 (e)단계에서 알콜농도가 허용범위 이내이면 브레이크 페달이 작동가능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 및
    (g) 상기 (f)단계 후에 상기 인식장치부가 초기 위치로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e)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음주측정 장치에서 측정된 알콜농도가 허용범위를 벗어나면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에 있는 솔레노이드 코일 접점이 오프되고, 허용범위 이내이면 솔레노이트 코일 접점이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h) 상기 (d)단계에서 비밀번호의 틀린 횟수가 설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상등 점등 및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단계;
    (i) 차량 시동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j) 상기 차량 시동의 오프된 시간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20. 삭제
  21. 제11항에 따른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핸드폰을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핸드폰 전원 인가 및 핸드폰의 신호음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핸드폰 신호음이 발생되면 제2 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인식장치부의 파이프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상기 제2 모터의 구동을 중지하는 단계;
    (d) 핸드폰의 통화 버튼을 온하여 통화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통화가 종료되어 핸드폰 신호음 또는 통화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2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파이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핸드폰 수신방법.
KR1020090090350A 2009-09-24 2009-09-24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KR101074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50A KR101074166B1 (ko) 2009-09-24 2009-09-24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PCT/KR2010/006377 WO2011037368A2 (ko) 2009-09-24 2010-09-17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350A KR101074166B1 (ko) 2009-09-24 2009-09-24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19A KR20110032719A (ko) 2011-03-30
KR101074166B1 true KR101074166B1 (ko) 2011-10-17

Family

ID=43796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350A KR101074166B1 (ko) 2009-09-24 2009-09-24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74166B1 (ko)
WO (1) WO2011037368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484B1 (ko) * 2012-03-27 2013-09-02 허인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21519B1 (ko) * 2012-02-07 2013-10-28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3507682A (zh) * 2012-06-25 2014-01-15 李尔公司 动力返回折叠型头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111B1 (ko) 2014-11-20 2017-01-19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5150892B (zh) * 2015-10-20 2017-08-08 刘建强 人类生命安全座椅
DE102019113391A1 (de) * 2019-05-20 2020-11-26 Hettich Franke Gmbh & Co. Kg Elektromotorische Verstelleinheit zur Neigungsverstellung eines Stützteils eines Sitzmöbels, Stützteil und Sitzmöb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30B1 (ko) * 2002-01-08 2004-11-06 주식회사 대동오토사운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0629806B1 (ko) * 2005-02-04 2006-10-04 윤성훈 헤드레스트 핸즈프리장치
KR100821527B1 (ko) * 2006-10-18 2008-04-14 허치영 핸즈프리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245Y1 (ko) * 2006-04-07 2006-07-03 여장호 다기능 헤드레스트
KR100897171B1 (ko) * 2007-07-27 2009-05-1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1033509B1 (ko) * 2008-05-08 2011-05-09 허치영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의 제어방법, 헤드레스트를 이용한졸음운전 및 음주운전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530B1 (ko) * 2002-01-08 2004-11-06 주식회사 대동오토사운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0629806B1 (ko) * 2005-02-04 2006-10-04 윤성훈 헤드레스트 핸즈프리장치
KR100821527B1 (ko) * 2006-10-18 2008-04-14 허치영 핸즈프리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519B1 (ko) * 2012-02-07 2013-10-28 허치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300484B1 (ko) * 2012-03-27 2013-09-02 허인영 차량용 헤드레스트
WO2013147454A1 (ko) * 2012-03-27 2013-10-03 Heo Chi Yeong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3507682A (zh) * 2012-06-25 2014-01-15 李尔公司 动力返回折叠型头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719A (ko) 2011-03-30
WO2011037368A2 (ko) 2011-03-31
WO2011037368A3 (ko) 201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4166B1 (ko)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US9796303B1 (en) Integrated child safety seat
US10160426B2 (en) Driver monitoring device
US10259345B2 (en) Integrated safety seat
JP5026540B2 (ja) 自動車用エアバッグの最小距離強制装置、方法並びにシステム
EP1510423A1 (en) Driver certifying system
EP3825172B1 (en) Child safety seat with installation prompt function and installation prompt method therefor
JP2017535487A (ja) 車用ヘッドレスト
KR20070117966A (ko) 헤드레스트의 자동조절장치
KR101033509B1 (ko)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의 제어방법, 헤드레스트를 이용한졸음운전 및 음주운전 방지방법
CN112937383A (zh) 一种智能迎宾设备调节方法及系统
KR10130048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8362429B (zh) 公交车用乘客下车提醒装置
KR100821527B1 (ko) 핸즈프리를 구비한 헤드레스트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80018539A (ko) 차량의 도어락 자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6082703A (ja) 乗員拘束装置
KR100536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폴딩장치
JP3952398B2 (ja) 運転状態監視装置付き車両
KR20160104310A (ko) 핸즈프리 장치를 갖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JP4098196B2 (ja) 乗り物用座席
KR101935910B1 (ko) 가속페달 잠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속페달 잠금방법
KR20130044913A (ko)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FR2810931A1 (fr) Appui-tete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reglage automatique en hauteur
CN108382300B (zh) 下车按钮保护控制方法
KR100267688B1 (ko) 차량용 시트의 시트 쿠션 리프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