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44913A -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44913A
KR20130044913A KR1020110109263A KR20110109263A KR20130044913A KR 20130044913 A KR20130044913 A KR 20130044913A KR 1020110109263 A KR1020110109263 A KR 1020110109263A KR 20110109263 A KR20110109263 A KR 20110109263A KR 20130044913 A KR20130044913 A KR 20130044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height
child
unit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44913A/ko
Publication of KR20130044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9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6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using sensors or detectors for adapting the seat or seat part, e.g. to the position of an occup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동의 상태를 스스로 인지하여 카시트의 좌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는 좌석부가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시트부; 및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자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CHILD SAFETY SEAT AND HEIGHT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의 상태에 따라 카시트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유아나 아동이 차량 내에서 안전하게 앉을 수 있도록 카시트를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인 아동용 카시트는 차량에 고정되는 베이스와, 아동이 앉는 좌석부, 그리고, 아동 승객을 고정하기 위한, 조절가능한 구속부를 포함한다.
또한, 좌석부는 차량 이동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베이스에 대해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카시트는, 수동으로 직접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해야 한다. 따라서 운전자와 아동만이 차량에 탑승하여 운행중인 경우에는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차량 운행 중에 아동이 잠이 드는 경우, 차량을 정지시킨 후, 좌석부의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운행 중에 아동이 잠이든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 아동은 불편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아동의 상태를 스스로 인지하여 카시트의 좌석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는 좌석부가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시트부; 및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자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좌석부와 상기 시트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좌석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고,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시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외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 및 누름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시트부의 외부를 촬영하는 보조 카메라; 및 상기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에게 표시하는 보조 모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아동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촬영하고 판독하여 아동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아동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아동의 취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아동이 취침 상태인 경우,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동이 상기 좌석부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제어 방법은 운행 중에 아동이 취침하거나, 취침에서 깨어나는 경우, 아동의 상태에 적합한 높이로 좌석부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이나 버튼 입력 등의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쉽게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운행 중인 차량을 정지시키지 않더라고 용이하게 카시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전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시트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카시트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카시트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100)는 시트부(10)와 자동 구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0)는 베이스(14), 좌석부(12), 구속부(18), 및 좌석 구동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4)는 차량 좌석에 안착되며, 차량의 안전 벨트 등에 의해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좌석부(12)는 아동이 실질적으로 앉는 부분으로, 베이스(14) 상에 설치되며, 베이스(14)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후방을 향해 슬라이딩되며 높이 조절될 수 있다.
구속부(18)는 좌석부(12)에 설치될 수 있으며, 좌석부(12)에 앉는 아동을 좌석에 고정시키기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구속부(18)는 일반적인 안전 밸트일 수 있다.
좌석 구동부(16)는 베이스(14)와 좌석부(12)를 상호 연결하며,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석 구동부(16)는 후술되는 제어부(25)의 명령에 따라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좌석 구동부(16)는 좌석부(12)를 슬라이딩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자동 구동부(20)는 카메라(22), 제어부(25), 모니터(23), 및 입력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22)는 좌석부(1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22)는 좌석부(12)에 앉은 아동의 얼굴에 초점을 맞추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2)는 촬영되는 영상을 지속적으로 제어부(25)로 전송한다. 따라서,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촬영 기기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연속 촬영이 가능한 정지 영상 촬영 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22)가 좌석부(12)의 상단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차량의 전방 좌석의 뒷면에 설치하거나, 차량의 천장 부분에 설치하는 등 좌석부의 내부를 용이하게 촬영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25)는 카메라(22)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판독하고, 이를 토대로 좌석 구동부(16)를 구동한다. 즉, 카메라(22)에서 전송된 영상을 통해, 아동의 상태를 인지한 후, 아동의 상태에 적합한 높이로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는 촬영된 영상에 따른 아동의 상태와, 그 상태에 가장 적합한 좌석부(12)의 높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는 카메라(22)에서 촬영된 영상을 후술되는 모니터(23)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부(25)는 후술되는 입력부(24)에서 전송되는 정보를 토대로 좌석 구동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모니터(23)와 입력부(24)에 대한 설명에서 더 살펴보기로 한다.
모니터(23)는 운전자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모니터(23)는 제어부(2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운전자에게 표시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카시트(100)의 내부를 직접 들여다 보지 않더라도 모니터(23)를 통해 현재 아동의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입력부(24)는 운전자가 직접 카시트(100)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4)는 모니터(23)와 인접하게 배치되거나, 모니터(23)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4)는 모니터(23)의 주변에 배치된 누름 버튼(24a)일 수 있으며, 모니터(23)의 화면에 배치된 터치 스크린(24b)일 수 있다.
또한 입력부(24)는 마이크(24c)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4c)는 운전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5)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5)는 입력부(24)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을 해독하여,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음성으로 명령을 전달한 경우, 제어부(25)는 마이크(24c)에서 입력된 음성을 분석하고, 입력된 음성에 대응하는 명령을 파악한다. 그리고 파악된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모니터(23)의 터치 스크린(24b)을 통해 특정 명령을 선택한 경우에도 대응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100)는 모니터(23)와 입력부(24)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 경우, 모니터(23)와 입력부(24)로,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네비게이션 시스템(navigation system)이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와 입력부(24, 또는 모니터)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와 입력부(24, 또는 모니터)는 각각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100)는 제어부(25)의 제어에 따라 카시트(100)의 좌석부(12) 높이가 자동으로 조절된다. 또한, 제어부(25)는 아동의 상태를 촬영한 영상이나, 운전자의 명령에 대응하여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에 운전 중에도 운전자가 직접 수동으로 카시트(100)의 좌석부(12)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없으므로 운행 중인 차량을 정지시키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운행 중에 아동의 상태가 변하더라도 음성 명령이나 버튼 입력 등의 방법으로 쉽게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카시트(100)의 높이 조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전술한 카시트(100)의 구성도 보다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먼저 카메라(22)가 영상 촬영을 수행하는 S10 단계가 수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22)는 좌석부(12)에 앉은 아동의 얼굴 위주로 촬영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동의 전신을 촬영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카메라(22)가 영상을 촬영하면, 이와 동시에 제어부(25)는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여 아동의 상태 변화를 감지하는 S11 단계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 제어부(25)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아동의 얼굴, 특히 눈이 감기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일정 시간 동안 눈이 감긴 상태가 유지되면, 아동의 상태를 취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아동의 전신을 촬영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아동의 움직임이 없으면 취침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S11 단계에서 아동의 상태가 변화된 것을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25)는 좌석 구동부(16)를 제어하여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하는 S13 단계를 수행한다.
아동이 취침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25)는 아동이 취침하기 편하도록 좌석부(12)의 높이를 최대한 낮출 수 있다. 반대로, 아동이 취침 중에 있다가 깬 경우, 제어부(25)는 좌석부(12)의 높이를 다시 높이도록 좌석 구동부(16)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S10 내지 S13 단계는 아동이 카시트(100)에 앉아있는 한 지속적으로 반복될 수 있다.
한편, 아동이 카시트(100)로부터 이탈하거나, 차량 운행이 종료되면, S14 단계로 진입하여 제어부(25)는 종료 요청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아동이 카시트(100)로부터 벗어났는지 여부는 부가적인 센서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속부(18) 즉 안전 밸트에 감지 센서를 부가하고, 안전 밸트가 풀려진 경우에는 아동이 카시트(100)로부터 벗어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무게 감지 센서를 좌석부(12)에 부가하고, 현저한 무게의 변화가 감지되면 이로부터 아동이 카시트(100)에서 벗어났음을 인지할 수 있다.
S14 단계에서 종료 요청이 입력되면, 제어부(25)는 카메라(22)의 촬영을 중단하고, 아동의 상태 판독을 중단하는 S15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좌석부의 자동 높이 조절을 종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 방법은 운전자 또는 다른 사람의 제어 명령을 통해서도 좌석부의 높이가 제어될 수 있다. 즉, 전술한 S11 단계에서 아동의 상태 변화가 없는 경우, 제어부(25)는 S12 단계로 진입하여 별도의 제어 명령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에, S12 단계에서 운전자나 기타 다른 사람이 마이크(24c)로 음성을 입력하거나, 물리적인 조작으로 누름 버튼(24a)이나 터치 스크린(24b)을 눌러 특정 명령(예컨대, 좌석부의 높이 하강 등)을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25)는 이러한 명령을 전송받게 되고, 이에 S13 단계로 진입하여 해당 명령에 따라 좌석부(12)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100) 및 그의 높이 제어 방법은 운행 중에 아동이 취침하거나, 취침에서 깨어나는 경우, 아동의 상태에 적합한 높이로 좌석부(12)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음성 명령이나 버튼 입력 등의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쉽게 좌석부(1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운행 중인 차량을 정지시키지 않더라고 용이하게 카시트(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운전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가 장착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카시트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 따른 카시트(200)는 전술된 실시예의 카시트(도 1의 100)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며, 모니터와 카메라가 더 구비된다는 점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부가적으로 구비되는 모니터와 카메라를 중심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200)는 전술한 도 1의 카시트(100)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보조 카메라(26)와 보조 모니터(26)를 더 구비한다.
보조 카메라(26)는 운전석이나 조수석 등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는 사람의 얼굴을 촬영할 수 있다. 보조 카메라(26)는 제어부(2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5)는 보조 카메라(26)에서 촬영된 영상을 후술되는 보조 모니터(26)로 전송할 수 있다.
보조 모니터(26)는 아동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시트(100)의 상단에서 카메라(22)와 함께 배치될 수 있으며, 도 3과 같이 차량의 전방 좌석(운전석이나 조수석)의 뒷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모니터(26)는 제어부(25)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즉,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있는 사람의 얼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동은 지속적으로 특정 사람(예컨대 엄마 등)의 얼굴을 볼 수 있어 심리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보조 모니터(26)가 제어부(25)와 연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보조 모니터(26)가 직접 보조 카메라(26)와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보조 카메라(26)는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블랙 박스
(black box) 카메라(22)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카시트가 전방을 향하여 장착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카시트가 후방을 향하여 장착되더라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아동용 카시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차량의 좌석(특히 뒷좌석)이나, 기타 다양한 실내 좌석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0: 카시트
10: 시트부 12: 좌석부
14: 베이스 16: 좌석 구동부
18: 구속부
20: 자동 구동부
22: 카메라
23: 모니터 24: 입력부
25: 제어부 26: 보조 모니터
27: 보조 카메라

Claims (13)

  1. 좌석부가 높이조절 가능하도록 베이스에 결합되는 시트부; 및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감지하여 대응하는 높이로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자동 구동부;
    를 포함하는 카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좌석부와 상기 시트부가 연결되는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 구동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좌석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판독하고, 판독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시트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카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외부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되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시트부를 제어하는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음성 입력을 위한 마이크,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 및 누름 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카시트.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구동부는,
    상기 시트부의 외부를 촬영하는 보조 카메라; 및
    상기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좌석부에 앉은 아동에게 표시하는 보조 모니터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독된 아동의 상태에 대응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가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는 카시트.
  9. 카메라를 이용하여 좌석부에 앉은 아동의 상태를 촬영하고 판독하여 아동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아동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기 아동의 취침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인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아동이 취침 상태인 경우,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하강시키는 단계인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좌석부의 높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동이 상기 좌석부에서 이탈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의 촬영을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의 높이 조절 방법.
KR1020110109263A 2011-10-25 2011-10-25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KR201300449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63A KR20130044913A (ko) 2011-10-25 2011-10-25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263A KR20130044913A (ko) 2011-10-25 2011-10-25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913A true KR20130044913A (ko) 2013-05-03

Family

ID=48657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263A KR20130044913A (ko) 2011-10-25 2011-10-25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4491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87A (ko) 2019-06-2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US11884187B2 (en) 2020-04-16 2024-01-30 Flora K. Fam Adjustable child restraint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887A (ko) 2019-06-27 2021-01-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제어 장치 및 표시 제어 방법
US11884187B2 (en) 2020-04-16 2024-01-30 Flora K. Fam Adjustable child restrai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2853B2 (ja) 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方法及び車両座席を調節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2008199515A (ja) 同乗者着座姿勢検出・判定装置及び方法
WO2017211080A1 (en) Vehicular safety seat, controller coupled with vehicular safety seat, and vehicular safety seat system
JP2005096744A (ja) 乗員認証装置
US20160159370A1 (en) Driving assistance device,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4105617A (zh) 用于调节座椅位置的装置和方法
CN102874135B (zh) 汽车座椅调节控制器及其控制方法
JP2009046026A (ja) 運転席調整システム
JP2008213506A (ja) 乗員検知装置
JP5619129B2 (ja) エスカレ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スカレータ制御方法
JP2019073242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20157938A (ja) 車載監視制御装置
KR20190074506A (ko) 스마트 차량 시스템
KR20130044913A (ko) 카시트 및 그의 높이 조절 방법
CN110723037A (zh) 一种汽车儿童安全座椅智能控制系统
KR102111755B1 (ko)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15872A (ja) ドライビングポジションおよび視界調整システム
KR20110032719A (ko) 헤드레스트,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음주운전 방지방법 및 핸드폰 수신방법
CN112937383A (zh) 一种智能迎宾设备调节方法及系统
CN108860026B (zh) 手势识别与语音相结合的座椅调节系统及调节方法
CN115867460A (zh) 带有用户接近跟踪功能的汽车座椅
KR20160129984A (ko) 졸음운전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9227079A (ja)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位置調整方法
JP2018188082A (ja) 車両のシート位置制御装置
CN108860025B (zh) 基于手势识别的座椅调节装置及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