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087B1 - 에어백 도어 구조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도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087B1
KR101073087B1 KR1020090068616A KR20090068616A KR101073087B1 KR 101073087 B1 KR101073087 B1 KR 101073087B1 KR 1020090068616 A KR1020090068616 A KR 1020090068616A KR 20090068616 A KR20090068616 A KR 20090068616A KR 101073087 B1 KR101073087 B1 KR 101073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bag
piece
airbag door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122A (ko
Inventor
김삼영
곽성복
정동훈
김재현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087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008Inserting articles into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구비되며 에어백의 전개 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가 절개부에 의해 중앙부에 형성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방되지 않는 테두리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는 커버 프레임, 및 섬유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도어가 회전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도어편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도어의 힌지부를 섬유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에어백 전개 시, 개방이 용이하고, 힌지부의 접히는 반경이 종래에 비해 작아 에어백 도어가 완전 개방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 완전 전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어백, 슈트, 프레임, 에어백 도어, 가조립, 열융착

Description

에어백 도어 구조체{Air-bag door module}
본 발명은 에어백 도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에 에어백 도어 구조체를 구비하되, 상하 방향으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 중 하측 에어백 도어의 힌지부에 섬유재질로 형성된 도어편구조체를 구비하여 에어백 도어의 개방 시간을 단축함에 따라 에어백 완전 전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수석에 장착되는 에어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트루먼트 패널(10) 내에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되며, 차량 충돌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에어백 도어(32)가 개방되면서 에어백이 전개되어 탑승자의 충격을 완충한다.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구비되는 인비저블(Invisible) 에어백 도어(32)는 외관미를 높이기 위하여 인스트루먼트 패널(10) 내측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는 도어 라인이 보이지 않도록 설치되고, 스킨층의 내측면으로는 에어백 도어(32) 개방 시 용이하게 패널이 개방될 수 있도록 절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개홈(12)은 에어백 도어(32) 라인을 따라 두께가 얇도록 사출 성형 되거나,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0)의 사출 성형한 후에 레이저빔으로 미세한 홈을 2차 가공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에어백 모듈(20)은 에어백 슈트(30)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10)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에어백 슈트(30)에 에어백 모듈(20)이 설치되고, 이 에어백 슈트(30)에는 에어백 도어(32)가 형성되어 에어백 전개 시, 개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32)는 에어백 슈트(30)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에어벡 도어 모듈로 구비되어 슈트 모듈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종래 분리형 에어백 도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 모듈(40)은 에어백 모듈(미 도시)가 설치된 슈트 모듈(미 도시)의 전단에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백 도어(42)가 구비된 도어 프레임(41)과 커버 프레임(45)으로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41)은 슈트 모듈의 전단에 구비되어 전개되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해 에어백 도어(42)가 전방으로 개방되어 에어백이 전개된다.
그리고 커버 프레임(45)은 에어백 도어(42)가 형성되지 않은 도어 프레임(41)의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 별도의 결합부재(미 도시)에 의해 고정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면에 닿아 고정된다.
이때, 도어 프레임(41)에 형성된 에어백 도어(42)는 H형상의 절개부(43)가 형성된 것으로, 상하로 구분되어 각각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H형상의 에어백 도어(42)는 U형상의 에어백 도어가 개방 시, 전 방 유리를 가격하여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탑승자에게 다른 부품의 파손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상하부로 분리된 에어백 도어(42)는 에어백의 전개 압력에 의해 개방되되, 도어 프레임(41)에서 분리되지 않아야되는 것으로, 개방 각도 및 그 각도 유지는 에어백 전개 압력에 의해 좌우됨에 따라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에어백은 탑승자의 상체를 보호해야 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42) 중 하부에 있는 에어백 도어의 개방 각도가 상부보다 커야 탑승자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하부의 에어백 도어를 완전 개방시키고, 또 그 각도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에어백 전개 압력에 의해 개방된 에어백 도어가 관성 및 재질적 탄성에 의해 다시 폐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에어백을 누르게 되고, 에어백을 전개시키던 압축기체를 에어백에서 배출시켜 탑승자를 보호하는 시간을 단축시킴에 따라 성능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에어백 도어의 힌지축을 섬유재질의 도어편구조체로 연결하여 에어백 전개 압력에 의한 에어백 도어 각도를 크게하여 에어백 완전 전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에어백 도어를 도어프레임과 상단에서만 연결시키고, 중앙절개부를 기준으로 절개되는 하단 에어백 도어를 도어편구조체로 연결함에 따라 에어백을 탑승자의 상체방향으로 전개시킴에 따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편구조체의 섬유재질인 베이스편을 회전편 및 고정편 사출 시, 동시에 사출함에 따라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이 도어편구조체를 도어프레임에 진동융착함에 따라 견고하게 융착시킬 수 있어 에어백 전개 압력에 분리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H형상을 갖는 에어백 도어의 개방 각도를 최대화시키고, 섬유재질의 유연성에 의해 그 개방 각도를 유지함에 따라 에어백 전개를 용이하게 유도하여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H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구비되며 에어백의 전개 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가 절개부에 의해 중 앙부에 형성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방되지 않는 테두리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는 커버 프레임, 및 섬유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도어가 회전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도어편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절개부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하단부를 형성시키는 하단절개부, 상기 하단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 도어의 양측단부를 형성시키는 측단절개부, 및 상기 에어백 도어의 중앙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단절개부에 양단이 연결되되,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에어백 전개 시, 압력에 의해 절개되는 중앙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상기 중앙절개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에어백 도어부분과 상기 하단절개부를 포함한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면에 열 융착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편, 상기 베이스편의 전면 상단부에서 중간부까지 결합되고, 상기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베이스편과 회전편 및 고정편은 하나의 사출공정에서 동시 사출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편은 섬유재질의 부직포이다.
또한,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진동 융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에어백 도어 구조체에 의하면, 에어백 도어의 힌지부를 섬유재질로 형성함에 따라 에어백 전개 시, 개방이 용이하고, 힌지부의 접히는 반경이 종래에 비해 작아 에어백 도어가 완전 개방되는 시간이 단축되며, 이에 따라 에어백 완전 전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도어편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도어 구조체(100)는 슈트 프레임 또는 슈트 모듈과 인스트루먼트 패널 사이에 구비되어 에어백 전개 시, 에어백 도어(112)가 압력에 의해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절개홈과 함께 전방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에어백 도어 구조체(100)는 도어 프레임(110)과 커버 프레임(120) 및 도어편구조체(130)로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110)은 H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구비되며 에어백의 전개 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112)가 절개부(114)에 의해 중앙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커버 프레임(120)은 도어 프레임(110)의 개방되지 않는 테두리의 전면에 구비되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면에 고정된다.
이 커버 프레임(120)은 도어 프레임(110)에 별도로 구비된 다수의 체결부재(122)에 의해 체결되고,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면에 열 융착된다.
도어편구조체(130)는 섬유재질을 포함하며, 도어 프레임(110)의 후면에 구비되되, 에어백 도어(112)가 회전되는 부위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도어 프레임(110)과 커버 프레임(120) 및 도어편구조체(1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먼저, 도어 프레임(110)을 살펴보면, 절개부(114)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14)에 의해 에어백 도어(1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개부(114)는 하단절개부(114a)와 측단절개부(114b) 및 중앙절개부(114c)로 구성되며, 하단절개부(114a)는 에어백 도어(112)의 하단부를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측단절개부(114b)는 하단절개부(114a)와 연결되며, 에어백 도어(112)의 양측단부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각 측단절개부(114b)의 하단이 하단절개부(114a)의 양단과 연결된다.
중앙절개부(114c)는 에어백 도어(112)의 중앙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측단절개부(114b)에 양단이 연결되되,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에어백 전개 시, 압력에 의해 절개된다.
다시 말해, 중앙절개부(114c)는 에어백 도어(112)가 상하부로 각각 개방되도록 절개되는 부분인 것이다.
이 중앙절개부(114c)에 절개되는 에어백 도어(112)는 그 상단이 도어 프레임(110)과 연결됨에 따라 상부 에어백 도어(112a)는 개방되어도 분리되지 않지만, 하부 에어백 도어(112b)는 하단절개부(114a)와 측단절개부(114b)에 의해 도어 프레임(110)과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하부 에어백 도어(112b)는 도어편구조체(130)에 의해 도어 프레임(11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편구조체(130)는 중앙절개부(114c)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에어백 도어(112b)부분과 하단절개부(114a)를 포함한 도어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편구조체(130)는 베이스편(132)과 회전편(134) 및 고정편(136)으로 구성되며, 베어스편(132)은 섬유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편(134)은 베이스편(132)의 전면 상단부에서 중간부까지 결합되 고,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112)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백 도어(112) 중 하부 에어백 도어(112b)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고정편(136)은 회전편(134)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편(132)에 결합되며, 도어 프레임(110)의 하단부에 대응되도록 구비되어 도어 프레임(110)의 하단부 내측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편(134)과 고정편(136)은 상호 일정간격 이격됨을 나타내며, 이 이격 간격은 하단절개부(114a)의 폭과 동일하고, 베이스편(132)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다시 말해, 섬유재질로 형성된 베이스편(132)은 유연성이 있는 것으로, 에어백 전개 압력에 의해 중앙절개부(114c)가 절개된 후, 개방되는 하부 에어백 도어(112b)의 개방각도를 크게 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에어백을 상단부보다 하단부쪽으로 전개시킬 수 있는 것으로, 탑승자의 상체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하고, 종래 개방된 하부 에어백 도어(112b)가 전개된 에어백을 가압하여 압축기체가 에어백에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어편구조체(130)를 구성하는 베이스편(132)과 회전편(134) 및 고정편(136)은 하나의 사출공정에서 동시 사출된다.
다시 말해, 베이스편(132)을 상하로 분리되는 사출금형에 거치시킨 다음, 밀폐시키고, 사출액을 주입하여 회전편(134)과 고정편(136)이 베이스편(132)에 동시 사출시켜 완성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편(132)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실시 예로 부직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편(132)과 회전편(134) 및 고정편(136)으로 구성된 도어편구조체(130)는 도어 프레임(110)에 진동 융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됨에 따라 에어백 도어(112) 개방 시, 전개 압력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은 종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분리형 에어백 도어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도어편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도어 구조체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에어백 도어 구조체 110 : 도어 프레임
112 : 에어백 도어 114 : 절개부
114a : 하단절개부 114b : 측단절개부
114c : 중앙절개부 120 : 커버 프레임
122 : 체결부재 130 : 도어편구조체
132 : 베이스편 134 : 회전편
136 : 고정편

Claims (8)

  1. H형상의 절개홈이 형성된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측에 구비되며 에어백의 전개 시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가 절개부에 의해 중앙부에 형성된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개방되지 않는 테두리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고정되는 커버 프레임; 및
    섬유재질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에어백 도어가 회전되는 부위를 지지하는 도어편구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섬유재질로 형성되는 베이스편;
    상기 베이스편의 전면 상단부에서 중간부까지 결합되고, 상기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회전편; 및
    상기 회전편의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베이스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단부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고정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의 절개부는,
    상기 에어백 도어의 하단부를 형성시키는 하단절개부;
    상기 하단절개부와 연결되며, 상기 에어백 도어의 양측단부를 형성시키는 측단절개부; 및
    상기 에어백 도어의 중앙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단절개부에 양단이 연결되되, 일정간격으로 절개되어 에어백 전개 시, 압력에 의해 절개되는 중앙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상기 중앙절개부를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에어백 도어부분과 상기 하단절개부를 포함한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도어 프레임에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고, 상기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내측면에 열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편과 회전편 및 고정편은 하나의 사출공정에서 동시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편은 섬유재질의 부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편구조체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진동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도어 구조체.
KR1020090068616A 2009-07-28 2009-07-28 에어백 도어 구조체 KR101073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616A KR101073087B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백 도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616A KR101073087B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백 도어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22A KR20110011122A (ko) 2011-02-08
KR101073087B1 true KR101073087B1 (ko) 2011-10-12

Family

ID=4377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616A KR101073087B1 (ko) 2009-07-28 2009-07-28 에어백 도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0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33B1 (ko) * 2017-09-26 2019-11-26 전학수 연마 장치 및 차량용 내장재
KR102408193B1 (ko) * 2018-01-24 2022-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수석 에어백 도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03A (ja) * 2002-11-28 2004-06-24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内装材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5303A (ja) * 2002-11-28 2004-06-24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内装材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122A (ko) 201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101240603B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
CN105270312B (zh) 机动车辆的具有一体式安全气囊门的内部板及其制造方法
KR100747279B1 (ko) 커튼 에어백의 a필라 구조
US8167333B2 (en) Secured force concentrator in a vehicular bolster for airbag retention and deployment
US8376395B2 (en) Airbag flap arrangement hinged on a dashboard
CN101678812B (zh) 气囊封盖
KR20120045640A (ko) 조수석 에어백의 도어힌지 구조
KR101073087B1 (ko) 에어백 도어 구조체
JP3923004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CN208469732U (zh) 用于车辆的安全气囊门
KR101098853B1 (ko) 일체형 에어백 도어모듈
JP2017197098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48867A (ko)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모듈 및 제조방법
JP2006096267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2008201322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4762677B2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KR101684944B1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100031940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20110043924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101614487B1 (ko) 에어백 장치
JP2008239065A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16037127A (ja) エアバッグを有する車両
JP2005335594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9990B1 (ko)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