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62B1 -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62B1
KR101072662B1 KR1020080129091A KR20080129091A KR101072662B1 KR 101072662 B1 KR101072662 B1 KR 101072662B1 KR 1020080129091 A KR1020080129091 A KR 1020080129091A KR 20080129091 A KR20080129091 A KR 20080129091A KR 101072662 B1 KR101072662 B1 KR 10107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extract
composition
dry powder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0514A (ko
Inventor
장정희
제갈경환
박성준
김창열
이찬
양재하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129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26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70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5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e.g. chopping up, cutting or gri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복신(Poria cocos)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물미로 실험(Morris water-maze test) 및 Y-미로 실험(Y-maze test)을 통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나타내고,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을 억제하며, 해마 내 아세틸콜린 합성효소 및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조성물은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복신, 건망증, 스코폴라민, 치매, 베타아밀로이드, 아세틸콜린,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Description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the dried powder of Poria cocos or the extract therefrom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mory and cognitive impairments involved disorders}
본 발명은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Kumar V et al.,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Saunders, 7th, 2004
[문헌 2] 대한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nd, 중앙문화사, 2007
[문헌 3] Dawbarn D et al., Neurobiology of Alzheimer's Disease, 2nd, Oxford Univ, Press, 2001
[문헌 4] 이광우, 신경과학, 범문사, 2005
[문헌 5] Talesa VN et al., Acetylcholine 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122, pp.1961-1971, 2001
[문헌 6] Farlow MR et al., Treatment options in Alzheimer's disease: Maximizing benefit, Managing expectations, Dement Geriatr Cogn Disord., 25, pp.408-422, 2008
[문헌 7] 김대경 외 12, The Korean J Anat., 37, pp.519-527, 2004
[문헌 8] 전통의학연구소, 동양의학대사전, 성보사, 2000
[문헌 9] 이동건, 동의임상신경정신과, 서원당, 1994
[문헌 10] 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공동교재 편저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07
[문헌 11] Lin Z et al., Herbal formula FBD extracts prevented brain injury and inflammation induced by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J Ethnopharmacol., 118, pp.140-147, 2008
[문헌 12] Jingyi W et al., Observation on the effects of Chinese medicine zhenxuanyin for improving cerebral blood flow in rats with cerebral ischemia, J Tradit Chin Med, 17, pp.299-303, 1997
[문헌 13] Chung TW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a chuk-me-sun-dan on neurons from ischemic damage and neuronal cell toxicity, Neurochem Res, 31, pp.1-9, 2006
[문헌 14] Koo BS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Chuk-Me-Sun-Dan on NMDA- and AMPA-evoked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in mouse brain,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7, pp.499-514, 2005
[문헌 15] Chen J.,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senility effects of shou xing bu zhi., Zhong Xi Yi Jie He Za Zhi., 9, pp.226-227, 1989
[문헌 16] Lin Z et al., An Antioxidant Phytotherapy to Rescue Neuronal Oxidative Stres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in press, 2008
[문헌 17] Wang XJ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qizhu tang, Acta Pharmacol Sin., 21, pp.1141-1144, 2000
[문헌 18] Ukiya M et al., Inhibition of tumor-promoting effects by poricoic acids G and H and other lanostane-type triterpenes and cytotoxic activity of poricoic acids A and G from Poria cocos, J Nat Prod, 65, pp.462-465, 2002
[문헌 19] Morris R.,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11, pp.47-60, 1984
[문헌 20] Han CK et al., SK-PC-B70M from Pulsatilla koreana improves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s of memory consolidation and spatial working memory, Brain Res., 12, pp.254-259, 2007
[문헌 21] Yamaguchi Y et al., Effects of a novel cognitive enhancer,spiro[imidazo-[1,2-a]pyridine-3,2-indan]-2(3H)-one (ZSET1446), on learning impairments induced by amyloid-beta 1-40 in the rat, J Pharmacol., 317, pp.1079-87, 2006
[문헌 22] Jang JH et al., Ergothioneine rescues PC12 cells from beta-amyloid-induced apoptotic death, Free Radic. Biol. Med., 36(3), pp.288-299, 2004
[문헌 23] Li XL et al., Effects of Chinese herbal medicine fuzhisan on aged rats, Exp Gerontol, 43(9), pp.853-858, 2008
[문헌 24] Caiping M et al., Prenatal exposure to nicotine with associated in utero hypoxia decrease fetal brain muscarinic mRNA in the rat, Brain Res., 1189, pp.43-50, 2008
치매(痴)는 대표적인 만성 진행성 퇴행성 뇌질환으로, 최근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그 비중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으며, 의학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심각한 노인보건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치매는 발생 원인에 따라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 기타 질병에 의한 치매로 분류되며, 특히 전체 치매 환자 중 50-60%가 알츠하이머병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지적능력, 감정 및 행동변화 등에서 임상적으로 뚜렷한 손상을 나타내며, 이후 방향감각의 상실, 기억손상, 실어증 등의 심각한 대뇌피질 기능장애 징후를 보이게 된다(Kumar V et al.,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Elsevier Saunders, 7th, 2004).
알츠하이머병은 드물게 50세 이전에 전조징후를 나타내기도 하나 보통은 나이가 들수록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알츠하이머병은 뇌세포가 점점 파괴되면서 악화되는 전형적인 퇴행성 뇌질환으로, 이 병의 최종진단은 사후 부검을 통한 병리검사에서만 가능하며, 부검시 대뇌의 전반적인 위축과 신경세포사멸이 특징적으로 관찰된다(대한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nd, 중앙문화사, 2007). 발병 과정의 인과관계 및 직접적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어 있지 않으나, 병리학적, 분자유전학적 연구결과 제시된 대략적인 단계반응(cascade)은, 우선 베타아밀로이드(β-amyloid)라는 이상 단백질이 뇌 안에 축적되고, 그 후 신경세포 내에 타 우(tau) 단백질이 응집되어, 시냅스의 손상을 가져오며, 궁극적으로 신경기능부전 및 뇌세포의 사멸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awbarn D et al., Neurobiology of Alzheimer's Disease, 2nd, Oxford Univ, Press, 2001; 이광우, 신경과학, 범문사, 2005).
한편,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뇌의 신경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 Ach)의 결핍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아세틸콜린은 기억과 학습이라는 뇌 작용에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이가 부족하면 기억력 손상을 비롯한 인지 기능장애가 유발 된다. 실제, 알츠하이머병 질환자의 중추신경계 내에 아세틸콜린의 수치는 정상인과 비교하여 현저히 낮으며, 반대로 아세틸콜린을 분해하는 효소인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etylcholine esterase; AChE)의 발현은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Talesa VN et al., Acetylcholine esterase in Alzheimer's disease, Mechanisms of Ageing and Development., 122, pp.1961-1971, 2001). 그러므로, AChE의 억제가 콜린성 신경전달을 개선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존의 대다수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연구가 콜린성 뉴런의 소실을 해소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현재 4가지(도네페질(donepezil), 갈란타민(galantamine),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및 타크린(tacrine)) 정도의 가역적 AChE 억제제가 경증 내지 중증도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공인되어 있으며, 이들은 인지, 행동 및 기능장애의 발생을 지연시키나, 단지 중증도의 증상 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흔한 부작용으로 오심, 설사, 구토, 식욕부진, 복통 및 근경축이 있으며, 이러 한 작용은 위장관에 대한 말초적 콜린 흥분성 효과와 관련이 있다. 다른 약물과 달리 타크린(tacrine)은 간독성을 유발하여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Farlow MR et al., Treatment options in Alzheimer's disease: Maximizing benefit, Managing expectations, Dement Geriatr Cogn Disord., 25, pp.408-422, 2008).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효과적인 AchE 억제제의 개발은 알츠하이머 질환자의 삶의 질과 병증 개선 및 치료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치매 질환의 일차적인 증상인 기억력과 인지기능의 감퇴현상은 콜린성 신경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보고에 따르면 후시냅스(postsynapse)에 있는 무스카리닉(muscarinic)수용체의 길항제인 스코폴라민(scopolamine)은 전시냅스(presynapse)에서 유리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과 무스카리닉 수용체의 결합을 저해하여 정보전달을 하는 것을 일시적으로 차단함으로서, 학습과 기억력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학습과 기억력 증진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기억력감퇴동물모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다(김대경 외 12, The Korean J Anat., 37, pp.519-527, 2004).
한의학에서는 기억력 장애를 '건망(健忘)'으로 보며, 자기가 행한 전사(前事)와 전언(前言)을 망각하기를 잘하므로 사물(事物)을 처리할 때 유시무종(有始無終)하며, 대화를 하여도 수미(首尾)를 알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전통의학연구소, 동양의학대사전, 성보사, 2000). 건망(健忘)은 신정부족(腎精不足)으로 인한 뇌해공허(腦海空虛), 칠정손상(七情損傷), 심신부교(心腎不交), 심비양허(心脾陽虛), 담탁요심(痰濁擾心), 어혈공심(瘀血攻心) 등이 원인이 되어 생기며, 대보기혈(大寶 氣血), 안신(安神), 화담(化痰), 활혈(活血), 청심(淸心), 이비(理脾), 소간해울(疏肝解鬱) 등의 치법으로 치료한다(전통의학연구소, 동양의학대사전, 성보사, 2000; 이동건, 동의임상신경정신과, 서원당, 1994).
역대 제가의서의 처방 중 효능과 주치에 건망(健忘), 치매(痴)가 들어간 것을 검토한 결과 처방을 구성하는 약물 중 쓰이는 빈도가 높은 것을 후보군으로 선정하였다. 그 중 인삼(人蔘), 당귀(當歸), 원지(遠志), 단삼(丹蔘), 창포(菖蒲), 황금(黃芩) 등은 이미 그 효과와 성분이 연구되어 있으나 복령(茯笭)과 복신(茯神)은 사용 빈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치매와 관련되어 단독으로 연구된 바가 거의 없었다.
복령은 잔나비걸상과(다공균과 : Polyporaceae)에 속한 진균인 Poria cocos Wolf의 바깥층을 거의 제거한 균핵으로, 주 효능은 이수삼습(利水濕)이며 건비영심(健脾寧心)의 작용을 가지고 있어, 수종요소(水腫尿少), 담음현계(痰飮眩悸), 비허식소(脾虛食少), 변당설사(便泄瀉), 심신불안(心神不安), 경계실면(驚悸失眠)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복신은 방괴상(方塊狀)으로 소나무 뿌리를 싸고 있으며, 질(質)은 단단하고 백색이다. 영심안신(寧心安神)하는 효능이 뛰어나 심허경계(心虛驚悸), 건망(健忘), 실면(失眠), 경간(驚癎)을 치료하는 데 쓰인다(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공동교재 편저위원회, 본초학, 영림사, 2007).
한편, 복령 및 복신이 주로 쓰인 처방을 이용한 in vitro 세포 및 in vivo 실험동물 연구에서, 뇌허혈(cerebral ischemia)로 인해 유발된 손상 및 염증 방지 효과(Lin Z et al., Herbal formula FBD extracts prevented brain injury and inflammation induced by cerebral ischemia-reperfusion, J Ethnopharmacol., 118, pp.140-147, 2008), 혈류개선(Jingyi W et al., Observation on the effects of Chinese medicine zhenxuanyin for improving cerebral blood flow in rats with cerebral ischemia, J Tradit Chin Med, 17, pp.299-303, 1997), 신경세포 보호효과(Chung TW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a chuk-me-sun-dan on neurons from ischemic damage and neuronal cell toxicity, Neurochem Res, 31, pp.1-9, 2006; Koo BS et al., Neuroprotective effect of Chuk-Me-Sun-Dan on NMDA- and AMPA-evoked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y in mouse brain, Immunopharmacol Immunotoxicol, 27, pp.499-514, 2005), 그 밖에 항노화(Chen J.,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nti-senility effects of shou xing bu zhi., Zhong Xi Yi Jie He Za Zhi., 9, pp.226-227, 1989), 항산화(Lin Z et al., An Antioxidant Phytotherapy to Rescue Neuronal Oxidative Stres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in press, 2008; Wang XJ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qizhu tang, Acta Pharmacol Sin., 21, pp.1141-1144, 2000), 항암작용(Ukiya M et al., Inhibition of tumor-promoting effects by poricoic acids G and H and other lanostane-type triterpenes and cytotoxic activity of poricoic acids A and G from Poria cocos, J Nat Prod, 65, pp.462-465, 2002) 등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복령과 복신으로 단독 실시한 치매관련 연구는 AchE에 대한 억제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in vitro 실험 정도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에 의한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물미로 실험(Morris water-maze test) 및 Y-미로 실험(Y-maze test)을 통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나타내고,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을 억제하며, 해마 내 아세틸콜린 합성효소 및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복신 추출물은 증류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포함한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뇌혈관성 치매증 또는 두부손상에 의한 치매증, 바람직하게는 알츠하이머병을 포함한 다.
이하, 본 발명의 건조분말 및 그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은 복신을 열풍 건조기를 이용하여 5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에서 1 내지 4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10% 내외가 되도록 열풍 건조한 후, 이를 분쇄하는 제조공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건조 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에서 수득한 건조분말에 추출용매로서 증류수를 포함한 물,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증류수를 포함한 물을 시료 중량의 약 1배 내지 10배(v/w), 바람직하게는 4배 내지 7배(v/w)를 넣어, 2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1시간 내지 8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냉침추출,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냉각 추출, 가열추출,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법으로 추출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70℃의 온도에서 가온,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조성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환자의 상태 및 질환의 종류 및 진행 정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 자체는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0.5 g/kg 내지 5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g/kg 내지 3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약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양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전체 식품 중량의 1 내지 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ml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물미로 실험(Morris water-maze test) 및 Y-미로 실험(Y-maze test)을 통하여 기억력 증진효과를 나타내고,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을 억제하며, 해마 내 아세틸콜린 합성효소 및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함으로써, 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학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참고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신 건조분말의 제조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덕호리에서 채취한 복신 600g을 세종약업사(대구)에서 구입한 후, 열풍 건조기(Wiseven, 대한과학, 서울)를 이용하여 150℃에서 2시간 동안 수분함량이 10% 내외가 되도록 열풍 건조한 후, 가루사료(효창사이언스, 대구)와 비슷한 크기로 분쇄하여 복신 건조분말 200g을 수득하여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PC”라 함).
실시예 2. 복신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 200g에 1.3L의 증류수를 가하여 상온에서 1시간 30분 동안 열수추출 한 후, 여과하고 여액을 70℃의 온도에서 가온, 감압농축(Rotavapor R-220, BUCHI, 스위스)하고, -7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Freezone 6, Laboconco, 독일)하여, 복신 추출물 0.3527g을 수득(수율: 0.18%)하였고, 하기 실험예의 시료로 사용하였다(이하, “PC-W”라 함).
참고예 1.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는 체중 250-280 g 전후의 Sprague Dawley계 웅성 랫트 (8주령, 효창사이언스, 대구) 및 체중 20-25 g 전후의 C57/BL6N계 웅성 마우스 (8주령, 오리엔트, 경기도)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행동실험 실시 6일 전에 대구한의대학교 상동캠퍼스 사육실에서 하루의 적응시간을 거친 후, 5일간 실험 전 처리기간을 두었다. 사육실의 온도는 22-24℃, 습도는 40-60%로 유지하였고, 조명은 낮 12시간-밤 12시간 주기로 조절하였다. 적응기간 및 실험기간 동안 약물투여는 복신 건조분말(랫트에 투여)의 경우, 가루사료(효창사이언스, 대구)에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을 1 g/kg/day의 용량으로 섞어 물과 함께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복신 추출물(마우스에 투여)의 경우,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추출물을 50 mg/kg/day의 용량으로 경구로 투여하였다.
실험예 1.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 억제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이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기억력 증진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개시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기억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있는 스코폴라민(scopolamine; S0929, Sigma, 미국)을 투여하기 5일전부터 복신 건조분말을 1g/kg/day의 용량으로 사료에 섞어 물과 함께 자유롭게 먹을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행동 실험 30분 전에 스코폴라민 0.75 mg/kg을 복강으로 투여하여 기 억력 손상을 유발하였으며, 물미로 실험(Morris water-maze test) 및 Y미로(Y-maze test) 실험을 실시하였다.
1-1. 물미로 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의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공간지각능력 및 단기, 장기 기억력의 회복(short and long-term memory recovery)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개시된 방법(Morris R., Developments of a water-maze procedure for studying spatial learning in the rat, J Neurosci., 11, pp.47-60, 1984; Han CK et al., SK-PC-B70M from Pulsatilla koreana improves scopolamine-induced impairments of memory consolidation and spatial working memory, Brain Res., 12, pp.254-259, 2007)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물미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장비는 원형의 수조(stainless steel, 지름 180 cm, 높이 60 cm)와 도피대(platform, 지름 12cm)로 이루어진다. 수조의 물(온도 22± 2℃) 은 플랫폼 위 2 cm까지 채우고, 랫트가 도피대에 앉으면 몸이 물 밖으로 나올 수 있도록 하였다. 물미로 실험은 실험동물이 수조 주변의 표지물을 이용하여 도피대를 찾아가기 때문에 주변의 환경 변화가 없도록 표지물을 실험기간 동안 일정하게 유지 하였다. 실험동물이 도피대를 찾아가 20초 이상 머무르면 찾아갈 때까지 걸린 시간을 탈출 잠복기(escape latency)로 하였으며, 이를 하루 3회 실시하여 나온 평균값을 평균 탈출 잠복기(mean escape latency)로 하였다. 탈출 잠복기는 수조 위 천정에 카메라 를 설치하여 컴퓨터 프로그램(Ethovision 3.1, Noduls, 네덜란드)을 통해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실험은 5일 동안 매일 3회 실시하였으며, 이때 실험동물을 수조에 넣는 위치를 매회 순차적으로 달리하여 우연에 의해 도피대를 찾아가는 가능성을 최소화 하였다. 만약, 실험동물이 90초 내에 도피대를 찾지 못하면 탈출 잠복기를 90초로 하였으며, 실험동물이 도피대에 앉으면 20초간 두어 주변의 단서를 다시 기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과 복신 건조분말을 동시에 투여한 실험군(Sco + PC, n=9)은 스코폴라민만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Sco, n=10)에 비하여 평균 탈출 잠복기가 넷째 날과 다섯째 날 유의하게 짧아져 정상군(Nor, n=11)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평균 탈출 잠복기는 넷째 날 각각 71.83 ± 6.97초와 35.93 ± 6.09 초로 31.91 초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정상군(Nor)과 실험군(Sco + PC)의 경우 둘째 날 이후 안정화된 감소 그래프를 보여 이후 나흘간의 실험기간 동안의 장기 기억을 형성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섯째 날, 대조군(Sco)과 실험군(Sco+ PC)이 각각 67.90 ± 6.94 초와 25.96 ± 3.28 초로 41.94 초의 차이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성있는 기억력 향상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각 그룹의 실험동물이 5일간의 훈련기간 동안 도피대를 찾아가는 대표적인 경로를 도 3에 훈련일수에 따라 배열하였다.
군 구성 평균 탈출 잠복기(sec)
1일 2일 3일 4일 5일
정상군(Nor) 76.60 ± 4.33 60.55 ± 6.74* 51.15 ± 7.44 38.42 ± 7.73** 19.70 ± 3.29**
대조군(Sco) 87.93 ± 4.33 84.23± 3.84 68.77± 6.46 71.83 ± 6.97 67.9 ± 6.94
복신 건조분말 투여군 (Sco + PC) 85.59± 2.71 52.48± 5.94## 45.04± 8.19 35.93 ± 3.28## 25.96 ± 3.28##
각 군당 3회 실시하여 평균 ± 표준오차 값으로 나타내었으며, 유의성평가는 각 실험군을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하였으며, 다중분석을 위하여 Turkey test를 사후검정으로 실시하였다. p값이 0.05이하일 경우 유의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p < 0.05 and **p < 0.01 : Nor vs. Sco group, ##p < 0.01 : Sco vs. Sco + PC group).
1-2. Y-미로실험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동물모델에서 단기 기억력의 회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개시된 방법(Yamaguchi Y et al., Effects of a novel cognitive enhancer, spiro [imidazo - [1,2 - a] pyridine - 3,2 - indan] - 2(3H) - one(ZSET1446), on learning impairments induced by amyloid-beta 1-40 in the rat, J Pharmacol., 317, pp.1079-87, 2006)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Y-미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Y-미로 장치는 검은 아크릴 판[가지 : 가로 10 cm, 세로 41 cm, 높이 25 cm (랫트용), 가로 8 cm, 세로 30 cm, 높이 14 cm (마우스용)]으로 제작한 Y자 모양의 사방이 막힌 미로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각 가지는 서로 120°의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가지를 A, B, C 지역으로 정한 후 하나의 가지에 실험동물을 조심스럽게 놓고, 8분 동안 자유롭게 Y-미로를 움직이도록 한 다음 실험동물이 들어간 각 가지를 천정에 설치한 카메라를 통해 컴퓨터 프로그램(Ethovision 3.1, Noduls, 네덜란드)으로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각 가지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자발적 변경율(spontaneous alteration (%))을 평가하였다. 변경(alteration)은 3개의 다른 가지에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경우 1점(실제 변경 : actual alternation, 즉 ABC, BCA, CAB의 순서)으로 인정 하였다. 연속으로 들어가지 않을 경우 점수로 인정하지 않았다. 따라서 % 변경율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다.
% 변경율 = [총 변경 수] / [가지에 들어간 총 횟수 - 2] x 100
Y-미로 실험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Nor)과 스코폴라민만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Sco : 0.75 mg/kg, i.p.), 스코폴라민과 복신 건조분말을 동시에 투여한 실험군(Sco + PC)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즉, 스코폴라민만 복강으로 투여한 대조군(Sco)의 경우, 기억력이 손상되어 변경 행동력 점수가 평균 43.79 ± 3.76%인 반면, 정상군(Nor)은 평균 74.15 ± 2.23%를 기록하였다. 한편, 복신 건조분말을 투여한 실험군(Sco + PC)의 경우 55.00 ± 0.98%를 기록하여,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지기억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Y-미로 실험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군(Nor)과 스코폴라민만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Sco : 1 mg/kg, i.p.), 스코폴라민과 복신 추출물(PC-W : 50 mg/kg, p.o.)을 동시에 투여한 실험군(Sco + PC-W)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를 관찰 할 수 있었다. 즉, 스코폴라민만 복강으로 투여한 대조군(Sco)의 경우, 기억력이 손상되어 변경 행동력 점수가 평균 40.60 ± 4.43%인 반면, 정상군(Nor)은 평균 63.18 ± 4.63%를 기록하였다. 한편, 복신 추출물을 투여한 실험군(Sco + PC-W)의 경우 63.94 ± 2.56%를 기록하여, 대조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지기억력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 보호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추출물이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원인 물질로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신경세포 독성 및 사멸을 억제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하였다(Jang JH et al., Ergothioneine rescues PC12 cells from beta-amyloid-induced apoptotic death, Free Radic. Biol. Med., 36(3), pp.288-299, 2004).
2-1. 세포 배양
신경 세포 세포주(SH-SY5Y neuroblastoma; Catalog. No. RL-2266, ATCC)를 구입하여, 10% FBS(14-501FM, Cambrex, 미국),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15140-122, Gibco BRL, 미국)으로 혼합된 DMEM 배양액(12800-17, Gibco BRL, 미국)으로 37℃, 5% CO2 조건 하에 배양하였으며, 배지는 이틀에 한번 교체하였다. 베타아밀로이드(Aβ25-35 : 62-0-72, American Peptide, 미국)는 증류수에 녹여 1 mM로 만들어 -20℃에서 보관하였고, 사용 시마다 DMEM 배지에 희석하였다. 상기 세포들은 다양한 농도의 복신 추출물로 30분간 배양한 후, 베타아밀로이드를 첨가하고 37℃에서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2-2. 신경세포 독성실험
세포독성 분석을 위해 48-웰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well microtiter plate)에 일정 세포농도 (6×104 cells/300 μl)로 분주한 후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복신 추출물(PC-W)을 0.25, 0.5, 1 mg/ml의 농도로 첨가하고, 30분 후에 3가지 농도의 베타아밀로이드(2, 5 및 15 μM)를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10 μl의 MTT (3-(4,5-dimethylthiazol -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를 첨가하고 2시간 반응시켜 포마잔(formazan)을 형성시킨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 200 μl/well을 가하여 포마잔을 녹인 다음, ELISA reader (Emax, Molecular device, 미국)를 이용하여 570 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복신 추출물이 세포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신 추출물을 0, 0.25, 0.5, 1 mg/ml 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한 후 세포생존율을 MTT reduction assay로 측정한 결과,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신 추출물의 농도가 1 mg/ml까지 SH-SY5Y 세포에서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비교적 높은 안전성을 나타내었다.
복신 추출물을 1 mg/ml 이하의 농도로 30분간 전처리 하고, 베타아밀로이드 에 의한 독성에 대하여 억제 효과가 있는지 검토한 결과,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베타아밀로이드만을 첨가한 경우에는 개개 농도마다 세포 생존율이 66.94, 60.20 및 50.54% (2, 5 및 15 μM)로 감소하였으며, 1 mg/ml 복신 추출물과 개개 농도의 베타아밀로이드와 함께 처리한 그룹에서의 세포생존율은 87.65, 83.68, 75.74%로 나타나 베타아밀로이드 단독 처리군보다 세포생존율이 보다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A), 이러한 보호효과는 1 mg/ml의 농도에서 최대를 보였다(B). 이상의 결과에서 복신 추출물이 신경세포에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한 세포독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복신 건조분말에 의한 아세틸콜린 합성효소 및 수용체 발현 증가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수득한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의 인지기억력 향상 효과의 기전을 검토하기 위하여, 상세하게는 기억과 학습에 있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생성 및 작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합성효소를 비롯한 수용체의 발현을 검토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3-1. 해마 내 아세틸콜린 합성효소에 대한 실험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은 아세틸콜린 합성효소 ChAT의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Li XL et al., Effects of Chinese herbal medicine fuzhisan on aged rats, Exp Gerontol, 43(9), pp.853-858, 2008).
상기 실험예 1에서 행동실험이 끝난 실험동물의 뇌에서 해마 부분을 분리하여, ice-cold RIPA buffer (150 mM NaCl, 0.5% Triton X-100, 50 mM Tris-HCl, pH 7.4, 25 mM NaF, 20 mM EGTA, 1 mM DTT, 1 mM Na3VO4, protease inhibitor cocktail)로 균질화(homogenation)하였다. 이후 4℃에서 20분간 용해(lysis)시킨 후, 15,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Hanil, 대한민국)하여 상등액 600 μl를 취하였다. 단백질 함량을 BCA(Bicinchonic Acid; Pierce, 미국) 시약 49 μl에 5 μl의 단백질을 가하여 정량한 뒤, 30 μg을 12% SDS-PAGE에서 전기영동 하였다. 전개시킨 겔을 PVDF membrane (Pall Corporation, 미국)에 transfer한 후 5% fat-free dry milk-PBST (PBS, 0.1% Tween-20; AMRESCO, 미국)로 블로킹시켰다. 3% fat-free dry milk-PBS에 일차항체(AB1582, Chemicon, 미국)를 overnight으로 붙이고, PBST용액(Sigma, 미국)으로 10분간 3회 세척한 뒤, 이차항체(HRP-Rabbit Anti-Goat IgG Conjugate, 81-1620, ZYMED Laboratories, 미국)를 3% fat-free dry milk-PBS에 넣어 1시간 동안 붙인 다음, PBST용액으로 다시 10분간 3회 세척하였다. 이후 화학발광 용액(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Amersham Pharmacia Biotech., IL, 미국)을 사용하여 1분간 반응시킨 뒤, 화학발광 면역블로팅 영상(Chemiluminescent Immunoblotting Imaging ; UVP, CA, 미국) 장비를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상군과 비교하여 스코폴라민을 단독으로 투여한 대조군은 ChAT 발현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복신 건조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2. 해마 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발현 증가 효과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muscarinic Ach receptor ; mAchR)의 mRNA 발현을 측정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개시된 방법(Caiping M et al., Prenatal exposure to nicotine with associated in utero hypoxia decrease fetal brain muscarinic mRNA in the rat, Brain Res., 1189, pp.43-50, 2008)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RT-PCR을 실시하였다.
상기 실험예 1에서 행동실험이 끝난 실험동물의 뇌에서 해마 부분을 분리하고, TRI 시약(Molecular Research Inc., 미국) 1 ml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추출분리하여, 클로로포름 200 μl을 첨가하여 혼합한 뒤, 12,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Hanil, 대한민국)하여 RNA가 존재하는 상층액을 분리한 후, 이소프로필 알콜 (isopropyl alcohol) 200 μl로 RNA를 침전시켰다. RNA pellet을 75% 에탄올로 세척한 후, 건조시켜 RNase free water에 녹인 다음, M-MLV 역전사효소(M-MLV reverse transcriptase; M1701, Promega, 미국)를 이용하여 cDNA로 전환시킨 후, 특정 DNA 서열(sequence)에 해당하는 각각의 프라이머[glyceraldehydes-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 5’-GCC AAG GTC ATC CAT GAC AAC-3’(sense), 5’-AGT GTA GCC CAG GAT GCC CTT-3’(antisense); M1 mAchR (M1 muscarinic Ach receptor) : 5'-CAG AAG TGG TGA TCA AGA TGC C-3' (sense), 5' -GAG CTT TTG GGA GGC TGC TT-3' (antisense); M2 mAchR (M2 muscarinic Ach receptor) : 5' -TGC TGT GGC CTC CAA TAT GA-3' (sense), 5' -TGA CCC GAC GAC CCA ACT-3' (antisense)]를 사용하여 PCR 반응용액(R1001A, TaKaRa, 일본) 20 μl으로 증폭시켰다. 생성물을 1.5% 아가로스 겔에서 전기영동 한 뒤에 EtBr (ethidium bromide) 로 염색하여 UV 현미경(GelDoc, TCP-20.M, Vilber Lourmat, 프랑스)으로 촬영하였다.
실험결과,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코폴라민을 처리함으로써 해마에서 M1 및 M2 수용체의 mRNA 발현은 정상군과 비교하여 큰 변화가 없었으나, 복신 건조분말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그 양이 증가되었으며, 특히 M2 수용체에 대하여 작용이 현저하였다. 따라서 복신 건조분말의 투여가 ChAT의 발현 및 M1/M2 수용체의 수를 증가시켜 인지기억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복신 건조분말(PC) 또는 그 추출물(PC-W)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PC 또는 PC-W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PC 또는 PC-W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PC 또는 PC-W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PC 또는 PC-W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PC 또는 PC-W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PC 또는 PC-W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 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PC 또는 PC-W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이 발명을 지원한 국가연구개발 사업]
[과제고유번호]
515-82-06593
[부처명]
지식경제부
[연구사업명]
지역혁신센터 사업
[연구과제명]
뇌질환 치료를 위한 한방제제 및 천연물 신약개발
[주관기관]
대구한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연구기간]
2008년 03월 01일 ~ 2009년 02월 28일
도 1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발된 랫트에서 복신 건조분말의 투여가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물미로 실험(Morris water-maze test) 결과도이며,
도 2는 기억력 증진 효과가 탁월한 5일째의 물미로 실험 결과도이고,
도 3은 도 1에 명시한 물미로 실험 결과, 플랫폼을 찾아가는 경로를 나타낸 그림이며,
도 4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도된 랫트에서 복신 건조분말의 투여가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Y미로 실험(Y-maze test) 결과도이고,
도 5는 스코폴라민에 의해 기억력 손상이 유도된 마우스에서 복신 추출물의 투여가 기억력 증진 효과를 나타내는 Y미로 실험(Y-maze test) 결과도이며,
도 6은 복신 추출물의 자체 독성을 SH-SY5Y 신경세포에서 검토한 결과도이고,
도 7은 베타아밀로이드로 인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복신 추출물의 보호 효능을 나타내는 결과도이며(A; 베타아밀로이드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 B; 복신 추출물 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율),
도 8은 복신 건조분말이 신경전달물질인 아세틸콜린 합성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억력 회복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웨스턴 블랏 결과도이고,
도 9는 복신 건조분말이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기억력 회복 효과가 있음을 나타내는 전기영동 결과도이다.

Claims (6)

  1. 복신 건조분말 또는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복신 건조분말 또는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KR1020080129091A 2008-12-18 2008-12-18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7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91A KR101072662B1 (ko) 2008-12-18 2008-12-18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091A KR101072662B1 (ko) 2008-12-18 2008-12-18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14A KR20100070514A (ko) 2010-06-28
KR101072662B1 true KR101072662B1 (ko) 2011-10-11

Family

ID=4236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091A KR101072662B1 (ko) 2008-12-18 2008-12-18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2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84A (ko) * 2014-12-19 2016-06-29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6825A (zh) * 2011-11-29 2012-04-11 宋爱民 治疗记忆力减退的中药制剂
KR101698163B1 (ko) * 2014-12-19 2017-01-19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복령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Phytomedicin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5184A (ko) * 2014-12-19 2016-06-29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437B1 (ko) 2014-12-19 2016-11-01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99055A3 (ko) * 2014-12-19 2016-12-08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상심자 및 복령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0588927B2 (en) 2014-12-19 2020-03-17 Neurobo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peel
US10946053B2 (en) 2014-12-19 2021-03-16 Neurobo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514A (ko)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2376B1 (en) Composition for brain activation, comprising ginseng berry extract
US1094605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141439B1 (ko) 생강 또는 건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건망증 및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93503B1 (ko) 퇴행성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72662B1 (ko)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59659B1 (ko) 지페노사이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신경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1569813B1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005825B2 (ja) 認知症又は神経変性疾患の予防又は治療用生薬組成物
JP2008162927A (ja) 神経細胞保護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品組成物、化粧料組成物並びに食品
KR20160089930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20150043867A (ko) 생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또는 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90073631A (ko) 설포라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30083544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0130704A1 (ko) 황기 및 단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우울증 또는 불안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665087B1 (ko) 진세노사이드 Rg5 및 Rk1을 함유하는 뇌기능 및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220027125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101070964B1 (ko) 시호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4084787A1 (en) Composition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ognitive disorders
KR100846522B1 (ko) 대황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049909A (ko) 노랑코스모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82087A (ko) 후박추출물을 함유하는 아밀로이드 관련 질환의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