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930A -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930A
KR20160089930A KR1020150009330A KR20150009330A KR20160089930A KR 20160089930 A KR20160089930 A KR 20160089930A KR 1020150009330 A KR1020150009330 A KR 1020150009330A KR 20150009330 A KR20150009330 A KR 20150009330A KR 20160089930 A KR20160089930 A KR 20160089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betaine
hmf
paeoniflo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9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수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9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930A/ko
Publication of KR2016008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9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205Amine addition salts of organic acids; Inner quaternary ammonium salts, e.g. betaine, carni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4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leucoglucosan, hesperidin, erythromycin, nystatin, digitoxin or digox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Abstract

본 발명은 5-HMF(5-hydroxymethyl furfural), 베타인(betaine), 및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memory enhancement, comprising 5-HMF, paeoniflorin and betaine}
본 발명은 5-HMF(5-hydroxymethyl furfural), 베타인(betaine), 및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억력은 이전의 인식이나 경험 등을 의식 속에 간직해 두는 능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억은 세 가지 단계로 수행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우선, 새로운 정보 또는 지식을 외워서 뇌에 입력하는 입력단계, 두 번째 상기 뇌에 입력된 정보 또는 시식을 뇌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및 세 번째 상기 저장된 정보 또는 지식을 다시 생각하는 회상단계이며, 상기 세 단계 중에 어느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정보 또는 지식을 정확하게 기억할 수 없게 되는 현상 즉, 기억력 저하가 일어난다. 상기 기억력의 저하는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모든 연령층에서 다양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노인층에서는 치매와 같은 퇴행성 질환에 의한 기억력 저하는 그 정도가 심해 사회생활 자체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노령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노화와 관련된 노인성 치매(senile dementia)의 발생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평균수명은 2000년 74.3세, 2020년 76.95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도 2000년 약 3백2십만명, 2020년에는 약 6백3십만 천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어, 전체 인구의 약 12.5%를 점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또한 대표적 퇴행성 질환인 치매의 경우 2000년의 환자 수가 28만명 정도로 집계되었고, 이를 우리나라의 인구 증가 예상치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의 치매 환자 추이를 예상해 보면, 2015년에는 약 53만명, 2020년에는 62만명의 치매 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노인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치매 환자의 증가에 따라, 치매치료제 시장의 규모가 커지고, 앞으로 치매를 비롯한 다양한 퇴행성 질환들이 커다란 의료 및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치매질환의 원인을 밝히기 위하여 분자유전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다양한 분야에서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질환의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아서 치료제 개발에도 상당히 어려움이 많은 상태이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일차적으로 나타나는 주 증상인 기억능력 감퇴 증상을 억제하려는 연구가 최근까지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기억과 관련이 있는 인자들에 대한 연구의 결과로, Ca2+-자극 아데니릴 싸이클라제(Cell, 68, 479-489, 1992), S100-베타(Neurobiology of Learning & Memory, 75, 230-243, 2001), BDNF(Neuroreport, 8, 779-782, 1997), NMDA 수용체(Cell 87, 1327-1338, 1996), CREB(Cell, 103, 595-608, 2000) 등의 인자들이 기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치매 질환이 콜린성 신경계의 기능저하 및 인지기능의 손상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뇌에서 아세틸콜린의 분해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AchE)의 활성을 억제하여 아세틸콜린의 농도를 유지하여 인지기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치료제인 타크린(tacrin, 제품명; 코그넥스캅셀)과 도네페질(donepezil, 제품명; 아리셉트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타크린(tacrin)은 간독성, 현훈, 운동실조, 불면, 위장관 장애, 착란, 혈압이상, 식욕부진, 열감 또는 신경과민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도네페질(donepezil)은 근육 경련, 피로감, 불면증, 어지러움 등의 정신신경계의 장애와 수지진전, 운동장애 등의 추체외로장애 또는 설사, 구역, 구토 등의 소화기계의 장애가 나타난다. 또한 현재까지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병의 진행을 늦출 수 있는 방법도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지, 위에 언급한 약물들을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키는 정도의 치료제가 있을 뿐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기억능력증진 효능을 지녀, 치매와 같은 기억 능력 증진이 필요한 질병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최적의 조성비로 5-HMF, 파에오니플로닌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의 경우, 우수한 기억능력 증진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5-HMF(5-hydroxymethyl furfural), 베타인(betaine), 및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치매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기억력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5-HMF(5-hydroxymethyl furfural), 베타인(betaine), 및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10㎍의 5-HMF(5-hydroxymethyl furfural), 250㎍ 내지 3060㎍의 베타인(betaine),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5-HMF(5-hydroxymethyl furfural)"은 알데하이드기 및 알코올 기를 모두 가진 퓨란(furan) 고리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5-HMF는 5-(히드록시메틸)-2-푸르알데하이드(5-(hydroxymethyl)-2-furaldehyde)로 명명되며,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5-HMF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에 포함되어 기억능력 증진 효능을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에서 숙지황의 지표성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베타인(Betaine)"은 수소원자를 가지지 않는 사차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phosphonium)과 같은 양이온을 띤 기 및; 카복실산과 같은 음이온을 띤 기를 모두 포함하는 중성 화합물을 의미한다. 상기 베타인은 예컨대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본 발명에서 상기 베타인은 기억 손상을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에서 구기자의 지표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은 C23H28O11의 분자식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파에오니아 모우탄(Paeonia moutan), 파에오니 루트(Paeony root) 또는 페오니플로린(Peoniflorin)으로도 명명된다. 상기 파에오니플로린은 하기 화학식 3과 같은 구조를 가진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본 발명에서 상기 파에오니플로린은 기억 손상을 억제하는 약리효과를 가지는 화합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에서 목단피의 지표 성분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각각 50㎍ 내지 610㎍, 250㎍ 내지 3060㎍, 및 60㎍ 내지 2600㎍의 양으로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기억능력증진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파에오놀(paeonol), 벤조일파에오니플로린, 로가닌,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tetracyclic triterpenoid), 파키믹산(pachymic acid), 다이오스제닌 및 알란토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에오놀(paeonol)"은, 페놀계 화합물로서, 1-(2-히드록시-4-메톡시페닐)에타논(1-(2-hydroxy-4-methoxyphenyl)ethanone)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파에오놀은 대뇌 피질의 시토크롬 옥시다아제(cortical cytochrome oxidase)의 수준을 높이며 알츠하이머 병의 랫트 모델에서 행동 면에서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즉 기억능력증진 효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벤조일파에오니플로린(benzoylpaeoniflorin)"은, C30H32O12의 분자식을 가지며, 하기 화학식 4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본 발명에서 용어, "로가닌(loganin)"은 C17H26O10의 분자식을 가지는 화합물로서, 로가노사이드(loganoside), methyl (1S,4aS,6S,7R,7aS)-6-hydroxy-7-methyl-1-{[(2S,3R,4S,5S,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1H,4aH,5H,6H,7H,7aH-cyclopenta[c]pyran-4-carboxylate로도 불리운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는 (1S,3R,4aS,8S,8aS)-8-(beta-D-Glucopyranosyloxy)-4,4a,8,8a-tetrahydro-3-hydroxy-1-methyl-1H,3H-pyrano[3,4-c]pyran-5-carboxylic acid methyl ester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tetracyclic triterpenoid)"는 이소프렌(isoprene, C5H8)이 6개 달려있는 구조의 트리테르펜(triterpene)으로 형성된 6각 모양의 링 3개 및 5각형 모양의 링 1개를 가지는 테트라사이클릭 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의미하며, 대표적인 예로서 인삼 사포닌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어, 기억능력 증진에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은 택사 등에 포함되어 있으며, 택사에 포함되어 있는 테트라사이클릭 트리테르페노이드계 화합물로는 alisol A, Alisol B, Alisol C 및 alisol A monoacetate, Alisol B 23-acetate 및 alisol C 23-acetate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파키믹산(pachymic acid)"은 트리테르펜 화합물의 일종으로서, (3b,16a)-3-(Acetyloxy)-16-hydroxy-24-methylenelanost-8-en-21-oic acid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다이오스제닌"은 (3β,25R)-spirost-5-en-3-ol로도 명명되는, 스테로이드 사포닌의 한 종류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알란토인"은 (2,5-Dioxo-4-imidazolidinyl) urea로 명명되는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은 혼합 생약 추출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혼합 생약 추출물"은 식물과 같은 천연물들을 혼합한 다음,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의 형태이거나 천연물 각각을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들을 서로 혼합한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에서 상기 추출물을 추출하는 용매의 종류는 상기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도록 추출한다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인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상기 양으로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조성물은 구체적으로는,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및 구기자(Lycium chinense)의 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기자, 목단피, 산약(Dioscorea rhizome),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복령(Poria cocos), 숙지황 및 택사(Alisma rhizome)의 혼합 생약 추출물로서,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각각 50㎍ 내지 610㎍, 250㎍ 내지 3060㎍, 및 60㎍ 내지 2600㎍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제조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상기 양으로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도록 구성 생약에 대한 개별적인 추출물(생약 건조엑스)을 배합하여 제조하거나, 원료 생약에 대한 성분 분석을 수행한 다음, 이를 토대로 활성 분획의 지표 물질 성분 함량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생약을 혼합한 상태로 추출하여 제조한, 혼합 생약 추출물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숙지황(Rehmannia glutinosa)"은 지황의 뿌리를 쪄서 말린 한약재이다. 지황은 현삼과에 딸린 여러해살이 약용식물로 그 뿌리가 한방에서 약재로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는 작약과의 모란의 뿌리껍질로 만든 약재를 말한다. 상기 목단피는 진통, 진정, 해열, 항경련작용, 항염증작용, 혈전형성 억제 등의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의 열매를 의미한다. 구기자는 보통 달걀모양이나 긴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상기 구기자는 강장제, 해열제로 쓰이며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산약(Dioscorea rhizome)"은, 마과(科: Dioscoreaceae)에 속한 디오스코레아 바타타스(Dioscorea batatas(=Dioscorea opposita)), 디오스코레아 오포시타(Dioscorea opposite), 디오스코레아 자포니카(Dioscorea japonica), 디오스코레아 테누이페스(Dioscorea tenuipes)의 뿌리 줄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복령(Poria cocos)"은 소나무 뿌리에 외생균근이 공생하여 생긴 것을 말한다. 상기 복령은 구체적으로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잔나비걸상과의 복령(Poria cocos Wolf)의 균핵으로, 바깥 층을 거의 제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산수유나무의 열매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택사(Alisma rhizome)"는 질경이 택사(Alisma orientale Juzepczuk)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Alismataceae)의 덩이 뿌리줄기를 말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10㎍의 5-HMF, 250㎍ 내지 3060㎍의 베타인,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억능력증진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여, 상기 양으로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억능력 증진용 조성물, 나아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기억"은 경험의 결과나 주위환경으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다시 끄집어내어 회상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생약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기억능력증진 효과를 가져오며, 이러한 기억능력증진 효과는 치매와 같인 기억력이 감퇴한 질환에 대하여 기억 증진 효과를 가져와 기억력 감퇴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기억능력증진은 치매와 같은 기억력 감퇴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치매"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뇌기능이 손상되어 인지 기능 등이 저하된 병적 상태를 의미하므로, 기억능력증진 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예방"은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기억능력 장애 질환을 억제하거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치료"는 상기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기억능력 장애 질환에 의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투여"란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우 또는 비 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강, 직장, 국소, 정맥 내, 복강 내, 근육 내, 동맥 내, 경피, 비측 내, 흡입 또는 피 내 경로를 통하여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개체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기억 장애 질환의 종류,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다양한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5-HMF를 포함하는 숙지황,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목단피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구기자를 이용하여, 숙지황, 목단피 및 구기자 건조 엑스를 각각 제조하였고, 이를 50㎍ 내지 610㎍의 5-HMF, 250㎍ 내지 3060㎍의 베타인,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도록 배합한 조성물이 우수한 기억력 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여, 상기 양으로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기억능력 증진용 조성물, 나아가 치매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1 내지 3).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610㎍의 5-HMF, 250㎍ 내지 3060㎍의 베타인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화합물,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고,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동물을 위한 사료로 이용되는 식품을 포함한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공지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 과립, 분말, 캅셀, 액상의 용액 및 환 등의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구기자, 숙지황 및 목단피 생약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동결건조된 생약을, 50㎍ 내지 610㎍의 5-HMF, 250㎍ 내지 3060㎍의 베타인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을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a) 단계는 구기자, 숙지황 및 목단피 생약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a) 단계는 구기자, 숙지황 및 목단피 외에도 산약, 산수유, 복령 및 택사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생약 추출물을 감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약 추출물은 구기자, 숙지황 및 목단피를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극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용출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추출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기자는 베타인을, 숙지황은 5-HMF를, 목단피는 파에오니플로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므로, 본 발명의 방법의 (b) 단계에서는 구기자, 숙지황 및 목단피 추출물을 이용하여 5-HMF, 베타인 및 파에오니플로린을 각각 50㎍ 내지 610㎍, 250㎍ 내지 3060㎍ 및 60㎍ 내지 2600㎍의 양으로 포함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숙지황, 목단피 및 구기자 각각의 추출물(생약 건조엑스)을 배합하여 제조하거나, 원료 생약에 대한 성분 분석을 수행한 다음, 이를 토대로 활성 분획의 지표 물질 성분 함량이 일정하게 나오도록 생약을 혼합한 상태로 추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치매 의심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매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 및 치매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치료 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약학적 유효량으로 치매 의심 개체 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개체는 개, 소, 말, 토끼, 마우스, 래트, 닭 또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 전체를 의미하나, 상기 예에 의해 본 발명의 포유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비 경구, 피하, 복강 내, 폐 내, 및 비강 내로 투여될 수 있고, 국부적 치료를 위해, 필요하다면 병변 내 투여를 포함하는 적합한 방법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 경구 주입에는 근육 내, 정맥 내, 동맥 내, 복강 내 또는 피하투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개체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기억능력 증진 활성을 가지고 있어, 치매 또는 알쯔하이머와 같은 기억능력 장애 질한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생약 추출물 건조엑스의 제조
<제조예 1> 구기자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구기자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367.6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211.8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목단피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목단피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373.1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183.7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산약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산약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149.0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73.3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산수유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산수유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270.2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180.1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령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산수유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980.3g을 얻었다.
<제조예 6> 숙지황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숙지황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857.7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403.6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예 7> 택사 건조엑스의 제조
생약을 정선하여 대한약전 통칙[절도 및 분말도] 항목에 따라 조절로 한 택사 1kg에 정제수를 5 내지 10배 부피로 넣고, 90 내지 110℃에서 2 내지 3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한 액을 저온(40 내지 45℃) 감압 농축하여 건조한 다음 건조엑스 약 247.5g을 얻은 후 옥수수전분(USP) 약 165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 내지 7의 생약 추출물 건조엑스의 치매치료 약리효과 평가: in vitro β-Amyloid Peptide 응집 저해능 평가
ThT는 미스폴드(misfold)된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어서 in vitro 또는 in vivo에서 알츠하이머 환자의 뇌에 존재하는 베타-아밀로이드(b-Amyloid)와 같은 물질을 검출할 수 있다. ThT의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in vitro상에서 시험물질의 베타-아밀로이드 응집(b-Amyloid Aggregation)에 대한 억제능을 평가하여(응집 정도 확인), 치매치료에 대한 약리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15 (2007) 6599-6607, J. Med. Chem. 2005, 48, 7223-7233, Biochemical Pharmacology 65 (2003) 407-416).
커큐민(curcumin)은 울금 Curcuma longa L.(생강과 Zingiberaceae)의 주성분으로, 인도인의 주식인 커리에 많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도인의 경우, 알쯔하이머병의 발병률이 미국인에 비하여 4.4배 낮은 것(70-79세 노인 기준)으로 알려져 있으며(Arch. Neurol. 2000;57:824-830), 이러한 점은 커큐민의 알쯔하이머병 예방 및 치료효과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커큐민을 아밀로이드가 축적된 유전자도입(transgenic) 생쥐에 경동맥 주사하면 커큐민은 혈뇌장벽을 통과하여 플라크에 결합하며, 유전자도입 생쥐에 커큐민을 먹였을 때 아밀로이드 수준과 플라크 양을 감소시키는 내용이 보고된바 있다(J. Biol. Chem. 2005;18:5892-5901).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양성대조군으로 커큐민을 DMSO(Dimethyl sulfoxide)에 용해하여 0.3mg/mL의 농도가 되도록 조제한 다음, 다시 0.215M 인산 나트륨 완충액(sodium phosphate buffer)에 100배 희석하여 문헌상의 대조물질의 IC50를 토대로 최종농도가 0.3mg/mL가 되도록 한 다음,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 내지 7 각각의 물질을 DMSO에 용해하여 500 mg/mL로 조제한 다음, 0.215M 인산 나트륨 완충액에 40mg/mL로 희석한 후, 반응을 위한 최종농도가 10mg/mL가 되도록 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았다.
제조예 1 내지 7의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 1-42(β- Amyloid Peptide 1-42) 응집 저해 효과 평가 결과
시료 Inhibition of β-Amyloid Peptide 1-42 aggregation(%)
제조예 1 65.23
제조예 2 63.03
제조예 3 22.56
제조예 4 23.60
제조예 5 24.80
제조예 6 62.78
제조예 7 23.94
상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구기자), 2(목단피) 및 6(숙지황)의 추출물 각각은 제조예 3(산약), 4(산수유), 5(복령), 7(택사)의 추출물에 비해 월등한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 응집 억제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효과를 보인 상기 3 가지 생약(구기자, 목단피 및 숙지황)으로부터 최적의 활성 성분의 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2: 지표물질 정량
상기 실시예 1에서 월등한 베타-아밀로이드 펩타이드 응집 억제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된 제조예 1, 2 및 6에 대하여, 각 제조예에 포함된 5-HMF(5-hydroxymethyl furfural), 파에오니플로린, 베타인의 지표물질을 대상으로 정량화 하였고, 이의 구체적인 과정은 하기와 같았다.
<실시예 2-1> 5-HMF 정량시험
제조예 6(숙지황 건조엑스)에서 제조한 약 1.0g이상을 정밀히 달아 비이커에 넣고 메탄올 10ml을 가해 충분히 용해시킨 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상등액을 syringe membrane filter(nylon, 0.45 ㎛, 직경 25 ㎜)로 2회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5-HMF 표준액은 5-HMF(C6H6O3:MW126)표준품 약 1.0mg을 정밀히 달아 메탄올 10ml에 녹여 2배씩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표준액 농도는 6.250㎕, 12.50㎕, 25.00㎕, 50.00㎕ 및 100㎕로 조제하였다. 제조예 6의 검액과 5-HMF 표준액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실험조건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제조예 6의 5-HMF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검 출 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84 nm)
컬 럼 RP C18 (4.6㎜ x 250㎜)
유 속 1.0 ㎖/분
이 동 상 A 용매 - 아세토니트릴/ B 용매 - 물
제조예 6의 5-HMF 함량 측정 결과
성분 제조예6의 1g당 함량
5-HMF 0.633mg
<실시예 2-2> 파에오니플로린 정량시험
제조예 2(목단피 건조엑스)에서 제조한 약 1.0g이상을 정밀히 달아 비이커에 넣고 메탄올 10ml을 가해 충분히 용해시킨 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상등액을 syringe membrane filter(nylon, 0.45 ㎛, 직경 25 ㎜)로 2회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파에오니플로린 표준액은 파에오니플로린(C23H28O11:MW480.47)표준품 약 1.0mg을 정밀히 달아 메탄올 10ml에 녹여 2배씩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표준액 농도는 12.50㎕, 25.00㎕, 50.00㎕, 100㎕ 및 200㎕로 조제하였다. 제조예 2의 검액과 파에오니플로린 표준액을 다음 실험조건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제조예 2의 파에오니플로린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검 출 기 자외부흡광광도계 (측정파장 230 nm)
컬 럼 RP C18 (4.6㎜ x 250㎜)
유 속 1.0 ㎖/분
이 동 상 A 용매 - 아세토니트릴/ B 용매 - 물
제조예 2의 파에오니플로린 함량 측정 결과
성분 제조예 2의 1g 당 함량
파에오니플로린 12.986mg
<실시예 2-3> 구기자 베타인 함량 평가
제조예 1(구기자 건조엑스)에서 제조한 약 1.0g이상을 정밀히 달아 비이커에 넣고 메탄올 10ml을 가해 충분히 용해시킨 후, 30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를 하고 상등액을 syringe membrane filter(nylon, 0.45 ㎛, 직경 25 ㎜)로 2회 여과하여 검액으로 하였다. 베타인 표준액은 베타인(C5H11O2N:MW121)표준품 약 1.0mg을 정밀히 달아 메탄올 10ml에 녹여 2배씩 희석하여 표준액으로 한다. 표준액 농도는 12.50㎕, 25.00㎕, 50.00㎕, 100㎕ 및 200㎕로 조제하였다. 제조예 1의 검액과 베타인 표준액을 하기 표의 실험조건에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법에 따라 시험하여 제조예 1의 베타인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검 출 기 ELSD
컬 럼 HILIC (2.1㎜ x 100㎜)
유 속 1.0 ㎖/분
이 동 상 A 용매 - 아세토니트릴/ B 용매 - 10mM 포름산암모늄 물(pH 3.0)
제조예 1의 베타인 함량 측정 결과
성분 제조예1 1g 당 함량
베타인(betaine) 3.187mg
실시예 3: 지표 물질의 치매치료 약리 효과 평가: Y-Maze Test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7종 추출물(제조예 1 내지 7)의 배합비에 따른 스코폴라민으로 유도된 기억력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문헌에 기재된 방법을 응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649 (2010) 210-217,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8 (2010) 1671-1676, Behav Pharmacol. 2007 September ; 18(5-6): 347-363).
스코폴라민은 아세틸콜린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여 기억력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투여 당일 하기 표에 나타낸 조합 A 내지 L과 같이 시험물질을 구성하여 행동 관찰 개시 1시간 30분 전에 0.5%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에 희석하여 경구 투여하였고, 스코폴라민(S1875, Sigma-Aldrich Co., 미국)을 살린(saline)에 1mg/kg/5mL 또는 2mg/kg/5mL의 농도로 0.5% 메틸 셀룰로오스에 희석하여 시험물질을 투여한 이후, 2mg/kg의 용량으로 행동관찰 개시 1시간 전에 복강 투여하여 기억력 손상을 유발하여 Y-미로 실험(Y-maze test)을 실시하였다.
Y-미로 실험 장치는 동일한 3개의 Arm(가로 6cm, 세로 28cm, 높이 18cm)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서로 120°의 일정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으며, 3개의 arm을 시험자가 임의로 A, B, C로 지정하였다. 마우스를 한쪽 Arm 끝에 위치시킨 다음에 머리가 벽 쪽으로 향하도록 집어넣고, 8분 동안 자유롭게 Y미로를 돌아다니도록 하였다. 각 arm에 들어간 횟수 및 순서를 측정하여 spontaneous alteration(%)을 평가하였으며, 매 행동 관찰 사이마다 Y-maze를 70% 알코올과 증류수로 닦아주었다. alteration은 3개의 arm을 순차적으로 들어가는 경우, 즉 ABC, BCA, CAB 등으로 정의하였다. 따라서 % alteration은 하기 수학식 1로 계산하였으며, entering 기준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설정하였다.
- Y-maze arm entering 기준 1: 마우스의 4발이 각 arm의 1/5이 되는 위치를 통과하였을 때
- Y-maze arm entering 기준 2: 마우스의 4발이 각 arm의 시작 부위를 통과하였을 때
- 수학식: Alternation score (%) = number of alternation / (total arm entries-2) *100
제조예 1 내지 7에서 제조한 건조엑스를 본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으로 조합 A 내지 L까지 투여하여 Y-maze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조합의 정보 및 활성 결과는 하기 표와 같았다.
Y-maze 실험 회차별 정보 (단위: mg)
분류 조합 A 조합 B 조합 C
제조예 1
(전체 추출물 중 베타인의 함량)
120
(382.5㎍)
480
(1530.0㎍)
960
(3060.0㎍)
제조예 2
(전체 추출물 중 파에오니플로린의 함량)
20
(259.7㎍)
20
(259.7㎍)
20
(259.7㎍)
제조예 6
(전체 추출물 중 5-HMF의 함량)
120
(75.9㎍)
120
(75.9㎍)
120
(75.9㎍)
제조예 3 80 80 80
제조예 4 80 80 80
제조예 5 40 40 40
제조예 7 40 40 40
최종량 500 860 1340
Y-Maze 활성 평가 결과
시험농도(mg/kg) Alternation score(%)
(mean% ± SD)
0.5% MC
Saline
-
-
65.7±6.85
0.5% MC
Scopolamine
-
2
48.8±7.83
조합 A
Scopolamine
500
2
56.2±7.70
조합 B
Scopolamine
860
2
59.2±8.45
조합 C
Scopolamine
1,340
2
60.1±9.53
Y-maze 실험 회차별 정보 (단위:mg)
분류 조합 D 조합 E
제조예 1
(전체 추출물 중 베타인의 함량)
120
(382.5㎍)
120
(382.5㎍)
제조예 2
(전체 추출물 중 파에오니플로린의 함량)
20
(259.8㎍)
20
(259.8㎍)
제조예 6
(전체 추출물 중 5-HMF의 함량)
480
(303.9㎍)
960
(607.6㎍)
제조예 3 80 80
제조예 4 80 80
제조예 5 40 40
제조예 7 40 40
최종량 620 1100
Y-Maze 활성 평가 결과
시험농도(mg/kg) Alternation score(%)
(mean% ± SD)
0.5% MC
Saline
-
-
66.8±8.34
0.5% MC
Scopolamine
-
2
49.9±6.89
조합 D
Scopolamine
860
2
59.3±7.44
조합 E
Scopolamine
1,340
2
60.7±6.91
Y-maze 실험 회차별 정보 (단위: mg)
분류 조합 F 조합G 조합H
제조예 1
(전체 추출물 중 베타인의 함량)
120
(382.5㎍)
120
(382.5㎍)
120
(382.5㎍)
제조예 2
(전체 추출물 중 파에오니플로린의 함량)
100
(1298.6㎍)
200
(2597.3㎍)
5
(64.9㎍)
제조예 6
(전체 추출물 중 5-HMF의 함량)
120
(75.9㎍)
120
(75.9㎍)
120
(75.9㎍)
제조예 3 80 80 80
제조예 4 80 80 80
제조예 5 40 40 40
제조예 7 40 40 40
최종량 580 680 485
Y-Maze 활성 평가 결과
시험농도(mg/kg) Alternation score(%)
(mean% ±SD)
0.5% MC
Saline
-
-
69.2±4.34
0.5% MC
Scopolamine
-
2
51.2±4.72
조합 F
Scopolamine
580
2
56.8±5.95
조합 G
Scopolamine
680
2
57.4±5.12
조합 H
Scopolamine
460
2
52.8±7.22
Y-maze 실험 회차별 정보 (단위: mg)
분류 조합 I 조합 J 조합 K
제조예 1
(전체 추출물 중 베타인의 함량)
80
( 255 ㎍)
120
( 382.5 ㎍)
160
( 510.0 ㎍)
제조예 2
(전체 추출물 중 파에오니플로린의 함량)
20
(259.7 ㎍)
20
(259.7 ㎍)
40
( 519.0 ㎍)
제조예 6
(전체 추출물 중 5-HMF의 함량)
120
(75.9 ㎍)
80
(50.6 ㎍)
160
(101.3 ㎍)
제조예 3 80 80 80
제조예 4 80 80 80
제조예 5 40 40 40
제조예 7 40 40 40
최종량 460 460 600
Y-Maze 활성 평가 결과
시험농도(mg/kg) Alternation score(%)
(mean% ±SD)
0.5% MC
Saline
-
-
60.7±7.55
0.5% MC
Scopolamine
-
2
46.3±8.32
조합 I
Scopolamine
460
2
53.6±8.10
조합 J
Scopolamine
460
2
54.15±11.12
조합 K
Scopolamine
600
2
55.03±7.12
각 조합별 5-HMF, 파에오니플로린, 베타인의 함량분석결과
Betaine(㎍) Paeoniflorin(㎍) 5-HMF(㎍)
조합 A 382.5 259.7 75.9
조합 B 1530.0 259.7 75.9
조합 C 3060.0 259.7 75.9
조합 D 382.5 259.7 303.9
조합 E 382.5 259.7 607.8
조합 F 382.5 1298.6 75.9
조합 G 382.5 2597.3 75.9
조합 H 255 259.7 75.9
조합 I 382.5 259.7 50.6
조합 J 382.5 64.9 75.9
조합 K 510.0 519.4 101.3
상기와 같은 결과는,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전체 추출물 중 5-HMF 50㎍ 내지 610㎍, 베타인 250㎍ 내지 3060㎍, 및 파에오니플로린 60㎍ 내지 2600㎍의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우수한 기억 능력 증진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조성물 총 중량에서 50㎍ 내지 610㎍의 5-HMF(5-hydroxymethyl furfural), 250㎍ 내지 3060㎍의 베타인(betaine),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혼합 생약 추출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및 구기자(Lycium chinense)의 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구기자(Lycium chinense),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산약(Dioscorea rhizome), 산수유(Cornus officinalis), 복령(Poria cocos),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및 택사(Alisma rhizome)의 각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형태인 것인 조성물.
  5. 조성물 총 중량에서 50㎍ 내지 610㎍의 5-HMF(5-hydroxymethyl furfural), 250㎍ 내지 3060㎍의 베타인(betaine),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는, 기억능력증진용 식품 조성물.
  6. (a)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구기자(Lycium chinense M), 숙지황(Rehmannia glutinosa L) 및 목단피(Paeonia suffruticosa A) 생약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동결건조된 생약을, 50㎍ 내지 610㎍의 5-HMF(5-hydroxymethyl furfural), 250㎍ 내지 3060㎍의 베타인(betaine) 및 60㎍ 내지 2600㎍의 파에오니플로린(paeoniflorin)을 포함하도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산약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복령 추출물 및 택사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제조방법.
KR1020150009330A 2015-01-20 2015-01-20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201600899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30A KR20160089930A (ko) 2015-01-20 2015-01-20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9330A KR20160089930A (ko) 2015-01-20 2015-01-20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8719A Division KR20170102446A (ko) 2017-08-28 2017-08-28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930A true KR20160089930A (ko) 2016-07-29

Family

ID=56617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30A KR20160089930A (ko) 2015-01-20 2015-01-20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93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93A1 (ko) 2021-07-21 2023-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82757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메디포럼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193A1 (ko) 2021-07-21 2023-01-26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페오니플로린을 포함하는 악액질 및 근손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82757A1 (ko) * 2022-03-22 2023-09-28 주식회사 메디포럼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688B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근위축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10946053B2 (en) Composition containing mixed extract of mulberry and Poria cocos bark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US2021012865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oria cocos peel extract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KR10134169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퇴행성 신경질환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BR112017005416B1 (pt) composição farmacológica para uso em medicamento para tratar ou prevenir doenças neurológicas degenerativas contendo como ingrediente ativo extrato de mistura de casca da raiz de peônia da montanha, raiz de angelica dahurica e raiz de bupleurum ou fragmentos dos mesmos
KR102018221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강황 추출물, 녹차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및 백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089930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20120045591A (ko) 대황을 포함한 생약조합 추출물을 함유한 인지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732483B1 (ko) 연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말초신경병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0909B1 (ko) 뇌 신경 세포 보호물질을 포함하는 질경이 추출물을포함하는 조성물
KR101072662B1 (ko) 복신 건조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건망증 및 기억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032494A (ko) 대황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피시온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조성물
KR20170102446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KR20220027125A (ko) 5-hmf, 파에오니플로린 및 베타인을 포함하는 기억 능력 증진용 조성물
CN113813310A (zh) 一种防治脑部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80088163A (ko) 호장근 분획물을 함유하는 신경 보호용 약학적 조성물
CN107106621B (zh) 包含大花马齿苋提取物或其馏分作为活性成分用于预防或治疗神经炎症或者神经退行性疾病的药物组合物
KR20150124108A (ko) 울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및 약학 조성물
KR102655708B1 (ko) 골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2480B1 (ko) 반지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991398B1 (ko) 쇠꼬리산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조성물
KR101068561B1 (ko) 퇴행성 뇌신경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계지, 지모 및 양강의 생약 혼합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60033280A (ko) 고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츠하이머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41647A (ko) 백작약 추출물 및 그의 지표성분을 포함하는 기억력 및 인지기능 장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32222A (ko) 참당귀 추출물 및 타라곤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