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114B1 -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 Google Patents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114B1
KR101071114B1 KR1020110060066A KR20110060066A KR101071114B1 KR 101071114 B1 KR101071114 B1 KR 101071114B1 KR 1020110060066 A KR1020110060066 A KR 1020110060066A KR 20110060066 A KR20110060066 A KR 20110060066A KR 101071114 B1 KR101071114 B1 KR 101071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bent
shape
low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석곡
Original Assignee
한국목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목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목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0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1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 E05D15/0665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pported at the bottom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12Metal frames
    • E06B1/14Metal frames of special cross-section not used
    • E06B1/16Hollow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4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6Form or shape
    • E05Y2800/266Form or shape curv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5Manufacturing
    • E05Y2800/455Extru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74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67Materials; Strength alteration thereof
    • E05Y2800/682Strength alteration by reinforcing, e.g. by applying ri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5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및 압출 성형한 프레임과;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되어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문짝 하부 삽입홈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문짝의 저부에 설치된 호차가 원활히 구름운동 되도록 하는 구름대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은 프레임의 문짝 하부 삽입홈의 천정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고 양 날개는 프레임의 저단부에 절곡 형성된 받침판의 상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어 프레임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프레임 자체를 포함한 구름대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 보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구름대와 프레임 및 굽힘 보강판을 통해 3중으로 보강시킬 수 있어 문짝의 하중에 의해 하부레일 자체의 수직/수평방향 변형 및 처짐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대에서 발생되는 가로막힘 저항에 의한 문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하부레일과 문틀재의 분해 결합이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문틀재의 저부에 설치되던 별도의 충진재가 필요 없어 출입 문틀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Lower rail for sliding type entrance door with bended enforcement structure}
본 발명은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교의 교실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문틀 중 하부레일의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로 절곡 및 압출 형성하고, 호차 구름대 자체는 프레임과 별도로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하여 스폿트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하되, 프레임의 하부에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호 형상을 갖는 굽힘 보강판을 스폿트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하고, 또한 문틀의 양쪽 문틀재는 프레임의 양단부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문짝의 하중에 의해 하부레일 자체의 수평 및 수직방향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가로막힘 저항에 의한 문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내부 도어는 그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문과 여닫이문으로 구분된다. 미닫이문은 도어가 상·하부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며, 여닫이문은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미닫이문의 경우에는 이중의 벽체 사이에 포켓을 형성하여 도어가 출입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미적으로도 잘 처리할 수 있는 소위 '포켓식' 문틀 구조가 사용되기도 한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 자체를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로 절곡 및 압출 성형하되, 호차(210) 구름대(201)가 "△"형상을 갖고 프레임(200)에 일체로 절곡 성형된 구조를 갖고 있고, 또한 속이 빈 형태를 갖는 프레임(200)의 내부 공간부에는 모르타르 또는 목재로 된 충진재(220)가 삽입된 형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충진재(220)를 프레임(200) 가장자리 양쪽으로 돌출시켜 수직으로 설치되는 문틀재(230)와 직각으로 못 또는 나사(240)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구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내부로 절곡된 양쪽 단부(A)가 끊어져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200)과 모르타르 또는 충진재(220) 사이의 일부에 빈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어 레일에 수직하중이 가해질 경우 프레임(200)의 양 측면(즉, B 부분)이 펼쳐지는 변형이 발생되고, 또 프레임(200)의 내부에 삽입하는 모르타르 또는 충진재(220)가 프레임(200)과 일체화되지 않아 수직하중에 대한 보강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됨은 물론 종단면이 "△" 형상을 갖는 구름대(201)의 측면(C 부분)은 문짝(250) 등으로부터 하중이 가하질 때 "Ω" 형상의 레일 홈이 구비된 호차(210)에 대한 미끄럼대 역할을 하여 쉽게 문짝 자체가 구름대(201)로부터 이탈하는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학교의 교실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문틀 중 하부레일의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로 절곡 및 압출 성형하고, 호차 구름대 자체는 프레임과 별도로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하여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프레임의 하부에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호 형상을 갖는 굽힘 보강판을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문짝의 하중에 의해 하부레일 자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 변형 및 처짐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대에서 발생되는 가로막힘 저항에 의한 문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문틀의 양쪽 문틀재는 프레임의 양단부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레일과 문틀재의 분해 결합이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별도의 충진재가 필요 없어 출입 문틀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1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및 압출 성형한 프레임과;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되어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문짝 하부 삽입홈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문짝의 저부에 설치된 호차가 원활히 구름운동 되도록 하는 구름대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은 프레임의 문짝 하부 삽입홈의 천정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고 양 날개는 프레임의 저단부에 절곡 형성된 받침판의 상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어 프레임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프레임 자체를 포함한 구름대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 보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굽힘 보강판은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2
" 형상 또는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3
"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4
" 형상 또는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5
"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상기 굽힘 보강판에 있어서 프레임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주는 부분은, 상면과 양측 날개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 중심선과 양측 날개 사이에 호형으로 절곡 형성된 완충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름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성형된 "L" 자형 레일은 상부 굽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속이 꽉 찬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6
" 형상의 종단면을 갖거나 또는 종단면 자체가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7
" 형상을 갖도록 2단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는 문틀재의 저부까지 연장 형성함은 물론 프레임의 앙단부 상면에는 종단면이 "L"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을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수개의 고정구 통과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에 의하면, 학교의 교실 출입구 등에 설치되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문틀 중 하부레일의 프레임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 등과 같은 금속 판재로 절곡 및 압출 성형하고, 호차 구름대 자체는 프레임과 별도로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하여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에 고정 설치하되, 프레임의 하부에는 종단면이 사다리꼴 또는 호 형상을 갖는 굽힘 보강판을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 설치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구름대와 프레임 및 굽힘 보강판을 통해 3중으로 보강시킬 수 있어 문짝의 하중에 의해 하부레일 자체의 수직 및 수평방향 변형 및 처짐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름대에서 발생되는 가로막힘 저항에 의한 문짝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문틀의 양쪽 문틀재는 프레임의 양단부에 상면에 브라켓과 고정구들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레일과 문틀재의 분해 결합이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문틀재의 저부에 설치되던 별도의 충진재가 필요 없어 출입 문틀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3의 (a)(b)는 본 발명 중 일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일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결합 상태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레일이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의 일부 확대 정 단면도.
도 6의 (a)(b)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분해 사시도.
도 7의 (a)(b)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결합 상태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a)(b)는 본 발명 중 일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의 (a)(b)는 본 발명 중 일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결합 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하부레일이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의 일부 확대 정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6의 (a)(b)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의 (a)(b)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 예의 구름대가 적용된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의 결합 상태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미닫이식 출입문 하부레일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8
" 형상을 갖도록 절곡 압출 성형한 프레임(1)과;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되어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1)의 상면에 형성된 문짝 하부 삽입홈(11)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문짝(4)의 저부에 설치된 호차(5)가 원활히 구름운동 되도록 하는 구름대(2)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프레임(1)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은 프레임(1)의 문짝 하부 삽입홈(11)의 천정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고 양 날개(31)는 프레임(1)의 저단부에 절곡 형성된 받침판(12)의 상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어 프레임(1)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프레임(1) 자체를 포함한 구름대(2)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 보강판(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굽힘 보강판(3)은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09
" 형상 또는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0
"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1
" 형상 또는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2
"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상기 굽힘 보강판(3)에 있어서, 프레임(1)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주는 역할을 부분은, 상면과 양측 날개(3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 중심선과 양측 날개(31) 사이에 호형으로 절곡 형성된 완충판(32)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름대(2)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성형된 "L" 자형 레일(21)은 상부 굽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속이 꽉 찬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3
" 형상의 종단면을 갖거나 또는 종단면 자체가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4
" 형상을 갖도록 2단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프레임(1)의 양단부는 문틀재(6)의 저부까지 연장 형성함은 물론 프레임(1)의 앙단부 상면에는 종단면이 "L"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7)을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8)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수개의 고정구 통과공(1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은 프레임(1)과 구름대(2) 및 굽힘 보강판(3)으로 형성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상면에서 중심선을 따라서는 문짝 하부 삽입홈(11)이 형성되고 저단부 양측에는 받침판(12)이 일체로 절곡 및 압출 성형되어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5
" 형상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된 하부레일 프레임(1)에는 구름대(2)가 구비되지 않은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구름대(2)는 종래와 달리 프레임(1)에 일체로 성형하지 않고 프레임과 별도로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하여, 스폿트 용접(도면상에 X로 표기함)을 통해 상기 프레임(1)의 상면에 형성된 문짝 하부 삽입홈(11)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방식을 통해 "∩" 형상의 레일 삽입홈이 구비된 상태에서 문짝(4)의 저부에 설치된 호차(5)가 원활히 구름운동 되도록 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구름대(2)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성형되는 "L" 자형 레일(21)은 도 3의 (a)(b) 및 도 4의 (a)(b)와 같이 속이 꽉 찬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6
" 형상의 종단면을 갖도록 성형하거나 또는 도 6의 (a)(b) 및 도 7의 (a)(b)와 같이 종단면 자체가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7
" 형상을 갖도록 2단으로 절곡 성형하여 줌으로써 구름대(2) 자체의 굽힘 및 휨 강도를 더욱 강하게 보강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문짝(4) 등에 의한 하중이 구름대(2)에 가해지더라도 구름대(2)의 "L" 자형 레일(21)이 휘거나 뒤틀리지 않게 되어 종래 구름대(2)에서 발생되던 가로막힘 저항에 의한 문짝(4)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가장 주요한 구성요소인 상기 굽힘 보강판(3)은 프레임(1)과 마찬가지로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굽힘 보강판(3)은 프레임(1)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면은 상기한 구름대(2)와 함께 프레임(1)의 문짝 하부 삽입홈(11)의 천정면에 스폿트 용접(도면상에 X로 표기함) 고정되고, 양 날개(31)는 프레임(1)의 저단부에 절곡 형성된 받침판(12)의 상면에 스폿트 용접(도면상에 X로 표기함) 고정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굽힘 보강판(3)은 도 3의 (a)와 도 4의 (a), 도 6의 (a) 및 도 7의 (a)와 같이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8
" 형상을 갖도록 성형하거나, 또는 도 3의 (b)와 도 4의 (b), 도 6의 (b) 및 도 7의 (b)와 같이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19
"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줌으로써 프레임(1)을 통해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굽힘 보강판(3)의 상면과 양측 날개(31)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 중심선과 양측 날개(31) 사이에 호형으로 절곡 형성된 완충판(32)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굽힘 보강판(3)에 의해 완충되어, 상기 프레임(1) 자체를 포함한 구름대(2)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이 완벽히 방지된다.
즉, 문짝(4)의 하중을 포함하여 출입문의 출입자 등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가해졌을 때 1차적으로 구름대(2)에 의해 보강되고, 2차적으로는 프레임(1) 자체에 의해 보강되며, 3차적으로는 상기 굽힘 보강판(3)을 통해 보강되므로 결국 하중에 대한 보강이 3중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되어, 문짝(4) 등의 하중에 의해 하부레일 자체가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변형되거나 처지게 되는 등의 현상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부레일을 출입문의 문틀재(6) 저부에 설치할 때 상기 프레임(1)의 양단부를 문틀재(6)의 저부까지 위치되도록 연장 형성함은 물론 프레임(1)의 앙단부 상면에는 각각 수개의 고정구 통과공(13)을 더 형성하여, 종단면이 "L"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7)을 볼트와 너트 또는 나사못과 같은 고정구(8)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문틀의 양쪽 문틀재(6)를 프레임(1)의 양단부 상면에서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7)과 고정구(8)들을 통해 직접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하부레일과 문틀재의 분해 결합이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종래 문틀재의 저부에 설치되던 별도의 충진재가 필요 없어 출입 문틀의 설치 및 교체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프레임 11 : 문짝 하부 삽입홈
12 : 받침판 13 : 고정구 통과공
2 : 구름대 21 : "L" 자형 레일
3 : 굽힘 보강판
31 : 날개 32 : 완충판
4 : 문짝
5 : 호차
6 : 문틀재
7 :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
8 : 고정구

Claims (5)

  1.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로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0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및 압출 성형한 프레임과;
    종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되어 스폿트 용접을 통해 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문짝 하부 삽입홈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된 형태를 갖고 문짝의 저부에 설치된 호차가 원활히 구름운동 되도록 하는 구름대와;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 또는 철판과 같은 금속 판재를 이용하여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면은 프레임의 문짝 하부 삽입홈의 천정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고 양 날개는 프레임의 저단부에 절곡 형성된 받침판의 상면에 스폿트 용접 고정되어 프레임 자체를 포함한 구름대가 하중에 의해 휘어지거나 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굽힘 보강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굽힘 보강판은 종단면이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1
    " 형상 또는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2
    " 형상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절곡 또는 압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굽힘 보강판에서 프레임의 수직 하방부로 가해지는 하중을 완충시켜 주는 기능은, 상면과 양측 날개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면 중심선과 양측 날개 사이에 호형으로 절곡 형성된 완충판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름대의 양단부에서 상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성형된 "L" 자형 레일은 상부 굽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속이 꽉 찬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3
    " 형상의 종단면을 갖거나 또는 종단면 자체가 "
    Figure 112011047040641-pat00024
    " 형상을 갖도록 2단으로 절곡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양단부는 문틀재의 저부까지 연장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의 앙단부 상면에는 종단면이 "L"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문틀재 고정용 브라켓을 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는 수개의 고정구 통과공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KR1020110060066A 2011-06-21 2011-06-21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KR10107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66A KR101071114B1 (ko) 2011-06-21 2011-06-21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066A KR101071114B1 (ko) 2011-06-21 2011-06-21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114B1 true KR101071114B1 (ko) 2011-10-07

Family

ID=45032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066A KR101071114B1 (ko) 2011-06-21 2011-06-21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77B1 (ko) * 2016-12-13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가이드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KR101877331B1 (ko) * 2016-12-13 2018-07-11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가이드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00Y1 (ko) 2002-04-18 2002-07-13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스틸 프레임
JP2008248621A (ja) 2007-03-30 2008-10-16 Nippon Spindle Mfg Co Ltd 引戸用走行レー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200Y1 (ko) 2002-04-18 2002-07-13 김진형 현관도어의 조립식 스텐레즈-스틸 프레임
JP2008248621A (ja) 2007-03-30 2008-10-16 Nippon Spindle Mfg Co Ltd 引戸用走行レール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577B1 (ko) * 2016-12-13 2018-07-04 주식회사 대호시스템 가이드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KR101877331B1 (ko) * 2016-12-13 2018-07-11 주식회사 유니크시스템 가이드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8669A1 (en) Sliding barn door hardware
KR100827716B1 (ko) 고정 브라켓
KR101071114B1 (ko) 굽힘 보강 구조를 갖는 미닫이식 출입문의 하부레일
KR100899787B1 (ko) 고정브래킷
JP5214180B2 (ja) 引戸装置
EP3564473B1 (en) Perimeter frame for glass doors
JP6873658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6837807B2 (ja) 間仕切パネル装置
JP2014058862A (ja) フェンス
KR101885496B1 (ko) 승강식 도어용 프로파일 및 이로 만들어진 선체용 격납고 도어
JP2624448B2 (ja) 改窓方法
JP3385569B2 (ja) 縦枠と横枠の取付構造
JP4031417B2 (ja) グレーチング装置、およびサッシ窓
KR101103152B1 (ko) 창호 시스템
KR20060106492A (ko) 도어의 슬라이딩 장치
JP2004308327A (ja) 間仕切り用上レール取付構造
JP3170569B2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当該部分に設置される手すりユニット
JP4823108B2 (ja) リフォームサッシ及びその施工方法
CN216038100U (zh) 一种高强度的电梯地坎
JP2006263380A (ja) 洗面化粧台の壁面への取付け方法
KR100700950B1 (ko) 창문용프레임
KR102228893B1 (ko) 의류용 행거
JPH101275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場出入口装置
JPH073140B2 (ja) 丸形自動ドア用のドア枠
KR101519613B1 (ko) 처짐 방지기능을 갖는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