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49B1 -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 Google Patents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049B1
KR101071049B1 KR1020090040643A KR20090040643A KR101071049B1 KR 101071049 B1 KR101071049 B1 KR 101071049B1 KR 1020090040643 A KR1020090040643 A KR 1020090040643A KR 20090040643 A KR20090040643 A KR 20090040643A KR 101071049 B1 KR101071049 B1 KR 10107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
mount housing
vibration
disc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1782A (ko
Inventor
이준근
박원기
김병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049B1/ko
Publication of KR20100121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83Adjustable supports, e.g. the mounting or the characteristics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B60K5/12Arrangement of engine supports
    • B60K5/1208Resilient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절연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수직을 이루는 3축의 진동뿐만 아니라 각 축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절연할 수 있게 구성한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절연 마운트는 일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마운트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점성오일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점성오일의 누수를 차단하는 고무몰딩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부는 상기 고무몰딩을 관통해 상기 마운트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질량관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진동절연 마운트, 질량관성부재, 마운트 하우징, 점성오일, 고무몰딩

Description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Six Degree of Freedom Vibration Isolation Mount}
본 발명은 진동절연 마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호 수직을 이루는 3축의 진동뿐만 아니라 각 축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절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엔진이 장착된 차량의 경우에 엔진의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자 엔진 마운트를 설치하고 상기 마운트에 엔진을 장착함으로써, 엔진에서 발생한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종래에 개발된 마운트로는, 1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와 3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가 있다. 1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는 종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을 차단하고, 3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는 상호 수직을 이루는 3축 방향의 진동을 차단할 뿐이며, 그 이상의 다축방향의 진동을 동시에 제어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상호 수직을 이루는 3축의 진동뿐만 아니라 각 축의 회전에 따른 진동을 절연할 수 있게 구성한 진동절연 마운트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절연 마운트는 일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마운트 하우징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 내부에 채워진 점성오일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점성오일의 누수를 차단하는 고무몰딩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부는 상기 고무몰딩을 관통해 상기 마운트 하우징 밖으로 돌출된 질량관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질량관성부재는,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원판과, 상기 원판의 양면 중심에 각각 형성된 반구체와, 상기 원판의 가장자리와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바닥에 양단이 고정된 스프링들 및, 상기 반구체에 고정되어 상기 고무몰딩을 관통해 위치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판의 직경은 상기 마운트 하우징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원판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상기 틈을 통해 상기 점성오일이 유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는 차량 내부의 시트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 하우징은 차체에 고정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는 상호 수직을 이루는 3축방향의 진동 외에도 각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진동까지 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절연 마운트를 차량의 시트에 장착하였을 경우, 엔진의 진동 및 노면의 상태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어 승차감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종방향 진동을 차단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횡방향 진동을 차단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회전진동을 차단하는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100)는 수직하게 위치하며 상부로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된 마운트 하우징(110)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 내부에 채워진 점성오일(120)과, 마운트 하우징(110)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점성오일(120)의 누수를 차단하는 고무몰딩(130)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부는 상기 고무몰딩(130)을 관통해 위치하는 질량관성부재(140)를 포함한다.
상기 질량관성부재(1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질량관성부재(140)는 원판(141)과, 상기 원판(141)의 양면 각각에 일체로 형성된 반구체(143)와, 상기 원판(141)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구멍(141h)들 및, 상기 원판(141)의 가장자리와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바닥에 양단이 고정된 스프링(145)들 및, 상기 원판(141)의 평면에 고정된 반구체(143)에 고정되어 상기 고무몰딩(130)을 관통한 지지체(147)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판(141)의 직경은 마운트 하우징(110)의 내경보다 작아 원판(141)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 사이에 틈(150)이 형성되고, 상기 틈(150)으로 점성오일(120)이 유동할 수 있으며 원판(141)이 스프링(145)의 탄성에 지지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다.
한편, 질량관성부재(140)의 지지체(147)와 마운트 하우징(110)은 엔진과 상기 엔진을 지지하는 프레임에 각각 고정될 수 있으나, 도 1에 보이듯이, 탑승자가 앉는 시트에 지지체(147)가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이 차체에 장착되어 엔진 및 노면 특성에 따른 진동이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100)에 있어서, 전달되는 진동 을 차단하는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운트 하우징(110)에 종방향(Y축)으로 전달된 진동은 질량관성부재(140)의 스프링(145)들이 탄성에 의해 신축하면서, 마운트 하우징(110)으로 전달된 진동이 질량관성부재(1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에 직각을 이루는 횡방향(X축, Z축)으로 전달된 진동은 마운트 하우징(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판(141)이 기울어지면서 일부의 스프링(145)은 수축시키고 나머지 일부의 스프링(145)은 신장시키며, 또한 원판(14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구멍(141h) 및 원판(141)과 마운트 하우징(110) 사이의 틈(150)을 통해 점성오일(120)이 유동한다. 상기 점성오일(120)은 마운트 하우징(110)의 변위에 대해 질량관성부재(140)가 급변하는 것을 점성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질량관성부재(140)가 마운트 하우징(110)의 변위에 대해 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5에 보이듯이, 종방향 및 횡방향에 대해 회전 진동이 발생할 경우에 원판(141)이 회전하면서 스프링(145)에는 토션이 작용하게 되는데, 스프링(145)의 탄성과 상기 원판(141)의 구멍(141h) 및 상기 틈(150)의 사이로 점성오일(120)이 유동하면 회전 진동의 전달을 차단한다.
한편, 질량관성부재(140)의 지지체(147)는 고무몰딩(130)을 관통해 위치하며 질량관성부재(140)의 유동에 따른 지지체(147)의 움직임을 고무몰딩(130)의 탄성으로 보상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종방향 진동을 차단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횡방향 진동을 차단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진동절연 마운트의 회전진동을 차단하는 상대적인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진동절연 마운트 110 : 마운트 하우징
120 : 점성오일 130 : 고무몰딩
140 : 질량관성부재 141 : 원판
141h : 구멍 143 : 반구체
145 : 스프링 147 : 지지체
150 : 틈

Claims (4)

  1. 일측으로 개방되고 타측은 폐쇄된 마운트 하우징(110)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내부에 채워진 점성오일(120)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점성오일(120)의 누수를 차단하는 고무몰딩(130)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일부는 상기 고무몰딩(130)을 관통해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 밖으로 돌출된 질량관성부재(140)를 포함하며,
    상기 질량관성부재(140)는,
    원주를 따라 다수 개의 구멍(141h)이 형성된 원판(141)과,
    상기 원판(141)의 양면 중심에 각각 형성된 반구체(143)와,
    상기 원판(141)의 가장자리와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바닥에 양단이 고정된 스프링(145)들 및,
    상기 반구체(143)에 고정되어 상기 고무몰딩(130)을 관통해 위치하는 지지체(14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절연 마운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141)의 직경은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의 내경보다 작아 상기 원판(141)과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 사이에 틈(150)이 형성되며, 상기 틈(150)을 통해 상기 점성오일(120)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절연 마운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147)는 차량 내부의 시트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 하우징(110)은 차체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절연 마운트.
KR1020090040643A 2009-05-11 2009-05-11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KR101071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43A KR101071049B1 (ko) 2009-05-11 2009-05-11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643A KR101071049B1 (ko) 2009-05-11 2009-05-11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82A KR20100121782A (ko) 2010-11-19
KR101071049B1 true KR101071049B1 (ko) 2011-10-06

Family

ID=43406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643A KR101071049B1 (ko) 2009-05-11 2009-05-11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0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867A (ja) * 2000-03-27 2001-10-05 Polymatech Co Ltd バネ定数可変型粘性流体封入式ダンパー
JP2001355672A (ja) * 2000-06-09 2001-12-26 Kawasaki Heavy Ind Ltd 粒子防振ダンパ
JP2003120743A (ja) 2001-10-18 2003-04-23 Polymatech Co Ltd ダンパーと被着体の配置構造及びダンパー
KR100885372B1 (ko) 2007-10-31 2009-02-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다 방향 진동 저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867A (ja) * 2000-03-27 2001-10-05 Polymatech Co Ltd バネ定数可変型粘性流体封入式ダンパー
JP2001355672A (ja) * 2000-06-09 2001-12-26 Kawasaki Heavy Ind Ltd 粒子防振ダンパ
JP2003120743A (ja) 2001-10-18 2003-04-23 Polymatech Co Ltd ダンパーと被着体の配置構造及びダンパー
KR100885372B1 (ko) 2007-10-31 2009-02-2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다 방향 진동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782A (ko) 2010-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639B2 (en) Fluid-filled cylindrical vibration-damping device
WO2016147698A1 (ja) 防振装置
JP3425429B2 (ja) エンジン−ギヤユニットのマウント
US7198257B2 (en) Fluid-filled vibration damping device
KR101071049B1 (ko) 6자유도계 진동절연 마운트
KR101089137B1 (ko) 자동차용 축방향 유체봉입형 부시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스트러트 마운트
KR102187630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그 제작방법
JP6886286B2 (ja) 防振装置
JP5280923B2 (ja) 防振装置
JP5210933B2 (ja) 液入り防振装置
KR100952775B1 (ko) 에어 댐핑 엔진 마운트
JP6513354B2 (ja) 防振装置
JP7102234B2 (ja) 防振装置
KR20210052676A (ko) 상,하부 피봇 결합식 mr 댐퍼
JP4509672B2 (ja) 粘性・流体ダンパ装置
JP2021107736A (ja) 多方向ダンパー
CN108750068B (zh) 飞行器
KR100535098B1 (ko) 엔진의 마운팅 인슐레이터
JP5758193B2 (ja) 防振装置
KR102092367B1 (ko) 다중복합 일체형 방진고무 및 엔진마운트 스프링장치
JP2010139021A (ja) 排気管用支持装置
JP2009144844A (ja) 防振装置
JP5118454B2 (ja) 液封入式防振装置
KR101896576B1 (ko) 방진 마운팅 장치용 디커플러 및 상기 디커플러를 포함하는 방진 마운팅 장치
JP2007093010A (ja) 防振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