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38B1 -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 Google Patents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538B1
KR101070538B1 KR1020097008926A KR20097008926A KR101070538B1 KR 101070538 B1 KR101070538 B1 KR 101070538B1 KR 1020097008926 A KR1020097008926 A KR 1020097008926A KR 20097008926 A KR20097008926 A KR 20097008926A KR 101070538 B1 KR101070538 B1 KR 101070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pipe
fastening jig
joint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8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815A (ko
Inventor
하루오 나카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16L59/18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 F16L59/2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adapted for joints for non-disconnectabl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the rings being integral with one of the connect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관 조인트는, 배관(p)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1)와, 조인트 본체(1)와 나사식 결합하는 결합 부재(2)와, 결합 부재(2)에 회전 토크를 전달할 때에 사용되는 체결 지그(3)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부재(2)의 외표면은, 공구로 파지할 수 없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체결 지그(3)에는, 공구에 의해 외부로부터 회전 토크가 부여된다.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체결한 후, 체결 지그(3)는 체결 부재(2)로부터 분리하진다.

Description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PIPE JOINT, REFRIGERATING DEVICE, AND HEAT PUMP WATER WARMING DEVICE}
본 발명은, 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배관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와,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한 관 조인트, 그 관 조인트를 냉매 회로에 이용한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장치나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의 냉매 배관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와,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되는 결합 부재를 구비한 관 조인트로서,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플레어 조인트나, 특허 문헌 1 또는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침투식 관 조인트 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들 관 조인트에 의하면, 스패너나 렌치 등의 공구를 이용해, 토크가 소정치에 이를 때까지 결합 부재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결합 부재의 체결이 완료된다. 그리고, 결합 부재의 체결의 완료와 더불어 배관의 접속이 종료되고, 그대로의 상태로 관 조인트가 사용된다. 이 때문에, 배관 접속 시에 이용한 공구에 의해, 누구라도 간단하게 관 조인트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떼어낼 수 있다.
종래, 냉동 장치의 냉매로서 프레온가스가 다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프레 온가스는, 대기에 방출된 경우에 오존층의 파괴나 지구 온난화 등을 일으키므로, 그 취급이 더욱 더 엄격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관 조인트에 의해 접속된 배관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없게 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일본국 특허공개 2003-74769호 공보]
[특허 문헌 2:일본국 특허공표 2004-526911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온가스 규제에 대응 가능한 관 조인트로서, 배관을 기기에 접속한 후, 그 배관을 간단하게 떼어낼 수 없게 할 수 있는 관 조인트, 그 관 조인트르 냉매 회로에 이용한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의 형태에 의하면, 배관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와,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된 상태로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결합 부재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체결 지그를 구비한 관 조인트가 제공된다. 체결 지그는, 결합 부재에 대해 회전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결합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체결 지그는, 외부로부터 회전 토크가 부여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체결 지그의 토크 부여부에 토크가 부여되었을 때, 결합 부재로부터 체결 지그가 분리하어 진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결합 부재에 연결된 체결 지그의 토크 부여부에 회전 토크를 부여함으로써, 그 회전 토크를 결합 부재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결합 부재를 조인트 본체에 체결할 수 있고, 배관을 관 조인트에 접속할 수 있다. 또, 체결 지그는 결합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이 때문에, 결합 부재를 조인트 본체에 체결한 후,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하고, 그 체결 지그를 별도 관리할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누구라도 간단하게 관 조인트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을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에 의한 부주의한 냉매 가스의 누출이나, 대기로의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배관을 분리하는 경우, 체결 지그를 관리하는 전문의 업자에게 그 작업이 의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레온가스 규제가 준수되기 때문에, 프레온가스의 대기로의 방출을 삭감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결합 부재 및 체결 지그는 별체이며, 체결 지그는,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 또는 조인트 본체에 체결된 결합 부재에 대해 착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의 접속 작업을 종래대로 행할 수 있다. 또, 배관 접속 후는, 결합 부재로부터 체결 지그가 분리되어 전문 업자에 의해 관리된다. 즉, 배관이 접속된 관 조인트의 보수 관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 지그는,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면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종래의 관 조인트와 같이, 일반 공구에 의해 배관을 접속하거나, 또는 분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 지그는,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 지그를 공구와 같이 취급할 수 있다. 즉, 부품 점수가 적어지거나, 관리 공정수가 삭감된다. 또, 체결 지그를 직접 손으로 돌리는 것이 가능하고, 작업도 간략화된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결합 부재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 체결 지그가 착탈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체결 지그는, 배관에 외장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고, 기체는, 배관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맞대어지는 2개의 분할 기체로 이루어지고, 2개의 분할 기체가 합체한 상태의 기체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결합 부재를 배관에 외장한 후, 결합 부재에 대해 체결 지그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는 단면 각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걸어 맞춤 돌출부는 기체의 단부를 형성하고, 기체의 단부는 걸어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춰지도록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 지그를 구성하는 기체의 단부가 돌출부를 형성하므로, 체결 지그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기체는, 기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대칭이며, 기체의 축방향의 중앙에는, 파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 지그의 축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의 돌출부를 결합 부재의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는 정다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걸어 맞춤 돌출부의 단면은, 이 걸어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춰지도록 정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 지그의 원주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의 돌출부를 결합 부재의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각 오목부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결합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걸어 맞춤 돌출부는, 각 오목부와 각각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각 돌출부는, 결합 부재에 면하는 기체의 단면에 형성되고, 기체의 외표면이 파지면이며, 기체의 외형은 다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에 대해서 체결 지그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 체결 지그의 원주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의 걸어 맞춤 돌출부를 걸어 맞춤 부재의 걸어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체결 지그를 구성하는 기체의 외표면이 토크 부여면이며, 또한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면이기 때문에, 체결 지그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기체의 외형은 정육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 지그를 단단히 조이거나, 느슨하게 할 때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일반의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각 오목부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부터 조인트 본체에 면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으로부터라도, 조인트 본체와 면하는 측으로부터라도 오목부를 가공할 수 있다. 또, 조인트 본체와 결합 부재가 나사식 결합되었을 때에 양 부재간에 형성되는 공간이 이 오목부를 통해 외부에 개방되어 있다. 관 조인트를 냉동 장치 등의 저온부에 사용하는 경우, 조인트 본체 및 결합 부재간의 공기 중의 수분이 냉각되어 액화 및 동결된다. 또, 조인트 본체 및 결합 부재간의 공간은 조인트 본체와 결합 부재의 나사식 결합부를 통해 외기와 연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조인트 본체 및 결합 부재간의 공간이 냉각되면, 그에 따라, 이 공간내에 외부로부터 수분이 보급된다. 이 때문에, 이 공간내가 냉각되면 수분이 액화되고, 또한 동결되어 얼음으로 되고, 이 얼음이 성장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이렇게 해서 성장한 얼음에 의해, 페룰이나 캠면 등의 각부에 큰 힘이 작용하여 각부가 왜곡됨으로써, 배관의 시일 기능이나 배관의 유지 기능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이 점,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큰 구멍인 오목부가 외부와 연통하고 있기 때문에, 이 오목부로부터 얼음을 내보낼 수 있고, 얼음에 의한 각부의 왜곡을 회피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각 오목부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오목부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 지그는, 2개의 분할 기체를 합체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구속 수단에 의해 2개의 분할 기체의 분해를 억지하면서 체결 지그를 돌릴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 지그는, 2개의 분할 기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분할 기체를 용이하게 합체시킬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결합 부재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에, 체결 지그가 착탈되는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체결 지그는, 반원통 형상의 기체와, 결합 부재와 면하는 기체의 단면에 형성되고,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출부와, 기체에 일체 형성된 손잡이부를 가지며, 배관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기체에는, 배관의 반경과 대략 같은 반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에 대해서 체결 지그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각 걸어 맞춤 오목부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결합 부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걸어 맞춤 돌출부는, 이들 걸어 맞춤 오목부 중의 임의의 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체결 지그의 원주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부재의 걸어 맞춤 돌출부를 결합 부재의 걸어 맞춤 오목부에 끼워 맞출 수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체결 지그의 돌리기 쉬운 각도에 손잡이부를 배치하여 체결 지그를 결합 부재에 연결할 수도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는,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부터 조인트 본체와 면하는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체결 지그가 2개의 분할 기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걸어 맞춤 오목부를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 또는 조인트 본체와 면하는 측의 어느쪽으로부터도 가공할 수 있다. 또, 조인트 본체 및 결합 부재간의 공간 내에서 성장하는 얼음을 관통 구멍인 걸어 맞춤 오목부로부터 밖으로 내보낼 수 있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걸어 맞춤 오목부의 단면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어 맞춤 오목부의 가공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에는, 선단을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함으로써 배관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페룰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에는, 결합 부재를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시킬 때 페룰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그 페룰의 선단부를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결합 부재에는, 선단을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함으로써 배관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페룰이 형성되고, 조인트 본체에는, 결합 부재를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시킬 때에 페룰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그 페룰의 선단부를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침투식의 관 조인트는, 고압의 유체를 취급하는 장치에 적합하다.
상기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에는, 배관의 플레어부를 압접하는 플레어 받침면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에는, 배관의 플레어부를 플레어 받침면에 압접하는 플레어 압접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레어식 관 조인트로 하면, 배관을 일단 분리하고 다시 접속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관 조인트를 냉매 회로에 이용한 냉매 장치가 제공된다.
또,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3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의 관 조인트를 냉매 회로에 이용한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가 제공된다.
이들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의 경우, 체결부가 제멋대로 느슨해져서 배관이 관 조인트로부터 분리하지는 일이 없다. 또, 관 조인트로부터의 냉매의 누출이 적어지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3은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의 사시도.
도 4는 관 조인트의 체결 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a)는 페룰의 선단부가 캠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b)는 페룰이 결합 부재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c)는 조인트 본체에 대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관 조인트에 의한 배관의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의 사시도.
도 9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의 사시도.
도 10은 관 조인트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로서, (a)는 분할 기체가 합체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분할 기체가 합체한 상태를 결합 부재측에서 본 사시도, (c)는 분할 기체가 합체한 상태를 결합 부재와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
도 12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구속 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구속 수단을 구성하는 삽입 구멍 부근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로서, (a)는 삽입 구멍에 구속 부재가 끼워 넣어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b)는 삽입 구멍에 끼워 넣어진 구속 부재를 핀으로 밀어 내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c)는 삽입 구멍에 끼워 넣어진 구속 부재를 핀으로 밀어 내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4는 변형예 3에 관한 관 조인트로서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5는 조인트 본체에 대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6은 관 조인트에 의한 배관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 도.
도 17은 변형예 4에 관한 관 조인트의 체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8은 조인트 본체에 대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19는 관 조인트에 의한 배관 접속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0은 변형예 5에 관한 관 조인트로서 페룰의 선단부가 캠면에 맞닿은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1은 조인트 본체에 대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2는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페룰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로서, 페룰이 배관의 표면에 파고 든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3은 변형예 6에 관한 관 조인트로서 조인트 본체에 대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4는 변형예 9에 관한 관 조인트로서 체결 지그가 배관으로부터 분리하질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관 조인트를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서 본 정면도.
도 26은 관 조인트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의 사시도.
도 27은 변형예 10에 관한 관 조인트로서 결합 부재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에 대해서, 도 1~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는, 냉동 장치,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등의 냉매 회로에 사용되는 침투식의 관 조인트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 조인트는, 배관(p)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1)와, 조인트 본체(1)와 나사식 결합하는 결합 부재(2)와, 결합 부재(2)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체결 지그(3)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부재(2)와 체결 지그(3)는 별체이다. 관 조인트는, 공기 조화기 등의 냉동 장치, 또는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100) 등의 냉매 회로(101)에 사용되고 있다.
조인트 본체(1)는, 기부(基部)(13) 및 통부(14)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13)는, 장착부(11) 및 너트부(12)로 이루어진다. 장착부(11)는, 냉매 회로에 있어서의 폐쇄 밸브, 용기, 배관 등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된다. 너트부(12)는,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체결할 때 체결 공구에 의해 파지된다. 통부(14)의 내주면에는, 결합 부재(2)와 나사식 결합하는 암나사(14a)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14) 내에는, 공동(空洞)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통부(14) 내에는, 기부(13)로 부터 돌출된 축부(16)가 설치되어 있다. 통부(14)의 내주면과 축부(16)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원통 형상의 오목부(17)가 형성되어 있다. 축부(16)의 중앙에는, 그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접속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8)의 개구단에는, 캠면(19)이 형성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1) 내에는, 접속구(18)로부터 장착부(11)를 향해 연장하는 연통 구멍(11a)과, 그 연통 구멍(11a)보다 직경이 작은 연통 구멍(11b)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11)의 외주면에는, 수나사(11c)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구(18)의 직경은 배관(p)의 외경과 대략 같다. 또, 접속구(18)와 연통 구멍(11a)의 사이에는, 단부(카운터 보어)(18a)가 형성되어 있다. 단부(18a)는 배관(p)의 선단과 맞닿는 부분이며, 배관(p)의 삽입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캠면(19)은 접속구(18)와 연속되어 있다. 캠면(19)은 원추 형상의 테이퍼면이며, 캠면(19)의 직경은 결합 부재(2)를 향함에 따라 커진다. 캠면(19)과 접속구(18)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는, 후술하는 페룰(5)의 테이퍼면(54)과 접속구(18)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보다 조금 크다.
결합 부재(2)는, 조인트 본체(1)에 접속되는 배관(p)에 대해서 외장되어 있다. 결합 부재(2)는, 조인트 본체(1)와 나사식 결합함으로써 배관(p)을 동일 조인트 본체(1)에 대해서 접속한다. 결합 부재(2)의 외표면은, 체결용 공구에 의해 회전 토크가 부여되지 않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2)는, 일반 공구를 이용해 단단히 조일 수 없는 대신에, 체결 지그(3)와 연결 가능하다. 결합 부재(2)에는, 체결 지그(3)로부터, 체결을 위한 회전 토크가 전달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결합 부재(2)는, 대략 원통형을 이룬다. 결합 부재(2)는, 중앙에 관통 구멍(22)을 가지는 기부(21)를 구비하고 있다. 결합 부재(2)의 외주면에는, 조인트 본체(1)의 암나사(14a)와 나사식 결합하는 수나사(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 부재(2)의 중앙에는, 체결 지그(3)가 착탈되는 정사각형의 걸어 맞춤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 부재(2) 내에는, 조인트 본체(1)를 향해 개구하는 공동(25)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2) 내에는, 기부(21)로부터 조인트 본체(1)를 향해 돌출하는 페룰(5)이 설치되어 있다. 결합 부재(2)의 외주벽(26)은, 페룰(5)의 선단보다 조인트 본체(1)에 가까운 위치에까지 돌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페룰(5)로의 손상이 방지된다. 결합 부재(2)의 외표면은 둥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의 체결용 공구에 의해 결합 부재(2)를 파지할 수 없다.
페룰(5)은 종래의 것과 같은 것이다. 즉, 페룰(5)은 그 기단부에 있어서, 기부(21)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박육부(51)를 개재하여, 결합 부재(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페룰(5)은 원통 형상을 이루는 후측부(52)와, 원추 형상을 이루는 전측부(53)를 구비하고, 전측부(53)의 선단부는 전단되어 있다. 페룰(5)의 테이퍼면(외주면)(54)은, 페룰(5)의 축선에 대해 예각을 이룬다. 테이퍼면(54)의 경사 각도는, 페룰(5)의 축선에 대한 캠면(19)의 경사 각도보다 약간 작다. 구체적으로는, 캠면(19)의 경사 각도는 약 15~35도인데 반해, 페룰(5)의 테이퍼면(54)의 중심축에 대한 경사 각도는 약10~25도이다. 이 때문에, 페룰(5)이 캠면(19)에 가압됨으로써, 페룰(5)의 선단부(53a)가 배관(p)의 표면부에 파고 든다. 이로 인해, 페룰(5)은 배관(p)과 페룰(5)의 사이를 시일함과 더불어, 배관(p)을 유지한다. 페룰(5)의 중앙에는, 배관(p)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55)의 직경은 상술의 관통 구멍(22)과 같다. 페룰(5)의 배부(背部)(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는, 페룰(5)의 후단면을 가압하는 가압면(2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면(28)은, 페룰(5)과의 사이에 공간(27)을 뛰우고 배치되어 있다.
체결 지그(3)는, 작업자에 의해 부여된 회전 토크를 결합 부재(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3)는, 작업자에 의해 회전 토크가 부여되는 회전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 체결 지그(3)는, 배관의 접속 후에, 결합 부재(2)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지그(3)는, 정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기체(31)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31)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기체(31)는,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2개로 분할된 분할 기체(31a, 31b)로 이루어진다. 양 분할 기체(31a, 31b)가 배관(p)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기체(31)는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가지고 있다. 기체(31)의 양 단부는,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에 끼워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33)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체(31)의 횡단면의 크기는,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와 끼워 맞춰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기체(31)의 하부 중앙에는, 체결용 공구에 의해 체결 지그(3)를 파지 가능한 파지면(34)이 회전 토크 부여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파지면(34)은, 기체(31)의 대향하는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양 파지면(34)간의 간격은, 일반의 체결용 공구에 의해 파지하는데 적합한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의 침투식의 관 조인트에 의한 배관 접속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조인트 본체(1)에 대해 배관(p)을 접속할 때에, 조인트 본체(1)는, 공기 조화기 등의 냉동 장치나,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등의 냉매 회로에 있어서의 배관, 용기류, 폐쇄 밸브 등의 장치측의 소정의 기기에 장착된다. 이 관 조인트에 의하면, 우선, 결합 부재(2)의 관통 구멍(22) 및 페룰(5)의 관통 구멍(55)에 배관(p)을 관통시킨다. 다음에, 배관(p)의 선단부를 조인트 본체(1)의 접속구(18)에 삽입하고, 배관(p)의 단면을 조인트 본체(1)의 단부(18a)에 닿게 한다. 또, 배관(p)을 사이에 두도록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대어 기체(31)를 형성한다. 기체(31)의 각 단부에는,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와 끼워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33)가 각각 형성된다.
다음에, 체결 지그(3)의 걸어 맞춤 돌출부(33)를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에 끼워 맞춘다. 그리고, 체결 지그(3)와 더불어 결합 부재(2)를 돌려,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나사식 결합시킨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5)이 캠면(19)에 맞닿을 때까지, 결합 부재(2)는 체결 지그(3)와 더불어 손끝만으로 돌릴 수 있다. 페룰(5)이 캠면(19)에 맞닿은 단계에서, 체결 지그(3)의 파지면(34)을 공구로 파지하고,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대해 단 단히 조인다. 이 조임에 의한 힘이, 캠면(19)으로부터 페룰(5)의 선단부(53a), 박육부(51)로 전달되고, 그 결과,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육부(51)가 절단된다.
박육부(51)가 절단된 후, 더 결합 부재(2)를 단단히 조이면, 가압면(28)이 페룰(5)의 후단면에 맞닿는다. 이 상태로 더 결합 부재(2)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페룰(5)의 후단면이 가압면(28)에 의해 가압된다. 그리고,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5)의 선단부(53a)가 캠면(19)에 의해 압접되고, 배관(p)의 표면부에 파고 든다. 이러한 페룰(5)의 변형에 의해, 페룰(5)의 테이퍼면(54)과 캠면(19)의 사이, 및 페룰(5)의 선단부(53a)와 배관(p)의 사이가 시일되고, 배관(p)이 페룰(5)에 의해 파지되고, 조인트 본체(1)에 대한 결합 부재(2)의 체결 작업이 종료된다. 이 단계에서는, 결합 부재(2)가 조인트 본체(1) 내에 수납되고, 결합 부재(2)의 단면만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체결 작업의 종료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로부터 분리하고, 배관의 접속이 완료된다.
다음에, 배관 접속의 완료 후에 배관의 재시도가 필요한 경우, 결합 부재(2)는 둥글게 형성된 외표면을 가지며, 또한 조인트 본체(1) 내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지그(3)를 연결하지 않는 한은, 결합 부재(2)와 조인트 본체(1)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할 수 없다. 그래서,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대어 기체(31)를 형성하고, 그 기체(31)의 걸어 맞춤 돌출부(33)를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에 끼워 넣고, 결합 부재(2)에 대해 체결 지그(3)를 연결한다. 이 상태로, 체결 지그(3)의 파지면(34)을 공구에 의해 파지 하여, 조인트 본체(1)에 나사식 결합된 결합 부재(2)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관 조인트로부터 배관(p)를 떼어낸다. 배관(p)을 일단 떼어낸 후, 새로운 배관(p)을 접속할 때는, 먼저 이용한 페룰(5)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미사용의 결합 부재(2)가 필요하다. 체결 지그(3)는 재사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결합 부재(2)의 외표면은 일반 공구로 파지할 수 없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하지 않는 한, 조인트 본체(1)에 대해 결합 부재(2)를 체결하거나, 결합 부재(2)를 느슨하게 하거나 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2) 회전 토크 부여부를 가지는 체결 지그(3)는, 결합 부재(2)에 대해 회전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회전 토크 부여부에 회전 토크를 부여함으로써, 체결 지그(3)의 회전 토크 부여부로부터 결합 부재(2)에 회전 토크가 전달되고, 결합 부재(2)가 조인트 본체(1)에 체결되어, 배관이 접속된다.
(3) 체결 지그(3)는 결합 부재(2)로부터 떼어낼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체결한 후는,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로부터 분리하어 별도 관리함으로써, 아무나 간단히 관 조인트의 나사식 결합부를 느슨하게 하여 배관(p)을 분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 작업에 의한 부주의한 냉매 가스 누출이나, 대기로의 냉매 가스의 방출을 회피할 수 있다. 배관(p)을 분리하는 경우는, 체결 지그(3)를 관리하는 전문 업자에게 그 작업이 의뢰된다. 이 결과, 프레온가스 규제가 준수되기 때문에, 프레온가스의 대기로의 방출량의 삭감에 기여할 수 있다.
(4) 결합 부재(2)와 체결 지그(3)는 별체이다. 또, 체결 지그(3)는 배관(p)에 외장된 결합 부재(2), 또는 조인트 본체(1)에 체결된 결합 부재(2)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따라서, 배관 접속 후는 체결 지그(3)를 분리하어 이것을 전문 업자가 관리함으로써, 관 조인트의 보수 관리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5) 체결 지그(3)는, 일반의 공구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면(3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함으로써, 종래의 관 조인트와 같이, 공구를 이용하여 배관(p)을 접속하거나, 분리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6) 결합 부재(2)에는, 걸어 맞춤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관(p)을 사이에 두도록 하여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대어 기체(31)를 형성함으로써, 그 기체(31)의 양단에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결합 부재(2)를 배관(p)에 외장한 후, 그 결합 부재(2)에 대해 체결 지그(3)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다.
(7) 걸어 맞춤 오목부(24)의 단면 형상은 각형이며, 그 걸어 맞춤 오목부(24)와 끼워 맞춰지는 기체(31)의 단부(걸어 맞춤 돌출부(33))의 외형도 각형이다. 따라서, 체결 지그(3)에 걸어 맞춤 돌출부(33)를 일부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 체결 지그(3)의 구성이 간략화된다.
(8) 기체(31)의 형상은,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대칭이다. 또, 기체(31)의 양단부가 걸어 맞춤 돌출부(33)로서 형성되고, 또한, 기체(31)의 축방향의 중앙에 파지면(3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3)의 축방향의 위치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3)의 걸어 맞춤 돌출부(33)를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에 끼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9) 걸어 맞춤 오목부(24)의 단면이 정다각형으로 형성되고, 걸어 맞춤 돌출부(33)가 걸어 맞춤 오목부(24)와 끼워 맞춰지도록 정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체결 지그(3)의 원주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3)의 걸어 맞춤 돌출부(33)를 결합 부재(2)의 걸어 맞춤 오목부(24)에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10)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관 조인트는, 페룰(5), 캠면(19) 등을 구비한 침투식 관 조인트이며, 고압의 유체를 취급하는 장치로서 적합하다. 또, 페룰(5)이 결합 부재(2) 내의 공동(25)에 수납되기 때문에, 부품의 취급시에 페룰(5)의 선단부(53a)나 테이퍼면(54) 등에 상처가 나기 어렵다.
(11) 이 침투식 관 조인트에 의하면, 배관의 접속이 완료된 단계에서 조인트 본체(1) 내에 결합 부재(2)가 완전하게 수납되기 때문에, 배관 접속 후에 제3자에 의해 결합 부재(2)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2) 상기의 관 조인트가 이용된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에 의하면, 체결부가 제멋대로 느슨해지거나, 배관(p)이 분리하지거나 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관 조인트로부터의 냉매 누출이 적어지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제2 실시 형태)
제2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침투식의 관 조인트로서, 결합 부재(2)와 체결 지그(3)의 연결 구조 및 체결 지그(3)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또한, 관 조인트의 배관 접속을 위한 기구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는 제1 실시 형태와 같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에 있어서, 체결 지그(3)와의 연결에 이용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241)는,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고, 단면 정방 형상을 이루는 4개의 오목부(241)로 이루어진다. 각 오목부(241)는,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의 단면에 있어서, 동일 결합 부재(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지그(3)의 기체(31)는 2개로 분할되어 있다. 양 분할 기체(31a, 31b)가 합체한 상태로, 기체(31)의 외표면은, 회전 토크 부여부인 파지면(341)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의 기체(31)의 외형은 정육각형이며, 기체(31)에는, 3조의 대향하는 파지면(3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 부재(2)의 각 오목부(241)와 끼워 맞춰지는 각 걸어 맞춤 돌출부(331a, 331b)는, 결합 부재(2)와 면하는 기체(31)의 측면에 있어서 돌출되어 있다. 즉, 각 돌출 부(331a, 331b)는, 결합 부재(2)에 면하는 체결 지그(3)의 단면에 있어서, 체결 지그(3)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돌출부(331a, 331b)의 단면은, 각 오목부(241)와 끼워 맞춰지도록 대략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4개의 돌출부 중의 2개의 돌출부(331a)는,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댄 상태로 형성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체결 지그(3)의 기체(31)는, 배관(p)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2개로 분할되어 있다. 각 분할 기체(31a, 31b)는, 배관(p)을 그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두도록 하여 맞대어져 배관(p)에 외장된다. 또, 각 분할 기체(31a, 31b)가 합체한 기체(31)에는, 결합 부재(2)의 각 오목부(241)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331a, 331b)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에 의하면, 체결 지그(3)는, 배관(p)에 외장된 결합 부재(2)에 대해서, 또는 배관(p)에 외장되고, 또한 조인트 본체(1)에 연결된 결합 부재(2)에 대해 착탈된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1)~(6) 및 (10)~(1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2) 결합 부재(2)의 복수의 오목부(241)는,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의 단면에 있어서, 결합 부재(2)의 축선을 중심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이들 오목부(241)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331a, 331b)는, 결합 부재(2)와 면하는 기체(31)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양 분할 기체(31a, 31b)가 합체한 상태로, 기체(31)의 외표면이 회전 토크 부여면인 파지면(341)으로 서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구성에 의해, 체결 지그(3)의 원주 방향의 방향에 관계없이,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할 수 있다.
(3) 분할 기체(31a, 31b)가 합체한 상태로, 기체(31)의 외형은 정육각형 형상이다. 이 때문에,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단단히 조이거나 느슨하게 하거나 할 때, 일반의 너트 체결용 공구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제3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침투식의 관 조인트로서, 결합 부재(2)와 체결 지그(3)의 연결 구조 및 체결 지그(3)의 형상을 변경한 것이다. 또한, 관 조인트의 배관 접속 기구는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며,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8~도 10에 기초하여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에 있어서, 체결 지그(3)와의 연결에 이용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242)는,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의 결합 부재(2)의 단면에 있어서, 결합 부재(2)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각 오목부(242)의 단면은, 제2 실시 형태와 달리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 지그(3)는, 반원통 형상의 기체(312)와, 기체(312)의 외주면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 토크 부여부로서 손잡이 부(352)로 이루어진다. 기체(312)의 단면에는, 결합 부재(2)를 향해 돌출한 3개의 걸어 맞춤 돌출부(332)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312)에는, 배관(p)과 대략 동등한 반경을 가지는 반원 형상의 반구멍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각 돌출부(332)는, 결합 부재(2)에 설치된 4개의 오목부(242) 중의 3개의 오목부(242)와 끼워 맞춰진다. 또, 손잡이부(352)는, 렌치의 손잡이부와 유사한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의 후방에 위치하는 배관(p)에 체결 지그(3)를 외장하고, 즉 체결 지그(3)의 반구멍부(321)를 배관(p)의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결합 부재(2)의 오목부(242)에 대해 체결 지그(3)의 돌출부(332)를 걸어 맞추게 한다. 그리고, 손잡이부(352)를 파지하면서 체결 지그(3)를 돌림으로써,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단단히 조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배관(p)에 외장된 결합 부재(2)에 대해, 또는 배관(p)에 외장되고, 또한 조인트 본체(1)에 연결된 결합 부재(2)에 대해서, 체결 지그(3)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는,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1)~(4), (6) 및 (10)~(12)와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2) 체결 지그(3)는, 회전 토크 부여부로서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352)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체결 지그(3)를 공구와 같이 이용하여 결합 부재(2)를 조인트 본체(1)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부품 점수가 적어지고, 관리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일반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체결 지그(3)를 직 접 손으로 돌릴 수 있다.
(3)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의 단면에는, 결합 부재(2)의 축선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또한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오목부(242)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지그(3)의 각 돌출부(332)는, 결합 부재(2)의 4개의 오목부(242) 중의 3개와 걸어 맞춰진다. 이로 인해, 체결 지그(3)의 원주 방향의 방향과 관계없이,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연결할 수 있다. 또, 체결 지그(3)를 돌리기에 적당한 각도로 손목부(352)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2)에 대한 체결 지그(3)의 체결 작업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제4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의 체결 지그(3)에 있어서, 2개의 분할 기체를 연결하는 힌지와, 양 분할 기체가 맞대어져 합체한 상태를 유지하는 구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고, 제2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4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11~도 13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4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체결 지그(3)는,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체결 지그(3)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즉, 체결 지그(3)는, 도 11(a)~(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체(31)를 2개로 분할한 분할 기체(31a, 31b)를 가지고 있다.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댄 상 태로, 기체(31)의 외형은 정육각 형상이다. 이 때문에, 기체(31)에는, 3조의 대향하는 파지면(341)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 부재(2)에 면하는 기체(31)의 단면에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출부(331a, 331b)가 형성되어 있다. 체결 지그(3)에는,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하나의 힌지(35)가 장착되어 있다. 힌지(35)는, 종래부터 주지의 힌지여도 된다. 힌지(35)는, 파지면(341)에 장착된다는 이유로부터, 파지면(341)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은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속 수단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를 합체한 상태로, 판 형상의 구속 부재(41)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42)이, 결합 부재(2)와 반대측의 체결 지그(3)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 힌지(35)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파지면(341)에는, 핀(43)을 삽입하기 위한 긴 구멍(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긴 구멍(44)에 삽입된 핀(43)을 조작함으로써, 핀(43)의 선단에 의해 구속 부재(41)를 체결 지그(3)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긴 구멍(44)의 단면 형상은 삽입 구멍(42)와 같고, 배관(p)의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2개의 분할 기체(31a, 31b)의 맞춤면에는, 삽입 구멍(42) 및 긴 구멍(44)을 형성하기 위한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입 구멍(42)의 단부(42b)가 V자 형상을 이루도록, 삽입 구멍(42)을 형성하는 홈(42a)의 단부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 구멍(42)의 단부와 긴 구멍(44)을 연통하도록, 긴 구멍(44)을 형성하는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구속 부재(41)는 판 형상을 이루고, 그 양측부에는, V자 형상의 홈(41a)이 형성되어 있다. 또, 구속 부재(41)가 그 선단을 긴 구멍(44)의 측면에 당접시킬 때까지 삽입 구멍(42)에 삽입된 경우, 구속 부재(41)는 기체(31)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또한 구속 부재(41)의 단면과 기체(31)의 단면이 면일하게 배치된다. 구동 부재(41)의 단부에는, 단면 반원 형상의 홈(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구속 부재(41)의 선단이 긴 구멍(44)의 측면에 맞닿아 있을 때, 구속 부재(41)의 홈(41b)과 긴 구멍(44)의 측면의 사이에는, 핀(43)의 선단을 개재시키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체결 지그는, 다음과 같이 하여 이용된다.
배관(p)에 외장된 결합 부재(2)에 대해 체결 지그(3)를 연결하기 위해, 우선, 체결 지그(3)를 배관(p)에 외장한다. 이 외장은,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를 연 상태로 그들 사이에 배관(p)을 배치한 후, 양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댄다. 다음에,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와 반대측의 체결 지그(3)의 단면으로부터 삽입 구멍(42)에 구속 부재(41)를 삽입한다. 이로 인해, 구속 부재(41)의 단부의 홈(41a)과 삽입 구멍(42)의 단부(42b)가 걸어 맞춰진다. 이 결과, 삽입 구멍(42)에 구속 부재(41)가 삽입되어 있는 한, 2개의 분할 기체(31a, 31b)는 분리하지 않고 계속 일체화한다. 그 후, 체결 지그(3)의 돌출부(331a, 331b)를 결합 부재(2)의 오목부(241)에 삽입하고, 파지면(341)을 파지하여 체결 지그(3)를 돌림으로써, 제2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이 결합 부재(2)에 회전 토크가 부여된다.
결합 부재(2)에 회전 토크를 부여하여 배관(p)의 접속이 종료됐을 때,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긴 구멍(44)에 핀(43)을 삽입하고, 핀(43)의 선단부를, 구속 부재(41)의 단부의 홈(41b)과 긴 구멍(44)의 측면의 사이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43)의 선단부에서 구속 부재(41)을 삽입 구멍(42)으로부터 밖으로 밀어 내고, 구동 부재(41)의 단부를 기체(31)로부터 돌출시킨다. 돌출된 구속 부재(41)의 단부를 손 또는 공구로 잡고, 구속 부재(41)를 삽입 구멍(42)으로부터 밖으로 뽑아낸다. 그 후,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로부터 분리하고, 배관 접속 작업이 종료된다. 배관(p)의 접속을 다시 할 때도, 상기의 절차로 체결 지그(3)에 구속 부재(41)를 취착(取着)하고, 체결 지그(3)를 결합 부재(2)에 대해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에 더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1) 체결 지그(3)는, 2개의 분할 기체(31a, 31b)가 맞대어져 합체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속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해, 2개의 분할 기체(31a, 31b)의 분해를 억지하면서 기체(31)를 돌릴 수 있다.
(2) 2개의 분할 기체(31a, 31b)가 힌지(35)를 통해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양 분할 기체(31a, 31b)의 합체 작업이 용이해진다.
상기 각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도 있다.
(변형예 1)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지면(34)은, 체결 지그(3)의 대향하는 2개의 면에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과는 다른 대향하는 2개의 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 오목부(24) 및 돌출부(33)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이었지만, 정육각형 등의 다른 정다각형이어도 된다.
(변형예 2)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241) 및 돌출부(331a, 331b)의 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이었지만, 직사각형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오목부(241) 및 돌출부(331a, 331b)의 단면 형상이 정사각형인 이유는, 양 분할 기체(31a, 31b)를 맞대어 돌출부(331a)를 용이하게 형성하기 위해서이다. 또,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242) 및 돌출부(332)의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목부(241, 242) 및 이것에 끼워 맞춰지는 돌출부(331a, 331b, 332)의 단면 형상은, 다각형 이외에도, 원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변형예 3)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나사식 결합 구조를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해도 된다. 즉,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로부터 통부(14)를 삭제하는 대신에, 조인트 본체(1)의 기부(13)로부터 돌출하는 축부(16)의 외주면에 수나사(131)를 형성해도 된다. 또, 결합 부재(2)의 외주면의 수나사(23)를 생략하는 대신에, 결합 부재(2)의 외주벽(26)의 내주면에 암나사(132)를 형성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조인트 본체(1)에 수나사(131)가 형성되고, 결합 부재(2)에 암나사(1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조인트 본 체(1)와 결합 부재(2)의 사이에서 나사의 관계가 반대이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체결한 후(도 15 참조), 및 그 후에 결합 부재(2)로부터 체결 지그(3)를 떼어낸 후 (도 16 참조), 결합 부재(2)의 외주면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결합 부재(2)의 외형을 공구에 의해 파지할 수 없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변형예 4)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나사식 결합 구조를 도 17~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형해도 된다. 즉,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의 기부(13)로부터 축부(16)를 삭제하고, 접속구(18)의 개구단에 캠면(19)을 직접 형성해도 된다. 또, 제1 실시 형태의 결합 부재(2)로부터 외주벽(26)을 삭제해도 된다.
이 변형예에서는, 페룰(5)이 기부(21)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부재(2)의 취급시에, 배관의 시일 기능에 영향을 주는 페룰(5)의 선단부(53a)나 테이퍼면(54)의 외표면에 상처를 입히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또, 이 변형예에서는,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체결한 후(도 18 참조), 및 그 후에 결합 부재(2)로부터 체결 지그(3)를 떼어낸 후(도 19 참조), 조인트 본체(1)의 통부(14) 내에 결합 부재(2)가 수납된다. 따라서, 결합 부재(2)와 조인트 본체(1)의 나사식 결합을 느슨하게 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제1~ 제3 실시 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변형예 5)
다음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나사식 결합 구조를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되고, 자세히는, 상기 각 실시 형태의 페룰(5)을 분할시킨 2개의 페룰로 바꿔 놓아도 되다. 이 경우, 변형예 3의 경우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로부터 통부(14)를 삭제하는 대신에, 축부(16)의 외주면에 수나사(151)를 형성해도 된다.
한편,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결합 부재(2)의 외주면으로부터 수나사(23)를 삭제하는 대신에, 외주벽(26)의 내주면에 암나사(152)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룰을 결합 부재에 일체 형성하지 않고, 범용성이 있는 독립의 페룰(153)을 사용해도 된다.
독립의 페룰(153)로서,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가지는 프런트 페룰(154)과, 중앙에 관통 구멍을 가지는 백 페룰(155)이 사용된다. 결합 부재(2)의 기부(21)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와 면하는 단면에는, 백 페룰(155)을 가압하는 가압면(156)이 형성되어 있다. 가압면(156)은, 조인트 본체(1)를 향함에 따라 확경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가압면(156)에 의해, 백 페룰(155)의 후단면이 하방으로 가압된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진행함에 따라, 백 페룰(155)의 후단부는, 상방으로부터 가압면(156)에 맞닿아져 하방으로 가압된다. 또, 백 페룰(155)은, 선단을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제1 테이퍼면(157)을 가지고 있다. 이 제1 테이퍼면(157)에 의해, 프런트 페룰(154)의 후단부가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있다. 또, 이 밀어 올림에 따라 백 페룰(155)의 선단부를 배관(p)의 표면에 파고 들기 쉽게 하기 때문에, 백 페룰(155)의 외주측에 있어서 단부(155a) 부근 이 박육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프런트 페룰(154)의 후단부에는, 백 페룰(155)의 제1 테이퍼면(157)과 접하는 제2 테이퍼면(158)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런트 페룰(154)의 선단부에는, 조인트 본체(1)를 향함에 따라 축경하는 제3 테이퍼면(159)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 조인트의 경우,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독립의 페룰(153)이 캠면(19)에 맞닿고 나서, 체결 지그(3)를 이용해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단단히 조이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백 페룰(155)이 가압면(15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고, 또한 조인트 본체(1)를 향해 밀림으로써, 백 페룰(155)의 선단부가 배관(p)의 표면부에 파고 든다. 동시에, 백 페룰(155)의 제1 테이퍼면(157)에 의한 프론트 페룰(154)의 제2 테이퍼면(158)으로의 압접에 따라, 프런트 페룰(154)의 제3 테이퍼면(159)이 캠면(19)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프런트 페룰(154)의 선단부가 배관(p)의 표면부에 파고 든다. 이 결과, 프런트 페룰(154)의 제3 테이퍼면(159)과 조인트 본체(1)의 캠면(19)의 사이가 시일된다. 또, 프런트 페룰(154)의 배관(p)으로의 침투에 의해, 배관(p)의 표면과 프런트 페룰(154)의 사이가 시일되고, 배관(p)이 페룰(5)에 의해 파지된다. 이에 더하여, 백 페룰(155)의 배관(p)으로의 침투에 의해, 배관(p)이 페룰(5)에 의해 한층 확실히 파지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 및 결합 부재(2)의 구조를 간략화함과 더불어, 페룰(5)을 독립형의 페룰로 변경해도 된다. 도 21은, 조인트 본체(1)에 대한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종료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배관 접속 이 완료된 후는, 결합 부재(2)로부터 체결 지그(3)가 분리하진다. 따라서, 배관 접속 후, 아마추어에 의해 결합 부재(2)의 체결이 느슨해지지 않게 되는 것은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다. 또, 이 경우, 2개의 페룰로 이루어지는 독립의 페룰(153)을 사용함으로써, 관 조인트는 높은 시일 성능을 발휘하고, 냉동 장치의 신뢰성은 향상된다. 2개 1조인 독립의 페룰 대신에, 1개의 독립의 페룰을 사용해도 된다.
(변형예 6)
다음에,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에 의한 배관 접속을 위한 기구를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즉, 제1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로부터 통부(14) 및 접속구(18)를 삭제함과 더불어, 축부(16)의 외주면에 수나사(161)를 형성한다. 그리고, 축부(16)의 선단에까지 연통 구멍(11a)을 연장함과 더불어, 축부(16)의 선단부에 배관(p)의 플레어부(162)와 접하는 플레어 받침면(163)을 형성한다. 제1 실시 형태의 결합 부재(2)로부터 수나사(23)를 삭제하는 대신에, 외주벽(26)의 내주면에 암나사(164)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로부터 페룰(5)을 삭제함과 더불어, 조인트 본체(1)와 면하는 기부(21)의 단면에 배관(p)의 플레어부(162)를 압접하는 플레어 압접면(165)을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플레어식 관 조인트에서는, 우선, 결합 부재(2)의 관통 구멍(22)에 배관(p)을 삽입하고, 결합 부재(2)를 배관(p)에 외장한다. 다음에, 플레어 공구를 이용하여 배관(p)의 선단에 플레어부(162)를 형성한다. 이 플레어부(162)를 조인트 본체(1)의 플레어 받침면(163)에 맞닿게 하면서, 조인트 본체(1) 에 결합 부재(2)를 단단히 조인다. 단단히 조일 때의 회전 토크가 소정치에 도달했을 때,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레어부(162)가 플레어 받침면(163)과 플레어 압착면(165)의 사이에 협착되고,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완료되고, 배관 접속이 완료된다. 이 플레어 조인트에 의하면, 배관의 접속을 다시 할 때, 관 조인트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경우는 페룰이 변형되기 때문에, 관 조인트의 재사용이 불가능했다. 또, 이러한 플레어식 관 조인트의 경우도, 조인트 본체(1)에 대한 결합 부재(2)의 체결이 종료된 후, 결합 부재(2)로부터 체결 지그(3)가 분리하진다. 따라서, 배관 접속의 완료 후, 아마추어에 의해 제멋대로 결합 부재(2)가 느슨해지는 일은 없다.
(변형예 7)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 삽입 구멍(42)에 끼워 넣어지는 판 형상의 구속 부재(41) 대신에, 양 분할 기체(31a, 31b)의 맞댐면을 나사로 결합해도 된다. 또, 분할 기체(31a, 31b)를 힌지로 결합하거나, 구속 수단에 의해 양 분할 기체(31a, 31b)를 구속하거나 하는 등, 제1 실시 형태에 제4 실시 형태의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변형예 8)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결합 부재(2)와 체결 지그(3)는 별체였지만, 이것들을 일체 형성해도 된다. 즉, 조인트 본체(1)에 결합 부재(2)를 체결한 후, 소정의 회전 토크에 의해 결합 부재(2)로부터 체결 지그(3)을 분리하도 되고, 또, 그 체결 지그(3)는 결합 부재(2)에 대해 착탈 가능해도 된다.
(변형예 9)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부(242)의 단면은 원형이어도 되고, 오목부(242)는,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의 단면으로부터 공동(25)에 관통하고 있어도 된다. 도 24~도 26에 나타내는 변형예 9에 관한 관 조인트의 경우, 결합 부재(2)의 기부(21)에는,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결합 부재(2)의 단면에서 공동(25)에까지 연장하는 오목부(243)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개의 오목부(243)는 모두 단면 원형 형상을 가지며, 각 오목부(243)는 결합 부재(2)의 축심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결합 부재(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 지그(3)로서,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면 직사각형의 체결 지그(3)의 돌출부(332)를 단면 원형의 돌출부(333)로 변경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인트 본체(1)와 반대측의 단면 및 조인트 본체(1)에 면하는 단면의 어느것으로부터도 오목부(243)를 가공할 수 있다. 또,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를 나사식 결합했을 때 양 부재간에 형성되는 공간이 오목부(243)를 통해서 외부에 개방된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오목부(242)가 관통 구멍이 아닌 경우라도, 조인트 본체(1)와 결합 부재(2)의 공간이 양 부재간의 나사식 결합부, 즉 암나사(14a)와 수나사(23)의 나사식 결합부를 통해서 외부로 개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3 실시 형태의 경우, 배관(p) 내를 유통하는 저온의 유체에 의해 이 공간 내의 공기 중의 수분이 냉각되어 액화되기 때문에, 양 부재(1, 2) 간의 공간에 나사식 결합부를 통해서 수분이 보급된다. 이 결과, 공간 내의 공기가 영도 이하로 냉각되면, 공기 중의 수분이 동결되어 얼음이 되고, 또한, 그 얼음이 성장하여 커짐으로써, 페룰(5)이나 캠면(19)에 큰 힘이 작용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페룰(5)이나 캠면(19)이 왜곡되고, 배관의 시일 기능이나 배관의 유지 기능이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이 변형예의 경우, 비교적 큰 관통 구멍인 복수의 오목부(243)에 의해, 양 부재(1, 2) 간의 공간 내에서 액화한 물은, 동결되기 전에, 하방에 위치하는 오목부(243)를 통해서 밖으로 배출된다. 또, 양 부재(1, 2) 간의 공간 내에서 얼음이 성장해도, 비교적 큰 구멍인 오목부(243)를 통해서 그 얼음을 밖으로 내보낼 수도 있다. 따라서, 성장한 얼음에 의한 페룰(5)이나 캠면(19) 등의 각부로의 영향이 완화되기 때문에, 배관의 시일 기능이나 배관의 유지 기능의 저하가 방지된다.
(변형예 10)
상기 각 실시 형태의 조인트 본체(1)에 있어서, 장착부(11)의 외주면에 수나사(11c)를 형성하고 있었지만, 이러한 수나사(11c)에 의한 접속에 대신하여, 납땜에 의해 기기의 배관을 관 조인트에 접속해도 되고, 또, 납땜에 의해 폐쇄 밸브에 관 조인트를 접속해도 된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침투식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장착부(11)를 배관 납땜 타입의 것으로 변경해도 된다. 도 27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의 요소와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고 있다. 또, 기기의 배관(pa)은, 조인트 본체(1)의 접속구(11d)에 끼워넣어져 납땜되어 있다. 이 경우, 연통 구멍(11a)을 형성하는 부분은, 배관(Pa)의 선단을 위치 결정하는 단부를 형성하고 있다.
(변형예 11)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관 조인트에 있어서, 조인트 본체(1)에 캠면(19)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2)에 페룰(5)이 형성되어 있었지만, 조인트 본체에는, 선단을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함으로써 배관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페룰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에는,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시킬 때 상기 페룰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그 페룰의 선단부를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Claims (23)

  1. 배관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체결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체결 지그는,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 토크가 부여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의 토크 부여부에 토크가 부여되었을 때,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상기 체결 지그가 분리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체결 지그는 별체이며,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 또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체결된 결합 부재에 대해 착탈되고,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토크 부여부로서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둥글게 형성된 외표면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 상기 체결 지그가 착탈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외장되는 기체(基體)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는,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맞대어지는 2개의 분할 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분할 기체가 합체한 상태의 기체에는,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단면 각형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는 상기 기체의 단부를 형성하고,
    상기 기체의 단부는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끼워 맞춰지도록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체는, 상기 기체의 축선과 직교하는 면에 대해 대칭이며,
    상기 기체의 축방향의 중앙에는, 상기 파지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2. 배관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체결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체결 지그는,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 토크가 부여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의 토크 부여부에 토크가 부여되었을 때,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상기 체결 지그가 분리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체결 지그는 별체이며,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 또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체결된 결합 부재에 대해 착탈되고,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토크 부여부로서 공구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둥글게 형성된 외표면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의 단면에, 상기 체결 지그가 착탈되는 걸어 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외장되는 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는,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또한 서로 맞대어지는 2개의 분할 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2개의 분할 기체가 합체한 상태의 기체에는,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걸어 맞춤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동일 형상을 이루는 복수의 오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는, 상기 각 오목부와 각각 끼워 맞춰지는 복수의 돌출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돌출부는, 상기 결합 부재에 면하는 상기 기체의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체의 외표면이 상기 파지면이며, 상기 기체의 외형은 다각형이고,
    상기 각 오목부는,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본체에 면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체의 외형은 정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4. 배관이 접속되는 기기에 장착되는 조인트 본체와,
    상기 조인트 본체에 접속되는 배관에 외장된 상태로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되는 결합 부재와,
    상기 결합 부재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체결 지그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결합 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 토크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떼어낼 수 있고,
    상기 체결 지그는, 외부로부터 상기 회전 토크가 부여되는 토크 부여부를 구비하고,
    상기 체결 지그의 토크 부여부에 토크가 부여되었을 때, 상기 결합 부재로부터 상기 체결 지그가 분리되고,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체결 지그는 별체이며,
    상기 체결 지그는, 상기 배관에 외장된 결합 부재 또는 상기 조인트 본체에 체결된 결합 부재에 대해 착탈되고,
    상기 결합 부재는, 둥글게 형성된 외표면을 가지는 것과 더불어,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면에, 상기 체결 지그가 착탈되는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 지그는, 반원통 형상의 기체와, 상기 결합 부재와 면하는 상기 기체의 단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복수의 걸어 맞춤 돌출부와, 상기 기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작업자에 의해 파지되는 손잡이부를 가지고,
    상기 배관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기체에는, 상기 배관의 반경과 같은 반경을 가지는 반원형의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부터 상기 조인트 본체에 면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는 동일 형상을 이루고,
    상기 각 걸어 맞춤 오목부는, 상기 조인트 본체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상기 결합 부재의 단면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의 축심을 중심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걸어 맞춤 돌출부는, 이들 걸어 맞춤 오목부 중의 임의의 수의 걸어 맞춤 오목부와 걸어 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의 단면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는, 선단을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함으로써 상기 배관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페룰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시킬 때 상기 페룰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그 페룰의 선단부를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에는, 선단을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함으로써 상기 배관과의 사이를 시일하는 페룰이 형성되고,
    상기 조인트 본체에는, 상기 결합 부재를 상기 조인트 본체에 나사식 결합시킬 때 상기 페룰의 선단부를 가압하여, 그 페룰의 선단부를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파고 들게 하는 캠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9.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본체에는, 상기 배관의 플레어부를 압접하는 플레어 받침면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부재에는, 상기 배관의 플레어부를 상기 플레어 받침면에 압접하는 플레어 압접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조인트.
  10.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관 조인트를 냉매 회로에 사용한 냉동 장치.
  1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관 조인트를 냉매 회로에 사용한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7008926A 2006-12-27 2007-12-21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KR1010705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52614 2006-12-27
JP2006352614 2006-12-27
JPJP-P-2007-235994 2007-09-11
JP2007235994A JP4144651B2 (ja) 2006-12-27 2007-09-11 管継手、冷凍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温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815A KR20090078815A (ko) 2009-07-20
KR101070538B1 true KR101070538B1 (ko) 2011-10-05

Family

ID=3956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8926A KR101070538B1 (ko) 2006-12-27 2007-12-21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032940A1 (ko)
EP (1) EP2072876A4 (ko)
JP (1) JP4144651B2 (ko)
KR (1) KR101070538B1 (ko)
CN (1) CN101535703B (ko)
AU (1) AU2007337391C1 (ko)
WO (1) WO20080786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17794B2 (ja) * 2008-01-17 2014-02-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EP2843285B1 (en) * 2012-04-27 2017-09-13 Nasco Fitting CO., LTD. Pipe joint and closing valve
CN103470885B (zh) * 2013-09-22 2015-05-13 湖南埃瓦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固定热水器管道的固定件
JP6618741B2 (ja) * 2015-09-15 2019-12-11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の管継手用ナット、管継手および締め付け工具
US10508762B2 (en) * 2017-03-20 2019-12-17 Brian B. Kim Assembly of a flexible tube and a fitting body and a method thereof
US11816693B2 (en) * 2019-10-30 2023-11-14 Ncr Corporation Loyalty platform integration process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350A (ja) * 2000-04-06 2002-01-09 Itt Mfg Enterp Inc 押えねじ並びにブレーキホース及びブレーキ管の間のねじ込み継手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0480A (en) * 1955-06-23 1958-04-15 Plomb Tool Company Spanner wrench for tubing unions
FR2094278A5 (ko) * 1970-06-16 1972-02-04 Pont A Mousson
US3760659A (en) * 1971-12-30 1973-09-25 Gte Automatic Electric Lab Inc Plug jack nut tool
JPH0171217U (ko) * 1987-10-30 1989-05-12
US4944534A (en) * 1988-10-03 1990-07-31 Mcneil (Ohio) Corporation Frangible male coupling component
US5362109A (en) * 1993-03-22 1994-11-08 Butterworth Jetting Systems, Inc. Quick disconnect for high pressure fluid line
US5509785A (en) * 1994-04-26 1996-04-23 Lin; Solas Y. J. Impeller of motorboat
JP2840204B2 (ja) * 1995-01-19 1998-12-24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流体継手及びその螺着スパナ
US5862725A (en) * 1996-04-18 1999-01-26 Lisle Corporation Antenna nut socket
US5681058A (en) * 1996-08-20 1997-10-28 Hwang; Biing-Yih Assembly for joining a pipe to a pipe fitting
CN1117940C (zh) * 1997-12-23 2003-08-13 沈载英 管接头和与其相结合的阀
US6053079A (en) * 1998-03-23 2000-04-25 Ingalls Engineering Company, Inc. Tool for manipulating threaded ball joint stud locating
JPH11303838A (ja) * 1998-04-20 1999-11-02 Yamano Tekkosho:Kk ナット
JP4029368B2 (ja) * 1998-05-08 2008-01-09 日本ドライブイット株式会社 ボルト締結装置
WO2002063195A2 (en) 2001-02-06 2002-08-15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with separable tube gripping ring
JP2003074769A (ja) * 2001-08-31 2003-03-12 Daikin Ind Ltd 管継手の構造
EP1540228A1 (en) * 2002-09-18 2005-06-15 Swagelok Company Tube fitting with tube gripping ring and sealant
JP2004144215A (ja) * 2002-10-25 2004-05-20 Daikin Ind Ltd ヒートポンプ式給湯機の水配管接続構造体
US20060237962A1 (en) * 2005-04-22 2006-10-26 Anderson Bret M Tool for preparing fitting and conduit connec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5350A (ja) * 2000-04-06 2002-01-09 Itt Mfg Enterp Inc 押えねじ並びにブレーキホース及びブレーキ管の間のねじ込み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35703B (zh) 2012-05-23
CN101535703A (zh) 2009-09-16
US20100032940A1 (en) 2010-02-11
EP2072876A4 (en) 2015-04-22
AU2007337391C1 (en) 2011-02-24
AU2007337391A1 (en) 2008-07-03
JP2008180368A (ja) 2008-08-07
JP4144651B2 (ja) 2008-09-03
KR20090078815A (ko) 2009-07-20
WO2008078683A1 (ja) 2008-07-03
AU2007337391B2 (en) 2011-02-10
EP2072876A1 (en)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538B1 (ko) 관 조인트, 냉동 장치 및 히트 펌프식 온수 장치
JP4026666B1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AU2008298279B2 (en) Duplex pipe fitting, exclusive tool for the duplex pipe fitting, refrigeration system employing the duplex pipe fitting, and separation type air conditioner
KR101270329B1 (ko) 물림식 관 접속 구조, 밸브, 물림식 관 조인트 및 냉동 장치
WO2010010884A1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US20060244257A1 (en) Pipe joint
AU2007303271B2 (en) Pipe joint, refrigeration device, and heat pump-type hot water device
JP4775387B2 (ja) 管継手、冷凍装置及びヒートポンプ式温水装置
JP2009085430A (ja) 管継手及びこれを用いた冷凍装置
WO2010010885A1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その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を用いた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8082373A (ja)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JP4737178B2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085343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4858371B2 (ja) 管継手、冷凍装置、配管接続解除方法
JP4858372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15191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115192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JP2009085342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EP2230434A1 (en) Bite type pipe connection structure, valve, bite type pipe joint, and freezing apparatus
JP2009150443A (ja) 管接続構造、弁、管継手及び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