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628B1 -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628B1
KR101069628B1 KR1020040081250A KR20040081250A KR101069628B1 KR 101069628 B1 KR101069628 B1 KR 101069628B1 KR 1020040081250 A KR1020040081250 A KR 1020040081250A KR 20040081250 A KR20040081250 A KR 20040081250A KR 101069628 B1 KR101069628 B1 KR 10106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otruding piece
wall portion
container body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6725A (ko
Inventor
히데오카마코토
마사노부 이지치
가와기타요시히코
우츠노미야토모유키
후루하시토요히토
모리타요시히코
오오쿠보아키라
Original Assignee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쿠레하 filed Critical 교도 인사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4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포장용 필름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인출된 포장용 필름의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한다.
이 포장용 용기는 롤 모양으로 감겨진 포장용 필름(13)을 수납하는 용기본체(11)과, 용기본체(11)의 후면부의 최상변을 회동축으로 하여 용기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최상변에 연설되어 있는 용기 뚜껑부(12)로 구성된다. 용기본체(11)의 전면부는 저면에 한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전면벽부(20)과 이 길이가 긴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전면벽부(20)에 연설되어 있는 유지면벽부로 구성된다. 유지면벽부는 다른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서 전면벽부 안쪽면(20)에 접착 고정되어 있다.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유지면벽부가 접어 겹쳐진 부분에는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돌출편(15)와 돌출편(15)에 접하는 위치가 뚫어내어져 형성된 구멍부(17,18)이 설치되어 있다.
Figure R1020040081250
포장용 필름, 포장용 용기, 돌출편

Description

포장용 용기{PACKING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 뚜껑부로부터 개봉지퍼(미도시)를 절제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기 뚜껑부를 덮은 것이다.
도 4의 (a)~(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돌출편을 용기본체 전면에서 돌출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돌출편 돌출후의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용기본체의 개구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형태의 제 1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18은 제 7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형태의 제 2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7의 실시형태의 제 3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1은 제 7의 실시형태의 제 3의 포장용 용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2는 도 21에서 나타내는 돌출편의 확대도이고 돌출편의 밑변에 설치한 점선구멍의 이음매를 0.1~0.9mm로 설계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1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4는 제 8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2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3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7은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3의 포장용 용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8은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4의 포장용 용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29는 제 8의 실시형태의 제 5의 포장용 용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 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형태의 제 1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형태의 제 2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 9의 실시형태의 제 3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을 전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 모양으로 감겨진 피포장체, 예컨대 포장용 필름(이른바 랩 필름)으로 대표되는 수지제 필름이나 종이, 알루미늄 호일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포장용 필름은 원통형상의 지관에 롤 모양으로 감겨져 뚜껑부재와 일체가 된 상자 형상의 용기 내에 수납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포장용 필름의 용기에 관련한 종래 기술의 하나로 일본특허 2002-274534호 공보에 개시하는 포장용 용기가 있다. 이 공보에 기재된 용기에서는 포장용 필름을 포장하는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자동적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면부에 설치된 돌출편에 의해 포장용 필름의 선단부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부상된 상태가 되어서 포장용 필름의 가장자리 끝의 위치를 쉽 게 찾아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 특개평9-39978호 공보가 개시하는 포장용 용기에서는 용기의 필름 절단 위치 부근에 튀어오름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 튀어오름 부재의 선단부분을 절단 혹은 절곡하여 용기에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포장용 필름을 뜯기 쉽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공보에 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포장용 필름을 뜯기 쉽게 하기 위하여 용기 전면에서 돌출한 돌출편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돌출편의 돌출과 함께 형성되는 개구부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쉽게 용기 안으로 침입하여 포장용 필름에 부착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거울로 삼아 착안된 것으로 포장용 필름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인출된 포장용 필름의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포장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명에 관련한 표장용 용기는 롤 모양으로 감겨진 피포장체를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후면부의 최상변을 축으로 하여 용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최상변에 연설되어 있는 용기 뚜껑부를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는 저면에 한 쪽의 길리가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전면벽부와 상기 한 쪽의 긴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전면벽부에 절곡선을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유지면벽부를 구비하고, 유지면벽부는 상기 다른 쪽 길이가 긴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기본 체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전면벽부 안쪽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전면벽부에 있어서 유지면벽부가 접어 겹쳐진 부분은 용기본체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돌출편과 그 돌출편에 접하는 위치가 뚫어내어져 형성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돌출편은 상기 돌출편의 최상변이 전면벽부와 유지면벽부와의 절곡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출편의 최상변은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고 상기 돌출편의 밑변은 점선구멍에 의하여 떼어 낼 수 있는 분리편을 통하여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최상변의 길이는 분리편에 연설되어 있는 밑변의 길이보다도 길게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구멍부는 전면벽부에 있어서 돌출편 및 분리편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용기본체의 전면 및 분리편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출편의 최상변은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고 구멍부는 전면벽면에 있어서 돌출편의 밑변에 접하도록 뚫어내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출편의 최상변은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고 구멍부는 전면벽면에 있어서 돌출편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 이외는 절단 가능한 점선구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용기 뚜껑부의 전면 밑변부를 따라서 포장용 필름 절단용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고 커터의 일부가 뚜껑부를 덮을 때에 용기본체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구성되어 있는 경우 돌출편은 뚜껑부를 덮을 때에 커터의 돌출부분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유지면벽부에 있어서 전면벽부에 설치된 돌출편과 겹쳐진 내측 부분의 영역과 전면벽부에 설치된 돌출편의 내측 부분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기부는 돌출편의 가장자리 내부를 따라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 레 중 전면벽부와 유지면벽부와의 절곡선상에 있는 돌출편의 최상변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용 필름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인출된 포장용 필름의 선단을 쉽게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서술한 실시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이 실시형태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의 실시형태)
우선 도1∼도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에 관련한 포장용 용기는 롤 모양으로 감겨진 수지제의 포장용 필름을 피포장체로서 수납하는 용기본체(11)과, 용기본체(11)의 후면부(27)의 최상변(35)를 회동축으로 하여 용기본체(11)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최상변(35)에 연설되어 있는 용기 뚜껑부(12)로 구성된다. 또 용기본체(11)의 전면부는 용기본체(11)의 저면(29)에 한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34)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전면벽부(20)과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34)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33)을 통하여서 전면벽부(20)에 연설되어 있는 유지면벽부(21)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면벽부(21)은 다른 쪽의 길이가 긴 가장자리부(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져서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접착·고정되어진 다. 또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이 접어 겹쳐진 부분에는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돌출편(15)와 그 돌출편(15)에 접하는 위치가 파내어져 형성된 구멍부(17,18)이 설치되어진다. 이와 같이 유지면벽부(21)이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져서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접착 고정되고 유지면벽부(21)이 접어 겹쳐진 전면벽부(20)에는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편(15)와, 그 돌출편(15)에 접하는 위치가 뚫어내어져 형성된 구멍부(17,18)이 설치됨에 따라서 용기본체(11)내에 수납되는 포장용 필름(13)에 대한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용기본체(11)내에서 인출된 포장용 필름(13)의 선단을 쉽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더욱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용기 뚜껑부(12)로부터 개봉지퍼(미도시)를 절제한 후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2는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11)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또 도 3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기 뚜껑부(12)를 덮은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예컨대 두꺼운 종이, 보드지 등의 종이 소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포장용 용기는 한 장의 종이 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러 장의 종이 소재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본체는 적어도 한번 절곡된다 하더라도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는 복원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1∼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용기본체(11)과 용기 뚜껑부(12)로 구성된다. 또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포장용 용기는 거의 직방체 형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용기본체(11)은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면 전체가 거의 장방형의 개구부로서 개방되어 있는 거의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개구면에 대향하는 거의 장방형을 이루는 용기본체(11)의 저면이 되는 저면부(29)의 긴 가장자리 중 하나에는 후면부(27)이 수직으로 연설되어 있다. 후면부(27)에는 용기본체(11)에 있어서 장방형을 이루는 개구면의 가장자리 둘레의 하나인 절곡선(33)을 통하여 용기뚜껑부(12)가 용기본체(11)에 대하여 회동가능하도록 연설되어 있다. 또 포장용 필름(13)은 예컨대 일정한 강도를 갖는 보드지 등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의 심지부재(14)의 원주에 롤 모양으로 감겨져서 용기본체(11)에 수납되어지게 된다.
저면부(29)의 두 개의 길이가 짧은 가장자리에는 거의 정방형의 측면부(25,26)가 각각 수직으로 연설되어 있다. 또 저면부(29)의 다른 긴 가장자리에는 절곡선(34)를 통하여 전면벽부(20)이 연설되어 있다. 전면벽부(20)의 저면부(29)에 연설되어 있지 않은 긴 가장자리에는 절곡선(33)을 통하여 유지면벽부(21)이 연설되어 있다. 또 전면벽부(20)의 두 개의 짧은 가장자리에는 점착편(23,24)가 각각 수직으로 연설되어 있다.
전면벽부(20)에는 거의 동등한 길이의 두 줄의 절개(36, 37)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절개(36, 37)의 각 가장자리의 일단은 절곡선(33)에 달하고 있으며, 타단은 절곡선(34) 방향으로 연장하여 각각 구멍부(17, 18)에 도달하고 있다. 전면벽부(20)상의 타단들 사이에는 절곡선(33)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점선구멍(3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의 절개(36, 37), 절곡선(33), 점선구멍(31)로 둘러싸인 부분에 의하여 돌출편(15)가 형성되어진다. 또 돌출편(15)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절곡선(33)의 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둘레의 길이는 점선구멍(31)에 의하여 형성되는 둘레의 길이보다도 길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돌출편(15)의 복원력이 안정 되어진다.
돌출편(15)에는 점선구멍(31)을 통하여 거의 장방형의 분리편(16)이 연설되어 있다. 분리편(16)의 길이가 긴 변중 돌출편(15)에 연설되어 있지 않은 긴 변에는 점선구멍(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분리편(16)의 두 개의 짧은 변(점착편23,24 연설측)에 접하도록 전면벽부(20)이 뚫어내어져 구멍부(17,18)이 설치된다.
포장용 용기 조립시 유지면벽부(21)은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 내측으로 180°접어 넣어져서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고 유지면벽부(21)이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 때 돌출편(15) 및 분리편(16)에는 접착제가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이어서 점착편(23,24)의 외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절곡선(34)를 따라서
90°절곡하여 접착편(23,24)를 측면부(25,26)의 내측에 각각 접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서 도 2에서 나타내는 포장용 용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조립되어지게 된다.
또 도 1에서와 같이 조립될 때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15,16), 구 멍부(17,18)은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그 뚜껑을 덮은 용기뚜껑부(12)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하여 돌출편(15) 등이 용기뚜껑부(12)로부터 노출되는 일이 없어서 포장용 용기의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용기본체(11)의 전면(전면벽부(20)의 표면)에는 박리 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포장용 필름(13)의 의도하지 않는 인출 및 되감기를 방지하면서 사용자는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를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스토퍼·니스는 바람직하게는 용기본체(11)의 전면부의 절곡선(33) 근방으로서 포장용 용기의 뚜껑을 덮을 때에는 용기뚜껑부(12)에 의하여 커버되는 위치(도포영역19)에 도포된다. 또 돌출편(15)의 표면에 스토퍼·니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를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 인출할 때에 그 인출된 포장용 필름(13)이 용기본체(11)을 구성하는 전면의 도포영역(19)나 돌출편(15)에 접착되어 계지되도록 된다.
또 용기뚜껑부(12)의 전면의 선단 가장자리부에는 포장용 필름(13)을 절단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커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를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 인출한 상태로 도 3에서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고, 용기본체(11)의 전면과 용기 뚜껑부(12)의 전면의 안쪽면 사이에 끼워져서 포장용 필름(13)을 커터(22)에 접촉시킨 체 비틀면서 포장용 용기 외방으로 잡아당김으로써 포장용 필름(13)을 절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도 4를 이용하여서 본 실시형태의 돌출편(15)의 돌출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4의 (a)~(c)는 본 실시형태의 돌출편(15)를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돌출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도 1에서 나타내는 포장용 용기의 돌출편(15) 근방의 확대도이며 돌출편(15)가 돌출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a)에서와 같이 각각 일단이 절곡선(33)에 달하고 타단이 각각 구멍부(17,18)에 도달하고 있는 절개(36,37)과 절곡선(33)과 점선구멍(31)로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돌출편(15)가 형성되어진다. 또 돌출편(15)에는 점선구멍(31)을 통하여 분리편(16)이 연설되어 있다. 분리편(16)은 점선구멍(31,32)와 구멍부(17,18)의 가장자리 둘레로 둘러싸인 부분으로 형성된다.
분리편(16)의 좌우에는 구멍부(17,18)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부(17,18)은 용기본체(11) 전면에서 보아 구멍부(17,18)의 주위 둘레의 일부가 분리편(16)의 주변 둘레를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구멍부(17,18)은 전면벽부(20)이 뚫어져 구성되는 것으로 용기뚜껑부(12)를 열 때에는 유지면벽부(21)의 표면이 드러나게 된다. 이와 같이 구멍부(17,18)이 용기본체(11)의 내부에까지 관통되지 않음에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여 포장용 필름(13)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4의 (b)는 분리편(16)을 절단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멍부(17,18)의 어느 한 쪽에 분리편(16)(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분리면(16)의 가장자리 둘레 를 지지하고 용기본체(11)의 전면 바로 앞으로 잡아당기면서 다른 쪽의 구멍부(손가락 등을 삽입하지 않은 구멍부)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점선구멍(31,32)가 절단되어진다. 이 대로 힘을 계속해서 가하면 점선구멍(31,32)가 완전하게 절단되어서 분리편(16)이 떨어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분리편(16)의 가장자리 둘레를 지지하고 용기본체(11)의 전면 바로 앞으로 잡아당기면서 분리편(16)을 떼어냄으로써 분리편(16)을 절취할 때에 손가락 등에 커터(22)로 인한 상처를 낼 염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4(c)는 분리편(16)을 떼어낸 후의 돌출편(15) 근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분리편(16)이 떼내어지면 도 4의 (c)에서와 같이 돌출편(15)의 선단(돌출편 선단(38))이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개방되어 돌출편(15)가 돌출된다. 이것은 점선구멍(31,32)를 통하여 분리편(16)이 떼내어지게 됨에 따라서 돌출편(15)가 전면벽부(20)으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고 유지면벽부(21)과 동일 평면이 되기 위하여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진 유지면벽부(21)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원하는 힘이 작용하는 것이 그 이유이다. 또 돌출편 선단(38)을 손가락등으로 집어서 유지하면서 용기본체 전면 앞으로 일어서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돌출편(15)를 돌출한 후의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6의 (a)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포장용 용기 길이방향 중앙부(도 5의 점선 A)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6의 (b)는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용기본체(11)의 개구면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5에서와 같이 돌출편(15)는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도면에 대하여 바로 앞으로 돌출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의 표면에 접촉하는 포장용 필름(13)의 중앙 부분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부상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포장용 필름(13)과 용기본체(11)의 전면과의 사이에 공간(39)가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용기본체(11)에서 인출된 포장용 필름(13)이 도5, 도 6에서와 같이 전면벽부(2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된 접착제의 도포영역(19)에서 박리 가능하게 접착되어 계지하도록 이루어져도 또 포장용 필름(13)의 중앙부분이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편(15)의 표면에 도포된 박리 가능한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어 계지되었어도 도 6에서 나타내는 돌출편(15)와 각 도포영역 (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9)에 의하여 포장용 필름(13)(특히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분)을 쉽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포장용 필름(13)을 용기본체(11)로부터 쉽게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의 용기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된 도 2에서 나타내는 절개(36,37)은 절단 가능한 점선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분리편(16)을 용기본체(11)로부터 떼어낸 후 돌출편 선단(38)을 지지하면서 절곡선(33)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점선구멍을 절단하여 돌출편(15)를 전면벽부(20)으로부터 개방시켜서 돌출편(15)를 돌출시키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용기뚜껑부(12)에 커터(22)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예컨대 용기본체(11)의 전면측에 절곡선(33)을 따라서 커터(22)를 취부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설치되는 돌출편(15)의 형상, 돌출편(15)의 개수(복수라도 좋다) 및 돌출편(15)의 용기본체(11) 길이 방향에서의 취부 위치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수납되는 포장용 필름(13)은 수지제 필름뿐만이 아니라 얇은 종이나 알루미늄 호일 등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점선구멍(31,32)를 따라서 절단하고 분리편(16)을 전면벽부(20)로부터 떼어낸다. 이로 인하여 돌출편(15)는 전면벽부(20)에서 개방되어서 전면벽부(20)보다 부상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용기본체(11)의 내부에서 롤 모양으로 감겨진 포장용 필름(13)을 인출하여 그 인출된 포장용 필름(13)이 돌출편(15)의 표면 및 도포영역(19)에 접착 고정된 경우라도 용기본체(11)의 길이방향(절곡선(33)방향)에 있어서 돌출편(15)와 각 도포영역(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39)에 의하여 포장용 필름(13)(특히 포장용필름(13)의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포장용 필름(13)의 선단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분리편(16)의 주위에 구멍부(17,18)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분리편(16)을 떼어낼 때에 분리편(16)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서 손가락 등을 쉽게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 돌출편(15)가 전면벽부(20)과 감합해버려서 돌출편(15)가 전면벽부(20)으로부터 부상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구멍부(17,18)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서 쉽게 돌출편(15)를 전면벽부(20)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전면벽부(20)은 유지면벽부(21)과 두 개로 겹쳐서 구성되어 있다. 유지면벽부(21)의 맨 가장자리는 절곡선(33)을 따라서 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진 경우 적어도 구멍부(17,18) 및 분리편(16)의 분리된 부분보다도 더 저면부(29)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구멍부(17,18)및 분리편(16)이 분리되어진 부분에 의해 용기본체(11)의 내부에까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게 되어서 용기본체(11)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여 포장용 필름(13)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의 실시형태)
이어서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하고 특히 동일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도 7은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8은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의 구조가 제 1의 실시형태와 다른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벽부(20)의 거의 중앙부분이 적어도 손가락이 삽입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뚫어져서 구멍부(5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8에서와 같이 전면벽부(20)에는 두 줄의 절개(53,54)가 절곡선(33)측에서 절곡선(34)측으로 설치되어 있다. 절개(53,54)의 절곡선(33)측의 각 단은 각각 절곡선(33)에 도달하고 있다. 또 절개(53,54)는 그 절곡선(34)측의 끝이 구멍부(52)에 도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돌출편(51)은 상기의 절개(53,54), 절곡선(33) 및 구멍부(52)로 둘러싸인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또 돌출편(51)의 용기본체(11)의 전면측에 박리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용 용기의 조립시 유지면벽부(21)은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180°접어넣어져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되어진다. 이 때 돌출편(51)에는 접착제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유지면벽부(21)이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180°접어넣어지면 전면벽부(20)에서 완전하게 분리된 돌출편(51)이 유지면벽부(21)과 동일 평면이 되기 위하여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진 유지면벽부(21)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원하려는 힘이 작용하여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떠오른 상태가 된다. 또 돌출편(51)의 선단을 손가락 등으로 집어서 지지하면서 돌출편(51)을 용기본체(11)의 전면 바로 앞으로 일으켜 세우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용기본체(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 8에서 나타내는 절개(53,54)를 절단가능한 점선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멍부(52)에서 돌출편(51)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서 돌출편(51)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절곡선(33) 방향으로 힘을 주어서 점선구멍을 절단하여 돌출편(51)을 전면벽부(20)으로부터 개방시켜서 돌출편(51)을 돌출시키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설치되는 돌출편(51) 및 구멍부(52)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을 때에 용기뚜껑부(12)에 의해 커버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지게 된 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유지면벽부(21)이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180°접어 넣어지면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에서 개방되어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부상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용기본체(11)의 내부에서 롤 모양으로 감겨진 포장용 필름(13)을 인출하고 그 인출한 포장용 필름(13)이 돌출편(51)의 표면 및 도포영역(19)에 접착 고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용기본체(11)의 길이방향(절곡선(33)방향)에 있어서 돌출편(51)과 각 도포영역(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하여 포장용 필름(13)(특히 포장용필름(13)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포장용 필름(13)의 선단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51)의 둘레의 일부(돌출편(51)의 밑변)에 접하는 위치에 구멍부(52)가 설치되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돌출편(51)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용이하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과 감합해버려서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부상되지 못한 경우라 하더라도 구멍부(52)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간단하게 돌출편(51)을 전면벽부(20)으로부터 인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전면벽부(20)은 유지면벽부(21)과 두 개로 겹쳐져서 구성된다. 유지면벽부(21)의 맨 가장자리는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에 접어넣어진 경우 적어도 구멍부(52)보다도 더 저면부(29)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구멍부(52)에 의하여 용기본체(11)의 내부에까지 개구부 가 형성되지 않게 됨에 따라 용기본체(11)의 내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여 포장용 필름(13)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 3의 실시예)
다음에는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의 실시형태와 같으며 특히 같은 부호가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도 9는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0은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 근방에 설치된 구멍부의 구조가 제 2의 실시형태와는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면벽부(20)의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분에 절개(65)가 설치되어 있다. 절개(65)의 두 개의 단부는 절곡선(33)까지 도달하고 있다. 또 전면벽부(20)의 거의 중앙부분이 적어도 손가락 끝이 삽입가능한 정도의 사이즈로 뚫어내어져 각각 구멍부(63,64)가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63,64)는 그 둘레의 일부가 적어도 절개(65)에 접하고 있다.
또 돌출편(61)은 상기의 절개(65), 절곡선(33) 및 구멍부(63,64)의 둘레의 일부로 둘러싸인 부분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 돌출편(61)의 용기본체(11)의 전면측에 박리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장용 용기의 조립시 유지면벽부(21)은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 의 내측으로 180°접어넣어서 전면벽부(20)의 안쪽면에 접착제로 접착되어 고정되어진다. 이 때 돌출편(61)에는 접착제 등이 부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유지면벽부(21)이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180°접어넣어지면 전면벽부(20)에서 완전하게 분리된 돌출편(61)이 유지면벽부(21)과 동일평면이 되기 위하여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진 유지면벽부(21)과 평행한 방향으로 복원하는 힘이 작용하고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부상한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도 9에서와 같이 구멍부(63,64)가 연결하여 구멍부(62)가 형성되어지게 된다. 또 구멍부(63,64)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 돌출편(61)의 선단을 손가락등으로 집어 지지하면서 돌출편(61)을 용기본체의 전면 바로 앞에 일으켜 세우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용기본체(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 10에서와 같은 절개(65)를 절단가능한 점선구멍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구멍부(63,64)에서 돌출편(61)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서 돌출편(61)의 선단을 지지하면서 절곡선(33)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점선구멍을 절단하여서 돌출편(61)을 전면벽부(20)으로부터 개방시켜 돌출편(61)을 돌출시키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설치되는 돌출편(61) 및 구멍부(62)(구멍부(63,64))는 용기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용기뚜껑부(12)에 의해 커버될 위치에 설치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용기본체(11)의 전면에 설치되는 도 10에서와 같은 절개(65)의 형상은 거의 U자형으로 하는데 V자형이나 구형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유지면벽부(21)이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180°접어넣어지면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개방되어서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에서 부상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용기본체(11)의 내부에서 롤 모양으로 감겨진 포장용 필름(13)을 인출하고 그 인출한 포장용 필름(13)이 돌출편(61)의 표면 및 도포영역(19)에 접착 고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용기본체(11)의 길이방향(절곡선(33)방향)에 있어서 돌출편(61)과 각 도포영역(19)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의하여 포장용 필름(13)(특히 포장용 필름(13)의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으며 포장용 필름(13)의 선단을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돌출편(61)의 둘레 일부를 형성하는 절개(65)의 일부(돌출편(61)의 양측 둘레)에 접하도록 구멍부(63,64)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돌출편(61)과 유지면벽부(21)과의 사이에 손가락 등을 쉽게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과 감합해버려서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으로부터 부상되지 않은 경우라 하더라도 구멍부(63,64)에 손가락 등을 삽입하여서 쉽게 돌출편(61)을 전면벽부(20)으로부터 일으켜 세우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전면벽부(20)은 유지면벽부(21)과 두 개로 겹쳐져 구성되어 있다. 유지면벽부(21)의 맨 가장자리는 절곡선(33)을 따라서 용기본체(11)의 내측으로 접어넣어진 경우 적어도 구멍부(62)보다도 더 저면 부(29)측으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구멍부(62)에 의하여 용기본체(11)의 내부에까지 관통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용기본체(11)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입하여 포장용 필름(13)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4의 실시예)
이어서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특히 같은 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도 11은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2는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도 3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뚜껑부(12)의 전면의 선단 둘레부(밑변부)에 포장용 필름(13)을 절단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커터(22)가 V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용기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돌출편(15)가 그 V자 형상의 커터(22)의 선단부분(돌출부분(80))에 거의 겹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1에서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저면부(29)방향으로 돌출하는 부분(돌출부분(80))이 돌출편(15)의 형성위치에 겹치지 않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1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전면(전면벽 부(20)의 표면)의 양단측(측면부(25,26)측)의 도포영역(19)에는 박리 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용기본체(11)의 전면 중앙부분의 도포영역(70)에도 스토퍼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를 쉽게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토퍼니스는 용기본체(11)의 전면의 절곡선(33) 근방으로서 포장용 용기의 뚜껑부를 덮었을 때에는 용기 뚜껑부(12)에 의하여 커버되는 위치(도포영역(19,70))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편(15)의 표면에 스토퍼니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용기본체(11)의 전면에 인출되어진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는 용기본체(11)의 전면의 도포영역(19,70)이나 돌출편(15)에 접착되어 계지되어 진다.
용기 뚜껑부(12)의 전면의 선단 가장자리부(밑변부)에는 포장용 필름(13)을 절단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커터(2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커터(22)의 일부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저면부(29) 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1 및 도 12에서 커터(22)는 V자형상으로서 커터(22)의 선단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저면부(29)방향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커터(22)의 일부분이 뚜껑을 덮었을 때에 저면부(29) 방향으로 돌츨하여 있으면 다른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커터(22)는 U자형상, 볼록한 형상 등의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커터(22)의 돌출부분(80)은 층을 하나로 하여도 복수로 하여도 좋아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1 및 도 12에서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 커터(22)는 용기본체(11)의 전면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커터(22)의 일부가 저면벽부(29)방향으로 돌출 할 듯 한 형상으로 구성하였는데, 용기본체(11) 전면의 다른 위치에서 커터(22)의 일부가 돌출하는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1 및 도 12에서는 커터(22)의 돌출부분(80)에 대하여 측면부(26) 측에 돌출편(15)를 형성하도록 구성하였는데 측면부(27) 측 등 다른 위치에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도 12의 전면벽부(20) 상에는 용기본체(12)를 덮었을 때의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15)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형성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포장용 필름(13)이 돌출편(15)의 돌출에 의하여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부상한 상태로 유지되었을 때 그 돌출편(15)에 지지되는 포장용 필름(13)과 커터(22)의 돌출부분(80)(선단부분)과 직접 맞스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포장용 필름(13)의 마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포장용 필름(13)을 용기본체(11) 전면으로 인출하여서 절단할 때에 포장용 필름(13)의 마모에 기인하는 필름 강도가 약화된 부분에서의 불규칙한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5의 실시형태)
이어서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2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특히 같은 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돌출편 및 구멍부의 형성위치를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과 겹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 13 및 도 14를 이용하여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4는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3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전면(전면벽부(20)의 표면)의 도포영역(19,70)에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리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또 돌출편(15)의 표면에 스토퍼니스를 도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용기본체(11)의 전면의 도포영역(19,70)이나 돌출편(15)에 접착되고 계지되어진다.
용기 뚜껑부(12)의 전면의 선단 가장자리부(밑변부)에는 포장용 필름(13)을 절단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커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22)의 일부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저면부(29)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터(22)의 형상 및 돌출부분(80)의 수는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한다. 또 제 4의 실시형태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과 돌출편(51)과의 위치가 겹치지 않으면 돌출부분(80) 및 돌출편(51)의 형성위치는 도 13 및 도 14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의 전면벽부(20)상에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의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15)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형성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장용 필름(13)을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인출하여 절단할 때에 포장용 필름(13)의 마모에 기인하는 필름강도가 약화된 부분에서의 불규칙한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6의 실시형태)
이어서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3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며 특히 같은 부호가 붙어있는 것에 있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돌출편 및 구멍부의 형성위치를 제 4의 실시형태와 똑 같이 하고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과 겹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이용하여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16은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용기본체의 전면부를 전개한 것이다.
도 15에서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용기본체(11)의 전면(전면벽 부(20) 표면)의 도포영역(19,70)에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박리가능한 접착제(스토퍼니스)가 도포되어 있다. 또 돌출편(15)의 표면에는 스토퍼니스를 도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용기본체(11)의 전면에 인출된 포장용 필름(13)의 선단부가 용기본체(11)의 전면의 도포영역(19,70)이나 돌출편(61)로 접착되고 계지되어진다.
용기 뚜껑부(12)의 전면의 선단 가장자리부(밑변부)에는 포장용 필름(13)를 절단하기 위한 톱니형상의 커터(22)가 설치되어 있다. 커터(22)의 일부는 용기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저면부(29)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커터(22)의 형상 및 돌출부분(80)의 수는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제 4의 실시형태와 같이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과 돌출편(61)과의 위치가 겹치지 않으면 돌출부분(80) 및 돌출편(61)의 형성위치는 도 15 및 도 16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도 16의 전면벽부(20) 상에는 용기 뚜껑부(12)를 덮었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위치가 점선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편(61)은 용기 뚜껑부(12)를 덮을 때에 커터(22)의 돌출부분(80)의 형성위치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4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포장용 필름(13)을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 인출하여 절단할 때에 포장용 필름(13)의 마모에 기인하는 필름 강도가 약화된 부분에서의 불규칙한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7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7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상기 제 1∼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과 겹치지 않는 부분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 17∼도 2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제 6의 실시형태와 똑 같이 하며 특히 같은 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 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7에서와 같이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1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서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마주 붙였을 때에 도 18의 (a)에서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되는 부분은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15)와 접촉하게 되고, 도 18의 (a)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72)로 누름력이 가하여지도록 된다. 이것은 도 18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된 부분은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유지면벽부(21)의 다른 부분보다도 전면벽부(20)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졌기 때문에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마주 붙였을 때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압력이 가하여지 게 된다. 이 때문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도 18의 (a)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72)로 누름력이 가하여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마주 붙였을 때에 볼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하기 쉬워지고 도 18의 (b)에서와 같이 돌출편(15)와 연결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어지기 쉬워지며 분리편(16)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서 분리편(16)을 떼어내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되었을 때에 도 18의 (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15)가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만 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돌출편(15)는 그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어진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볼록엠보스(71)은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겹치는 돌출편(15)의 가장자리 내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 더 돌출하기 쉬어지며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지고 분리편(16)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 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한층 더 사라지며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19에서와 같이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되어진다.
도 1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5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 부분이 전면벽부(20)에 형성된 돌출편(51)과 접촉함에 따라서 상술한 도 18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어지며 도 19에서와 같이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이 형성된 절개(53,54)가 절단되기 쉬워지고 돌출편(51)을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53,54)의 일부분에만 점선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록엠보스(71)은 절개(53,54)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 부분에 해당하는 돌출편(51)과 겹치는 영역에 적어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51)이 겹치는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부터 개방된 돌출편(51)이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이 돌출된 정도의 높이 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51)과 인접하는 절개(53,54)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으며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20에서와 같이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6)과 겹치는 위치에 불록엠보스(7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2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6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 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 부분이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61)과 접촉하게 되고 상술한 도 18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어지게 되며 도 20에서 나타내는 절개(65)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을 형성한 절개(65)가 절단되기 쉬워지며 분리편(61)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절개(65)에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65)의 일부분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록엠보스(71)은 절개(65)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 부분에 해당하는 돌출편(61)과 겹치는 영역에 적어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1에서와 같이 돌출편(61)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절곡선(33)에 연설되어 있는 돌출편(61)의 최상변(73)과는 이례적인 돌출편(61)의 밑변(74)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다. 또 볼록엠보스(71)은 유지면벽부(21)이 돌출편(61)의 밑변(74)와 겹치는 영역 근방에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도면 21에서 나타내는 구성의 경우에는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이기 전에는 돌출편(61)은 돌출편(61)의 최상변(73)과 돌출편(61)의 밑변 (74)의하여 전면벽부(20)에 연접되도록 된다. 그리고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인 후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 부분이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61)과 접촉하도록 되고 상술한 도 18의 원리와 같이 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고 도 21에서 나타내는 돌출편(61)의 밑변(74)에 형성한 점선구멍이 절단되어 돌출편(61)을 전면벽부(20)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도 2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편(61)의 밑변(74)에 형성한 점선구멍의 이음매(75)를 0.1∼0.9mm로 설계하여 둠으로써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 붙이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이음매(75)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돌출편(61)을 일으켜 세우는 번거로움을 생락할 수 있게 한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돌출편(6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서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61)이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에 약간 돌출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61)과 인접하는 절개(65)의 부분에서 억지되어 버리는 일도 없으며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부터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4∼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 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함에 따라서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과 접촉하는 돌출편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운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 도 17에서 나타내는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된 구성과 똑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서 도 19에서 나타내는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된 구성과 똑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됨에 따라 도 20에서 나타내는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과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이 형성된 구성과 똑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제 8의 실시형태)
이어서 제 8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7의 실시형태 의 포장용 용기는 상기 제 1∼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과 겹치는 부분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본 실시형태에서의 포장용 용기는 그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측에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 23∼도2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제 6의 실시형태와 똑같은 것으로 하며 특히 동일 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같은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23에서와 같이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되어지게 된다.
도 2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마주붙일 때에 도 24의 (a)에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유지면벽부(21)이 전면벽부(20)의 돌출편(15)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 부분과 접촉하게 되고 도 24의 (a)에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82)로 누름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것은 도 24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의 돌출편(15)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의 부분은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전면벽부(20)의 다른 부분보다도 유지면벽부(21)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맞붙일 때에 볼록엠보스(81)이 구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도 도 24의 (a)에서 나타내는 화살표방향(82)로 누름력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유지면벽부(21)과 전면벽부(20)을 마주붙일 때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며 도 24의 (a)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져서 분리편(16)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 분리편(16)을 떼어내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될 때에 도 24의 (b)에서와 같이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15)는 돌출편(15)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도록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돌출편(15)는 그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 부분에서 억지되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본체(11)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형성되는 볼록엠보스(81)은 돌출편(15)의 가장자리 내부를 따라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하여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더 한층 돌출하기 쉬워지며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지고 분리편(16)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15)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더 한층 사라지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25에서와 같이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되어진다.
도 2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과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를 맞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이 돌출편(5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 부분과 접촉하게 되며 상술한 도 24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며 도 25에서 나타내는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53,54)가 절단되기 쉬워지고 돌출편(51)을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절개(53,54)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볼록엠보스(81)은 절개(53,54)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적어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51)은 돌출편(5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 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에 약간 돌출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51)과 인접하는 절개(53,54)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으며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26에서와 같이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되어진다.
도 2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이 돌출편(6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과 접촉하게 되고 상술한 도 24의 원리와 같이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며 도 26에서 나타내는 절개(65)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을 형성한 절개(65)가 절단되기 쉬워지며 돌출편(61)을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 절개(65)에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65)의 일부분에만 형성하는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볼록엠보스(81)은 절개(65)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적어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27에서와 같이 돌출편(61)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절곡선(33)에 연설되어 있는 돌출편(61)의 최상변(83)과는 이례적인 돌출편(61)의 밑변(84)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한다. 또 볼록엠보스(81)은 돌출편(61)의 밑변(84) 근방에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 도면 27에서 나타내는 구성의 경우에는 전면도면(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이기 전에는 돌출편(61)은 돌출편(61)의 최상변(83)과 돌출편(61)의 밑변(84)에 의하여 전면벽부(20)에 연접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 (21)을 맞붙였을 때에 유지면벽부(21)이 전면벽부(20)의 돌출편(6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과 접촉함에 따라서 상술한 도 24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고 도 27에서 나타내는 돌출편(61)의 밑변(84)에 형성한 점선구멍이 절단되어 돌출편(61)을 전면벽부(20)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돌출편(61)의 밑변(84)에 형성한 점선구멍의 이어짐을 도 22에서 나타내는 돌출편(61)의 밑변(84)에 형성한 점선구멍의 이음매(75)와 마찬가지로 0.1∼0.9mm으로 설계하여 둠에 따라서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를 맞붙이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이음매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서 소비자로부터 돌출편(61)을 일으켜 세우는 번거로움을 미리 제거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61)은 그 돌출편(6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 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약간 돌출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할 때에 그 돌출편(61)과 인접하는 절개(65)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고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표면에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4∼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에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으로써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이 용기본체의 전면으 로 돌출하기 쉬워지는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 4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도 23에서 나타내는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구성과 똑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제 5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5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 도 25에서 나타내는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구성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제 6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됨에 따라서 도 26에서 나타내는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에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구성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7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전면벽부(2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에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으로써 볼록엠보스(81)이 형성된 돌출편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한층 더 돌출하기 쉬워지는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28에서와 같이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면 서 동시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하는 일도 가능하다.
도 2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에 따라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과 전면벽부(20)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이 접촉하게 되며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더 한층 돌출되기 쉬워지며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지고 분리편(16)을 간단하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에 따라 분리편(16)을 떼어내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될 때에 용기본체(11)에서 개방된 돌출편(15)가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볼록엠보스(71)과 돌출편(15)에 형성된 볼록엠보스(8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만큼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할 때에 돌출편(15)는 그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도 29에서와 같이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선상의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 면서 동시에 거의 둥근 모양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하고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같은 모양의 원 형상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장용 용기를 구성하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선상의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둥근 모양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하고 그리고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같은 둥근 모양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으로써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 붙일 때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선상의 볼록엠보스(71)이 전면벽부(20)에 접촉하면서 동시에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둥근 모양의 볼록엠보스(81)이 전면벽부(20)에 형성된 둥근 모양의 볼록엠보스(81)과 접촉되어져서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더 한층 돌출하기 쉬워지고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지며 분리편(16)을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와 겹치는 위치에 선상의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둥근모양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하고 그리고 또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에 대해서도 같은 둥근모양의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에 따라 분리편(16)을 떼어내어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될 때에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된 돌출편(15)가 유지면벽부(21)에 형성된 선상의 볼록엠보스(7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 만큼(또는 유지면벽부(21)에 설치된 둥근 형상의 볼록엠보스(81)과 전면벽부(20)에 형성된 거의 둥근 형상의 볼록엠보스(81)이 돌출한 정도의 높이) 용기본체의 전방에 위치하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된 상태를 중단하지 않고 유지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할 때에 돌출편(15)는 그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분에서 억지되어 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포장용 용기는 유지면벽부(21)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과 겹쳐진 내측 부분의 영역과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의 내측부분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볼록엠보스를 형성함에 따라서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였을 때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쉽게 하는 상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면벽부(20)이나 유지면벽부(21)에 형성하는 볼록엠보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선형상, 원형상, 타원형상 등의 모든 형상의 볼록엠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 9의 실시형태)
이어서 제 9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9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상기 제 1∼제8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을 전면벽부(20) 측으로 접어 넣었을 때의 접음자국이 되는 절곡선(33) 중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과 연접되는 돌출편의 최상변에는 절곡선(33)을 형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30∼도3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 특기하지 않는 한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의 구성 및 기능은 제 1 ∼제 8의 실시형태와 같은 것으로 하며 특히 동일부호가 있는 것에 대해서는 특기하지 않는 한 동일한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30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을 전면벽부(20)측에 접어넣었을 때의 접음자국이 되는 절곡선(33) 중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15)가 절곡선(33)에 연설되어 있는 돌출편(15)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도 30에서와 같이 전면벽부(20)과 절곡선(33) 상에 있는 돌출편(15)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 붙일 때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15)가 전면벽부(20)과 마주 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 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게 되어서 돌출편(15)가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며 돌출편(15)와 연접되는 점선구멍(31)이 절단되기 쉬워지고 분리편(16)을 쉽게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또 돌출편(15)는 전면벽부(20)과 마주 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게 되므로 분리편(16)을 떼어내고 돌출편(15)가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되었을 때에 돌출편(15)는 돌출편(15)와 인접하는 절개(36,37)의 부분에서 억지되어 버리는 일도 없고 용기본체의 전면에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31에서와 같이 제 2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을 전면벽부(20)측에 접어 넣었을 때의 접음자국이 되는 절곡선(33) 중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51)이 절곡선(33)에 연설 되어 있는 돌출편(51)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도 3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과의 절곡선(33) 상에 있는 돌출편(51)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때문에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마주붙일 때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51)이 전면벽부(20)과 마주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게 되어서 돌출편(5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지며 도 31에서 나타내는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53,54)가 절단되기 쉬워지고 돌출편(51)을 쉽게 떼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절개(53,54)에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53,54)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편(51)은 전면벽부(20)과 맞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짐에 따라서 돌출편(51)이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될 때에 돌출편(51)은 그 돌출편(51)과 인접하는 절개(53,54)의 부분에서 억지되어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의 본체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도 3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을 전면벽부(20)측으로 접어 넣었을 때의 접음자국이 되는 절곡선(33) 중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61)이 절곡선(33)에 연설되어 있는 돌출편(61)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을 형성하지 않도록 한다.
도 3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과의 절곡선 (33)상에 있는 돌출편(61)의 최상변(91)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였을 때에 전면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61)이 전면벽부(20)과 맞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 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게 되고 돌출편(61)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되기 쉬워지며 도 32에서 나타내는 절개(65)에 점섬구멍을 형성한 경우에는 그 점선구멍(65)가 절단되기 쉬워지며 돌출편(61)을 쉽게 분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절개(65)에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절개(65)의 일부분에만 점선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돌출편(61)의 밑변에 점선구멍을 형성하고 그 점선구멍의 이어짐 도 22에서 나타내는 돌출편(61)의 밑변에 형성한 점선구멍의 이음매(75)와 마찬가지로 0.1~0.9mm에 설계하여 두면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이는 공정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이음매가 떼내어지게 되므로 소비자에게 돌출편(61)을 일으켜 세우게 하는 번거로움을 미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 돌출편(61)은 전면벽부(20)과 맞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 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기 때문에 돌출편(61)이 용기본체(11)의 전면에서 개방되었을 때에 돌출편(61)은 그 돌출편(61)과 인접하는 절개(65) 부분에서 억지되어 버리는 일도 없으며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는 제 4∼제 8의 실시형태의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전면벽부(20)에 설치되는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과의 절곡선(33) 상에 있는 돌출편의 최상변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면벽부(20)과 유지면벽부(21)을 맞붙였을 때에 전면 벽부(20)에 설치된 돌출편이 전면벽부(20)과 맞붙여진 유지면벽부(21)과 동일평면이 되기 위한 복원력이 커지게 되어서 돌출편이 용기본체의 전면으로 돌출하기 쉬워진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예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형을 취한 형태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제 7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지면벽부(21)에 볼록엠보스(71)을 형성함으로써 유지면벽부(21) 상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유지면벽부(21)상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제 8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면벽부(20)에 볼록엠보스(81)을 형성함으로써 전면벽부(20)상에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전면벽부(20)상에 돌기부가 형성되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면벽부(20)이나 유지면벽부(21)에 볼록 모양의 엠보스를 형성함으로써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는데 전면벽부(20)이나 유지면벽부(21)에 대하여 돌기부를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엠보스 가공은 전면벽부(20)이나 유지면벽부(21)에 쉽게 돌기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전면벽부(20)이나 유지면벽부(21)에 볼록한 모양의 엠보스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한 포장용 용기는 포장용 필름에 대한 이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면서 인출된 포장용 필름의 선단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롤 모양으로 감겨진 포장용 필름을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그 용기본체의 후면부의 최상변을 축으로 하여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최상변에 연설되어 있는 용기 뚜껑부를 구비하는 포장용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가 저면에 한 쪽의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전면벽부와 상기 한 쪽의 긴 가장자리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를 통하여 상기 전면벽부에 절곡선을 통하여 연설되어 있는 유지면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유지면벽부가 상기 다른 쪽의 긴 가장자리를 따라서 용기본체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상기 전면벽부 안쪽면에 접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전면벽부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벽부가 절곡되어 겹쳐진 부분이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에서 돌출하는 돌출편과 그 돌출편에 접하는 위치가 뚫어내어져 형성된 구멍부를 갖으며,
    상기 돌출편이 그 돌출편의 최상변이 상기 전면벽부와 상기 유지면벽부와의 절곡선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최상변이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고 상기 돌출편의 밑변이 점선구멍에 의하여 분리가능한 분리편을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어 있는 최상변의 길이가 상기 분리편에 연설되어 있는 밑변의 길이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부가 상기 전면벽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 및 상기 분리편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 및 상기 분리편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 이외가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최상변이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고 상기 구멍부가 상기 전면벽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밑변에 접하도록 뚫어내어져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최상변이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부에 연설되고, 상기 구멍부가 상기 전면벽부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양측 가장자리에 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이외가 절개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9.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상기 용기본체의 전면에 연설되어 있는 부분 이외가 절단 가능한 점선구멍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뚜껑부의 전면 바닥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포장용 필름 절단용의 커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커터의 일부가 상기 뚜껑부를 덮을 때에 상기 용기 본체의 저면 방향으로 돌출하여 있는 경우,
    상기 돌출편이 상기 뚜껑부를 덮을 때에 상기 커터의 돌출부분과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면벽부에 있어서 상기 전면벽부에 설치된 돌출편과 겹쳐진 내측 부분의 영역과 상기 전면벽부에 설치된 돌출편의 내측부분의 영역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가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내부를 따라서 형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의 가장자리 둘레 중 상기 전면벽부와 상기 유지면벽부와의 절곡선상에 있는 상기 돌출편의 최상변에는 절곡선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용기.
KR1020040081250A 2003-10-15 2004-10-12 포장용 용기 KR101069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5570 2003-10-15
JP2003355570 2003-10-15
JP2003399915 2003-11-28
JPJP-P-2003-00399915 2003-11-28
JPJP-P-2004-00244348 2004-08-24
JP2004244348A JP4326431B2 (ja) 2003-10-15 2004-08-24 包装用フィルム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25A KR20050036725A (ko) 2005-04-20
KR101069628B1 true KR101069628B1 (ko) 2011-10-05

Family

ID=34799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250A KR101069628B1 (ko) 2003-10-15 2004-10-12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326431B2 (ko)
KR (1) KR101069628B1 (ko)
CN (1) CN100579872C (ko)
HK (1) HK1071879A1 (ko)
TW (1) TW2005283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5386B2 (ja) * 2007-02-27 2014-04-09 株式会社クレハ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JP2008239250A (ja) * 2007-02-27 2008-10-09 Kureha Corp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JP2008239251A (ja) * 2007-02-27 2008-10-09 Kureha Corp フラップ付きラップフィルム装置
JP5202977B2 (ja) * 2008-02-05 2013-06-05 株式会社クレハ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そのフィルム保持部形成用ラベル
DE102009030619A1 (de) * 2009-06-25 2010-12-30 Focke & Co.(Gmbh & Co. Kg) Klappschachtel für Zigaretten
JPWO2012063673A1 (ja) * 2010-11-09 2014-05-12 株式会社クレハ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ラップフィルム供給具
JP2012101814A (ja) * 2010-11-09 2012-05-31 Kureha Corp ラップフィルム収納容器およびラップフィルム供給具
JP5698073B2 (ja) * 2011-05-20 2015-04-08 株式会社クレハ 包装媒体収納容器
JP2013086813A (ja) * 2011-10-14 2013-05-13 Kureha Corp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6158529B2 (ja) * 2012-05-28 2017-07-05 株式会社クレハ 包装容器
JP6170353B2 (ja) * 2013-06-24 2017-07-26 共同印刷株式会社 ラップフィルム包装箱
JP6026498B2 (ja) * 2014-12-24 2016-11-16 株式会社クレハ 包装媒体収納容器及び包装媒体供給具
KR101551155B1 (ko) * 2015-01-09 2015-09-07 이기석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JP6181262B2 (ja) * 2016-09-20 2017-08-16 株式会社クレハ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6293950B2 (ja) * 2017-03-22 2018-03-14 株式会社クレハ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534A (ja) 2001-03-15 2002-09-25 Kyodo Printing Co Ltd 包装用容器
JP2002274533A (ja) 2001-03-15 2002-09-25 Furubayashi Shiko Co Ltd 包装用容器
JP2003095254A (ja) 2001-09-26 2003-04-03 Asahi Sekkei Kogyo:Kk ラップ持ち上げ部を具備する食品包装用ラップフィルムの箱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534A (ja) 2001-03-15 2002-09-25 Kyodo Printing Co Ltd 包装用容器
JP2002274533A (ja) 2001-03-15 2002-09-25 Furubayashi Shiko Co Ltd 包装用容器
JP2003095254A (ja) 2001-09-26 2003-04-03 Asahi Sekkei Kogyo:Kk ラップ持ち上げ部を具備する食品包装用ラップフィルムの箱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25A (ko) 2005-04-20
JP2005178901A (ja) 2005-07-07
CN100579872C (zh) 2010-01-13
HK1071879A1 (en) 2005-08-05
TW200528355A (en) 2005-09-01
JP4326431B2 (ja) 2009-09-09
CN1607162A (zh) 2005-04-20
TWI316497B (ko) 200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9628B1 (ko) 포장용 용기
KR101117057B1 (ko) 필름용 수납 상자
RU2533678C2 (ru) Упаковка, содержащая обертку с повторно закрываемым отверстием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упаковки и машина
KR100781305B1 (ko) 포장용 용기
JP4819724B2 (ja) 包装箱
JP2007535449A (ja) タバコ製品の強固なヒンジ式フタ付きパッケージ
EP2151392A1 (en) Film distribution case and case with film
JPH07291269A (ja) 厚紙カートン容器
JPH0664673A (ja) シガレットなどのパック
JP2022156142A (ja) 包装箱
JP2009286447A (ja) 家庭用薄葉紙収納箱
JP2015157638A (ja) 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方法
JP3825458B2 (ja) 保存容器となるブリスターパック
CN110392656B (zh) 收容箱
JP7439612B2 (ja) 包装箱
JP5235167B2 (ja) 紙製品の罫線構造および該罫線構造を用いた紙製品
JP4625309B2 (ja) 表示機能付包装箱
KR102505933B1 (ko) 친환경 테이프리스 포장용 박스
JPH05310244A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ケース
JP2006335375A (ja) 包装用容器
JP6010351B2 (ja) 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の製造方法及びラップフィルム収納箱
JP2007331773A (ja) 減容化カートン
JP4549567B2 (ja) カートン
JP2006056578A (ja) 容器
EP1810928A1 (en)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