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155B1 -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155B1
KR101551155B1 KR1020150093170A KR20150093170A KR101551155B1 KR 101551155 B1 KR101551155 B1 KR 101551155B1 KR 1020150093170 A KR1020150093170 A KR 1020150093170A KR 20150093170 A KR20150093170 A KR 20150093170A KR 101551155 B1 KR101551155 B1 KR 101551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late
cut
cutt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이승준
Original Assignee
이기석
이승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이승준 filed Critical 이기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155B1/ko
Priority to US15/542,45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273278A1/en
Priority to JP2017555188A priority patent/JP2018504332A/ja
Priority to PCT/KR2016/000144 priority patent/WO2016111564A1/ko
Priority to CN201680013922.3A priority patent/CN107405777A/zh
Priority to EP16735185.7A priority patent/EP3243761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52Devices for discharging successive articles or portions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stationary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 B65D85/671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 B65D85/6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web or tape-like material wound in flat spiral form on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65H16/005Dispensers, i.e. machines for unwinding only parts of web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65H35/06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from or with blade, e.g. shear-blad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2Materials or surface treatments therefor, e.g. composit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arton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또는 채소, 과일 등을 냉장고 등에 보관하고자 하거나 운반할 때 냄새의 발산억제와 신선도 및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루말 이 형태의 랩핑재(Wrapping材)가 포장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의 재질 및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커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랩핑재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절취(截取)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51)가 전면판(57), 저면판(65), 배면판(64), 덮개(58), 복수 개의 측판으로 구성된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로 본체(5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51)를 구성하는 전면판(57)과 연이어 형성되는 내향절곡편(56)의 절곡부위인 꺾임부에는 절단돌기(52)를 연결편(53)에 의해 상호 이격되면서 연속적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본체(51)에 담긴 랩핑재가 꺾임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절단돌기(52)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Case having a function of Cutting Wrapping Materials}
본 발명은 음식물 또는 채소, 과일 등을 냉장고 등에 보관하고자 하거나 운반할 때 냄새의 발산억제와 신선도 및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두루말 이 형태의 랩핑재(Wrapping材)가 포장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케이스의 재질 및 구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여 별도의 커터를 사용하지 않고도 랩핑재를 정확하고 편리하게 절취(截取)할 수 있도록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음식물 또는 채소, 과일 등)포장 등에 사용되는 랩핑재로는 합성수지제의 랩 필름, 알루미늄 호일, 부엌용 종이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램핑재는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작된 후 롤 형태로 감겨 종이재질로 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판매되는데, 사용자는 롤 형태로 감긴 랩핑재(이하 '시트'라 함)를 필요한 양만큼 인출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케이스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 측에는 톱니 모양의 절단 날이 구비된 금속재질의 커터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덮개를 열고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잡아당겨 인출한 다음 커터의 절단 날에 접촉시킨 후 아래로 당김으로써, 시트를 절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는 시트를 금속재질의 절단 날에 의해 절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주의로 손이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음은 물론이고 시트를 절취하는 과정에서 케이스로부터 시트가 이탈되거나 절취하는 순간 시트가 케이스 내에서 움직여 직선 형태로 절취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타입의 케이스가 일본 공개특허공보(특개2003-175488호)에 공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톱날 부착 수납 취출용기의 전개도로써, 용기 본체(A)와 이것에 연설된 용기 본체(A)의 상면 개구부를 덮는 덮개체(B)가, 예를 들면 두꺼운 종이나 판지 등의 블랭크(P)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블랭크(P)에는, 도 2의 전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A)를 구성하는 전면부(A1), 저면부(A2), 후면부(A3) 및 좌우 측면부(A4)가 절선을 통하여 연설됨과 아울러, 덮개체(B)를 구성하는 상측 덮개부(B1), 전측 덮개부(B2) 및 좌우측 덮개부(B3)가 절선을 통하여 연설되어 있다.
상기 전측 덮개부(B2)의 선단에 톱니 형상 절단선(1)을 사이에 두고 절제편(B4)이 연설되어 있으며, 상기 톱니 형상 절단선(1)은 블랭크(P)의 재단 시에 후술하는 닉(nick)(3)과 함께 펀칭 가공된다.
또한, 상기 톱니 형상 절단선(1)의 도중에는, 상기 톱날(2)의 각 산형 칼날(2a)보다도 큰 톱니(3)가 복수 개 설치되어 있고, 이들 톱니(3…)의 선단에 형성된 닉(3a…)에 의해서 블랭크(P)를 접어 구부림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당해 톱니(3…)의 닉(3a…)을 톱니 형상 절단선(1)이 대향하는 절단면(1a)(1b)의 어느 하나의 일방에서 타방으로 향하여 돌출시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톱니(3…)의 형상은, 도시 예의 경우, 톱날(2)의 각 산형 칼날보다도 큰 산으로 나타내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대략 반원형 등, 다른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톱날 부착 수납 취출 용기의 제조 과정에 있어서, 상기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양 절단면(1a)(1b) 및 톱니(3…)의 닉(3a…)을 경계로 하여 블랭크(P)가 접혀 겹쳐짐으로써,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양 절단면(1a)(1b)을 각각 2단 형상으로 노출시킴과 아울러,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양 절단면(1a)(1b)이 노출 상태에서 당해 노출 부분에 경화성 수지(R)를 도포하여 경화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B)의 전측 덮개부(B2)와 절제편(B4)을 접어 겹쳐서 절제편(B4)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과 덮개체(B)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b)을 각각 노출시킴과 아울러, 이들 노출되는 양 절단면(1a)(1b) 및 그것에 연속하는 블랭크(P)의 표리 양면에, 예를 들면 롤러나 솔 등의 도포 수단(R1)으로 경화성 수지(R)가 띠 형상으로 도포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절제편(B4)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에서 덮개체(B)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b)으로 향하여 톱니(3…)의 닉(3a…)을 돌출시키고, 그들을 경계로 하여 절제편(B4)과 덮개체(B)의 전측 덮개부(B2)가 접혀 겹쳐진 상태에서, 절제편(B4)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보다, 톱날(2)이 형성되는 덮개체(B)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b)을 2단 형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또, 상기 경화성 수지(R)로서는, 그 경화 시간을 짧게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나 아크릴 에폭시 공중합체나 아크릴 우레탄 공중합체 등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나 동종의 일렉트론 빔(EB)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포된 경화형 수지는 자외선이나 일렉트론 빔을 조사하여 경화된다.
다음에, 이러한 톱날 부착 수납 취출 용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체(B)의 전측 덮개부(B2)와 절제편(B4)이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양 절단면(1a)(1b) 및 톱니(3…)의 닉(3a…)을 경계로 하여 접혀 겹쳐진다.
그에 따라, 절제편(B4)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과, 덮개체(B)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b)이 각각 노출된다.
그리고, 노출된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양 절단면(1a)(1b) 및 그것에 연속하는 블랭크(P)의 표리 양면에, 도포 수단(R1)으로 경화성 수지(R)가 띠 형상으로 도포되면, 경화성 수지(R)가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1b) 전체로 침투하게 된다.
그 결과, 간단한 수지 도포 방법이라도 톱날(2)의 선단면이 확실하게 경화된다.
또한, 절제편(B4)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a)보다, 톱날(2)이 형성되는 덮개체(B)측의 톱니 형상 절단선(1)의 절단면(1b)을 2단 형상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경화성 수지(R)가 도포된다.
그에 따라, 톱날(2)측의 절단면(1b) 및 그것에 연속하는 블랭크(P)의 표리 양면으로 경화성 수지(R)가 충분히 침투되므로 톱날(2)의 선단 전체를 확실하게 경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000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74588호(2003.06.24.공개)
(특허문헌 0002)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9-012036호(1997.01.14.공개)
(특허문헌 0003)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00744(2011.01.24.공개)
(특허문헌 0004)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20-0213804(2000.12.05.등록)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케이스는 톱니 형상 절단선 및 톱니의 닉을 경계로 하여 블랭크가 접어 겹쳐지고, 상기 톱니 형상 절단선의 양 절단면을 각각 단차 형상으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당해 노출 부분에 경화성 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톱날의 선단면을 확실하게 경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지만,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첫째, 종이재질로 이루어진 블랭크에 톱니 형상 절단선의 양 절단면이 결화성 수지로 도포되어 있지만, 견고한 강도를 유지하는데 한계가 있어 시트를 직선으로 절취할 수 없게 된다.
둘째, 유통 또는 보관 중에 부주의로 블랭크가 변형될 경우 커터로써 기능을 상실하게 되므로 시트를 절취할 수 없게 된다.
셋째, 커터가 종이의 표면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됨에 따라 랩이나 호일 등 비교적 얇은 시트의 절취는 가능하나, 종이 시트는 절취가 불가능하다.
넷째, 커터가 종이의 표면에 경화성 수지가 도포되어 형성됨에 따라 내구성이 떨어지므로 케이스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다섯째, 본체에 내장된 시트를 절취하고 나면 전측 덮개부를 들어주어야만 시트를 계속해서 인출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이 번거롭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한 것으로, 케이스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하고 본체를 구성하는 꺾임부에는 내구성을 갖는 절단돌기를 일체로 형성하여 케이스를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시트를 항상 일직선으로 절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의 덮개 및 내향 절곡편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전면판에는 수용공간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가동편을 형성하여 덮개를 반복적으로 개폐하지 않고도 본체로부터 시트를 연속적으로 인출하면서 절취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본체가 전면판, 저면판, 배면판, 덮개, 복수 개의 측판으로 구성된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로 본체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를 구성하는 전면판과 연이어 형성되는 내향절곡편의 절곡부위인 꺾임부에는 절단돌기를 연결편에 의해 상호 이격되면서 연속적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본체에 담긴 랩핑재가 꺾임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절단돌기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커터의 기능을 하는 절단돌기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시트가 내장되는 케이스가 도 4와 같이 직육면체형태를 완벽하게 유지함에 따라 절단돌기가 형성되는 꺾임부도 항상 직선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힘을 가해 시트를 절취하더라도 꺾임부의 형태가 변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를 항상 직선으로 절취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케이스가 견고한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완벽한 직육면체형태를 취하고 있어 유통 또는 보관 중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케이스가 쉽게 변형되지 않는다.
셋째, 커터의 기능을 하는 절단돌기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후가공을 하지 않고도 호일은 물론이고 질긴 종이 시트도 손쉽게 절취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케이스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내구성이 뛰어나 시트만을 구입하여 케이스를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경제적이다.
다섯째, 본체에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보관하였다가 덮개를 개방하지 않고도 시트를 인출하여 절취하게 되므로 그 사용이 편리한 이점을 갖는다.
여섯째, 시트를 절취할 때 본체에 담겨진 시트를 손가락으로 누른 상태에서 절취하므로 시트의 감겨진 양에 구애받지 않고 시트를 직선으로 절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써,
도 1a는 톱날 부착 수납 취출용기를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1b는 경화성 수지를 도포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톱날 부착 수납 취출용기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스를 나타낸 전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
도 6은 도 5의 절첩선을 기준으로 절곡하여 절단돌기가 상향 돌출되도록 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B - B선 단면도
도 8은 도 4의 C - C선 단면도
도 9는 도 4의 D - D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B"부 확대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케이스를 나타낸 전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부 확대도로써, 본 발명은 케이스를 구성하는 본체(51)의 재질이 종래와는 달리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51)의 꺾임부에는 절단돌기(52)가 연결편(53)에 의해 상호 이격되면서 연속적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 본체(51)에 담긴 랩핑재를 절단돌기(52)에 의해 절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돌기(5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소재를 프레싱(pressing)할 때 별도의 커터(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꺾임부에 동시 형성되어 절첩선(54)을 따라 본체(51)를 절첩함에 따라 도 6과 같이 상향 돌출된다.
상기 절단돌기(5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면에 수직면(52a)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면에는 기울어진 경사면(52b)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웃하는 절단돌기(52)는 연결편(53)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꺾임부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단돌기(52)의 일면은 수직면(52)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면은 소정의 각도(θ) 기울어진 경사면(52b)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면의 각도(θ)가 30°이하면 절단돌기(52)의 사이가 좁아 공구를 이용하여 절단돌기(52)를 형성하는 커터를 가공할 수 없게 되고, 40°이상이면 절단돌기(52)의 사이가 멀어 시트(55)의 절취성능이 떨어지게 되므로 경사면(52b)을 30-40°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단돌기(52)가 형성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첫 번째 꺾임부 또는 두 번째 꺾임부로 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나타낸 도 4와 같이 절단돌기(52)를 내향절곡편(56)과 전면판(57)의 절곡부위인 첫 번째 꺾임부에 전체적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절단돌기(52)의 돌출높이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1.5-2.0mm 로 설정되어 있는데, 만약 돌출높이가 1.5mm 이하이면 피치가 너무 좁아 시트(55)의 절취성능이 떨어지며, 이와는 반대로 2.0mm 이상이면 피치가 너무 넓어 절취면이 거칠어지게 된다.
상기 본체(51)의 재질은 인체에 무해한 폴리프로필렌(PP : 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하고, 두께는 0.4-0.45mm로 하는 것이 절단돌기(52)의 내구성을 유지하면서 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게 되므로 보다 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면판(57)에 내향절곡편(56)을 연장되게 구성하여 덮개(58)에 의해 개방되는 상부의 일부가 내향절곡편(56)에 의해 폐쇄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때, 상기 내향절곡편(56)에 하향절곡부(56a)를 형성하면 본체(51)로부터 인출되는 시트(55)를 상기 하향절곡편(56a)이 도 7과 같이 눌러주게 되므로 시트(55)를 보다 안정적으로 인출하면서 절단돌기(52)에 의해 절취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본체(51)의 양단에 제1, 2 보조측판(60)(61)을 갖는 제1 측판(59)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측판(59)에는 걸림공(59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향절곡편(56)의 양단에 제2 측판(6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측판(62)에는 제3 보조측판(66)이 절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때 상기 제3 보조측판(66)에는 엠보싱(embossing)돌기(66a)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덮개(58)의 양단에는 제1 측판(59)에 형성된 걸림공(59a)에 걸려 본체(51)가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도록 탄성편(63a)을 갖는 체결편(63)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9와 같이 제1, 2 측판(59)(62)의 절첩선(54)을 따라 제1, 2, 3 보조측판(60)(61)(66)을 각각 90°로 접은 다음 전면판(57) 및 저면판(65)을 절첩선(54)을 따라 90°로 접은 후, 제2 보조측판(66)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3 보조측판(66)을 위치시키면 제2 측판(62)은 자동적으로 제1 측판(59)의 내측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보조측판(60)을 제2 측판(62)의 내측면에 밀착시키면 제1 보조측판(60)의 하단이 제3 보조측판(66)에 형성된 엠보싱돌기(66a)에 걸려 지지되므로 내향절곡편(56) 및 전면판(57) 그리고 저면판(65)에 의해 배면이 개방된 함체가 완성된다.
그 후, 본체(51)의 내부 공간에 시트(55)를 집어넣은 다음 끝단이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면판(64) 및 덮개(58)를 덮고 체결판(63)에 형성된 탄성편(63a)을 제1 측판(59)에 형성된 걸림공(59a)에 걸어주면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스 조립이 완료된다.
한편, 상기 본체(51)를 구성하는 덮개(58) 및 내향절곡편(56)의 중간부위에 수용공간(67a)(67b)이 각각 중첩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면판(57)에는 수용공간(67a)(67b)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는 가동편(68)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내향절곡편(56)에 형성되는 수용공간(67b)의 폭(b1)을 가동편(68)의 폭(b2)보다 넓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가동편(68)을 눌렀을 때 수용공간(67b)의 내부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동편(68)의 형상은 상광하협된 형상으로 끝부분에 통공(69)이 형성되는데, 이는 가동편(68)을 반복적으로 누르더라도 끝부분에서 절개되는(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부위는 절단선(70)이고 점선으로 나타낸 부위는 절첩선(54)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트형태의 합성수지 소재를 프레싱(pressing)하면 시트가 소정의 형상으로 절단선(70)을 따라 절단됨과 동시에 절첩선(54)이 눌리고 내향절곡편(56)과 전면판(57)의 절곡부위인 꺾임부에는 별도의 커터(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절단돌기(52)가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프레싱하고 나면 절첩선(54)을 따라 덮개(58), 배면판(64), 저면판(65), 전면판(57) 그리고 내향절곡편(56), 하향절곡부(56a)를 차례로 절첩함과 동시에 또 다른 절첩선(54)을 따라 제1 측판(59) 및 제1, 2, 3 보조측판(60)(61) 그리고 제2 측판(62) 및 제3 보조측판(66), 체결편(63)을 각각 접는다.
그 후, 절첩선(54)을 따라 제1 측판(59)으로부터 90°접혀진 제2 보조측판(61)이 전면판(57)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 다음 내향절곡편(56)을 접어 제2 측판(62)으로부터 90°접혀진 제3 보조측판(66)이 제 2 보조측판(61)과 밀착되도록 한 후 제1 보조측판(60)을 제2 측판(62)과 밀착시키면 상기 제 1 보조측판(60)의 하단이 엠보싱돌기(66a)에 걸리게 되는데, 이러한 조립작업은 본체(51)의 양측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2 측판(59)(62) 및 제1, 2, 3 보조측판(60)(61)(66)의 조립작업이 완료되고 나면 내향절곡편(56) 및 전면판(57) 그리고 저면판(65)에 의해 배면이 개방된 함체가 완성되므로 상기 함체의 내부에 사용하고자 하는 시트(585)를 넣어 끝단이 함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면판(64) 및 덮개(58)를 덮고 체결편(63)에 형성된 탄성편(63a)을 제1 측판(59)에 형성된 걸림공(59a)에 걸어주므로써 포장상자의 조립작업이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51)에 수용된 시트(55)를 절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필요한 길이만큼 시트를 인출하는데, 이때에는 시트(55)의 외주면에 내향절곡편(56)의 하향절곡부(56a)가 긴밀히 접속되어 있어 시트(55)가 안정적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시트(55)를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하고 나면 한 손으로 덮개(58)를 눌러준 다음 다른 한 손으로 시트(55)를 잡고 하방으로 눌러주면 시트(55)가 꺾임부에 형성된 합성수지재질의 절단돌기(52)에 의해 일직선으로 깨끗하게 절취된다.
상기 본체(51)로부터 시트(55)를 필요한 길이만큼 인출하여 절취하고 나면 나머지 시트(55)가 덮개(58) 및 하향절곡부(58a)에 의해 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는 현상 또한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된 시트(55)를 다시 인출하여 절취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따라 가동편(68)을 내측으로 일점쇄선과 같은 형태로 눌러 가동편(68)이 수용공간(67a)(67b)에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덮개(58)를 열지 않고도 본체(5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시트(55)의 "K"부분을 잡고 화살표방향을 따라 잡아당겨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51 : 본체 52 : 절단돌기
52a : 수직면 52b : 경사면
53 : 연결편 54 : 절첩선
55 : 시트 56 : 내향절곡편
56a : 하향절곡부 57 : 전면판
58 : 덮개 59 : 제1 측판
60, 61 : 제1, 2 보조측판 62 : 제2 측판
63 : 체결판 64 : 배면판
65 : 저면판 66 : 제3 보조측판
67a, 67b : 수용공간 68 : 가동편

Claims (8)

  1. 본체(51)가 전면판(57), 저면판(65), 배면판(64), 덮개(58), 복수 개의 측판으로 구성된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에 있어서, 합성수지재질로 본체(51)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51)를 구성하는 전면판(57)과 연이어 형성되는 내향절곡편(56)의 절곡부위인 꺾임부에는 절단돌기(52)를 연결편(53)에 의해 상호 이격되면서 연속적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본체(51)에 담긴 랩핑재가 꺾임부에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절단돌기(52)에 의해 절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돌기(52)의 일면은 수직면(52a)으로 형성하고 다른 일면은 30-40°기울어진 경사면(52b)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돌기(52)의 돌출높이는 1.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51)의 재질은 PP 또는 PET이고, 두께는 0.4-0.4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5. 삭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58) 및 내향 절곡편(56)에 수용공간(67a)(67b)을 형성하고 전면판(57)에는 수용공간(67a)(67b)의 범위에서 이동하는 가동편(68)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향절곡편(56)에 하향절곡부(56a)를 더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51)를 구성하는 전면판(57) 및 배면판(60)의 양측에 제1, 2 보조측판(60)(61)을 갖는 제1 측판(59)을 형성하여 상기 제1 측판(59)에 걸림공(59a)을 각각 형성하고 전면판(57)과의 꺾임부에 걸림돌기(52)가 형성되는 내향절곡편(56)에는 제3 보조측판(66)을 갖는 제2 측판(62)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보조측판(66)에 엠보싱돌기(66a)를 형성하며, 덮개(58)의 양단에는 걸림공(59a)에 걸리는 탄성편(63a)을 갖는 체결판(63)을 형성하여 제1 보조측판(60)의 하단이 엠보싱돌기(66a)에 걸려 지지되도록 함과 함께 상기 체결판(63)의 탄성편(63a)이 제1 측판(59)의 걸림공(59a)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KR1020150093170A 2015-01-09 2015-06-30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KR101551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42,450 US20180273278A1 (en) 2015-01-09 2016-01-07 Case having wrapping material cutting function
JP2017555188A JP2018504332A (ja) 2015-01-09 2016-01-07 ラッピング材切断機能を有するケース
PCT/KR2016/000144 WO2016111564A1 (ko) 2015-01-09 2016-01-07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CN201680013922.3A CN107405777A (zh) 2015-01-09 2016-01-07 具有包装材料截取功能的箱体
EP16735185.7A EP3243761A4 (en) 2015-01-09 2016-01-07 Case having wrapping material cutting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03451 2015-01-09
KR1020150003451 2015-0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155B1 true KR101551155B1 (ko) 2015-09-07

Family

ID=54247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170A KR101551155B1 (ko) 2015-01-09 2015-06-30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273278A1 (ko)
EP (1) EP3243761A4 (ko)
JP (1) JP2018504332A (ko)
KR (1) KR101551155B1 (ko)
CN (1) CN107405777A (ko)
WO (1) WO20161115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477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우신카펜 랩 절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488A (ja) * 2001-12-11 2003-06-24 Furubayashi Shiko Co Ltd 鋸刃付き収納取り出し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830A (en) * 1980-04-14 1982-08-31 The C. W. Zumbiel Company Dispenser carton
US4399935A (en) * 1981-02-11 1983-08-23 Nelder Barbara L Carton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a cutting edge therefor
JPH0643113B2 (ja) * 1990-02-26 1994-06-08 享男 山本 箱包装用プラスチック基材
JPH04339756A (ja) * 1991-05-10 1992-11-2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ップフィルム用カートン
JPH06239338A (ja) * 1993-02-12 1994-08-30 Toppan Printing Co Ltd 砥石粒刃付のラップフィルム収容紙箱
JPH0912036A (ja) * 1995-06-30 1997-01-14 Dainippon Printing Co Ltd 滑り止め付きラップカートン
KR200217609Y1 (ko) * 2000-08-29 2001-03-15 대아인쇄주식회사 톱날 일체형 케이스
JP4326431B2 (ja) * 2003-10-15 2009-09-09 株式会社クレハ 包装用フィルム容器
US20120132686A1 (en) * 2009-05-19 2012-05-31 Elash Henry Mathew Inside drawer mounted food wrap cutter
KR200467084Y1 (ko) * 2011-07-19 2013-05-27 한국후지기계 주식회사 포장 랩 또는 알루미늄 호일 절단기구
GB201119613D0 (en) * 2011-11-14 2011-12-28 Carton Edge Ltd A box and a blank for erection to a box
KR20130000100U (ko) * 2012-04-30 2013-01-03 주식회사 지피피 쿠킹호일 포장박스
KR101421972B1 (ko) * 2013-05-22 2014-07-23 김대현 롤형 시이트 포장 케이스
CN105108766A (zh) * 2015-08-31 2015-12-02 广西大学 夹持式机械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5488A (ja) * 2001-12-11 2003-06-24 Furubayashi Shiko Co Ltd 鋸刃付き収納取り出し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477A (ko) * 2021-01-25 2022-08-02 주식회사 우신카펜 랩 절단 장치
KR102577271B1 (ko) 2021-01-25 2023-09-19 주식회사 우신카펜 랩 절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405777A (zh) 2017-11-28
WO2016111564A1 (ko) 2016-07-14
EP3243761A1 (en) 2017-11-15
US20180273278A1 (en) 2018-09-27
JP2018504332A (ja) 2018-02-15
EP3243761A4 (en) 2018-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94688B2 (en) Roll-dispensed stock container
CA2437925C (en) Flip-top box
US20110209594A1 (en) Dispenser For A Roll Of Sheet Material
US20230056530A1 (en) Cutter and Roll-Dispensed Stock Container
JP6271783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JPH05262349A (ja) 堅実な蓋閉鎖を容易にする保持カット付シガレットパック
KR101551155B1 (ko)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
RU2427519C1 (ru)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HU224982B1 (en) Container comprising a slide cover
EP3736221B1 (de) Bürstenproduktverpackungsvorrichtung und trayverpackung zu einer aufnahme von zumindest zwei bürstenproduktverpackungsvorrichtungen
KR101907354B1 (ko) 랩절단 커터가 감춰지는 랩케이스
KR101702347B1 (ko) 포장박스
US20200255180A1 (en) Removable end cap
JP6181262B2 (ja) 巻回体収容箱及び巻回体入り収容箱
WO2005044675A1 (fr) Etui comprenant une face rigide et une face souple pouvant etre ferme et maintenu a l'etat ferme
JP7353100B2 (ja) 巻回体の収容箱及び収容装置
KR100737431B1 (ko) 커터를 갖춘 랩 케이스
KR200392331Y1 (ko) 포장 랩 절단장치
JP2018027807A (ja) 収納箱
JPS6121370Y2 (ko)
EP3296221A1 (en) Film storage container, film, film roll, and film storage body
JP5669138B2 (ja) ロール状フィルムの収納箱
JPH0733139A (ja) ラップフイルムの収納箱
KR20190014345A (ko)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JP2020011770A (ja) 蓋付きコンテナおよびコンテナ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