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345A -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 Google Patents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345A
KR20190014345A KR1020170098027A KR20170098027A KR20190014345A KR 20190014345 A KR20190014345 A KR 20190014345A KR 1020170098027 A KR1020170098027 A KR 1020170098027A KR 20170098027 A KR20170098027 A KR 20170098027A KR 20190014345 A KR20190014345 A KR 20190014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se
side plate
flap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석
Original Assignee
이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석 filed Critical 이기석
Priority to KR1020170098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345A/ko
Publication of KR20190014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3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47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 B65D83/085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82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at the junction of two walls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and for cutting interconnec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견고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파지부를 통하여 용이하게 다룰 수 있다. 투명 플라스틱 시트로 일체로 성형되므로 대량 제작에 유리하며, 외관이 미려하다.

Description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Case having function of wrap cutting}
본 발명은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랩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절취할 수 있으며 조립과 제작이 간편한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포장 등에 사용되는 랩으로는 합성수지제의 랩 필름, 알루미늄 호일, 부엌용 종이 시트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랩은 얇은 시트 형상으로 제작된 후 롤 형태로 감겨 종이 재질로 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어 판매되는데, 사용자는 롤 형태로 감긴 랩을 필요한 양만큼 인출한 후 절단하여 사용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져 있고 덮개를 여닫을 수 있는 직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에는 톱니 모양의 절단 날이 구비된 금속재질의 커터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는 상기 덮개를 열고 시트를 필요한 길이만큼 잡아당겨 인출한 다음 커터의 절단 날에 접촉시킨 후 아래로 당김으로써, 시트를 절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스는 시트를 금속재질의 절단 날에 의해 절취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부주의로 손이 찢어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시트를 절취하는 과정에서 케이스로부터 시트가 이탈되거나 절취하는 순간 시트가 케이스 내에서 움직여 직선 형태로 절취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출원인은 한국 특허 등록 제1551155에서 전면판, 저면판, 배면판, 덮개 및, 복수 개의 측판으로 구성된 랩핑재 절취기능을 갖는 케이스를 게시하였다. 전면판과 연이어 형성되는 내향절곡편의 절곡부위인 꺾임부에는 절단돌기를 상향 돌출되게 형성하여 본체에 담긴 랩핑재가 꺾임부에 상향 돌출 형성된 절단돌기에 의해 절단된다.
그런데 이 특허는 편리한 랩 절단 기능에도 불구하고, 측면판 구조가 커 조립 시 측면판이 과도하게 밀집되어 측면 여유 공간이 없는 결과 케이스 전체적으로 조립이 불편하고 케이스 치수를 정확히 맞추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 측면에 내부와 연통하는 개방 공간이 없어 케이스 내부의 랩 위치를 조정하기 어렵고 랩을 수용한 케이스를 파지하기 불편하며, 랩 교체 시 케이스의 개방과 폐쇄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개선된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며 절첩선을 경계로 구분되는 제 1플레이트, 제2플레이트, 제 3플레이트 및 제 4플레이트; 제 4플레이트와 연속하여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속하여 형성된 누름부; 제 4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톱니 형상의 날카로운 엣지가 연속 형성된 절취부; 제 1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1측면플레이트; 제 2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2측면플레이트; 제 3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3측면플레이트; 제 4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4측면플레이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케이스 내부의 랩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간격을 제공하며, 상기 누름부는 권취되어 인출되는 랩을 누르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케이스의 원활한 측면 조립을 위하여, 제 1측면플레이트와 제 2측면 플레이트 사이 및 제 2측면플레이트와 제 3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소정 크기의 여유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3측면플레이트에는 중앙의 접는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곡선형의 절단선에 의하여 제 1플랩이 제공되며, 제 1플랩은 상기 접는선을 기준으로 접혀질 수 있다.
상기 제 4측면플레이트에는 중앙의 접는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곡선형의 절단선에 의하여 제1 플랩보다 작은 제 2플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 4측면플레이트의 한 쪽에는 절단선으로 경계 지워진 초승달 모양의 곡면부와, 곡면부를 가로 지르는 접는선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한 보조플랩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와 보조플랩은 잠금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케이스의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차례로 제 3측면플레이트, 가이드 측면플레이트 및 제 4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 1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제 4측면플레이트 상에 케이스의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차례로 제 1측면플레이트 및 제 2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 2세트가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립이 간편하고 용이하며 사용이 편리하고 외관이 고급스럽고 미려하도록 개선된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측면 결합이 용이하며, 다층의 플레이트 구조로 견고하다.
본 발명의 케이스는 이중 윈도우를 형성하여 견고한 파지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케이스는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곡면부와 보조플랩으로 이루어진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측면 구조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의 전개도를 도시한 블랭크이다.
도 2a는 제 1세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제 1세트의 조립을 완성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 2세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제 2세트의 조립을 완성한 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 1세트에 제 2세트를 결합하여 케이스를 완성하는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케이스에 랩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 ⅱ),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1)의 전개도를 도시한 블랭크(100)이다. 블랭크(100)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절단선은 실선으로, 접는선은 점선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블랭크(100)는 전체적으로 장방형의 사각형 형상이며, 투명한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블랭크(100)는 예를 들어 펀칭 과정을 통하여 일체로 제작되므로, 케이스(1)의 대량 생산에 유리하다.
블랭크(100)는 제 1플레이트(A1), 제 2플레이트(A2), 제 3플레이트(A3), 제 4플레이트(A4), 가이드 플레이트(B1) 및 누름부(B2)를 포함한다.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폭에 비하여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며 절첩선을 경계로 구분된다. 사각 칼럼의 폐쇄된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하여, 당연하지만 제 1 내지 제 4플레이트(A1,A2,A3,A4)의 폭과 길이는 서로 동일하다. 하지만, 가이드 플레이트(B1) 및 누름부(B2)의 폭은 둘을 합해도 예를 들어 제 4플레이트(A4)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이들은 케이스에 수납되는 랩(wrap)을 가이드하고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제 4플레이트(A4)와 가이드 플레이트(B1) 사이에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된 절취부(C)가 형성되어 있다. 절취부(C)는 톱니 형상의 날카로운 엣지가 도시된 지면의 위로 연속 형성된 입체 구조이며, 높이는 1.0mm ~ 2.0mm일 수 있다. 절취부(C)는 플라스틱 시트로 제작되므로 날카로움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에게 상처나 불쾌감을 주지 않으나, 종이 또는 비닐 재질의 랩을 절단하기에 충분하다.
블랭크(100)의 양측면 구조는 동일하므로 도 1의 좌측 측면 구조를 위주로 설명한다.
제 1플레이트(A1)에 인접 형성된 제 1측면플레이트(A11)는 가로가 긴 슬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면 2개의 절단선(2) 사이에 볼록한 엠보싱(4)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4)은 접착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제 2플레이트(A2)에 인접 형성된 제 2측면플레이트(A21)는 세로가 긴 슬림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케이스(1)의 원활한 측면 조립을 위하여, 제 1측면플레이트(A11)와 여유 공간(6)을 두고 형성된다.
제 3플레이트(A3)에 인접 형성된 제 3측면플레이트(A31)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케이스(1)의 원활한 측면 조립을 위하여, 제 2측면플레이트(A21)와 여유 공간(8)을 두고 형성된다. 중앙의 접는선(10)을 기준으로 아래로 반원형 또는 항아리 형상의 절단선(12)이 형성되어 제 1플랩(14)이 형성되며, 제 1플랩(14)은 접는선(10)을 기준으로 지면 위로 접혀질 수 있다. 제 1플랩(14)이 위치하던 곳은 빈 윈도우(W1: 도 2a 참조)가 되며 사용자는 윈도우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케이스(1)를 파지할 수 있다.
제 4플레이트(A4)에 인접 형성된 제 4측면플레이트(A41)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중앙의 접는선(16)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반원형 또는 항아리 형상의 절단선(18)이 제공되어 제 2플랩(20)이 형성되며, 제 2플랩(20)은 접는선(16)을 기준으로 지면 위로 접혀질 수 있다. 제 2플랩(20)이 위치하던 곳은 빈 윈도우(W2)가 되며 사용자는 윈도우를 통하여 손가락을 삽입하여 케이스(1)를 파지할 수 있다. 케이스(1)의 조립 시, 제 4측면플레이트(A41)는 제 3측면플레이트(A31)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므로 파지가 용이하도록 제 2플랩(20)이 제 1플랩(14)보다 작은 것, 즉 바깥쪽 윈도우가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 4측면플레이트(A41)의 한 쪽에는 절단선으로 경계 지워진 초승달 모양의 곡면부(32)과, 곡면부(32)를 가로 지르는 접는선(30)이 형성되며, 접는선(30)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한 보조플랩(34)이 형성된다. 곡면부(32)와 보조플랩(34)은 잠금장치를 형성한다.
가이드 플레이트(B1)에 인접 형성된 가이드 측면 플레이트(B11)는 반원형의 오목부(22)가 형성된 작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다.
상기한 구조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1) 블랭크(100)를 조립하는 방법과 순서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제 3플레이트(A3), 제 4플레이트(A4), 가이드 플레이트(B1) 및 누름부(B2)를 조립하여 제 1세트로 만들고, 제 1플레이트(A1) 및 제 2플레이트(A2)를 조립하여 제 2세트로 만든 후, 두 세트들을 접착하는 것에 의하여 케이스(1)를 완성할 수 있다.
도 2a는 제 1세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누름부(B2)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가이드 플레이트(B1)에 대하여 절첩하고, 각각의 플레이트(A3,A4,B1)의 측면 플레이트(A31,A41,B11)를 접는선을 기준으로 지면 위로 절첩한다. 다음, 케이스(1)의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 3측면플레이트(A31), 가이드 측면플레이트(B11) 및 제 4측면플레이트(A41)가 위치하도록 측면을 포개어 절첩한다.
제 2플랩(20)을 제 1플랩(14)이 절첩된 공간인 윈도우(W1)에 삽입하여 윈도우(W1,W2)가 연통됨으로써 파지부가 완성된다. 오목부(22)는 윈도우(W1,W2)의 외부 곡면에 위치하고 윈도우(W1,W2) 내부로 진입하지 않으므로, 파지 시 손가락이 가이드 측면 플레이트(B11)에 걸릴 우려는 없다.
초승달 모양의 곡면부(32)를 제 3측면플레이트(A31)의 상면(32a)에 끼워 넣고 보조플랩(34)을 180도 접으면, 플레이트(A3,A4,B1)들이 구조적으로 조립된 제 1세트가 완성된다.
이 상태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다. 제 1세트 조립을 유지 및 강화하기 위하여 측면 플레이트(A31,A41,B11)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할 수 있다.
도 3a는 제 2세트를 제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각각의 플레이트(A1,A2)의 측면 플레이트(A11,A21)을 접는선을 기준으로 지면 위로 절첩한다. 다음, 케이스(1)의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 1측면플레이트(A11) 및 제 2측면플레이트(A21)가 위치하도록 측면을 포개어 절첩한다.
제 1측면플레이트(A11)의 엠보싱(4) 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 1 및 제 2 측면플레이트(A11,A21)를 조립함으로써 구조적으로 조립된 제 2세트가 완성된다. 이 상태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이상 설명한 제 1세트와 제 2세트를 조립하여 케이스(1)를 최종 완성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제 1세트가 케이스(1)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정렬하고 엠보싱(4) 영역의 다른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제 4측면플레이트(A41)에 접착하면, 제 2세트가 케이스(1)의 외부에 위치하여 제 1세트와 부착 정렬됨으로써 케이스(1)의 조립이 완성된다.
제 1 플레이트(A1)는 가이드 플레이트(B1)와 완전히 기밀하게 접촉되는 것은 아니고 제 4플레이트(A4)의 선단과의 사이에 미세한 간격이 존재하므로(도 5 참조) 렙이 간격을 통하여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에 표시한 것과 같이 외부에 위치하는 제 2측면플레이트(A21)의 폭(d)은 내부에 위치하는 제 4측면플레이트(A41)의 접는선(16)과 접는선(30) 사이의 거리(d1)와 비슷하므로 전자가 후자의 영역 안에 충분히 겹쳐지고, 제 2세트가 밖에 있어도 파지부의 윈도우(W1,W2)를 가로 막지 않는다.
이와 같이, 도 1의 블랭크(100)의 구조는 본 발명의 케이싱(1)의 장점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설계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1)의 조립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 것이며, 예를 들어 윈도우(W1,W2)의 크기가 동일하면, 제 3측면플레이트 및 제 4측면플레이트(A31,A41)의 배치 순서는 바뀔 수 있다. 또, 접착 영역은 조립 상 편리한 대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조립이 완성된 본 발명의 케이스(1)에 랩을 수납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케이스(1)의 사각형 프레임은 제 1 내지 제 4플레이트(A1,A2,A3,A4)에 의해 규정된다. 가이드 플레이트(B1)는 제 4플레이트(A4)에서 연장되어 제 1플레이트(A1)와 간격을 두고 하향하며, 누름부(B2)는 가이드 플레이트(B1)의 하단에서 위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말려진 랩을 누른다. 랩은 누름부(B2)에 의해 눌려지면서 제 1플레이트(A1)와 가이드 플레이트(B1) 사이에 형성된 간격을 통해 일단(300)이 외부로 인출된다. 사용자는 일단(300)을 쥐고 랩을 절취부(C)로 일직선으로 정밀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 실시예를 토대로 본 발명의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1)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각각의 구성의 크기, 형상과 위치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전개도의 접는 방법 역시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영역까지 미친다는 점은 자명하다.
(1): 케이스 (A1): 제 1플레이트 (A2): 제 2플레이트 (A3): 제 3플레이트 (A4): 제 4플레이트 (B1): 가이드플레이트 (B2): 누름부 (A11): 제 1측면플레이트 (A21): 제 2측면플레이트 (A31): 제 3측면플레이트 (A41): 제 4측면플레이트 (B11): 가이드 측면 플레이트 (C): 절취부 (W1,W2): 윈도우 (100): 블랭크 (200): 일단

Claims (7)

  1.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로서, 상기 케이스는
    길이가 긴 직사각형 형상이며 절첩선을 경계로 구분되는 제 1플레이트, 제 2플레이트, 제 3플레이트 및 제 4플레이트;
    제 4플레이트와 연속하여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속하여 형성된 누름부;
    제 4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톱니 형상의 날카로운 엣지가 연속 형성된 절취부;
    제 1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1측면플레이트;
    제 2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2측면플레이트;
    제 3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3측면플레이트;
    제 4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제 4측면플레이트; 및
    가이드 플레이트에 인접하여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 1플레이트는 케이스 내부의 랩을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간격을 제공하며, 상기 누름부는 권취되어 인출되는 랩을 누르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원활한 측면 조립을 위하여, 제 1측면플레이트와 제 2측면 플레이트 사이 및 제 2측면플레이트와 제 3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소정 크기의 여유 공간이 제공되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측면플레이트에는 중앙의 접는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곡선형의 절단선에 의하여 제 1플랩이 제공되며, 제 1플랩은 상기 접는선을 기준으로 접혀지도록 한,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측면플레이트에는 중앙의 접는선을 기준으로 연장되는 곡선형의 절단선에 의하여 제1 플랩보다 작은 제 2플랩이 제공되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측면플레이트의 한 쪽에는 절단선으로 경계 지워진 초승달 모양의 곡면부와, 곡면부를 가로 지르는 접는선을 기준으로 절첩 가능한 보조플랩이 형성되며, 상기 곡면부와 보조플랩은 잠금장치를 형성하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케이스의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차례로 제 3측면플레이트, 가이드 측면플레이트 및 제 4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 1세트가 제공되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는, 제 4측면플레이트 상에 케이스의 안에서부터 바깥으로 차례로 제 1측면플레이트 및 제 2측면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제 2세트가 추가로 제공되는,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1020170098027A 2017-08-02 2017-08-02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20190014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27A KR20190014345A (ko) 2017-08-02 2017-08-02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027A KR20190014345A (ko) 2017-08-02 2017-08-02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345A true KR20190014345A (ko) 2019-02-12

Family

ID=65369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027A KR20190014345A (ko) 2017-08-02 2017-08-02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3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6345B1 (en) Cigarette packet
JP3118609U (ja) 電子レンジ加熱対応包装体
JP2007254027A (ja) ラップフィルム装置の安全構造
CN109153493A (zh) 湿巾包装体
TWI482723B (zh) 捲撓體收納盒及裝有捲撓體之收納盒
JP2007039124A (ja) 包装用容器
TWI515153B (zh) 捲繞體收納盒及裝有捲繞體之收納盒
KR101232960B1 (ko) 시가렛 패키지
US7252216B2 (en) Food wrap cutter
KR20190014345A (ko) 랩 절취 기능을 가지는 케이스
KR101907354B1 (ko) 랩절단 커터가 감춰지는 랩케이스
JP4632334B2 (ja) 包装用容器
JP3827761B2 (ja) 包装用容器
JP3013076U (ja) 二重構造紙器
TWI565635B (zh) A winding body storage case and a storage box provided with a winding body
JPH0734823Y2 (ja) ラップフィルムの収納ケース
JPH08133299A (ja) ラップカートン
CN110392656B (zh) 收容箱
JP2007161284A (ja) ラップフィルムケース
JP2001219980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TWM631892U (zh) 衛生紙包裝袋之開口改良
EP1528002A1 (fr) Etui comprenant une face rigide et une face souple pouvant être fermé et maintenu à l'état fermé
CN111661700B (zh) 一种带有v形齿的食品保鲜膜盒及其使用方法
JP2002019857A (ja) ティシュペーパー用カートン
JP2018027807A (ja) 収納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