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739B1 -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 Google Patents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739B1
KR101067739B1 KR1020110071938A KR20110071938A KR101067739B1 KR 101067739 B1 KR101067739 B1 KR 101067739B1 KR 1020110071938 A KR1020110071938 A KR 1020110071938A KR 20110071938 A KR20110071938 A KR 20110071938A KR 101067739 B1 KR101067739 B1 KR 101067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insertion hole
screw
pressure contact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카요시 이토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인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인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인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 F16B13/0858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with separate or non-separate gripping parts moved into their final position in relation to the body of the device without further manual operation with an expansible sleeve or dowel body driven against a tapered or spherical expander plu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01Frames, beds, pillars or like members; Arrangement of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00Members which are comprised in the general build-up of a form of machine, particularly relatively large fixed members
    • B23Q1/25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 B23Q1/26Movable or adjustable work or tool suppor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co-operation of relatively movable members; 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of such members
    • B23Q1/28Means for securing sliding members in any desir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04Fixing of a carriage or rail, e.g. rigid mounting to a support structure or a movab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Dowels (AREA)
  • Hand Tools For Fitting Together And Separating, Or Other Hand Too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피설치부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삽입구멍(52) 안으로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한 제1요소와, 상기 제1요소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된 제2요소를 갖는다. 상기 삽입부는 단부에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된 환상(環狀)의 확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요소는 축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하고, 확개부를 확개하는 진입부를 구비한다. 제2요소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부가 진입하고, 확개부를 확개함으로써,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를 피설치부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FITTING MEMBER POS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머시닝센터, 선반 등의 공작기계에 있어서는, 소정 부재를 직선 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안내하기 위한 베이스부(基台)상에 리니어가이드레일을 배설하게 되어 있다.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은 길이 방향을 따라 베이스부에 형성된 수직 계단부로 이루어지는 기준면에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을 맞닿게 하여 체결볼트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베이스부에 위치결정 된다.
그런데,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에서는, 체결볼트의 삽입구멍의 내경이 체결볼트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체결볼트와 삽입구멍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과 기준면을 정확하게 접촉시키는 것은 불가능했다.
여기서, 리니어가이드레일의 타측 측면에 맞닿게 하여 설치부재 위치 결정 장치로서의 압접지지장치(壓接支持裝置)가 설치되고, 이 압접지지장치에 의해 리니어가이드레일을 기준면을 향해 밀어붙이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종래 압접지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압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11은 피설치부로서의 베이스부, 12는 상기 베이스부(11)의 소정 장소에 형성된 삽입구멍, 20은 상기 베이스부(11)에 설치되어 설치부재로서 기능하는 압접지지장치이고, 상기 압접지지장치(20)는 압접부재(13), 및 상기 압접부재(13)를 상기 베이스부(1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14)를 구비한다.
상기 압접부재(13)는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삽입구멍(12) 내에 수용되는 보스부(15), 및 상기 보스부(15)에 인접되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11) 상에 있어서 리니어가이드레일(미도시)의 측면에 맞닿는 편심캠부(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편심캠부(16)에는 상기 압접부재(13)를 스패너 등으로 잡아서 회전시키기 위한 직사각형부(18) 및 반원형상을 가지며 압접부재(13)의 회전에 따라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측면을 밀어붙이는 누름부(1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19)의 축심은 상기 보스부(15)의 축심(Cn1)에 대하여 편심되어, 압접부재(13)를 회전시키면, 누름부(19)의 외주면(S1)과 보스부(15)의 축심(Cn1)과의 거리(m1)가 압접부재(13)의 회전각에 따라 변화된다.
상기 베이스부(11)에는 상기 삽입구멍(12)과 연통하여 나사구멍(22)이, 상기 압접부재(13)에는 상기 고정나사(14)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23)이 상기 나사구멍(22)과 동심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23)은 보스부(15) 안에 형성되어, 단면이 원형인 구멍부(25) 및 상기 편심캠부(16) 안에 상기 구멍부(25)와 연통시켜 형성되고, 단면이 원추형인 나사자리(26)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14)는 접시머리나사로 이루어지고, 나사부(27) 및 상기 나사부(27)에 인접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원추 형상을 갖는 헤드부(28)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나사(14)의 나사부(27)가, 관통구멍(23)을 관통하도록 하여 나사구멍(22)과 나사 결합시키면, 헤드부(28)가 나사자리(26)를 누르면서 하측을 누르게 된다.
상기 구성의 압접지지장치(20)에서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체결볼트를 느슨하게 하여, 기준면에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상기 나사부(27)와, 나사구멍(22)을 느슨하게 나사 결합시켜 상기 압접부재(13)를 스패너 등으로 잡아서 회전시키면, 회전각에 따라 누름부(19)의 외주면(S1)이 리니어가이드레일의 타측 측면을 밀게되어, 리니어가이드레일이 기준면을 향해 밀치게 되고,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과 기준면이 맞닿게 된다.
이어서,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과 기준면이 맞닿은 상태로, 고정나사(14)를 단단히 조임과 함께, 상기 체결볼트를 단단히 조이면, 압접부재(13)가 베이스부(11)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과 기준면이 정확하게 맞닿은 상태로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위치를 베이스부(11)에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특개 2003-311631호 공보
이렇듯 상기 종래의 압접지지장치(20)에서는 고정나사(14)로만 단단히 조임으로써 압접부재(13)를 베이스부(1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압접부재(13)와 베이스부(11)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적어, 충분한 힘으로 압접부재(13)를 베이스부(11)에 고정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리니어가이드레일에 외력이 작용하면, 압접부재(13)가 조금 회전되어, 소정 위치로 고정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리니어가이드레일의 일측 측면과 기준면이 정확하게 맞닿은 상태를 유지할 수 없고, 리니어가이드레일의 베이스부(11)에 대한 위치 결정의 정밀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압접지지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피설치부에 대한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에서는,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삽입구멍 안으로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제1요소와, 상기 제1요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2요소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단부에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된 환상(環狀)의 확개부(擴開部)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요소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제2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하고, 확개부를 원주 방향에서 일체로 확개함으로써,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삽입구멍의 내주면으로 밀어 눌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진입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에서는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삽입구멍 안으로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제1요소와, 상기 제1요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2요소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는, 단부에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된 환상(環狀)의 확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2요소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제2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하고, 확개부를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확개함으로써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삽입구멍의 내주면으로 밀어 눌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진입부를 구비한다.
이 경우, 제2요소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확개부 안에 진입부가 진입하고, 확개부를 확개함으로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를 피설치부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를 베이스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압접지지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압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리니어가이드레일의 배설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리니어가이드레일의 배설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부재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부재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회전축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회전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 전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 후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의 기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의 기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리니어가이드레일의 배설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리니어가이드레일의 배설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1은 피설치부로서의 또한 고정부재로서의 베이스부, 31은 피 압접부재로서의 또한 안내부재로서의 리니어가이드레일, 32는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31)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배설된 슬라이더, 33은 상기 슬라이더(32)에 설치된 공작 기계 등의 피안내부재(33)로서 설치되는 기본판이다.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31) 및 슬라이더(32)에 의해 리니어가이드가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가이드레일(31)은, 하부 방향에서 베이스부(11)와 맞닿게 되는 설치부(35)를 구비한다.
상기 베이스부(11)에는 리니어가이드레일(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 계단부로 이루어진 기준면(s11)이 형성되고, 설치부(35)의 일측 측면(s12)을 기준면(s11)에 맞닿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장소에서, 고정부재로서의 체결볼트(38)를 단단히 조임으로써, 리니어가이드레일(31)이 베이스부(11)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s12)과 기준면(s11)을 정확하게 맞닿게 할 수 있도록, 설치부(35)의 타측 측면(s13)에 맞닿게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로서의 압접지지장치(45)가 배설되고, 상기 압접지지장치(45)는 리니어가이드레일(31)의 길이 방항으로 복수의 장소에서, 베이스부(11)에 고정되어, 리니어가이드레일(31)을 기준면(s11) 방향으로 밀어붙이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압접지지장치(45)는 상기 체결볼트(38)와 같은 피치로, 대응시켜서 배설했는데, 다른 피치로 배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상기 압접지지장치(4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압접지지장치를 베이스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부재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회전축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서의 회전축부재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 전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서의 압접지지장치의 조립 후의 주요부를 나타낸 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1은 베이스부, 45는 상기 베이스부(11)에 설치된 설치부재로서 기능하는 압접지지장치, 52는 리니어가이드레일(31, 도 4)을 따라 베이스부(11)의 복수의 장소에 형성되고 원주 형상을 갖는 삽입구멍이다.
상기 압접지지장치(45)는 베이스부(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제1요소로서의 압접부재(53) 및 상기 압접부재(5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어 압접부재(53)를 상기 베이스부(11)에 고정하기 위한 제2요소로서의 회전축부재(54)를 구비한다.
상기 압접부재(53) 및 회전축부재(54)는 모두 금속으로 형성되는데 수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압접부재(53)는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원통 형상을 갖고, 베이스부(11)에 설치되었을 때에, 상기 삽입구멍(52) 안으로 수용되는 삽입부로서의 보스부(55) 및 상기 보스부(55)에 인접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원통 형상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11) 상의 삽입구멍(52) 밖에서 상기 설치부(35)의 측면(s13)에 맞닿게 되는 편심캠부(56)를 구비한다.
또한, 보스부(55)가 삽입구멍(52) 안에 수용되었을 때, 보스부(55)의 외주면(So)과 삽입구멍(52)의 내주면(Si)의 클리어런스(δ1)는 가능한 작게 하고, 예를 들면, 보스부(55)의 외경이 대략 10mm인 경우, 0.01mm이하가 되게 한다.
상기 보스부(55)의 축심을 sh1로 하고, 편심캠부(56)의 축심을 sh2로 했을 때, 축심(sh2)은 축심(sh1)에 대하여 편심되어, 압접부재(53)를 회전시키면, 편심캠부(56)의 외주면(S2)과 보스부(55)의 축심(sh1)과의 거리(m2)가 압접부재(53)의 회전각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원주방향에서의 전 영역에 있어서 편심캠부(56)의 외주면(S2)은, 보스부(55)의 외주면(S3)보다 지름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고, 편심캠부(56)의 하부면에 환상(環狀)의 접촉부(58)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접촉부(58)를 베이스부(11)의 상면(S5)에 맞닿게 함으로써, 압접부재(53)를 베이스부(11)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편심캠부(56)의 외주연은 원형 형상을 갖도록 하고 있는데, 타원 형상으로 하거나, 클로소이드 곡선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압접부재(53)는, 상기 보스부(55)와 동심형으로, 즉, 상기 축심(sh1)을 따라 형성된 관통구멍(61)을 갖는다.
상기 관통구멍(61)은 보스부(55) 안의 하단부에 소정 거리에 걸쳐 형성된 대경부로서의 압입공간(62), 상기 압입공간(62)에서 상부방향으로 형성되어 압입공간(62)보다 내경이 작고, 암나사가 형성된 제1나사부(63), 상기 제1나사부(63)에서 상부 방향으로 형성된 원형인 소경부(64) 및 상기 편심캠부(56) 안의 상단부에 형성된 렌치구멍부(65)를 구비한다.
상기 렌치구멍부(65)는 제1공구로써 제1렌치(미도시)를 삽입하여 걸기 위한 제1걸림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압접부재(53)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54)는 원추 형상을 갖고 회전축부재(54)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압입공간(62)으로 진입하여 압입하는 진입부 또는 대경부로서의 압입부(71)를 하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압입부(71)보다 상측에 형성되어 압입부(71)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나사부(63)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72)를 구비하며, 상기 제2나사부(72)의 상반부에 렌치구멍부(73)가 형성된다.
상기 렌치구멍부(73)는 제2공구로서 제2렌치(미도시)를 삽입하여 걸기 위한 제2걸림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회전축부재(54)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제1나사부(63)와 렌치구멍부(65)와의 사이에 형성된 소경부(64)는 펀치로 렌치구멍부(65)를 형성했을 때에 발생되는 잘린 금속 부스러기가 모여지는 공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렌치구멍부(65, 73)는 모두 육각 형상을 갖는 구멍으로 형성했는데, 압접부재(53) 및 회전축부재(54)를 각각 회전시킬 수 있는 것 이라면, 제1, 제2공구의 형상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사각형, 오각형, 타원형 등의 각종 형상을 갖는 구멍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렌치구멍부(73)에서는 제2공구로서 플러스 드라이버, 마이너스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경우, 회전축부재(54)에 플러스, 마이너스 등의 홈이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압입공간(62)의 내경은 보스부(55)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고, 보스부(55)의 단부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단에, 확개부(擴開部)로서의 환상의 박육부(薄肉部)(67)가 형성된다. 상기 박육부(67)의 하단의 지름 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0.1mm이상, 1mm 이하가 된다.
또한, 압입공간(62)의 내경은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조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 박육부(67)의 내주에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보스부(55)의 축심(sh1)과 압입공간(62)의 내주면이 이루는 각도, 즉 테이퍼각(θ1)은 예를 들면 대략 3°가 된다.
또한, 상기 압입부(71)의 외경은 예를 들면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서 조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 입입부(71)의 외주에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고, 보스부(55)의 축심(sh1)과 압입부(71)의 외주면이 이루는 각도, 즉 테이퍼각(θ2)은 예를 들면 테이퍼각(θ1)보다 큰 대략 7°가 된다.
상기 구성의 압접지지장치(45)에서, 리니어가이드레일(31)의 체결볼트(38)를 느슨하게 하고, 기준면(s11)에 설치부(35)의 측면(s12)을 맞닿게 한 상태로, 압접지지장치(45)를 베이스부(11)의 삽입구멍(52)에 세트한다.
이때, 압접지지장치(45)는 제1나사부(63)와, 제2나사부(72)가 나사 결합되어 미리 조립되어 있지만, 압입부(71)는 도 10에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공간(62)에 압입되지 않는 상태로 놓인다.
이어서, 상기 렌치구멍부(65)에 제1렌치를 삽입하고, 압접지지장치(45)를 회전시키면, 상기 설치부(35)의 측면(s13)과 편심캠부(56)의 외주면(S2)과의 거리가 짧아지고, 압접지지장치(45)를 더욱 회전시키면, 상기 측면(s13)과 외주면(S2)이 맞닿게 되고, 회전각에 따라 외주면(S2)에 의해 측면(s13)이 눌려, 리니어가이드레일(31)이 기준면(s11)을 누르고, 설치부(35)의 측면(s12)과 기준면(s11)이 맞닿게 된다.
그리고, 상기 렌치구멍부(65)에서 제1렌치를 빼고, 렌치구멍부(73)에 제2렌치를 삽입하여 회전축부재(54)를 회전시키면, 회전축부재(54)가 축방향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압입부(71)를 도 10에서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입공간(62)에 압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박육부(67)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름 방향의 바깥 쪽(화살표 방향)으로 확개되어, 삽입구멍(52)의 내주면(Si)을 밀어 누르고, 이 때 발생되는 압접력에 의해 압접부재(53)가, 삽입구멍(52) 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베이스부(11)에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설치부(35)의 측면(s12)과 기준면(s11)이 정확하게 맞닿은 상태로, 리니어가이드레일(31)을 베이스부(11)에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압입부(71)를 압입공간(62)에 압입했을 때에 박육부(67)의 하단에 소정의 확개값(δ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부재(54)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압입부(71)를 압입공간(62)에 압입함으로써, 박육부(67)가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확개되어, 상기 테이퍼각(θ1, θ2)은 모두 미끄럼이 발생하는 각도, 즉, 마찰각 보다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리니어가이드레일(31)에 외력을 가해도 제1, 제2나사부(63, 72)가 느슨해지지 않고, 박육부(67)가 삽입구멍(52)의 내주면(Si)으로 밀어 누르는 압접력이 감소하지 않는다.
따라서, 베이스부(11)에 대하여 압접부재(53)를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압접부재(53)가 베이스부(11)에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기 때문에, 설치부(35)의 측면(s12)과 기준면(s11)을 정확하게 맞닿게 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니어가이드레일(31)의 베이스부(11)내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육부(67)가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슬리팅(slitting) 등으로 분리되지 않고, 링 상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박육부(67)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박육부(67)가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확개될 때의 압접력을, 원주상 균등하게 분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압접부재(53)를 베이스부(11)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2나사부(63, 72)의 나사 결합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이것에 따라 회전축부재(54)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회전축부재(54)를 회전시킬 때의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입부(71)는 회전되면서 박육부(67)와 슬라이딩 하여 압입공간(62)에 압입되기 때문에 상기 토크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접지지장치(45)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부재(54)를 축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압입부(71)를 압입공간(62)에 압입하는 것이 가능하고, 박육부(67)를 확개할 수 있기 때문에, 박육부(67)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압접지지장치(45)의 축방향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슬라이더(32)와 베이스부(11)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리니어가이드레일(31)을 선택하는 경우의 자유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클리어런스(δ1)는 극히 작게 되므로, 상기 박육부(67)의 확개값(δ2)을 그만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스부(55) 및 회전축부재(54)의 지름을 작게 할 수 있고, 압접지지장치(45)를 소형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각종 회전 장치의 회전축에 기어를 설치하여 기어장치를 형성할 때에 회전축에 대한 기어의 위치 결정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도록 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의 기어 장치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서의 기어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80은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로서의 압접지지장치, 81은 피설치부로서의 또한 고정 부재로서의 기어, 82는 상기 기어(81)에 형성되어, 원주 형상을 갖는 삽입구멍이다.
상기 압접지지장치(80)는 기어(81)에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설된 제1요소로서의 회전축(83) 및 상기 회전축(83)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회전축(83)을 기어(81)에 고정하기 위한 제2요소로서의 회전축부재(84)를 구비하여 설치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압접지지장치(80) 및 기어(81)에 의해 기어장치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83)은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원통 형상을 갖고, 기어(81)를 설치할 때에 상기 삽입구멍(82) 안에 수용되는 삽입부로서의 보스부(85)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스부(85)를 삽입구멍(82)에 삽입할 때의 보스부(85)의 외주면(So)과 삽입구멍(82)의 내주면(Si)의 클리어런스는, 가능한 작게 하여, 예를 들면 보스부(85)의 외경이, 대략 10mm인 경우, 0.01mm가 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83)은 감합구멍(91)을 갖고, 상기 감합구멍(91)은 보스부(85) 안의 선단부(일단측)에, 소정 거리에 걸쳐 형성된 대경부로서의 압입공간(92) 및 상기 압입공간(92)보다 후방(타단측)에 형성되어 상기 압입공간(92)보다 내경이 작고, 암나사가 형성된 제1나사부(9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재(84)는 원추 형상을 갖고 회전축부재(84)의 축방향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압입공간(92)에 진입하여 압입하는 진입부 또는 대경부로서의 압입부(101)를 전단부에 구비하고, 상기 압입부(101)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압입부(101)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나사부(93)와 나사 결합되는 수나사가 형성된 제2나사부(102)를 구비하며, 상기 압입부(101)의 전반부에 렌치구멍부(103)가 형성된다.
상기 렌치구멍부(103)는 공구로서의 렌치(미도시)를 삽입하여, 걸기 위한 걸림부로서 기능하고, 또한 회전축(83)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조작부로서 기능한다.
그런데, 상기 압입공간(92)의 내경은 보스부(85)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되고, 보스부(85)의 단부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에, 확개부(擴開部)로서의 환상(環狀)의 박육부(薄肉部)(87)가 형성된다.
상기 박육부(87)의 선단의 지름 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0.1mm이상, 1mm이하가 된다.
또한, 압입공간(92)의 내경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조금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 압입공간(92)의 내주에 제1테이퍼면이 형성되고, 보스부(85)의 축심(sh3)과 압입공간(92)의 내주면이 이루는 테이퍼각은, 예를 들면 대략 3°가 된다.
또한, 상기 압입부(101)의 외경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조금 작게 되는 테이퍼 형상이 되어, 압입부(101)의 외주에 제2테이퍼면이 형성되고, 보스부(85)의 축심(sh3)과 압입부(101)의 외주면이 이루는 테이퍼각은 예를 들면 대략 7°가 된다.
상기 구성의 압접지지장치(80)에 있어서, 압접지지장치(80)를 기어(81)의 삽입구멍(82)에 세팅한다.
이때, 압접지지장치(80)는 제1나사부(93)와 제2나사부(102)가 나사 결합되어 미리 조합되어 있지만 압입부(101)는 압입공간(92)에 압입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어서, 렌치구멍부(103)에 렌치를 삽입하고, 회전축부재(84)를 회전시키면, 회전축부재(84)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압입부(101)를 압입공간(92)에 압입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박육부(87)가 지름 방향의 바깥 측으로 확개되어 삽입구멍(82)의 내주면(Si)을 밀어 누르고, 이때 발생하는 압접력에 의해 회전축(83)이 삽입구멍(82) 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되고, 기어(81)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전축부재(84)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압입부(101)를 압입공간(92)에 압입함으로써, 박육부(87)가 지름 방향의 바깥쪽으로 확개되므로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기어(81)에 외력이 가해져도 회전축부재(84)가 회전축(83)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고, 박육부(87)가 압입공간(92)의 내주면(Si)으로 밀어 누르는 압접력이 감소하지 않는다.
그 결과, 기어(81)에 대하여 회전축(83)을 소정 위치에서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기어(81)에 대하여 회전축(83)을 소정 위치로 고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기어(81)의 기어치의 위치 조정이 높은 정밀도로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의거하여 여러 가지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45, 80 : 압접지지장치
52, 82 : 삽입구멍
53, 83 : 회전축
54, 84 : 회전축부재
55, 85 : 보스부
67, 87 : 박육부
71, 101 : 압입부

Claims (3)

  1. (a) 소정 부위에 형성되어 삽입구멍 안에 수용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부에 제1나사부가 형성된 제1요소와,
    (b) 상기 제1요소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제1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2나사부가 형성된 제2요소를 가짐과 동시에,
    (c) 상기 삽입부는 단부에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형성된 환상(環狀)의 확개부를 구비하고,
    (d) 상기 제2요소는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제2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하고, 확개부를 원주방향에서 일체로 확개함으로써,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삽입구멍의 내주면으로 밀어 눌러 이동 불가능하게 하는 진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입부는 테이퍼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부재 위치 결정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a) 상기 삽입구멍은 베이스부에 형성되고,
    (b) 상기 제1요소는 상기 베이스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배설되고, 상기 삽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멍 밖에서 회전에 따라 안내 부재를 베이스부에 설정된 기준면에 맞닿도록 하는 편심캠부를 구비하고,
    (c) 상기 진입부는 상기 확개부 안으로 진입하고, 확개부를 원주 방향에서 일체로 확개함으로써, 상기 제1요소를 상기 삽입구멍의 내주면으로 밀어 눌러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KR1020110071938A 2010-07-26 2011-07-20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KR1010677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67448A JP4717955B1 (ja) 2010-07-26 2010-07-26 取付部材位置決め装置
JPJP-P-2010-167448 2010-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739B1 true KR101067739B1 (ko) 2011-09-28

Family

ID=4435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938A KR101067739B1 (ko) 2010-07-26 2011-07-20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67631B2 (ko)
EP (1) EP2412988B1 (ko)
JP (1) JP4717955B1 (ko)
KR (1) KR101067739B1 (ko)
CN (1) CN1023456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1836B (zh) * 2012-11-07 2019-03-01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腔体滤波器及螺钉装置
CN103256302A (zh) * 2013-05-21 2013-08-21 南京万德游乐设备有限公司 一种滚轮调心滑动机构
DE102013108650A1 (de) * 2013-08-09 2015-02-12 Wittenstein Ag Befestigungssystem mit Exzenter
KR101533612B1 (ko) 2014-08-05 2015-07-06 윤용수 체결부재
DE102015118314A1 (de) * 2014-12-09 2016-06-09 Fischerwerke Gmbh & Co. Kg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s Befestigungselements an einer Montageschiene sowie Befestigungselement
CN105269523A (zh) * 2015-11-24 2016-01-27 中捷机床有限公司 用于使直线导轨靠紧基准立面的偏心压块装置
CN105422570A (zh) * 2015-12-10 2016-03-23 孙莉新 一种用于搁物架安装的紧固机构
CN110107574B (zh) * 2019-06-05 2024-04-09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紧固组件
CN111283447A (zh) * 2020-03-23 2020-06-1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夹具和加工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84B1 (ko) * 1990-06-20 1994-09-09 유우겐가이샤 요시노 세이끼 앵커 부재
KR20020069072A (ko) * 2001-02-23 2002-08-29 안창영 앵커 볼트 및 너트
JP2003311631A (ja) 2002-04-18 2003-11-05 Infuomu:Kk リニアガイドレールの保持装置
JP2008185076A (ja) 2007-01-29 2008-08-14 Kfc Ltd ボルト接続用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施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1893A (ko)
US2075234A (en) * 1935-05-28 1937-03-30 Truscon Steel Co Dowel for roadway expansion joints
US3269251A (en) * 1964-08-17 1966-08-30 Bass Henry James Threaded inserts with sliding segmental securing means
US3414304A (en) * 1966-11-22 1968-12-03 Hi Shear Corp Apparatus for fastening a discontinuous body to another structure and the resulting joint
AR204488A1 (es) * 1973-03-09 1976-02-06 Olin Corp Mejoras en pernos de anclaje
US4537541A (en) * 1978-08-03 1985-08-27 Giannuzzi Louis Anchor bolt assembly
JPS5580511U (ko) * 1978-09-05 1980-06-03
JPS5580511A (en) 1978-12-14 1980-06-17 Ikeda Bussan Co Ltd Recovery of fiber from textile material having bonded fixed portion
JPS55112107U (ko) * 1979-01-31 1980-08-07
JPS55112107A (en) 1979-02-20 1980-08-29 Nippon Steel Corp Rolling method for press roll piercing
DE3109275A1 (de) * 1981-03-11 1982-09-30 Hilti AG, 9494 Schaan Spreizduebel
DE3146027A1 (de) * 1981-11-20 1983-05-26 Hilti AG, 9494 Schaan Ankerbolzen mit bolzenkoerper und spreizhuelse
US4740124A (en) * 1981-12-28 1988-04-2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Threaded insert
JP2709416B2 (ja) * 1990-08-21 1998-02-04 株式会社インフォム 位置決め用保持装置
US5496006A (en) * 1994-07-05 1996-03-05 General Motors Corporation Fastening device and method of attachment
DE9413434U1 (de) * 1994-08-19 1995-12-21 Fischerwerke Artur Fischer Gmbh & Co Kg, 72178 Waldachtal Spreizdübel aus Kunststoff
JPH11511837A (ja) * 1995-09-23 1999-10-12 キュースター・ヘルマン ジベル
AT403402B (de) * 1995-11-06 1998-02-25 Mark Rudolf Befestigungselement
US6405425B1 (en) * 1998-12-11 2002-06-18 Novator Ab Fastening assembly and method for fastening a multi-layered laminate together
JP4219923B2 (ja) * 2005-11-30 2009-02-04 株式会社日本衛生センター 耐震拡開アンカー
JP5334427B2 (ja) * 2008-03-07 2013-11-06 ナカ工業株式会社 壁材への固定構造、およびアンカーボル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8284B1 (ko) * 1990-06-20 1994-09-09 유우겐가이샤 요시노 세이끼 앵커 부재
KR20020069072A (ko) * 2001-02-23 2002-08-29 안창영 앵커 볼트 및 너트
JP2003311631A (ja) 2002-04-18 2003-11-05 Infuomu:Kk リニアガイドレールの保持装置
JP2008185076A (ja) 2007-01-29 2008-08-14 Kfc Ltd ボルト接続用ナ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アンカー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2988B1 (en) 2014-10-08
CN102345674A (zh) 2012-02-08
JP4717955B1 (ja) 2011-07-06
US8267631B2 (en) 2012-09-18
US20120020591A1 (en) 2012-01-26
EP2412988A1 (en) 2012-02-01
JP2012026536A (ja)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739B1 (ko) 설치부재 위치 결정장치
US9109620B2 (en) Fastener
US8262330B2 (en) Fastening structure, fastening method and fastening member
JPWO2007013173A1 (ja) ねじの緩み防止のための方法および構造ならびに雄ねじの製造方法
EP3156675B1 (en) Bea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aring device
US9903416B2 (en) Bear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bearing device
CN112739918A (zh) 螺母
JP2004034157A (ja) 圧延機のロールアセンブリ
US6813970B2 (en) Ball-nut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JP2006068828A (ja) オイルシール圧入治具
JP2012026495A (ja) ドライブシャフトベアリングのハウジング装置
EP2172664A1 (en) Pin type retainer, method of assembling pin type retainer and rollers together, and roller bearing
JP3228701U (ja) かしめナット
JP6512009B2 (ja) 締結装置
JP3215850U (ja) かしめナット
JP2006153053A (ja) 軸受装置の組み付け装置およ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6387578B2 (ja) 緩み止めナ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182101U (ja) 位置決め固定装置
JP2006009967A (ja) 押圧機能付きナット
JP7403170B2 (ja) 緩み止めナットとその締付方法
WO2024089983A1 (ja) 位置決め固定装置
KR20100079256A (ko) 펀칭금형의 펀칭위치 미세조절용 편심조절핀의 구조
JPH08312625A (ja) ナット装置
KR20150119561A (ko) 휠 허브 및 그 제조방법
CN111571275A (zh) 装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