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030B1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030B1
KR101064030B1 KR1020090096424A KR20090096424A KR101064030B1 KR 101064030 B1 KR101064030 B1 KR 101064030B1 KR 1020090096424 A KR1020090096424 A KR 1020090096424A KR 20090096424 A KR20090096424 A KR 20090096424A KR 101064030 B1 KR101064030 B1 KR 101064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light guide
light
pattern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9129A (ko
Inventor
장기연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030B1/ko
Publication of KR20110039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9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1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200/0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200/10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 F21V2200/15Use of light guides, e.g. fibre optic devices, in lighting devices or systems of light guides of the optical fibres type the light being emitted alo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3/0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 F21Y2113/10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 F21Y2113/13Combination of light sources of different colours comprising an assembly of 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과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의 제2패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텀 커버;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한다.
LED, 도광판, 조명

Description

조명장치{ILLUMINATION APPARATUS}
실시 예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는 GaAs 계열, AlGaAs 계열, GaN 계열, InGaN 계열 및 InGaAlP 계열 등의 화합물 반도체 재료를 이용하여 다양한 컬러를 발광하는 점 광원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패키지화되어 다양한 색을 방출하는 발광 장치로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발광 장치는 칼라를 표시하는 점등 표시기, 문자 표시기 및 영상 표시기, 조명 기기 등의 다양한 분야에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면 광원용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는 도광판의 중심부로부터 다수의 프리즘 패턴을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도광판의 둘레에 발광 다이오드를 배치하여 균일한 광 분포를 갖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과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의 제2패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텀 커버;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는 서로 다른 평면 상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의 축 회전을 지지하는 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조명 어셈블리는,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과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의 제2패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텀 커버;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광을 입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한다.
실시 예는 광 균일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는 눈 부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는 일부 발광 다이오드가 불량이더라도, 전체적인 조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와 도광판의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실시 예는 조명 장치의 색 재현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는 조명 장치의 신뢰성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각 도면의 위 또는 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2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프리즘 패턴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는 바텀 커버(110), 발광 다이오드(120), 기판(122), 도광판(150)을 포함하며, 점 광원을 면 광원으로 조사하게 된다.
상기 바텀 커버(110)는 소정 깊이의 수납 홈(113)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 홈(113)에는 도광판(150)이 수납된다.
상기 바텀 커버(110)의 외 측면(111)은 바닥면에 대해 수직하거나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0)와 그 외 측면(111)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바텀 커버(110)의 둘레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 구멍(1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구멍(112)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삽입 구멍(112)은 상기 바텀 커버(110)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구멍(112)은 상기 바텀 커버(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갭(gap) 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갭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광의 입사 량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는 기판(122)에 탑재된다. 상기 기판(122)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는 적색, 녹색, 청색 등과 같은 유색의 LED이거나 백색 LED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기판(122)은 하나이거나 복수로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인 경우 각 기판(122)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탑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 구멍(112)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의 전단부는 상기 바텀 커버(110)의 삽입 구멍(112)에 삽입된다.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120)는 사이드 뷰 타입 또는 에지 타입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바텀 커버(110)는 그 내면이 반사 물질이 코팅되거나 반사 시트가 배치되어, 상기 도광판(150)을 통해 하부로 누설되는 광을 반사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몸체(151) 및 프리즘 패턴(155)을 포함하며, 그 재질은 PMMA, 아크릴, 유리 재질 등의 투명한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51)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광판(150)과 상기 바텀 커버(11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는 원 형상을 그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51)의 둘레에는 다이오드 홈(152)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오드 홈(152)은 상기 삽입 구멍(112)에 대응되며, 한 개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홈(152)의 단면은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광이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두께는 상기 바텀 커버(110)의 홈 높이와 동일하거나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몸체(151)의 외 주면에 나사 선이나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바텀 커버(11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몸체(151)의 상면에는 동심원 형상의 프리즘 패턴(15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중심부의 제1패턴(156)과 제1패턴(156)으로부터 동심원 형상을 갖는 제2패턴(157)이 형성되며, 제1패턴(156)부터 최외측의 제2패턴(157)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점차 낮아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의 제1패턴(156)은 가장 높고, 최 외측 제2패턴(157)은 가장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패턴(155)의 형상은 그 단면도를 보면, 뿔 형상 예컨대, 원뿔 또는 삼각 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반구형 형상,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상은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하부 직경이 좁고 상부 직경이 큰 형상으로서, 상기 도광판(150)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도광판(150)의 상부로 진행하는 광은 상기 도광판(150)의 플랫한 상면과 상기 프리즘 패턴(155)을 통해 방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리즘 패턴(155)에 입사되는 일부 광은 패턴 방향을 따라 1회 이상 반사되어 광의 임계각이 변화되고 외부로 방출된다. 즉,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상기 입사되는 광이 패턴 면에 거의 수직한 형태로 입사된다.
상기 프리즘 패턴(155)에서의 광 출사 방향은 도 2와 같이 광 축(Y축)에 수직한 방향보다는 수평한 방향으로 더 많은 광이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프리즘 패턴(155)은 면 광원 형상의 광에 수평 방향의 광을 더 제공해 줌으로써, 균일한 광 분포로 조사되도록 확산시켜 준다. 즉, 상기 프리즘 패턴(155)을 통해 방출되는 광은 광 축(Y축) 방향보다는 수평 방향으로 더 방출됨으로써, 상기 도광판(15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광을 확산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하면에는 반사 패턴(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반사 패턴은 상기 도광판(150)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광의 진행 방향을 변경시켜 주어, 광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접한 프리즘 패턴(155) 간의 간격(T1)은 일정한 간격이거나 다른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 프리즘 패턴(155)의 하부 직경(D1)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각 프리즘 패턴(155)의 측면 경사 각도는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리즘 패턴(155)의 경사면은 1회 이상 절곡되거나 어느 한 방향(센터 방향 또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프리즘 패턴(155)은 외 측면이 원 형상 또는 다각형으로서, 예컨대 링 형상이거나, 8각형 또는 16각형 등과 같이 다각 프리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프리즘 패턴(155)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와의 거리에 따라 그 크기를 달라지게 형성할 수 있어, 도광판(150)의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150)의 반사 패턴이나 바텀 커버(110)에 의해 도광판 상면으로 진행하게 되며,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으로 진행하는 일부 광은 상기 프리즘 패턴(155)에 의해 확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광판(150)은 전 영역에 균일한 광 분포로 조사될 수 있다.
제1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은 동심원 형상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신호 등, 간접 조명, 광 디자인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불량이더라도 조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광판의 프리즘 패턴은 프리즘 패턴에 의해 눈 부심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은 그 사이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도를 90%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도광판의 프리즘 패턴의 높이, 프리즘 패턴의 형상에 따라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어, 광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프리즘 패턴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리즘 패턴(165)은 상기 도광판의 몸체(151) 상면에 구면 형상을 갖고 돌출되며, 그 상면이 구면인 다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패턴(165)의 상면은 렌즈 형상으로 형성되어, 광의 지향 각도를 넓혀 줄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리즘 패턴(175)은 상기 도광판의 몸체(151) 상면에 다각형 예컨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리즘 패턴(185)은 상기 도광판의 몸체(151) 상면에 반구형 형상의 렌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렌즈 형상은 광의 지향 각도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도 8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A)는 도광판(150)의 프리즘 패턴(155A)이 외측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더 낮은 높이로 배열한 구조이다.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156A)부터 그 외측으로 갈수록 그 높이가 단계적으로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상면 최 외측의 제2패턴(157A)은 가장 높은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은 프리즘 패턴(150A)에 의해 내측 영역과 외측 영역의 광 확산 정도를 달리함으로써, 전 영역에서 균일한 광 분포로 조명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의 프리즘 패턴(155A)은 원 형상이거나 8각형 또는 16각형 등과 같이 다각 프리즘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B)는 바텀 커버(110)의 하부에 직하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120)를 배치한 구조이다.
상기 바텀 커버(110)는 바닥면에 삽입 구멍(112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 구멍(112A)을 통해 상기 도광판(150A)의 하부에 발광 다이오드(120A)를 삽입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150A)의 하부에는 다이오드 홈(152A)이 형성되며, 상기 다이오드 홈(152A)은 몸체(151)의 중심부 하부에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도광판(150A)의 다이오드 홈(152A)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직하 타입으로 결합된다.
상기 도광판(150A)의 하부에는 기판(122A)에 탑재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광이 입사되며, 상기 입사된 광은 전 영역으로 가이드되어, 도광판(150A)의 상면으로 방출된다.
상기 도광판(150A)의 프리즘 패턴(155A)은 발광 다이오드(120)가 탑재된 영역 상에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의 제1패턴(156A)이 배치되고, 상기 제1패턴(156A)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제2패턴(157A)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광판(150A)의 프리즘 패턴(155A)은 중심부의 높이가 낮고 외측으로 갈수록 높은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100C)는 바텀 커버(110)의 중앙 하부에 에지 타입의 발광 다이오드(120B)를 배치한 구조이다.
상기 도광판(150A)의 패턴 구조는 도 9와 동일하며,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가 도광판(150A)의 하부에 에지 방향으로 탑재되어, 에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게 된다.
상기 도광판(150A)의 하부에는 다이오드 홈(122B)이 형성되고, 상기 다이오드 홈(122B)에는 복수의 기판(122B)이 서로 180도 방향으로 대면하여 밀착시키고, 상기 기판(122B)의 발광 다이오드(120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에지 타입으로 탑재된다. 즉,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B)는 에지 타입으로 결합되어, 광을 사이드 방향으로 방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광판(150A)의 상면에는 프리즘 패턴(155A)이 없는 영역과 프리즘 패턴(155A)을 통해 전 영역으로 광을 방사하게 된다.
제3실시 예는 도광판(150A)의 하부 다이오드 홈(152B)에 발광 다이오드(120)를 배치하여, 도광판(150A)의 프리즘 패턴(155A)을 통해 균일한 광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제3실시 예가 혼합된 구조로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1은 제4실시 예를 나타낸 조명 장치이다. 제4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로 처리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조명 장치(200)는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100,101,102)와 축 지지대(210)를 포함한다. 복수의 어셈블리(100,101,102)는 예컨대, 3개의 조명 어셈블리로 구현되는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상에는 각 어셈블리(100,101,102)의 발광 다이오드(123,124,125)는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동일 컬러 또는 서로 다른 컬러의 광을 발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제1실시 예를 참조하기로 한다.
제1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제1조명 어셈블리(100)는 복수의 제1발광 다이오드(123)에 의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발광하며, 상기 제2조명 어셈블리(101)는 복수의 제2발광 다이오드(124)에 의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발광하며, 상기 제3조명 어셈블리(102)는 복수의 제3발광 다이오드(125)에 의해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 중 적어도 하나의 광을 발광하게 된다.
제1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는 적색 광, 녹색 광, 및 청색 광을 발광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조명 어셈블리(100)는 제1발광 다이오드(123)에 의해 적색 광을 발광하며, 상기 제2조명 어셈블리(101)는 제2발광 다이오드(124)에 의해 적색 광을 발광하며, 상기 제3조명 어셈블리(102)는 제3발광 다이오드(125)에 의해 청색 광을 발광하게 된다.
상기 제1조명 어셈블리(100)는 바텀 커버(110)의 하부에 개구부(117)가 형성되고,상기 제2조명 어셈블리(101)는 바텀 커버(110)의 하부에 개구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조명 어셈블리(100,101)는 바텀 커버(110)의 개구부(117)를 통해 하부의 면 광원의 광이 입사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를 통해 방출된 면 광원은 서로 혼색되어, 백색 광으로 발광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는 축 지지대(210)의 회전 링크(201,202,203)를 통해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거나 서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는 선택적으로 광 축 상에 배열되어, 단색 광이나, 2개 이상의 컬러 광이 혼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혼색하여 색 재현율을 높여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내지 제3조명 어셈블리(100,101,102) 간의 간격은 프리즘 패턴(155)을 고려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은 동심원 형상의 동심원으로 배열된 복수의 프리즘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신호 등, 간접 조명, 광 디자인 등에 이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가 불량이더라도 조명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광판의 프리즘 패턴은 프리즘 패턴에 의해 눈 부심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광판은 그 사이즈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광도를 90% 정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도광판의 프리즘 패턴의 높이, 프리즘 패턴의 형상에 따라 지향각을 조절할 수 있어, 광의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2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프리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실시 예에 있어서, 도광판의 프리즘 패턴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측 단면도이다.

Claims (16)

  1.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과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의 제2패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텀 커버;
    상기 도광판으로 광을 입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패턴과 제 2 패턴은 높이가 다른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원 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도광판의 외 측면을 따라 등 간격으로 배치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외측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외측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다이오드 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삽 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도광판의 하부 중앙에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다이오드 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도광판의 하부에 에지 타입 또는 직하 타입으로 배치되는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패턴은 제1패턴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조명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패턴은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단계적으로 높은 높이로 형성되는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패턴은 단면 형상이 뿔 형상, 반원형상 또는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명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패턴은 상기 도광판과 일체로 형성되는 조명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내면에 반사 물질 및 상기 도광판 하면에 반사 패턴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복수의 컬러를 조사하는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 및
    상기 복수의 어셈블리가 서로 다른 평면상에 결합되며 상기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의 축 회전을 지지하는 축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조명 어셈블리는, 상면 중심부의 제1패턴과 상기 제1패턴부터 외측 방향으로 동심원 형상의 제2패턴을 갖는 프리즘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 상기 도광판이 수납되는 바텀 커버; 상기 도광판의 측면을 통해 광을 입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 중 적어도 2개는 동일한 컬러를 발광하는 조명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 중 적어도 2개는 상기 축 지지대에 의해 동일 축 상에 배치되는 조명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컬러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조명 장치.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어셈블리 중 상부 조명 어셈블리에 구비된 바텀 커버는 상기 도광판의 저면이 노출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090096424A 2009-10-09 2009-10-09 조명장치 KR101064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24A KR101064030B1 (ko) 2009-10-09 2009-10-09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424A KR101064030B1 (ko) 2009-10-09 2009-10-09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29A KR20110039129A (ko) 2011-04-15
KR101064030B1 true KR101064030B1 (ko) 2011-09-08

Family

ID=44045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424A KR101064030B1 (ko) 2009-10-09 2009-10-09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869B1 (ko) * 2011-06-29 2018-06-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881334B1 (ko) 2011-08-31 201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KR101881333B1 (ko) 2011-08-31 2018-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KR101894080B1 (ko) 2011-08-31 2018-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모듈
KR101326519B1 (ko) * 2012-01-20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101326520B1 (ko) * 2012-01-20 2013-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WO2018178790A1 (en) * 2017-03-31 2018-10-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489A (ja) * 2005-08-05 2007-02-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8489A (ja) * 2005-08-05 2007-02-22 Citizen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9129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030B1 (ko) 조명장치
KR101028201B1 (ko)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US8251547B2 (en) Emission device, surface light source device and display
JPWO2007023891A1 (ja) 照明装置
US8662713B2 (en) Lens and ligh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267538B2 (en) Illuminating device having point light source
JP6061512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レンズシートの作製方法
JP4970172B2 (ja) 照明器具
JP2008084990A (ja) 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US9097395B2 (en) Lens with divergent structure and backlight module incorporating the same
JP5939849B2 (ja) 照明装置
JP2008218089A (ja) 照明装置
TW201531753A (zh) 導光模組
US9523479B2 (en) LED lens
JP6281843B2 (ja) 照明器具
US20170284611A1 (en) Projection light source structure with bat-wing candle power distribution
JP2010277826A (ja) Led発光装置及び照明器具
JP5785551B2 (ja) 照明器具及び光学部品
TWI580902B (zh) 發光二極體光源模組
US20150003063A1 (en) Lens, led light source unit having the lens and led light source module incorporating the unit
US8827491B2 (en) Lighting device
JP5518813B2 (ja) 面照明発光装置
JP2013105076A (ja) 光束制御部材、発光装置、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14160581A (ja) 面照明発光装置
JP6138705B2 (ja)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