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8201B1 -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 Google Patents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8201B1
KR101028201B1 KR1020090045342A KR20090045342A KR101028201B1 KR 101028201 B1 KR101028201 B1 KR 101028201B1 KR 1020090045342 A KR1020090045342 A KR 1020090045342A KR 20090045342 A KR20090045342 A KR 20090045342A KR 101028201 B1 KR101028201 B1 KR 101028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ubstrate
light
lighting unit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5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6915A (ko
Inventor
김은화
임동녕
김현민
홍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5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8201B1/ko
Priority to US12/652,680 priority patent/US8167462B2/en
Priority to CN201010192728.0A priority patent/CN101929651B/zh
Priority to EP14195545.0A priority patent/EP2863246B8/en
Priority to CN201610444002.9A priority patent/CN106122896B/zh
Priority to JP2010119382A priority patent/JP5634129B2/ja
Priority to EP13183276.8A priority patent/EP2672299B1/en
Priority to EP10163837.7A priority patent/EP2287640B1/en
Priority to US12/874,987 priority patent/US8313218B2/en
Publication of KR2010012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8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8201B1/ko
Priority to JP2014209991A priority patent/JP597674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1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comprising photoluminescent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3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microprismatic or micropyramidal sha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은, 광 입사측에 형성된 실린더 면, 상기 실린더 면의 양측에 형성된 프리즘 면, 및 상기 실린더 면 및 상기 프리즘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다.
렌즈, 조명, LED

Description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LENS AND LIGHTING UNIT HAVING THEREOF}
실시 예는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에 관한 것이다.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 LED)는 저 전력, 사용 수명,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어, 각 종 전자 부품이나 전광판, 조명 장치 등의 광원으로 응용되고 있다.
실시 예는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상에 렌즈를 배치하여 타켓 방향의 광 분포 및 조도 분포를 갖는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휘도 차이로 인한 사각 지대를 개선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을 제공한다.
실시 예는 가로등용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는, 광 입사측에 광 축에 수직한 축 방향으로 형성된 실린더 면; 상기 실린더 면의 양측에 돌기 패턴이 교대로 형성된 프리즘 면; 및 상기 실린더 면 및 상기 프리즘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면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은, 광 입사측에 형성된 실린더 면, 상기 실린더 면의 양측에 형성된 프리즘 면, 및 상기 실린더 면 및 상기 프리즘 면을 통해 입사된 광을 출사하는 광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및 상기 렌즈 아래에 배치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탑재된 기판을 포함하는 발광 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는 가로등, 옥외등과 같은 실외등의 광 분포 및 조도 분포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실시 예는 가로등 간을 간격을 고려한 조도분포를 갖는 조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조도 분포로 조명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동일 평면상에 탑재된 LED 어레이와 렌즈를 이용하여 원하는 광 분포를 형성할 수 있어, 복잡한 등기구 형상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발광 모듈의 측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발광 모듈의 다른 예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갭 부재의 측 단면도 및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렌즈 배면도 및 그 측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광의 분산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은 발광 모듈(101), 갭(Gap) 부재(130), 및 렌즈(140)를 포함한다. 상기 조명 유닛(10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가로등과 같은 실외등에 배치되어, 실외등의 정면과 가로등 사이의 영역에 대해 적절한 광 분포와 조도 분포로 조명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01)은 기판(110) 위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탑재되며,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의 어레이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은 알루미늄 기판, 세라믹 기판, 메탈 코아 PCB, 일반 P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20)는 백색 LED를 포함하며, 또는 레드 LED, 블루 LED, 그린 LED와 같은 유색의 LED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의 발광 각도는 120°~ 160°또는 램버티안(Lambertian)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직경(D1)의 원판 형상이며, 상기 직경(D1)은 상기 갭 부재(130) 아래에 수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판(110)의 일측 외주면은 플랫부(114)가 형성되며, 상기 플랫부(114)는 조명 유닛 부품 간의 결합 위치를 식별하거나 회전 방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기판(110) 내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나사 구멍(113)은 상기 기판(110)을 가로등과 같은 기구물에 체결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상기 기판(110)은 상기 나사가 아닌, 리벳, 후크 등과 같은 다른 고정 수단을 통해 고정시켜 줄 수 있으며, 상기 체결 수단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3의 발광 모듈(101)은 기판(110) 위에 12개의 발광 다이오드(120)를 어레이한 형태로서, 예컨대 기판 센터를 중심으로 십자형 패턴으로 4개씩 배치하고, 상기 십자형 패턴의 각 모서리 영역에 1개씩 추가하여, 12개로 배치할 수 있다.
도 4의 발광 모듈(101A)은 기판(110) 위에 8개의 발광 다이오드(120)를 어레이한 형태로서, 8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원 형태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110) 위에서의 발광 다이오 드(120)의 어레이 형태 및 그 개수는 광도, 광 분포, 조도 분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갭 부재(130)는 수납부(135)를 갖는 원 형상의 측벽부(131)와, 상기 측벽부(131)의 내측 센터 영역의 개구부(133) 및 상기 개구부(133)의 외측 둘레에 반사 플레이트(132)를 포함한다.
상기 갭 부재(130)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광 모듈(101)과 상기 렌즈(140) 사이를 일정 간격(G1)으로 이격시켜 준다. 상기 간격(G1)은 상기 렌즈(140)와 상기 기판(110) 사이의 공간(105)을 형성해 주어 발광 각도 및 광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공간(105)에는 실리콘 또는 실리콘 수지 재질이 채워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갭 부재(130)의 측벽부(131)의 내측 아래에 형성된 수납부(135)에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이 수납되며, 상기 개구부(133)에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발광 다이오드(120)가 노출된다.
상기 갭 부재(130)의 측벽부(131) 상단에는 상기 렌즈(140)의 엣지(143)가 배치된다.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는 상기 갭 부재(130)의 상단 둘레부터 그 내측으로 소정 경사면을 갖고 연장된다. 즉,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는 상기 갭 부재(130)의 개구부(133)의 외측 둘레에 소정 경사 각도(θ1)로 경사진다. 상기 경사 각도(θ1)는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의 두께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얇아지 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의 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의 경사 각도는 0° < θ1 < 90°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는 상기 렌즈(140)의 외측 프리즘 면(142)에 대응되어 있어서, 그 경사 각도(θ1) 및 그 길이에 따라 반사 광량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의 내측 개구부(133)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직경(D3)을 갖는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갭 부재(130)의 플랫부(134)는 도 3의 기판(110)의 플랫부(114)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 모듈(101) 위에는 렌즈(140)가 배치된다. 상기 렌즈(140)는 입사 측에 실린더 면(141) 및 프리즘 면(142)이 형성되고, 출사 측에 광 출사면(144)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140)의 입사측 둘레에는 원 형상의 엣지(143)이 형성된다.
상기 렌즈(140)는 투광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재질은 글래스,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PC(Polycarbonate)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면(141)은 입사측 센터 영역(A1)에 광 축(Y)과 수직한 축(Z)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형상은 볼록한 렌즈, 실린더 형상, 또는 반구 형상을 갖는 볼록 면(입사측 기준) 형태로 형성되고, 그 직경(D4)은 입사측 직경(D5)을 기준으로 1/3 ~ 1/10의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140)의 실린더 면(141) 아래에는 상기 광 축에 수직한 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프리즘 면(142)은 상기 실린더 면(141)의 양측에 복수의 돌기 패턴이 어레이된다. 상기 프리즘 면(142)은 광 축(Y)에 수직한 축(Z) 방향으로 돌기 패턴이 교대로 양측(-X, +X) 방향으로 어레이된다. 상기 프리즘 면(142)의 돌기 패턴 간격은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단면 형상은 삼각형 형상이며, 상기 삼각형 돌기 패턴의 양 측변(S1,S2)은 길이 및 각도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즘 면(142)의 돌기 패턴 간격은 일정한 간격이거나, 양측 방향(-X축, +X축)으로 갈수록 조밀하게 형성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조밀 정도는 광의 분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프리즘 면(142)은 상기 실린더 면(141)과 상기 엣지(143)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프리즘 면(142)은 상기 실린더 면(141)의 양측 예컨대, 좌/우측으로 배열됨으로써, 좌/우측 방향의 광 분포를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렌즈(140)는 입사측의 실린더 면(141)을 통해 센터 영역(A1)으로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분산시켜 주며, 상기 프리즘 면(142)은 상기 실린더 면(141)의 양측 영역(A2,A3)으로 입사되는 광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시켜 준다.
상기 광 출사면(144)은 반구 형상을 갖는 비 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 출사면(144)은 입사되는 광을 반사하거나 굴절시켜 외부로 출사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출사면(144)은 구면 렌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비 구면 렌즈 또는 구면 렌즈 형상은 광 분포 및 조도 분포를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광 출사면(144)은 상기 실린더 면(141) 및 상기 프리즘 면(142)을 통해 입사되는 광을 굴절시켜 투과시키거나 반사시켜 준다. 이에 따라 상기 투과된 광은 소정의 지향 분포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반사된 광은 상기 프리즘 면(142), 상기 반사 플레이트(132), 상기 기판(110) 상면 중 적어도 하나를 경유하면서 광 방출 각도로 변환되어, 상기 광 출사면(144)을 투과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발광 모듈(110)의 사이드측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광(L1,L2,L3)은 상기 렌즈(140)의 프리즘 면(142)을 통해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고, 상기 분사된 광의 일부(L3)는 상기 광 출사면(144)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갭 부재(130)의 반사 플레이트(132) 및 상기 렌즈(140)의 프리즘 면(142)을 통해 광의 임계각이 변화되어 상기 광 출사면(144)을 통해 방출된다.
상기 발광 모듈(110)의 센터측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일부 광(L4)은 상기 렌즈(140)의 실린더 면(141)을 통해 굴절되어 분산되고 상기 광 출사면(144)을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도 10은 도 1의 조명 유닛에 의한 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1의 조명 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의 정면 방향의 광 분포(B1) 및 사이드 측 방향의 광 분포(B2)는 도 1의 상기 렌즈(140)의 실린더 면(141) 및 프리즘 면(14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 분포(B1,B2)는 정면 조명과 더블어, 사이드 조명의 휘도 세기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로등과 가로등 사이의 조명 분포를 개선시켜 줌으로써, 사각 지대를 줄이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또한 가로등 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다.
도 9 및 도 11을 참조하면, 렌즈 유닛(100)의 조도 분포는 상기 렌즈(140)의 거리에 따라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도 분포는 상기 렌즈(140)의 실린더 면(141)과 그 양측의 실린더 면(141)에 의해 직사각형 형상의 분포로 형성시켜 줄 수 있다. 즉, 상기 프리즘 면(142)에 의한 조도 분포는 X축(-X축)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의 분포도를 증가시켜 줄 수 있다.
도 1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상기 제2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A)은 발광 모듈(101), 렌즈(140), 갭 부재(151)를 포함한다. 상기 갭 부재(151)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 수지 재질을 이용하여 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과 상기 렌즈(140) 사이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어, 상기 기판(110)과 상기 렌즈(140)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준다.
상기 갭 부재(151)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105)은 상기 발광 모듈(101)의 발 광 다이오드(120)의 광 지향 분포를 개선시켜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갭 부재(151)는 상기 기판(110)과 상기 렌즈(140) 사이의 공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시 형광체가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갭 부재(151)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과 상기 렌즈(140) 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 상면에는 상기 기판(110)으로 진행하는 광을 반사시켜 주기 위해 반사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3은 제3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제3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B)은 렌즈(140)의 외주측 엣지(143A)가 입사측에 대해 하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이다. 상기 렌즈(140)의 엣지(143A)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의 상면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140)의 엣지(143A)는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과 상기 렌즈(140) 사이의 간격(G1)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01)과 상기 렌즈(140) 사이의 공간(105)에는 실리콘 또는 에폭시와 같은 수지물이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수지물에는 형광체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은 상기 렌즈(140)의 엣지(143A) 아래에 배 치됨으로써, 상기 렌즈 엣지(143A)가 입사 면에 대해 단차진 형상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기판의 상면 외측 둘레에 돌기를 형성시켜 주어, 상기 렌즈와의 간격을 유지시켜 줄 수 있다.
도 14는 제4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제4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 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실시 예를 참조하며,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조명 유닛(100C)은 발광 모듈(101)의 기판(110) 위에는 반사 플레이트(155)가 배치된다. 상기 반사 플레이트(155)는 다이오드 구멍(154A)을 갖고 상기 기판(110)의 발광 다이오드(120)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광의 일부는 상기 반사 플레이트(155)에 의해 반사될 수 있어, 반사 광량을 증가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효율을 개선시켜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 플레이트(155)의 상면에는 확산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렌즈(140)의 엣지(143) 아래에는 갭 부재(153)가 배치되어, 상기 렌즈(153)와 상기 기판(110) 사이의 간격(G1)을 일정하게 이격시켜 준다. 상기 렌즈(153)와 상기 기판(110) 사이에 공간(105)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상기 발광 다이오드(120)로부터 방출된 광은 상기 기판(110)과 상기 렌즈(120) 사이의 공간(105) 내에서 분산되고, 상기 분산된 광은 상기 렌즈(120)의 프리즘 면(142)) 및 상기 실 린더 면(143)을 통해 분산될 수 있다.
실시 예는 가로등, 옥외등과 같은 실외등의 광 분포 및 조도 분포를 개선시켜 줄 수 있으며, 가로등 간을 간격을 고려한 조도분포를 갖는 조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는 별도의 기구물을 이용하지 않고도 원하는 조도 분포를 갖는 조명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발광 모듈의 측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발광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예이다.
도 5는 도 1의 갭 부재를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갭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렌즈 배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렌즈의 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조명 유닛의 광 방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광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조도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2실시 예에 따른 조명 유닛을 나타낸 측 단면도이다.

Claims (17)

  1. 광입사 방향과 수직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출사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실린더 면, 및 상기 실린더 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상기 실린더 면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배열된 프리즘 면을 가지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광된 빛이 출사되며, 광출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면은 반구 형상인 렌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면의 단면은 반구 형상인 렌즈.
  4. 제1항에 있어서, 광입사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엣지부를 포함하는 렌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즘 면의 요철부가 주기적으로 형성된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면의 폭은 상기 렌즈 직경의 1/3 내지 1/10인 렌즈.
  7. 광입사 방향과 수직인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출사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실린더 면 및 상기 실린더 면이 연장되어 형성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단면 형상이 삼각형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상기 실린더 면을 중심으로 좌, 우측에 배열된 프리즘 면을 가지는 입사면, 및 상기 입사면으로부터 입광된 빛이 출사되며 광출사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출사면을 포함하는 렌즈;
    상기 렌즈 아래에 배치되고,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플랫부를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된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렌즈와 상기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플랫부와 대응되는 플랫부를 가지는 갭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갭 부재는 상기 기판 주위에 배치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내측에 형성된 개구부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플랫부는 상기 갭 부재의 플랫부와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면은 비구면 렌즈 또는 구면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 조명 유닛.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 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 부재는 상기 기판의 상면 외측 둘레에 경사지게 배치된 조명 유닛.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위에 배치된 반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명 유닛.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형상은 원형이고, 상기 기판의 플랫부는 상기 기판의 원주면 중 일부가 직선으로 형성된 조명 유닛.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면의 폭은 상기 렌즈 직경의 1/3 내지 1/10로 형성된 조명 유닛.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조도 분포는 직사각형 분포로 형성되는 조명 유닛.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45342A 2009-05-25 2009-05-25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KR101028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342A KR101028201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US12/652,680 US8167462B2 (en) 2009-05-25 2010-01-05 Illumination lens and illumination unit including the same
EP14195545.0A EP2863246B8 (en) 2009-05-25 2010-05-25 Lighting device having a gap member and a lens
CN201610444002.9A CN106122896B (zh) 2009-05-25 2010-05-25 间隙构件、透镜以及具有间隙构件和透镜的照明装置
CN201010192728.0A CN101929651B (zh) 2009-05-25 2010-05-25 间隙构件、透镜以及具有间隙构件和透镜的照明装置
JP2010119382A JP5634129B2 (ja) 2009-05-25 2010-05-25 ギャップ部材、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EP13183276.8A EP2672299B1 (en) 2009-05-25 2010-05-25 Gap member, lens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EP10163837.7A EP2287640B1 (en) 2009-05-25 2010-05-25 Gap member, lens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US12/874,987 US8313218B2 (en) 2009-05-25 2010-09-02 Gap member, lens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JP2014209991A JP5976749B2 (ja) 2009-05-25 2014-10-14 ギャップ部材、レンズ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5342A KR101028201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915A KR20100126915A (ko) 2010-12-03
KR101028201B1 true KR101028201B1 (ko) 2011-04-11

Family

ID=43124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342A KR101028201B1 (ko) 2009-05-25 2009-05-25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167462B2 (ko)
KR (1) KR101028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486B1 (ko) 2014-02-28 2015-11-24 재단법인 한국조명연구원 분할 배광된 대형 광학렌즈
US9568156B2 (en) 2013-02-01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7129B (zh) * 2011-01-26 2015-08-21 Hon Hai Prec Ind Co Ltd 導光條及發光裝置
CN102621618B (zh) * 2011-01-27 2016-03-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条及发光装置
TWI517452B (zh) * 2011-03-02 2016-01-1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發光晶體之多晶封裝結構
JP5573746B2 (ja) 2011-03-23 2014-08-20 豊田合成株式会社 ランプユニット
KR101275614B1 (ko) * 2011-03-29 2013-06-24 주식회사 엔투에이 가로등용 조명계
CN102287679A (zh) * 2011-05-26 2011-12-21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光源模块以及背光模块
US20130170174A1 (en) * 2011-12-29 2013-07-04 Intematix Technology Center Corp. Multi-cavities light emitting device
TWI470167B (zh) * 2012-03-02 2015-01-21 具外部透鏡之光源裝置及光源系統
KR101351429B1 (ko) * 2012-05-30 2014-01-15 금호전기주식회사 리플렉팅 패널과 이를 장착한 조명장치
TW201512596A (zh) * 2013-09-18 2015-04-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透鏡及使用該透鏡之光源模組
DE102013021309A1 (de) * 2013-12-19 2015-06-25 Erco Gmbh Leuchte u.a.
USD744155S1 (en) * 2014-05-28 2015-11-24 Osram Sylvania Inc. Lens
US9816680B2 (en) 2014-06-05 2017-11-14 Pentair Thermal Management Llc Lighted cable termination device having expanded viewing area
USD843625S1 (en) 2014-06-05 2019-03-19 Nvent Services Gmbh Lighted cable termination assembly
KR101572495B1 (ko) * 2014-08-20 2015-12-02 주식회사 루멘스 발광 소자 패키지의 제조 방법과, 발광 소자 패키지용 정렬 지그와, 발광 소자 패키지용 리드 프레임 스트립 및 발광 소자 패키지용 렌즈 스트립
KR102305234B1 (ko) 2015-01-28 2021-09-29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원 유닛
KR102401829B1 (ko) * 2015-06-23 2022-05-25 쑤저우 레킨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광학 렌즈 및 이를 구비한 발광 모듈
US10139217B1 (en) * 2016-02-16 2018-11-27 Google Llc Array based patterned illumination projector
CN110291329B (zh) 2017-02-10 2021-04-23 Lg伊诺特有限公司 光源单元
US10364961B2 (en) 2017-10-31 2019-07-30 Rebo Lighting & Electronics, Llc Illumination device for a vehicle
CN110346850B (zh) * 2018-04-03 2021-05-25 昆山康龙电子科技有限公司 具有收光效果的菲涅尔透镜
RU187093U1 (ru) * 2018-10-20 2019-02-1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Ледел" Светильник светодиодны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903A (ja) * 2001-04-04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100770424B1 (ko) * 2006-12-13 2007-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81717A (ja) * 2007-01-23 2008-08-0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08243510A (ja) *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87177A (en) * 1962-12-12 1965-06-01 Gen Motors Corp Lens
US4080529A (en) * 1976-07-19 1978-03-21 Dominion Auto Accessories Limited Combination clearance and side marker lens
US4488208A (en) * 1982-08-20 1984-12-11 Union-Reed Corporation Low brightness lens for circular fluorescent lamps
US5230560A (en) * 1992-01-07 1993-07-27 Whelen Technologies, Inc. Anti-collision light assembly
US5617163A (en) * 1993-12-22 1997-04-01 Nikon Corporation Camera with illuminating optical system
US6623150B2 (en) * 2000-08-23 2003-09-23 Truck-Lite Co., Inc. Light-emitting diode combination marker/clearance lamp for trucks and trailers
TWI293135B (en) * 2004-06-08 2008-02-01 Prodisc Technology Inc Liquid crystal display and backlight modu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4903A (ja) * 2001-04-04 2002-10-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器具
KR100770424B1 (ko) * 2006-12-13 2007-10-26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2008181717A (ja) * 2007-01-23 2008-08-07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ユニット
JP2008243510A (ja) * 2007-03-27 2008-10-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照明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68156B2 (en) 2013-02-01 2017-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ght source module and ligh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71486B1 (ko) 2014-02-28 2015-11-24 재단법인 한국조명연구원 분할 배광된 대형 광학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96265A1 (en) 2010-11-25
US8167462B2 (en) 2012-05-01
KR20100126915A (ko) 201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201B1 (ko)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조명 유닛
KR101212911B1 (ko) 조명모듈 및 조명기구
US8998448B2 (en) LED tube lamp
US8851713B2 (en) Lens member and optical unit using said lens member
US8104930B2 (en) LED module
KR100811061B1 (ko) 고휘도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US11815247B2 (en) Luminaire system with improved fastening means
WO2010119580A1 (ja) 光源モジュール
JP2008515138A (ja) 照明システム
JP2010040296A (ja) アレイ光源用光学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
WO2014122716A1 (ja) 照明装置
WO2018032463A1 (zh) 透镜结构及使用该透镜结构的灯具、背光模块与显示设备
US20060120107A1 (en) LED backlight module
KR20140129749A (ko) 광원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20140092628A1 (en) Illumination device
EP2912368B1 (en) Optical cover for a light emitting module
JP2012089367A (ja) Led照明装置、led照明器具及びled照明装置用レンズ
JP5785551B2 (ja) 照明器具及び光学部品
KR101138446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JP4968784B2 (ja) 光学部材の作製方法及び照明装置の作製方法
JP6121745B2 (ja) 面照明発光装置
CN113654008B (zh) 白光照明装置
KR101723164B1 (ko) Led 등기구
JP2011181429A (ja) Led照明装置、led照明装置の製造方法
KR101113611B1 (ko) 조명 유닛용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