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02B1 - 이미용 가위 - Google Patents

이미용 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02B1
KR101063802B1 KR1020087030747A KR20087030747A KR101063802B1 KR 101063802 B1 KR101063802 B1 KR 101063802B1 KR 1020087030747 A KR1020087030747 A KR 1020087030747A KR 20087030747 A KR20087030747 A KR 20087030747A KR 101063802 B1 KR101063802 B1 KR 10106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alicyclic
recess
coupling
bla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5245A (ko
Inventor
히데미 아다치
Original Assignee
아다치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다치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다치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날체를 구성하는 날부재와 지환(指環)부재와의 접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가 있으며, 또한 접합후에도 양자를 분리할 수가 있고, 또 충분한 접합안정성, 접합강도 및 접합정밀도를 구비하면서, 디자인성도 우수한 이미용 가위의 날체의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이미용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 압박접촉시키면,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 접촉하여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가 서로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과 동시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 접촉하여 결합돌출부재(330)와 결합오목부(220)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 및 방향결정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분리할 수가 있으며, 또한 강고하게 접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미용 가위

Description

이미용 가위{HAIRDRESSING SCISSORS}
본 발명은, 이미용 가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용 가위를 구성하는 날체의 날부재와 지환부재의 접합구조에 특징을 갖는 이미용 가위에 관한 것이다.
이미용 가위는, 2개의 날체를 서로 추장착(pivoting)시켜서 이루어진다. 날체는,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반제품(10)으로서의 날부재(11)와 지환부재(12)를, 각각의 부재에 요구되는 기능특성을 구비한 금속이나 세라믹 등의 재료로, 단조나 주조 등의 수단에 의해 각각 제작한 후, 양자를 접합하여 표면을 연마하거나 날부착 작업을 실시하여 완성품으로 만들어진다.
날부재와 지환부재의 접합수단으로서는, 종래부터 용접 외에 리벳못 고정, 나사고정 등의 수단이 있으나(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접합의 안정성이나 정밀도, 강도 및 디자인성의 면에서, 용접에 의해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예를 들면, 특허문헌3 참조).
또, 이미용 가위에는, 직선형상의 날을 구비하는 커트가위나, 한쪽 날을 빗살형상으로 형성한 빗가위와 같은 종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이미용사의 기호에 맞도록 날부나 지환부의 형상도 다양하다.
그래서, 이미용 가위의 메이커에서는, 고객인 이미용사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이미용 가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미리 각종 형상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반제품의 상태로 준비해 두고,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은 후 그 주문에 따라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선택하여 용접한 후, 각종 가공을 실시하여 완제품으로 완성하여 납품하고 있다.
그러나, 완제품이 될 때까지는, 용접, 연삭 등의 가공에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고객의 주문에서 부터 납품까지는 시간이 걸리는 실정이었다.
한편, 이미용 가위를 사용하는 이미용사에게 있어서는, 사용이 익숙해서 손에 길들여진 이미용 가위를 항상 사용하고자 하는 요망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면, 이미용 가위가 잘 들지 않게 되었을 때에 연마처리를 메이커에 의뢰하는 경우에는, 가령 그것이 날부재만의 처리로 끝나는 것이라고 해도, 날부재와 지환부재가 용접에 의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것을 분리할 수가 없어서, 이미용 가위를 그대로 메이커에 맡겨야만 했다. 이 때문에, 이미용사는 예비의 이미용 가위를 준비하여, 수선이 끝날때까지의 사이에는 손에 익숙하지 않는 예비의 이미용 가위를 사용했었다.
또, 이미용사 중에는, 이미용 가위의 지환부분이나 날부분에 모양을 새기거나, 보석 등을 부착하는 등, 독자성을 높인 이미용 가위를 찾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할 수 없게 된다면, 예를 들면, 연마처리를 하여도 칼이 잘 들지 않는 등, 수선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그 이미용 가위 전부를 새로운 것으로 교환해야만 한다. 그렇게 되면, 이미용 가위에 애써 장식을 하여도, 새로운 이미용 가위로 교환하였을 때에는 다시 재가공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독자성이 강한 이미용 가위를 찾는 사용자의 요망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가 없었다.
특허문헌1 : 일본국 실개평4-14048호 공보
특허문헌2 : 일본국 실개평6-52767호 공보
특허문헌3 : 국제공개 제02/32631호 팜플렛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날부재와 지환부재의 접합이 간편하고 강고하게 되고, 또한 접합 후에 날부재와 지환부재가 분리가능하도록 용접 이외의 방법으로 접합할 필요가 있다. 즉, 용접 이외의 접합방법을 채택하면, 메이커측에서는, 날부재와 지환부재에 연마 등의 각종 가공을 미리 해 두고, 고객의 주문이 있을 때 이것을 접합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납품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으며, 또 제작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미용사 측으로서도, 예를 들면, 연마처리 등의 보수나 수리를 메이커에 의뢰하는 경우에,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시켜서, 보수나 수리가 필요한 부재만을 메이커에 맡기고, 나머지 부재에 한쪽 부재의 예비부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용접 이외의 접합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접합부분의 안정성과 강도, 정밀도 및 디자인성이 용접의 경우와 비교하여 크게 뒤떨어지기 때문에 채택이 어려웠다.
그래서, 본 발명은, 날부재와 지환부재의 접합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접합 후에도 양자를 분리할 수가 있고, 또한 충분한 접합안정성, 접합강도 및 접합정밀도를 구비하면서, 디자인성도 우수한 이미용 가위의 날체의 접합구조를 구비하는 이미용 가위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100)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10)에 있어서, 날부재(200)는, 그 기부(200A)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220)를 가지며, 지환부재(300)는,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에서 돌출하여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돌출부재(33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오목부(220)에는, 날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가 형성되며, 결합돌출부재(330)에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가 형성되고, 결합오목부(220)와 상기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를 미끄럼(slide) 접촉시켜서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각각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10)이다.
이 이미용 가위(10)는,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의 접합을, 기본적으로 날부재(200)측에 형성한 결합오목부(220)와, 지환부재(300)측에 형성한 결합돌출부재(330)를 끼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단순히 끼워 결합시키는 것에 의한 접합으로서는, 접합에 관련되는 부분을 극히 높은 정밀도로 제작하지 않는 한, 밀착된 상태로 접합시킬 수가 없으며, 그 결과, 헐거워지거나 변형이 발생하여 접합안정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된다. 그러나, 접합부분을 이렇게까지 고정밀도로 제작한다는 것은, 고도의 기술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대량생산성의 면에서 보아도 제작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극히 곤란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결합이라는 접합구조를 채택하면서도,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밀착하여 우수한 접합안정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결합오목부(220)의 내부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330)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를 형성하고 있다.
즉,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시켰을 때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가 접촉하고, 또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가 서로 미끄럼 접촉하고, 이에 의해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서로 끌어당기는 길이방향(도 22의 화살표 I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가해져서, 양자를 밀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100)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10)에 있어서, 날부재(200)는, 그 기부(200A)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220)를 가지며, 지환부재(300)는,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에서 돌출하여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돌출부재(330)를 가지고 있으며, 결합오목부(220)에는, 폭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결합돌출부재(330)에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미끄럼 접촉시켜서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과 방향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10)이다.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에 추가하여, 결합오목부(220)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를 형성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330)에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를 형성하여,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 내에 있어서 폭방향(도 26의 화살표 J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는 것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도록 위치결정하는 것에 의해, 안정적인 접합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시키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가 접촉한다. 그리고,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켜 가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가 서로 미끄럼동작하여,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오목부(220)의 폭방향 양측으로부터 중심방향을 향해서 이동시키려고 하는 힘이 가해진다. 그 결과, 결합돌출부재(330)의 폭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결합오목부(220)의 중심위치에서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폭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100)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10)에 있어서, 날부재(200)는, 그 기부(200A)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220)를 가지며, 지환부재(300)는,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에서 돌출하여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결합돌출부재(330)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오목부(220)에는, 날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의 경사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가 형성되며, 결합돌출부재(330)에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와,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가 형성되며,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를 미끄럼 접촉시켜서,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각각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를 미끄럼 접촉시켜서,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과 방향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10)이다.
상기 청구항 3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10)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과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 구성의 쌍방을 병합하여 갖는 것이다. 즉, 날부재(200)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0)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1폭방향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330)에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밀착시켜서 접합할 수가 있으며, 또한, 폭방향에 있어서도 소정의 위치로 고정할 수가 있도록 되는 것이다. 이에 의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분리가능하게 접합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보다 우수한 접합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는, 사람의 모발을 커트할 때에 사용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동물의 털 등을 커트할 때에 사용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이란, 날부재(결합오목부)와 지환부재(결합돌출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일체화시킨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또,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와의 압박접촉은,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에 각각 형성된 나사홀(223,333)과, 나사홀(223,333)에 나사결합되는 나사(40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10)이다.
즉,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의 압박접촉을, 나사조임에 의해 실시하는 것으로서, 양자를 강고하게 압박접촉할 수가 있으며, 동시에,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와의 분리, 접합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날부재(200)의 기부(200A)의 단면(端面) 또는 지환부재(300)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재(330)의 밑동의 근방 중 어느 한쪽에는 볼록형상부(340)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볼록형상부(340)가 삽입되는 삽입부(2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10)이다.
결합돌출부재(330)의 양측에 형성한 볼록형상부(340)를, 결합오목부(220)의 단면에 형성한 삽입부(230)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결합부분이 뒤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볼록형상부(340)를 삽입부(230)에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에 의해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과,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에 의해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것이 상호작용하여, 접합부분을 3차원의 방향에서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삽입부(230)의 내면에 볼록형상부(340)가 맞접촉하는 것에 의해, 이 맞접촉부분이,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킬 때의 지지점으로서 기능하여, 양자를 보다 강고하게 압박접촉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이 채택한 수단은, 날부재(200) 측에만 촉점(2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10)이다.
상기 촉점(觸點)이란, 개폐작동하는 한쌍의 날체의 지지축이 되는 볼트가 관통된 홀 주변에 형성된 원호형상을 한 부분이다. 그리고, 물체를 절단할 때에는, 절단저항에 의해 한쌍의 날체의 이면측끼리가 서로 떨어지려고 하는데, 동시에, 촉점에도 한쌍의 날체의 원활한 개폐동작을 저해할 정도의 큰 절단저항이 걸려 있다.
따라서, 가위에 대하여 상기한바 절단저항보다 큰 힘을 가하는 것과 동시에, 이 가해진 힘에 의해 촉점끼리 압박접촉된 상태로 미끄럼동작하는 것에 의해, 한쌍의 날체의 이면측끼리 서로 떨어지지 않고 압박접촉된 상태로 개폐동작하는 것에 의해 물체가 잘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촉점은 가윗날의 날카로운 정도를 크게 좌우하는 것이므로,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서는, 이것을 날부재(200)측에만 형성하고 있다. 즉, 촉점(240)이 날부재(200)측에서 결정되기 때문에, 날부재(200) 또는 지환부재(300)의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촉점의 기능을 저하시키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의 이미용 가위의 평면도.
도 2는, 실시예 1의 이미용 가위를 구성하는 날체의 평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이미용 가위를 구성하는 날체의 분해평면도.
도 4는, 실시예 1의 날체를 구성하는 날부재의 평면도.
도 5는, 실시예 1의 날부재를,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A방향에서 본 도면.
도 6은, 실시예 1의 날부재를, 도 4에 나타내는 화살표 B방향에서 본 도면.
도 7은, 실시예 1의 날부재의 저면도.
도 8은, 실시예 1의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확대평면도.
도 9는, 실시예 1의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확대사시도.
도 10은, 실시예 1의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확대사시도.
도 11은, 실시예 1의 날체를 구성하는 지환부재의 평면도.
도 12는, 실시예 1의 지환부재를, 도 11에 나타내는 화살표 D방향에서 본 도면.
도 13은, 실시예 1의 지환부재를, 도 11에 나타내는 화살표 E방향에서 본 도면.
도 14는, 실시예 1의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를 평면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 15는, 실시예 1의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의 확대저면도.
도 16은, 실시예 1의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를 저면에서 본 확대사시도.
도 1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18은, 도 17의 F-F단면도.
도 1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볼록형상부를 삽입부에 삽입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20은, 도 17의 F-F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1은, 도 17의 F-F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2는, 도 17의 F-F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3은, 도 17의 F-F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4는, 도 17의 G-G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5는, 도 17의 G-G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6은, 도 17의 G-G단면도이며,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27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28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29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
도 30은,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실시예 3에 있어서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34는,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저면도.
도 35는,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36은,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저면도.
도 37은,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38은,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저면도.
도 39는, 날부재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와 지환부재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도 40은, 종래의 이미용 가위의 날체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부호의 설명)
10 …… 이미용 가위
100 …… 날체
200 …… 날부재
220 …… 결합오목부
221 ……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
222 …… 제1폭방향 테이퍼부
223 …… 나사홀
230 …… 삽입부
300 …… 지환부재
330 …… 결합돌출부재
331 ……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
332 …… 제2폭방향 테이퍼부
333 …… 나사홀
340 …… 볼록형상부
400 …… 나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물론,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도 1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10)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10)는, 청구항 4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의 구성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2개의 날체(100,100)가, 볼트(11)에 의해 추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볼트(11)를 지지점으로 하여 2개의 날체(100,100)의 개폐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이미용 가위(10)를 구성하는 날체(100)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체(100)는, 날부재(200)와, 지환부 재(300)가 접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7에는, 날체(100)를 구성하는 날체부(200)를 나타내고 있다. 날부재(200)는, 날이 형성되는 날부(210)와, 기부(200A)로서, 상기 지환부재(300)와의 접합을 담당하는 결합오목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재(200)의 이면에는, 촉점(2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촉점(240)은, 후술하는 지환부재(300)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날부재(200)에만 형성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날부재(200)의 결합오목부(220)를 확대한 도면으로 나타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오목부(220)는, 그 평면이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날부재(200)의 기부로부터 선단을 향하는 방향(도 8에서 나타내는 화살표 C 방향)으로 하강 경사하여 이루어지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의 경사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결합오목부(220)의 안쪽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여 이루어지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나사(400)가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날부재(200)의 기부(200A) 단면에는, 후술하는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볼록형상부(340)가 삽입되는 삽입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에는, 날체(100)를 구성하는 지환부재(300)를 나타내고 있다. 지환부재(300)는, 지환부(310)와 샤프트부(320)로 이루어지며, 샤프트부(320)의 기부(300A)로부터는, 날부재(200)에 형성될 결합오목부(220)에 결합하는 결합돌출부재(33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는, 결합돌출부재(330)를 확대한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4 내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재(330)의 이면(330A)에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와 나사홀(333)이 형성되어 있다.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는, 결합돌출부재(330)가 날부재(200)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0)와 결합할 때에, 결합오목부(220) 내의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대응하도록, 결합돌출부재(330)의 선단측으로부터 기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와 결합할 때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대응하도록, 결합돌출부재(330)의 바깥쪽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여 형성되어 있다.
나사홀(333)은,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고정하는 나사(400)를 나사결합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며, 또한 결합돌출부재(330)의 표면측(330B)에는, 나사(400)의 머리가 수용되는 카운터홀(counter cavity)(3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결합돌출부재(330)의 양측에는, 날부재(200)에 형성된 삽입부(230)에 삽입하는 볼록형상부(340)가, 샤프트부(320)의 기부(300A)로부터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부재(200)에 형성된 결합오목부(220)와, 지환부재(300)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7 및 도 18에는,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재(330)는, 결합오목부(220)의 내부에 그 전체가 수용된 상태로 결합되어, 나사(400)에 의해 고정된다.
이어서,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가 결합될 때까지의,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 내지 도 23은, 각각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이 중, 도 20 내지 도 23은, 도 17에 있어서의 F-F 단면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서는, 주로 결합오목부(220)에 형성되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결합돌출부재(330)에 형성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9 및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재(200)에 대하여 지환부재(300)를 경사진 자세의 상태로, 날부재(200)에 형성되는 삽입부(230)에,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볼록형상부(340)를 삽입시킨다.
이어서,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230)에 볼록형상부(34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오목부(220) 내에 결합시켜간다. 이때, 결합돌출부재(330)에 형성된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가, 결합오목부(220)에 형성된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접촉한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오목부(220) 내에 다시 삽입해가고, 나사(400)를 조여들어가면, 삽입부(230)의 내부와 볼록형상 부(340)와의 촉점을 지지점으로 하여,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상·하방향(도 22에 나타내는 화살표 H 방향)으로 압박접촉되는 것과 동시에,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가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미끄럼접촉하여, 결합오목부(230)와 결합돌출부재(330)와의 사이에서, 서로를 끌어당기는 방향인 세로방향(도 22에 나타내는 화살표 I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여,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재(200)측의 단면과 지환부재(300)측의 단면이 밀착하게 된다.
즉, 결합오목부(200)와 결합볼록부(330)와의 압박접촉을 강화함에 따라서, 날부재(200)측의 단면과 지환부재(300)측의 단면과의 밀착이 진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완전히 압박접촉된 상태가 되어도, 결합돌출부재(330)가 바닥에 부착하지 않도록,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하기 위하여 결합오목부(220)의 깊이를 결합돌출부재(330)의 두께보다 깊게 형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결합돌출부재(330)와 결합오목부(220)와의 압박접촉에 의해,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 내에 감겨들어가서, 날부재(200)의 표면과 지환부재(300)의 표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가령 이와 같은 단차가 발생했다고 하여도, 이 단차는 극히 미소한 것으로서, 날체의 디자인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에 의해 세로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나사(400)의 조임에 의해 상·하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230)와 볼록형상부(340)에 의해, 뒤틀리는 방향에 대한 고정과, 상·하방향으로의 이간이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은, 결합오목부(220)에 형성되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결합돌출부재(330)에 형성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의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4 내지 도 29에는,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돌출부재(230)이 결합되는 모습이 나타나 있다. 이 중, 도 24 내지 도 26에서는, 각각 도 17에 있어서 나타내는 G-G단면에서 본 도면이 나타나 있으며, 도 27 내지 도 29에서는, 각각 평면에서 본 상태의 도면이 나타나 있다.
우선, 도 24 및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오목부(220)에 결합돌출부재(330)를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는 약간 경사진 상태로 겹쳐있다.
그리고, 도 25 및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나사(400)를 조여서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해가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가 미끄럼접촉하기 시작한다. 그러면, 이 미끄럼접촉에 따라서, 결합돌출부재(330)에 대해서는 폭방향의 양측(도 26에 나타내는 화살표 J방향)으로부터, 결합오목부(220)의 중심을 향해서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하여,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의 중심에서 위치결정되고, 동시에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서로 평행이 되도록 방향결정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와의 미끄럼 접촉으로 이동하는 것이 완료되었을 때, 즉, 폭방향의 양측으로부터 결합돌출부재(330)에 가해지는 힘이 균형을 이루었을 때, 결합돌출부재(330)는 결합오목부(220) 내의 소정의 폭방향 위치에 고정되는 것과 동시에,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오목부(220)에 대하여 반듯하게 정렬 배치되도록 방향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는, 각각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강고하게 접합된다.
즉,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는, 우선, 나사(400)의 조임에 의해 상·하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이어서,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와의 미끄럼접촉 이동에 의해 세로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과 동시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에 의해 폭방향에 대한 위치의 고정과 방향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삽입부(230)와 볼록형상부(340)에 의해 뒤틀리는 방향에 대한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3차원방향에 대한 이동이 완전히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는, 결합오목부(220)와 결합돌출부재(330)를 압박접촉시키고 있는 나사(400)의 조임을 완화시키는 것 만으로도 간단하게 분리할 수가 있다.
(실시예 2)
도 30에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의 날체(100)를 구성하는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그 기본구성, 즉, 날부재(200)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0)의 구성과,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330)의 구성은 공통되지만, 볼록형상부(340)와 삽입부(230)와의 구성이 상이하다. 즉, 실시예 1에 있어서는,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볼록형상 부(340)가,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로부터 연장하여 접촉되어 있으나,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이것을, 도 3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재(330)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시켜 이루어지는 핀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볼록형상부(340)를 이와 같은 핀형상으로 하여도, 실시예 1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31에는, 실시예 3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의 날체(100)를 구성하는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도, 그 기본구성은 실시예 1과 공통되나, 볼록형상부(340)와 삽입부(230)의 구성이 생략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그 대신에, 날부재(200) 및 지환부재(300)의 기부(200A,300A)에는, 그 단면에서부터 평면에 걸쳐서 각각 절결부(240,35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절결부(240,350)가 서로 겹치는 것에 의해,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가 뒤틀리는 방향에 대하여 고정된다.
(실시예 4)
도 32에는, 실시예 4에 있어서의 이미용 가위의 날체(100)를 구성하는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4도, 실시예 1과 그 기본구성은 공통되나, 볼록형상부(340)와 삽입부(230)의 배치가, 날부재(200)와 지환부재(300)로 반대로 되어 있다. 즉, 도 3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재(200)의 기부(200A)의 단면에 볼록형상부(2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의 단면에 삽입부(3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볼록형상부와 삽입부는, 각각 날부재 및 지환부재 중 어디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실시예 1 내지 4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개량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는, 이들 개량변형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33 및 도 34에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오목부(220) 및 결합돌출부재(330)에 각각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 및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만을 형성하여도 좋고, 도 35 및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만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 및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는 각각 도 37 및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에만 형성하여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의 날부재(200)에 형성되는 결합오목부(220)의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221)와 제1폭방향 테이퍼부(222) 및 지환부재(300)에 형성되는 결합돌출부재(330)의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331)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332)는, 서로 직교하도록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곡선적으로 연결하여 형성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날부재(200)의 기부(200A)의 단면과 지환부재(300)의 기부(300A)의 단면은, 각각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면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지환부재 또는 날부재에 형성되는 볼록형상부는, 반드시 지환부재 또는 날부재와 일체적으로 성형하여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별개의 부재로서 제작해 두고, 지환부재 또는 날부재에 추후에 부착하도록 하여도 좋다.
청구항 1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날부재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오목부를 형성하고, 지환부재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돌출부재를 형성하며, 양자를 결합,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접촉하여,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밀착시켜서 접합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접합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날부재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오목부를 형성하고, 지환부재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돌출부재를 형성하며, 양자를 결합,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접촉하여, 결합돌출부재가 결합오목부 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또, 위치결정을 실시하면서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시킬 수가 있다. 이에 의해,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접합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날부재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제1폭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오목부를 형성하고, 지환부재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제1폭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결합돌출부재를 형성하며, 이들을 결합, 압박접촉시켜서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하는 것에 의해,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하면서도, 우수한 접합안정성을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즉, 결합오목부와 결합돌 출부재를 압박접촉하였을 때에,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접촉하여, 날부재측의 접합단부와 지환부재측의 접합단부를 밀착시켜서 접합시킬 수가 있게 되며, 동시에,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미끄럼접촉하여, 결합돌출부재가 결합오목부 내에 있어서 폭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규제하고, 또한 위치결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 청구항 1 내지 3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공통하는 부수적인 효과로서는,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접합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지환부재의 표면에 레이저광선을 조사하여 모양을 새기거나, 보석이나 비즈 등의 보석 장식품을 부착하는 등, 장식을 한 경우에 있어서도, 날부재만을 교환하는 것에 의해 지환부재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독자적 이미용 가위를 제작하는 일도 부담없이 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의 효과에 추가하여, 결합오목부와 결합돌출부재의 압박접촉을, 결합오목부와 삽입볼록부에 형성된 나사홀과, 이 나사홀에 나사결합되는 나사에 의해 실시되기 때문에, 양자를 강고하게 압박접촉시킬 수가 있으며, 또한, 날부재와 지환부재와의 분리와 접합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의 효과에 추가하여, 날부재의 기부의 단면 또는 지환부재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재의 밑동 근방 중 어느 한쪽에 볼록형상부를 형성하고, 다른 쪽에 볼록형상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접합부분이 뒤틀리는 방향으 로 이동하는 것과 상·하방향으로 이간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이미용 가위의 효과에 추가하여, 촉점을 날부재측에만 형성하였기 때문에, 날부재 또는 지환부재의 한쪽을 교환하는 경우에도, 촉점의 위치가 변하지 않고, 항상 안정적으로 날카로운 칼날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날부재만으로 촉점끼리의 접촉상태를 조정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메이커에 연마처리 등의 보수를 의뢰하기 위하여 날부재를 분리하여 맡기는 경우에는, 메이커측에서 촉점의 조정을 실시한 후 고객에게 반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종래는,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용접한 후에 촉점을 형성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하기 전에 날부재측에 촉점을 형성해 둘 수가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가 있다.

Claims (6)

  1.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날부재는, 그 기부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지환부재는, 상기 지환부재의 기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결합오목부에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 결합돌출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오목부에는, 상기 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출부재에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오목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재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상기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를 미끄럼접촉시켜서 상기 날부재와 상기 지환부재를 각각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
  2.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날부재는, 그 기부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지환부재는, 상기 지환부재의 기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결합오목부에 결 합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돌출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오목부에는, 폭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재에는, 상기 제1폭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오목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재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상기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미끄럼접촉시켜서 상기 결합오목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재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과 방향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
  3. 날부재와 지환부재를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날체를 2개 추장착하여 이루어지는 이미용 가위에 있어서,
    상기 날부재는, 그 기부의 평면에 개구하여 형성된 결합오목부를 가지며,
    상기 지환부재는, 상기 지환부재의 기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결합오목부에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결합돌출부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결합오목부에는, 상기 날부재의 길이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폭방향으로 경사하는 제1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재에는, 상기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상기 제1폭방향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제2폭방향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오목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재를 압박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제1세로방향 테이퍼부와 상기 제2세로방향 테이퍼부를 미끄럼 접촉시켜서 상기 날부 재와 상기 지환부재를 각각 밀착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과 동시에, 상기 제1폭방향 테이퍼부와 상기 제2폭방향 테이퍼부를 미끄럼 접촉시켜서 상기 결합오목부와 상기 결합돌출부재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결정과 방향결정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부재의 기부의 단면(端面) 또는 지환부재에 형성된 결합돌출부재의 밑동 근방 중 어느 한쪽에는 볼록형상부가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상기 볼록형상부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날부재 측에만 촉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용 가위.
  6. 삭제
KR1020087030747A 2006-05-19 2007-04-25 이미용 가위 KR101063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WOPCT/JP2006/310011 2006-05-19
PCT/JP2006/310011 WO2007135712A1 (ja) 2006-05-19 2006-05-19 理美容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5245A KR20090025245A (ko) 2009-03-10
KR101063802B1 true KR101063802B1 (ko) 2011-09-14

Family

ID=3872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747A KR101063802B1 (ko) 2006-05-19 2007-04-25 이미용 가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21754B2 (ko)
EP (1) EP2027976B1 (ko)
KR (1) KR101063802B1 (ko)
CN (1) CN101448609B (ko)
AT (1) ATE488337T1 (ko)
DE (1) DE602007010619D1 (ko)
WO (2) WO20071357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35712A1 (ja) 2006-05-19 2007-11-29 Adachi Industry Co., Ltd. 理美容鋏
US20140116223A1 (en) * 2009-08-27 2014-05-01 Rayner Design Pty Ltd Cutting apparatus
CN102058423B (zh) * 2011-01-10 2013-02-13 天津大学 一种手术机器人用手术剪刀
US9566716B2 (en) * 2011-11-03 2017-02-14 Blazing Products, Inc. Cutting assemblies for use in cutting tubing
JP5746724B2 (ja) * 2013-03-29 2015-07-08 足立工業株式会社 理美容鋏
US20180290316A1 (en) * 2017-04-06 2018-10-11 Slice, Inc. Cutting device
IT201800005669A1 (it) * 2018-05-24 2018-08-24 Forbice perfezionata.
WO2020026277A1 (en) * 2018-08-03 2020-02-06 Evorive S.R.L. Scissors
US11858150B2 (en) * 2019-12-23 2024-01-02 Aob Products Company Nipp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064A (en) * 1907-09-20 1908-02-11 Antony Prohaska Shears or scissors.
US1181871A (en) * 1915-08-11 1916-05-02 Milton B Graham Scissors.
US2939213A (en) * 1958-10-13 1960-06-07 John M Daniel Insertible blade scissors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1934A (en) * 1885-12-08 Ilkxky aikkx
US1620226A (en) * 1921-08-20 1927-03-08 Parker Morgan Scissors
US1620225A (en) * 1921-08-20 1927-03-08 Parker Morgan Scissors
US1623130A (en) * 1926-03-19 1927-04-05 Howard S Otis Barber shears
US1956587A (en) * 1932-03-04 1934-05-01 Bard Parker Company Inc Scissors
US2369271A (en) * 1944-02-11 1945-02-13 George V Arnold Shears or scissors
US2758372A (en) * 1955-11-01 1956-08-14 Elizabeth Gammons Scissors
DE2009606C2 (de) * 1970-03-02 1972-03-30 Zwilling J A Henckels Ag Schere mit auf den Scherensschenkeln in Einlagerungsvertiefungen einlegbaren Schneidblättern
JPS60149381U (ja) * 1984-03-15 1985-10-03 服部 實 さや形替刃鋏
JPH084939Y2 (ja) * 1990-05-29 1996-02-14 株式会社サンギ 刃先交換式ハサミ
JPH0652767U (ja) * 1992-12-22 1994-07-19 ベリテインタナショナル株式会社 理容はさみ
JPH0653767U (ja) 1992-12-25 1994-07-22 株式会社カンセイ エンジン始動装置
CN2175673Y (zh) * 1993-09-15 1994-08-31 笙玮工业股份有限公司 文具剪刀刀刃可变换装置
JP3113489B2 (ja) * 1994-03-28 2000-11-27 フェザー安全剃刀株式会社 剪 刀
US7367738B2 (en) * 2002-09-23 2008-05-06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eleaseably joining elements
US20040159194A1 (en) * 2003-02-19 2004-08-19 Cheng-Cheng Ting Joint of channel-lock pliers
WO2007135712A1 (ja) 2006-05-19 2007-11-29 Adachi Industry Co., Ltd. 理美容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9064A (en) * 1907-09-20 1908-02-11 Antony Prohaska Shears or scissors.
US1181871A (en) * 1915-08-11 1916-05-02 Milton B Graham Scissors.
US2939213A (en) * 1958-10-13 1960-06-07 John M Daniel Insertible blade sciss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21754B2 (en) 2014-01-07
DE602007010619D1 (de) 2010-12-30
EP2027976A4 (en) 2009-07-01
EP2027976B1 (en) 2010-11-17
CN101448609B (zh) 2012-06-06
KR20090025245A (ko) 2009-03-10
CN101448609A (zh) 2009-06-03
ATE488337T1 (de) 2010-12-15
EP2027976A1 (en) 2009-02-25
WO2007135837A1 (ja) 2007-11-29
US20090144989A1 (en) 2009-06-11
WO2007135712A1 (ja)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3802B1 (ko) 이미용 가위
CN110352118B (zh) 头部转换器
US9821480B2 (en) Razor cartridge with reduced part count and expanded range of motion
US8806758B2 (en) Straight edge razor with alternate blade positions
US20150314460A1 (en) Scissors
JPH06233872A (ja) 自動補償単一ピボット部材を備えた枢着工具
US7246442B2 (en) Hair-trimming tool
US3832775A (en) Foldable imp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377906A (en) Nonmetallic molded replaceable blade shears
US20220176576A1 (en) Razor tool and method
JP2016523653A (ja) 一体型多重カミソリ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587169B (zh) 理发剪
TW200909158A (en) Grip of edged tool
JP4787878B2 (ja) 理美容鋏
KR100736147B1 (ko) 니퍼용 탄성날체 및 이를 이용한 니퍼
JPS6143412Y2 (ko)
JP4608505B2 (ja) 理美容鋏
JP2010227704A (ja) 理美容鋏
JP2008289636A (ja) 理美容鋏
JP2008093009A (ja) 理美容鋏
JP3051270U (ja) 毛すき鋏
CN106690761A (zh) 自助剪发头套
KR101597078B1 (ko) 머리스타일 연출용 미용가위
KR200243850Y1 (ko) 곡면용 이발가위
JPH02147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