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701B1 -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 Google Patents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701B1
KR101062701B1 KR1020090083037A KR20090083037A KR101062701B1 KR 101062701 B1 KR101062701 B1 KR 101062701B1 KR 1020090083037 A KR1020090083037 A KR 1020090083037A KR 20090083037 A KR20090083037 A KR 20090083037A KR 101062701 B1 KR101062701 B1 KR 1010627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fixed
wheel holder
bicycle wheel
mount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3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867A (ko
Inventor
이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윈
Priority to KR1020090083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701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7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7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7/00Other furniture or furni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8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 B60R9/1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sports gear fo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07Detail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3/00Seats
    • B61D33/0057Sea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2700/00Supports or stands for two-whee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 상황(승객 수)에 따라, 승객이 직접 조작해서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차량)과 같은 대중교통의 내부에 설치하는 자전거 거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는, 대중교통의 내벽(80)에 양 단부(11, 11)가 고정되고 양 단부(11, 11) 사이의 횡행부(橫行部)(12)가 내벽(80)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내벽(80)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고정바(10) 및 고정바(10)에 결합되는 자전거 수용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자전거 수용 유닛은, 고정바(10)의 횡행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 과; 고정프레임(20)의 일 측면(211)에 고정되는 회동지지구(30) 와; 회동지지구(30)에 피벗부(41)가 결합됨으로써 이 회동지지구(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자전거 휠 홀더( 40) 와;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 근처에 일단부가 위치됨과 아울러 고정프레임(20)의 전면(前面)(212)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51)이 서로 간격을 두고 천공된 아암(50) 과;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피벗부(41)에 고정되며, 아암(50)에 천공된 복수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안으로 가이드 핀(63)의 돌기(63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회동위치를 결정하는 잠금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철, 전동차, 철도 차량, 대중교통, 자전거, 거치대, 힙 시트

Description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A bicycle holding apparatus that is incorporated in the interior of public vehicle}
본 발명은 자전거 거치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차량이나 지하철 차량과 같은 대중교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객 상황(승객 수)에 따라, 승객이 직접 조작하여 가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에 관한 것이다.
버스와 함께 대중교통수단의 양대산맥을 이루는 지하철이나 철도는, 승객이 작은 수화물(手貨物)을 가지고 객차에 탑승할 수는 있지만, 자전거는 객차 내 반입이 금지되어 있다. 그래서 현재로서는, 지하철이나 철도의 객차 내에 자전거 거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승객이 지하철역이나 철도역까지 타고 온 자전거를 잠시 보관해 둘 수 있는 자전거보관대가 역마다 설치되어 있는데, 대부분 수용용량이 작고, 관리가 부실하여 여러 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 게다가, 이러한 자전거보관대는 역 주변의 인도(人道)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아 보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관리소홀로 인해 주변이 불결하기 때문에 주민들의 불편요소가 되고 있으며, 사람들로 하여금 자전거 이용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갖게 하고 있다.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와 교통체증문제, 삶의 질 저하 등을 개선할 수 있는 대안으로, 자전거가 떠오르고 있고, 또한, 최근 서울지하철에서는 전동차에 '자전거 전용칸'을 두어 앞으로는 승객이 자전거를 갖고 지하철을 탈 수 있게 할 전망인바,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시대적 추세에 맞춰, 지하철과 같은 대중교통의 객차 내부에 설치 가능한 자전거 전용의 거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객이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객이 많을 경우에는 한쪽으로 완전히 접어 탑승 공간을 최대한 넓힐 수 있고, 승객이 적을 경우에는 한쪽에 접혀 있던 것을 펴서 자전거를 거치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거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빈 좌석이 없거나 신체 장애 등으로 인하여 자리에 앉지 못한 승객이 서 있거나 무릎을 약간 굽힌 자세로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힙 시트가 설치된 자전거 거치 기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는, 대중교통의 내벽에 양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양 단부 사이의 횡행부(橫行部)가 상기 내벽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상기 내벽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고정바 및 상기 고정바에 결합되는 자전거 수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자 전거 수용 유닛은, 상기 고정바의 횡행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 측면에 고정되는 회동지지구와; 상기 회동지지구에 피벗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지지구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자전거 휠 홀더와; 상기 자전거 휠 홀더의 피벗부 근처에 일단부가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의 전면(前面)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이 간격을 두고 천공된 아암과; 상기 자전거 휠 홀더의 피벗부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벗부에 고정되며, 상기 아암에 천공된 복수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안으로 가이드 핀의 돌기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 휠 홀더의 회동위치를 결정하는 잠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자전거 휠 홀더의 피벗부에 고정되며, 동일한 수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하면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 밖으로 노출되는 생크와, 상기 스프링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생크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를 구비한 가이드 핀; 및 상기 플랜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생크의 상단부에 힌지로 고정되는 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아암은, 상기 자전거 휠 홀더의 피벗부가 회동할 때 상기 잠금장치가 그리는 궤적과 동일한 원호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바의 횡행부에 복수의 자전거 수용 유닛과 복 수의 힙 시트가 더 설치되는 것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자전거 수용 유닛과 복수의 힙 시트가, 상기 고정바의 횡행부를 따라 교대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힙 시트는, 승객이 걸터앉는 전방 시트부와, 상기 고정바의 횡행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 시트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 체결부와, 상기 전방 시트부와 후방 체결부와 횡행부 사이에 끼워넣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밀착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에 따르면, 승객이 많은 출퇴근 시간에는 자전거 휠 홀더를 접어 벽 쪽에 밀어 둘 수 있고, 승객이 적을 경우에는 벽 쪽에 밀어 둔 자전거 휠 홀더를 펴서 승객이 힙 시트에 걸터앉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자전거 수용 유닛을 적당한 간격으로 설치하면, 인접해 있는 자전거 휠 홀더 사이로 휠체어를 밀어 넣어 고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자전거 휠 홀더가 안전 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자전거 휠 홀더를 접고 펴는 동작이 간단한 레버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객차 내 승객상황에 따라, 승객이 직접 조작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전거 수용 유닛과 힙 시트는, 고정바에 대해 분해·조립이 가능하므로, 이들의 위치조절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 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면과 관련하여,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자전거 거치 기구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3의 (a)∼(c)는 도 1에 도시한 자전거 거치 기구의 자전거 휠 홀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의 (a)∼(d)는 상기 자전거 거치 기구의 자전거 휠 홀더가 도 3의 (b) 위치로부터 도 3의 (c) 위치로 회동할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자전거 거치 기구의 고정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상기 자전거 거치 기구가 복수의 고정프레임과 복수의 힙 시트를 구비하는 경우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의 (a)와 (b)는 힙 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2, 5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는, 철도나 지하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객차)의 내벽(80)에 고정되는 고정바(10)와, 이 고정바(10)에 장착되는 자전거 수용 유닛 및 힙 시트(70)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바(10)와 자전거 수용 유닛과 힙 시트(70)는 모두 강재(鋼材)로 제작하는데, 이것은 승객에 의한 파손과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소재로서 강재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강도(strength)만 충분하다면, 합금이나 비철금속,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 같은 수지도 사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2개의 고정바(10)가 적당한 간격을 두고 객차의 내벽(80)에 상하로 설치되는데, 이들 고정바(10)의 양 단부(11, 11)는 볼트체결방식이나 용 접방식으로 내벽(80)에 고정된다. 한편, 이러한 설치 상태에서는, 양 단부(11, 11) 사이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橫行部)(12)가 내벽(80)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2개의 고정바(10)에 걸쳐진 형태로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자전거 수용 유닛은, 고정바(10)의 횡행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과, 고정프레임(20)의 일 측면(211)에 고정되는 회동지지구(30)와, 회동지지구(30)에 결합된 피벗부(4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범위에서 회동 가능한 자전거 휠 홀더(40)와,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 근처에 일단부가 위치되고 고정프레임(20)의 전면(前面)(212)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아암(50)과,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가 회동(turning)할 때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벗부(41)에 고정됨과 아울러 아암(5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안에 가이드 핀(63)의 돌기(63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회동위치를 결정(고정)하는 잠금장치(6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바(10)는 원형 단면의 파이프를 굽힘가공하여 얻었지만, 고정바(10)의 단면 형상이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형이나 육각형과 같은 다각 형상, 타원 형상, 심지어 요철(凹凸, spline)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고정바(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후술하는 고정프레임(20)의 전방 커버(21)와 후방 커버(22)에 형성되는 홈(213, 221) 형상과, 힙 시트(70)의 전방 시트부(71)와 후방 체결부(72)에 형성되는 홈 형상이 변경된다.
상기 고정바(10)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은, 고정바(10)의 횡행부(1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분해·결합될 수 있도록, 횡행부(21)의 외면(外面)을 절반 가량 에워쌀 수 있는 홈(213, 221)이 마주보는 형태로 그들 각각의 대향면(對向面)에 형성되어 있는 전방 커버(21)와 후방 커버(22)로 구성되는데, 이들 중 전방 커버(21)의 일 측면(211)에는 후술하는 회동지지구(30)가 장착되어 있고, 전방 커버(21)의 전면(前面)(212)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50)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하나의 전방 커버(21)에 대해, 2개의 후방 커버(22)가 제공되고 있는데, 이들 2개의 후방 커버(22)는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서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 고정프레임(20)의 전방 커버(21) 일측에 상하로 장착되는 회동지지구(30)는, 브라켓(31)과, 리벳 형태의 연결로드(33)를 사용해 상기 브라켓(31)의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는 회동연결판(32)으로 구성되는데, 이 회동연결판(32)의 한쪽 끝에는 삽입공(321)이 천공되어 있어, 그 안으로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가 끼워져,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가 회동지지구(3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동지지구(30)에 결합되는 자전거 휠 홀더(40)는, 지하철역 주변의 자전거보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루프(loop) 형태의 자전거 휠 홀더를 소정 형상으로 굽힘가공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자전거 휠 홀더(40)는, 둘 이상의 파이프를 소정 형상으로 각각 성형한 후에 용접해서 일체화하거나, 분해·조립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잠금장치(60)는,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 일측에 고정되고 상하면에 형성된 구멍이 동일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는 하우징(61)과, 하우징(61) 내 에 배치되는 스프링(62)과, 스프링(62)이 압축될 때 상기 아암(50)의 관통공(51)에 끼워진 돌기(633)가 관통공(51)으로부터 이탈하고 상기 스프링(62)에 가해진 압축력이 제거될 때 스프링(62)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상기 돌기(633)가 관통공(51) 안으로 진입하게 하는 가이드 핀(63)과, 스프링(62)에 압축력을 가하거나 스프링(62)으로부터 압축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핀(63)의 상단부에 힌지(65)로 결합된 레버(64)로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핀(63)은, 스프링(62) 안으로 끼워져 그 상단부가 하우징(61) 상면에 형성된 구멍 밖으로 노출되는 생크(632)와, 스프링(62) 하단이 지지되도록 생크(63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31)와, 플랜지(63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5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63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하우징(61)의 하면에 형성된 구멍은, 상면에 형성된 구멍보다 지름이 크다.
또한, 상기 잠금장치(60)의 하우징(61)은, 스프링(62) 주위를 둘러싸는 벽체가 없는 형태, 다시 말해, 스프링(62)의 상단이 지지되는 상면만 구비한 형태여도 무방하다.
상기 아암(50)은,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가 회동할 때 상기 잠금장치(60)가 그리는 궤적과 같은 형상, 예를 들면 원호 형상으로 제작되었는데, 가이드 핀(63)의 돌기(633)와 대향(對向)하는 상면에는 복수의 관통공(51)이 일정 간격마다 천공된 오목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오목부(52)는 그 폭이 가이드 핀(63)의 플랜지(631) 지름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돌기(633)가 관통공(51) 안으로 진입하는 경우, 오목부(52) 내에 가이드 핀(63)의 플랜지(631)가 안착함으로써 견 고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힙 시트(70)는, 승객이 걸터앉을 수 있는 표면에 직물(74)이 부착된 전방 시트부(71)와,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12)를 사이에 두고 전방 시트부(71)의 후면에 볼트결합되는 후방 체결부(72)와, 상기 전방 시트부(71)와 후방 체결부(72)와 횡행부(12) 사이에 삽입되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밀착 패드(73)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방 시트부(71)는 승객이 편안한 자세로 기댈 수 있게 그 표면이 약간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4 및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의 사용 상태 또는 조작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90)를 거치하기 좋은 위치로 자전거 휠 홀더(40)를 회동시킬 때는, 먼저, 잠금장치(60)의 레버(64)를 아래쪽으로 내리눌러, 레버(64)와 힌지(65)로 결합된 가이드 핀(63)의 생크(632)가 하우징(61)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바깥쪽으로 더 끌려 나오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핀(63)의 플랜지(631)가 하우징(61) 내에 배치된 스프링(62)을 압축하면서 상향이동하게 되고, 그 결과로서, 아암(50)에 형성된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 안에 삽입된 가이드 핀(63)의 돌기(633)가 관통공(51)으로부터 이탈하여, 자전거 휠 홀더(40)가 회동지지구(30)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자전거 휠 홀더(40)를 원하는 위치까지 회동시킨 후, 상기 레버(64)에 가해 져 있던 힘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62)이 원래 위치(상태)로 되돌아가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의 탄성력에 의해, 생크(632)가 아래쪽으로 끌려 내려오게 된다. 그 결과, 가이드 핀(63)의 돌기(633)가 상기 아암(50)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관통공(51) 중, 그 전과는 다른 위치의 관통공(51) 안으로 진입하여, 자전거 휠 홀더(40)의 회동위치가 결정(고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를 정면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를 후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의 (a) 내지 (c)는 도 1에 나타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의 자전거 휠 홀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의 (a) 내지 (d)는 도 1에 나타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의 자전거 휠 홀더가 도 3의 (b) 위치로부터 도 3의 (c) 위치로 회동할 때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의 고정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가 복수의 고정프레임과 복수의 힙 시트를 구비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
도 7의 (a)와 (b)는 도 6에 나타낸 힙 시트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고정바(fixing bar)
11...단부(end portion)
12...횡행부(lateral portion)
20...고정프레임(fixing frame)
21...전방 커버(front cover)
211...측면(side surface)
212...전면(front surface)
213...홈(channel)
22...후방 커버(rear cover)
221...홈(channel)
30...회동지지구(pivoting member)
31...브라켓(bracket)
32...회동연결판(pivoting plate)
321...삽입공(inserting hole)
33...연결로드(connecting rod)
40...자전거 휠 홀더(wheel holder)
41...피벗부(pivoting part)
50...아암(arm)
51...관통공(through hole)
52....오목부(recess portion)
60...잠금장치(locking device)
61...하우징(housing)
62...스프링(spring)
63...가이드 핀(guide pin)
631...플랜지(flange)
632...생크(shank)
633...돌기(protrusion)
64...레버(lever)
65...힌지(hinge)
70...힙 시트(hip seat)
71...전방 시트부(front seat portion)
72...후방 체결부(rear combination portion)
73...밀착 패드(closing pad)
74...직물(fabric)
80...내벽(interior wall)
90...자전거(bicycle)

Claims (5)

  1. 대중교통 내부에 설치 가능한 자전거 거치 기구로서,
    대중교통의 내벽(80)에 양 단부(11, 11)가 고정되고, 상기 양 단부(11, 11) 사이의 횡행부(橫行部)(12)가 상기 내벽(80)으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떨어져서 상기 내벽(80)에 대해 평행하게 뻗은 고정바(10); 및
    상기 고정바(10)에 결합되는 자전거 수용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자전거 수용 유닛은,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프레임(20)과;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일 측면(211)에 고정되는 회동지지구(30)와;
    상기 회동지지구(30)에 피벗부(41)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회동지지구(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자전거 휠 홀더(40)와;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 근처에 일단부가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고정프레임(20)의 전면(前面)(212)에 타단부가 고정되는, 복수의 관통공(51)이 간격을 두고 천공된 아암(50)과;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와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피벗부(41)에 고정되며, 상기 아암(50)에 천공된 복수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의 관통공 안으로 가이드 핀(63)의 돌기(633)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회동위치를 결정하는 잠금장치(6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60)는,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에 고정되며, 동일한 수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되도록 상·하면에 각각 구멍이 형성된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에 배치되는 스프링(62)과,
    상기 스프링(6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61)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 밖으로 노출되는 생크(632), 상기 스프링(62)의 하단이 지지되도록 상기 생크(632)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플랜지(631), 상기 플랜지(63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아암(5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공(5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돌기(633)를 구비한 가이드 핀(63)과,
    상기 플랜지(631)가 상기 하우징(61) 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생크(632)의 상단부에 힌지(65)로 고정되는 레버(64);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아암(50)은,
    상기 자전거 휠 홀더(40)의 피벗부(41)가 회동할 때 상기 잠금장치(60)가 그리는 궤적과 동일한 원호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12)에, 복수의 자전거 수용 유닛과 복수의 힙 시트(7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힙 시트(70)는,
    승객이 걸터앉는 전방 시트부(71)와,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1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전방 시트부(71)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방 체결부(72)와, 상기 전방 시트부(71)와 후방 체결부(72)와 횡행부(12) 사이에 끼워넣어 이들 사이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밀착 패드(7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자전거 수용 유닛과 복수의 힙 시트(70)는, 상기 고정바(10)의 횡행부(12)를 따라 교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KR1020090083037A 2009-09-03 2009-09-03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KR1010627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37A KR101062701B1 (ko) 2009-09-03 2009-09-03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3037A KR101062701B1 (ko) 2009-09-03 2009-09-03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67A KR20110024867A (ko) 2011-03-09
KR101062701B1 true KR101062701B1 (ko) 2011-09-08

Family

ID=43932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3037A KR101062701B1 (ko) 2009-09-03 2009-09-03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7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75B1 (ko) 2012-10-30 2014-11-21 한국철도공사 자전거 거치대가 형성된 철도차량용 객차
KR102079207B1 (ko) * 2019-08-28 2020-02-19 나현경 회동식 자전거 거치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8512B2 (en) 2020-06-11 2022-06-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ire-mounting structures with internal self-locking feature
KR102368423B1 (ko) * 2021-06-09 2022-02-28 주식회사 에코프랜 전동킥보드 거치장치를 구비한 도로용 난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01Y1 (ko) 2003-02-19 2003-08-25 주은스틸아트 (주) 자전거 안전 보관대
KR200441306Y1 (ko) 2006-11-03 2008-08-05 주식회사 태성스틸이엔씨 자전거 보관대
KR100857413B1 (ko)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KR100875631B1 (ko) 2008-04-14 2008-12-26 주식회사 대현금속 자전거 안전 보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4501Y1 (ko) 2003-02-19 2003-08-25 주은스틸아트 (주) 자전거 안전 보관대
KR200441306Y1 (ko) 2006-11-03 2008-08-05 주식회사 태성스틸이엔씨 자전거 보관대
KR100875631B1 (ko) 2008-04-14 2008-12-26 주식회사 대현금속 자전거 안전 보관장치
KR100857413B1 (ko) 2008-05-09 2008-09-08 제너럴로터(주) 자전거 수직 보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8575B1 (ko) 2012-10-30 2014-11-21 한국철도공사 자전거 거치대가 형성된 철도차량용 객차
KR102079207B1 (ko) * 2019-08-28 2020-02-19 나현경 회동식 자전거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867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19261C (zh) 可拆卸车辆座椅的长滑轨系统
KR101062701B1 (ko) 대중교통 내부 설치용 자전거 거치 기구
KR20180100540A (ko) 승객 시트들을 갖는 화물 자전거
JP2008013172A (ja) 自転車用の保持装置
JPH10309995A (ja) ルーフ荷物キャリヤの固定装置
CN103313903A (zh) 儿童手推车框架组件
FR3001432A1 (fr) Vehicule, train de vehicules et systeme de transport comportant de tels vehicules
US20080073395A1 (en) Cycle portage apparatus and systems thereof having removable tire support
JP2007313013A (ja) 作業補助シート
KR100773082B1 (ko) 차량용 자전거캐리어
MXPA02003717A (es) Estructura de suejecion y soporte para pasajeros de vehiculos de transporte publico.
CN102001378B (zh) 机动二轮车的靠背结构
EP2578447B1 (en) Retaining device for passenger transport vehicle and passenger transport vehicle comprising such a device
JP6590966B2 (ja) 軌条車両の可動式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軌条車両
KR100923351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손잡이
JP2007290693A (ja) でん部拘束具
JP2013014253A (ja) 移動台車
JPH077220Y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1963704B1 (ko) 차량 설치용 휠체어 고정장치
KR101144942B1 (ko) 철도차량의 비상도어용 핸드레일
JP4443509B2 (ja) シート装置
CN211420793U (zh) 一种道路养护车及其座椅旋转机构
CN105128756B (zh) 一种车载自行车支架
CN211592315U (zh) 集成式电动儿童座椅骨架
KR20100101776A (ko) 철도차량용 객차의 발판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