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572B1 -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572B1
KR101062572B1 KR1020087001345A KR20087001345A KR101062572B1 KR 101062572 B1 KR101062572 B1 KR 101062572B1 KR 1020087001345 A KR1020087001345 A KR 1020087001345A KR 20087001345 A KR20087001345 A KR 20087001345A KR 101062572 B1 KR101062572 B1 KR 10106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int
printing
mode
image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953A (ko
Inventor
히데아키 요시다
겐 마시타니
도시오 노무라
다다시 우치우미
히데히코 세키자와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이미징 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이미징 가부시키가이샤,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이미징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8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83On-screen display [OSD] information, e.g. subtitle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72Processing image signals image signals comprising non-image signal components, e.g. headers or format information
    • H04N13/178Metadata, e.g. disparit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1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제어부(15)는,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임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어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이것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2D 표시 출력 모드와의, 조작부(13)에 의한 전환 조작을 접수하여, 미디어 판독기(11)에서 미디어(20)로부터 판독한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표시 출력 모드에서 출력부(14)에 표시 출력할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화면에 표시 출력한다.

Description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IMAGE OUTPUT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PROGRAM}
본 발명은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표시 출력 또는 인쇄 출력하는 화상 출력 장치, 및, 컴퓨터를 그와 같은 화상 출력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3D 액정을 이용한 직시형 디스플레이(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5-122733호 공보를 참조)나, 3D 대응의 페이스 마운트 디스플레이(Face Mounted Display: FMD) 또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에 있어서는,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로 이루어진 3D 화상 파일을 표시 출력할 때, 좌우 양 눈에, 각각의 상이한 모노큘러 화상을 표시 출력하는 경우에는 입체 화상이 관찰된다(3D 표시 출력). 한편, 좌우 양 눈에, 좌우 모두 동일한 모노큘러 화상을 표시 출력하는 경우에는 평면 화상이 관찰된다(2D 표시 출력). 특히, 직시형의 경우, 관찰 가능한 위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수의 사람이 동시에 관찰하는 경우 등 2D 표시 출력의 필요성은 극히 크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용어 「3D」 및 「2D 」는 각각 「3차원」 및 「2차원」의 의미로서 이용하고 있다. 이후에도 이것들의 약칭을 이용하기로 한다.
또한, 3D 화상 파일을 프린터로 인쇄 출력하는 경우, 뷰어나 렌티큘러 시트 등을 사용하는 3D 관찰을 위해서는 소정의 포맷으로 인쇄 출력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34460호 공보를 참조). 그러나, 이러한 소정의 포맷,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344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좌우의 모노큘러 화상을 직사각형으로 분할하여, 그것들을 교대로 배치하는 포맷으로 인쇄 출력한 것은, 통상의 사진으로서는 부자연스럽거나 관찰 불능해지거나 한다. 따라서, 통상의 사진으로서는 좌우 한쪽의 모노큘러 화상만을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은 필수적이다.
여기서 용어에 대해서 보충하면, 본 명세서에서는 특별한 기재가 없는 경우에는, 3D, 입체, 스테레오는 동의의 용어로서 이용한다. 모든 피사체의 3차원(3-dimendional) 정보를, 시각적으로 리얼하게 재현하는 것인 입체 지각(Stereoscopy)을 실현하기 위한 입체시 기술(Stereoscopic technology)의 의미로 이용할 수 있고, 그 이용 형태나 관용에 의해 구별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발명의 개시
2D 화상 파일과 3D 화상 파일의 혼재 상황에서는, 2D 표시 출력시나 2D 인쇄 출력을 행한 경우, 이것이 원래의 화상 데이터(파일)로서 2D 화상 파일인지 3D 화상 파일인지 불명확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매회 상기 화상 파일이 2D 화상 파일 인지 3D 화상 파일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 수고가 따른다.
또한, 특히 인쇄 출력의 경우에는, 3D 화상 파일을 3D 관찰용의 포맷으로 인쇄해야 할지 통상의 화상(사진)으로서 인쇄해야 할지가 불명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망하지 않는 부적절한 형태로 인쇄해 버려, 용지나 잉크를 불필요하게 소비해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2D 표시 출력시나 2D 인쇄 출력을 행한 경우, 이것이 2D 화상 파일인지 3D 화상 파일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한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인쇄 출력에 관해서는, 적절한 형태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의 한 형태는,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표시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하는 인쇄 실행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2D 표시 출력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표시 출력 모드로 표시 출력할 때에, 아울러 상기 3D 화상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화면에 표시 출력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선택된 인쇄 출력 모드에 따라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의 한 형태는,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하는 인쇄 실행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하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선택된 인쇄 출력 모드에 따라서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의 다른 형태는,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 및 통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을 모두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할 때에,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지 3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지의 지시를 접수하는 인쇄 방법 입력 수단과,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하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3D 화상 파일 인쇄 출력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 방법 선택 수단에 의한 인쇄 출력 모드의 선택을 기다려서 그 선택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이들 본 발명의 화상 출력 장치의 형태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 때에, 아울러 상기 3D 화상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한 형태는,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표시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시키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시키는 2D 표시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표시 출력 모드로 표시 출력시킬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화면에 표시 출력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 출력 모드의 전환에 따른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다른 형태는,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시키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시키는 2D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 출력 모드의 전환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또 다른 형태는,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 및 통상의 화상 파일의 화상을 모두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시키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시키는 2D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시킬 때에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지 3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지의 지시를 접수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시키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시키는 연속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 출력 모드의 지시를 접수시키고 나서, 그 지시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이들 본 발명의 프로그램의 형태 중, 컴퓨터(15)에 화상의 인쇄 출력을 실행시키는 형태에 대해서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1b는 화상 파일의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c는 표시 출력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d는 표시 출력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e는 식별 마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f는 식별 마크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a는 모드 전환 조작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파일 표시 출력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b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연속 인쇄 출력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실시예 2에 있어서의 싱글 인쇄 출력 처리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출력 장치(10)는 화상 취급의 최소 단위로서의 화상 파일을 미디어(20)로부터 판독하기 위한 미디어 판독기(11)와, 프로그램이나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12)와, 화상 출력 장치(10)의 동작을 사용자가 지시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13)와, 화상 파일을 표시 출력하는 3D 액정 모니터 등의 출력부(14)와, 화상 출력 장치(10) 전체를 제어하는 CPU로 구성된 제어부(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화상 출력 장치(10)는 상기 구성을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한 스탠다드형의 화상 표시 장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여, 예컨대 기억부(12)와 제어부(15)를 퍼스널 컴퓨터(PC)로 하고, 미디어 판독기(11), 조작부(13)(이 경우에는 키보드나 마우스), 및 출력부(14)(이 경우에는 3D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PC에 접속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물론, 이른바 노트북형 PC와 같이 PC와 그 주변 기기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범용 PC이더라도 좋다. 또한, 미디어 판독기(11) 대신에,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게 하여, 외부 서버 상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파일을 이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상기 화상 파일로서는, 일반적인 2D 화상 데이터와 헤더 정보로 구성되는 2D 화상 파일과,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스테레오 화상 데이터)에, 그와 같은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헤더 정보에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 화상 데이터는 입체시용 화상 데이터(Stereoscopic image data)이지만, 각 화소의 좌표 데이터가 3차원인 입체 도형 데이터(Stereo graphic data)는 아니고, 좌표 데이터적으로 보면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2차원 화상 데이터이므로, 이 경우, 2D 화상 파일과 3D 화상 파일은 동일한 확장자가 이용되고, 사용자는 그 파일명으로부터는 2D와 3D 중 어느 것의 화상 파일인지 판별할 수 없는 것이다. 예컨대, 화상 파일(21)은,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용의 표준 파일 포맷 규격인 Exif 규격 및 파일 시스템 규격인 DCF 규격에 준거한 JPEG 파일이다.
도 1b는 화상 파일(21)의 개념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상 파일(21)은 실제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화상 데이터부(21A)와, 헤더 정보를 Exif의 태그 정보로서 기록하는 헤더부(21B)로 구성된다.
즉, 화상 데이터부(21A)에는, 2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하나의 평면 화상 데이터를 압축한 압축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부(21A)에는, 3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좌우 2개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를 압축한 압축 화상 데이터가 기록된다.
또한, 헤더부(21B)에는, 2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한 압축 화상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파라미터 등이 기록된다. 이에 반하여, 3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상기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한 압축 화상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에 관한 파라미터 등의 그 외에, Exif의 태그 정보의 하나로서, 3D 메타 데이터(21B1)가 기록되어 있다. 이 3D 메타 데이터(21B1)는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한 압축 화상 데이터가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나, 각각의 모노큘러 화상의 시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3D 메타 데이터(21B1)는 Exif의 태그 정보로서 기록할 뿐만 아니라, 임의의 형식으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Adobe사가 제창하고 있는 XMP(등록상표)와 같은 XML 등을 이용하여 기술한 텍스트 메타 데이터의 형식으로 기록되는 것이더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출력 장치(10)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2D 표시 출력 모드를 갖고 있고,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어느 것인지를 나타내는 표시 출력 모드 정보가 기억부(12)에 기억된다. 예컨대, 화상 출력 장치(10)의 전원 투입시에는,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된 메인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기억부(12)에 표시 출력 모드 정보로서 2D 표시 출력 모드를 세트하여, 2D 표시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13)를 조작하여 모드 전환을 지시하면,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된 모드 전환 조작 프로그램에 따라서, 도 2a의 흐름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를 실행한다.
즉,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출력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2D 표시 출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11). 그리고,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2D 표시 출력 모드이면,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표시 출력 모드 정보로서 3D 표시 출력 모드를 세트한다. 이에 따라, 화상 출력 장치(10)가 3D 표시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다(단계 S12). 또 한,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3D 표시 출력 모드이면,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표시 출력 모드 정보로서 2D 표시 출력 모드를 세트한다. 이에 따라, 화상 출력 장치(10)가 2D 표시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된다(단계 S13).
또한, 상기 모드 전환 조작 프로그램은, 예컨대 동일한 조작 지시에 의해 순차적으로 표시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경우인 것이며, 각 모드에 대응하여 독립적으로 조작 지시를 할 수 있는(각각 조작 버튼을 마련하거나, 풀다운 메뉴에서 각각 지정하는 등에 의해) 경우에는, 표시 출력 모드 정보로서 단순히 그 조작 지시된 표시 출력 모드를 기억부(12)에 세트하도록 하면 좋은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특별히 도시는 하지 않지만 출력부(14)에 표시 출력된 화상 파일 일람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3)의 조작에 의해서 임의의 화상 파일의 표시 출력을 지정한 경우, 또는, 어느 하나의 화상 파일의 표시 출력중에 다음 또는 앞의 화상 파일의 표시 출력을 지정한 경우의 동작을, 도 2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먼저, 그 표시 출력이 지시된 화상 파일(21)을 미디어 판독기(11)에 의해서 미디어(20)로부터 판독한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예컨대 화상 파일(21)의 헤더부(21B)에 3D 메타 데이터(21B1)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의해, 그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1). 여기서, 2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제어부(15)는 2D 표시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2). 즉,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얻어진 평면 화상(2D 화상)을 출력부(14)에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보충하면, 이 경우의 표시 대상은 통상의(2D) 화상 파일이므로, 여기서 말하는 2D 표시 출력이란, 개념적으로는 종래 공지된 표준적인 화상 표시와 완전히 동일한 것이다. 그러나, 예컨대 액티브 패럴랙스 배리어를 이용한 직시형 3D LCD 등, 3D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의 경우에는, 그 구조상, 종래 공지된 표준적인 (2D의) 화상 표시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3D 표시 상태와는 디스플레이의 하드웨어 제어를 전환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러한 의미를 포함해서, 여기서는 2D 표시 출력 처리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판독한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 경우에는, 제어부(15)는, 또한,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표시 출력 모드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2D 표시 출력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23). 여기서,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3D 표시 출력 모드이면, 제어부(15)는 3D 표시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4). 즉,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또한, 헤더부(21B)에 기록되어 있는 3D 메타 데이터(21B1)에 근거하여 입체 화상(3D 화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3D 화상을 출력부(14)에서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드웨어의 3D/2D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3D 화상을 3D 표시 상태로 제어하고 나서 출력부(14)에 표시 출력한다.
이에 반하여, 현재의 표시 출력 모드가 2D 표시 출력 모드인 경우에는, 제어부(15)는 그 3D 화상 파일에 대한 2D 표시 출력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5). 즉,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또한, 헤더부(21B)에 기록되어 있는 3D 메타 데이터(21B1)에 근거하여, 좌우 2개의 모노큘러 화상 중 한쪽, 예를 들어 왼쪽(L)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출력부(14)에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하드웨어의 3D/2D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왼쪽(L) 화상을 2D 표시 상태로 제어하고 나서 출력부(14)에서 표시 출력한다. 여기서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2D 표시 출력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마크의 화상을 판독하여, 출력부(14)에 표시 출력되고 있는 평면 화상 상에 슈퍼임포즈 표시한다(단계 S26).
도 1c는 상기 2D 표시 출력 모드시에 있어서의 출력부(14)의 출력 화면(14A)에서의 3D 화상 파일의 표시 출력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와 같이, 평면 화상인 L화상에 3D 화상 파일의 화상인 것을 나타내는 식별 마크(14A1)가 슈퍼임포즈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에 의하면, 2D 표시 출력 모드시에 한해서, 3D 화상 파일인 것을 표시 출력한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가 2D 표시 출력된 화상이 2D 화상 파일인지 3D 화상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에 있어서는, 화상과 동일한 화면에 3D 화상 파일인 것을 표시 출력하기 때문에, 인디케이터 등의 전용 표시기가 불필요하고, 또한 사용자에 대한 주의 환기 효과가 높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식별 마크(14A1)의 슈퍼임포즈 위치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은 출력 화면(14A)의 오른쪽 아래 위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출력 화면(14A)의 어디이더라도 무방하다.
슈퍼임포즈 표시는 일정 시간(예를 들면 3초이거나)의 표시이더라도 무방하고, 점멸 표시를 사용해도 좋고, 일정 시간 표시와 점멸 표시 등을 병용해도 효과적이다. 또한, 사용자나 시스템으로부터의 조작, 지시에 의해, 슈퍼임포즈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상의 일람 표시할 때 등, 축소 화상, 섬네일 화상의 표시시에도 마찬가지로, 도 2b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3D 화상 파일은 예컨대 2개의 모노큘러 화상을 포함하고, 양자의 대응하는 개소의 화상을 추출하여 3D 화상을 생성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화상 기록 장치도 존재한다. 또한, 화상의 종횡비가 출력부(14)의 출력 화면(14A)의 종횡비와 상이한 경우도 있다. 따라서, 3D 화상으로서 추출되지 않은 영역이나 표시 화소가 없는 영역에 대해서는,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딩(14A2)을 표시 출력하는 것으로서, 이 영역에 상기 식별 마크(14A1)를 표시 출력하도록 하면, 식별 마크(14A1)에 의해서 화상의 관찰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물론, 사용자 조작에 따라서, 식별 마크(14A1)의 슈퍼임포즈 표시 출력을 없앨 수 있도록 하면, 화상의 관찰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식별 마크(14A1)는 도 1c 및 도 1d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순한 텍스트 데이터에 의한 표시나 도 1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로고 마크와 같이, 3D 화상 파일인 것이 사용자에게 식별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2]
실시예 1은 출력부(14)로서 3D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예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는, 출력부(14)가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인 경우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화상 출력 장치(1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부가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문의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동작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6)를 구비고 있다. 또한, 출력부(14)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프린터이다. 그리고, 화상 출력 장치(10)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구성을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한 스탠드얼론형의 화상 프린트 장치의 형태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고, PC를 이용하여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미디어 판독기(11) 대신에,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갖게 하여, 외부 서버 상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파일(21)을 이용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의 동작에 대해서도, 화상 출력 장치(10)의 전원 투입시에, 기억부(12)에 인쇄 출력 모드 정보로서 2D 인쇄 출력 모드를 세트하는 것이나,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13)의 조작에 따라 인쇄 출력 모드가 전환되는 것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사용자가 조작부(13)의 조작에 의해서, 미디어(20)에 기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파일 또는 임의의 복수의 화상 파일의 연속 인쇄 출력을 지정한 경우의 동작을, 도 3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먼저, 기억부(12)에 인쇄 출력 모드 정보로서 2D 인쇄 출력 모드를 세트하여, 상기 화상 출력 장치(10)가 2D 인쇄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한다(단계 S31).
보충하면, 연속 인쇄의 경우, 인쇄중에 사용자가 줄곧 장치 앞에서 대기하고 있는 것은 기대할 수 없으므로, 통상 화상 파일과 3D 화상 파일이 혼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3D 화상 파일을 인쇄할 때가 되어, 3D용 포맷으로 인쇄할지 2D 화상으로서 인쇄할지의 판단을 기다리고 있으면, 사용자가 부재인 경우에는 인쇄가 정지해 버리게 된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연속 인쇄는(2D/3D 혼재 상태의 다수의 사진을 정리해서 인쇄하는 것이므로) 종래 네거티브 필름으로부터의 프린트를 실행할 때의 「동시 프린트」 또는 「콘택트 프린트」과 유사한 샘플 인쇄적인 행위이라고 생각하여, 렌티큘러 시트 등의 특별한 관찰 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는 통상의 프린트가 적당하다는 것의 판단에 근거하여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그 후, 제어부(15)는 미디어 판독기(11)에 의해서 미디어(20)로부터 화상 파일(21)을 하나 판독하고(단계 S32), 예컨대 그 화상 파일(21)의 헤더부(21B)에 3D 메타 데이터(21B1)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3). 여기서, 2D 화상 파일인 경우에는, 인쇄의 실행에 어떠한 문제도 없으므로, 종래 공지된 표준의 프린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4). 즉,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 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얻어진 평면 화상(2D 화상)을 출력부(14)에서 인쇄 출력한다.
또한, 판독한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 경우에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통상의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을 실행하기 위해서,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또한, 헤더부(21B)에 기록되어 있는 3D 메타 데이터(21B1)에 근거하여, 좌우 2개의 모노큘러 화상 중 한쪽, 예를 들어 왼쪽(L) 화상으로부터 인쇄용의 평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35). 그리고,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마크의 화상을 판독하고, 상기 생성한 평면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여,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36). 이 중첩 위치로서는, 실시예 1과 같이 화상 상의 임의의 위치이더라도 좋고, 화상이 인쇄 출력되지 않은 여백부에 식별 마크(14A1)가 인쇄 출력되는 위치이더라도 좋다. 그리고, 제어부(15)는 작성한 인쇄 데이터를 출력부(14)로 인쇄 출력한다(단계 S37). 이에 따라,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쇄 출력을 얻을 수 있다(이 경우, 출력 화면(14A)이 인쇄 용지에 상당함).
이렇게 해서, 단계 S34 또는 단계 S37에서 인쇄 출력이 행해졌으면, 제어부(15)는 미디어(20)에 기록되어 있는 전체 화상 파일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모든 화상 파일의 인쇄 출력이 종료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38). 그리고, 아직 인쇄 출력하지 않은 화상 파일이 있으면, 단계 S32로 되돌아가고, 제어부(15)는 그 화상 파일을 판독하여 상기한 처리를 반복한다. 이와 같이, 모든 화상 파일의 인 쇄 출력이 종료할 때까지,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한, 단계 S31에서 강제적으로 2D 인쇄 출력 모드로 전환할 때, 그때까지의 인쇄 출력 모드가 어떻게 있었는지를 유지해 놓고, 이 연속 인쇄 처리의 종료시에, 그 유지해 놓은 본래의 모드로 복귀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다음에, 제어부(15)는 표시부(16)에 표시된 화상 파일 일람 중에서, 사용자가 조작부(13)의 조작에 의해서 임의의 화상 파일의 인쇄 출력을 지정한 경우(싱글 인쇄)의 동작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라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먼저, 그 인쇄 출력이 지시된 화상 파일(21)을 미디어 판독기(11)에 의해서 미디어(20)로부터 판독하고, 예컨대 그 화상 파일(21)의 헤더부(21B)에 3D 메타 데이터(21B1)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그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지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S41). 여기서, 2D 화상 파일의 경우에는, 제어부(15)는 종래 공지된 표준의 프린트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42). 즉,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얻어진 평면 화상(2D 화상)을 출력부(14)로 인쇄 출력한다.
또한, 판독한 화상 파일(21)이 3D 화상 파일인 경우에는, 제어부(15)는, 표시부(16)에, 2D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해도 좋은지 여부의 문의 메시지를 표시시켜, 사용자의 조작부(13)의 조작에 의한 2D/3D 프린트의 선택 지시 내용을 판별한다(단계 S43). 그리고, 3D 인쇄 출력하는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3D 프린트 처리를 실행한다. 즉,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 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또한, 헤더부(21B)에 기록되어 있는 3D 메타 데이터(21B1)에 근거하여,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7-2344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여(단계 S44), 출력부(14)에서 프린트를 실행한다(단계 S45).
또한, 2D 인쇄 출력하는 취지의 지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제어부(15)는 판독한 화상 파일(21)의 화상 데이터부(21A)에 기록되어 있는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또한, 헤더부(21B)에 기록되어 있는 3D 메타 데이터(21B1)에 근거하여, 좌우 2개의 모노큘러 화상 중 한쪽, 예를 들어 왼쪽(L) 화상으로부터 인쇄용의 평면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46). 그리고, 제어부(15)는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식별 마크의 화상을 판독하여, 생성한 평면 화상 데이터에 중첩하여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고(단계 S47), 그 작성한 인쇄 데이터를 출력부(14)에서 인쇄 출력한다(단계 S48). 이에 따라,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쇄 출력을 얻을 수 있다(이 경우, 출력 화면(14A)이 인쇄 용지에 상당함).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2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에 의하면, 3D 화상 파일의 2D 인쇄 출력시에는,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2D 인쇄 출력된 화상이 2D 화상 파일인지 3D 화상 파일인지를 확인하는 수고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은 연속 인쇄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예컨대, 샘플 인쇄로서 인쇄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매우 유용한 효과이다.
또한, 3D 화상 파일의 싱글 인쇄시의 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서 2D 또는 3D 인쇄 출력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망하지 않는 부적 절한 형태의 인쇄 출력을 행하여, 인쇄 용지나 잉크를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3D 화상 파일의 인쇄 출력시마다, 사용자의 선택을 받는 경우에는, 식별 마크(14A1)의 인쇄 출력의 필요성은, 샘플 인쇄적인 경우일수록 높지 않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최종적으로 앨범에 담는 작품이라고 하면, 오히려 식별 마크(14A1)의 중첩 인쇄는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목적에 따라 식별 마크(14A)를 생략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출력 장치(10)에 의하면, 3D 화상 파일의 화상 인쇄에 대해서는, 싱글 인쇄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선택을 받아서 2D 또는 3D 인쇄 출력을 행하고, 연속 인쇄의 경우에는 샘플 인쇄적인 의미와 위치를 부여하여 2D 인쇄 출력하기 때문에, 통상의(2D의) 화상 파일과의 혼재 인쇄의 경우에도, 목적에 따른 적절한 형태의 인쇄 출력을 효율적으로 실행할 수 있어, 인쇄 용지나 잉크를 낭비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16)를 마련하는 대신에, 음성으로 문의를 행하는 음성 출력부를 마련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식별 마크(14A1)의 중첩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패딩(14A2)(인쇄 출력의 경우에는 무인쇄부)에 상당하는 위치에 인쇄 출력하면, 식별 마크(14A1)에 의해서 화상의 관찰이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식별 마크(14A1) 자체도 3D 화상 파일인 것이 사용자에게 식별 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이상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2D 표시 출력시나 2D 인쇄 출력을 행한 경우, 이것이 2D 화상 파일인지 3D 화상 파일인지를 사용자가 확인하는 수고를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아는 것이 가능한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히 인쇄 출력에 관해서는, 적절한 형태로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4)

  1.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표시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하는 인쇄 실행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하는 2D 표시 출력 모드 사이에서 표시 출력 모드를 전환하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표시 출력 모드로 표시 출력할 때에, 아울러 상기 3D 화상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화면에 표시 출력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선택된 인쇄 출력 모드에 따라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2.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하는 인쇄 실행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하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 모드 사이에서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선택된 인쇄 출력 모드에 따라서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 때에, 아울러 상기 3D 화상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4. 삭제
  5. 삭제
  6.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 및 2D 화상 파일의 화상을 모두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화상 출력 장치로서,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할 때에,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지 3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지의 지시를 접수하는 인쇄 방법 입력 수단과,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하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하는 2D 인쇄 출력 모드 사이에서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하는 3D 화상 파일 인쇄 출력 모드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조작부(13)와,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하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조작부(13)에 의한 인쇄 출력 모드의 선택을 기다려서 그 선택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하는 제어부(15)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할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출력 장치.
  8.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표시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시키는 3D 표시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표시 출력시키는 2D 표시 출력 모드 사이에서 표시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표시 출력 모드로 표시 출력시킬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화면에 표시 출력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표시 출력 모드의 전환에 따른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9.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시키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시키는 2D 인쇄 출력 모드 사이에서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하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하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 출력 모드의 전환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할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표시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1. 삭제
  12. 삭제
  13. 컴퓨터(PC)에, 하나의 다안식 입체 화상의 구성요소인 복수의 모노큘러 화상의 집합체로서 구성된 입체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 화상 데이터인 것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부가하여 구성되는 3D 화상 파일 및 2D 화상 파일의 화상을 모두 인쇄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PC)에,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입체 화상 관상용 포맷으로 인쇄 출력시키는 3D 인쇄 출력 모드와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평면 화상으로서 인쇄 출력시키는 2D 인쇄 출력 모드 사이에서 인쇄 출력 모드를 전환시키고,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인쇄 출력시킬 때에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지 3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지의 지시를 접수시키고,
    인쇄 실행의 지시를 받았을 때에, 1개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실행시키는 싱글 인쇄 모드와 복수의 화상 파일의 인쇄를 연속 실행시키는 연속 인쇄 모드 사이에서 인쇄 모드를 전환시키고,
    싱글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상기 인쇄 출력 모드의 지시를 접수시키고 나서, 그 지시에 따른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고, 연속 인쇄 모드로 인쇄를 실행시킬 때에는,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에 대해서는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D 화상 파일의 화상을 2D 인쇄 출력 모드로 인쇄 출력시킬 때에는, 아울러 상기 파일이 3D 화상 파일인 것을 인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87001345A 2005-07-19 2006-07-19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062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8707A JP4638784B2 (ja) 2005-07-19 2005-07-19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JP-P-2005-00208707 2005-07-19
PCT/JP2006/314276 WO2007010940A1 (ja) 2005-07-19 2006-07-19 画像出力装置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953A KR20080018953A (ko) 2008-02-28
KR101062572B1 true KR101062572B1 (ko) 2011-09-06

Family

ID=37668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1345A KR101062572B1 (ko) 2005-07-19 2006-07-19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159529B2 (ko)
EP (1) EP1909510A4 (ko)
JP (1) JP4638784B2 (ko)
KR (1) KR101062572B1 (ko)
CN (1) CN101228799B (ko)
WO (1) WO2007010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47B1 (ko) * 2007-09-07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2d 영상을 포함하는 3d 입체영상 파일을 생성 및재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0169777A (ja) * 2009-01-21 2010-08-05 Sony Corp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953170B (zh) * 2009-02-04 2012-07-1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及集成电路
JP5789518B2 (ja) 2009-02-17 2015-10-07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グラフィック画面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59576B1 (ko) * 2009-02-17 2016-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4654327B2 (ja) * 2009-02-19 2011-03-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JP4962525B2 (ja) * 2009-04-08 2012-06-2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424257A4 (en) * 2009-04-24 2015-12-02 Lg Electronics Inc VIDEO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KR20100138806A (ko) * 2009-06-23 2010-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3차원 영상 포맷 변환 방법 및 그 장치
WO2010150976A2 (en) * 2009-06-23 2010-12-29 Lg Electronics Inc. Receiv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3d image
KR20140010171A (ko) * 2009-07-07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3차원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방법
US20110285827A1 (en) * 2009-07-14 2011-11-24 Panasonic Corporatio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20110012993A1 (en) * 2009-07-14 2011-01-20 Panasonic Corporation Image reproducing apparatus
JP5604827B2 (ja) * 2009-08-21 2014-10-1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CN105530551B (zh) * 2009-10-16 2019-01-29 Lg电子株式会社 指示3d内容的方法和处理信号的装置
US8988495B2 (en) 2009-11-03 2015-03-24 Lg Ele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system
EP2495983A1 (en) * 2009-12-11 2012-09-05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device, visual aid,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system using those
US8743178B2 (en) * 2010-01-05 2014-06-0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ulti-view video format control
JP2011176716A (ja) * 2010-02-25 2011-09-08 Nikon Corp 電子機器、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5488056B2 (ja) * 2010-03-03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572437B2 (ja) * 2010-03-29 2014-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3次元医用画像に基づいて立体視用画像を生成する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IT1399417B1 (it) * 2010-04-12 2013-04-16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per la generazione e ricostruzione di un flusso video stereoscopico compatibile e relativi dispositivi di codifica e decodifica.
TW201031179A (en) * 2010-04-15 2010-08-16 Xiu-Ping Zhou Image transform method, imaging methods and system for stereo vision
US9414042B2 (en) * 2010-05-05 2016-08-09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rogram guide graphics and video in window for 3DTV
CN103026716A (zh) * 2010-07-27 2013-04-0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摄像装置
KR101329506B1 (ko) * 2010-08-12 2013-1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KR20120020477A (ko) * 2010-08-30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466148B2 (en) * 2010-09-03 2016-10-11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to dynamically adjust an image on a display monitor represented in a video feed
JP5366996B2 (ja) * 2011-03-09 2013-12-11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679578B2 (ja) * 2011-08-05 2015-03-04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
JP5129376B1 (ja) * 2011-08-31 2013-01-30 株式会社東芝 映像処理装置および映像処理方法
WO2013101602A1 (en) * 2011-12-26 2013-07-04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managing three-dimensional graphics display modes
US20140098170A1 (en) * 2012-10-09 2014-04-10 William M Karszes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multi-dimensional images on demand for the creation of customized products
JP2014150397A (ja) * 2013-01-31 2014-08-21 Nippon Hoso Kyokai <Nhk> 受信装置、映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TWI502247B (zh) * 2013-02-26 2015-10-01 Chunghwa Picture Tubes Ltd 裸視立體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
US9239661B2 (en) 2013-03-15 2016-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on a head mounted display
JP6268795B2 (ja) * 2013-08-02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生成用のプログラム及び印刷装置
JP6817251B2 (ja) * 2018-06-11 2021-01-20 シャープ株式会社 文字認識装置および文字認識方法
JP2022027107A (ja) * 2020-07-31 2022-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画像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2733A (ja) 1991-10-28 1993-05-18 Nippon Hoso Kyokai <Nhk> 3次元画像表示装置
US5424801A (en) * 1994-02-01 1995-06-13 Image Technology International, Inc. Dual mode 2D/3D printer
JPH07234460A (ja) 1994-02-24 1995-09-05 Sanyo Electric Co Ltd 3次元画像信号処理方法
JP3679506B2 (ja) * 1996-06-03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H1188912A (ja) * 1997-09-10 1999-03-30 Canon Inc 複眼カメラ及び複眼カメラにおける表示制御方法
JP2003050438A (ja) * 2001-08-06 2003-02-21 Sony Corp 立体画像撮像用カメラレンズアダプタ、および撮影装置
EP1501316A4 (en) * 2002-04-25 2009-01-21 Sharp Kk METHOD FOR GENERATING MULTIMEDIA INFORMATION, AND DEVICE FOR REPRODUCING MULTIMEDIA INFORMATION
JPWO2003092304A1 (ja) * 2002-04-25 2005-09-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生成装置、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記録媒体
JP4093833B2 (ja) * 2002-09-25 2008-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4357156A (ja) * 2003-05-30 2004-12-16 Sharp Corp 映像受信装置および映像再生装置
JP4393151B2 (ja) * 2003-10-01 2010-01-06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データ表示装置
TWI275872B (en) * 2003-11-07 2007-03-11 Hon Hai Prec In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28296A (ja) 2007-02-01
CN101228799A (zh) 2008-07-23
WO2007010940A1 (ja) 2007-01-25
US20080309755A1 (en) 2008-12-18
CN101228799B (zh) 2011-08-10
US8159529B2 (en) 2012-04-17
KR20080018953A (ko) 2008-02-28
EP1909510A4 (en) 2011-08-10
JP4638784B2 (ja) 2011-02-23
EP1909510A1 (en)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2572B1 (ko) 화상 출력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95302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2007036529A (ja) 立体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274137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一覧表示方法
JP2007259352A (ja) 印刷または表示装置
JP200733132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8124963A (ja) 3次元画像データ用画像ファイルの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及び画像再生装置
JP2006065410A (ja) 警告システムおよび警告方法
JP2011176716A (ja) 電子機器、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EP2107786B1 (en) Image processor
US6784887B1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0830646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3760A (ja) 管理ファイルを生成する電子機器、3次元画像データを生成する電子機器、管理ファイル生成方法、3次元画像データ生成方法および管理ファイルのファイル構造
JP4668602B2 (ja)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325002A (ja) 画像出力装置及び画像出力方法
JP4760849B2 (ja) 画像処理装置
US20100247063A1 (en) Moving imag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moving image recording/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moving image recording/reproducing program recorded thereon
KR101201227B1 (ko) 화상형성장치 및 멀티 크롭 화상형성방법
JP2007233778A (ja) インデックスプリント、インデックスプリント作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259283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5150892A (ja) ディジタル・スチル・カメラおよび画像データ記憶装置ならびにそれらの制御方法
JP3897791B2 (ja) 携帯式電話機
JP2011155417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187945A (ja) プリント装置及びプリント方法
JP2006197567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