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399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399B1
KR101059399B1 KR1020107021494A KR20107021494A KR101059399B1 KR 101059399 B1 KR101059399 B1 KR 101059399B1 KR 1020107021494 A KR1020107021494 A KR 1020107021494A KR 20107021494 A KR20107021494 A KR 20107021494A KR 101059399 B1 KR101059399 B1 KR 10105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opening
absorbent body
adhesive
exteri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961A (ko
Inventor
히로토 스케가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11392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5939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오세이시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specially adapted for gender distinct urine discharge pattern
    • A61F13/4915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specially adapted for gender distinct urine discharge pattern specially adapted for male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체 (30) 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 (3) 와, 복측부 (2a), 배측부 (2b)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 (2c) 를 구비하고, 흡수성 본체 (3) 를 가랑이부 (2c) 에 접착 고정시키는 외장체 (2) 를 구비한 팬츠형의 흡수성 물품 (10) 에 있어서, 외장체 (2) 는, 복측부 (2a) 의 하부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노치부 (50) 를 갖고, 당해 노치부 (50) 의 상하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 (5) 를 구비하고, 흡수성 본체 (3) 는, 개구부 (5) 를 넘어 외장체 (2) 의 가랑이부 (2c) 에서 복측부 (2a) 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개구부 (5) 보다 하측 부분은,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가 접착된 접착부 (3B) 를 구성하고, 개구부 (5) 보다 상측 부분은,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 (3A) 를 구성하고, 비접착부 (3A) 에 있어서의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 (6) 을 구비한다. 이로써, 개구부의 폐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ING ARTICLE}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일회용 종이 기저귀로 대표되는 흡수성 물품이 알려져 있다. 일회용 종이 기저귀로는, 일반적으로, 팬츠형 및 테이프식 종이 기저귀가 알려져 있다. 이 중 팬츠형 종이 기저귀 (이하, 종이 기저귀라고 함) 는, 흡수체가 내포된 흡수성 본체와, 흡수성 본체가 고정된 외장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외장체는 누출 방지의 관점에서 착용자의 신체에 대하여 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특히 남성용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는, 외장체는 일반적인 남성용 속옷에 구비되어 있는 남성기를 꺼내기 위한 배뇨용 취출구 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자력에 의한 배뇨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종이 기저귀의 복측 (腹側) 에 남성기를 꺼내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한 종이 기저귀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30543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종이 기저귀는, 개구부가 폭 방향을 따른 노치부이기 때문에, 종이 기저귀에 배뇨하면 소변의 무게로 종이 기저귀가 내려가, 개구부가 열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개구부의 폐구 (閉口)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복측부, 배측 (背側) 부 및 그것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를 상기 가랑이부에 접착 고정시키는 외장체를 구비한 팬츠형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복측부의 하부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노치부를 갖고, 당해 노치부의 상하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외장체의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복측부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된 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부보다 상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노치부의 양단 (兩端) 에 연속하여 형성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노치부의 중심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상기 노치부와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제 2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비접착부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비접착부의 단부 (端部) 형상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의 경계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의 경계부에는, 폭 방향을 따른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 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상기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부여된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0 에 기재된 발명은,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복측부, 배측부 및 그것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를 상기 가랑이부에 접착 고정시키는 외장체를 구비한 팬츠형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복측부를 형성하는 상측 시트와, 상기 배측부 및 상기 가랑이부를 형성하는 하측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측 시트의 하단부 (下端部) 와 상기 하측 시트의 상단부 (上端部) 가 상기 상측 시트가 외측이 되도록 포개어져 이루어지고, 당해 포개어진 부분은, 상기 상측 시트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시트의 상단부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외장체의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복측부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된 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부보다 상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수성 본체는 개구부를 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개구부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는 외장체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로서, 이 비접착부에는 외장체와 비접착부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수성 본체에 배뇨하였을 때에 소변의 무게로 흡수성 물품 전체가 내려간 경우에도, 개구부의 상부를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어, 개구부가 개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적용한 실시형태 1 의 종이 기저귀 (10) 의 전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종이 기저귀 (10) 의 Ⅱ-Ⅱ 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종이 기저귀 (10) 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종이 기저귀의 10 Ⅳ-Ⅳ 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5 는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를 외부로 꺼낸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은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적용한 실시형태 2 의 종이 기저귀 (20) 의 전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적용한 실시형태 3 의 종이 기저귀 (30) 의 전개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종이 기저귀 (30) 의 Ⅸ-Ⅸ 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팬츠형의 일회용 종이 기저귀 (이하, 「종이 기저귀」라고 함) 를 일례로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은 본 발명을 적용한 흡수성 물품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예시하는 종이 기저귀의 전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Ⅱ-Ⅱ 선에 있어서의 종이 기저귀의 주요부 단면도이고, 도 3 은 종이 기저귀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Ⅳ-Ⅳ 선에 있어서의 종이 기저귀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기저귀 (10) 에는, 인체와 접하는 접촉면에 배치되는 투액성의 탑 시트 (1) 와, 사용 장착시에 외부측에 형성되는 외장체 (2) 와, 탑 시트 (1) 와 외장체 (2) 사이에 개재 장착되는 흡수성 본체 (3) 가 구비되어 있다.
탑 시트 (1) 는, 예를 들어, 투액성을 갖는 부직포로, 흡수체의 표면측 (인체측) 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장체 (2) 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외면 시트 (2A) 와, 이 외면 시트 (2A) 에 첩설 (貼設) 되는 내면 시트 (2B) 에 의해 구성되고, 흡수성 본체 (3) 의 이면측 (장착시에 있어서의 외부측) 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탑 시트 (1) 또는 외면 시트 (2A) 및 후술하는 개더 시트 (7) 등을 형성하는 부직포의 소재로는, 천연 섬유, 합성 섬유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된다. 천연 섬유의 예로는, 면, 셀룰로오스 (목재 펄프), 양모, 비단 등을 들 수 있다. 또 합성 섬유로는,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PET), 아크릴 등을 들 수 있고, 또 PE/PP 혼합 부직포, PE/PET 혼합 부직포, 또 상기 소재를 적절히 조합한 바이컴포넌트 섬유 (혼합 섬유) 도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들 섬유성 소재로부터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공지된 방법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케미컬 본드, 서멀 본드, 스펀레이스 등의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되고, 또 합성 섬유 등에서는, 스펀본드법, 멜트 블로우법, 또 이들과 상기의 접착 방법의 조합 등,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해도 된다.
외장체 (2) 의 일방의 단부에는, 당해 종이 기저귀 (10) 의 착용자의 배 둘레를 피복하는 복측부 (2a) 가 형성되고, 타방의 단부에는, 착용자의 등 둘레를 피복하는 배측부 (2b) 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복측부 (2a) 와 배측부 (2b) 사이에, 착용자의 고간 (股間) 부를 피복하는 가랑이부 (2c) 가 형성되어 있다. 복측부 (2a) 및 배측부 (2b) 는, 거의 동등한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측부 (2a) 의 폭 방향측의 각 단부 (21a, 21a) 와 배측부 (2b) 의 폭 방향측의 각 단부 (21b, 21b) 가 각각 고정되어 옆구리부를 형성함으로써, 종이 기저귀 (10) 가 팬츠형의 형상으로 성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복측부 (2a) 및 배측부 (2b) 에 있어서의 외면 시트 (2A) 와 내면 시트 (2B) 사이에는, 단부 (21a, 21a) 사이 및 단부 (21b, 21b) 사이에 걸쳐 각각 폭 방향으로 거의 평행한 탄성 부재로서의 복수 개의 실고무 (4a …) 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개 끼워 넣어지고 고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 실고무 (4a) 에 의해, 종이 기저귀 (10) 사용시에 착용자의 몸통 둘레 및 허리 둘레에서, 종이 기저귀 (10) 가 자유롭게 신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외면 시트 (2A) 와 내면 시트 (2B) 의 가랑이부 (2c) 에는, 복측부 (2a) 의 일방의 측단부 (側端部) (21a) 로부터 가랑이부 (2c) 의 일방의 단부 (21c) 의 형상을 따르도록 곡선적으로 배치되고, 폭 방향의 거의 중앙을 지나고, 또한, 가랑이부 (2c) 의 타방의 단부 (21c) 의 형상을 따르도록 곡선적으로 배치되고, 복측부 (2a) 의 타방의 측단부 (21a) 에 이르는 복수 개의 실고무 (4b) 가 고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 배측부 (2b) 의 일방의 측단부 (21b) 로부터 가랑이부 (2c) 의 일방의 단부 (21c) 의 형상을 따르도록 곡선적으로 배치되고, 폭 방향의 거의 중앙을 지나고, 또한, 가랑이부 (2c) 의 타방의 단부 (21c) 의 형상을 따르도록 곡선적으로 배치되고, 거의 중앙을 지나 배측부 (2b) 의 타방의 측단부 (21b) 에 이르는 복수 개의 실고무 (4c) 가 고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들 실고무 (4b, 4c) 는, 종이 기저귀 (10) 사용시에 착용자의 가랑이나 서혜부에 외장체 (2) 를 피팅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복측부 (2a) 의 하부에는, 외장체 (2) 의 폭 방향을 따른 노치부 (50) 를 갖고, 당해 노치부 (50) 의 상하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노치부 (50) 는, 예를 들어, 노치부 (50) 의 중심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이다.
또, 개구부 (5) 는, 노치부 (50) 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구멍부 (51, 51) 를 갖고 있다.
또한, 외장체 (2) 의 개구부 (5) 를 형성하는 지점에는, 강도 보강용의 보호 시트를 첩착 (貼着) 시켜 두께를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개구부 (5) 를 개구시켰을 때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구멍부 (51, 51) 가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흡수성 본체 (3) 는, 예를 들어, 종이 기저귀 (10) 의 사용시에 체액으로서의 소변 등의 수양 (水樣) 성분을 흡수하는 것으로, 면이나 펄프 등의 흡수성 소재나, 섬유 또는 필름 등의 시트 형상 기재와 고흡수성 (高吸水性) 수지가 조합되어 형성된 흡수체 (30) 와, 이 흡수체 (30) 를 덮는 투액성의 크레이프지 (紙) (31) 및 방수 필름 (32)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흡수성 본체 (3) 는, 예를 들어, 인체의 앞 몸통 둘레에서 양 다리 사이를 통과하여 뒷 몸통 둘레에 걸친 위치에 장착되도록, 가랑이부 (2c) 에 있어서의 가랑이 양 단부 사이의 폭을 단척 (短尺), 앞 몸통 둘레에 닿는 복측 단부 (3a) 에서 뒷 몸통 둘레에 닿는 배측 단부 (3b) 에 걸쳐 장척 (長尺) 으로 하는, 모래 시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크레이프지 (31) 는 투액성의 시트로서, 흡수체 (30) 를 전체적으로 포장하고 있고, 체액을 흡수하는 작용을 한다.
방수 필름 (32) 은 차수성 (遮水性) 을 가져, 크레이프지 (31) 를 통과한 수 양분이 외장체 (2) 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흡수성 본체 (3) 는, 외장체 (2) 의 배측부 (2b) 로부터 가랑이부 (2c) 를 통과하고, 개구부 (5) 를 넘어 복측부 (2a) 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개구부 (5) 보다 가랑이부 (2c) 측 (하측) 은, 외장체 (2) 와 접착된 접착부 (3B) 로 되어 있고, 개구부 (5) 보다 복측부 (2a) 측 (상측) 은, 외장체 (2) 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 (3A) 로 되어 있다.
접착부 (3B) 는, 흡수성 본체 (3) 를 외장체 (2) 에 장착하기 위한 접착제를 도포하는 영역이다. 구체적으로는, 외장체 (2) 측 또는 흡수성 본체 (3) 측 중 어느 일방에 실시되어 있으면 된다.
접착 방법으로는, 핫 멜트에 의한 접착이 일반적이지만,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접착시켜도 상관없다.
또, 핫 멜트를 사용하는 경우의 접착제 도포 패턴으로는, 접착제 도포 영역의 전체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접착제 도포 영역에 접착제를 직선이나 곡선 등의 선 형상으로 도공하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비접착부 (3A) 의 이면 (외장체 (2) 측) 에는,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착시키는 고정 수단 (6)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수단 (6) 으로는, 예를 들어, 메커니컬 테이프나 점착 테이프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비접착부 (3A) 의 폭은, 개구부 (5) 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비접착부 (3A) 의 단부 형상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3) 의 표면 (탑 시트 (1) 측) 에 있어서, 접착부 (3B) 와 비접착부 (3A) 의 경계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복수 개의 엠보스 (33 …) 로 이루어지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엠보스 가공의 엠보스 (33 …) 는, 개구부 (5) 의 근방에 있어서, 평면에서 봤을 때 폭 방향으로 장척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엠보스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원 형상이나 타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흡수성 본체 (3) 의 폭 방향 양측 단부에는, 종이 기저귀 (10) 에 있어서의 탑 시트 (1) 측에 있어서, 흡수체 코어 (30) 의 복측 단부 (3a) 에서 배측 단부 (3b) 에 걸쳐, 가랑이 양 단부 (3c) 에 상당하는 위치에 개더 시트 (7, 7) 가 구비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 (7, 7) 는, 비투액성의 부직포의 시트를 둘로 접고, 접어 맞대어진 면을, 예를 들어, 핫 멜트나,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에 의해 고착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부직포 시트를 둘로 접은 되접힘 부분측의 단부를 자유 단부 (71), 입체적인 기립의 기점을 기립부 (72), 외장체 (2) 측에 고정되는 단부를 고정 단부 (73) 로 한다. 그 고정 단부 (73) 가, 탑 시트 (1) 와 외면 시트 (2A) 사이에 끼워지도록 고착됨으로써, 개더 시트 (7, 7) 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부직포가 접어 맞대어진 면 사이에, 복수 개의 실고무 (4d) 가 끼워 넣어지고 고착되어 구비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 (7, 7) 가 종이 기저귀 (10) 에 고착되어 구비된 상태에서, 선단부인 자유 단부 (71) 가 기립함으로써 입체 개더 (7H) 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실고무 (4) 에 의해 개더 시트 (7) 는, 착용자의 체형에 맞춰 자유롭게 신축될 수 있도록 변형되어, 착용자에게 피팅시키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종이 기저귀 (10) 의 장착시에 있어서,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는 고정 수단 (6) 에 의해 고정되어, 개구부 (5) 는 폐구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흡수성 본체 (3) 에 배뇨하였을 때에 종이 기저귀 (10) 가 하방으로 내려간 경우에도,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는 고정 수단 (6) 에 의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 (5) 는 폐구 상태를 유지한다 (도 4 참조).
한편, 종이 기저귀 (10) 의 장착시에 개구부 (5) 로부터 남성기를 꺼내 외부로 배뇨하는 경우, 고정 수단 (6) 에 의한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의 고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흡수성 본체 (3) 와 외장체 (2) 는 이간되어 개구부 (5) 가 개구되고, 남성기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 때, 흡수성 본체 (3) 는 개구부 (5) 의 상하측에 걸쳐 배치되고, 또한 개구부 (5) 의 상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본체 (3) 는 비접착부 (3A)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남성기와 함께 이 비접착부 (3A) 를 외부로 꺼낼 수 있다 (도 5 참조).
그리고, 꺼내어진 비접착부 (3A) 는, 고정 수단 (6) 에 의해 외장체 (2) 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비접착부 (3A) 의 폭은, 개구부 (5) 의 폭보다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부 (5) 로부터 비접착부 (3A) 를 꺼내기 쉽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구부 (5) 의 상부를 고정 수단 (6) 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 (3) 에 배뇨한 경우에 소변의 무게로 종이 기저귀 (10) 전체가 내려가도 개구부 (5) 가 개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로부터 남성기를 꺼내 배뇨하는 경우, 남성기와 함께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를 꺼낼 수 있고, 비접착부 (3A) 에 의해 잔뇨를 캐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종이 기저귀 (10) 본체에 소변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로부터 남성기를 꺼내 배뇨하는 경우, 고정 수단 (6) 을 외장체 (2) 의 외측에 고정시킴으로써 개구부 (5) 의 개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도 용이하게 배뇨가 가능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는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이기 때문에, 개구부 (5) 의 중심 위치가 열리기 쉬우므로 남성기를 꺼내기 쉬워,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의 단부 형상은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개구부 (5) 로부터 꺼낼 때에 좌우 단부가 걸리지 않으므로 꺼내기 쉬워, 사용의 편리성을 보다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는, 노치부 (50) 의 양단에 구멍부 (51, 51) 가 구비된 구성이기 때문에, 개구부 (5) 가 개구된 경우에 노치부 (50) 의 양단에 가해지는 응력이 분산되어, 노치부 (50) 의 양단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의 폭은, 개구부 (5) 의 폭보다 좁기 때문에, 개구부 (5) 로부터 비접착부 (3A) 를 꺼내기 쉬워,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접착부 (3A) 의 단부 형상은 원호 형상이기 때문에, 개구부 (5) 로부터 비접착부 (3A) 를 꺼내기 쉬워, 사용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 (3) 의 접착부 (3B) 와 비접착부 (3A) 의 경계부에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기 때문에, 비접착부 (3A) 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흡수성 본체 (3) 가 접기 쉬워져, 고정 수단 (6) 을 외장체 (2) 의 외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엠보스에 의해 비접착부 (3A) 로 소변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착부 (3B) 와 비접착부 (3A) 의 경계부에 폭 방향을 따른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 이외에도, 예를 들어, 흡수성 본체 (3) 의 폭 방향을 따른 슬릿을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도, 비접착부 (3A) 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흡수성 본체 (3) 가 접기 쉬워져, 고정 수단 (6) 을 외장체 (2) 의 외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 (3) 의 이면 (탑 시트 (1) 측) 에 있어서, 접착부 (3B) 와 비접착부 (3A) 의 경계부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엠보스 가공은 흡수성 본체 (3) 의 표면 (외장체 (2) 측) 에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해도, 비접착부 (3A) 를 외부로 꺼내는 경우에 흡수성 본체 (3) 를 접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흡수성 본체 (3) 의 이면 (탑 시트 (1) 측) 및 표면 (외장체 (2) 측) 의 양면에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비접착부 (3A) 의 폭은 개구부 (5) 의 폭보다 좁은 것으로 하였지만, 비접착부 (3A) 의 폭을 개구부 (5) 보다 넓게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외부로 배뇨할 때에는, 비접착부 (3A) 를 종이 기저귀 (10) 의 내측으로 접어 구부리고, 개구부 (5) 로부터 남성기를 꺼내도록 하면 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이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대해 실시형태 1 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지점에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종이 기저귀 (20) 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2 의 종이 기저귀 (20) 에 있어서는, 개구부 (5) 의 근방에, 개구부 (5) 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부여된 탄성체 (52) 가 구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체 (52) 는 장력이 부여된 상태에서 그 중심 위치를 정점으로 하여 하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이고, 또한 개구부 (5) 를 넘도록 외면 시트 (2A) 와 내면 시트 (2B) 사이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부 (5) 의 양 단부를 끌어 올리는 탄성 지지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개구부 (5) 의 폐구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를 넘도록 탄성체 (52) 를 배치함으로써, 개구부 (5) 의 양 단부를 더욱 잘 찢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를 넘도록 탄성체 (52) 를 배치한 경우에는, 탄성체 (52) 가 수축하여 변형이 발생함으로써, 개구부 (5) 를 개구시킬 때에 손가락을 걸기 쉬워져 개구시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남성기를 보다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개구부 (5) 는, 노치부 (50) 의 중심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노치부 (50) 와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제 2 노치부 (53) 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부 (5) 를 개구시키는 경우에 보다 넓히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또는 남성기를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탄성체 (52) 의 궤적 상에 제 2 노치부 (53) 를 형성함으로써, 노치부 (50) 와 제 2 노치부 (53) 가 이간되지 않고,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대해 실시형태 1 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동일한 지점에는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종이 기저귀 (30) 를 조립한 사시도이고,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종이 기저귀 (30) 의 Ⅸ-Ⅸ 선에 있어서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3 의 종이 기저귀 (30) 에 있어서는, 외장체 (2) 는, 복측부 (2a) 를 형성하는 상측 시트 (24) 와, 배측부 (2b) 및 가랑이부 (2c) 를 형성하는 하측 시트 (25) 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측 시트 (24) 의 하단부 (24a) 와 하측 시트 (25) 의 상단부 (25a) 에 의해 개구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시트 (24) 의 하단부 (24a) 와 하측 시트 (25) 의 상단부 (25a) 는, 상측 시트 (24) 가 외측이 되도록 포개어져 있다. 이 포개어진 부분 (이하, 중복부 (26) 라고 함. 도 8 의 사선부 참조) 에 있어서의 상측 시트 (24) 의 좌우 양측 단부 (24b, 24b), 및 하측 시트 (25) 의 좌우 양측 단부 (25b, 25b) 는, 하측 시트 (25) 의 배측부 (2b) 의 폭 방향측의 각 단부 (25c, 25c) 와 고착되어 옆구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복부 (26) 의 중앙부는, 상측 시트 (24) 의 하단부 (24a) 와 하측 시트 (25) 의 상단부 (25a) 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도록 되어 있고, 이로써 개구부 (5)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본체 (3) 는, 개구부 (5) 를 넘어 외장체 (2) 의 가랑이부 (2c) 에서 복측부 (2a) 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흡수성 본체 (3) 의 개구부 (5) 보다 상측은 비접착부 (3A) 로 되어 있다. 비접착부 (3A) 에는, 고정 수단 (6) 이 형성되어 있고, 상측 시트 (24) 의 중복부 (26) 보다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개구부 (5) 를 개구시키는 경우에 보다 넓히기 쉬워지기 때문에, 흡수성 본체 (3) 의 비접착부 (3A) 또는 남성기를 꺼내기 쉽게 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의 제조업 등에서 이용할 수 있다.
1 : 탑 시트
2 : 외장체
2A : 외면 시트
2B : 내면 시트
2a : 복측부
2b : 배측부
2c : 가랑이부
24 : 상측 시트
25 : 하측 시트
3 : 흡수성 본체
30 : 흡수체
31 : 크레이프지
32 : 방수 필름
3A : 비접착부
3B : 접착부
4a, 4b, 4c : 실고무
5 : 개구부
50 : 노치부
51 : 구멍부
52 : 탄성체
53 : 제 2 노치부
6 : 고정 수단
7 : 개더 시트
71 : 자유 단부
72 : 기립부
73 : 고정 단부
10 : 종이 기저귀

Claims (10)

  1.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복측부, 배측부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를 상기 가랑이부에 접착 고정시키는 외장체를 구비한 팬츠형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복측부의 하부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노치부를 갖고, 당해 노치부의 상하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외장체의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복측부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된 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부보다 상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부는, 상방으로 볼록해지는 만곡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노치부의 양단에 연속하여 형성된 구멍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노치부의 중심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상기 노치부와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 제 2 노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비접착부의 폭은, 상기 개구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비접착부의 단부 형상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의 경계부에는, 폭 방향을 따라 연속하는 엠보스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본체의 상기 접착부와 상기 비접착부의 경계부에는, 폭 방향을 따른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근방에, 상기 개구부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력이 부여된 탄성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본체와, 복측부, 배측부 및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를 상기 가랑이부에 접착 고정시키는 외장체를 구비한 팬츠형의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외장체는, 상기 복측부를 형성하는 상측 시트와, 상기 배측부 및 상기 가랑이부를 형성하는 하측 시트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상측 시트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시트의 상단부가, 상기 상측 시트가 외측이 되도록 포개어져 이루어지고 당해 포개어진 부분은 상기 상측 시트의 하단부와 상기 하측 시트의 상단부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개구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흡수성 본체는,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외장체의 상기 가랑이부에서 상기 복측부에 걸쳐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보다 하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된 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개구부보다 상측 부분은,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구성하고,
    상기 비접착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본체와 상기 외장체를 자유롭게 착탈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1494A 2008-03-28 2009-03-26 흡수성 물품 KR1010593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7910A JP4456643B2 (ja) 2008-03-28 2008-03-28 吸収性物品
JPJP-P-2008-087910 2008-03-28
PCT/JP2009/056125 WO2009119740A1 (ja) 2008-03-28 2009-03-26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961A KR20100132961A (ko) 2010-12-20
KR101059399B1 true KR101059399B1 (ko) 2011-08-25

Family

ID=4111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494A KR101059399B1 (ko) 2008-03-28 2009-03-26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92442B2 (ko)
EP (1) EP2263629B1 (ko)
JP (1) JP4456643B2 (ko)
KR (1) KR101059399B1 (ko)
CN (1) CN101980679B (ko)
WO (1) WO20091197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4448B2 (ja) * 2012-10-01 2016-10-2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3187768U (ja) * 2013-10-02 2013-12-12 三郎 瀬下 男性用紙おむつ
PL3355843T3 (pl) * 2015-09-29 2021-05-31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Jednorazowy wyrób chłonny typu majtek szczególnie dostosowany do użytkownika płci męskiej
JP7236261B2 (ja) * 2018-12-10 2023-03-09 大王製紙株式会社 男性用パンツ型吸収性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903A (ja) 1998-05-29 1999-12-07 Tetsuo Nemoto 失禁用下着
JP2007330543A (ja) 2006-06-15 2007-12-27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054987A (ja) 2006-08-31 2008-03-13 Oji Nepia Kk パンツ型おむ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3867A (en) * 1993-05-25 1995-01-24 Klinger; Joan Universal incontinence device
US5843065A (en) * 1997-01-09 1998-12-01 Wyant; James A. Incontinence diaper with opening for male use
US7670324B2 (en) * 1997-03-27 2010-03-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with replaceable absorbent core components having regions of permeability and impermeability on same surface
JPH1143802A (ja) * 1997-07-17 1999-02-16 Masuo Yamamichi 失禁用男性下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903A (ja) 1998-05-29 1999-12-07 Tetsuo Nemoto 失禁用下着
JP2007330543A (ja) 2006-06-15 2007-12-27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おむつ
JP2008054987A (ja) 2006-08-31 2008-03-13 Oji Nepia Kk パンツ型おむ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63629B1 (en) 2013-12-18
JP2009240400A (ja) 2009-10-22
CN101980679B (zh) 2013-08-07
US20110015603A1 (en) 2011-01-20
KR20100132961A (ko) 2010-12-20
EP2263629A4 (en) 2011-04-27
US8092442B2 (en) 2012-01-10
EP2263629A1 (en) 2010-12-22
WO2009119740A1 (ja) 2009-10-01
JP4456643B2 (ja) 2010-04-28
CN101980679A (zh) 201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53003B (zh) 吸收性物品及吸收性物品之製造方法
KR101660572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101059399B1 (ko) 흡수성 물품
KR101228686B1 (ko)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JP4167156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EP2032106B1 (en) A three-piec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with cross-direction flexibility
JP5764358B2 (ja) 吸収性物品
JP5033750B2 (ja) ウエストバンド及び吸収性物品
JP5721987B2 (ja) 吸収性物品
JP6058886B2 (ja) 吸収性物品
JP6644072B2 (ja) 吸収物品
JP5996924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TWI536973B (zh) 吸收性物品及使用後丟棄之尿片
JP5690050B2 (ja) 吸収性物品
JP4167105B2 (ja) 吸収性物品
JP6903116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3210619U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922365B2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5512479B2 (ja) 紙おむつ
CN108697555B (zh) 短裤型一次性尿布及其制造方法
JP4859728B2 (ja) 紙おむつ
JP3851897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13074961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2016010433A (ja) パンツ型吸収性物品
JP6315315B2 (ja)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その伸縮構造を備えた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