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8686B1 -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8686B1
KR101228686B1 KR1020087024918A KR20087024918A KR101228686B1 KR 101228686 B1 KR101228686 B1 KR 101228686B1 KR 1020087024918 A KR1020087024918 A KR 1020087024918A KR 20087024918 A KR20087024918 A KR 20087024918A KR 101228686 B1 KR101228686 B1 KR 10122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rticle
core
flap
e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4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345A (ko
Inventor
순수케 타키노
유키 마에다
히로유키 탄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8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58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 A61F13/1559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 A61F13/15609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of babies' napkins, e.g. diapers having elastic ribbons fixed thereto; Devices for applying the ribbons the ribbons being applied in an irregular p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7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having a continuous closed form, e.g. circle, ellipse, recta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with separable parts, e.g. combination of disposable and reus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를 갖는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배설물 처리 용품(1)이 제1 시트(2)와 제2 시트(3)와 이들 양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체액 흡수성 코어(16)를 갖으며, 제1 시트(2)가 액체 투과성의 피부 접촉면을 형성한다. 제2 시트(3)는 직사각형의 것으로, 한쌍의 단 가장자리(6a, 6b)와 한쌍의 측 가장자리(7a, 7b)를 갖으며, 이들 단 가장자리(6a, 6b)와 측 가장자리(7a, 7b)의 내측에는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이 형성된다.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은 단 가장자리(6a, 6b)와 측 가장자리(7a, 7b)를 따라 연장되어 있어 제2 시트(3)의 코너부(3a, 3b, 3c, 3d)에서 상호 연결되는 탄성 부재(12a, 12b, 13a, 13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Description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DISPOSABLE EXCREMENT TREATING DEVICE}
본 발명은 변이나 뇨 등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데 적합한 일회용 용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분쇄 펄프 등의 체액 흡수성 재료를 액체 투과성 시트로 피복함으로써 패널을 만들며, 그 패널의 둘레 가장자리에 누설 방지벽을 마련함으로써 패널과 누설 방지벽으로 배설물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누설 방지벽에는 그 공간을 통하는 개구를 구획시키며, 그 개구를 둘러싸도록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한 배설물 처리 용품은 공지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2033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일회용 체액 처리 용품에서는, 액체 투과성 내면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외면 시트 사이에 흡수성 코어를 개재시켜 놓은 체액 흡수부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이 체액 흡수부를 내면 시트의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누설 방지성의 커버 시트가 마련되어 있으며, 체액 흡수부와 커버 시트가 협동하여 배설물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커버 시트는 그 공간으로의 배설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는 개구를 구획하고 있으며,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는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510150호 공보(특허문헌 2)에는, 일회용 체액 처리 물품이 개 시되어 있다. 이 체액 처리 물품은 직사각형의 체액 흡수성 패널의 옆쪽에 각 1조의 띠 형상의 누설 방지성 시트를 부착하여 누설 방지벽을 만들고, 패널과 누설 방지벽에 의해 배설물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그 누설 방지벽이 공간으로 통하는 개구를 구획하고 있다. 누설 방지벽은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3669호 공보(특허문헌 3)에는, 기저귀 또는 실금 가드와 같은 흡수 물품이라고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 물품에서는, 흡수성 재료를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움으로써 형성된 패널형 물품에서의 액체 투과성 시트가, 타원형의 개구가 마련된 톱 시트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들 액체 투과성 시트와 톱 시트 사이에는 배설물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배설물은 톱 시트의 개구로부터 유입된다. 톱 시트에는, 개구의 둘레 가장자리 부분에 탄성 부재가 부착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0-42033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제3510150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표 제2001-51366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체액 처리 용품에서는, 내면 시트와 외면 시트 사이에 코어를 개재시킴으로써 형성된 사다리꼴 또는 직사각형 패널의 주연부끼리를, 패널의 폭을 2등분하는 중심선을 따라 패널을 접어 포개고 나서, 상호 접합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체액 처리 용품에는, 그것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패널을 접어 포개어 접합하지 않으면 안되는 복잡한 수고가 불가피하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체액 처리 물품은, 직사각형 패널의 옆쪽에 패널과는 별체의 부재인 띠 형상의 누설 방지성 시트를 부착하며, 그 누설 방지성 시트에는 탄성 부재를 신장 상태로 부착하여 두지 않으면 안 되고, 체액 처리 물품의 구조가 복잡한데다가 부재의 수가 많아, 제조 비용이 늘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흡수 물품은, 패널형 물품과는 별체의 부재인 톱 시트를 필요로 한다는 것에서 비용이 든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대상으로 하는 것은,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체액 흡수성 코어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트가 액체 투과성의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이다.
이러한 배설물 처리 용품에서, 본 발명이 특징으로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직사각형의 것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측 가장자리와, 폭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단 가장자리를 갖고 있으며, 상기 측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과 상기 단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에 측부 플랩과 단부 플랩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에는 상기 측 가장자리와 상기 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직사각형의 코너부에서 상호 연결되는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협동하여 직사각형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고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으로 수축하며, 상기 피부 접촉면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되접어 꺾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하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는, 한쌍의 상기 측 가장자리와 상기 단 가장자리의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단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2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1,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직사각형의 코너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측 가장자리의 한쪽과 한쌍의 상기 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와, 상기 측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4 탄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제3, 제4 탄성 부재가 상기 직사각형의 코너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내면과 그 반대면인 외면을 갖으며, 상기 외면이 기저귀 및 기저귀 커버 중 어느 하나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내면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의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누설 방지 시트가 개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다른 하나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탄성적으로 신장·수축 가능한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띠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단부 플랩의 근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처리 용품이 상기 띠 형상 부재와 협동하여 팬츠형의 착용 물품을 형성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직사각형의 제2 시트의 측 가장자리와 단 가장자리를 따라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직사각형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고리가 작아지도록 측부 플랩과 단부 플랩도 수축하여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에 누설 방지벽과, 그 누설 방지벽의 내측에 변 등의 배설물을 진입시키는 개구를 형성하여, 간단한 평면적 구조를 갖고 있던 처리 용품이 배설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적 형상의 처리 용품이 된다.
탄성 부재로서, 제2 시트에서의 한쌍의 측 가장자리와 단 가장자리의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와 단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형태의 처리 용품 및 측 가장자리의 한쪽과 한쌍의 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와, 측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4 탄성 부재를 사용하는 형태의 처리 용품에 의하면, 2조의 탄성 부재로 직사각형의 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처리 용품의 외면을 기저귀 및 기저귀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부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이 처리 용품의 착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에서, 처리 용품의 제2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의 것인 경우에는, 처리 용품을 포제(布製) 팬츠와 조합하여, 실금 환자용의 착용 물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의 제2 시트를 사용하는 것을 대신하여, 코어와 제2 시트 사이에 누설 방지 시트를 개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처리 용품은,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띠 형상 부재에 대하여 단부 플랩의 근방 부분을 부착함으로써, 팬츠형의 것이 될 수 있다.
도 1은 배설물 처리 용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배설물 처리 용품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3은 배설물 처리 용품의 사용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배설물 처리 용품의 사용 형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배설물 처리 용품의 일형태를 예시하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탄성 부재의 부착 순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배설물 처리 용품
2: 제1 시트(내면 시트)
3: 제2 시트(외면 시트)
3a, 3b, 3c, 3d: 코너부
6a, 6b: 단 가장자리
7a, 7b: 측 가장자리
8a, 8b: 단부 플랩
9a, 9b: 측부 플랩
10: 고리
12a, 12b: 탄성 부재
13a, 13b: 탄성 부재
16: 코어
17: 누설 방지 시트
31: 기저귀
41: 띠 형상 부재
42: 팬츠형 착용 물품
110: 고리
121: 제1 탄성 부재
122: 제2 탄성 부재
123: 제3 탄성 부재
124: 제4 탄성 부재
X: 폭 방향
Y: 길이 방향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을 상세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은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1)의 사시도이다. 처리 용품(1)은 상호 직교하는 폭 방향(X)과 길이 방향(Y)을 갖고 있다. 처리 용품(1)은 또한, 피부 접촉면인 내면과 그 반대면인 외면을 갖으며, 내면이 본 발명에서의 제1 시트인 액체 투과성 내면 시트(2)에 의해 형성되고, 외면이 본 발명에서의 제2 시트인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외면 시트(3)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폭 방향(X)으로 상호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단 가장자리(6a, 6b)와,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Y)으로 상호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측 가장자리(7a, 7b)를 갖는다. 각 단측 가장자리(6a, 6b, 7a, 7b)의 내측에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가 중첩되어 있어 가요성을 갖는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플랩(8a, 8b, 9a, 9b)에는, 단 가장자리(6a, 6b)와 측 가장자리(7a, 7b)의 각각을 따라 연장되는 단부 탄성 부재(12a, 12b)와, 측부 탄성 부재(13a, 13b)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도 1에서는, 단부 탄성 부재(12a와 12b)의 신장력이 동일하며, 측부 탄성 부재(13a와 13b)의 신장력이 동일로서, 이들 탄성 부재(12a, 12b, 13a, 13b)가 수축함으로써, 처리 용품(1)이 내면 시트(2)를 내측으로 하여 길이 방향(Y)과 폭 방향(X)으로 만곡하고 있고,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이 처리 용품(1)에서의 주벽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 처리 용품(1)이 만곡하는 모습은, 길이 방향(Y)으로 현저하지만, 폭 방향(X)으로는 현저하지 않다.
도 2는, 도 1에서의 처리 용품(1)의 각 탄성 부재(12a, 12b, 13a, 13b)를 길이 방향(Y) 및 폭 방향(X)으로 신장함으로써 얻어지는 처리 용품(1)의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평면 형상의 처리 용품(1)은, 각각이 직사각형인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체액 흡수성 코어(16)가 개재되어 있으며, 코어(16)와 외면 시트(3) 사이에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으로 형성된 누설 방지 시트(17)를 갖는다. 코어(16)는 길이 방향(Y)의 중앙부가 특히 폭이 좁으며, 전체로서는 모래 시계형으로 만들어져 있다. 누설 방지 시트(17)는, 바람직하게는 코어(16)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도록 크게 만들어진다.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는 코어(16)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중첩되며, 접착 또는 용착에 의해 상호 접합하여, 그 코어(16)의 단 가장자리(22a, 22b)와 측 가장자리(23a, 23b)를 따라 연장되는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을 형성하고 있다. 플랩(8a, 8b, 9a, 9b)의 각각에서는, 각 2조의 단부 탄성 부재(12a), 단부 탄성 부재(12b), 측부 탄성 부재(13a), 측부 탄성 부재(13b) 중 어느 하나가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있어, 이들 양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 예컨대 외면 시트(3)에 대하여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신장 상태로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플랩(8a, 8b, 9a, 9b)의 각각이 탄성화하고 있다. 이들 탄성 부재(12a, 12b, 13a, 13b)는, 외면 시트(3)의 코너부(3a, 3b, 3c, 3d)에서 상호 중첩됨으로써 실질적인 의미에서 연결되어 있어, 전체로서 직사각형의 고리(10)를 형성하고 있다.
도 2의 구성을 갖는 처리 용품(1)은, 이것을 자유 상태로 두면, 고리(10)가 작아지도록 각 탄성 부재(12a, 12b, 13a, 13b)가 수축하는 것에 따라, 단부 플랩(8a, 8b)이 폭 방향(X)으로 수축하면서 내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되접어 꺾어지는 반면, 측부 플랩(9a, 9b)이 길이 방향(Y)으로 수축하면서 내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되접어 꺾어진다. 단부 플랩(8a, 8b)과 측부 플랩(9a, 9b)이 되접어 꺾어질 때에는, 각 플랩에 비해서 강성이 높은 코어(16)에서의 단 가장자리(22a, 22b)와 측 가장자리(23a, 23b)를 따르는 부분이 기단이 된다. 또한, 코어(16)가 폭 방향(X)이나 길이 방향(Y)으로 만곡하여, 평면적 형상이던 처리 용품(1)의 전체가 간단히 도 1과 같은 입체적인 형상의 것이 된다. 또한, 탄성 부재(12a, 12b, 13a, 13b)가 수축할 때에, 플랩(8a, 8b, 9a, 9b)은, 도 1과 같이 내면 시트(2)가 내측이 되도록 되접어 꺾어지는 것은 아니며, 외면 시트(3)를 내측으로 하도록 되접어 꺾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지만, 그 경우에는 처리 용품(1)을 거들어, 플랩(8a, 8b, 9a, 9b)이 도 1과 같이 되접어 꺾어지도록 유도하면 좋다.
도 3은 처리 용품(1)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서는, 도 1의 상태에 있는 처리 용품(1)이, 일회용 기저귀(31) 또는 그를 대신하는 기저귀 커버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내면에 놓여 있으며, 외면 시트(3)의 외면에 마련되는 부착 수단, 예컨대 점착제나 접착제, 메카니컬 패스너의 훅 부재나 루프 부재(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그 가랑이 아래 영역에 착탈 가능 또는 착탈 불능인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처리 용품(1)에서는, 플랩(8a, 8b, 9a, 9b)이 코어(16)의 단 가장자리(22a, 22b)나 측 가장자리(23a, 23b)를 따라 되접어 꺾어져, 처리 용품(1)의 주위에 누설 방지성의 주벽(28a, 28b, 29a, 29b)을 형성하며, 이들 주벽(28a, 28b, 29a, 29b)의 내측에 변이나 뇨 등의 배설물을 유입시키는 개구(26)(도 1 참조)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기저귀(31) 착용자의 항문이나 외음부가 그 개구(26)의 내측에 오도록 하여 기저귀(31)를 착용하면, 배설물을 처리 용품(1)의 내부에 수용할 수 있으며, 그 배설물이 처리 용품(1)의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되는 처리 용품(1)은, 단부 플랩(8a, 8b)이나 측부 플랩(9a, 9b)의 수축을 방해하는 일이 없도록, 외면 시트(3) 중에서도, 폭 방향(X)과 길이 방향(Y)에서의 중앙 부분만을 기저귀(31)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면 시트(3)에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사용하여 주벽(28a, 28b, 29a, 29b)을 포함한 처리 용품(1)의 외면 전체를 액체 불투과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외면 시트(3)에 액체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누설 방지 시트(17)를 반드시 병용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처리 용품(1)은, 그것을 포제 팬츠의 내측에 부착하여, 실금 환자용의 수뇨 패드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도 또한, 처리 용품(1)의 사용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처리 용품(1)은, 외면 시트(3) 중에서도 코어(16)의 단 가장자리(22a, 22b)(도 2 참조)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점착제나 핫 멜트 접착제 등의 부착 수단(30)을 통해,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띠 형상 부재(41)의 내면에 착탈 가능 또는 착탈 불능인 상태로 부착되어 있어, 이들 처리 용품(1)과 띠 형상 부재(41)로 팬츠형의 기저 귀(42)가 형성되어 있다. 띠 형상 부재(41)는, 몸통 주위 개구(43)를 구획하며, 처리 용품(1)과 협동하여 다리 둘레 개구(44)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띠 형상 부재(41)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조의 탄성 부재(46)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처리 용품(1)에서, 내면 시트(2)에는,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나 액체 투과성의 개공 플라스틱 필름 등이 사용된다. 그 부직포에는, 예컨대, 평량 7∼30 g/㎡을 갖으며,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형성된 스펀 본드 부직포나 멜트 본드 부직포, 이들 부직포의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플라스틱 필름에는, 예컨대 두께 10∼50 미크론의 폴리에틸렌 필름 등이 사용된다. 외면 시트(3)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인 의미에서 액체 불투과성의 부직포나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 액체 불투과성 또는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와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의 적층체 등이 사용된다. 외면 시트(3)가 액체 투과성의 것인 경우에, 누설 방지 시트(17)의 병용이 불가피한 것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 코어(16)에는, 분쇄 펄프나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혼합물 등의 흡수성 재료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코어(16)에서는, 그 보형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취급을 용이하게 하거나 하기 위해, 이들 흡수성 재료가 흡수성이나 투수성이 우수한 티슈 페이퍼나 부직포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코어(16)의 평면 형상에 각별한 제약은 없지만, 그 형상이 도 2와 같은 모래 시계형의 것인 경우에는, 처리 용품(1)의 길이 방향(Y)의 중앙부에서의 양측에, 길이가 높고 변형이 용이하며, 기저귀(31이나 42) 착용자의 가랑이부에 피트하기 쉬운 주벽(29a, 29b)의 형성이 가능해진다(도 1 참조). 코어(16)와 외면 시트(3) 사 이에는, 도시예와 같이 누설 방지 시트(17)를 개재시킬 수 있다. 그 누설 방지 시트(17)에는, 두께 5∼20 미크론의 폴리에틸렌 필름 등, 액체 불투과성의 플라스틱 필름이 사용된다. 단부 탄성 부재(12a, 12b)나 측부 탄성 부재(13a, 13b)의 각각은, 예컨대 폭과 두께가 0.3∼2 ㎜인 고무실이 사용된다. 이들 탄성 부재(12a, 12b, 13a, 13b)는, 도시예와 같이 2조인 것 외에, 1조 또는 3조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들 탄성 부재(12a, 12b, 13a, 13b)에는, 처리 용품(1)이 도 1과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도록 적절한 신장력을 갖는 것이 선택된다. 예컨대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일례인 도 2의 처리 용품(1)의 폭이 160 ㎜로 길이가 370 ㎜이며, 내면 시트(2)가 평량 10 g/㎡을 갖고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지는 스펀본드 부직포로 형성되며, 외면 시트(3)가 두께 20 미크론의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형성되고, 코어(16)가 평량 200 g/㎡의 플러프 펄프로 형성되어 있으며, 플랩(8a, 8b, 9a, 9b)의 폭이 적어도 25 ㎜인 경우에서, 도 1과 같이 수축한 단부 플랩(8a) 및 단부 플랩(8b)에서는, 이들 플랩(8a, 8b)으로부터 절취한 폭 20 ㎜, 길이 50 ㎜의 띠 형상 시험편(test piece)으로서, 그 폭의 중앙에 탄성 부재(12a 또는 12b)를 포함하는 시험편에 대해서, 양단을 5 ㎜씩 잡아 150%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력이, 바람직하게는, 0.1∼4.0 N의 범위에 있다. 측부 플랩(9a) 및 측부 플랩(9b)에서는, 이들 플랩(9a, 9b)으로부터 절취한 폭 20 ㎜, 길이 50 ㎜의 띠 형상 시험편으로서, 그 폭의 중앙에 탄성 부재(13a 또는 13b)를 포함하는 시험편에 대해서, 양단을 5 ㎜씩 잡아 150% 신장시켰을 때의 신장력이, 바람직하게는, 0.1∼4.0 N의 범위에 있다. 플랩(8a, 8b, 9a, 9b)의 신장력이 이들 범위보다도 작은 경우의 처리 용품(1)은, 플랩(8a나 8b, 9a, 9b)의 피부에 대한 밀착이 약해져, 충분한 누설 방지 효과를 다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플랩(8a, 8b, 9a, 9b)의 신장력이 이들 범위보다도 큰 경우에는, 플랩(8a나 8b, 9a, 9b)의 수축이 코어(16)에까지 미쳐 코어(16)에 주름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체액 흡수를 위해 코어(16)의 표면적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되는 경우나, 플랩(8a나 8b, 9a, 9b)이 착용자의 피부에 강하게 맞닿는다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처리 용품(1)에서, 단부 탄성 부재(12a와 12b)의 사이나 측부 탄성 부재(13a와 13b)의 사이에서 신장력에 차를 주어, 처리 용품(1)이 수축했을 때의 형상을 도 1의 것과는 다른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 도 6, 도 7에서, 도 5는 처리 용품(1)의 일형태를 도시하는 도 2와 동일한 도면이며, 도 6, 도 7은 도 5의 VI-VI선, VII-VII선 절단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처리 용품(1)은, 내면 시트(2)가 코어(16)에 감겨진 반면, 외면 시트(3)가 코어(16)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나가도록 사용되고 있다. 누설 방지 시트(17)는 감겨진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외면 시트(3)는 측부 플랩(9a, 9b)을 형성하고 있는 부분이 측부 탄성 부재(13a, 13b)의 각각을 사이에 끼우도록 접어 포개어져 있다.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처리 용품(1)의 길이 방향(Y)에서는, 내면 시트(2)와 외면 시트(3)와 누설 방지 시트(17)가 단부 플랩(8a, 8b)의 단 가장자리(6a, 6b)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탄성 부재(12a, 12b, 13a, 13b)가 수축하면, 도 5의 처리 용품(1)은 도 1과 동일한 형상이 된다.
도 8, 도 9, 도 10은 처리 용품(1)에서의 외면 시트(3)에 탄성 부재를 환 형상으로 부착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덧붙여서, 도 2의 처리 용품(1)에서의 외면 시트(3)에 부착되어 있던 단부 및 측부 탄성 부재(12a, 12b, 13a, 13b)의 각각은, 상호 별체의 것으로서, 외면 시트(3)의 코너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그에 대해서, 도 8, 도 9, 도 10에 도시되는 탄성 부재는, 다음과 같이 하여 외면 시트(3)에 부착된다. 즉, 도 8에서는, 외면 시트(3)로서 사용하는 부직포 웨브(100)가 기계 방향(MD)으로 연속적으로 주행하고 있다. 웨브(100)는 기계 방향(MD)으로 평행한 제1 가장자리부(101)와 제2 가장자리부(102)를 갖으며, 기계 방향(MD)에 직교하는 교차 방향(CD)으로 연장되어 있어 기계 방향(MD)으로 일정 간격으로 늘어선 제1 가상선(103)으로 재단됨으로써, 외면 시트(3)를 1장씩 만들 수 있는 것이다. 인접하는 제1 가상선(103)끼리의 사이에는, 코어(16)를 두어야 하는 위치가 제2 가상선(104)으로 표시되어 있다. 부직포 웨브(100)에 대해서는, 2조의 제1 연속 탄성 부재(121)가 연속적 또한 신장 상태로 공급되어, 2조의 제1 가상선(103)의 각각과, 제2 가장자리부(102)에 평행하도록, 또한 제1 가상선(103)과 제1, 제2 가장자리부(101, 102)가 교차하는 부위의 근방에서는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도록, 핫 멜트 접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부착된다. 또한, 제1 연속 탄성 부재(121)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가장자리부(101)에 평행하여 연장되는 것이기도 하다.
도 9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부직포 웨브(100)를 기계 방향(MD)으로 주행시키면서, 2조의 제2 연속 탄성 부재(122)가 연속적 또한 신장 상태로 공급되어, 제2 가장자리부(102)와 제1 가상선(103)에 평행하도록 부직포 웨브(100)에 부착된 후에, 또한 제1 가장자리부(101)에 평행하도록 부착된다. 제2 연속 탄성 부재(122)도 또한, 제1 가상선(103)과 제1, 제2 측 가장자리(101, 102)가 교차하는 부위의 근방에서는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있다. 기계 방향(MD)으로 주행하고 있는 웨브(100)에 대하여 제1, 제2 연속 탄성 부재(121, 122)를 도 8,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착하는 것은, 웨브(100)를 횡단하도록 교차 방향(CD)으로 왕복 운동하는 공지 기구의 아암을 통해 각 탄성 부재(121, 122)를 공급 하는 것으로 가능해진다.
도 10은 인접하는 제1 가상선(103)의 사이에서 가상선(104)으로 표시된 코어(16)를 둘러싸도록 제1, 제2 연속 탄성 부재(121, 122)가 부직포 웨브(100)에 대하여 부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연속 탄성 부재(121)와 제2 연속 탄성 부재(122)는, 제1 가상선(103)과 제1 가장자리부(101)가 교차하는 부위의 근방에서 거의 직각을 이루도록 중첩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연결된 상태에 있어, 인접하는 제1 가상선(103)끼리의 사이에서 거의 직사각형의 고리(110)를 형성하고 있다. 가용으로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 웨브(100)는, 그것을 제1 가상선(103)을 따라 재단함으로써, 도 2에서의 외면 시트(3)가 되며, 제1, 제2 연속 탄성 부재(121, 122)는 단부 탄성 부재(12a, 12b), 측부 탄성 부재(13a, 13b)를 대신하는 것이 되어, 도 1과 동일한 입체적 형상의 처리 용품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도 12, 도 13도 또한, 외면 시트(3)에 탄성 부재를 환 형상으로 부착하는 순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8, 도 9, 도 10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11, 도 12, 도 13이 도 8, 도 9, 도 10과 다른 것은, 기계 방향(MD)으로 연속적으로 주행 하고 있는 부직포 웨브(100)에 대하여 가상선(104)으로 표시된 모래 시계형의 코어(16)가 기계 방향(MD)을 향하고 있으며, 그 코어(16)가 가상선으로 표시되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웨브(120)로 피복되어 있는 점이다. 도 11에서는, 제3 연속 탄성 부재(123)가, 2조의 제1 가상선(103)과 부직포 웨브(100)의 제2 가장자리부(102)에 평행하도록 부직포 웨브(100)에 부착된다.
도 12에서는, 제4 연속 탄성 부재(124)가 제2 가장자리부(102)와 제1 가상선(103)에 평행하도록 부직포 웨브(100)에 부착된 후에, 제1 가장자리부(101)에 평행하도록 부직포 웨브(100)에 부착된다.
도 13에서는, 제3, 제4 연속 탄성 부재(123, 124)가 부착된 후의 부직포 웨브(100)를, 제1 가장자리부(101)와 제2 가장자리부(102)를 따른 부분에서 되접어 꺾어 이들 가장자리부(101, 102)에 평행하고 있는 제3, 제4 연속 탄성 부재(123, 124)를 덮으며, 계속해서 부직포 웨브(100)를 제1 가상선(103)을 따라 재단함으로써, 도 2에 예시된 처리 용품(1)과 동일한 처리 용품을 얻을 수 있다. 도 13의 제3, 제4 연속 탄성 부재(123, 124)는, 도 2에서의 단부 탄성 부재(12a, 12b)와 측부 탄성 부재(13a, 13b)를 대신하는 것이며, 코어(16)와 이것을 피복하고 있는 액체 투과성 부직포 웨브(120)는, 도 2에서의 코어(16)와 내면 시트(2)에 상당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제조가 용이한 배설물 처리 용품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체액 흡수성 코어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트가 액체 투과성의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직사각형의 것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측 가장자리와, 폭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단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상기 측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과 상기 단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에 측부 플랩과 단부 플랩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에는, 한쌍의 상기 측 가장자리와 상기 단 가장자리의 한쪽을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단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2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들 제1, 제2 탄성 부재가 상기 직사각형의 코너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연결되어, 전체로서 직사각형의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고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으로 수축하며, 상기 피부 접촉면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되접어 꺾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배설물 처리 용품.
  2. 제1 시트와 제2 시트 사이에 체액 흡수성 코어가 개재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시트가 액체 투과성의 피부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는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직사각형의 것으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측 가장자리와, 폭 방향으로 평행하여 연장되는 한쌍의 단 가장자리를 갖고 있고, 상기 측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과 상기 단 가장자리 각각의 내측에 측부 플랩과 단부 플랩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에는, 상기 측 가장자리의 한쪽과 한쌍의 상기 단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3 탄성 부재와, 상기 측 가장자리의 다른 한쪽을 따라 연장되는 제4 탄성 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고, 이들 제3, 제4 탄성 부재가 상기 직사각형의 코너부에서 중첩됨으로써 연결되어, 전체로서 직사각형의 고리를 형성하며,
    상기 탄성 부재가 수축하면, 상기 고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측부 플랩과 상기 단부 플랩이, 상기 길이 방향과 상기 폭 방향으로 수축하며, 상기 피부 접촉면을 내측으로 하여 상기 코어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되접어 꺾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배설물 처리 용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가 상기 코어와 대향하는 내면과 그 반대면인 외면을 갖으며, 상기 외면이 기저귀 및 기저귀 커버 중 어느 하나의 가랑이 아래 영역의 내면에 대하여 부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배설물 처리 용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가 액체 불투과성의 것인 배설물 처리 용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와 상기 제2 시트 사이에는 액체 불투과성의 누설 방지 시트가 개재되어 있는 배설물 처리 용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둘레 방향에 탄성적으로 신장 및 수축 가능한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띠 형상 부재에 대하여 상기 단부 플랩의 근방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띠 형상 부재와 협동하여 팬츠형의 착용 물품을 형성하고 있는 배설물 처리 용품.
  7. 삭제
KR1020087024918A 2006-06-23 2007-06-15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KR101228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174443 2006-06-23
JP2006174443A JP4951281B2 (ja) 2006-06-23 2006-06-23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品
PCT/JP2007/062103 WO2007148622A1 (ja) 2006-06-23 2007-06-15 使い捨ての排泄物処理用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345A KR20090031345A (ko) 2009-03-25
KR101228686B1 true KR101228686B1 (ko) 2013-02-01

Family

ID=3883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4918A KR101228686B1 (ko) 2006-06-23 2007-06-15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157781B2 (ko)
EP (1) EP2033607B1 (ko)
JP (1) JP4951281B2 (ko)
KR (1) KR101228686B1 (ko)
CN (1) CN101466336A (ko)
MY (1) MY151471A (ko)
SA (1) SA07280344B1 (ko)
TW (1) TW200814972A (ko)
WO (1) WO2007148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2495B2 (en) 2005-12-15 2013-10-29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electronic distribution of filtered calendars
JP5378189B2 (ja) * 2009-12-10 2013-12-25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使い捨て尿吸収物品
JP5457828B2 (ja) * 2009-12-28 2014-04-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AU2010350866B9 (en) * 2010-04-14 2015-10-15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Male incontinence guard
US10993849B2 (en) 2010-09-16 2021-05-04 Dsg Technology Holdings Ltd. Article with chassis having an elastic distribution, absorbent core and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6014609B2 (ja) * 2011-02-22 2016-10-25 フェデラル−モーグル・イグニション・カンパニー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エネルギ効率が改善されたコロナ点火器
WO2016138466A1 (en) 2015-02-26 2016-09-01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absorbent core and disposable absorbent assembly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AU2017382456B2 (en) 2016-12-22 2022-03-10 Dsg Technology Holdings Ltd. Disposable floating absorbent core and disposable absorbent assembly including same,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228A (ko) * 1999-05-12 2000-12-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의 체액 처리 물품
KR20040029271A (ko) * 2002-09-30 2004-04-0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2762C2 (sv) 1997-02-28 2000-05-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artikel, såsom en blöja eller ett inkontinensskydd
JP3492234B2 (ja) * 1998-05-29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体液処理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00013499A (ko) * 1998-08-10 2000-03-06 문국현 부드럽고 안락한 측면 패널을 갖는 측면이 탄성화된 흡수 패드
JP3859387B2 (ja) * 1999-04-05 2006-12-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3764010B2 (ja) * 1999-11-04 2006-04-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体液吸収性インナーパネル
JP4424806B2 (ja) * 2000-02-17 2010-03-03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ドーム形状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978363B2 (ja) *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426766B2 (ja) * 2003-02-19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排泄物処理パッド
US20050177125A1 (en) * 2004-02-10 2005-08-11 Masahiro Kondo Pant-type disposable garment
JP4521214B2 (ja) * 2004-03-30 2010-08-11 株式会社瑞光 パンツタイプ着用物品の製造方法
US20050245158A1 (en) * 2004-04-30 2005-11-0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component fibers and nonwoven fabrics and surge management layers containing multicomponent fib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7228A (ko) * 1999-05-12 2000-12-26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일회용의 체액 처리 물품
KR20040029271A (ko) * 2002-09-30 2004-04-06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일회용 체액 흡수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1725B (ko) 2011-05-11
TW200814972A (en) 2008-04-01
EP2033607B1 (en) 2013-05-01
EP2033607A4 (en) 2012-05-30
SA07280344B1 (ar) 2010-10-06
CN101466336A (zh) 2009-06-24
US8157781B2 (en) 2012-04-17
EP2033607A1 (en) 2009-03-11
JP4951281B2 (ja) 2012-06-13
MY151471A (en) 2014-05-30
KR20090031345A (ko) 2009-03-25
WO2007148622A1 (ja) 2007-12-27
JP2008000480A (ja) 2008-01-10
US20070299414A1 (en) 200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2197B1 (ko) 일회용 기저귀
US10092460B2 (en) Absorbent article
KR101228686B1 (ko) 일회용 배설물 처리 용품
FI89672B (fi) Absorberande produkt med en foervaringsficka
EP2410966B2 (en) Absorbent article
FI89671C (fi) Absorberande produkt med laeckagefoerhindrande dubbla uppslag
KR102179940B1 (ko) 착용 물품
KR20020040651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50053630A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20020011087A (ko) 일회용 착용 물품
JP5719652B2 (ja) 吸収性物品
AU2008294256A1 (en) Disposable bodily fluid absorptive wearing article of pants type
KR20100106968A (ko) 1회용 기저귀
JP5764358B2 (ja) 吸収性物品
KR20030011656A (ko)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
EP2621435A1 (en) Absorbent Article
RU2654187C1 (ru) Впитывающее изделие с частично слоистым эластичным элементом для талии
JP2010082139A (ja) ウエストバンド及び吸収性物品
JP6159109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WO2017010301A1 (ja) 使い捨て下着用の股部材及び使い捨て下着
WO201610386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6487766B2 (ja) 吸収性物品
JP2012100880A (ja) 吸収性物品および使い捨ておむつ
JP4995652B2 (ja) 男性用尿吸収物品
JP6176958B2 (ja)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