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398B1 -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398B1
KR101058398B1 KR1020090038464A KR20090038464A KR101058398B1 KR 101058398 B1 KR101058398 B1 KR 101058398B1 KR 1020090038464 A KR1020090038464 A KR 1020090038464A KR 20090038464 A KR20090038464 A KR 20090038464A KR 101058398 B1 KR101058398 B1 KR 101058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or
coupled
vacuum
frame
heate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379A (ko
Inventor
이금택
강석준
양이홍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에스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에스썸텍 filed Critical (주)와이에스썸텍
Priority to KR1020090038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398B1/ko
Publication of KR20100119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프레임과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상부유닛;과 상기 상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패널, 히터, 냉각관 및 하부프레임를 포함하는 하부유닛; 및 태양전지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벨트와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벨트 하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으로 작동하는 라미네이터를 제공한다.
라미네이터, 태양전지, 롤러, 이송벨트, 멤브레인

Description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Apparatus for laminat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모듈을 고온에서 진공 압착하는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류는 주로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 등에서 대부분의 에너지를 얻고 있는데 이러한 화석 및 원자력 에너지원은 머지않은 미래에 고갈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신재생 에너지 연구개발에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그 중 태양광발전은 햇빛이 비치는 어디서나 전기를 얻을 수 있고, 다른 발전방식과 달리 공해가 전혀 없어 더욱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반도체소자가 필요한데 이를 태양전지라 한다. 일반적으로 단위 태양전지만으로는 최대 전압이 약 0.5V 밖에 발생하지 않으므로 태양전지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해야한다. 이렇게 단위 태양전지들을 연결하여 모듈화한 것을 태양전지모듈이라고 한다.
태양전지 모듈의 충격방지 및 방수를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고온에서 진공압착하는 과정을 라미네이팅이라 하고 이를 수행하는 장치를 라미네이터라 한다.
종래의 라미네이터의 태양전지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는 라미네이터 양측에 2개의 롤러를 구비하되 벨트가 2개의 롤러를 둘러싼 팬벨트타입이었다.
상기 팬벨트타입은 2개의 롤러 사이의 공간을 활용하는데 제약이 있었다.
또한,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의 접착필름이 빨리 응고되지 않아 태양전지 모듈 밖으로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어 추가의 냉각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태양전지 모듈의 대형화에 따라 라미네이팅 과정에서 태양전지 모듈 전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멤브레인의 전후좌우 네 측단이 고정볼트에 의해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어, 최초 멤브레인을 설치할 때는 물론 멤브레인을 교체하거나 장력을 새로 조정해야 할 경우 다수의 인력이 참여하여 멤브레인의 네 측단을 잡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에 결합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유압(또는 공압) 실린더를 승하강장치로 이용할 경우 오일 및 배관누수, 주변공간의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청정공간에서 라미네이팅을 해야하는 조건에서 새로운 방식의 승하강장치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라미네이터의 사용 중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높은 열과 압력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고 이러한 고온, 고압으로 인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휨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롤투롤(roll-to-roll) 방식으로 작동하는 이송장치를 구비함으로써 2개의 롤러 사이의 공간을 활용이 가능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추가의 냉각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접착필름의 응고를 가속시켜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성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히터패널셀을 구비함으로써 라미네이팅 과정에서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멤브레인의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멤브레인의 교체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크류, 벨트, 또는 체인 등을 이용한 승하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청정공간에서 라미네이팅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에 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프레임에 발생하는 휨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프레임과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상부유닛과 상기 상부유닛의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패널, 히터, 냉각관 및 하부프레임를 포함하는 하부유닛 및 태양전지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벨트와 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벨트 하 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으로 작동하는 라미네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공기배출관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과 하부유닛의 챔버의 진공량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조절장치는 상기 챔버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의 진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터는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후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보조냉각팬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히터패널은 복수의 히터패널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히터패널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에 복수의 챔버셀을 형성시키는 격자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패널셀은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의 온도를 분할 제어하는 온도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공기배출관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과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팬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의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유닛의 챔버셀의 진공량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조절장치는 상기 상부챔버와 챔버셀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챔버 및 챔버셀의 진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터패널셀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패널셀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커버의 내부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냉기분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멤브레인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측단을 고정하는 측단고정기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가로장력을 조절하는 측단롤러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 브레인의 전단을 고정하는 전단고정기 및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의 장력을 조절하는 후단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단고정기 및 전단고정기는 롤러일 수 있다.
상기 후단롤러의 회전중심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에 결합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 일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에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의 타단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에 결합된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유도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에 일부가 결합된 벨트 및 상기 벨트가 감겨있는 벨트풀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상부유닛의 양측면 중앙에 하나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장치는 상기 상부유닛의 일측면에 두개, 타측면에 두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휨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상부베이스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홀이 구비된 복수의 하부베이스와 상기 상부베이스와 하부베이스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슬라이딩 홀에 결합된 복수의 세로슬라이딩지지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동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가로지지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와 타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는 2개의 롤러를 이용하되 팬벨트 방식이 아닌 롤투롤(roll-to-roll) 방식을 취함으로써, 상기 2개의 롤러 하부를 연결하는 벨트를 제거하여 상기 2개의 롤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추가의 냉각장치 등 라미네이팅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추가의 구성을 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이송벨트의 교체 작업이 팬벨트타입에 비해 매우 수월한 이점이 있다.
또한, 냉각팬과 보조냉각팬을 구비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보다 빨리 냉각시켜 접착필름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히터패널셀과 온도제어기를 구비하여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 분 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누수가 있는 냉각관이 있는 경우 누수가 있는 히터패널셀만 분해하여 냉각관을 수리, 교체하면 되므로 냉각관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멤브레인의 장력을 새로이 조절하거나 상기 멤브레인을 교체할 경우에 소수의 인력으로 간편하게 멤브레인의 장력을 다시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과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크류 또는 벨트를 구비한 승하강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청정도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서도 라미네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프레임의 휨현상을 방지하여 히터패널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진공손실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부유닛(10)은 상부챔버(19)를 구성하는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하부에 구비되는 멤브레인(12)을 포함한다.
하부유닛(20)은 하부챔버(29)를 구성하는 하부프레임(21)과 히터패널(22), 히터(23), 냉각관(24)을 포함한다.
상기 히터패널(22)은 상기 하부프레임(21)의 내부의 최상단에 위치한다. 상기 히터패널(22)의 내부에는 태양전지 모듈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히터(2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히터패널(22)의 내부에는 가열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수가 흐르는 냉각관(2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히터(23)와 냉각관(24)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반복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히터패널(22)의 하단에는 상기 히터(23)를 고정하는 히터고정판(2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송장치는 2개의 롤러(31)(32)와 상기 2개의 롤러(31)(32)에 감긴 이송벨트(33)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롤러(31)(32) 중 전송롤러(31)는 태양전지 모듈을 상기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 사이로 가져오고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후단계 공정으로 후송할 때 구동된다. 그리고 되감기롤러(32)는 상기 전송롤러(31)에 감긴 상기 이송벨트(33)를 풀어줄 때 구동된다.
상기 이송벨트(33)는 상기 히터패널(22)의 바로 인접한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이송벨트(33) 위에 태양전지 모듈이 놓인 상태로 태양전지 모듈이 이동한다.
상기 이송장치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전단계 공정을 마친 태양전지 모듈이 공급 컨베이어(미도시)에 의해 상기 라미네이터(1)로 공급되면, 상기 전송롤러(31)가 회전하여 상기 상부유닛(10)과 하부유닛(20) 사이로 태양전지 모듈을 이송시킨다. 라미네이팅 과정이 끝나면, 상기 전송롤러(31)가 다시 회전하여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후송 컨베이어(미도시)로 후송한다.
태양전지 모듈이 상기 후송 컨베이어로 완전히 이동하게 되면 상기 되감기롤러(32)가 회전하여 상기 이송벨트(33)을 상기 되감기롤러(32)에 다시 감는다.
종래의 이송장치는 라미네이터 양측에 2개의 롤러를 구비하되 벨트가 2개의 롤러를 둘러싼 팬벨트타입이었다.
상기 팬벨트타입은 2개의 롤러 사이의 공간을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2개의 롤러 사이의 공간을 적절히 활용할 수 없는 제약으로 인해, 히터패널과 냉각관의 구성을 컴팩트하게 구성했어야 하고, 추가의 냉각장치를 부가하는데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송벨트의 교체시에도 라미네이터 측면과 하부의 커버 및 구성 지지대를 전부 분리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2개의 롤러(31)(32)를 이용하되 팬벨트 방식이 아닌 롤투롤(roll-to-roll) 방식을 취함으로써, 상기 2개의 롤러(31)(32) 하부를 연결하는 벨트를 제거하여 상기 2개의 롤러(31)(32)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고, 추가의 냉각장치 등 라미네이팅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기 위해 필요한 추가의 구성을 부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더불어, 한쪽의 롤러에 이송벨트를 모두 감은 후 반대편 롤러에서 이송벨트를 분리시키면 되므로 상기 이송벨트(33)의 교체 작업이 팬벨트타입에 비해 매우 수월한 이점이 있다.
상기 라미네이터(1)는 고온으로 가열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팬(4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팬(40)의 하부에는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41)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냉각관(41)에는 저온의 냉각수가 흐르고 상기 냉각수로 인해 상기 펌프냉각관(41) 주변의 공기는 냉각된다.
상기 냉각팬(40)이 회전하여 상기 펌프냉각관(41) 주변의 냉각공기를 상기 하부프레임(21)의 하부에 구비된 공기배출관(42)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21) 내부에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킨다.
라미네이팅 되는 태양전지 모듈은 태양전지 상하에 접착필름이 배치되고 상부 접착필름 위에 백쉬트, 하부 접착필름 밑에 강화유리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태양전지 모듈이 히터패널의 히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면 접착필름이 녹으면서 백쉬트, 강화유리, 태양전지가 접합된다. 이때, 접착필름이 빨리 응고되지 않으면 태양전지 모듈 밖으로 흘러나와 불량의 태양전지 모듈이 생산될 가능성이 높고, 또한 후단계 공정에 바로 투입될 수 없어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냉각수를 이용하는 수냉방식에 추가하여 냉각팬(40)를 더 구비하여 냉각공기를 공급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을 보다 빨리 냉각시켜 접착필름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태양전지 모듈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진공조절장치(50)는 상기 상부챔버(19)와 하부챔버(29)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미도시)와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19)(29)의 진 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51)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공센서는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1)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와 상기 진공제어기(51)에 미리 입력된 진공량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21)에 구비된 흡배기구(18)(28)를 통해 공기를 흡입 또는 배기시킴으로써 상기 챔버(19)(29) 내부의 진공량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흡배기구(18)(28)는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제어기(51)는 사용자가 원하는 진공량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기와, 상기 진공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와 사용자가 입력한 진공량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미네이터(1)는 하부에 보조냉각팬이 결합된 후송 컨베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송 컨베이어는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후단계 공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태양전지 모듈이 후단계 공정에 투입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모듈이 적절히 냉각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후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냉각팬을 구비함으로써 후단계 공정으로 이동 중에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킬 수 있 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복수의 히터패널셀(22a)을 구비하며, 각 히터패널셀(22a)마다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도 2a는 상기 라미네이터(1)의 하부유닛(20)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라미네이터(1)의 하부프레임(21)에는 복수의 챔버셀(29a)를 형성시키는 격자판(2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 각각은 내부에 히터와 냉각관을 개별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들 중 최소 1개 이상의 히터패널셀(22a)은 상기 히터패널셀(22a)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히터패널셀(22a)들 사이의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모든 히터패널셀(22a)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제어기(61)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들의 온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최근 태양전지 모듈의 대형화에 따라 라미네이팅 과정에서 태양전지 모듈 전 체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히터패널 중앙과 모서리 부분의 열전달 불균형으로 심한 온도편차가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히터패널 내부에 삽입되는 냉각관에서 냉각수의 누수가 발생할 경우, 전체 히터패널을 분해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냉각관 부분을 찾아야 하는 불편과, 누수가 있는 냉각관의 일부교체가 어려워 전체 냉각관을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히터패널셀(22a)을 구비할 경우 일체형 히터패널에 비해 온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실험데이터에 의할 경우 태양전지 모듈의 온도편차를 최소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누수가 있는 냉각관이 있는 경우 전체 히터패널을 분해할 필요없이 누수가 있는 히터패널셀(22a)만 분해하여 상기 냉각관을 수리, 교체하면 되므로 상기 냉각관의 유지보수에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라미네이터(1)는 상기 하부프레임(21)에 구비된 공기배출관(42)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21)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40)과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2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팬(40)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41)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팬(40)을 구비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라미네이터(1)는 상기 상부유닛(10)의 상부챔버(19)와 상기 하부유닛의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공조절장치(50')는 상기 상부챔버(19)와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챔버(19) 및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51')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센서는 상기 상부프레임(11)과 상기 챔버셀(29a)의 내부에 위치한다.
상기 진공조절장치는(50') 각 챔버셀(29a)에 연결되고 각 챔버셀(29a)에 대응한 위치에 밸브를 구비한 진공관(5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펌프(미도시)를 구비한 진공제어기(51')는 진공펌프의 펌핑속도와 상기 밸브를 개별적으로 여닫음으로써 각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라미네이팅 과정 중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서 불규칙하게 가스 등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가스는 각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균일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원인이 되는 동시에,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에 기포가 생성된 상태로 라미네이팅이 되어 불 량의 태양전지 모듈을 생산하는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진공조절장치를 구비하여 특정 챔버셀(29a)에 가스 등이 발생하여 챔버셀(29a) 사이에 진공량에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밸브를 조정하여 개별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태양전지 모듈의 특정 부위에 기포가 생성된 경우 상기 특정 부위에 대응한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조절하여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특정 부위만 재라미네이팅 할 수 있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라미네이터(1)는 상기 히터패널셀(22a)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패널셀(22a)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열커버(22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열커버(221)의 내부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냉기분배판(22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관(27)은 상기 열커버(221)의 중앙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커버(221)는 히터패널셀(22a)의 열손실을 방지하여 상기 히터패널셀(22a) 사이의 온도편차를 줄이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라미네이팅 과정 접착필름이 상기 하부프레임(21)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상기 열커버(221)를 분리하여 세척함으로써 간편하게 접착필름으로 인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냉기분배판(222)은 상기 공급관(27)을 통해 공급된 냉각공기가 상기 냉기분배판(222)에 형성된 타공을 통해 상기 히터패널셀(22a)에 고르게 공급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d에서는 상기 열커버(221), 냉기분배판(222)이 상기 히터패널셀(22a)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열커버(221), 냉기분배판(222)이 일체형 히터패널(22)에도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상부유닛(10)에 멤브레인(1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의 상부유닛(10)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상부유닛(10)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측단고정기(71), 타측면에 구비되는 측단롤러(72),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전면에 구비되는 전단고정기(73),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후면에 구비되는 후단롤러(74), 및 상기 롤러(72)(74)를 고정시키는 롤러지지대(79)를 포함한다.
상기 측단고정기(71)와 전단고정기(73)에는 상기 멤브레인(12)의 일측단과 전단이 고정된다. 상기 측단롤러(72)와 후단롤러(74)에는 상기 멤브레인(12)의 타측단과 후단이 고정된다.
상기 측단고정기(71)와 전단고정기(73)에 상기 멤브레인(12)이 고정이 된 상태에서 상기 측단롤러(72)를 회전하여 상기 멤브레인(12)의 단축방향의 장력을 조절하며, 상기 후단롤러(74)를 회전하여 상기 멤브레인(12)의 장축방향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측단롤러(72)와 상기 후단롤러(74)는 일정한 회전수마다 멈춤쇠(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측단롤러(72)를 이용하여 상기 멤브레인(12)에 원하는 만큼의 장력을 가한 후 상기 측단롤러(72)를 놓아도 상기 측단롤러(72)는 상기 멤브레인(12)에 가해진 장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돌아가지 않게 된다.
상기 후단롤러(74)도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상기 장력조절장치의 상기 측단고정기(71)와 전단고정기(73)는 상기 측단롤러(72) 및 후단롤러(74)와 동일하게 롤러일 수 있다. 이 경우, 측단고정기(71)와 전단고정기(73)는 상기 멤브레인(12)의 측단과 전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멤브레인(12)의 장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후단롤러(74)의 회전중심부(74a)를 수평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7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75)는 상기 후단롤러(74)가 상기 슬라이드(75)를 따라 장축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12)의 장축방향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추가의 장력조절수단을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75)에는, 사용자가 상기 멤브레인(12)에 원하는 만큼의 장력을 가한 후 상기 장력에 의해 상기 후단롤러(74)가 다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하는 멈춤쇠(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브레인은 사용 과정 중 반복적으로 압착과 해제과정을 반복하므로, 멤브레인을 일정기간 이상 사용하면 최초 세팅해 놓은 장력을 상실하게 되거나 또는 심할경우 파손이 되어, 다시 멤브레인의 장력을 조정하거나 교체를 해야한다.
종래에는 멤브레인의 전후좌우 네 측단이 고정볼트에 의해 상부프레임에 결합되어 있었다. 따라서, 최초 멤브레인을 설치할 때는 물론 멤브레인을 교체하거나 장력을 새로 조정해야 할 경우 다수의 인력이 참여하여 멤브레인의 네 측단을 잡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부프레임에 결합해야하는 불편과 장시간의 작업시간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상기 장력조절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멤브레인(12)의 장력을 새로이 조절하거나 상기 멤브레인(12)을 교체할 경우에 소수의 인력으로 롤러와 슬라이드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상기 멤브레인(12)의 장력을 다시 조절할 수 있어 작업효율과 작업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상부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복수 의 승하강장치(80)(90)(110)를 더 포함한다.
도 4는 승하강장치(8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승하강장치(8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81)와 실린더로드(82)와 실린더 튜브(83)를 포함한다.
상기 실린더로드(82)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방식은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할 수 있다.
도 5는 승하강장치(9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승하강장치(9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91)에 일단이 결합된 스크류(92)와 상기 스크류(92)의 타단이 내부에 설치된 스크류 구동박스(93)를 포함한다.
상기 승하강장치(90)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스크류 구동박스(93)의 내부에 설치된 기어(94)는 모터(미도시)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기어(94)가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92)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상기 스크류(92)는 나사선을 가지고 있으므로 회전을 하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크류(92)에 연결된 상기 상부유닛(10)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6은 승하강장치(110)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승하강장치(11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111) 에 결합된 가이드(112), 가이드레일(113), 벨트(115), 벨트풀리(114)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13)은 상기 가이드(112)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112)의 직선운동을 유도한다. 상기 벨트(115)의 일부는 상기 가이드(112)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벨트(115)가 감긴 상기 벨트풀리(11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상기 벨트(115)에 결합된 상기 가이드(112)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결국 상기 가이드(112)에 결합된 상기 상부유닛(10)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112)는 엘엠(LM)가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115)는 체인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라미네이터(1)는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를 2개 또는 4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가 2개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유닛(10)의 양측면의 중앙에 하나씩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가 4개인 경우에는 상기 상부유닛(10)의 네 모서리 부근에 결합되되, 좌우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하강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는 장치의 구성의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오일 및 배관 구성의 요소가 미세의 오염물질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있어 청정도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서는 사용되기에 부적절한 부분이 있다.
따라서, 미세의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스크류나 벨트를 이용하여 승하강장치를 구성하면 청정도 관리가 필요한 환경에서도 라미네이터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1)의 휨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는 상기 라미네이터(1)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나타난 하부프레임(21)의 저면도이다.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상부베이스(121),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홀(122a)이 구비된 복수의 하부베이스(122)(123), 상기 상부베이스(121)와 하부베이스(122)(123)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세로슬라이딩지지대(124), 상기 하부프레임(21)의 동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2)(123)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가로지지대(125), 및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2)와 타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3)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지지대(126)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1)을 포함한 상부유닛이 승하강장치에 의해 점차 하강하게 되면, 상기 하부베이스(122)(123)의 슬라이딩 홀(122a)에 결합된 세로슬라이딩지지 대(124)가 상기 하부베이스(122)(123)의 외부로 점차 돌출되게 된다.
상기 상부베이스(121)와 하부베이스(122)(123)는 각각 4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베이스(121)와 하부베이스(122)(123)가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1)에 결합되는 위치는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의 갯수 및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가 ⅰ) 상부유닛의 양측면의 중앙에 하나씩 결합된 경우에는, 상기 상부베이스(121) 및 하부베이스(122)(123)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모서리 부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ⅱ)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가 상부유닛의 네 모서리 부근에 좌우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베이스(121) 및 하부베이스(122)(123)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앙 부근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ⅰ) 및 ⅱ)의 경우 모두, 상기 상부베이스(121) 및 하부베이스(122)(123)는 상기 상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양전지 모듈이 라미네이팅 되는 과정에서 상부챔버와 하부챔버는 고온의 진공상태가 유지된다. 라미네이터의 사용 중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은 높은 열과 압력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고 이러한 고온, 고압으로 인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휨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승하강장치가 2개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모서리 부근에서 휨현상이 발생하였고, 승하강장치가 4개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의 중앙 부근에서 휨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프레임의 휨현상으로 인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을 통해 열손실이 발생하여 히터패널의 균일한 온도유지가 어렵고, 사용자가 원하는 진공상태를 가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1)는 상기 지지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1)에 걸리는 압력을 분산시켜 프레임의 휨현상을 방지하여 히터패널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진공손실도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하부유닛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히터패널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상부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상부유닛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승하강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터의 측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하부프레임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라미네이터
10 상부유닛 11 상부프레임
12 멤브레인 19 상부챔버
20 하부유닛 21 하부프레임
22 히터패널 22a 히터패널셀
23 히터 24 냉각관
26 격자판 27 공급관
29 하부챔버 31 전송롤러
32 되감기롤러 33 이송벨트
40 냉각팬 41 펌프냉각관
42 공기배출관 50, 50' 진공조절장치
51,51' 진공제어기 61 온도제어기
71 측단고정기 72 측단롤러
73 전단고정기 74 후단롤러
75 슬라이드 74a 회전중심부
80, 90, 110 승하강장치
81, 91, 111 고정대 92 스크류
93 스크류 구동박스 112 가이드
113 가이드레일 114 벨트풀리
115 벨트 121 상부베이스
122 하부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
123 하부프레임의 타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
122a 슬라이딩 홀
124 세로슬라이딩지지대 125 가로지지대
126 하부지지대 221 열커버
222 냉기분배판

Claims (26)

  1. 상부프레임(11)과 멤브레인(12)을 포함하는 상부유닛(10);
    상기 상부유닛(10)의 하부에 위치하고 히터패널(22), 히터(23), 냉각관(24) 및 하부프레임(21)를 포함하는 하부유닛(20);
    태양전지 모듈을 이송하는 이송장치; 및
    상기 상부유닛(10)의 챔버(19)와 상기 하부유닛(20)의 챔버(29)의 진공량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장치(50); 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장치는 이송벨트(33)와 롤러(31)(32)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벨트(33) 하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롤투롤(roll-to-roll) 방식으로 작동하는 라미네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에 구비된 공기배출관(42)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21)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40)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조절장치(50)는
    상기 챔버(19)(29)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챔버(19)(29)의 진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6. 제1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후송 컨베이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후송 컨베이어의 하부에 보조냉각팬이 결합되어, 라미네이팅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의 냉각을 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패널은 복수의 히터패널셀(22a)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패널셀(22a)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프레임(21)에 복수의 챔버셀(29a)을 형성시키는 격자판(2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히터패널셀(22a)은 온도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의 온도를 분할 제어하는 온도제어기(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21)에 구비된 공기배출관(42)을 통해 상기 하부프레임(21) 내부에 냉각공기를 공급하여, 가열이 끝난 태양전지 모듈을 냉각시키는 냉각팬(40);과
    상기 복수의 히터패널셀(22a)에 냉각공기를 공급하는 공급관(2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40) 하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냉각수가 흐르는 펌프냉각관(4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0)의 상부챔버(19)와 상기 하부유닛(20)의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조절하는 진공조절장치(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조절장치(50')는
    상기 상부챔버(19)와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측정하는 진공센서; 및
    상기 진공센서의 측정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상부챔버(19) 및 챔버셀(29a)의 진공량을 제어하는 진공제어기(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4.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패널셀(22a)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히터패널셀(22a)의 열손실을 방지하는 열커버(2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커버(221)의 내부에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된 냉기분배판(22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0)은 상기 멤브레인(1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력조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12)의 측단을 고정하는 측단고정기(71);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타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12)의 가로장력을 조절하는 측단롤러(72);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12)의 전단을 고정하는 전단고정기(73); 및
    상기 상부프레임(11)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멤브레인(12)의 장력을 조절하는 후단롤러(7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측단고정기(71) 및 전단고정기(73)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롤러(74)의 회전중심부(74a)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슬 라이드(7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0)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8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81)에 결합된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0)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9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9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91)에 일단이 결합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대(9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스크류(92);
    상기 스크류(92)의 타단이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92)를 회전시키는 스크류 구동박스(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유닛(10)을 승하강시키는 복수의 승하강장치(11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승하강장치(110)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측면에 구비된 고정대(111)에 결합된 가이드(112);
    상기 가이드(112)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112)가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유 도하는 가이드레일(113);
    상기 가이드(112)에 일부가 결합된 벨트(115); 및
    상기 벨트(115)가 감겨있는 벨트풀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는 상기 상부유닛(10)의 양측면 중앙에 하나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4.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장치(80)(90)(110)는 상기 상부유닛(10)의 일측면에 두개, 타측면에 두개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21)의 휨현상을 방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측면에 결합된 복수의 상부베이스(121);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슬라이딩 홀(122a)이 구비된 복수의 하부베이스(122)(123);
    상기 상부베이스(121)와 하부베이스(122)(123)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122)(123)의 슬라이딩 홀(122a)에 결합된 복수의 세로슬라이딩지지대(124);
    상기 하부프레임(21)의 동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2)(123)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가로지지대(125); 및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일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2)와 타측면에 결합된 하부베이스(123)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하부지지대(1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KR1020090038464A 2009-04-30 2009-04-30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KR101058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64A KR101058398B1 (ko) 2009-04-30 2009-04-30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64A KR101058398B1 (ko) 2009-04-30 2009-04-30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79A KR20100119379A (ko) 2010-11-09
KR101058398B1 true KR101058398B1 (ko) 2011-08-24

Family

ID=4340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464A KR101058398B1 (ko) 2009-04-30 2009-04-30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3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140B1 (ko) * 2014-07-23 2016-09-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전자소자의 열처리 장치
KR101939490B1 (ko) * 2017-08-31 2019-01-16 씨디에스(주) 곡면형 태양전지용 라미네이터
CN207265020U (zh) * 2017-10-27 2018-04-20 米亚索乐装备集成(福建)有限公司 一种柔性光伏组件冷却装置
CN116728663A (zh) * 2023-08-15 2023-09-12 福建玮晟机械有限公司 一种太阳能封装胶膜生产线冷却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17A (ja) 1998-09-24 2000-04-07 Nisshinbo Ind Inc 太陽電池におけるラミネート装置
JP2005209883A (ja) 2004-01-22 2005-08-04 Npc:Kk ラミネート装置
JP2009059897A (ja) * 2007-08-31 2009-03-19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ラミネー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1117A (ja) 1998-09-24 2000-04-07 Nisshinbo Ind Inc 太陽電池におけるラミネート装置
JP2005209883A (ja) 2004-01-22 2005-08-04 Npc:Kk ラミネート装置
JP2009059897A (ja) * 2007-08-31 2009-03-19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ラミネー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79A (ko)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398B1 (ko) 태양전지 모듈 라미네이터
CN206254607U (zh) 一种三腔室太阳电池组件层压机
CN113036001A (zh) 全自动光伏板磁能层压机
KR20190001083U (ko) 태양전지 모듈 냉각 장치
KR20130078795A (ko) 제품 포장용 열풍공급장치
CN203680959U (zh) 一种双玻光伏组件层压机
KR20130044923A (ko) 웨이퍼 이송장치
CN106505019B (zh) 一种全自动太阳能电池片抗光衰激光加工设备
CN109494280A (zh) 一种光伏组件辊压连续生产设备
CN202963804U (zh) 太阳能电池片串焊机及输送机构用风扇冷却带轮装置
CN101404867A (zh) 电气柜冷却送风系统
CN204872612U (zh) 横向输送机
KR101263337B1 (ko) 라미네이터
CN114834138B (zh) 一种全自动堆栈式多层层压机
CN202881688U (zh) 加热定型机
CN201784229U (zh) 一种太阳能电池组件层压机
CN207441680U (zh) 光伏组件生产用智能化一键切线定位装置
KR20170131179A (ko) 태양광 모듈용 라미네이팅 장치
CN207218634U (zh) 一种光伏电站的冷却散热装置
CN103399421A (zh) 液晶面板的测试系统及方法
CN215869426U (zh) 全自动光伏板磁能层压机
CN208226973U (zh) 一种光伏电站及其太阳能电池板的冷却系统
CN114373960B (zh) 一种基于非气态供氢装置的叉车用燃料电池系统
CN201907264U (zh) 紫外线多层炉抽换散热结构
KR101935687B1 (ko) 라미네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