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687B1 - 라미네이터 - Google Patents

라미네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687B1
KR101935687B1 KR1020170110758A KR20170110758A KR101935687B1 KR 101935687 B1 KR101935687 B1 KR 101935687B1 KR 1020170110758 A KR1020170110758 A KR 1020170110758A KR 20170110758 A KR20170110758 A KR 20170110758A KR 101935687 B1 KR101935687 B1 KR 101935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chamber
panels
heating panels
solar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상두
Original Assignee
씨디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디에스(주) filed Critical 씨디에스(주)
Priority to KR102017011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1/0521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8Apparatus for therm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4Arrangements for cooling, heating, ventilating or temperature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18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31/186Particular post-treatment for the devices, e.g. annealing, impurity gettering, short-circuit elimination, recry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을 라미네이팅하는 데 사용되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라미네이터는, 하부가 개방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흡배기구 및, 상기 상부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진공구를 구비하는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가 상기 하부챔버와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상기 상부챔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및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다수 개의 히팅패널과, 상기 히팅패널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다수 개의 히팅패널에 걸쳐 배치되는 열전도패널을 구비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의 구성 부재들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의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라미네이터{Laminator}
본 발명은 태양전지모듈을 라미네이팅하는 데 사용되는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모듈을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한 라미네이터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어주는 것으로서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를 사용하여 P극과 N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광기전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는 박막형의 실리콘으로 이루어져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투명한 비닐 필름이나 강화유리 등으로 라미네이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태양전지의 라미네이팅은 커버유리, 융착제, 태양전지 셀, 스트링, 융착제, 후면시트를 차례대로 적층한 상태에서 가열하여 융착제를 용융시킴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용융된 융착제는 스트링과 강화유리 등을 일체화시킨다. 참고로, 상기 스트링은 솔라셀을 직렬로 연결하여 만든어진 것이다.
그런데 태양전지는 넓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라미네이팅 작업시 태양전지를 구성하는 융착제 등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각 부분의 온도차에 의하여 태양전지에 휨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대형 태양전지를 라미네이팅하기 위해서는 대형의 라미네이터가 필요한데, 융착제 등을 가열하는 핫플레이트를 대형으로 제작하는 것은 쉽지 않기 때문에 제작 가능한 작은 크기의 핫플레이트를 다수 개 연결하여 대형 태양전지를 제작하였다. 그런데 다수 개의 핫플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 핫플레이트들의 경계 부분에서 제대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아 융착제 등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지 않는 문제가 두드러지게 된다.
그리고 종래에 전기의 저항열을 이용하여 핫플레이트에서 열을 발생시켰기 때문에, 대형 라미네이터의 경우 공장에 공급되는 전기용량으로 원활하게 가동하는 것이 쉽지 않았으며 많은 전력 소비로 인해 태양전지모듈의 생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10-1210247 B1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전지의 구성 부재들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어 우수한 성능의 태양전지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한 라미네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장비의 가동시 전력 소비를 대폭 절감하는 것이 가능한 라미네이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부가 개방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흡배기구 및, 상기 상부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진공구를 구비하는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가 상기 하부챔버와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상기 상부챔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및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다수 개의 히팅패널과, 상기 히팅패널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다수 개의 히팅패널에 걸쳐 배치되는 열전도패널을 구비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열전도패널은, 다수 개가 히팅패널들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히팅패널에는 열매체유가 통과하는 다수 개의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관로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각 관로는 다수 회 꺾이어 사형(蛇形)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관로는 다수 개의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로는 상기 히팅패널의 단부에서 더 밀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히팅패널에는 열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터는 각 히팅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도패널로 히팅패널들의 경계 부분에까지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태양전지모듈을 구성하는 부재들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해줄 수 있어, 라미네이팅 과정을 거침으로 인하여 태양전지모듈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태양전지모듈의 구성 부재들을 고르게 융착시킬 수 있으므로 우수한 성능의 태양전지모듈을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태양전지모듈을 히팅패널의 경계선 위치에 관계없이 배치할 수 있어 하나의 라미네이터로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한 번에 원활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터의 가동시 소비전력을 크게 감소시켜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터의 단면도,
도 2는 상기 라미네이터를 구성하는 가열수단의 사시도,
도 3은 상기 라미네이터의 가열수단에 관한 설명도,
도 4는 상기 가열수단을 구성하는 히팅패널에 관한 설명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터(1)는 태양전지모듈(2)을 라미네이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상부챔버(10), 하부챔버(20), 승하강부(30) 및 가열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터(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라미네이터(1)는 상부챔버(10)와 하부챔버(20) 사이에 태양전지모듈(2)을 구성하는 커버유리, 융착제, 태양전지 셀, 스트링, 융착제 및 후면시트를 차례대로 적층하여 위치시킨 후, 상부챔버(10)와 하부챔버(20) 사이를 진공 상태로 만든 상태에서 태양전지모듈(2)을 가열함으로써 라미네이팅 작업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챔버(10)는 상부바디(11), 흡배기구(12) 및 다이어프램(13)을 구비한다.
상부바디(11)는 뒤집어진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내부에 하부가 개방된 공간(11a)을 구비한다. 흡배기구(12)는 상기 상부바디(11)를 관통하여 상부바디(11)의 공간(11a)에 연통하고, 고무 등과 같이 탄성적인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이어프램(13)은 상기 상부바디(11)의 공간(11a)을 폐쇄한다. 상기 흡배기구(12)는 관을 통해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상부바디(11)의 공간(11a) 내로 공기를 흡기 또는 배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다이어프램(13)이 수축 또는 확장하게 된다.
하부챔버(20)는 상기 상부챔버(10)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부바디(21)와 진공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바디(21)는 세워진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상부가 개방된 공간(21a)을 가지고, 진공구(22)는 상기 하부바디(21)를 관통하여 하부바디(21)의 공간(21a)에 연통한다. 상기 진공구(22)는 관을 통해 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하부바디(21)의 공간(21a) 내의 공기를 빨아들인다.
가열수단(40)은 상기 하부챔버(20)의 공간(21a) 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다수 개의 히팅패널(41)과 열전도패널(42)로 구성된다. 도 2에는 상기 가열수단(40)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히팅패널(41)은 가열수단(40)의 하부를 구성하며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각각의 히팅패널(41)은 인접하여 일방향으로 배열된다. 열전도패널(42)은 상기 히팅패널(41)의 상부에서 히팅패널(41)의 상면에 접하여 배치되되, 다수 개의 히팅패널(41)이 배열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수 개의 히팅패널(41)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열전도패널(42)은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히팅패널(41)들이 접하는 가장자리 부분에서는 각 히팅패널(41)의 중앙 부분에 비하여 열이 적게 발생할 수 있지만, 다수 개의 히팅패널(41)에 걸쳐진 열전도패널(42)이 각 히팅패널(41)이 접하는 부분에까지 열을 전도시키므로 상기 열전도패널(42)의 상면은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승하강부(30)는 상기 상부챔버(10)를 승하강시켜, 상부챔버(10)가 하부챔버(20)와 접하거나 이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라미네이터(1)는 상부챔버(10)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열수단(40)의 열전도패널(42) 상부에 태양전지모듈(2)을 위치시킨 후 상부챔버(10)가 하부챔버(20)에 접하도록 상부챔버(10)를 하강시키고 가열수단(40)으로 태양전지모듈(2)을 가열함으로써 라미네이팅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가열수단(40)의 열전도패널(42)이 전체적으로 균일한 온도를 가지므로 태양전지모듈을 구성하는 융착제 또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어 스트링의 상하면에 커버유리와 후면시트가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미네이팅 작업시 태양전지모듈의 각 부분이 온도차를 가지고 가열됨으로 인하여 라미네이팅 작업 후 태양전지모듈이 냉각되면서 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태양전지모듈이 대형으로 이루어져 태양전지모듈이 다수 개의 히팅패널(41) 위에 배치된 상태로 라미네이팅이 진행되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이뿐만 아니라 종래에는 융착제 등을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가열수단이 도 3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 층의 핫플레이트(HP)로만 구성되어 다수의 태양전지모듈(m)을 한 번에 라미네이팅 하고자 할 때 핫플레이트의 경계(b) 부근을 피해 태양전지모듈을 배치하는 것이 쉽지 않았고, 이에 따라 태양전지모듈의 구성부재들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해주는 것이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가열수단(40)은 열전도패널(42)을 통해 히팅패널(41)의 경계(b) 부근까지 열을 전도시킬 수 있으므로 히팅패널의 경계(b) 부근 위에 태양전지모듈(m)을 배치하더라도 태양전지모듈의 구성 부재들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해서는 다수의 태양전지모듈을 한 번에 라미네이팅 하는 경우에도 가열수단 상부에 대한 태양전지모듈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상부챔버(10)가 하강하였을 때에는 상부챔버(10)의 흡배기구(12)를 통해 상부바디(11)의 공간(11a)에 공기를 불어넣어 다이어프램(13)이 팽창하도록 함으로써 다이어프램(13)이 태양전지모듈을 가압하도록 하고, 진공구(22)를 통해 하부바디(21)의 공간(21a)의 공기를 제거하여 하부바디(21)의 공간(21a)을 진공 상태로 만든다.
본 발명에 의한 라미네이터(1)는 상기한 것과 같은 구성들 외에도, 다이어프램(13)의 하부에 위치하여 태양전지모듈의 상면에 접하는 상부시트(50), 가열수단(40) 상부에 위치하여 태양전지모듈의 하면에 접하는 하부시트(60) 및 상기 가열수단(40)을 관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가열수단(40)과 태양전지모듈을 이격시키는 핀(70) 등의 일반적인 수단들을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가열수단(40)에는 상기 핀(7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통과홀이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패널(42)은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각 열전도패널(42)은 히팅패널(41)들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열전도패널(42)은 라미네이팅 과정을 반복함에 의하여 계속해서 가열 및 냉각되므로 신장 및 수축을 반복하게 되는데, 신장 및 수축이 열전도패널(42)의 모든 부분에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열전도패널(42)에 휨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히팅패널(41)들 위에 배치되는 열전도패널(42)은 다수 개로 나누어 구성하면 각 열전도패널(42)들이 긴 판형상을 가지게 되어 폭방향으로의 신장량 및 수축량이 적으므로 열전도패널(42)에 휨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열전도패널(42)이 다수 개인 경우에도 각각의 열전도패널(42)은 다수 개의 히팅패널(41)에 걸쳐진 상태로 배치되므로 각 히팅패널(41)이 접하는 부분에까지 열을 전도시켜줄 수 있다.
각 히팅패널(41)에는 열매체유가 통과하는 다수 개의 관로(4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이러한 히팅패널(41)에 관한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 관로(41a)의 일단부에는 열매체유의 급유관(3)이 연결되어 가열된 열매체유가 관로(41a)를 통과하면서 히팅패널(41)을 가열할 수 있다. 열매체유는 가열된 기름으로서 관로(41a)에서 히팅패널(41)의 다른 부분으로 열을 전도시키며, 이러한 열매체유에 의한 히팅패널(41)의 가열 방법은 종래 전기의 저항열을 이용한 가열 방법에 비하여 소비하는 전력이 현저하게 낮다.
다수 개의 관로(41a)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어 급유관(3)에서 열매체유를 분배받는다. 관로(41a)들을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관로(41a)들 사이에 온도차가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히팅패널(41)을 보다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관로(41a)는 다수 회 꺾이어 사형(蛇形)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로(41a)의 수를 많게 하지 않더라도 관로(41a)가 히팅패널(41)과 접촉하는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히팅패널(41)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해줄 수 있다.
상기 관로(41a)는 예를 들어, 히팅패널(41)의 단부에서 더 좁은 간격을 두고 꺾이어 히팅패널(41)의 단부에서 더 밀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중앙부에서보다 냉기와의 접촉면적이 더 넓은 단부에 더 많은 열을 공급하여 히팅패널(41)의 중앙부와 단부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다.
각 관로(41a)의 타단부에는 열매체유가 배출되는 배유관(4)에 연결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각 히팅패널(41)에 다수 개의 관로(41a)가 형성될 때, 각 관로(41a)에는 다수 개의 온도센서(41b)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온도센서(41b)에서의 측정값은 관로(41a)를 지나는 열매체유의 온도를 조절하고 라미네이팅 작업 시간을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41b)에의 측정값이 일정치 이상이고 각 측정값들 사이에 일정치 이하의 차이가 있을 때 태앙전지모듈에 대한 라미네이팅 작업을 하도록 한다.
온도센서(41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 관로(41a)의 일단부, 중앙부 및 타단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팅패널(41)의 위와 같이 열매체유가 지난 관로(41a)를 형성하는 방법 외에, 열선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가열할 수도 있다. 열선은 저항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도선으로 저항열에 의해 히팅패널(41)을 가열한다. 열선에 의해 가열되는 히팅패널(41)은 열선에 대한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여 온도를 조절해줄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다.
상기 열전도패널(42)은 그 가장자리 부분뿐만 아니라 가운데 부분에서도 상기 히팅패널(41)과의 접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열전도패널(42)이 히팅패널(41)과 여러 개소에서 접합되어 열전도패널(42)이 전체적으로 히팅패널(41)에 밀착되므로, 히팅패널(41)에서 발생한 열이 열전도패널(42)로 효과적이면서도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열전도패널(42)과 히팅패널(41)은 예를 들어 볼트에 의하여 서로 접합될 수 있고, 이 경우 열전도패널(42)이 열에 의해 신장 및 수축되는 것을 고려하여 열전도패널(42)에 볼트 통과홀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 : 라미네이터 2 : 태양전지모듈
10 : 상부챔버 11 : 상부바디
12 : 흡배기구 13 : 다이어프램
20 : 하부챔버 21 : 하부바디
22 : 진공구 30 : 승하강부
40 : 가열수단 41 : 히팅패널
41a : 관로 41b : 온도센서
42 : 열전도패널

Claims (7)

  1. 하부가 개방된 상부바디, 상기 상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흡배기구 및, 상기 상부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고정되는 다이어프램을 구비하는 상부챔버;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하부바디와, 상기 하부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연통하는 진공구를 구비하는 하부챔버;
    상기 상부챔버가 상기 하부챔버와 이격되거나 접하도록 상기 상부챔버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 및
    상기 하부바디 내의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다수 개의 히팅패널과, 열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히팅패널의 상면에 접하며 상기 다수 개의 히팅패널이 나열된 방향으로 연장 형상되어 상기 다수 개의 히팅패널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상기 각 히팅패널에서 발생한 열을 히팅패널들의 경계 부분으로까지 전도시키는 열전도패널을 구비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패널은, 다수 개가 히팅패널들의 배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히팅패널에는 열매체유가 통과하는 다수 개의 관로가 형성되고, 상기 각 관로는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로는 다수 회 꺾이어 사형(蛇形)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관로는 다수 개의 온도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는 상기 히팅패널의 단부에서 더 밀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히팅패널에는 열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터.
KR1020170110758A 2017-08-31 2017-08-31 라미네이터 KR101935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58A KR101935687B1 (ko) 2017-08-31 2017-08-31 라미네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758A KR101935687B1 (ko) 2017-08-31 2017-08-31 라미네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687B1 true KR101935687B1 (ko) 2019-01-04

Family

ID=6501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58A KR101935687B1 (ko) 2017-08-31 2017-08-31 라미네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6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90B1 (ko) * 2022-08-18 2023-02-07 주식회사 세미안 오스뮴 유해가스 노출방지 기능을 갖는 오스뮴 코팅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24B1 (ko) * 2010-01-22 2011-05-20 주식회사 제우스 운모 히터를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24B1 (ko) * 2010-01-22 2011-05-20 주식회사 제우스 운모 히터를 구비하는 라미네이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90B1 (ko) * 2022-08-18 2023-02-07 주식회사 세미안 오스뮴 유해가스 노출방지 기능을 갖는 오스뮴 코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8068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WO2013042027A3 (en) Thermal plate with planar thermal zones for semiconductor processing
KR20090033255A (ko) 웨이퍼 접합 장치
TWI579944B (zh) 使用真空疊層之光電裝置之大面積密封封裝
WO2015101259A1 (zh) 静电卡盘、腔室和静电卡盘的制作方法
KR101935687B1 (ko) 라미네이터
JP517392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ラミネータ
CN101071047A (zh) 热交换器制造方法
JP2013010330A (ja) ラミネート装置用の熱板
KR20190001693U (ko) 전기 가열을 이용하는 적층 열판 및 적층 열판의 전기 가열 시스템
US9679792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electrostatic chucks and electrostatic chuck for same
WO2013147319A1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11235442A (ja) ラミネート装置用熱板およびその熱板を用いたラミネート装置
CN209729869U (zh) 电子产品组件仓储式层压设备
KR101263337B1 (ko) 라미네이터
JP5558117B2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14184717A (ja) ラミネート装置
JP200823552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装置
JP5434471B2 (ja) 加圧装置、基板接合装置、加圧方法および基板接合方法
CN110171179B (zh) 电子产品组件隧道式层压生产线
JP2011082366A (ja) 加熱モジュール
CN110289229B (zh) 电子产品组件仓储式层压设备
CN110171181B (zh) 电子产品组件机械式层压装置及其防残气的层压方法
EP3642886B1 (en) Solar cell bonding
JP2015026862A (ja) 加熱モジュールおよび貼り合わ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