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7170B1 -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7170B1
KR101057170B1 KR1020090050097A KR20090050097A KR101057170B1 KR 101057170 B1 KR101057170 B1 KR 101057170B1 KR 1020090050097 A KR1020090050097 A KR 1020090050097A KR 20090050097 A KR20090050097 A KR 20090050097A KR 101057170 B1 KR101057170 B1 KR 101057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request signal
communication
change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0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1285A (ko
Inventor
조평기
반동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090050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71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7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7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Abstract

상위기기는 하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보고요청신호를 하위기기로 전송하고,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에 타이머를 작동시켜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며, 하위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한다. 이후, 상위기기는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한다.
직렬 통신, 통신이상, 타이머, 주기

Description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METHOD FOR DETECTING COMMUNICATION ERROR IN SERIAL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이상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권고 표준(Recommended Standard, 이하에서는 'RS'라고도 함)-232, RS-422, RS-485 등과 같은 직렬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정된 통신 이상 감시주기에 따라 상위기기에 접속된 하위기기의 통신상태를 감시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고정된 통신 이상 감시주기에 따르는 경우, 통신 이상 감시주기보다 짧은 시간 내에 하위기기의 통신 중단 또는 재기동(Reset)이 발생하더라도 상위기기는 하위기기의 통신상태를 정상동작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위기기의 통신 중단 또는 재기동에 대비하여 효율적으로 통신상태의 감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상위기기에 접속하여 상위기기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위기기와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써, 상위기기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상위기기가 하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보고요청신호를 하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위기기가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에 타이머를 작동시켜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위기기가 하위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상위기기가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하위기기로부터 보고요청신호의 응답에 해당하는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상위기기가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한 후인 경우, 상위기기와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이상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상위기기가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상위기기와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보고응답신호는 하위기기의 통신상태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상위기기에 접속하여 상위기기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위기기와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써,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하위기기가 상위기기와의 통신에 대한 통신중지사유가 발생하면 제1 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응답시간을 제2 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하위기기가 상위기기로부터 제1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1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하위기기가 상위기기로부터 제1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하위기기가 통신중지사유에 따라 상위기기와의 통신을 중지하는 단계, 하위기기가 통신중지사유가 종료되면 기준응답시간을 제2 시간에서 제1 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2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하위기기가 상위기기로부터 제2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2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하위기기가 상위기기로부터 제2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시호가 수신되면 기준응답시간을 제2 시간에서 제1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통신중지사유는 하위기기의 시스템 점검에 따른 재기동, 하위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수행 또는 하위기기의 내부의 회로 고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복수의 하위기기의 각각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위기기와 복수의 하위기기간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써,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상위기기가 복수의 하위기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위기기가 복수의 하위기기 중 제1 하위기기로 제1 하위기기의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위기기가 제1 하위기기로부터 복수의 기준응답시간 중 제1 하위기기에 대응하는 제1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위기기가 제1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제1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위기기가 제1 기준응답시간을 제2 시간으로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제1 변경응답신호를 제1 하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은 상위기기가 상위기기와 제1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제2 시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위기기가 상위기기와 복수의 하위기기 중 어느 하나간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제1 시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하위기기의 통신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응답 시간을 상위기기가 아닌 하위기기가 결정함으로써, 하위기기에 특정한 통신중지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상위기기가 해당 하위기기를 통신이상으로 검출하지 않기 때문에 직렬 통신 시스템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직렬 통신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통신 시스템(100)은 상위기기(110) 및 복수 의 하위기기 즉, 제1 하위기기(130), 제2 하위기기(150) 및 제3 하위기기(170)를 포함한다.
상위기기(110)는 복수의 하위기기의 각각과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위기기(110)에 접속한 하위기기의 상태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집하여 해당 하위기기의 통신상태를 감시한다. 이때 상위기기(110)는 주기적으로 상태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타이머(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위기기(110)는 통신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이하에서는 'CPU'라고도 함)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하위기기 즉, 제1 하위기기(130), 제2 하위기기(150) 및 제3 하위기기(170)의 각각은 상위기기(110)에 접속하여 상위기기(110)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고, 상위기기(110)의 요청에 따라 해당 하위기기의 상태정보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 이때 복수의 하위기기의 각각은 통신을 위한 CPU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고하여 직렬 통신 시스템(100)에서 상위기기(110)가 제1 하위기기(130)의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종래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101).
이때, 상위기기(110)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 동시켜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103).
다음, 제1 하위기기(130)는 제1 보고요청신호에 따라 제1 하위기기(130)의 통신상태정보, 동작상태정보 및 제1 보고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제1 보고응답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105).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제1 보고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07). 이때 상위기기(110)는 타이머를 작동시킨 시점 즉,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통신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시간(이하에서는 '기준응답시간'이라고 함)이 경과한 경우, 또는 타이머를 작동시킨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때 기준응답시간은 상위기기(110)에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기준응답시간은 T1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하기 전에 제1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정상상태(normal state)로 판단한다(S109).
이후,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111).
이때, 상위기기(110)는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동시켜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113).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하면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115).
이후, 제1 하위기기(130)가 제2 보고응답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S117)하여 상위기기(110)가 제2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위기기(110)는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한 후에 제2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이상상태(error state)로 판단한다(S119).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통신 이상 검출 방법에 따를 경우, 상위기기(110)는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하위기기와의 통신에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제1 하위기기(130)에 일시적인 통신중지사유가 발생하거나 제1 하위기기(130)가 재기동(reset)하더라도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보고응답신호를 전송하면 상위기기(110)는 해당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또한 기준응답시간이 길게 설정될수록 해당 사실을 인지하기 더욱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 이상 검출 방법에 따르면 기준응답시간의 설정이 상위기기에서 이루어져 상위기기와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직렬 통신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100)에서 상위기기(110)가 제1 하위기기(130)와의 통신상태를 감시하여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은 T1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감시하기 위해 해당 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301).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동시켜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303).
이때, 제1 하위기기(130)는 수신된 제1 보고요청신호에 따라 응답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변경사유가 발생하면(S305), 제1 하위기기(130)는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2로 변경하기 위해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307).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제1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309).
다음, 상위기기(110)는 수신된 제1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T2로 설정한다(S311).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T2로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제1 변경응답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313).
다음,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315).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동시켜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317).
다음, 제1 하위기기(130)는 수신된 제2 보고요청신호에 따라 제1 하위기기(130)의 통신상태정보, 동작상태정보 및 제2 보고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을 포함하는 보고응답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319).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보고응답신호가 수신되면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321).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2가 경과하기 전에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상위기기(110)와 제2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정상상태(normal state)로 판단한다(S323).
이후,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제3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325).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3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동시켜 제3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327).
이때, 제1 하위기기(130)는 수신된 제3 보고요청신호에 따라 응답신호를 전송하기 전에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변경사유가 종료하면(S329), 제1 하위기기(130)는 기준응답시간을 T2에서 다시 T1로 변경하기 위해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331).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제2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333).
다음, 상위기기(110)는 수신된 제2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T1로 설정한다(S335).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2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T1으로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제2 변경응답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337).
다음은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100)에서 상위기기(110)가 제1 하위기기(130)에 대한 기준응답시간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응답시간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위기기(110)는 기준응답시간을 T1으로 설정한다(S501). 이때 T1은 사용자 입력 또는 직렬 통신 시스템(100)의 정책에 따라 하위기기에 통신중지사유가 없는 경우의 기준응답시간이다.
다음,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제1 하위기기(130)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보고요청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503).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에 타이머(111)를 작동시켜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한다(S505).
다음,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보고요청신호에 대응하는 보고응답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한다(S507).
만약, 보고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위기기(110)는 제1 하위기기(130)로부터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변경요청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감시한 다(S509).
만약, 변경요청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위기기(110)는 타이머(111)의 작동을 정지시킨다(S511).
이후, 상위기기(110)는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재설정한다(S513). 이때 상위기기(110)는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정보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T2로 재설정할 수 있다.
다음, 상위기기(110)는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기준응답시간을 변경하였음을 알리기 위해 변경응답신호를 제1 하위기기(130)로 전송한다(S515).
만약, 보고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위기기(110)는 타이머(111)를 이용하여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517).
만약,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위기기(110)는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상태를 이상상태로 판단한다(S519).
한편,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상위기기(110)는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할 때까지 보고응답신호에 대해 수신대기한다(S521).
한편, 변경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아니한 경우, 상위기기(110)는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기준응답시간 즉, T1이 경과할 때까지 변경요청신호에 대해 수신대기한다(S523).
다음은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100)에 서 제1 하위기기(130)가 기준응답시간을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제1 하위기기(130)에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은 T1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응답시간 변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 하위기기(130)는 제1 하위기기(130)에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통신에 대한 통신중지사유가 발생하면(S701),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2로 변경하기 위해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제1 변경정보를 생성한다(S703). 이때 제1 하위기기(130)는 제1 하위기기(130)의 시스템 점검에 따른 재기동, 제1 하위기기(130)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수행 또는 제1 하위기기(130)의 내부의 회로 고장 발생을 통신중지사유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위기기(130)는 통신중지사유, 제1 하위기기(130)의 동작 조건 및 상황에 따라 T2를 다양하게 설정 또는 프로그래밍할 수 있다.
다음,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제1 보고요청신호가 수신하면(S705), 제1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707).
이후,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제1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709).
만약, 제1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하위기기(130)는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2로 재설정한다(S711).
다음,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와의 통신을 중지한다(S713). 이때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와의 통신이 중지된 후에 재기동 또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할 수 있고, 제1 하위기기(13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회로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이후, 제1 하위기기(130)는 통신중지사유가 종료되면(S715), 기준응답시간을 T2에서 T1으로 변경하기 위해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제2 변경정보를 생성한다(S717).
다음,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제2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되면(S719), 제2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721).
이후,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제2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의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723).
만약, 제2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하위기기(130)는 기준응답시간을 T2에서 T1으로 재설정한다(S725).
한편, 제1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제2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아니한 경우, 제1 하위기기(130)는 상위기기(110)로부터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다음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100)에서 상위기기(110)가 복수의 하위기기와의 통신상태를 감시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상태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위기기(110)는 복수의 하위기기 중 제1 하위기기(130)로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다(S911). 이때 상위기기(110)와 제1 하위기기(130)간의 기준응답시간(이하에서는 '제1 기준응답시간'이라고도 함)은 T1으로 미리 설정된다.
다음, 제1 보고요청신호를 수신한 제1 하위기기(130)는 제1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변경사유가 있는 경우에 제1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2로 변경하기 위해 제1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제1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913).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1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제1 변경정보에 따라 제1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2로 재설정한다(S915).
또한, 상위기기(110)는 복수의 하위기기 중 제2 하위기기(150)로 제2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다(S921). 이때 상위기기(110)와 제2 하위기기(150)간의 기준응답시간(이하에서는 '제2 기준응답시간'이라고도 함)은 T1으로 미리 설정된다.
다음, 제2 보고요청신호를 수신한 제2 하위기기(150)는 제2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변경사유가 있는 경우에 제2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3로 변경하기 위해 제2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제2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923).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2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제2 변경정보에 따라 제2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3로 재설정한다(S925).
또한, 상위기기(110)는 복수의 하위기기 중 제3 하위기기(170)로 제3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다(S931). 이때 상위기기(110)와 제3 하위기기(170)간의 기준응답시간(이하에서는 '제3 기준응답시간'이라고도 함)은 T1으로 미리 설정된다.
다음, 제3 보고요청신호를 수신한 제3 하위기기(170)는 제3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변경사유가 있는 경우에 제3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4로 변경하기 위해 제3 기준응답시간에 대한 제3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3 변경요청신호를 상위기기(110)로 전송한다(S933).
이후, 상위기기(110)는 제3 변경요청신호에 포함된 제3 변경정보에 따라 제3 기준응답시간을 T1에서 T4로 재설정한다(S935).
이를 통해 상위기기(110)는 복수의 하위기기의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기준응답시간을 적용함으로써, 다수의 하위기기에 대해 효과적으로 통신상태 감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직렬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이상 검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응답시간 설정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준응답시간 변경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상태 감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9)

  1.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상위기기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위기기와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상위기기는 타이머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하위기기에 대한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보고요청신호를 상기 하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에 상기 타이머를 작동시켜 상기 보고요청신호의 전송 시점부터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하위기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응답시간의 변경을 요청하는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하위기기로부터 상기 보고요청신호의 응답에 해당하는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상기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한 후인 경우, 상기 상위기기와 상기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이상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보고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이 상기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한 시점으로부터 상기 기준응답시간이 경과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상위기기와 상기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정상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고응답신호는
    상기 하위기기의 통신상태정보 또는 동작상태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5.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상위기기와 직렬 통신 방식으로 통신하는 하위기기와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와의 통신에 대한 통신중지사유가 발생하면 제1 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기준응답시간을 제2 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1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로부터 제1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1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상기 상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로부터 상기 제1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통신중지사유에 따라 상기 상위기기와의 통신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통신중지사유가 종료되면 상기 기준응답시간을 상기 제2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2 변경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로부터 제2 보고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 변경정보를 포함하는 제2 변경요청신호를 상기 상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하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로부터 상기 제2 변경요청신호에 대한 응답시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준응답시간을 상기 제2 시간에서 상기 제1 시간으로 재설정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지사유는
    상기 하위기기의 시스템 점검에 따른 재기동, 상기 하위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수행 또는 상기 하위기기의 내부의 회로 고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8.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상위기기가 복수의 하위기기의 각각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상위기기와 상기 복수의 하위기기간의 통신 이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복수의 하위기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기준응답시간을 제1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복수의 하위기기 중 제1 하위기기로 상기 제1 하위기기의 상태정보의 보고를 요청하는 제1 보고요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제1 하위기기로부터 상기 복수의 기준응답시간 중 상기 제1 하위기기에 대응하는 제1 기준응답시간을 상기 제1 시간에서 제2 시간으로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제1 변경요청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제1 변경요청신호에 따라 상기 제1 기준응답시간을 상 기 제1 시간에서 상기 제2 시간으로 재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제1 기준응답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설정하였음을 알리는 제1 변경응답신호를 상기 제1 하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위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제1 변경응답신호를 상기 제1 하위기기로 전송한 후에 상기 상위 기기가 상기 상위기기와 상기 제1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2 시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위기기가 상기 상위기기와 상기 복수의 하위기기 중 상기 제1 하위 기기를 제외한 나머지 하위기기간의 통신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제1 시간에 따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이상 검출 방법.
KR1020090050097A 2009-06-05 2009-06-05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KR101057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97A KR101057170B1 (ko) 2009-06-05 2009-06-05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0097A KR101057170B1 (ko) 2009-06-05 2009-06-05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85A KR20100131285A (ko) 2010-12-15
KR101057170B1 true KR101057170B1 (ko) 2011-08-16

Family

ID=4350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0097A KR101057170B1 (ko) 2009-06-05 2009-06-05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7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2618B2 (en) 2015-10-11 2018-10-30 Rimalu Technologies, Inc. Traffic pollution indicator
US10887722B2 (en) 2016-03-16 2021-01-05 Airlib Inc. Traffic pollution map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3395A (ja) 1999-04-05 2000-10-20 Canon Inc シリアル通信装置及びその異常検出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1016297A (ja) 1999-06-30 2001-01-19 Canon Inc シリアル通信装置、シリアル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3395A (ja) 1999-04-05 2000-10-20 Canon Inc シリアル通信装置及びその異常検出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
JP2001016297A (ja) 1999-06-30 2001-01-19 Canon Inc シリアル通信装置、シリアル通信方法および記憶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1285A (ko)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018958A1 (en) Safety system and control device
JP6037042B2 (ja) 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17107357A5 (ja) プリンター、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サーバー、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14212496A (ja) 冷凍サイクル機器の遠隔制御システム
JP2016522497A5 (ko)
KR101057170B1 (ko) 직렬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이상 검출 방법
US1116617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intaining a device operated function
CN107918590B (zh) 运算装置以及控制装置
US1022390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ng a point device included in a system of point devices
TW201638899A (zh) 多層無線通訊
JP6504610B2 (ja) 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5729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gram and control method
JP5082801B2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4248256A5 (ko)
KR100972228B1 (ko) 원격 제어/관리 장치의 오류 복구방법
JP6784939B2 (ja) ネットワーク機器
JP5884547B2 (ja) 通信装置
JP6031757B2 (ja) トランスポンダ、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用プログラム
JP2012008896A5 (ko)
JP6087540B2 (ja) 障害トレース装置、障害トレースシステム、障害トレース方法、及び、障害トレースプログラム
JP6629113B2 (ja) 機器制御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電気機器及び機器制御方法
JP5482434B2 (ja) 記録制御装置、記録システム、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98661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JP6581880B2 (ja) 接続状態確認方法、燃料電池システム、燃料電池装置、及び監視装置
US10805428B2 (en) Remote power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