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376B1 -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376B1
KR101056376B1 KR1020090012688A KR20090012688A KR101056376B1 KR 101056376 B1 KR101056376 B1 KR 101056376B1 KR 1020090012688 A KR1020090012688 A KR 1020090012688A KR 20090012688 A KR20090012688 A KR 20090012688A KR 101056376 B1 KR101056376 B1 KR 101056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late
character
camera
attached
recogn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644A (ko
Inventor
최거태
신희영
Original Assignee
위너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너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너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3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06K7/1041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 G06K7/104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 G06K7/1043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 G06K7/10445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fixed in its position, such as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reading wireless access cards, or a wireless ATM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rranged for interrogation of record carriers passing by the interrogation device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positioned close to a conveyor belt or the like on which moving record carriers are passing the record carriers being fixed to further objects, e.g. RFIDs fixed to packages, luggage, mail-pieces or work-pieces transported on a conveyor be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판을 신속하게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켜서 이송중인 철판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은 컨베이어수단과, 형상인식기와, 진입알림센서와, 측면카메라와, 측면트리거와, 제어기와, 조명수단과, 문자인식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철판을 이송시킨다. 상기 형상인식기는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상기 철판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인식한다. 상기 진입알림센서는 상기 형상인식기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철판의 진입을 감지한다. 상기 측면카메라는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한다. 상기 측면트리거는 상기 측면카메라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면카메라가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형상인식기에서 인식된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한다.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측면카메라가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명을 비춰준다. 상기 문자인식기는 상기 측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한다.
문자인식, 철판, 이송

Description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Character recognition system for transferring steel plate}
본 발명은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판을 신속하게 적재적소에 배치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벨트로 이송시켜서 이송중인 철판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만들어지는 철판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그래서 다양한 용도로 만들어진 철판은 각각의 용도별로 적층되어 관리된다. 이를 위하여 생산되는 철판의 측면에 관리라벨이 부착된다. 그리고 관리라벨별로 철판을 분류한 뒤 적층하여 보관한다. 생산되는 철판을 관리라벨별로 보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눈으로 관리라벨을 검사하여 철판을 분류하였다.
즉 종래에는 컨베이어벨트로 철판을 이송시켰고, 그리고 이송중 컨베이어벨트의 작동을 중지시켜서 작업자가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읽어서 분류에 맞는 적절한 철판이 이송되는지를 판단하였다. 만약 적절한 철판이 이송되면 컨베이어벨트를 작동시켜 계속해서 철판을 이송하였으며, 잘못된 철판이 이송되면 컨베이어벨트를 반대로 작동시켜 철판을 되돌려 보냈다.
종래의 경우 이송철판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인식하는 시스템이 없었다. 그래서 사람이 눈으로 직접 관찰하여 판단하였다. 이 경우 사람이 눈으로 관찰하기 위해서 컨베이어벨트의 작동을 중지시켜야 하였다. 그러므로 철판을 이송할 때마다 이송작업이 중단되므로 작업속도가 늦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눈으로 관찰하여 판단하므로 반복작업시 작업자의 눈에 피로가 누적되므로 작업환경이 가혹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눈으로 관찰하여 판단하므로 반복된 작업으로 인한 피로 등에 의하여 잘못된 철판의 이송을 누락시켜서 찾아내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곤 하였다. 이송된 수많은 철판이 적층 되어 보관되므로 이와 같이 잘못 이송된 철판이 포함된 경우 이를 찾아내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래서 작업현장에 용도에 맞지 않는 철판이 투입되고 이로인하여 작업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판의 이송작업을 중단시키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철판의 측면 또는 상면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는 이송철판의 문자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철판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관찰하여 판단하는 대신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는 이송철판의 문자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람이 눈으로 관찰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자인식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송철판의 문자인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은 컨베이어수단과, 형상인식기와, 진입알림센서와, 측면카메라와, 측면트리거와, 제어기와, 조명수단과, 문자인식기를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수단은 철판을 이송시킨다. 상기 형상인식기는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상기 철판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인식한다. 상기 진입알림센서는 상기 형상인식기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철판의 진입을 감지한다. 상기 측면카메라는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한다. 상기 측면트리거는 상기 측면카메라를 작동시킨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측면카메라가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형상인식기에서 인식된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측면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한다. 상기 조명수단은 상기 측면카메라가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명을 비춰준다. 상기 문자인식기는 상기 측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형상인식기는 적어도 3장 이상 적층된 철판의 각각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측면카메라는 상기 3장 이상의 각각의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하기 위하여 적어도 3대 이상이다. 그리고 상기 문자인식기는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적어도 3대 이상이다.
또한 상기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은 상면카메라와 다른 문자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면카메라는 상기 철판 중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의 상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한다. 그리고 상기 다른 문자인식기는 상기 상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은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철판의 이송작업을 중단시키지 아니하고 연속적으로 철판을 이송시키면서 철판에 부착된 관리라벨의 문자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인식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사람이 수작업하던 작업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인식을 기계화시킴으로써 문자인식의 불량을 줄여서 작업불량을 개선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자인식시스템에 의하여 이송되는 철판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에 촬영된 문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은 컨베이어수단(10)과, 형상인식기(11)와, 진입알림센서(13)와, 복수의 측면카메라(15a, 15b, 15c)와, 상면카메 라(17)와, 측면트리거(19a)와, 상면트리거(19b)와, 제어기(20)와, 조명수단(22)과, 복수의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와, 바코드스캐너(30)를 포함한다.
컨베이어수단(10)은 철판(1, 3, 5)을 이송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3장의 철판(1, 3, 5)이 적층되어 컨베이어수단(10)을 통하여 이송된다.
형상인식기(11)는 컨베이어수단(10)을 통하여 이송되는 철판(1, 3, 5)의 두께, 그리고 철판(1, 3, 5)의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즉 형상인식기(11)는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1)의 두께(1a)와 이격거리(1b), 중간에 적층된 철판(3)의 두께(3a)와 이격거리(3b), 가장 밑에 적층된 철판(5)의 두께(5a)와 이격거리(5b)를 동시에 측정한다.
진입알림센서(13)는 철판(1, 3, 5)이 컨베이어수단(10)을 통하여 진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형상인식기(11)를 트리거(trigger)시킨다. 즉 철판(1, 3, 5)이 감지되면 진입알림센서(13)는 형상인식기(11)가 철판(1, 3, 5)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측정하도록 형상인식기(11)를 작동시킨다.
복수의 측면카메라(15a, 15b, 15c)는 철판(1, 3, 5)에 부착된 관리라벨(7a, 7b, 7c)을 촬영한다. 이때 첫 번째의 제1측면카메라(15a)는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1)의 관리라벨(7a)을 촬영하며, 두 번째의 제2측면카메라(15b)는 중간에 적층된 철판(3)의 관리라벨(7b)을 촬영하며, 세 번째의 제3측면카메라(15c)는 가장 밑에 적층된 철판(5)의 관리라벨(7c)을 촬영한다. 그리고 각각의 복수의 측면카메라(15a, 15b, 15c)는 더욱 선명한 화질을 촬영하기 위하여 적어도 3장 이상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트리거(19a)는 철판(1, 3, 5)을 감지하여 측면카메라(15a, 15b, 15c)가 관리라벨(7a, 7b, 7c)을 촬영할 수 있도록 측면카메라(15a, 15b, 15c)를 트리거시킨다.
제어기(20)는 측면카메라(15a, 15b, 15c)가 철판(1, 3, 5)에 부착된 관리라벨(7a, 7b, 7c)의 문자를 선명하게 촬영하기 위하여 측면카메라(15a, 15b, 15c)의 초점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 즉 형상인식기(11)에서 측정된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1)의 두께(1a) 및 이격거리(1b)를 이용하여 제1측면카메라(15a)를 상기 철판(1)의 관리라벨(7a)의 초점에 맞춘다. 그리고 형상인식기(11)에서 측정된 중간에 적층된 철판(3)의 두께(3a) 및 이격거리(3b)를 이용하여 제2측면카메라(15b)를 상기 철판(3)의 관리라벨(7b)의 초점에 맞춘다. 또한 형상인식기(11)에서 측정된 가장 밑에 적층된 철판(5)의 두께(5a) 및 이격거리(5b)를 이용하여 제3측면카메라(15c)를 상기 철판(5)의 관리라벨(7c)의 초점에 맞춘다. 제어기(20)에 의하여 각각의 측면카메라(15a, 15b, 15c)의 초점이 각각의 철판(1 3, 5)의 관리라벨(7a, 7b, 7c)의 초점에 맞으므로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상면카메라(17)는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1)의 상면에 부착된 관리라벨(7d)을 촬영한다. 그리고 상면트리거(19b)는 상면카메라(17)가 관리라벨(7d)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면카메라(15d)를 트리거시킨다.
조명수단(22)은 측면카메라(15a, 15b, 15c) 및 상면카메라(17)가 관리라벨(7a, 7b, 7c, 7d)을 촬영할 수 있도록 조명을 비춘다.
바코드스캐너(30)는 철판(1, 3, 5)의 측면에 부착된 바코드(미도시)를 스캐 닝한다. 철판(1, 3, 5)에는 경우에 따라서 관리라벨(7a, 7b, 7c)과 함께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바코드스캐너(30)는 바코드가 부착된 경우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한다.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는 측면카메라(15a, 15b, 15c) 및 상면카메라(17)에서 촬영된 관리라벨(7a, 7b, 7c, 7d)의 문자를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1문자인식기(25a)는 제1측면카메라(15a)에 연결되어 제1측면카메라(15a)에 촬영된 관리라벨(7a)의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2문자인식기(25b)는 제2측면카메라(15b)에 연결되어 제2측면카메라(15b)에 촬영된 관리라벨(7b)의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3문자인식기(25c)는 제3측면카메라(15c)에 연결되어 제3측면카메라(15c)에 촬영된 관리라벨(7c)의 문자를 인식한다. 그리고 제4문자인식기(25d)는 상면카메라(17)에 연결되어 상면카메라(17)에 촬영된 관리라벨(7d)의 문자를 인식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컨베이어수단(10)에 3장의 철판(1, 3, 5)을 적층하여 올려놓는다. 그러면 컨베이어수단(10)은 상기 철판(1, 3, 5)을 이송시킨다. 철판(1, 3, 5)이 진행하여 형상인식기(11)의 앞으로 나아가면 진입알림센서(13)가 이를 감지하여 형상인식기(11)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형상인식기(11)는 각각의 철판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측정한다. 형상인식기(11)에서 측정된 철판의 두께와 이격거리의 정보는 제어기(20)로 보내지고, 제어기(20)는 전송받은 철판의 두께와 이격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측면카메라(15a, 15b, 15c)의 초점을 맞춘다.
형상인식기(11)를 통과한 철판(1, 3, 5)은 연속적으로 이송되어 측면카메라(15a, 15b, 15c)로 나아간다. 그러면 측면트리거(19a)가 측면카메라(15a, 15b, 15c)를 작동시키고, 상면트리거(19b)가 상면카메라(17)를 작동시킨다. 이때 조명수단(22)이 조명을 비추며, 측면카메라(15a, 15b, 15c) 및 상면카메라(17)가 동작하여 철판(1, 3, 5)의 측면에 부착된 관리라벨(7a, 7b, 7c)과 상면에 부착된 관리라벨(7d)을 촬영한다. 측면카메라(15a, 15b, 15c)는 선명한 화질을 얻기 위하여 3 ~ 5 번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반복적으로 촬영한다. 도 3은 관리라벨을 촬영한 실시예이다. 측면카메라(15a, 15b, 15c) 및 상면카메라(17)에서 촬영된 영상은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로 전송되고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는 전송된 영상이미지에서 문자를 인식한다.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에서 인식된 문자는 서버(35)로 전송된다. 서버(35)에서는 문자인식기(25a, 25b, 25c, 25d)에서 전송된 문자와 서버(35)에 미리 저장된 철판의 작업 정보를 비교하여 올바른 철판이 이송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잘못된 철판이 이송되는 경우 작업자에게 경고하고 이송되는 철판을 반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문자인식시스템에 의하여 이송되는 철판의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에 촬영된 문자이다.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컨베이어수단 11 : 형상인식기
13 : 진입알림센서 15a, 15b, 15c : 측면카메라
17 : 상면카메라 19a : 측면트리거
19b : 상면트리거 20 : 제어기
22 : 조명수단 25a, 25b, 25c, 25d : 문자인식기
30 : 바코드스캐너

Claims (4)

  1. 철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수단과,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철판의 각각의 두께와 이격거리를 인식하기 위한 형상인식기와,
    상기 형상인식기가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철판의 진입을 감지하는 진입알림센서와,
    상기 컨베이어수단에 의하여 이송 중인 다층으로 적층된 상기 철판의 각각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복수의 측면카메라와,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한 측면트리거와,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가 상기 각각의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형상인식기에서 인식된 이격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의 초점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기와,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가 상기 각각의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할 수 있도록 조명을 비춰주는 조명수단과,
    상기 각각의 측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복수의 문자인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 중 가장 위에 적층된 철판의 상면에 부착된 문자를 촬영하기 위한 상면카메라와,
    상기 상면카메라에서 촬영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한 문자인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의 측면에 부착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한 바코드스캐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4. 삭제
KR1020090012688A 2009-02-17 2009-02-17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KR101056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88A KR101056376B1 (ko) 2009-02-17 2009-02-17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688A KR101056376B1 (ko) 2009-02-17 2009-02-17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4A KR20100093644A (ko) 2010-08-26
KR101056376B1 true KR101056376B1 (ko) 2011-08-12

Family

ID=42757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688A KR101056376B1 (ko) 2009-02-17 2009-02-17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3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279B1 (ko) * 2015-10-26 2017-07-03 씨제이대한통운 (주) 택배화물 자동 인식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877A (ja) * 1996-12-26 1998-07-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選別装置
KR19980070194A (ko) * 1997-02-13 1998-10-26 홍건희 타이어의 종류 판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87877A (ja) * 1996-12-26 1998-07-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イヤ選別装置
KR19980070194A (ko) * 1997-02-13 1998-10-26 홍건희 타이어의 종류 판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644A (ko)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290691B (zh) 用于自动识别快递货物的系统
US856465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surface characteristics of metallurgical products, especially continuously cast and rolled products, and a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CN109127445B (zh) 条码读取方法及条码读取系统
JP2000338036A (ja) 異なる品質および状態の古紙を仕分けする方法と装置
TW201709154A (zh) 紙幣處理裝置
KR101056376B1 (ko) 이송철판 문자인식시스템
CN102013004A (zh) 一种单据条码识别及影像采集仪
CN101654012B (zh) 大张质量检测无损标废装置和方法
TW201545534A (zh) 饋紙式掃描裝置及其圖像掃描的方法
JP2005298106A (ja) 縦型丁合機
JP7170568B2 (ja) 紙葉類処理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CN209911250U (zh) 电池芯片的外观检测平台和封装装置
JP2006226950A (ja) 木材の検査方法及び木材の検査装置
JP5577529B2 (ja) 製本工程における表紙ずれ検査装置
JP2000158843A (ja) 丁合機
JP2008078948A (ja) 複写撮影装置、idカード作成システム及びidカード作成方法
WO2018142417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ata scanning
JP2015141029A (ja) 印刷機の排紙装置
JP5463159B2 (ja) 透明容器の識別方法
CN108021953A (zh) 物流货品标识影像处理系统、装置及方法
JP5911701B2 (ja) ビデオ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画像の表示優先度判定プログラムおよび小包処理装置
JP4451426B2 (ja) 複写撮影装置、idカード作成システム及びidカード作成方法
CN114330615B (zh) 读码系统和读码方法
CN114273233B (zh) 货物分拣系统和方法
JP5170662B2 (ja) 乱丁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