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278B1 -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278B1
KR101056278B1 KR1020080073605A KR20080073605A KR101056278B1 KR 101056278 B1 KR101056278 B1 KR 101056278B1 KR 1020080073605 A KR1020080073605 A KR 1020080073605A KR 20080073605 A KR20080073605 A KR 20080073605A KR 101056278 B1 KR101056278 B1 KR 10105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enchymal stem
composition
cosmetic
differentiation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076A (ko
Inventor
박선미
신동욱
이상민
송민정
김신형
노민수
김한곤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73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62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중(Crassirhizomae Rhizoma), 오약(Linderae Radix), 계피(Cinnamomum cassia) 및 고삼(Saphora flavescen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중, 오약, 계피, 고삼, 중간엽줄기세포 분화, 지방세포 생성

Description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smetic or plastic surgery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 to adipocytic cells}
본 발명은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중(Crassirhizomae Rhizoma), 오약(Linderae Radix), 계피(Cinnamomum cassia) 및 고삼(Saphora flavescen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것을 촉진하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기관 중 가장 큰 기관으로, 우리 몸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면적이 1.8 ㎡, 두께가 2∼4 mm, 무게가 약 3 kg이며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하고 있으면서, 인체 유해 미생물과 같은 다양한 유해인자들과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 역할을 담당하는 동시에 전신의 대사 에 필요한 생화학적 기능을 영위하는 생명유지에 필수 불가결한 기관이다. 특히, 진피 아래에 존재하는 피하지방층은 지방세포(adipocyte)의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외부의 열에 대해 피부 내부의 기관의 보호 및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 역할을 하며, 영양성분을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형태로 저장하여 필요 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연적인 요인과 각종 외부 자극에 의해 피부 손상을 입게 되며, 그 결과, 피부에서 피부세포들의 본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주름 생성, 탄력 손실 등의 피부노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현대 사회에서 특히 여성들에게 피부는 그들의 건강에 대한 주요한 지표가 되고 있으며, 따라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탄력을 잃는 피부는 여성들에게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얼굴 부위의 피부는 체중이나 나이 등의 요인으로 인해 처지고 탄력을 잃기 쉽다. 또한 폐경기 여성들에게서 주로 발생하는 호르몬, 혈액, 지방, 뼈 등의 대사 이상으로 인한 얼굴의 탄력 저하 및 지방의 감소는 여성들로 하여금 여성성에 대한 큰 상실감을 느끼게 한다. 이처럼 현대 사회 여성들에게 아주 민감한 문제들에 대해서 지방조직의 볼륨을 증가시키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부작용과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는 성형수술을 통해서 피부의 탱탱함을 유지 혹은 증가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피부의 탄력 저하를 개선하고자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 지방이식수술이다. 지방이식수술은 튜립 니들(tulip needle) 모양의 끝이 날카롭지 않은 바늘을 갖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자신의 지방을 채취해 탄력이 떨어져 보이는 피부의 각 부위에 이식하는 수술이다. 이러한 지방 이식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노화되는 피부의 주름 개선을 비롯하여, 입술선, 턱선, 이마선의 교정, 코 성형과 화상이나 상처로 인해 함몰된 피부, 암 절제 수술로 상실된 부분 등에 적용하여 채워주면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방이식수술 이후에 이식 부피의 40∼60%가 다시 인체 내에 흡수된다는 것이 보고되었고(S Eremia et al., Dermatol . Sur. 2000, 26: 1150-1158; Fulton JE et al., Dermatol . Clin . 2001, 19(3): 523-530), 피부가 얇고 피하지방이 적은 부위에서의 지방이식수술은 세포 덩어리가 만져지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며, 실제로 이식한 지방의 생존율과 생존기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해 재이식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이 있는 지방이식수술을 대체하면서 피하지방층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는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피부 탄력 증진 효능을 가진 화장품의 대부분은 피부의 주름 제거 또는 진피 강화 등의 일반적인 효능을 가진 성분을 사용한 것이다. 피부 탄력의 저하는 노화나 자외선 등에 의해 유발되는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생성 저하 또는 파괴에 기인한다. 이러한 탄력 감소의 원인이 되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의 감소를 억제하려는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질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레티놀과 레티노익산 등의 레티노이드이다. 레티노이드는 탁월한 탄력개선 효과를 나타내지만(Dermatology therapy 1998, 16, 357-364), 소량만을 피부에 적용하여도 자극이 나타난다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최근 들어, 이러한 원료들의 피부 자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안전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천연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화장품 원료들에서 나타나는 피부 자극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보다 안전하고 피부에 자극이 없는 천연 식물성 원료를 이용한 화장품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피부의 기본적인 구조가 피하지방조직에 의해서 유지되고, 이러한 피하지방조직은 피부의 볼륨과 강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하므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피부 외곽층의 진피나 표피에 탄력을 부여하는 방법보다 지방조직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이 피부의 볼륨감 유지에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피부의 기본적인 구조는 피하지방조직에 의해 유지되며, 이러한 피하지방조직은 피부의 볼륨과 강도를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피부 외곽층에 있는 진피나 표피에 탄력을 부여하는 방법보다 지방조직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것이 피부의 볼륨 및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좋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지방세포를 이용한 연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방전구세포(preadipocyte)는 인슐린과 같은 분화 유도 물질에 의해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세포이다. 이러한 지방세포를 이용한 연구에 있어서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이다. 중간엽줄기세포는 일반적으로 지방전구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데 사용되는 방법과 유사한 방법을 이용하여 분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Exp. Cell Res. 2006, 312, 1856-1864), 지방세포 분화 연구에 널리 이 용되고 있다(Science 1999, 284, 143-146). 이러한 중간엽줄기세포는 지방세포뿐만 아니라 연골세포, 뼈세포 등의 다른 유형의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J. Cell Sci. 2006, 119, 2204-2213), 신체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는 신체의 대부분의 조직에 분포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 성체줄기세포는 지방세포, 연골세포, 뼈세포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Meirelles et al., J. Cell Sci. 2006, 119: 2204-2213). 중간엽줄기세포는 유래한 기원조직에 따라 미세한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성격이나 특성이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Sakaguchi et al., Arthritis Rheumat ., 2005. 52: 2521-2529). 이 중 사람의 골수(bone marrow)에서 유래한 중간엽줄기세포는 지방세포분화 등의 연구에 널리 응용되고 있다 (Pittenger et al., Science 1999, 284: 143-146). 사람의 피하 조직 등에서 채취한 전지방세포 (preadipocyte)를 완전한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키는 방법에 비해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사람의 지방세포 분화 연구에 골수 중간엽세포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Xu et al., Exp. Cell Res . 2006, 312: 1856-1864).
관중(貫衆)은 고사리목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학명은 Crassirhizomae Rhizoma이다. 한국, 일본, 사할린, 쿠릴열도, 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하며, 비교적 깊은 산지의 나무숲 속 그늘진 습한 땅에서 자란다. 관중의 주요성분으로는 17-(H)-트리스노로파논(trisnorhopanone), 캄페스테롤(campesterol), 디플롭테롤(diplopterol), 드라이오크라씬(dryocrassin), 드라이오크라씬 ABBA 및 드라이오 크라씬 ABBP 등이 있다. 어린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고,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사용한다. 관중은 구충작용, 해독작용, 해열, 감기바이러스 억제작용,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관중을 달인 물은 피부 진균을 억제하는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31041호에는 관중을 비롯한 석류나무 껍질 등의 천연물로부터 미백작용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한 미백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105146호에는 관중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가 개시되어 있다.
오약(烏藥)은 녹나무과 식물인 오약나무의 건조근으로 학명은 Linderae Radix이다. 중국 남쪽과 타이완에서 자라며 일본 남쪽에 야생한다. 오약나무는 상록관목으로 목질이 굵고 단단하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꽃은 3∼4월에 피고 단성화이며, 황록색이고 잎겨드랑이에 산형화서를 이룬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타원형이며 녹색에서 검은색으로 성숙하고 앵두만하다. 또한, 뿌리는 염주 모양으로 암갈색이고 정유가 들어 있으며, 흥분제로서 복통, 토사 및 건위제로 사용된다. 신장통증, 위장통증, 월경통, 소변빈삭, 타박상, 통증, 발한작용 등에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계피(桂皮)는 우리나라에서 녹나무과의 육계(Cinnamomum cassia Blume: 肉桂) 또는 동속 근연식물의 수피 또는 주피를 다소 제거한 수피를 말한다.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으며 일본은 육계와 함께 옥계(Cinnamomum zeylanicum Blume: 玉桂)를 공정생약으로 수재하고 있다. 육계나무는 중국의 남부지방에서 자생하는 늘푸른큰키나무로 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나무 껍질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계피의 생김새 는 반관상 또는 말려 들어간 관상을 이루고 바깥 면은 어두운 적갈색, 안쪽 면은 적갈색을 띠며 매끈하다. 꺾이기 쉬우며 꺾은 면은 엷은 층이 있으며 약간 섬유성이다.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고 한다. 계피는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하며,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고도 알려져 있다. 이것의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고삼(苦蔘)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학명은 Sophora flavescens의 콩과 식물이다. 한국, 일본, 중국 및 시베리아 등지에서 자라는 고삼은 도둑놈의지팡이, 너삼, 뱀의정자나무라고도 한다.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라며, 높이 80∼100cm로 녹색이지만 어릴 때는 검은 빛을 띤다. 줄기는 곧고 잎은 어긋나며 홀수깃꼴겹잎이다. 15∼40개의 작은 잎은 긴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길이 2∼4cm, 나비 7∼15mm이며, 잎자루가 길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말린 것을 고삼이라 하는데, 맛이 쓰고 인삼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신경통, 간염, 황달, 치질 등에 처방한다고 하며, 민간에서는 줄기나 잎을 달여서 살충제로 쓰기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지방조직을 이루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근본적으로 피부의 볼륨감을 증가시켜 줄 수 있는 활성 성분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천연물에 대한 연구 및 검토 결과, 관중, 오약, 계피 및 고삼 추출물 중 1종 이상이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람의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시키는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중, 오약, 계피 및 고삼 추출물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여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관중, 오약, 계피 및 마자인 추출물을 적어도 1종 이상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킴으로써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 증가에 유용하였다.
본 발명은 관중, 오약, 계피 및/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 촉진용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지방세포 분화"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의 지방전구세포 또는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가, 가장 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골수로부터 유래한 중간엽줄기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중, 오약, 계피 및/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 MSC)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피하지방층을 구성하거나 지방세포를 제공하여 피부의 볼륨과 탄력을 부여하는 효능을 갖는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은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을 물 또는 에탄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에 의해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의 적용 부위는 신체의 모든 지방 조직을 포함하며, 특정 부위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지방층이 많은 여성의 가슴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조직의 증가 효과로는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 증가 효과가 있으나, 이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에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 크림, 영양 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또한 로션, 연고, 겔, 크림, 패취 또는 분무제와 같은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형으로는 예를 들면 정제, 환제, 경질 및 연질 캅셀제, 액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과립제 등이 있는데, 이들 제형은 유효성분 이외에 희석제(예: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솔비톨, 셀룰로오스 및 글리신) 및 활택제(예: 실리카, 탈크, 스테아르산 및 그의 마그네슘 또는 칼슘염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를 함유하고 있다. 정제는 또한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전분 페이스트, 젤라틴, 트라가칸스, 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딘과 같은 결합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전분, 한 천, 알긴산 또는 그의 나트륨 염과 같은 붕해제, 흡수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 등의 약제학적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정제는 통상적인 혼합, 과립화 또는 코팅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의 대표적인 것은 주사용 제형으로 등장성 수용액 또는 현탁액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활성 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에 따른 괄루인 추출물 또는 마자인 추출물을 동결 건조하였을 때의 양으로 0.1∼100 mg/kg로, 하루 1회 내지 수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관중 추출물
관중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기기추출법을 사용하였다. 관중(생약명: Crassirhizomae Rhizoma, 중국산) 30 g을 덕산화학의 GR급 에탄올(95.0∼95.5 v/v%), 200 ml에 넣은 다음, ASE300 ACCELERATED SOLVENT EXTRACOR(DIONEX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1500 psi 압력 하에 20분간 분쇄하였다. 또한, 초음파 세척기(BRANSON Ultrasonics corporation) 소니케이터 기기를 이용하여 50℃에서 3일 정도 추가 분쇄하였다. 이렇게 분쇄된 계피 추출물을 모듈 스핀 40(Biotron corporation) 기기를 이용하여 4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관중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오약 추출물
오약(생약명: Linderae Radix, 중국산) 30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오약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계피 추출물
계피(생약명: Cinnamomum cassia, 중국산) 30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계피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고삼 추출물
고삼(생약명: Saphora flavescens, 중국산) 30g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고삼 추출물 시료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및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능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hBM-MSCs)를 론자사(Lonza, Inc. Walkersville, MD, USA)에서 구입하여 론자사의 지침서에 따라 배양하였다. 지방세포 분화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신 트로글리타존(troglitazone, TRO)을 사용하여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유도한 점을 제외하고는 론자사에서 권장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중간엽줄기세포의 배양액에 인슐린 1 ㎍/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DEXA) 1 μM, 이소부틸메틸크산틴(isobutylmethylxanthine, IBMX) 0.5 mM 및 TRO 2 μM을 넣고 배양하여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시켰으며, 지방세포 분화 유도 시에 상기 실시예 1∼4에서 제조한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씩 배지에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글리벤클라마이드(glibenclamide) 10 μM과 트로글리타존 2 μM을 각각 사용하여, IDX 배지와 같이 처리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시작한 지 14일 후, 세포 배양액을 제거하고 10 ml의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세척한 다음, 10% 포르말린/PBS 용액 0.2 ml/㎠을 사용하여 세포를 10분간 고정시켰다. 고정된 세포를 60% 이소프로판올 용액 0.5 ml/㎠로 1회 세척하고, 오일레드오(Oil-Red-O)를 60% 이소프로판올에 녹인 염색액 0.2 ml/㎠로 10분간 지방세포 내의 지질체를 염색하였다. 이어서, 헤마톡실린(hematoxylin)으로 재염색을 수행하여 세포핵을 쉽게 구분되도록 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도 1 내지 도 4 참조).
도 1 내지 도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이 중간엽줄기세포의 세포 사멸을 유도하지 않으면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였다.
[시험예 2] 인간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촉진 효과의 정량적 측정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되, 7개의 군으로 나누어 1군은 인슐린 1 ㎍/ml만, 2군에는 인슐린 1 ㎍/ml, DEXA 1 μM 및 IBMX 0.5 mM(하기 IDX)를 처리하고, 3군은 양성 대조군으로 IDX 외에 글리벤클라마이드 10 μM을 처리하였다. 4, 5, 6군은 IDX와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씩 처리하였다. 7군은 또 다른 양성 대조군으로서 IDX 외에 트로글리타존 2 μM을 처리하였다. 10일 동안 처리한 후, 지방세포 분화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예 1에서와 같이 지방세포를 오일레드오로 염색하였다. 그리고 염색된 오일레드오를 100% 이소프로판올 용액으로 용출시킨 후, 500 nm의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각 데이터 값은 인슐린 대조군으로 보정하였다.).
도 5 내지 도 8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IDX를 처리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한 경우,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이 처리되지 않은 것에 비해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가 관중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2%, 18% 및 39% 정도 증가하였고, 오약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11%, 24% 및 41% 정도 증가하였으며, 계피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8%, 20% 및 46% 정도 증가하였고, 고삼 추출물을 각각 1, 3 및 10 ppm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19%, 32% 및 52% 정도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관중, 오약, 계피 또는 고삼 추출물이 인간 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 분화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정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추출물 중 1종 100 mg, 락토오스 400 mg, 옥수수 전분 4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캡슐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추출물 중 1종 100 mg, 락토오스 400 mg, 옥수수 전분 400 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 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도 1은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면서, 관중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를 오일레드오와 헤마톡실린으로 염색 후, 100배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면서, 오약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를 오일레드오와 헤마톡실린으로 염색 후, 200배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3은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면서, 계피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를 오일레드오와 헤마톡실린으로 염색 후, 100배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4는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 유도하면서, 고삼 추출물을 처리하여 분화 정도를 관찰하기 위해 세포를 오일레드오와 헤마톡실린으로 염색 후, 100배 배율로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관중 추출물에 의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오약 추출물에 의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계피 추출물에 의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고삼 추출물에 의한 인간의 골수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 화 진행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Claims (6)

  1. 관중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시키는 피부 탄력 증진용 또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방조직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지방조직의 증가 효과가 미용 또는 성형 목적의 지방조직 증가 효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촉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엽줄기세포가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인간의 중간엽줄기세포가 인간 골수의 중간엽줄기세포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80073605A 2008-07-28 2008-07-28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KR10105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05A KR101056278B1 (ko) 2008-07-28 2008-07-28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605A KR101056278B1 (ko) 2008-07-28 2008-07-28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7492A Division KR101349245B1 (ko) 2010-11-24 2010-11-24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KR1020100117490A Division KR101411277B1 (ko) 2010-11-24 2010-11-24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KR1020100117493A Division KR101411278B1 (ko) 2010-11-24 2010-11-24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76A KR20100012076A (ko) 2010-02-05
KR101056278B1 true KR101056278B1 (ko) 2011-08-11

Family

ID=4208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605A KR101056278B1 (ko) 2008-07-28 2008-07-28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27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60A (ko) * 1999-12-13 2001-07-04 유상옥,송운한 육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5418B1 (ko) * 2005-02-25 2005-09-16 신화제약 (주)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06134B1 (ko) * 2005-08-12 2007-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녹나무 잎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960A (ko) * 1999-12-13 2001-07-04 유상옥,송운한 육계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515418B1 (ko) * 2005-02-25 2005-09-16 신화제약 (주)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06134B1 (ko) * 2005-08-12 2007-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녹나무 잎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76A (ko) 201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91203B (zh) 一种治疗难愈性创面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CA2823423C (en) Moisturizing chinese herbal medicine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CN109662928A (zh) 一种具有防晒修复功效的护肤组合物及其应用和制备方法
KR20100022137A (ko) 녹용을 포함하는 발효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방지용 화장품 샴푸 제조방법 및 샴푸
KR2009008181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1265441A (zh) 可增强皮肤夜间修复、再生能力的组合物及其应用
CN105616318A (zh) 一种抗皱紧肤的积雪草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CN106491415A (zh) 一种祛痘美白遮瑕霜及其制备方法
CN106913495A (zh) 润养护肤精露及其制备方法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8541A (ko) 괄루인 또는 마자인 추출물을 함유하는 인간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CN104288055A (zh) 一种含有水母雪莲花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56278B1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KR102421800B1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N107823114A (zh) 一种含有黄精干细胞提取物的祛痘护肤品
KR20120009183A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102051417B1 (ko) 튼살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7619A (ko) 주름개선에 효과가 있는 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N110201024A (zh) 一种促进创面愈合的含干细胞提取物的组合物及其用途
KR101206097B1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의 지방세포로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10000715A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KR20110000716A (ko) 인간 중간엽줄기세포를 지방세포로 분화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피부 미용 또는 성형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