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4921B1 -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4921B1
KR101054921B1 KR1020090017274A KR20090017274A KR101054921B1 KR 101054921 B1 KR101054921 B1 KR 101054921B1 KR 1020090017274 A KR1020090017274 A KR 1020090017274A KR 20090017274 A KR20090017274 A KR 20090017274A KR 101054921 B1 KR101054921 B1 KR 101054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seat cover
rotation
suppor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8218A (ko
Inventor
문성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테크
Priority to KR1020090017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4921B1/ko
Publication of KR20100098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8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0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e.g. tilting or lifting mechanisms; Collapsible or rotating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6Mounting devices for seats 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4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directly by the seat or cover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and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 and lowering seat or cover; Raising or lowering seat and/or cover by flushing or by the flush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의 양측 단부에 다단으로 관통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축공과;
상기 시트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축공에 끼워져 단턱에 걸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의 가압으로 비데몸체의 댐퍼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공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비데의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에 의하면, 비데몸체의 외측에서 시트 및 시트커버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함과 아울러 시트커버를 자주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비데몸체를 분해하지 않아 내구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비데, 시트, 커버, 회전축, 이탈방지부,

Description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Coupling device for bidet seat and seat cover}
본 발명은 비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데몸체의 외측에서 시트 및 시트커버를 결합하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변을 닦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비데는, 변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비데몸체가 구성되고, 상기 비데몸체 상부에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시트가 구성되며, 상기 시트 상부에 변기 내부의 용변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폐쇄시키는 시트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와 시트커버는 비데몸체의 내부 양측에 장착되는 힌지와 댐퍼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트와 시트커버는, 비데몸체에서 시트와 시트커버를 결합 하기 위해서는 비데몸체의 베이스를 분해한 후 비데몸체의 내측에서 힌지를 결합하 여 시트와 시트커버를 결합해야 하므로 시트 및 시트커버의 교체시 교체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오염된 시트커버를 적절한 시기에 세척하지 못해 비위생적이었으며, 시트커버의 분해시 비데몸체의 베이스를 분해하여 힌지를 분리해야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아울러 제품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비데몸체의 외측에서 시트 및 시트커버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함과 아울러 시트커버를 자주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양측 단부에 다단으로 관통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축공과;
상기 시트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축공에 끼워져 단턱에 걸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의 가압으로 비데몸체의 댐퍼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공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에 의하면, 비데몸체의 외측에서 시트 및 시트커버를 결합하도록 구성되므로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됨은 물론 시트커버를 자주 세척할 수 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시트커버를 분리시 비데몸체를 분해하지 않아도 되므로 내구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시트(20)의 양측 단부에 다단으로 관통되어 단턱(110)을 형성하는 축공(100)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20)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축공(100)에 끼워져 단턱에 걸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공(1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의 가압으로 비데몸체(10)의 댐퍼(D)에 장착되는 회전축(200)이 구비되며, 상기 축공(100)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200)의 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커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300)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탈방지부(300)는, 상기 시트커버(30)의 내측에 회전축(200)을 수용하면서 시트커버(30)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310)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부재(310)에 형성된 안내리브(311)에 지지리브(321)가 회전결합되어 시트커버(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32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안내부재(310)는, 상기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리브(321)가 장착되도록 내측은 작고 외측은 크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하단부가 개구된 한 쌍의 안내리브(31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311) 사이에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리브(321)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공간(312)이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 중, 외측에 형성되는 안내리브(311)의 외주면에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돌기(323)와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313)가 구비되고, 상기 안내돌기(313)가 형성된 안내리브(311)의 외측 단부에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314)이 구비되며, 상기 걸림턱(314)이 형성된 안내리브(311)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리브(315)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320)는, 상기 안내부재(310)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리브(311) 중, 외측에 형성된 안내리브(311)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321)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321) 중, 외측에 형성된 지지리브(321)의 외측 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리브(321)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322)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방지돌기(322)가 돌출된 지지리브(321)의 내측면에 안내부재(310)의 안내돌기(313)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지지돌기(323)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돌기(323)가 돌출된 지지리브(32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지지리브(321)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32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0)의 내측에서 회전축(200)을 축공(100)과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회전축(200)의 단부를 시트(20)의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면, 회전축(200)은 축공(100)으로 결합되어 축공(100)의 내부의 단턱(110)에 걸리게 됨과 동시에 축공(100)을 통해 시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축공(100)과 회전축(200)의 내,외측면에는 걸림홈과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시트(20)와 회전축(200)이 일체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 회전축(200)이 결합된 상태의 시트(20)를 비데몸체(10)의 외측에 위치시키되 상기 회전축(200)을 비데몸체(10)의 내부에 형성된 댐퍼(D)와 동일선상으로 위치시키고, 시트(20)의 외측에서 비데몸체(10) 측으로 회전축(200)의 단부를 가압하게 되면 회전축(200)은 비데몸체(10) 내부에 형성된 댐퍼(D)에 끼워져 비데몸체(10)와 시트(20)가 결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시트커버(3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부재(310)에 이탈방지부재(320)를 결합하되 안내리브(311)의 개방된 부분에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리브(321)가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돌기(323)가 안내부재(310)의 안내돌기(313)의 경사진부분을 지나 안내돌기(313)의 후방에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안내리브(311)와 지지리브(321)는 상호 결합되도록 소정직경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되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이중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리브(321)는 안내리브(311)의 하부에 개방된 공간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레버(3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리브(321)는 안내부재(310)의 회전공간(312)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지지리브(321)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23)는 안내부재(310) 의 안내돌기(313)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방지돌기(322)는 안내부재(310)의 안내리브(311)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4)에 걸려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안내부재(310)와 이탈방지부재(320)가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310)에 이탈방지부재(320)를 결합한 시트커버(30)를 시트(2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레버(32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방지돌기(322)가 안내부재(310)의 걸림턱(314)에서 이탈되면서 지지리브(321)는 회전공간(312)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지지리브(321) 내측에 형성된 지지돌기(323)는 안내부재(310)의 안내돌기(313)에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방지돌기(322)는 안내리브(311)의 단부에 걸려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되면서 시트(20)의 외측으로 돌출된 회전축(2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안내리브(311)의 하부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내부재(310)의 안내리브(311) 하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시트커버(30)의 내측에 형성된 안내부재(310)를 회전축(200)에 안착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축(200)의 단부는 안내부재(310)의 안내리브(311)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레버(32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돌기(323)는 안내부재(310)의 안내돌기(313)에 밀착되어 회전하면서 이탈방지부재(320)의 지지리브(321)는 하부가 개방되어 있던 안내리브(311)를 폐쇄하게 됨과 동시에 지지리브(321)의 외주면 단부에 돌출된 회전방지 돌기(322)는 안내부재(310)의 안내리브(311) 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14)에 걸림상태가 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되면서 시트커버(30)의 결합이 완료된다.
또한, 상기 걸림상태가 된 이탈방지부재(32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이탈방지부재(320)의 회전레버(324)는 회전제어리브(315)에 걸려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됨과 동시에 안내리브(311)의 개방된 공간이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축(200)으로부터 시트커버(3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시트커버(3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커버(30)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변기 내부를 개방하게 되며, 사용자는 시트에 앉아 용변을 보면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이 비데몸체(10)의 일측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비데몸체(10)의 양측에 본 발명의 구성이 결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도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커버의 개폐를 나타낸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축공 110: 단턱
200: 회전축 300: 이탈방지부
310: 안내부재 311: 안내리브
312: 회전공간 313: 안내돌기
314: 걸림턱 315: 회전제어리브
320: 이탈방지부재 321: 지지리브
322: 회전방지돌기 323: 지지돌기
324: 회전레버

Claims (4)

  1. 삭제
  2. 시트의 양측 단부에 다단으로 관통되어 단턱을 형성하는 축공과;
    상기 시트의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축공에 끼워져 단턱에 걸리도록 결합되며, 상기 축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의 가압으로 비데몸체의 댐퍼에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축공을 통해 돌출된 회전축의 단부에 결합되어 시트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시트커버의 내측에 회전축을 수용하면서 시트커버의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 형성된 안내리브에 지지리브가 회전결합되어 시트커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안내부재는,
    상기 이탈방지부재의 지지리브가 장착되도록 내측은 작고 외측은 크게 형성되며 일측이 개방되어 하단부가 개구된 한 쌍의 안내리브와;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 사이에 이탈방지부재의 지지리브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회전공간과;
    상기 한 쌍의 안내리브 중, 외측에 형성되는 안내리브의 외주면에 이탈방지부재의 지지돌기와 밀착되어 회전을 안내하는 안내돌기와;
    상기 안내돌기가 형성된 안내리브의 외측 단부에 이탈방지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이 형성된 안내리브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이탈방지부재의 회전반경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리브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에 형성된 한 쌍의 안내리브 중, 외측에 형성된 안내리브에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와;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 중 외측에 형성된 지지리브의 외측 단부에 돌출되어 지지리브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돌기와;
    상기 회전방지돌기가 돌출된 지지리브의 내측면에 안내부재의 안내돌기와 밀착되어 회전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가 돌출된 지지리브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지지리브를 회전시키는 회전레버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KR1020090017274A 2009-02-27 2009-02-27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KR101054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274A KR101054921B1 (ko) 2009-02-27 2009-02-27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274A KR101054921B1 (ko) 2009-02-27 2009-02-27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18A KR20100098218A (ko) 2010-09-06
KR101054921B1 true KR101054921B1 (ko) 2011-08-05

Family

ID=4300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274A KR101054921B1 (ko) 2009-02-27 2009-02-27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4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9085B1 (ko) * 2013-11-25 2018-04-16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어셈블리
KR102040682B1 (ko) * 2013-12-18 2019-11-06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490A (ja) 1999-08-19 2001-02-27 Sankyo Seiki Mfg Co Ltd ダンパー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洋式便器
KR200336558Y1 (ko) * 2003-08-25 2003-12-18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양변기용 힌지장치
KR100580328B1 (ko) 2003-12-18 2006-05-22 주식회사 디엠티 비데기의 변좌 스톱퍼 구조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4490A (ja) 1999-08-19 2001-02-27 Sankyo Seiki Mfg Co Ltd ダンパー装置および該装置を使用した洋式便器
KR200336558Y1 (ko) * 2003-08-25 2003-12-18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양변기용 힌지장치
KR100580328B1 (ko) 2003-12-18 2006-05-22 주식회사 디엠티 비데기의 변좌 스톱퍼 구조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8218A (ko) 2010-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119B1 (ko) 덮개와 좌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양변기용 커버 및 그 커버가 구성된 양변기
KR101054921B1 (ko)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US20070044231A1 (en) A motor activated bathtub drain closure
US10639391B2 (en) Re-phresh system
WO2017038746A1 (ja) 水洗式便器
KR200464138Y1 (ko) 노즐 세척커버 및 이를 갖는 비데
TWI585272B (zh) An operating device for washing the water tank device, a washing water tank device provided with the operating device, and a flush toilet provided with the washing water tank unit
JP6502795B2 (ja) 水洗式便器
JP4222330B2 (ja) 便座及び/又は便蓋の取付け構造
JP6682069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US20170303752A1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toilet cover and toilet seat
JP3677933B2 (ja) 便座及び/又は便蓋の取付け構造
KR101791851B1 (ko) 세면기용 팝업 밸브
JP6980176B2 (ja) 操作装置
JP2010246773A (ja) 便座装置
JP6631779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1271173B1 (ko) 위생 양변기
JP2013221244A (ja) 排水弁駆動装置
KR102550829B1 (ko) 양변기의 플러시밸브 장치
JP6887403B2 (ja) 便器洗浄装置
KR200378708Y1 (ko) 좌변기커버용 힌지
KR100403013B1 (ko) 양변기 좌대의 오염방지장치
KR20220000189U (ko) 시트커버와 커버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위생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킨 양변기
JP2500650B2 (ja) 液体容器の栓装置
JP2008142144A (ja) 排水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