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085B1 - 변좌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변좌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085B1
KR101849085B1 KR1020130143520A KR20130143520A KR101849085B1 KR 101849085 B1 KR101849085 B1 KR 101849085B1 KR 1020130143520 A KR1020130143520 A KR 1020130143520A KR 20130143520 A KR20130143520 A KR 20130143520A KR 101849085 B1 KR101849085 B1 KR 10184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oilet seat
hinge member
bide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883A (ko
Inventor
강희주
진성월
김영표
정다운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085B1/ko
Priority to US15/037,113 priority patent/US9895035B2/en
Priority to PCT/KR2014/009431 priority patent/WO2015076494A1/ko
Priority to JP2016534220A priority patent/JP6484629B2/ja
Priority to CN201480064125.9A priority patent/CN105764394B/zh
Publication of KR20150059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2Hin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비데의 외관을 형성하는 비데 하우징; 상기 비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샤프트를 구비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고리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 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변좌 어셈블리를 제공하여, 비데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고, 변좌에 구비된 발열장치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변좌 어셈블리{Toilet Seat Assembly}
본 발명은 변좌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 하우징과 변좌를 힌지 결합하는 별도의 힌지부재를 구비하여 수분의 내부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변좌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화장실의 변기는 용변시 착좌할 수 있는 변좌가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변좌는 변기 상에 덧대어진 구조로 설치된다.
최근 변좌는 화장실 내부를 쾌적하게 하고, 사용자의 위생청결의 목적에 따라 비데기술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라고 하면,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정하는데 쓰이는 변좌로서, 용변 후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기구 중앙부에서 적당한 온도를 지닌 온수가 분사되어 부드럽게 세정하고자 하는 부분을 세정하는 장치이다.
한편, 변좌는 용변시에 사용자의 둔부가 직접 접촉하므로, 이때에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할 때에 차가움을 느낀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겨울철에 이러한 문제점은 더욱 부각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내부에 열선 등의 발열장치가 구비되어 변좌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때에, 변좌 내부에 구비되는 가열장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배선은 안전 및 미관을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으로, 비데의 내부에는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각종 장치들이 구비되는데, 비데 설치 환경의 특성상 수분에 쉽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비데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배선이 용이하고 비데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변좌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는, 비데의 외관을 형성하는 비데 하우징, 상기 비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샤프트를 구비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고리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 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비데 하우징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면에 힌지결합홀이 형성된 변좌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힌지 결합홀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변좌 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힌지 결합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환고리 형상의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링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샤프트는 내측에 와이어 전달홀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변좌는 내부에 발열장치 및 상기 발열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전달홀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 덕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서, 상기 힌지부재는, 볼트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비데 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어셈블리에 의하면, 비데 내부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할 수 있으며, 변좌 내부의 발열장치와 관련된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부재의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100)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100)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힌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100)는 비데의 외관을 형성하는 비데 하우징(110),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130) 및 상기 비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변좌(130)을 회전가능하도록 연결시켜주는 힌지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데 하우징(110)은 비데의 외관을 형성하며, 그 내부에는 물 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는 저수부(미도시), 상기 저수부에 저장된 물을 사용자의 항문 또는 국부에 분사하는 노즐 어셈블리(미도시), 상기 노즐 어셈블리의 작동을 위한 각종 구동장치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데 하우징(110)은,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변좌 연결부(1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좌 연결부(111)의 일측면에는 힌지결합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비데 하우징(110)은 상기 힌지결합홀(111a)의 원주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결합돌기(111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상기 힌지 부재(120)이 결합될 때에, 상기 결합돌기(111b)가 후술하는 결합홈(124)에 삽입될 수 있다.
변좌(130)는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힌지 부재(120)를 통하여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130)는 내부에 발열장치(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변좌(13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에, 사용자의 둔부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발열장치(131)를 작동하여 표면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때에, 상기 발열장치(131)는 열선 히터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기의 공급에 의해 상기 변좌(130) 표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면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형태의 발열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장치(131)는 전기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변좌(130)는 상기 발열장치(131)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힌지 부재(120)는, 상기 비데 하우징(110)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힌지 결합홀(111a)를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변좌 연결부(1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샤프트(1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21)의 내측에는 와이어 전달홀(122)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 전달홀(122)을 통해서 상기 와이어(미도시)가 통과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와이어 전달홀(122)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미도시)가 통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와이어(미도시)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샤프트(121)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121)의 일단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하우징 결합부(123)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샤프트(121)의 외주면을 따라 환고리 형상의 결합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결합홈(124)는 상기 샤프트(121)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 결합부(123)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힌지 부재(120)가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고정될 때에, 상기 결합홈(124)에 상기 결합돌기(111b)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홈(124)에 상기 결합돌기(111b)에 삽입됨으로써 실링 구조를 갖추게 되어, 상기 비데 하우징(11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힌지 부재(120)는 상기 샤프트(121)의 타단에서 축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와이어 덕트(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덕트(125)는 상기 와이어 전달홀(122)를 관통한 상기 와이어(미도시)의 일부를 수용하여,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힌지 부재(120)는 볼트홀(126a)이 형성된 고정부(126)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볼트홀(126a)을 관통한 볼트(미도시)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비데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100)은 상기 결합홈(124)에 삽입되는 환고리 형상의 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링(140)은 고무재질일 수 있다. 즉, 상기 링(140)이 상기 하우징 결합부(123)와 상기 결합돌기(111b) 사이에 위치하여, 실링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수분이 상기 비데 하우징(11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좌 어셈블리(100)에 의하면, 비데 하우징(11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변좌(130) 내부에 구비되는 발열장치(131)에 전기를 공급하는 와이어(미도시)의 배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0: 변좌 어셈블리
110: 비데 하우징
120: 힌지 부재
130: 변좌
140: 링

Claims (10)

  1. 비데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며 일측면에 힌지결합홀이 형성된 변좌 연결부를 구비하는 비데 하우징;
    상기 비데 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샤프트를 구비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고리 형상의 결합홈을 구비하는 힌지 부재; 및
    상기 샤프트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변좌;를 포함하고,
    상기 비데 하우징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변좌는 상기 힌지 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기 비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변좌는 상기 힌지 부재의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힌지 결합홀을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변좌연결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변좌 어셈블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고, 다시 축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의 일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 하우징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홈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따라 상기 하우징 결합부에 의해 형성된 변좌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힌지 결합홀의 원주를 따라 형성된 원통 형상인 변좌 어셈블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환고리 형상의 링;을 더 포함하는 변좌 어셈블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은 고무재질인 변좌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내측에 와이어 전달홀을 구비하는 변좌 어셈블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좌는 내부에 발열장치 및 상기 발열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 전달홀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변좌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에서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와이어 덕트를 더 구비하는 변좌 어셈블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는, 볼트홀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트홀을 관통한 볼트의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비데하우징에 고정되는 변좌 어셈블리.


KR1020130143520A 2013-11-25 2013-11-25 변좌 어셈블리 KR10184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20A KR101849085B1 (ko) 2013-11-25 2013-11-25 변좌 어셈블리
US15/037,113 US9895035B2 (en) 2013-11-25 2014-10-07 Toilet seat assembly
PCT/KR2014/009431 WO2015076494A1 (ko) 2013-11-25 2014-10-07 변좌 어셈블리
JP2016534220A JP6484629B2 (ja) 2013-11-25 2014-10-07 便座アセンブリ
CN201480064125.9A CN105764394B (zh) 2013-11-25 2014-10-07 马桶座圈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520A KR101849085B1 (ko) 2013-11-25 2013-11-25 변좌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83A KR20150059883A (ko) 2015-06-03
KR101849085B1 true KR101849085B1 (ko) 2018-04-16

Family

ID=5317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520A KR101849085B1 (ko) 2013-11-25 2013-11-25 변좌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95035B2 (ko)
JP (1) JP6484629B2 (ko)
KR (1) KR101849085B1 (ko)
CN (1) CN105764394B (ko)
WO (1) WO20150764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5350A1 (en) * 2017-12-27 2019-07-04 As America, Inc. Water inlet through seat post
JP6478173B1 (ja) 2017-12-28 2019-03-06 Toto株式会社 便蓋装置
JP7028655B2 (ja) * 2018-01-22 2022-03-02 株式会社アイシン 便座装置
CN110236442B (zh) * 2019-07-15 2021-12-07 浙江环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热式马桶垫圈
US11564538B2 (en) *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26Y1 (ko) * 2005-12-27 2006-03-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를 위한 배선구조를 구비하는 비데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6187Y2 (ja) * 1991-03-26 1997-02-19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暖房便座装置
JP4140132B2 (ja) * 1999-06-28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JP2001008858A (ja) 1999-07-01 2001-01-16 Toto Ltd 便座及び/又は便ふたの取付構造
US6637619B2 (en) 2000-09-25 2003-10-28 Kil Jae Chang Machine for reliably vending products one at a time
KR20040080785A (ko) 2003-03-13 2004-09-20 주식회사 워터웍스 유진 비데기
EP1917893B1 (en) * 2005-06-29 2016-10-19 Panasonic Corporation Toilet seat device and toilet device with the same
KR101417878B1 (ko) 2008-04-10 2014-07-09 코웨이 주식회사 좌변기용 변좌
KR101054921B1 (ko) 2009-02-27 2011-08-05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시트 및 시트커버의 결합장치
JP5515416B2 (ja) * 2009-05-21 2014-06-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TWI583854B (zh) * 2011-08-03 2017-05-21 Shao-Yu Peng A toilet seat with a man - machine interface
JP2013066549A (ja) * 2011-09-21 2013-04-18 Aisin Seiki Co Ltd 温水洗浄便座装置およびその組付け方法
US9283144B2 (en) * 2011-10-21 2016-03-15 Kohler Co. Manual bidet
BR102012013353A2 (pt) * 2012-06-01 2014-04-29 Oxiteno Sa Ind E Comercio Uso de cetal como solvente em adesivos, e, composição de adesivo contendo cet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526Y1 (ko) * 2005-12-27 2006-03-0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수분침투 방지를 위한 배선구조를 구비하는 비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96085A1 (en) 2016-10-13
CN105764394B (zh) 2018-09-14
JP2016538072A (ja) 2016-12-08
CN105764394A (zh) 2016-07-13
JP6484629B2 (ja) 2019-03-13
WO2015076494A1 (ko) 2015-05-28
KR20150059883A (ko) 2015-06-03
US9895035B2 (en) 2018-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085B1 (ko) 변좌 어셈블리
US10557259B2 (en)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bidet seat having same
JP2008095396A (ja) トイレ装置
US20140304908A1 (en) Shower Recycle Reheat Retrofit System
JPH0344864Y2 (ko)
CN107227777B (zh) 杀菌水喷射装置以及配备该杀菌水喷射装置的洁身器
JP2003339578A (ja) 便座装置
KR200463555Y1 (ko) 변좌 및 변좌커버 개폐장치
TWI796482B (zh) 衛生洗淨裝置
KR20100079264A (ko) 좌변기용 비데
KR20150071180A (ko) 변좌 어셈블리
KR102503089B1 (ko) 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606580B1 (ko) 회전식 양변기
KR101518861B1 (ko) 착탈식 조작부를 구비하는 좌변기용 변좌
JP6137728B2 (ja) 水栓の取付け構造
KR200251235Y1 (ko) 발전기능을 구비한 수압식 비데
JP2009142615A (ja) お尻洗浄具
JP3096144U (ja) 温水ハンドシャワーおしり洗浄器
KR20150104721A (ko) 비데 하우징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KR101604628B1 (ko) 화장실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KR20160105647A (ko) 변좌 세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KR20230153710A (ko) 무선충전 방식을 응용한 분리 가능 방수 변좌 비데
KR200243496Y1 (ko) 비데용 시트의 회전장치
JP2004324252A (ja) 衛生洗浄装置
JP2015156995A (ja) 便座およびそれを備えた便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