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774B1 -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774B1
KR101053774B1 KR1020030074863A KR20030074863A KR101053774B1 KR 101053774 B1 KR101053774 B1 KR 101053774B1 KR 1020030074863 A KR1020030074863 A KR 1020030074863A KR 20030074863 A KR20030074863 A KR 20030074863A KR 101053774 B1 KR101053774 B1 KR 101053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imaging
object side
focal length
imagin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8692A (ko
Inventor
야마구찌스스무
사또마사에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8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8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3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two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06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two +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0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 G02B9/1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two components only one + and one - compon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개구 조리개와, 정의 굴절력을 갖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와,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제2 렌즈를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각각 적어도 일면의 비구면을 갖고, 이하 조건식을 만족하고, f1 / |f2| < 1.0 ,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는 상기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이다.
촬상 렌즈, 개구 조리개, 제1 렌즈, 제2 렌즈, 초점 거리, 비구면, 굴절력

Description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IMAGE PICKUP LENS, IMAGE PICKUP UNIT AND CELLPHON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유닛의 사시도.
도2는 촬상 유닛의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따른 단면도.
도3a는 촬상 유닛을 장착 구비한 휴대 단말로서의 휴대 전화기의 정면도 및 도3b는 배면도.
도4는 휴대 전화기의 제어 블록도.
도5는 실시예 1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6a 내지 도6d는 실시예 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
도7은 실시예 2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8a 내지 도8d는 실시예 2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
도9는 실시예 3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
도10a 내지 도10d는 실시예 3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L1 : 제1 렌즈
L2 : 제2 렌즈
50 : 촬상 유닛
51 : 이미지 센서
52 : 기판
53 : 하우징
54 : 경통
100 : 휴대 전화기(휴대 단말)
본 발명은 CCD형 이미지 센서 혹은 CMOS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상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소형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이들을 구비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근래, CCD(Charge Coupled Device)형 이미지 센서 혹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형 이미지 센서 등의 고상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상 유닛의 고성능화, 소형화에 따라 촬상 유닛을 구비한 휴대 전화나 개인용 컴퓨터가 계속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이들 촬상 유닛에 탑재되는 촬상 렌즈에는 더 이상의 소형화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의 촬상 렌즈로서 단일 렌즈에 비해 고성능화가 가능한 두 장 구성의 렌즈가 일반적으로 적합하며, 렌즈 전장(전체 길이) 소형화의 요구로부터 가장 물체측에 정(正) 렌즈를 배치한 정 렌즈 선행의 2매 구성의 촬상 렌즈가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촬상 렌즈는 예를 들어, 이하의 일본 특허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00769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311317호 공보
여기서, 일본 특허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타입의 렌즈는 F 넘버가 2.0으로 밝고, 또 렌즈 전장의 소형화를 달성하고 있기는 하지만, 고상 이미지 센서 대각 방향의 화각이 52° 정도로, 예를 들어 카메라 부착 휴대 전화 용도의 촬상 렌즈로서는 약간 화각이 좁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비추어, F 넘버가 F 2.8 정도, 고상 이미지 센서의 유효 화면 대각 방향의 화각이 58 ° 이상인 사양을 갖고, 렌즈 맷수가 2매라는 간략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소형이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촬상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촬상 유닛,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하기의 구성(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달성된다.
(1)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개구 조리개, 정의 굴절력을 갖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는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제2 렌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각각 적어도 일면의 비구면을 갖고, 이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1 / |f2| < 1.0 (1)
다만,
f1 :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
f2 :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
f : 상기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
여기서, 소형의 촬상 렌즈의 척도이지만, 본 구성에서는 이하의 (8) 식을 만족시키는 레벨의 소형화를 지향하고 있다.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촬상 렌즈 전장을 짧게 할 수 있고 상승적(相乘的)으로 렌즈 외경도 작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촬상 유닛 전체의 소형 경량화가 가능해진다.
L / 2Y < 1.30 (8)
다만,
L :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가장 물체측의 렌즈면으로부터 상(像)측 초점까지의 광축상의 거리(다만, 가장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가 배치된 경우에는 개구 조리개로부터 상측 초점까지의 거리)
2Y : 고상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 대각선 길이(고상 이미지 센서의 직사각형 실효 화소 영역의 대각선 길이)
여기서, 상측 초점이라 함은 렌즈에 광축과 평행한 평행 광선이 입사된 경우의 상점을 말한다. 또한, 렌즈의 가장 상측의 면과 상측 초점 위치 사이에 평행 평판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평행 평판 부분은 공기 환산 길이로 한다.
소형이고 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촬상 렌즈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가장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를 배치하고,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정의 제1 렌즈와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정 또는 부의 제2 렌즈로 이루어진다. 정의 제1 렌즈를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함으로써,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주요점을 물체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조건식 (8)을 만족시키는 촬상 렌즈 전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가장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를 배치하고, 상기 제2 렌즈의 물체측면을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함으로써 고상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상 렌즈에 필요한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의 각각에 적어도 일면의 비구면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양호한 수차 보정이 가능해진다. 정의 제1 렌즈에 비구면을 이용하면 구면 수차, 코마 수차의 보정에 효과가 있다. 한편, 제2 렌즈는 개구 조리개로부터 떨어져 가장 상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축상 광속과 화면 주위부의 축외 광속에서 통과 높이에 차가 있으며, 비구면을 이용함으로써, 상면 만곡이나 왜곡 수차라고 하는 화면 주위부의 제수차를 양호하게 보정할 수 있다.
조건식 (1)은 제1 렌즈와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에 관한 것이고, 이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주요점을 물체측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고, 촬상 렌즈 전장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하 (1')식을 만족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f1 / |f2| < 0.8 (1')
(2) 촬상 렌즈는 이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80 < f1/f < 1.80 (2)
-1.90 < R2 / ((1-N1)·f) < -0.60 (3)
다만,
f1 :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
R2 : 상기 제1 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
N1 : 상기 제1 렌즈의 d선에 대한 굴절률
f : 상기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
여기서, 조건식 (2)는 제1 렌즈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한다. f1/f가 하한을 상회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의 정의 굴절력이 필요 이상 너무 커지지 않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 발생하는 고차의 구면 수차나 코마 수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f1/f가 상한을 하회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의 정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고, 촬상 렌즈 전장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하 (2')식을 만족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1.00 < f1 / f < 1.60 (2')
또한, 조건식 (3)은 제1 렌즈 상측면의 부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함으로써 상면 만곡의 보정을 용이하게 하고, 상면을 평탄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 상측면의 초점 거리는 곡률 반경(R2)과 상기 제1 렌즈의 굴절률(N1)을 이용하여 R2/(1-N1)로 계산되기 때문에, 조건식 (3)은 제2 렌즈 물체 측면의 초점 거리와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의 비를 나타내는 식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2/((1-N1)·f)가 하한을 상회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 상측면의 부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의 페쯔발 곱이 감소되고, 상면 만곡의 보정이 용이해진다. 한편, R2/((1-N1)·f)가 상한을 하회함으로써, 제1 렌즈 상측면의 부의 굴절력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커지지 않고 축외 광속의 코마 플레어나, 실패형의 왜곡 수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양호한 화질을 얻을 수 있다. 또, 이하의 (3')식을 만족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1.70 < R2 / ((1-N1)·f) < -0.80 (3')
(3) 촬상 렌즈는 상기 제2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렌즈를 정의 렌즈로 함으로써 화면 주변부에서의 텔레센트릭 특성이 더욱 확보되기 쉬운 구성으로 된다.
(4) 촬상 렌즈는 상기 제2 렌즈의 상측면이 최대 유효 반경을 hmax라 할 때, hmax × 0.7 < h < hmax인 임의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 h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비구면을 갖는 구성(1) 내지 (3)의 어느 한 항목에 기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X - X0 < 0 (4)
다만, X 및 X0는 면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X축을 취하고, 광축과 수직 방향의 높이를 h로 하여 이하의 수식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X : 비구면 변위량
Figure 112003039926297-pat00001
X0 : 비구면의 회전 2차 곡면 성분 변위량
Figure 112003039926297-pat00002
다만,
Ai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i차의 비구면 계수
R4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곡률 반경
K4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원뿔 상수
상술한 조건식 (4)를 만족시키는 비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특히 고화각의 광속에 있어서의 텔레센트릭 특성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5) 촬상 렌즈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근래에는, 촬상 유닛 전체의 소형화를 목적으로 하고, 같은 화소수의 고상 이미지 센서이어도 화소 피치가 작고, 결과로서 촬상면(광전 변환부)의 화면 크기가 작은 것이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면 크기가 작은 고상 이미지 센서용의 촬상 렌즈는 같은 화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를 짧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 렌즈의 곡률 반경이나 외경이 상당히 작아져 버린다. 따라서, 연마 가공에 의해 제조되는 유리 렌즈로는 가공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1 렌즈, 상기 제2 렌즈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곡률 반경이나 외경이 작은 렌즈이어도 대량 생산이 가능해진다. 또한, 비구면화가 용이하기 때문에 수차 보정상으로도 유리하다. 여기서, 소경 렌즈이어도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렌즈로서 유리 몰드 렌즈의 채용도 고려할 수 있지만, 현재 기술로는 금형의 내구성 등의 문제도 있고, 플라스틱 렌즈 쪽이 제조 비용을 억제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렌즈를 이용하는 다른 하나의 잇점으로서는 렌즈 유효 외경측의 플랜지부의 형상을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후술하는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환형부)의 내경부 또는 외경부를 이용하여 2매의 렌즈의 광축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예에서는 플랜지부는 렌즈의 간격을 규정하는 스페이서의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부품 갯수가 삭감되어 바람직한 구성이다. 또, 「플라스틱 재로로 형성되어 있는」이라 함은 플라스틱 재료를 모재(母材)로 하여 그 표면에 반사 방지나 표면 경도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코팅 처리를 행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6) 촬상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개구 조리개, 정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물체측으로 볼록면을 향한 제2 렌즈로 이루이며,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한다.
0.40 < D24 / f < 1.00 (5)
다만,
D24 : 상기 제1 렌즈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 상측면까지의 거리
f : 상기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
또, 상기 제2 렌즈의 상측면은 최대 유효 반경을 hmax라 할 때, hmax × 0.7 < h < hmax인 임의의 광축 수직 방향의 높이 h에 있어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비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X - X0 < 0 (6)
여기서, X 및 X0는 면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고, 광축 방향에 X축을 취하고, 광축과 수직 방향의 높이를 h로 하여 이하의 수식으로 산출되는 값이다.
X : 비구면 변위량
Figure 112003039926297-pat00003
X0 : 비구면의 회전 2차 곡면 성분 변위량
Figure 112003039926297-pat00004
다만,
Ai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i차의 비구면 계수
R4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곡률 반경
K4 :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원뿔 상수
소형이고 수차의 양호하게 보정된 촬상 렌즈를 얻기 위한, 본 발명의 기본 구성은 가장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를 배치하고,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의 정의 제1 렌즈와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정 또는 부의 제2 렌즈로 이루어진다. 정의 제1 렌즈를 물체측에 볼록면을 향한 메니스커스 형상으로 함으로써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주요점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전술한 조건식 (8)을 만족할 수 있는 촬상 렌즈 전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가장 물체측에 개구 조리개를 배치하고, 제2 렌즈의 물체측면을 물체측으로 볼록하게 함으로써 고상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촬상 렌즈에 필요한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이 확보되기 쉬워진다.
조건식 (5)는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1 렌즈 상측면과 제2 렌즈 상측면의 간격 D24를 최적화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한다. 본 구성의 렌즈 타입에 있어서, 촬상 렌즈 전장의 소형화와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의 확보를 양립하기 위해서는 부의 굴절 작용을 하는 상기 제1 렌즈 상측면에서 축외 광속을 끌어 올리고, 상기 제2 렌즈 물체측면의 볼록면의 작용 및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비구면의 작용으로 끌어 올려진 광속을 광축과 가능한 한 평행으로 되도록 굴절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D24/f가 조건식 (5)의 하한을 상회함으로써, D24가 극단적으로 너무 작아지는 것이 회피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렌즈 상측면의 부의 파워를 그정도 강하게 하지 않고도 축외 광속을 끌어 올릴 수 있으므로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을 확보하면서 축외 수차 보정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한편, D24/f가 상한을 하회함으로써, D24가 극단적으로 너무 커지는 것이 회피되고, 필요한 렌즈 두께나 팬 포커스를 확보하면서 촬상 렌즈 전장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이하의 (5')식을 만족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0.50 < D24/f < 0.80 (5')
또한, 상술한 조건식 (6)을 만족시키는 비구면 형상으로 함으로써 특히 고화각의 광속에 있어서의 텔레센트릭 특성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7) 촬상 렌즈는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80 < f1/f < 1.80 (7)
다만,
f1 :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
f : 상기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
조건식 (7)은 제1 렌즈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건을 규정한다. f1/f가 하한을 상회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의 정의 굴절력이 필요 이상으로 너무 커지지 않고, 상기 제1 렌즈의 물체측면에서 발생하는 고차의 구면 수차나 코마 수차를 작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f1/f가 상한을 하회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의 정의 굴절력을 적절하게 확보할 수 있고, 촬상 렌즈 전장의 단축이 가능해진다. 또, 이하의 (7')식을 만족시키면 더욱 바람직하다.
1.00 < f1/f < 1.60 (7')
(8) 촬상 렌즈는 상기 제2 렌즈가 정의 굴절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3)에 기재된 촬상 렌즈에 관련하여 설명한 효과와 동일하다.
(9) 촬상 렌즈는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5)에 기재된 촬상 렌즈에 관련하여 설명한 효 과와 동일하다.
(10) 촬상 유닛은 광전 변환부를 구비한 고상 이미지 센서와, 상기 고상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전 변환부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구성(1) 내지 (9) 중 어느 한 항목에 기재한 촬상 렌즈와, 상기 고상 이미지 센서를 보유하는 동시에 전기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외부 접속용 단자를 갖는 기판과, 물체측으로부터의 광 입사용의 개구부를 갖고 차광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촬상 유닛이며, 상기 촬상 유닛의 상기 촬상 렌즈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구성의 촬상 렌즈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소형이고도 고성능인 상기 촬상 유닛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광 입사용 개구부」라 함은 반드시 구멍 등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물체측으로부터의 입사광을 투과 가능한 영역이 형성된 부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 「상기 촬상 유닛의 상기 촬상 렌즈 광축 방향의 높이가 10(㎜) 이하」라 함은 상기 모든 구성을 구비한 촬상 유닛의 광축 방향에 따른 전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기판의 표의 면에 하우징이 설치되고, 기판의 배면에 전자 부품 등이 실장된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의 물체측으로 이루어지는 선단부로부터 배면상에서 돌출하는 전자 부품의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10(㎜) 이하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11) 휴대 단말은 구성(10) 기재의 촬상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성의 촬상 유닛을 이용함으로써 보다 소형이고도 고성능인 휴대 단말을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촬상 유닛(50)의 사시도이며, 도2는 촬상 유닛(50)의 촬상 광학계의 광축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한 촬상 유닛(50)은 광전 변환부(51a)를 갖는 고상 이미지 센서로서의 CMOS형 이미지 센서(51)(도1에서는 도시하지 않음, 도2 참조)와, 이 이미지 센서(51)의 광전 변환부(51a)에 피사체상을 촬상시키는 촬상 광학계(10)(경통(54)을 포함한다)와, 이미지 센서(51)를 보유 지지하는 동시에 그 전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하는 외부 접속용 단자(59)를 갖는 기판(52)과, 기판(52)에 부착되어 촬상 광학계(10)를 보유 지지하는 하우징(53)을 구비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말하는 「촬상 렌즈」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와 개구 조리개(S)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서 말하는 「하우징」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우징(53) 및 경통(54)으로 구성되고, 물체측으로부터의 광 입사용 개구부(54a)는 경통(54)에 형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미지 센서(51)에는 그 수광측의 평면의 중앙부에 화소(광전 변환 소자)가 2차원적으로 배치된 수광부로서의 광전 변환부(51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주위에는 신호 처리 회로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신호 처리 회로부(51b)는 각 화소를 차례로 구동하고 신호 전하를 얻는 구동 회로부와, 각 신호 전하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이 디지털 신호를 이용하여 화상 신호 출력을 형성하는 신호 처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51)의 수광측의 평면의 외부 모서리 근방에는 다수의 패드(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어 있으며, 와이어(W)를 거쳐서 기판(52)에 접속되어 있다. 이미지 센서(51)는 광전 변환부(51a)로부터의 신호 전하를 디지털 YUV 신호 등의 화상 신호로 변환하고, 와이어(W)를 거쳐서 기판(52) 상의 소정의 회로로 출력한다. 여기서, Y는 휘도 신호, U(= R - Y)는 레드와 휘도의 색차 신호, V(= B - Y)는 블루와 휘도 신호의 색차 신호이다. 또한, 고상 이미지 센서는 상기 CMOS형의 이미지 센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CCD 등의 다른 것을 사용해도 된다.
기판(52)은 그 일평면 상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51) 및 하우징(53)을 지지하는 지지 평판(52a)과 지지 평판(52a)의 배면(이미지 센서(51)와 반대측 면)에 그 일단부가 접속된 가요성 기판(52b)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 평판(52a)은 표리면에 설치된 다수의 신호 전달용 패드를 갖고 있으며, 그 일평면측에 전술된 이미지 센서(51)의 와이어(W)와 접속되고, 배면측에서 가요성 기판(52b)과 접속되어 있다.
가요성 기판(52b)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지지 평판(52a)과 접속되고, 그 타단부에 설치된 외부 출력 단자(59)를 거쳐서 지지 평판(52a)과 외부 회로(예를 들어, 촬상 유닛을 실장한 상위 장치가 있는 제어 회로)를 접속하고, 외부 회로로부터 이미지 센서(51)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이나 클럭 신호의 공급을 받거나 또는 디지털 YUV 신호를 외부 회로로 출력하거나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렉스블 기판(52b)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가요성 또는 변형성을 구비하고, 그 변형에 의해 지지 평판(52a)에 대하여 외부 출력 단자의 방향이나 배치에 자유도를 부여하고 있다.
다음에, 하우징(53) 및 촬상 광학계(1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우징(53)은 기판(52)의 지지 평판(52a)에 있어서의 이미지 센서(51)가 설치된 평면상에 그 이미지 센서(51)를 그 내측에 격납한 상태에서 접착에 의해 고정 장착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촬상 광학계(10)는 하우징(53) 내부에 격납 보유 지지되어 있다. 또, 도2에 있어서는 도면 상방측이 물체측이며, 도면 하방측이 상측이다.
도2에 있어서, 원형 내부 구멍을 갖는 대략 사각 기둥형의 하우징(53)이 지지 평판(52a) 상에 이미지 센서(51)를 둘러싼 위치에 적재되어 있다. 하우징(53)의 원형 내부 구멍의 내주면에는 암나사(53a)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53)의 안쪽에 배치된 경통(54)은 중앙에 개구부(54a)를 갖는 상부판(54b)과 외주면에 수나사(54d)를 형성한 원통부(54c)를 갖는다. 하우징(53) 및 경통(54)은 각각 차광성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경통(54)의 상부판(54b)의 상면에는 중앙에 개구를 형성한 차광 마스크(21)가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또, 상부판(54b)의 상면에 있어서 개구부(54a)의 주위에 형성된 단부(54e)에는 물체측으로부터 적외선의 입사를 저지하는 적외선 차단 필터(24)가 배치되고, 접착제(B)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측으로 향함에 따라 상부판(54b)의 개구부(54b)가 서서히 직경 축소되고 있으며 최소 직경의 부분이 개구 조리개(S)로 되어 있다.
상부판(54b)의 하면에 형성된 단부(54g)의 내주에는 제1 렌즈(L1)의 플랜지부 외주가 끼워 맞춤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 경통(54)의 개구부(54a)의 중심과 제1 렌즈(L1)의 광축이 정밀도 좋게 위치 맞춤된다. 제1 렌즈(L1)는 그 플랜지부의 상측에 제1 환형부(L1a)를 갖고 있다. 제1 렌즈(L1)의 상측에 배치된 제2 렌즈(L2) 는 그 플랜지부의 물체측에 제2 환형부(L2a)를 갖고 있다. 제1 환형부(L1a)의 외주에 제2 환형부(L2a)의 내주를 끼워 맞춤시킴으로써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로 정밀도 좋게 광축(L) 맞춤이 이루어진다. 제2 렌즈(L2)의 물체측에는 차광 마스크(22)가 적재되어 있다. 차광 마스크(22)는 제1 렌즈(L1)의 제1 환형부(L1a)와 제2 렌즈(L2)의 상면 사이의 간격에 배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간극 보다 얇은 폭을 갖고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의 렌즈간 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조립시에 있어서, 하우징(53)에 부착하기 전에 경통(54)에 제1 렌즈(L1), 제2 렌즈(L2)를 이 순서로 상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제1 렌즈(L1)의 상면을 상부판(54b)의 하면에 당접시키고, 또 제2 렌즈의 제2 환형부(L2a)를 제1 렌즈(L1)의 하면에 당접시키고, 이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의 렌즈간 거리가 확정되게 된다. 또한, 경통(54)의 상측으로부터, 원통부(54c) 내에 압입 링(23)을 압입하고, 제2 렌즈(L2)의 하면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렌즈(L1)와 제2 렌즈(L2)가 경통(54)에 고정되게 된다. 또, 압입 링(23)과 경통(54)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 렌즈가 조립된 경통(54)은, 이하와 같이 하여 부착이 이루어진다. 우선, 하우징(53)이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자동 조립 기계에 파지되고, 기판(52)에 고정된 이미지 센서(51) 상으로 이동된 후에, 하우징(53)의 중심과 이미지 센서(51)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또, 기판(52)과 하우징(53)의 맞닿는 단부 사이에 접착제(B)가 도포되고 양자는 일체화 된다. 그 후, 경통(54)의 수나 사(54d)를 하우징(53)의 암나사(53a)에 나사 맞춤시킴으로써 경통(54)을 하우징(53)에 조립할 수 있다. 이 때, 하우징(53)에 대한 경통(54)의 나사 조임량을 조정함으로써 촬상 광학계(10)의 핀트 조정을 행한다. 하우징(53)에 대하여 경통(54)이 적절한 위치에 나사 조임된 단계에서 상부판(54b)과 하우징(53) 사이에 접착제(B)가 충전되고, 양자가 고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하우징(53)이 기판(52)에 접착되어 있으며, 경통(54)이 하우징(53)에 접착되어 있으며, 또한 경통(54)의 개구부(54a)를 덮도록 해서 적외선 차단 필터(24)가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촬상 유닛의 외부에 대하여 이물이 침입되지 않도록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51)의 광전 변환부(51a)에 대한 이물의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이에 이용되는 접착제는 방습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습기의 침입에 의한 고상 이미지 센서나 패드의 표면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적외선 차단 필터(24)를 제1 렌즈부(L1)보다 물체측으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제1 렌즈부(L1)를 벗겨내는 일이 없고, 그 보호가 도모되는 동시에 렌즈 면으로의 이물의 부착 방지도 도모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촬상 유닛(50)의 촬상 렌즈 광축 방향의 높이 H는 10(㎜) 이하로 되어 있으므로 후술하는 휴대 단말에 장착 구비하는 경우, 휴대 단말을 보다 얇게 하는 것에 공헌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유닛(5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a 및 도3b는 촬상 유닛(50)를 장착 구비한 휴대 단말로서 휴대 전화기(100)의 정면도(도3a) 및 배면도(도3b)이다. 또한, 도4는 휴대 전화기(100)의 제어 블록도이다.
촬상 유닛(50)은 예를 들어, 촬상 광학계에 있어서의 하우징(53)의 물체측 단부면이 휴대 전화기(100)의 배면(액정 표시부측을 정면으로 한다)에 설치되고, 액정 표시부의 하방에 상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촬상 유닛(50)의 외부 접속 단자(59)는 휴대 전화기(100)의 제어부(101)와 접속되고, 휘도 신호나 색차 신호 등의 화상 신호를 제어부(101)측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동시에, 각 처리에 따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CPU)(101)와, 번호 등을 키에 의해 지시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60)와, 소정의 데이타 이외에 촬상한 영상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외부 서버 사이의 각종 정보 통신을 실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80)와, 휴대 전화기(100)의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각종 처리 프로그램 및 단말 ID 등의 필요한 제 데이타를 기억하고 있는 기억부(RM)(91)와, 제어부(101)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처리 프로그램이나 데이타 또는 처리 데이타, 혹은 촬상 유닛(50)에 의해 촬상 데이타 등을 일반적으로 격납하는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일시 기억부(RAM)(92b)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렌즈(L1), 제2 렌즈(L2)를 거쳐서 이미지 센서(51)의 광전 변환부(51a)에 결상된 피사체상은 여기서 광전 변환된 후, 신호 처리 회로(51b)에서 처리되어 화상 신호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화상 신호는 촬상 유닛(50)으로부터 상기 휴대 전화기(100)의 제어계에 의해 기억부(92)에 기억되거나 혹은 표시부(70)에 표시되고 또는 무선 통신부(80)를 거쳐서 영상 정보로서 외부로 송신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 실시 형태에 이용할 수 있는 촬상 렌즈의 실시예를 표시한다. 각 실시예에 사용하는 신호는 하기와 같다.
f :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
fB : 백 포커스
F : F 넘버
2Y : 고상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 대각선 길이(고상 이미지 센서의 사각형 실효 화소 영역의 대각선 길이)
2ω : 고상 이미지 센서의 촬상면 대각선 방향의 화각
R : 곡률 반경
D : 축 상면 간격
Nd : 렌즈 재료의 d선에 대한 굴절률
νd: 렌즈 재료의 아베수
각 실시예에 있어서 비구면의 형상은 면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고, 광축 방향으로 X축을 취하고, 광축과 수직 방향의 높이를 h로 하여 이하의 수식으로 표시한다.
Figure 112003039926297-pat00005
다만,
Ai : i차 비구면 계수
R : 곡률 반경
K : 원뿔 상수
실시예 1의 촬상 렌즈에 관한 렌즈 데이터를 표1, 표2에 표시한다. 또, 이 이후(표의 렌즈 데이타를 포함)에 있어서, 10의 멱승수(예를 들어, 2.5 × 10-3)를, E(예를 들어, 2.5 ×E-3)를 이용하여 표시하기로 한다.
(표 1)
(실시예 1)
f=3.645 mm, fB=1.264 mm, F=2.88, 2Y=4.48 mm, 2ω= 62°
면 번호 R(mm) D(mm) Nd νd
조리개 0.05
1 1.584 0.88 1.53040 56.0
2 2.938 1.34
3 2.534 1.04 1.53040
4 5.981 56.0
(표 2)
비구면 계수
제1 면
K = -0.53874
A4 = 2.0615 × E-02
A6 = 4.1166 × E-02
A8 = -2.9389 × E-02
A10 = -3.8763 × E-02
A12 = 6.3916 × E-02
제2 면
K = 7.7203
A4 = 1.0376 × E-03
A6 = 5.3146 × E-02
A8 = -3.7600 × E-02
A10 = -2.6475 × E-02
A12 = 1.7524 × E-02
제3 면
K = -10.530
A4 = 2.8711 × E-02
A6 = -2.1813 × E-02
A8 = -5.9831 × E-04
A10 = 3.2423 × E-03
A12 = -7.8812 × E-04
제4 면
K = -0.38181
A4 = 1.7859 × E-02
A6 = -2.2050 × E-02
A8 = 3.5122 × E-03
A10 = 1.5957 × E-04
A12 = -8.8692 × E-05
도5는 실시예 1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L1은 제1 렌즈, L2는 제2 렌즈, S는 개구 조리개를 도시한다. 도6a 내지 도6d는 실시예 1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이다.
실시예 2의 촬상 렌즈에 관한 렌즈 데이타를 표3, 표4에 표시한다.
(표 3)
(실시예 2)
f=3.697 mm, fB=0.520 mm, F=2.88, 2Y=4.48 mm, 2ω= 62°
면 번호 R(mm) D(mm) Nd νd
조리개 0.00
1 1.233 0.70 1.53040 56.0
2 2.105 1.34
3 2.063 0.75 1.53040 56.0
4 2.015 0.48
5 0.30 1.51633 64.1
6
(표 4)
비구면 계수
제1 면
K = -2.5343 × E-02
A4 = 4.6201 × E-02
A6 = -2.1490 × E-02
A8 = 1.1767 × E-01
A10 = -8.2221 × E-02
A12 = -4.2229 × E-02
제2 면
K = 2.0997
A4 = 1.2628 × E-01
A6 = -7.4402 × E-03
A8 = 1.0127 × E-01
A10 = 5.4767 × E-01
A12 = -4.9024 × E-01
제3 면
K = -7.0915
A4 = -5.3446 × E-02
A6 = -3.0395 × E-02
A8 = 3.0512 × E-02
A10 = -1.2492 × E-02
A12 = 8.4636 × E-04
제4 면
K = -5.6539
A4 = -7.0762 × E-02
A6 = 1.3340 × E-02
A8 = -9.9594 × E-03
A10 = 3.6269 × E-03
A12 = -5.9190 × E-04
도7은 실시예 2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L1은 제1 렌즈, L2는 제2 렌즈, S는 개구 조리개, G는 IR 커트 필터 등의 평행 평판을 도시한다. 도8a 내지 도8d는 실시예 2의 촬상 렌즈에 있어서의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이다.
실시예 3의 촬상 렌즈에 따른 렌즈 데이터를 표5, 표6에 표시한다.
(실시예 3)
f=2.552 mm, fB=0.426 mm, F=2.88, 2Y=3.04 mm, 2ω= 62°
면 번호 R(mm) D(mm) Nd νd
조리개 0.00
1 0.924 0.60 1.53180 56.0
2 1.479 0.66
3 2.638 0.80 1.53180 56.0
4 8.748 0.30
5 0.30 1.51633 64.1
6
(표 6)
비구면 계수
제1 면
K = 0.43068
A4 = 1.0104 × E-01
A6 = -2.2140 × E+00
A8 = 1.7451 × E+01
A10 = -6.4700 × E+01
A12 = 8.5980 × E+01
제2 면
K = 2.0193
A4 = 4.7760 × E-01
A6 = -3.2991 × E+00
A8 = 2.1545 × E+01
A10 = -5.5312 × E+01
A12 = 5.6733 × E+01
제3 면
K = -57.557
A4 = 7.1078 × E-02
A6 = -3.2538 × E-01
A8 = 4.0762 × E-01
A10 = -4.1069 × E-01
A12 = 1.7689 × E-01
제4 면
K = -1878.5
A4 = 8.2258 × E-02
A6 = -2.3147 × E-01
A8 = 1.7029 × E-01
A10 = -7.6584 × E-02
A12 = 1.1578 × E-02
도9는 실시예 3의 촬상 렌즈의 단면도이다. 도면 중, L1은 제1 렌즈, L2는 제2 렌즈, S는 개구 조리개, G는 적외선 차단 필터 등의 평행 평판을 도시한다. 도10a 내지 도10d는 실시예 3의 촬상 렌즈에 관한 수차도(구면 수차, 비점 수차, 왜곡 수차, 메리디오날 코마 수차)이다.
각 조건식에 대응하는 각 실시예의 값을 표7에 표시한다.
(표 7)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1) f1/|f2| 0.70 0.12 0.50
(2) R2/((1-N1)·f) -1.52 -1.07 -1.09
(3),(7) f1/f 1.45 1.19 1.32
(4),(6) X-X0 h=hmax(2.10㎜)
-0.6017
h=0.7×hmax
-0.0640
h=hmax(1.84㎜)
-0.8800
h=0.7×hmax
-0.3582
h=hmax(1.30㎜)
-0.2793
h=0.7×hmax
-0.0210
(5) D24/f 0.65 0.57 0.57
(8) L/2Y 1.02 0.89 1.01
상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있어서,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폴리올레핀계의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고, 포화 흡수률은 0.01 % 이하이다. 플라스틱 렌즈는 유리 렌즈에 비해 포화 흡수율이 크기 때문에 급격한 습도 변화가 있으면 과도적으로 흡수량의 불균일 분포가 발생되고, 굴절률이 균일해지지 않고 양호한 결상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경향이 있다. 습도 변화에 의한 성능 열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포화 흡수율이 모두 0.7 % 이하의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플라스틱 재료는 습도 변화시의 굴절률 변화가 크기 때문에, 제1 렌 즈, 제2 렌즈 모두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하면 온도에 의해 렌즈 전체의 상점 위치가 변동해버린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상점 위치 변동을 무시할 수 없는 촬상 유닛에 있어서는 정의 굴절력이 큰 제1 렌즈를 유리 재료로서 형성되는 렌즈(예를 들어, 유리 몰드 비구면 렌즈)로 하면, 그 온도 특성의 문제를 경감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측 광속의 텔레센트릭 특성에 대해서는 반드시 충분한 설계라고 할 수 없다. 텔레센트릭 특성이라 함은 각 상점에 대한 광속의 주 광선이 렌즈 최종면을 사출한 후 광축과 거의 평행으로 되는 것을 말하고, 바꾸어 말하면, 광학계의 사출 구멍의 위치가 상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져 있는 것이다. 텔레센트릭 특성이 나빠지면 광속이 고상 이미지 센서에 대해 비스듬히 입사되고, 화면 주변부에 있어서, 실질적인 개구 효율이 감소되는 현상(셰이딩)이 생기고, 주변 광량 부족이 되어 버린다. 그러나, 최근 기술에서는 고상 이미지 센서의 색 필터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배열의 재평가 등에 의해 전술한 셰이딩 현상을 경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텔레센트릭 특성의 요구가 완화된 만큼에 대하여 보다 소형화를 목표한 설계예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밝고, 또 화각을 크게 취하고, 렌즈 맷수가 2매라는 간략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소형이고 제수차가 양호하게 보정된 촬상 렌즈 및 그를 이용한 촬상 유닛, 휴대 단말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삭제
  2. (a) 개구 조리개와,
    (b)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면이 물체측으로 향하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와,
    (c)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면이 물체측으로 향하는 제2 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갖고, 이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f1 / |f2| < 1.0
    0.80 < f1/f < 1.80
    -1.90 < R2 / ((1-N1)·f) < -0.60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R2는 상기 제1 렌즈의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고, N1은 d선에 대한 제1 렌즈의 굴절률을 나타내며, f는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렌즈.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6. (a) 개구 조리개와,
    (b) 정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면이 물체측으로 향하는 메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와,
    (c)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갖고 볼록면이 물체측으로 향하는 제2 렌즈를,
    물체측으로부터 차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 및 상기 제2 렌즈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비구면을 갖고, 이하 조건식을 만족시키고,
    f1 / |f2| < 1.0
    0.40 < D24 / f < 1.00
    여기서, f1은 상기 제1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f2는 상기 제2 렌즈의 초점 거리이고, D24는 상기 제1 렌즈의 상측면으로부터 상기 제2 렌즈의 상측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고, f는 촬상 렌즈 전체 시스템의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제2 렌즈의 상측면은 hmax가 최대 유효 반경이라 할 때, hmax × 0.7 < h < hmax를 만족하는 광축에 수직 방향의 선택적 높이 h에서 이하의 조건식을 만족하는 비구면을 갖고,
    X - X0 < 0
    여기서, X 및 X0는 면의 정점을 원점으로 하고, X축이 광축 방향으로 취해지고, X가 비구면 변위량을 나타내는 조건하에 이하의 수식으로 산출되는 값이고,
    Figure 112011004062660-pat00030
    X0는 비구면의 회전 2차 곡면 변위량을 나타내고,
    Figure 112011004062660-pat00031
    여기서, Ai는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i차의 비구면 계수를 나타내고, R4는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곡률 반경을 나타내고, K4는 상기 제2 렌즈 상측면의 원뿔 상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렌즈.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a) 광전 변환부를 구비한 고상 이미지 센서와,
    (b) 상기 고상 이미지 센서의 상기 광전 변환부에 피사체상을 결상시키는 제2항에 기재된 촬상 렌즈와,
    (c) 상기 고상 이미지 센서를 보유하고 전기 신호의 송신 및 수신을 행하는 외부 접속용 단자를 갖는 기판과,
    (d) 물체측으로부터의 광이 입사하는 개구부를 갖고 차광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고상 이미지 센서, 촬상 렌즈, 기판 및 하우징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촬상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의 촬상 유닛의 높이는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유닛.
  11. 제10항에 기재된 촬상 유닛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030074863A 2002-10-28 2003-10-25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KR1010537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12344A JP4269334B2 (ja) 2002-10-28 2002-10-28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JPJP-P-2002-00312344 2002-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8692A KR20040038692A (ko) 2004-05-08
KR101053774B1 true KR101053774B1 (ko) 2011-08-02

Family

ID=3208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863A KR101053774B1 (ko) 2002-10-28 2003-10-25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85508B2 (ko)
EP (1) EP1416306B1 (ko)
JP (1) JP4269334B2 (ko)
KR (1) KR101053774B1 (ko)
CN (1) CN100437328C (ko)
DE (1) DE60310342T2 (ko)
TW (1) TWI2758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5068B1 (ko) * 2003-04-30 2006-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촬상소자용 카메라 렌즈
WO2005026804A1 (ja) * 2003-09-09 2005-03-24 Seiko Precision Inc. 撮影レンズおよび当該撮影レンズを用いた撮像装置
JP4409242B2 (ja) * 2003-09-30 2010-02-03 フジノン株式会社 単焦点レンズ
JP4507588B2 (ja) * 2003-12-24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737095B2 (ja) * 2004-01-16 2006-01-18 マイルストー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
KR100800705B1 (ko) * 2004-03-26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사파에 의해 발생되는 반사파를 억제하는 카메라 렌즈장치
CN1328609C (zh) * 2004-05-15 2007-07-25 清华大学 摄影镜头系统
US7042659B2 (en) * 2004-07-02 2006-05-09 Axon Technologies Corp. Optical lens, design method for the optical lens and lens system using the optical lens
JP3952049B2 (ja) * 2004-08-12 2007-08-0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振れ補正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7564019B2 (en) 2005-08-25 2009-07-21 Richard Ian Olsen Large dynamic range cameras
US7795577B2 (en) * 2004-08-25 2010-09-14 Richard Ian Olsen Lens frame and optical focus assembly for imager module
US8124929B2 (en) 2004-08-25 2012-02-28 Protarius Filo Ag, L.L.C. Imager module optical focus and assembly method
US7916180B2 (en) * 2004-08-25 2011-03-29 Protarius Filo Ag, L.L.C. Simultaneous multiple field of view digital cameras
WO2006026354A2 (en) 2004-08-25 2006-03-09 Newport Imag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multiple camera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US20060056061A1 (en) * 2004-09-16 2006-03-16 E-Pin Optical Industry Co., Ltd Optical image device
CN100510827C (zh) * 2004-10-19 2009-07-08 恩普乐股份有限公司 摄像镜头
CN100485436C (zh) * 2004-10-19 2009-05-06 恩普乐股份有限公司 摄像镜头
JP2006148710A (ja) * 2004-11-22 2006-06-08 Sharp Corp 撮像モジュール及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100674838B1 (ko) * 2005-02-28 2007-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형 카메라 모듈
TW200632506A (en) * 2005-03-02 2006-09-16 Premier Image Technology Corp Camera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CN100419489C (zh) * 2005-03-24 2008-09-17 富士能株式会社 单焦点镜头
CN100429547C (zh) * 2005-03-24 2008-10-29 富士能株式会社 单焦点镜头
KR100691157B1 (ko) 2005-04-07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포커싱 무조정형 카메라 모듈
US20070102622A1 (en) * 2005-07-01 2007-05-10 Olsen Richard I Apparatus for multiple camera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KR20080035601A (ko) * 2005-08-08 2008-04-23 코니카 미놀타 옵토 인코포레이티드 촬상 장치 및 촬상 장치의 조립 방법
US7566855B2 (en) * 2005-08-25 2009-07-28 Richard Ian Olsen Digital camera with integrated infrared (IR) response
US20070258006A1 (en) * 2005-08-25 2007-11-08 Olsen Richard I Solid state camera optics frame and assembly
US7964835B2 (en) 2005-08-25 2011-06-21 Protarius Filo Ag, L.L.C. Digital cameras with direct luminance and chrominance detection
KR100708940B1 (ko) * 2005-08-30 2007-04-17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외선 필터 및 윈도우 일체형 카메라 모듈 장치
KR100703210B1 (ko) * 2005-11-25 2007-04-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촬상 광학계
JP4856938B2 (ja) * 2005-11-30 2012-01-18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撮像レンズ
JP2007181043A (ja) * 2005-12-28 2007-07-12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CN1996083A (zh) * 2006-01-05 2007-07-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块
CN100443943C (zh) * 2006-02-10 2008-12-17 一品光学工业股份有限公司 方形单体式光学取像玻璃镜头的制造方法
WO2008020899A2 (en) * 2006-04-17 2008-02-21 Cdm Optics, Inc. Arrayed imag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JP4189769B2 (ja) * 2006-10-18 2008-12-03 進展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EP1944640A1 (en) * 2007-01-11 2008-07-16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Lens assembly
CN101344631B (zh) * 2007-07-09 2011-09-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光学镜头组件
CN101414045B (zh) * 2007-10-18 2010-1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镜头组件
JP4582205B2 (ja) * 2008-06-12 2010-11-1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
TWI401466B (zh) * 2009-06-19 2013-07-11 Largan Precision Co 二片式攝影光學鏡組
JP4902700B2 (ja) 2009-07-14 2012-03-21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
JP5059065B2 (ja) 2009-08-07 2012-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モジュール、結像レンズ、およびコード読取方法
US8654242B2 (en) * 2009-09-02 2014-02-18 Konica Minolta Opto, Inc. Single-focus optical system, image pickup device, and digital apparatus
JP4886016B2 (ja) * 2009-10-08 2012-02-29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撮像レンズ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JP4943518B2 (ja) * 2010-01-14 2012-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情報機器
JP5162607B2 (ja) * 2010-02-10 2013-03-13 株式会社AAC Technologies Japan R&D Center カメラモジュールの組み立て方法
JP5043146B2 (ja) 2010-04-12 2012-10-10 シャープ株式会社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TWI479221B (zh) * 2010-12-16 2015-04-01 Hon Hai Prec Ind Co Ltd 定焦鏡頭
JP2012220590A (ja) 2011-04-05 2012-11-12 Sharp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WO2012173026A1 (ja) * 2011-06-15 2012-12-20 コニカミノルタアドバンストレイヤー株式会社 撮像装置用の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CN102928963A (zh) * 2011-08-11 2013-02-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取像镜头
TWI442083B (zh) * 2011-08-11 2014-06-21 Hon Hai Prec Ind Co Ltd 取像鏡頭
CN103995341B (zh) * 2013-02-18 2016-07-06 高准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镜头总成
TWI504928B (zh) * 2014-03-10 2015-10-21 Wide-angle lens
KR20160075085A (ko) * 2014-12-19 2016-06-29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732376B2 (en) 2015-12-02 2020-08-04 Ningbo Sunny Opotech Co., Ltd. Camera lens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09709747B (zh) * 2015-12-02 2021-08-10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采用分体式镜头的摄像模组及其组装方法
CN105549182A (zh) * 2016-02-19 2016-05-04 南京昂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光学镜头组
CN105572846A (zh) * 2016-02-19 2016-05-11 南京昂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微型光学镜头
CN107229109A (zh) * 2016-03-23 2017-10-03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成像镜头、成像镜头模块及电子装置
TWI596396B (zh) * 2016-03-23 2017-08-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TWI639029B (zh) * 2017-04-10 2018-10-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含有塑膠透鏡的成像透鏡組、成像鏡頭模組及電子裝置
US20190011680A1 (en) * 2017-07-10 2019-01-10 Newmax Technology Co., Ltd. Two-piece infrared single wavelength projection lens system
CN107436484B (zh) * 2017-09-15 2023-08-01 江西联创电子有限公司 投影镜头
CN208636492U (zh) * 2018-08-04 2019-03-22 瑞声科技(新加坡)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
JP7271159B2 (ja) * 2018-12-14 2023-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制御装置、撮像装置、レン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制御装置の制御方法
TWI714518B (zh) * 2020-08-12 2020-12-21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成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KR20220029927A (ko) * 2020-09-02 2022-03-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CN113176653B (zh) * 2021-04-28 2022-07-01 天津欧菲光电有限公司 光学系统、镜头模组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7695B2 (ja) 1989-12-28 2000-02-0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レンズ
JP2661467B2 (ja) * 1992-06-09 1997-10-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レンズ
US5677798A (en) * 1993-10-28 1997-10-14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lens system
US5739965A (en) * 1995-05-31 1998-04-14 Fuji Photo Optical Co., Ltd. Wide angle lens system for camera
JP3311317B2 (ja) 1999-09-10 2002-08-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撮像レンズ
US6441971B2 (en) * 1999-09-27 2002-08-27 Alex Ning Compact lens with external aperture stop
JP2002296496A (ja) * 2001-03-29 2002-10-09 Fuji Photo Optical Co Ltd 単焦点レンズ
US6577456B2 (en) * 2001-03-29 2003-06-10 Fuji Photo Optical Co., Ltd. Single focus lens
JP3613193B2 (ja) * 2001-03-30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3329921A (ja) * 2002-05-10 2003-11-19 Seiko Epson Corp 撮像レン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5508B2 (en) 2005-04-26
JP4269334B2 (ja) 2009-05-27
CN1515950A (zh) 2004-07-28
TW200422756A (en) 2004-11-01
DE60310342T2 (de) 2007-06-21
CN100437328C (zh) 2008-11-26
US20040105173A1 (en) 2004-06-03
TWI275889B (en) 2007-03-11
EP1416306A2 (en) 2004-05-06
DE60310342D1 (de) 2007-01-25
JP2004145183A (ja) 2004-05-20
EP1416306B1 (en) 2006-12-13
EP1416306A3 (en) 2004-12-15
KR20040038692A (ko) 200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774B1 (ko)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KR100954635B1 (ko) 화상 픽업 렌즈, 화상 픽업 유닛 및 휴대형 단자
US7196855B2 (en) Image-capturing lens, image-capturing device and image capturing unit
KR101228794B1 (ko)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상기 촬상 장치를 구비한 휴대단말
JP4506083B2 (ja) 撮像レンズ,これを備える撮像装置、撮像ユニット及び撮像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端末
JP4910723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並びに携帯端末
US6813100B2 (en) Miniature image-capturing lens, image-capturing unit and mobile terminal provided therewith
JP4453276B2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
JP4894222B2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KR101221703B1 (ko)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휴대 단말
KR20080088413A (ko) 촬상 렌즈, 촬상 장치 및 휴대 단말
JP5585586B2 (ja)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KR20050009147A (ko) 촬상 렌즈, 촬상 유닛 및 이 촬상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단말
KR20080034394A (ko) 촬상 렌즈 및 촬상장치
JP2003215446A (ja) 小型撮像レンズ
JP4617744B2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この撮像ユニットを備える携帯端末
JP2005077556A (ja) 撮像レンズ、撮像ユニット及び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