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767B1 -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767B1
KR101052767B1 KR1020050031330A KR20050031330A KR101052767B1 KR 101052767 B1 KR101052767 B1 KR 101052767B1 KR 1020050031330 A KR1020050031330 A KR 1020050031330A KR 20050031330 A KR20050031330 A KR 20050031330A KR 101052767 B1 KR101052767 B1 KR 101052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ultraviolet
acrylic
vi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1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9069A (ko
Inventor
봉동훈
백성인
김완중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1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7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7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6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08F220/32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 C08F220/325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containing epoxy radicals containing glycidyl radical, e.g. glycid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08F222/103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of trialcohols, e.g.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2Esters of phenols or saturated alcohols
    • C08F222/20Esters containing oxygen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08L63/10Epoxy resins modified by unsaturated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이며 열 경화성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로서 다음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솔더 마스크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리면서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박리액(10% 부피분율의 가성소다 수용액)에 의해 쉽게 벗겨짐으로 인해 재작업성이 용이한 솔더 레지스트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5019657591-pat00001
Figure 112005019657591-pat00002
상기 화학식 1 내지 2에 있어서, 단량체의 한 분자 내에 부가된 에틸렌글리콜기의 총합(a+b+c)은 15 내지 30의 값을 갖는다.

Description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UV-curable and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 인쇄형 프린트 배선판(printed circuit board) 및 패키지 공정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지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는 종래의 패턴 형성 스크린을 이용한 자외선 경화형 솔더 마스크 또는 열 경화형 솔더 마스크에 비하여 극세, 고밀도 패턴 형성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알칼리 현상 타입의 솔더 레지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과 모노카르복실산의 반응 생성물에 포화 또는 불포화한 다염기산 산무수물을 부가한 감광성 수지를 바인더 폴리머로 하고, 광중합 개시제, 희석제 및 에폭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 공개 (소)61-243869호 공보 참조).
그러나 기존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는 열 반응형의 에폭시 화합물을 조성에 포함하고 있으며, 바인더 폴리머로 사용된 자외선 경화성의 묽은 알칼리 수용액 에 현상 가능한 수지(이하 바인더 폴리머)의 측쇄에 결합된 카르복시산 그룹과 에폭시 수지와 경화하는 반응 메커니즘을 갖기 때문에 사용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일반적인 박리액인 10% 부피분율의 가성소다 수용액에 의해 잘 박리되지 않고 또한 잔사가 발생하여 재작업성에 문제가 있다.
최근의 인쇄회로기판은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기판 한장에 고밀도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여러겹의 기판이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고가의 제품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액상의 솔더 마스크를 사용하는 과정 중에 인쇄 문제나 솔더 마스크 패턴의 쏠림으로 인해 기판을 폐기한다면 금전적인 손실 및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솔더 마스크(자외선 경화성이며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는 상술한 바와 같은 조성의 반응 메커니즘으로 인해 경화 후에 기판에 강한 밀착력을 갖기 때문에 일반적인 박리액에 대해 재작업성 부분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성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경화후에는 네트워크화된 망상의 분자 구조를 갖기 때문에 상기한 박리액에 용해되어 벗겨지는 것이 아닌 솔더 마스크와 기판 표면사이의 팽윤 현상에 의해 밀착력 저하로 인해 벗겨지는 것이 올바른 박리 메커니즘이다.
따라서 기존 사용되고 있는 자외선 및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상기한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는 재작업성이 우수한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은 일반적인 박리액인 가성소다 수용액에 쉽게 팽윤될 수 있도록하기 위하여 친수성인 에틸렌글리콜로 분자쇄를 연장시킨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적인 박리액에 대한 벗겨짐성이 좋고 또한 잔사가 없어 재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이며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인쇄회로기판에 사용되는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로서,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 (B)광중합개시제,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D) 에폭시 수지 및 (E)유기용매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때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19657591-pat00003
화학식 2
Figure 112005019657591-pat00004
상기 화학식 1 내지 2에 있어서, 단량체의 한 분자 내에 부가된 에틸렌글리콜기의 총합(a+b+c)은 15 내지 30의 값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바인더 폴리머로서 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바, 이는 분자 단위 내에 최소한 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결합을 갖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화합물들을 예로 들 수 있다.:
1)노볼락형 에폭시 화합물과 에틸렌계 화합물과 a)불포화 카르복시산과의 반응에 의해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반응 생성물을 만들고 이 반응에 의해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생성되는 이차 수산기에 b)다가산 무수물을 부가반응시켜 수득한 최종 반응 생성물;
2)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화합물과 a)불포화 카르복시산과의 반응에 의해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반응 생성물을 만들고 이 반응에 의해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생성되는 이차 수산기에 b)다가산 무수물을 부가반응시켜 수득한 최종 반응생성물;
3)비스페놀형 에폭시 화합물과 a)불포화 카르복시산과의 반응에 의해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반응생성물을 만들고, 이 반응에 의해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생성되는 이차 수산기에 b)다가산 무수물을 부가반응시켜 수득한 최종 반응 생성물;
4)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여 아크릴 공중합체를 중합한 다음 이를 a)불포화 카르복시산과 반응시켜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 반응 생성물을 만들고 이 반응에 의해 에폭시기가 개환하여 생성되는 이차 수산기에 b)다가산 무수물을 부가반응시켜 수득한 최종 반응 생성물.
여기서, a)불포화 카르복시산으로는 (메타)아크릴산, 신남산, 알파-시안신남산, 크로톤산, 2-(메타)아크릴로일 히드록시 에틸 프탈산, 2-(메타)아크릴로일 히드록시 에틸 헥사 히드로프탈산과 같은 하나의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가지는 화합물과; 트리메틸올 프로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수산기를 갖는 다관능 아크릴 화합물에 분자 내에 최소한 2개 이상의 카르복시산을 갖는 화합물 또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카르복시산 무수물을 가지는 화합물을 에스테르화 반응시킨 생성물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당 분야에서는 (메타)아크릴산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b)다가산 무수물로는 숙신산 무수물, 말레인산 무수물, 메틸 숙신산 무수물, 프탈린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그로렌드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 린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린산 무수물, 트리멜리틴산 무수물, 피로멜리틴산 무수물 등이 있으며, 이중 당 분야에서는 말레인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린산 무수물, 헥사히드로프탈린산 무수물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B)광중합개시제
광중합개시제로 유용한 화합물로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포리닐)-1-프로파논, 2-벤질-2-(디메틸아미노)-1-[4-(4-모르포리닐)페닐]-1-부타논, 비스(에타 5-2,4-사이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니움, 포스핀 옥사이드 페닐 비스(2,4,6-트리메틸 벤조일), 벤조인, 벤조인 메틸 에테르와 같은 벤조인 메틸 에테르와 같은 벤조인 알킬 에스테르계, 2-에틸 안트라퀴논이나 1-클로로 안트라퀴논과 같은 안트라퀴논계, 이소프로필 티오산톤이나 2,4-디에틸 티오산톤과 같은 티오산톤계, 벤조페논이나 4-벤조일 4'-메틸디페닐 술피드와 같은 벤조페논계 등이 있으며 이중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중합개시제의 광중합 속도나 증감효과를 위해 에틸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디메틸아미노)에틸 벤조에이트 및 트리에탄올 아민과 같은 3차 아민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중합개시제의 함량은 유기 용매를 제외한 포토 솔더 레지스트 총량을 기준으로 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자외선에 대하여 적절한 광활성을 가질 수 있다.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로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에틸렌글리콜 단위의 반복단위 수의 합, 즉 a+b+c는 15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한 바, 만일 그 합이 15미만일 경우에는 박리속도가 늦고 잔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30초과면 박리속도는 빠르나 해상성이 낮아지고 내열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같이 친수성이 에틸렌글리콜로 분자쇄를 연장시킨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화합물을 사용하게 되면 일반적인 박리액인 가성소다 등에 대해 벗겨짐성이 좋아진다.
이같은 역할을 하는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이와 더불어 다른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를 혼용할 수도 있는데, 이들 단량체를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혼용시 그 함량은 전체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중 70중량% 이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중량%이다. 만일, 그 함량이 70중량% 초과면 박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사용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리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릴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의 총 함량은 상기한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물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중량부이다. 만일 그 함량이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미만이면 자외선 경화성이 부족하여 감도 및 해상성이 저하되고 과도한 현상으로 인하여 경화된 솔더 레지스트 패턴이 솔더링 및 도금 공정에서 탈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40중량부 초과면 지촉 건조성이 저하되고, 솔더 내열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D)에폭시 화합물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에폭시 화합물은 하나의 분자 중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이다.
이와같은 에폭시 화합물로는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트리글리시딜 이소시아누레이트, YX-4000H(Yuka Shell Epoxy Kabushiki Kaisha사 제조) 등의 비페놀형 에폭시 수지,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N-글리시딜형 에폭시 수지, 알리사이클릭형 에폭시 수지(예를 들면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사의 EHPE-3150), 폴리올,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 글리시딜 에테르 화합물, 트리스(하이드록시페닐)메탄계 다기능성 에폭시 수지, 수소화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디사이클로펜타디엔-페놀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또는 에폭시기를 가진 비닐 중합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은 화합물들 중 하나 또는 2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상기한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7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이다. 만일 그 함량이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의 고형분 함량에 대하여 1중량부 미만이면 열 경화성이 부족하여 솔더 내열성, 도금 내성이 저하되며, 70중량부 초과면 건조 후 현상성의 급격한 저하로 인해 현상 부위에서의 솔더 레지스트 잔사가 발생될 수 있다.
(E)유기용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유기 용매는 헥산, 옥탄, 데칸과 같은 지방족 탄화수소, 에틸 벤젠, 프로필 벤젠, 톨루엔, 크실렌과 같은 방향족 탄화수소,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2-메톡시 프로판올, 헥산올과 같은 알콜류,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류와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와 같은 글리콜 에테르의 에스테르화물, 아세톤, 메틸에틸케톤과 같은 케톤류, 솔벤트 나프타, 석유 나프타와 같은 석유 용매가 있으며 자외선 경화성 수지에 대한 용해도와 건조조건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은 무기 분말, 소포제 등과 같은 첨가제, 열 경화 촉진제, 안료, 자외선 경화성 올리고머나 폴리머, 고분자량의 중합체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무기 분말로는 황산 바륨, 이산화티탄, 실리카, 탈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바륨,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입자 형태 및 크기를 고려하여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가능한 수지에 충분히 분산시켜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프탈로시아닌 그린, 프탈로시아닌 블루, 디아조옐로우, 불용성 아조 안료, 크리스탈 바이올렛, 카본블랙과 같은 착색제와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소포제 및 레벨링제, 흐름성 방지제와 같은 요변제의 사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의 열경화 속도를 향상시킬 목적으로 디시안디아미드, 디시안디아미드 유도체, 멜라민, 멜라민 유기산염, 멜라민 유도체, 2-메틸 이미다졸이나 2-에틸 4-메틸 이미다졸 또는 2-페닐 4-메틸 이미다졸과 같은 이미다졸류 및 그 유도 체, 우레아, 우레아 유도체, 보론 트리플루오라이드의 착화물, 페놀류, 트리페닐포스핀, 트리에틸 아민과 같은 3급 아민류, 다가산 무수물, 4차 암모늄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건조 관리폭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2종 이상의 화합물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성 및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인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적용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스크린, 스프레이, 커텐, 침적, 롤 또는 스핀 방식의 인쇄기를 통하여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기판(일반적으로 동박이 형성된 에폭시 기판)에 적정 두께만큼 도포한 후 60∼100℃에서 건조하여 솔더 레지스트에 함유된 용매 성분을 휘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70∼85℃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건조시간은 용매의 휘발속도와 솔더 레지스트의 건조 관리 폭을 고려하여 실시한다. 그 다음으로는 기판을 실온의 온도(15∼25℃)로 냉각시킨 후,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네가티브 방식의 마스크를 기판에 직접 혹은 간접의 방법으로 적용시키고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때 사용되는 자외선 램프는 저압 수은등, 중합 수은등, 고압 수은등, 초고압 수은등, 제논 렘프, 메탈할라이드 램프 등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고압 수은등, 메탈할라이드 램프이다. 이후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서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솔더 레지스트 부분을 현상하여 솔더 레지스트의 패턴을 얻는다. 이렇게 형성된 솔더 레지스트 패턴을 130∼18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40∼160℃의 온도에서 열 경화하여 포토 솔더 레지스트의 열 경화성 성분을 경화하여 원하는 수준의 도막 강도와 표면 경도 그리고 기판에 대한 밀착력을 갖게 한다. 또한 이러한 공정에 현상 후에 자외선 경화를 한번 더 실시할 수 있는데, 이것은 현상 후 미반응된 자외선 경화성분을 완전히 반응시키고 형성된 포토 솔더 레지스트 표면의 성질(표면 장력 등의 성질)을 개질할 수 있다.
현상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묽은 알칼리 수용액으로는 대표적으로 탄산나트륨 수용액을 사용하며, 이밖에 탄산칼륨 수용액, 탄산암모늄 수용액,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 탄산수소칼륨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현상액의 거품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계 또는 아크릴계 소포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상기 묽은 알칼리 수용액을 대체할 수 있는 현상액으로는 에탄올 아민, 디에탄올 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이소프로판올 아민, 디이소프로판올 아민과 같은 유기 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다음 표 1의 조성의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을 이용하여 각각의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용액을 제조하고,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서 본 발명의 포토 솔더 레지스트 도막을 얻었다.
1)도포(인쇄)
각각의 제조된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스크린 인쇄기로 동박 적층물에 30㎛의 두께(동박위 기준)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2)건조
포토 솔더 레지스트가 도포된 동박 적층물은 80℃의 건조기에서 20분간 용매를 휘발하여 20㎛의 두포 두께를 가지도록 하였다.
3)노광
원하는 패턴이 형성된 네가티브 방식의 마스크를 솔더 레지스트 도막 위에 직접 접촉시킨 후, 메탈할라이드 램프가 장착된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300mJ/㎠의 광량으로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자외선 경화시켰다.
4)현상
1.0중량%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노광 작업이 끝난 동박 적층 기판을 80초 동안 통과시켜 자외선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였다.
5)경화단계
현상이 끝난 동박 적층기판을 150℃에서 50분간 경화하여 최종의 솔더 레지스트 도막을 형성하였다.
구체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1)건조관리 폭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동박 적층 기판에 30㎛의 두께(동박위 기준)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80℃ 온도에서 50, 60, 70, 80, 90분까지 각각의 5가지 조건으로 건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나서 15∼25℃의 온도에서 냉각한 후 솔더 레지스트 표면 온도가 20℃ 정도가 되면 네가티브 방식의 마스크를 그 위에 직접 접촉한 후 감압 밀착하여 300mJ/㎠의 광량에서 노광을 실시하였다. 노광이 끝나면 1.0중량%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80초 동안 현상과 80초 동안 수세를 하여 자외선 조사가 되지 않은 부분의 솔더 레지스트가 잔사없이 깨끗이 제거되는지 여부를 관찰하였다.
잔사없이 깨끗하게 현상되면 ○, 부분적으로 잔사가 생기면 △, 전체적으로 잔사가 생기거나 현상이 되지 않으면 ×로 표기하여 구분하였다.
2)지촉 건조성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동박 적층 기판에 30㎛의 두께(동박위 기준)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포토 솔더 레지스트에 포함된 용매를 8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하였다. 이때 건조된 용매의 부피로 인하여 솔더 레지스트는 20㎛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15∼25℃의 온도에서 냉각하였다. 솔더 레지스트 표면온도가 20℃ 정도가 되면 네가티브 방식의 마스크를 그 위에 직접 접촉한 후 감압 밀착하여 300mJ/㎠의 광량에서 노광을 실시하였다. 그 후에 솔더 레지스트 표면에서 마스크를 벗겨낼 때 마스크가 쉽게 탈착가능하고 솔더 레지스트 표면에 마스크의 압착 자국이 남지 않으면 ○, 마스크의 탈착은 용이하나 솔더 레지스트 표면에 마스크의 압착 자국이 남으면 △, 마스크의 탈착이 어려우면 ×로 표기하여 구분하였다.
3)해상성
포토 솔더 레지스트를 동박 적층 기판의 에폭시 면에 50㎛의 두께(동박위 기준)로 균일하게 도포한 후 포토 솔더 레지스트에 포함된 용매를 80℃의 온도에서 20분간 건조하였다. 이때 건조된 용매의 부피로 인하여 솔더 레지스트는 35㎛ 정도 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15∼25℃의 온도에서 냉각하였다. 솔더 레지스트 표면 온도가 20℃ 정도가 되면 30, 40, 50, 60, 70, 80, 90㎛의 회로폭이 새겨진 네가티브 방식의 마스크를 그 위에 직접 접촉한 후 감압 밀착하여 300mJ/㎠의 광량에서 노광을 실시하였다. 노광이 끝나면 1.0중량%의 탄산나트륨 수용액에 120초 동안 현상과 120초 동안 수세하여 솔더 레지스트가 과현상되어 제거되지 않고 남아있는 네가티브 마스크의 회로폭을 기준으로 비교하며, 회로폭이 작을수록 우수하다.
4)밀착력
경화 공정이 끝난 포토 솔더 레지스트가 인쇄된 동박 적층 기판에 대해 크로스커트 밀착력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JIS D 0202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기판에서 하나의 격자라도 탈착이 되지 않았으면 ○, 1∼10개 정도의 격자가 탈착되면 △, 그리고 10개 이상의 격자가 탈착되면 ×로 표시하였다.
5)솔더 내열성
경화 공정이 끝난 포토 솔더 레지스트가 인쇄된 동박 적층 기판에 대해 저잔사 솔더 플럭스인 청솔화학회사 제조의 케미텍 177을 도포하고 288℃의 용융된 솔더조에 10초 동안 침지시켰다. 이때 각각의 조성에 대해 플럭스 도포에서 솔더조에 침지를 1회, 3회, 5회 실시하여 포토 솔더 레지스트의 들뜸을 관찰하였다. ○는 포토 솔더 레지스트이 들뜸이 전혀 없는 경우이며, △는 약간 들뜸이 나타난 경우이고, ×는 들뜸이 심하게 나타난 경우이다.
6)무전해 니켈 및 치환 금도금 내성
경화 공정이 끝난 포토 솔더 레지스트가 인쇄된 동박 적층 기판에 대해 무전 해 니켈 그리고 치환 금 도금을 실시하였다. 이때 공정은 일반적인 무전해 니켈 및 치환 금 도금 공정을 따르며 공정이 끝난 후의 도금 두께는 니켈은 5㎛, 금은 0.08㎛이 되었다. 그리고 나서 무전해 니켈과 치환 금 도금에 대한 본 발명의 포토 솔더 레지스트의 내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접착 테이프를 솔더 레지스트 표면에 압착시킨 후 탈착하였다. 이때 접착 테이프에 솔더 레지스트가 묻어 나오지 않으면 ○, 소수의 솔더 레지스트가 묻어나오면 △, 그리고 다수의 솔더 레지스트가 기판에서 박리되면 ×로 표시하였다.
7) 박리성
경화 공정이 끝난 포토 솔더 레지스트가 인쇄된 동박 적층 기판에 대해 10% 부피분율의 가성소다 수용액을 80℃로 가열한 박리액에 15분 동안 침지한 후 수세하여 솔더 레지스트 도막이 완전히 박리되어 기판 상에 잔사가 전혀 없으면 ○, 세선부위나 기판위에 박리되지 않은 솔더 레지스트가 일부 남아있으면 △, 전혀 박리되지 않으면 ×로 표시하였다.
단위 : 중량%
실 시 예 비교예
1 2 3 4 1 2 3
노볼락형 에폭시 변성 바인더 폴리머 42.0 42.0 42.0 42.0 42.0 42.0 42.0
A-GLY-20E 5.0 - 3.0 3.0 - - -
M-312 - 5.0 - - - - -
A-DPH - - 2.0 2.0 5.0 5.0 5.0
YDCN 500-90P 9.0 9.0 9.0 5.0 9.0 - 5.0
Epikote 157S-70 - - 4.0 - 9.0 4.0
Irgacure-907 3.5 3.5 3.5 3.5 3.5 3.5 3.5
DETX 0.4 0.4 0.4 0.4 0.4 0.4 0.4
EHA 0.4 0.4 0.4 0.4 0.4 0.4 0.4
황산바륨
(평균입경 1㎛)
32.8 32.8 32.8 32.8 32.8 32.8 32.8
멜라민 0.5 0.5 0.5 0.5 0.5 0.5 0.5
프탈로시아닌 그린 0.4 0.4 0.4 0.4 0.4 0.4 0.4
Fluid 200 1.0 1.0 1.0 1.0 1.0 1.0 1.0
카비톨아세테이트 5 5 5 5 5 5 5
(주)노볼락형 에폭시 변성 바인더 폴리머 : 평균분자량 12,000 정도의 묽은 알칼리 수용액 현상 가능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용제 함량이 35%임.
비스페놀 F형 에폭시 변성 바인더 폴리머 : 평균분자량 35,000 정도의 묽은 알칼리 수용액 현상 가능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이며, 용제 함량 35%임.
A-GLY-20E : 일본 Shin-Nakamura사의 화학식 A에서 a+b+c=20인 3관능기 아크릴 단량체
M-312 : 미원상사의 화학식 B에서 a+b+c=15인 3관능기 아크릴 단량체
A-DPH: 일본 Shin Nakamura Chemical Industries Co, Ltd.사의 5,6 관능형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 모노머
YDCN 500 90P: 국도화학주식회사의 한 분자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가지는 크레졸 노볼락형의 에폭시 수지
Epikote 157S-70 : 일본 JER사의 한 분자에 비스페놀A-페놀 노볼락형 변성 에폭시 수지
Irgacure-907: Ciba Geigy Corp.사의 2-메틸-1-[4-(메틸티오)페닐]-2-(4-모르포리닐)-프로파논 구조의 광중합 개시제
DETX: Lambson Corp.사의 2,4-디에틸 티오산톤 구조의 광중합 개시제
EHA: Lambson Corp.사의 2-에틸헥실-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구조의 광중합 증감제
Fluid 200: Dow corning사의 실리콘 소포제.
Figure 112005019657591-pat0000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실시예 1 내지 4)은 우수한 해상성, 솔더 내열성, 내금도금성을 가지며, 특히 박리액에 대해 우수한 박리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반면, 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단량체로서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비교예 1 내지 3)는 박리액에 대한 박리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내도금성 등도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 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성이며 열 경화성인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해상성과 내열성, 내금도금성을 가지면서 일반적인 박리액에 대한 벗겨짐성이 좋고 또한 잔사가 없기 때문에 재작업이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Claims (3)

  1.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 (B)광중합개시제,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D) 에폭시 수지 및 (E)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는 다음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레지스트용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1004413929-pat00006
    화학식 2
    Figure 112011004413929-pat00007
    상기 화학식 1 내지 2에 있어서, 단량체의 한 분자 내에 부가된 에틸렌글리콜기의 총합(a+b+c)은 15 내지 30의 값을 갖는다.
  2. 제 1 항에 있어서,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는 2-히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탄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리렐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비스페놀 A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폭시레이티드 글리세릴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쓰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계 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전체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 중 70중량% 이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레지스트용 자외선 및 열 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C)자외선 반응형 아크릴계 또는 비닐계 단량체는 (A)자외선 경화성이며 묽은 알칼리 수용액에 현상 가능한 수지의 고형분 함량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7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솔더레지스트용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20050031330A 2005-04-15 2005-04-15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052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330A KR101052767B1 (ko) 2005-04-15 2005-04-15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1330A KR101052767B1 (ko) 2005-04-15 2005-04-15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069A KR20060109069A (ko) 2006-10-19
KR101052767B1 true KR101052767B1 (ko) 2011-07-29

Family

ID=37615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1330A KR101052767B1 (ko) 2005-04-15 2005-04-15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7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809A (ja) * 2002-10-17 2004-05-13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エレメント
KR20050029761A (ko) * 2003-09-22 2005-03-28 주식회사 코오롱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포토솔더 레지스트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8809A (ja) * 2002-10-17 2004-05-13 Hitachi Chem Co Ltd 感光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感光性エレメント
KR20050029761A (ko) * 2003-09-22 2005-03-28 주식회사 코오롱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포토솔더 레지스트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9069A (ko) 200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5855B1 (ko) 광경화성 조성물
KR102056819B1 (ko) 광경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경화물 및 프린트 배선판
WO2004099272A1 (ja) インクジェット用光硬化性・熱硬化性組成物とそ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JP5572737B1 (ja) 光硬化熱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2013522687A (ja) 光硬化性及び熱硬化性を有する樹脂組成物、並びにドライフィルムソルダレジスト
JP2016501388A (ja) ドライフィルムソルダーレジスト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られるフィルム積層体
WO1996011239A1 (fr) Encre resist de photosoudure, carte a circuit imprim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5977361B2 (ja) 光硬化性および熱硬化性を有する樹脂組成物と、ドライフィルムソルダレジスト
JP2013534714A (ja) アンダーフィル用ダムを含む印刷回路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529844A (ja) 光硬化性及び熱硬化性を有する樹脂組成物と、ドライフィルムソルダーレジスト
JPWO2014024804A1 (ja) 永久マスクレジスト用感光性樹脂組成物、感光性エレメント、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及びプリント配線板の製造方法
KR20060081361A (ko) 광 경화성ㆍ열 경화성의 일액형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그것을 사용한 인쇄 배선판
JP2017135388A (ja) 物への表面表示・模様の形成方法
KR100522002B1 (ko)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포토솔더 레지스트 필름
JP4309246B2 (ja) 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
JP3686699B2 (ja) アルカリ現像型の光硬化性・熱硬化性樹脂組成物
KR100571366B1 (ko)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JP2006285174A (ja) 感光性組成物及び感光性フィルム、並びに、永久パターン及びその形成方法
JP5829034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光硬化性熱硬化性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板
KR101052767B1 (ko) 자외선 및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060124859A (ko)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JP2012216588A (ja) ソルダーレジスト層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これらのソルダーレジスト層を有するプリント配線板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方法を用いて製造するプリント配線板
KR100941781B1 (ko) 액상 포토 솔더 레지스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포토솔더 레지스트 필름
KR101066441B1 (ko)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감광성열경화성 솔더레지스트 조성물
JP3720312B2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用アルカリ現像型光硬化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