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2239B1 - 해먹형 유모차 - Google Patents

해먹형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2239B1
KR101052239B1 KR1020110014906A KR20110014906A KR101052239B1 KR 101052239 B1 KR101052239 B1 KR 101052239B1 KR 1020110014906 A KR1020110014906 A KR 1020110014906A KR 20110014906 A KR20110014906 A KR 20110014906A KR 101052239 B1 KR101052239 B1 KR 101052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by carriage
belt
backres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657A (ko
Inventor
세이지 다쿠보
히로코 구로스
겐타로 모리구치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1301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03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1292A external-priority patent/JP41840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3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216944A/ja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2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1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 C01B13/0255Physical processing only by making use of membran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2053/221Devices
    • B01D2053/222Devices with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6/00Main component in the product gas stream after treatment
    • B01D2256/12Oxyg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 본체(10a)에 매달려 있는 시트(26)는, 그 좌석부(26b)의 하면 중앙부가, 전각(12) 및 후각(14)을 연결하는 좌우의 연결 바(23)를 서로 연결하는 스테이(2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시트(26)의 좌석부(26b)의 하면 후부에는,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에 그 한쪽 끝이 단단하게 부착된 2 개의 매닮 벨트(30)와 다른 쪽 끝이 재봉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들의 매닮 벨트(30)에 의해 위쪽으로 매달아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시트(26)의 좌석부(26b)의 하면 후부가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해먹형 유모차{HAMMOCK STYLE STROLLER}
본 발명은, 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하기 위해서 옥외에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되는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유모차 본체에 매달린 해먹형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해먹형(hammock型)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 본체의 손잡이 레버 및 좌우의 연결 바(전각(前脚)과 후각(後脚)을 연결하는 좌우의 바)에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손잡이 레버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에 시트의 배부(背部)가 장착되어, 좌우의 연결 바에 시트의 좌석부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시트의 좌석부는, 좌우의 연결 바(bar)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된 스테이(stay)에 의해 그 하면이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상술한 것과 같은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 시트의 좌석부를 상술한 것과 같은 스테이 만으로 지지하는 경우에는, 시트의 좌석부가 스테이를 중심으로 하여 전후로 요동(swing)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일반적으로, 좌우의 연결 바에, 스테이와 함께 시트의 좌석부의 하면을 지지하는 지지 벨트를 다시 팽팽하게 설치하고, 시트의 좌석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의 배부(등받이부 및 머리 받침)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즉, 손잡이 레버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에, 시트의 배부(背部) 중 유아의 등에 대응하는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손잡이 레버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에, 시트의 배부 중 유아의 머리부에 대응하는 머리 받침(등받이부의 상연부(上緣部)에 연접되는 부분)을 지지하는, 길이가 일정한 머리 받침 지지 벨트를 하나 더 팽팽하게 설치하고,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 길이를 조절하여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 때에, 등받이부에 대해서 머리 받침이 일으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도 행해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는, 유아가 탈 수 있는 시트를,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 시트와, 베이스 시트 상에 놓여지는 탈부착 시트로 구성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베이스 시트는 베이스 좌석부와 베이스 배부를 가지며, 탈부착 시트는 좌석부와 배부를 가지고 있고, 탈부착 시트의 좌석부가 베이스 좌석부에 의해 지지되어, 탈부착 시트의 배부가 베이스 배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유아를 태울 수 있는 시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시트 및 탈부착 시트는 유모차 본체 상에 이 순서대로 배치되지만, 일반적으로, 베이스 시트는 두꺼운 합성 수지재로 구성되고, 탈부착 시트는 두꺼운 합성 수지재로 구성된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좌우의 연결 바 사이에 설치된 스테이 및 지지 벨트에 의해서 시트의 좌석부의 하면을 지지함으로써 시트의 좌석부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유모차 본체를 작게 접은 상태(삼단 접이 상태 등)로 하는 경우에, 유모차 본체의 각부의 이동(절곡 동작)이 지지 벨트에 의해 방해를 받아, 유모차 본체를 작게 접은 상태로 하기 위해서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문제는, 지지 벨트를 조금 길게 설정함으로써 일단 해소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유모차의 사용시에 좌석부의 지지가 충분히 되지 않아, 유아를 태운 경우에 좌석부의 후부에 큰 함몰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손잡이 레버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에 설치된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 및 머리 받침 지지 벨트에 의해,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의 길이를 조절하여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작게함과 동시에, 등받이부에 대해서 머리 받침이 일으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에 태워진 유아의 머리 부분을 보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 및 머리 받침 지지 벨트가 손잡이 레버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에 별도 부재로서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들을 준비하여 시트의 배부(등받이부 및 머리 받침)에 재봉하는데 품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다.
게다가, 종래의 해먹형 유모차에서는, 시트(특히 베이스 시트)가 두꺼운 합성 수지재로 되어있기 때문에, 통기성에 문제가 있어, 시트에 태운 유아가 땀을 흘리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시트의 좌석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모차 본체를 접은 상태(삼단 접이 상태 등)로 하는 경우의 조작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 해먹형 유모차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에 비해서 적은 부재 개수에 의해 시트의 등받이부 및 머리 받침의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해먹형 유모차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특히 베이스 시트)의 통기성을 현격히 향상시켜 유아의 발한(發汗)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해먹형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 1 특징으로써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달린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로써, 좌석부를 가지는 시트와, 상기 유모차 본체와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매닮 벨트를 구비하여, 상기 유모차 본체는, 각각 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과, 각각 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과, 상기 각 전각 및 상기 각 후각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연결 바와, 상기 각 전각 및 상기 각 후각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 레버를 갖고, 상기 시트는, 상기 유모차 본체의 상기 손잡이 레버 및 상기 각 연결 바에 장착되어, 상기 매닮 벨트는,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를 위쪽으로 매달아 올리도록 상기 유모차 본체의 상기 손잡이 레버와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먹형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상기 각 연결 바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한 스테이로서,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의 하면 중앙부를 지지하는 스테이를 더 가지고, 상기 매닮 벨트는, 상기 스테이에 의해 지지된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의 하면 후부를 위쪽으로 매달아 올리도록 상기 유모차 본체의 상기 손잡이 레버와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의 하면 후부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모차 본체의 상기 손잡이 레버는 상기 각 연결 바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를 가지고, 상기 매닮 벨트는, 상기 손잡이 레버의 상기 각 핸들 파이프와 상기 시트의 상기 좌석부의 후부 하면과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한 좌우 한 쌍의 벨트편(片)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의 손잡이 레버와 시트의 좌석부와의 사이에 팽팽하게 설치된 매닮 벨트에 의해,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의 좌석부를 매달아 올려 지지하고 있으므로, 시트의 좌석부가 유모차 본체의 스테이 등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거나 전후로 이동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되어, 시트의 좌석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유모차 본체를 작게 접은 상태(삼단 접이 상태 등)로 하는 경우라도, 유모차 본체의 각부의 이동(절곡 동작)이 지지 벨트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유모차 본체를 작게 접은 상태(삼단 접이 상태 등)로 하는 경우의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2 특징으로써,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달린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로서, 좌석부와, 이 좌석부에 접거나 세울 수 있게 연접된 등받이부와, 이 등받이부의 상연부에 접거나 세울 수 있게 연접된 머리 받침을 가지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머리 받침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를 구비하여, 상기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는, 상기 시트의 상기 머리 받침을 지지하는 머리 받침 지지 벨트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로서,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가지고,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와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각각 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과, 각각 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과, 상기 각 전각 및 상기 각 후각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 레버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전각 및 후각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를 가지고, 상기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의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는, 상기 시트의 상기 머리 받침을 횡단하도록 상기 손잡이 레버의 상기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 사이를 늘이고 있고,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는,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의 양단을 연장한 연장부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끼워 연결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통 모양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각 통 모양 개구부 중 상기 등받이부의 이면측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꺼내어, 그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는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를 구성하는 천(옷감)의 소정의 위치에 재봉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의하면, 시트의 머리 받침을 지지하기 위한 머리 받침 지지 벨트와, 유모차 본체에 대한 시트의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기 위한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을 일체적으로 형성했으므로, 부품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재봉의 수고 등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3 특징으로써,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달린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유모차 본체 상에 놓여진 베이스 시트와, 이 베이스 시트 상에 놓여진 탈부착 시트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는 메시(mesh)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기 메시 구조체는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평균 직경 3.5 mm의 통기(通氣) 구멍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는 베이스 좌석부 및 베이스 배부를 가지고, 이 중 베이스 배부가 메시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3 특징에 의하면, 유모차 본체에 장착되는 시트 중, 탈부착 시트가 놓여지는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부를 메시 구조체로 구성했으므로, 시트의 통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고, 이 때문에 시트에 태워진 유아가 땀을 흘리기 않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해먹형 유모차에 따르면, 시트의 좌석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면서, 이와 동시에 유모차 본체를 접은 상태(삼단 접이 상태 등)로 할 경우에 조작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먹형 유모차에 따르면, 종래에 비해서 적은 부재 개수에 의해 시트의 등받이부 및 머리 받침의 경사 각도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먹형 유모차에 따르면, 시트(특히 베이스 시트)의 통기성을 현격히 향상시켜 유아의 발한(發汗)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주요부를 배면 측(시트의 후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삼단 접이한 상태의 매닮 벨트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에 대비되는 일반적인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삼단 접이한 때의 지지 벨트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시트의 등받이부가 일으켜 세워진 상태(경사 각도가 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시트의 등받이부를 배면 측(시트의 후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있어서, 시트의 등받이부가 엎어진 상태(경사 각도가 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에 대비되는 일반적인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시트의 등받이부가 일으켜 세워진 상태(경사 각도가 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모차의 시트의 등받이부를 배후측(시트의 후방)으로부터 본 모습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나타내는 유모차에 있어서, 시트의 등받이부가 엎어진 상태(경사 각도가 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나타내는 유모차로 이용되는 시트(베이스 시트)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유모차로 이용되는 탈부착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도 12에 나타내는 유모차를 작게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우선, 도 1 내지 도 5에 의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0)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어 단 것으로, 쌍륜(雙輪)식의 전륜(11)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12)과, 쌍륜식의 후륜(13)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14)과, 거의 역 U자 모양으로 굴곡된 손잡이 레버(15)와, 좌우 한 쌍의 암 레스트(16)와, 각 암 레스트(16)의 사이에 걸쳐진 탈부착 가능한 가이드 암(17)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각 부재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10a)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 레버(15)는, 유모차 본체(10a)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좌우의 전각(12) 및 좌우의 후각(14)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18)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의 하단부 근방에는 각기, 각 암 레스트(16)의 한쪽 끝이 피봇 장착되어 있고, 각 암 레스트(16)의 다른 쪽 끝 좌우의 전각(12)의 각각의 정상 단부가 피봇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후각(14)의 각각의 정상 단부도 각 암 레스트(16)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되어 있고, 각 후각(14)의 중간부에는「ㄴ」자 모양으로 굴곡된 브래킷(19)의 일단이 피봇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브래킷(19)의 중간부에 손잡이 레버(15)의 각 핸들 파이프(18)의 하단부가 각각 피봇 장착되어 있고, 유모차(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브래킷(19) 상단부에 형성된 부에, 각 핸들 파이프(18)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로크(lock) 부재(20)가 결합하여,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전각(12)은 발 받침대(20a)가 설치된 전측 연결 바(21)에 의해서 연결되고, 좌우의 후각(14)은 후측 연결 바(22)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전각(12)과 한쪽 후각(14)과의 사이 및 다른 쪽 전각(12)과 다른 쪽 후각(14)과의 사이에는 각각 좌우 한 쌍의 연결 바(23)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즉, 각 전각(12)의 중간부에는 각 연결 바(23)의 전단부가 피봇 장착되어, 그 각 연결 바(23)의 후단부가 브래킷(19)과 함께 각 핸들 파이프(18)의 하단부에 피봇 장착되고 있다. 더욱, 좌우의 연결 바(23)의 중간부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테이(24)에 의해서 서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에는, 덮개(39)를 장착하기 위한 파이프 모양의 덮개 장착구(3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의 전각(12)과 좌우의 후각(14)을 각각 연결하는 좌우의 연결 바(23)에는, 바스켓(40)이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 본체(10a)에 있어서는, 손잡이 레버(15)의 각 핸들 파이프(18)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부재(20)가, 브래킷(19)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서, 유모차(10)가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이 상태에서, 손잡이 레버(15)로 설치되어 있는 조작 장치(2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로크 부재(20)와 브래킷(19)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암 레스트(16) 및 연결 바(23)가, 손잡이 레버(15)의 각 핸들 파이프(18)에 대해서 각 피봇 장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요동 가능해지고, 전각(12)과 후각(14)이 거의 평행한 상태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10)가 휴대하기 편리하게 작게 접혀진다.
여기서, 유모차 본체(10a)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15), 전측 연결 바 (21), 후측 연결 바(22) 및 스테이(24)는, 두 개의 동일 수직면내에 있어서 각 중간부의 두 곳이 조인트(15a, 21a, 22a, 24a)에 의해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전각(12)과 후각(14)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접은 뒤,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손잡이 레버(15), 전측 연결 바(21), 후측 연결 바(22) 및 스테이(24)가 각 조인트(15a, 21a, 22a, 24a)의 부분에서 앞쪽으로「ㄷ」자 모양으로 접어져, 유모차(10)를 삼단 접이 상태로 작게 접을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하여 구성된 유모차 본체(10a)에 있어서,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l8) 및 좌우의 연결 바(23)에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26)가 장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아용의 시트(26)의 배부(26a)의 양측부가 좌우의 핸들 파이프(18)로 장착되고, 좌석부(26b)의 양측부가 좌우의 연결 바(23)로 장착되어, 이른바 해먹 상태로 매달려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시트(26)의 좌석부(26b)는, 그 하면 중앙부가 스테이(24)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해먹형 유모차(10)에 있어서, 시트(26)의 좌석부 (26b)내에는 판 모양의 심재(芯材)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좌석부(26b)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안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시트(26)의 좌석부(26b)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개의 스테이(24)만으로 지지되고 있으므로, 좌석부(26b)의 전부(前部) 및 후부(後部)가 스테이(24)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함으로써 그 전부 및 후부에서의 안정성이 극히 나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것처럼, 스테이(24)가 중간부에 연결된 좌우의 연결 바(23) 중 스테이(24)보다도 뒤쪽 방향으로 지지 벨트(27)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 지지 벨트(27)와 스테이(24)에 의해 시트(26)의 좌석부(26b)를 지지함으로써, 시트(26)의 좌석부(26b)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한 유모차(10')가 제안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10')에서는, 유모차 본체(10a')를 삼단 접이 상태로 한 경우에,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것처럼, 스테이(24) 및 전측 연결 바(21)에 의해 시트(26)가 뒤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유모차 본체(10a')의 각부의 이동(절곡 동작)에 대해서 지지 벨트(27)가 저항하는 것이 되므로, 유모차 본체(10a')를 삼단 접이 상태로 하기 위해서 큰 조작력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문제는, 지지 벨트(27)를 약간 길게 설정함으로써 일단 해소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유모차(10)의 사용시 에 있어서의 시트(26)의 좌석부(26b)의 지지가 충분하지 않게 되어, 유아를 태운 경우에 좌석부(26b)의 후부에 큰 함몰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안출된 것으로, 도 1에 나타내는 것처럼, 시트(26)의 좌석부(26b)의 하면 후부에 두 개의 매닮 벨트(좌우 한 쌍의 벨트편)(30)의 하단부(도 2의 부호 30a 참조)가 재봉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 매닮 벨트(30) 상단부는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로 각각 단단하게 부착되어 있고, 손잡이 레버(15)의 각 핸들 파이프(18)와 시트(26)의 좌석부(26b)의 후부 하면과의 사이에서 매닮 벨트(30)가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내는 유모차(10)에 있어서는, 유모차 본체(10a)를 전개한 사용시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10a)에 장착되는 시트(26)는, 좌우의 연결 바(23)에 매닮과 동시에, 그 좌석부(26b)의 하면 중앙부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테이(24)에 의해 지지된다. 게다가, 시트(26)의 좌석부(26b)의 하면 후부가 좌우의 매닮 벨트(30)에 의해 위쪽으로 매달리게 되고, 스테이(24)에 의한 지지와 함께 시트(26)의 좌석부(26b)의 요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본체(10a)를 작게 접기 위해서 이단 접이로 한 경우에는, 좌우의 연결 바(23)가 손잡이 레버(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8)와의 피봇 장착점을 중심으로 해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도 2에 나타내는 것처럼, 매닮 벨트(30)에 있어서는, 시트(26)의 좌석부(26b)로의 부착 위치와 핸들 파이프(18)로의 부착 위치의 사이 거리가 짧게 되어, 결과적으로 매닮 벨트(30)가 느슨해지게 된다. 따라서, 그 후, 유모차 본체(10a)를 삼단 접이 상태로 하는 경우에 각부의 이동(삼단 접이 동작)에 대해서 매닮 벨트(30)가 저항하지 않고, 유모차 본체(10a')를 삼단 접이 상태로 하기 위한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도 6 내지 도 11에 의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110)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단 것이며, 쌍륜식의 전륜(111)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112)과, 쌍륜식의 후륜(113)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114)과, 거의 역 U자 모양으로 굴곡된 손잡이 레버(115)와, 좌우 한 쌍의 암 레스트(1l6)와, 각 암 레스트(116)의 사이에 걸쳐진 탈부착 가능한 가이드 암(119)을 구비하고 있어, 이들의 각 부재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110a)가 구성되고 있다.
여기서, 손잡이 레버(115)는, 유모차 본체(110a)를 앞쪽 및 뒤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좌우의 전각(112) 및 좌우의 후각(114)으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117)를 가지고 있다. 또한, 손잡이 레버(1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의 하단부에는 각각 브래킷(152)을 통하여 연결 레버(118)가 피봇 장착되고 있고, 그 각 연결 레버(118)의 전단부가 전각(112)에 피봇 장착되고 있다. 또한, 각 연결 레버(118)에는 바스켓 (15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유모차 본체(110a)에는 시트(120)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시트(120)는, 베이스 시트(120a)와, 이 베이스 시트(120a) 상에 탑재되는 탈부착 시트(120b)로 구성되고 있다.
이 중, 베이스 시트(120a)는, 좌석부(122)와, 이 좌석부(122)에 기복 가능하게 연접된 등받이부(123)와, 이 등받이부(123)의 상연부에 기복 가능하게 연접된 머리 받침(124)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좌석부(122)의 양측부(도 시 생략)는 연결 레버(118)로 장착되고,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의 양측부(121)는 손잡이 레버(115)의 좌우 핸들 파이프(117)에 장착되어, 이것에 의해, 베이스 시트(120a)가 전체로서 유모차 본체(110a)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해먹형 유모차(110)에 있어서는,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시트(120)에 태워지는 유아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를 작게 한 때에, 등받이부(123)에 대해서 머리 받침(124)이 일으켜 세워진 상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손잡이 레버(1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에, 등받이부(123)를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를 팽팽하게 설치하고, 이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머리 받침(124)의 이면 측에는, 머리 받침 지지 벨트(125)가 장착되어 있고, 이 머리 받침 지지 벨트(125)의 양단부가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의 양측부(121)와 함께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에 고착되어 있다. 한편, 등받이부(123)의 이면 측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것처럼, 그 좌우 부위에 통 모양으로 봉제된 통 모양 개구부(126)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좌우의 통 모양 개구부(126)에는 각각 좌우의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가 끼워 연결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의 한쪽 끝에는,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에 고착된 훅(도시 생략)에 결합하는 버클(127)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각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의 다른 쪽 끝에는 끈(129)이 붙어 있고, 이들 각 끈(129)을 등받이부(123)의 이면 측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30)으로부터 각각 바깥쪽으로 꺼낸 다음 양쪽 끈(129)을 묶도록 하여,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각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도 9에 나타내는 것처럼, 등받이부(123)가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에 의해 지지되고, 등받이부(123)가 머리 받침(124)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이 상태에서, 각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의 끈(129)을 느슨하게 하여 양쪽 끈(129)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리클라이닝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때,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가 작아져서 등받이부(123)가 전체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머리 받침(124)은 머리 받침 지지 벨트(125)에 의해서 핸들 파이프(117)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도 11에 나타내는 것처럼, 머리 받침(124)이 등받이부(123)에 대해서 일으켜 세워진 상태가 되고, 시트(120)에 태워져 자고 있는 유아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 판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그렇지만, 이러한 종래의 유모차(110')에서는, 머리 받침 지지 벨트 (125) 및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에 의해,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를 변경함과 동시에, 그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에 맞게 머리 받침(124)이 등받이부(123)에 대해서 일으켜 세워진 상태로 할 수 있지만, 버클(127)이 장착된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 벨트(128)가 2 점,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28)에 연결되는 끈(129)이 2 점, 및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에 따라 머리 받침(124)을 일어나게 하기 위한 머리 받침 지지 벨트(125)가 1점으로 합계 5 점이 필요하게 되어, 이것들을 준비해 시트(120)(베이스 시트(120a))의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에 재봉하는 품이 많이 드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서 안출된 것으로,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와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머리 받침(124)의 이면 측에는,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가 끼워 연결된 상태로 재봉(裁縫)하여 부착되어 있고, 이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를 통하여 머리 받침(124)이 시트(120)(베이스 시트 120a)의 등받이부(123)와 함께 이들 양측부(121)를 통하여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에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머리 받침(124)은,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에 의해 유모차 본체(110a)에 대해서 지지되어 있다.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는, 머리 받침(124)을 횡단하도록 손잡이 레버(1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117) 사이를 좌우로 연장되어 있고, 그 양단을 연장한 연장부로서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가 형성되어 있다.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는, 유모차 본체(110a)에 대해서 등받이부(123)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유모차 본체(110a)에 대한 등받이부(123)의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 및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에 의해,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는, 도 7에 나타내는 것처럼, 좌우 한 쌍의 벨트 부분(132a)을 가지고 있다.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의 각 벨트 부분(132a)은,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의 일부와 교차하도록 뻗어 있고, 등받이부(123)의 좌우에 설치된 통 모양 개구부(126)에 끼워 연결되어, 그 선단부에 재봉하여 부착한 좌우의 끈(133)이, 각 통 모양 개구부 (126) 중 등받이부(123)의 이면 측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130)으로부터 꺼내진다.
양쪽 끈(l33)에는, 끈(133)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 기구(134)가 장착되어 있고, 조절 기구(134)에 의해 끈(133)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의 길이를 짧게 하면, 도 6에 나타내는 것처럼, 등받이부(123)의 상부가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에 의해 들어 올려져, 그 경사 각도가 크게 되도록 그 상태가 변경된다. 이것에 의해, 등받이부(123)가 일으켜 세워진 상태가 되어, 등받이부(123)가 머리 받침(124)과 거의 동일한 평면에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조절 기구(134)에 의해 끈(133) 길이를 조절하여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의 길이를 길게 하면, 도 8에 나타내는 것처럼, 등받이부(123)가 후방으로 제켜져, 그 경사 각도가 작게 되도록 그 상태가 변경된다. 이 때, 머리 받침(124)은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에 의해서 핸들 파이프(117)에 매달려 있기 때문에 등받이부(123)가 후방으로 제켜짐에 따라 머리 받침(124)이 등받이부(123)에 대해서 일으켜 세워진 상태로 변경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의 일단(一端)이 등받이부(123) 및 머리 받침(124)의 양측부(121)에 고착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를 시트(120)(베이스 시트(120a))의 등받이부(123)를 구성하는 천의 소정의 위치에 재봉하여 부착하여도 좋다. 즉,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의 적절한 위치를, 핸들 파이프(117)의 고착부 근방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120a)의 천에 재봉하여 부착해 두면, 이러한 재봉 부착 위치와 핸들 파이프(117)와의 사이에서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가 신축하는 일없이 그 길이 조절의 범위가 규제되어, 등받이부(123)가 일정한 경사 각도 이상 세워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 및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는, 완전히 하나의 부재로써 형성된 것 이외에도, 별도의 부재를 서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부재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시트(120)의 베이스 시트(120a)에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 및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를 부착하고 있지만, 시트(120)에 있어서 베이스 시트(l20a)와 탈부착 시트(121b)가 분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그러한 시트 자체에 머리 받침 지지 벨트(131) 및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132)를 직접 부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도 12 내지 도 15에 의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해먹형 유모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210)는,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를 유모차 본체로부터 매어 단 것이며, 쌍륜식의 전륜(211)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212)과, 쌍륜식의 후륜(213)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214)과, 거의 역 U자 모양으로 굴곡된 손잡이 레버(215)와, 좌우 한 쌍의 암 레스트(216)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 부재에 의해서 유모차 본체(210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후각(214)에 장착된 쌍륜식의 후륜(213)에는, 스토퍼(213a)가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손잡이 레버(215)는, 유모차 본체(210a)를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좌우의 전각(212) 및 좌우의 후각(2l4)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며,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217)를 가지고 있다. 손잡이 레버(2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217)의 하단부 근방에는 각기, 각 암 레스트(216)의 한쪽 끝이 피봇 장착되어 있고, 각 암 레스트(216)의 다른 끝이 좌우의 전각(212)의 각각의 정상 단부가 피봇 장착되고 있다. 또한, 좌우의 후각(214)의 각각의 정상 단부(頂上 端部)도 각 암 레스트(216)의 중간부에 피봇 장착되고 있어, 각 후각(214)의 중간부에는「ㄴ」자 모양의 굴곡된 브래킷(218)의 일단이 피봇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브래킷(218)의 중간부에 손잡이 레버(215)의 각 핸들 파이프(217)의 하단부가 각각 피봇 장착되어 있고, 유모차(210)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브래킷(218)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각 핸들 파이프(217)의 하단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피봇 장착된 로크 부재(219)가 결합하고, 그 전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좌우의 전각(212)은 발 받침대(220)가 설치된 앞쪽 연결 바(221)에 의해 연결되고, 좌우의 후각(214)은 뒤쪽 연결 바(22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전각(212)과 한쪽의 후각(214)과의 사이 및 다른 쪽의 전각(212)과 다른 쪽의 후각(214)과의 사이에는 각각 연결 바(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레버(2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217)에는, 덮개(234)를 지지하는 프레임(235)이 자유로이 요동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모차 본체(210a)에 장착된 시트(후술하는 베이스 시트(252) 및 탈부착 시트(230))의 아래쪽에는 바스켓(241)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암 레스트(216)의 전단부 사이에는 작게 접을 수 있는 가이드 암(231)이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암(231)은 얇은 판자모양의 금속판을 연질 합성 수지로 덮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측 연결 바(221) 및 후측 연결 바(222)에도 한 쌍의 힌지(221a, 222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잡이 레버(215)는, 그 상부에 조작 장치(228)를 구비하고 있고, 이 조작 장치(228)의 양단에 한 쌍의 힌지(215a)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하여 구성된 유모차 본체(210a)에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것처럼, 베이스 좌석부(252a) 및 베이스 배부(252b)를 일체로 하는 베이스 시트(25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252) 위에는, 좌석부(230a)와 배부(230b)를 일체로 하는 탈부착 시트(230)가 놓여져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252) 및 탈부착 시트(230)에 의해,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탈부착 시트(230)의 좌석부(230a)에는 삽입구(230c)가 설치되어 있고, 이 삽입구(230c)로부터 복부 벨트(236)가 늘려질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복부 벨트(236)는, 베이스 시트(252)의 베이스 좌석부(252a)에 장착되어 있다. 게다가, 복부 벨트(236)는, 유모차 본체(210a)에 장착된 안전 벨트(237)에 버클(23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하, 탈부착 시트(230) 및 베이스 시트(252)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탈부착 시트(230) 및 베이스 시트(25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것처럼, 탈부착 시트(230)는, 좌석부(230a) 및 배부(230b)를 가지고, 유모차 본체(210a)에 지지된 베이스 시트(252) 상에 놓여져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것처럼, 베이스 시트(252)는, 베이스 좌석부(252a) 및 베이스 배부(252b)를 가지고, 이 중 베이스 좌석부(252a)에 의해 탈부착 시트(230)의 좌석부(230a)가 지지되고, 베이스 배부(252b)에 의해 탈부착 시트(230)의 배부(230b)가 지지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 시트(252)의 베이스 좌석부(252a)는, 전각(212)과 후각(214)을 연결하는 연결 바(도시 생략)로 장착된 좌석부 지지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또한, 베이스 시트(252)의 베이스 배부(252b)는 유지 플랩(253)을 통하여 손잡이 레버(215)의 핸들 파이프(217)로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탈부착 시트(230) 및 베이스 시트(252)의 재료에 관하여 설명한다.
탈부착 시트(230)는, 전체적으로 얇은 재료, 예를 들어 니트 천으로 되어 있다. 베이스 시트(252) 중 베이스 좌석부(252a)는 합성 수지재, 예를 들어 폴리에스텔 천으로 이루어지고, 한편, 베이스 배부(252b)는 폴리에스테르 제품인 메시 구조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베이스 배부(252b)의 메시 구조체는 평균 직경 3.5 mm의 환기통을 가지고 있고, 베이스 시트 전체를 두꺼운 비통기성 합성 수지 재료로 만든 경우와 비교하여, 탈부착 시트(230)의 배부(230b)의 근방에 있어서의 통기성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 베이스 시트(252) 중 베이스 좌석부(252a) 및 베이스 배부(252b)의 양쪽 모두를 메시 구조체로 하여도 좋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유모차(210)에 있어서는, 손잡이 레버(215)의 각 핸들 파이프(217)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로크 부재(219)가, 브래킷(218)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에 결합함으로써, 유모차(210)가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이 상태로, 손잡이 레버(215)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장치(228)를 조작함으로써, 상술한 로크 부재(219)와 브래킷(218)과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것에 의해, 암 레스트(216) 및 연결 바(도시 생략)가, 손잡이 레버(215)의 각 핸들 파이프(217)에 대해서 각 피봇 장착점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으로 요동 가능해지고, 전각(212)과 후각(214)이 거의 평행한 상태로 요동된다. 이것에 의해, 유모차(210)가 휴대에 편리하도록 작게 접어진다.
여기서, 유모차(210)의 유모차 본체(210a)에 있어서는, 손잡이 레버(215), 앞쪽 연결 바(221), 뒤쪽 연결 바(222)는, 두 개의 동일 수직면 내에 있어서 각각 힌지(215a, 221a, 222a)에 의해 작게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암(231)도 전체적으로 작게 접을 수 있게 되어 있고, 또한, 베이스 시트(252)를 지지하는 좌석부 지지 기구(도시 생략)도 굴곡 가능한 벨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것처럼 하여 전각(212)과 후각(214)이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작게 접은 뒤, 손잡이 레버(215)의 좌우의 핸들 파이프(217)를 앞쪽으로 이동시키면, 손잡이 레버(215), 앞쪽 연결 바(221), 뒤쪽 연결 바(222)가 힌지(215a, 221a, 222a) 로부터 전방으로「ㄷ」자 모양으로 구부러지고, 그리고 가이드 암(231)도 전체적으로 작게 접어져, 이에 따라, 도 15에 나타내는 것처럼, 유모차(210)를 더욱 소형으로 접을 수 있다.
10 : 유모차
11 : 전륜
12 : 전각
13 : 후륜
14 : 후각
15 : 손잡이 레버
16 : 암 레스트
17 : 가이드 암
10a : 유모차 본체
18 : 핸들 파이프
19 : 브래킷
20 : 로크(lock) 부재
21 : 전측 연결 바
22 : 후측 연결 바
24 : 스테이
25 : 조작 장치
26 : 시트
27 : 지지 벨트
30 : 매닮 벨트
39 : 덮개
40 : 바스켓

Claims (4)

  1. 유아를 태우기 위한 시트가 유모차 본체에 매달아 설치된 해먹형 유모차에 있어서,
    유모차 본체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장착된 시트로서,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에 접고 세울 수 있게 연접된 등받이부와, 상기 등받이부의 상연부(上緣部)에 접고 세울 수 있게 연접된 머리 받침을 가지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 및 상기 머리 받침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변경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는, 상기 시트의 상기 머리 받침을 지지하는 머리 받침 지지 벨트와,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를 지지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로서,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유모차 본체에 대한 상기 등받이부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가지고,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와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먹형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 본체는, 각각에 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전각과, 각각에 후륜이 장착된 좌우 한 쌍의 후각과, 상기 각 전각 및 상기 각 후각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손잡이 레버로서, 상기 좌우 한 쌍의 전각 및 후각에 대응하는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를 가지고,
    상기 리클라이닝 변경 기구의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는, 상기 시트의 상기 머리 받침을 횡단하도록 상기 손잡이 레버의 상기 좌우 한 쌍의 핸들 파이프 사이를 연장하고 있고,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는, 상기 머리 받침 지지 벨트의 양단을 연장한 연장부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먹형 유모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는,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를 삽입하기 위한 좌우 한 쌍의 통 모양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각 통 모양 개구부 중 상기 등받이부의 이면측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가 당겨져서,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먹형 유모차.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닝 각도 변경용 벨트는 상기 시트의 상기 등받이부를 구성하는 천의 소정 위치에 재봉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먹형 유모차.
KR1020110014906A 2003-01-07 2011-02-21 해먹형 유모차 KR1010522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1301A JP4180386B2 (ja) 2003-01-07 2003-01-07 ハンモック型ベビーカー
JP2003001292A JP4184094B2 (ja) 2003-01-07 2003-01-07 ベビーカー
JPJP-P-2003-001292 2003-01-07
JPJP-P-2003-001301 2003-01-07
JP2003003493A JP2004216944A (ja) 2003-01-09 2003-01-09 ベビーカー
JPJP-P-2003-003493 2003-01-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87A Division KR101052238B1 (ko) 2003-01-07 2004-01-06 해먹형 유모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657A KR20110022657A (ko) 2011-03-07
KR101052239B1 true KR101052239B1 (ko) 2011-07-29

Family

ID=3431719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87A KR101052238B1 (ko) 2003-01-07 2004-01-06 해먹형 유모차
KR1020110014906A KR101052239B1 (ko) 2003-01-07 2011-02-21 해먹형 유모차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87A KR101052238B1 (ko) 2003-01-07 2004-01-06 해먹형 유모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1052238B1 (ko)
CN (1) CN100463823C (ko)
TW (1) TWI3085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8996A (ja) * 2005-09-30 2007-04-19 Combi Corp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
KR200451685Y1 (ko) * 2008-10-23 2011-01-05 삼성전자서비스 주식회사 대형 가전 제품 운반용 지그
CN105411275B (zh) * 2014-09-16 2020-08-04 纽维尔品牌日本合同会社 带肩带的儿童保持具与带座位的育儿器具的组合构造
KR200484342Y1 (ko) 2015-12-24 2017-08-25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수직형 전동기의 커플링 분해 조립용 지그
CN109693702A (zh) * 2019-02-12 2019-04-30 南通贝翔婴儿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的婴儿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65U (ko) * 1990-08-06 1992-04-08
JP2001206115A (ja) * 2000-01-24 2001-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120618A (ja) * 2000-10-17 2002-04-23 Toyota Industries Corp シート及びそのシートを備えたベビーカ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8763U (ja) 1983-03-07 1983-10-22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カ−の背当て機構
US6189914B1 (en) * 1993-10-01 2001-02-20 Worth Pfaff Innovations, Inc. Folding stroller
US6070890A (en) * 1997-09-10 2000-06-0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Infant carrier mounting system
US6398233B1 (en) * 1999-08-16 2002-06-04 Link Treasure Limited Foldable stroller with separable infant carrier
JP4812948B2 (ja) * 2001-03-05 2011-11-09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1465U (ko) * 1990-08-06 1992-04-08
JP2001206115A (ja) * 2000-01-24 2001-07-31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120618A (ja) * 2000-10-17 2002-04-23 Toyota Industries Corp シート及びそのシートを備えたベビーカ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17485A (en) 2004-09-16
TWI308539B (en) 2009-04-11
CN1519155A (zh) 2004-08-11
KR20040063814A (ko) 2004-07-14
KR101052238B1 (ko) 2011-07-29
CN100463823C (zh) 2009-02-25
KR20110022657A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57594B2 (ja) ベビーカー
JP4855035B2 (ja) ベビーカー
US4072318A (en) Baby carriage
US5187826A (en) Convertible cradle
JP3766821B2 (ja) 育児器具
JP5698312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6349314B2 (ja) 椅子カバーを有する椅子組立体
KR101052239B1 (ko) 해먹형 유모차
KR101179136B1 (ko) 유모차
TWI611963B (zh) 車輪保持單元及嬰兒車
US20060226635A1 (en) Platform mounting arrangement for baby stroller
CN105358405B (zh) 儿童推车
US6012769A (en) Chair with foldable backrest and legs
EP0662292B1 (en) Baby/child carrier
TWI627085B (zh) Baby carriage
EP0832811B1 (en) Bicycle baby-seat
JPS5832067B2 (ja) 乳母車のハンモツク
JP4912653B2 (ja) ベビーカーのガードアーム
JP2012096625A (ja) ベビーカー
JP3993996B2 (ja) 車椅子
JP4184094B2 (ja) ベビーカー
CN113842003B (zh) 用于婴儿载具的垫体及强化板
TWI841120B (zh) 嬰兒車
JP7378868B1 (ja) 乳母車
JP4303972B2 (ja) ベビ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