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0762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0762B1
KR101050762B1 KR1020090052156A KR20090052156A KR101050762B1 KR 101050762 B1 KR101050762 B1 KR 101050762B1 KR 1020090052156 A KR1020090052156 A KR 1020090052156A KR 20090052156 A KR20090052156 A KR 20090052156A KR 101050762 B1 KR101050762 B1 KR 101050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xi
zone
mobile communication
ca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3555A (ko
Inventor
이상규
박숙영
채아람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52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076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3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3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0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0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택시 호출 신호를 근거리 통신 장비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는 미리 정해진 존(zone)마다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자신이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여 검출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택시 호출 신호에는 그 신호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수신 단계와; (b)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택시를 검출하여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택시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가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존 내에 설치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인, 상기 전송 단계와; (c) 상기 검출된 택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택시 선택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명령에 해당하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택시 배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혹은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그 택시를 배제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택시가 사용자의 현 위치로 이동하도 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ZONE BASED SAFE TAXI CALL SERVICE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가의 유료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존 기반 통신망(zone based communication network)을 이용하여 택시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시스템을 운용하는 이동통신 사업자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음성 통화 서비스 및 데이터 통신 서비스 이외에 이동통신 가입자의 선호도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예컨대, 위치 기반 서비스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 중의 하나로서,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GPS 위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를 활용하여 위치 조회 서비스, 위 치 통보 서비스, 지리 정보 서비스 등의 서비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부가 서비스이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부가 서비스로서 단문 메시지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와 같은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나 다른 메시지 전송 매체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최근에 콜택시 서비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기존의 콜택시 서비스는 콜센터를 통한 탑승자와 택시를 연계시켜 주는 시스템이어서, 이동통신망 이용 요금 및 사용자와 택시운전자에게 콜센터 이용 수수료가 청구되는 유료 서비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콜센터 직원이 아닌 별도의 콜센터 서버가 존재하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해 콜택시를 이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는데, 이 역시 이동통신망 이용요금이 부과된다. 그리고, 택시기사의 이력을 알 수 없는 상태에서 택시를 탑승하게 되므로, 밤늦게 택시를 혼자 이용하는 탑승객의 불안감이 가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근에 택시 등의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한 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노약자 또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택시 강도 등이 잇따르고 있어, 대중교통 수단을 이용하는 시민들과 그 가족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대중교통 수단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안심 귀가 서비스" 등이 제공 되고 있다.
"안심 귀가 서비스"는 특정한 목적지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 교통편 등을 선택해서 등록하면, 알림 주기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여 이동통신 가입자의 목적지, 위치, 교통편 등의 정보를 다른 이동통신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그러나, 이동통신 가입자가 대중교통 수단에 탑승하고, 이동통신망이 제공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특정 서버에 접속한 후 목적지, 교통편, 알림 주기 등을 일일이 입력해야 하고, 목적지에 도착하면서 다시 특성 서버에 접속하여 서비스 중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롭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이동통신망을 통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접속이 필수적이어서, 적지 않은 이용요금이 발생된다.
이와 관련하여, 탑승자가 소지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하여 촬영한 이미지를 송신하면, 그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차량번호의 차량을 특정하는 등의 개선된 안심 귀가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이동통신망을 통한 서비스 접속이 필수적이다. 더욱이, 택시를 탈 때 택시의 차량 번호판을 정확히 촬영하여 전송하는 것은 제안한 것만큼 용이한 과정이 아니어서, 그 서비스의 활성화는 요원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안전하고 편안하게 택시 탑승 및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망을 필수적으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택시 탑승 및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에의 접속 및 해제, 차량번호판 촬영 등과 같고 복잡하고 번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이동통신 단말기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안전하고 편리한 택시 탑승 및 이용을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라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이 제공되는데, 상기 방법은 (a)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택시 호출 신호를 근거리 통신 장비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는 미리 정해진 존(zone)마다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자신이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 여 검출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택시 호출 신호에는 그 신호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수신 단계와; (b)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택시를 검출하여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택시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가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존 내에 설치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인, 상기 전송 단계와; (c) 상기 검출된 택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택시 선택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명령에 해당하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택시 배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혹은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그 택시를 배제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택시가 사용자의 현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가 속하는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고, 그 존 내에 택시가 검출되지 않으면, 인접 존의 근거리 통신 장비와의 통신을 통해 그 인접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 중 응답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택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는 택시기사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정보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e)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통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택시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택시 추적은 상기 존마다 설치된 근거리 통 신 장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f) 상기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 정보를 그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g) 상기 택시의 위치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험 예고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라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되는데, 상기 서버는 미리 정해진 존마다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자신이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여 검출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에 송신하는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 유닛과;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에 의해 커버가능한 존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택시를 검출하는 택시 검출 유닛으로서, 상기 택시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가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와 통신이 가능한 것인, 상기 택시 검출 유닛과;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 기로부터 발신되는 응답 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경유하여 수신되면, 해당 택시에 대한 정보를 택시 정보 DB로부터 찾아내어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택시 정보 전송 유닛과;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택시 선택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하기가 가장 편리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신호 전송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택시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택시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가 속하는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고, 그 존 내에 택시가 검출되지 않으면, 인접 존의 근거리 통신 장비와의 통신을 통해 그 인접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사용자가 탑승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부터 계산되는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전송하는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는 상기 존마다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이동하는 택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추적되는 택시의 이동 경로를 그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택시의 이동 경로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험 예고를 통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의 탑승 전 택시 기사의 이력 및 사용자 평가를 참조하여 택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이동통신 서비스 접속 없이도 일정 장소마다 이미 설치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할 수 있는 장비를 이용하여, 택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택시 호출로 인한 별도의 수수료 및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택시 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당업계에서 이미 널리 알려진 구성 내지는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그 특징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은 크게,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 근거리 통신 장비(200), 택시에 설치되는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 및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를 포함한다.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서버이다. 상기 서버는 예컨대, KTF, SKT 등과 같은 이동통신 사업자에 의해 구축될 수 있지만, 사용자와의 통신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서버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일반 데이터 유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어, 상기 서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택시 호출과 관련한 별도의 수수료 및 이동통신 요금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이점 중 하나이다.
근거리 통신 장비(200)는 단말기의 무선 접속을 지원하는 장비로서,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AP(Access Point)가 이용될 수 있다. AP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비는 AP 상호간에 무선 통신도 가능한 라우 터 역할을 지원하면서, 유선 네트워크로서의 연결을 지원하는 게이트웨이의 기능도 갖고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장비이다. 본 발명에서, 근거리 통신 장비(200)는 임의의 장소, 예컨대 버스/택시 정류장 등에 설치되어, 일정 존(zone) 내에서 무선 근거리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 장비(200)는 미리 정해진 존 마다 설치되어 일정 존 내에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400) 및 택시(300)와 무선으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특히 각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여 그 존 내에 있는 택시들을 검출하여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택시에 설치되는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통상의 GPS 통신, 네비게이션 기능 및 요금 결제 기능을 갖고 있다.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미리 정해진 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통신하여, 택시 콜을 원하는 사용자의 위치로 택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또 탑승 중에 택시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GPS 통신 및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택시 호출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구비된 소정의 프로그램의 택시호출 모드를 이용하여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면, 이 신호가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상기 서버에 수신되고, 서버의 제어하에 택시 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의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택시를 탑승하게 되면, 그 택시의 위치가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어, 택시 탑승자의 이동 위치를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 요소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세부적으로 설명한다.
1.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
도 3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는 AP 통신 인터페이스(102),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 택시 검출부(106), 응답 신호 수신부(108), 택시 정보 전송부(110), 택시 선택 신호 수신부(112), 이동 신호 전송부(114),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 서비스 평가 신호 수신부(118), 이동통신 인터페이스(120), 택시 정보 DB(130) 및 사용자 정보 DB(140)를 포함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 및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도 포함한다.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는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가 미리 정해진 존마다 설치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전송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부터의 택시 호출 신호를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수신한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일정 존 내에 있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탑승 모드로 전환한 후 목적지 정보를 입력하면, 목적지 정보 및 사용자의 현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택시 호출 신호가 자동으로 상기 존 내에 설치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로 전송되고, 근거리 통신 장비(200)는 이 신호를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 전송한다.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의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는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상기 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상기 신호가 수신되면, 택시 검출부(106)는 일정 존 내에 있는 택시를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검출한다. 즉 택시 검출부(106)는 일차적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한 근거리 통신 장비(200)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예컨대, 반경 10~100m)에서 그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접속된 택시(구체적으로는, 그 택시에 설치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만약, 상기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택시가 없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그 다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택시를 검출한다. 이와 같이 다른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한 택시의 검출은 무한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택시 호출 신호를 발신한 사용자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예컨대 1 km 반경 범위 내에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택시 검출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택시가 검출되면,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는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데, 이 신호는 해당 택시가 검출된 존 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로 전송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더욱 적극적인 방식으로 택시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택시 검출부(106)에 의해 하나 이상의 택시가 검출되어 검출된 택시 모두에 대해 택시 호출 신호가 전송된다. 아울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된 택시에 대한 택시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는데, 검출된 택시 모두가 사용자에게 이용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즉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의 택시 기사는 현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위치로 갈 수 없는 등 여타의 상황에 놓여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택시에 대한 정보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택시 검출부(106)는 택시 호출 신 호를 수신한 택시 중 오케이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택시 검출부(106)는 1차적으로 상기한 방식에 따라, 일정 존 내에 있는 택시들을 검출하고, 응답 신호 수신부(108)를 통해 오케이 신호가 수신되면, 2차적으로 상기 긍정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택시 호출 신호가 해당 택시로 전송됨과 아울러, 검출된 택시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다. 즉 사용자 입장에서는 가급적 안전한 택시 및/또는 서비스가 좋은 택시를 타고 싶어한다. 이러한 요구를 고려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택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택시 정보 DB(130)에는 본 서비스를 이용하는 택시들에 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즉 각 택시별로 택시기사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정보 및 이력 정보와 같이, 사용자가 택시를 선택할 때 고려하고자 하는 각종 정보를 택시 정보 DB(130)에 저장함으로써, 추후 사용자가 택시 선택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고 택시기사 역시 서비스에 대한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택시 정보 전송부(110)는 택시 검출부(106)에 의해 검출된 택시와 관련된 정보를 택시 정보 DB(130)를 검색하여, 관련 정보를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전송된 택시 관련 정보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상기 사 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택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전송되는 택시 관련 정보는 두 가지 양태를 취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택시 검출부(106)는 두 가지 양태로 택시를 검출한다. 즉 택시 검출부(106)는 1차적으로 일정 존 내에 있는 모든 택시들을 검출하는 기능과,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 중 오케이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택시 정보 전송부(110)는 이를 고려하여, 택시 검출부(106)가 검출한 택시, 즉 존 내에 있는 모든 택시인지, 특정 신호를 전송한 택시인지를 구분하여, 택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택시 검출부(106)가 일정 존 내에 있는 모든 택시들을 검출한 경우에는, 택시 정보 전송부(110)는 그에 해당하는 택시와 관련된 정보를 택시 정보 DB(130)로부터 추출하고, 응답 신호 수신부(108)를 통해 소정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어 택시 검출부(106)가 특정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한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택시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한다. 즉 택시 정보 전송부는 택시 검출부에 검출된 택시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택시 관련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송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택시 관련 정보를 살펴보고, 자신이 원하는 정보의 택시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특정 택시를 선택하면, 그 택시 선택 신호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어, 택시 선택 신호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된다. 상기 신 호가 수신되면, 이동 신호 전송부(114)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그 신호에 해당하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택시가 사용자의 현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수신된 택시 관련 정보 중 마음에 들지 않는 특정 택시를 배제하고자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400)를 통해 특정 택시를 배제하는 신호를 전송하면, 이동 신호 전송부(116)는 그 택시를 배제한 채, 상기 과정을 통해 검출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로 이동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 또는 특정 택시 배제 신호를 무한정 기다리는 경우, 신속한 서비스가 곤란하므로, 택시 정보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후, 소정 시간(에컨대, 10~20초)이 지나도 아무런 신호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 이동 신호 전송부(114)는 상기 과정을 통해 검출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신속히 택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와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의 GPS 위치 정보가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탑승 모 드로 전환된다.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가 탑승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그 단말기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가 계산되어,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로 전송된다.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예상 이동 경로를 수신한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택시가 각 존을 통과할 때마다 각 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택시의 위치를 추적하게 된다.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에 의해 관리되는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벗어나 택시가 이동하는 경우,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위험 예고 신호를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함과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도 전송하여, 혹시 발생할 수도 있는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평가 신호 수신부(118)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서비스 평가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자신이 이용한 택시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하여 소정의 평가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평가 점수는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서비스 평가 신호 수신부(118)를 통해 수신되어, 택시 정보 DB(130)에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는 추후 다른 사용자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할 때 택시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때 사용된다.
한편, 사용자 정보 DB(140)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관련 된 각종 정보, 예컨대 택시 콜 서비스 이용 내역,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와 관련된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택시에 설치되는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2.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
도 4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AP 통신 인터페이스(302), 신호 수신 유닛(304), 응답 신호 전송 유닛(306), 근거리 통신 유닛(308), 네비게이션 유닛(310), 요금 결제 유닛(312)를 포함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 및 각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유닛 및 GPS 통신을 위한 GPS 유닛도 포함한다.
AP 통신 인터페이스(302)는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미리 정해진 존 마다 설치되어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통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택시를 탑승하게 되면, 택시는 근거리 통신 장 비(2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을 통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택시의 이동 위치가 AP 통신 인터페이스(302)와 근거리 통신 장비(200) 사이의 통신을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어, 제3자는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신호 수신 유닛(304)는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는 여러 종류의 신호를 택시로 전송하는데, 신호 수신 유닛(304)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전송되는 신호, 예컨대 택시 호출 신호, 이동 신호 등을 AP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수신한다.
응답 신호 전송 유닛(306)은 사용자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겠다는 오케이 신호(응답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즉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부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 중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택시의 운전 기사가 예컨대, 상기 단말기에 마련된 입력 수단(터치 스크린, 입력 버튼 등)을 이용하여 긍정 신호로 보내면, 그 신호가 응답 신호 전송 유닛(306)에 의해 근거리 신호 AP(200)를 경유하여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한 바와 같이 처리된다.
근거리 통신 유닛(308)은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근거리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근거리 통신 유닛(308)은, 예컨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 규약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사용자가 특정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근거리 통신 유닛(308)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통신하여 그 단말기에 기록되어 있는 목적지 정보를 수신하고, 이 정보는 네비게이션 유닛(310)으로 전달되어, 네비게이션 유닛이 예상 이동 경로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네비게이션 유닛에 의해 계산된 예상 이동 경로는 근거리 통신 유닛(308)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되고, 바람직하게는 AP 통신 인터페이스(302)를 통해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어,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에 의해 관리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요금 결제 유닛(312)은 이동 통신 단말기(400)를 이용하여 택시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성으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GPS 유닛은 택시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한 것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400)에는 GPS 기능이 부여되는데, 탑승객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GPS와 일치하는 GPS 위치 정보를 가지는 택시의 위치가 상기 GPS 유닛을 통해 자동으로 추적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 면, GPS 유닛에 의해 추적되는 택시의 위치는 근거리 통신 유닛(308)을 통해 주기적으로 탑승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되어, 탑승자가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택시의 위치는 탑승자가 미리 설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이동통신망을 통해 자동으로 전송되어, 탑승자뿐만 아니라 제3자도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더욱이, 택시가 상기 산출된 예상 이동 경로를 벗어나 이동하는 경우, 이 사실이 이동통신 단말기(400) 및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 전송되어, 제3자의 단말기(500)로 전송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3. 이동통신 단말기(400)
근거리 통신 및 GPS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400)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소정의 소프트웨어/하드웨어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GPS 기능을 통해 파악되는 사용자의 현위치와 사용자가 입력한 목적지 정보를 상기 AP(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택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상기 디스플레이된 택시에 대한 정보 중 사용자가 특정 택시를 선택하거나 배제하는 신호를 다시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택시에 설치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0와 근거리 통신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부터 계산된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위험 예고 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소정의 신호를 전송하도록 프로그램된 명령어 등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명령어 등이 프로그램된 소프트웨어, 즉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라면 특별한 어려움 없이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 존 내에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서비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한다(S10). 이 택시 호출 신호에는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GPS 유닛에 의해 파악되는 사용자의 현위치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한 목적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택시 호출 신호는 특정 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100)의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에 의해 수신된다(S12). 택시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택시 검출부(106)는 상기 택시 호출 신호가 전송되어 온 근거리 통신 장비(200)가 커버할 수 있는 존 내의 택시를 근거리 통신 장 비(200)를 통해 검출한다(S14). 구체적으로, 택시 검출부(106)는 일차적으로 상기 신호를 전송한 근거리 통신 장비(200)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예컨대, 반경 10~100m)에 그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근거리 통신을 하고 있는 택시가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만약, 상기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택시가 없으면,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른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그 다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택시를 검출한다.
상기 택시 검출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택시가 검출되면,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부(104)는 AP 통신 인터페이스(102)를 통해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검출된 택시로 전송한다(S16). 이어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 중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하고자 하는 택시의 운전자가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를 이용하여(예컨대, 터치 스크린 또는 응답 버튼 등), 소정의 응답 신호를 전송하면, 이 신호가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거쳐 응답 신호 수신부(108)를 통해 수신된다(S18).
상기 응답 신호가 수신되면, 택시 정보 전송부(110)는 상기 응답 신호를 보낸 택시에 대한 정보를 택시 정보 DB(130)를 검색하여 찾아내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하고(S20),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택시 선택과 관련된 신호가 전송되는지를 대기한다(S22).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는 택시기사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정보 및 이력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 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는 그 정보를 살펴본 후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원하는 특정 택시를 선택하고, 이 택시 선택 신호가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택시 선택 신호 수신부(112)를 통해 수신된다(S22, 예). 상기 택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이동 신호 전송부(114)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그 신호에 해당하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로 이동 신호를 전송한다(S24). 또한, 사용자가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신호를 전송하였으나, 특정 택시를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택시를 배제하는 신호를 전송한 경우에는, 그 특정 택시를 배제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한다(S24). 한편, 사용자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아무런 선택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경우(S22, 아니오), 이동 신호 전송부(114)는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하여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한다(S26).
이어서, 사용자가 상기한 과정에 따라 소정의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와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의 GPS 위치 정보가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는 탑승 모드로 전환된다.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가 탑승 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와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하여, 목적지가 자동으로 상기 단말기에 입력되고, 네비게이션 유닛(310)에 의해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가 계산된다(S28). 상기 계산된 예상 이동 경로는 근거리 통신 유닛(308)을 통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됨과 아울러, AP 통신 인터페이스(302)와 근거리 통신하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로 전송된다(S30).
한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된 예상 이동 경로는 사용자가 미리 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자동으로 전송되어, 제3자는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에는 GPS 기능이 부가되어 있어,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400)는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전송함과 아울러, 위성에 의해 파악되는 사용자의 위치를 주기적으로 제3자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추가의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동 경로를 추적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예상 이동 경로를 수신한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근거리 통신 장비(200)를 통해 택시가 각 존을 통과할 때마다 각 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200)을 통해 택시의 위치를 추적한다(S32). 이러한 택시 위치 추적에 기반하여,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이동하는 경로를 주기적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 및/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전송한다(S34). 즉 사용자 정보 DB(140)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정보,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다.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일정 시간마다 택시의 위치를 추적함과 아울러, 그에 따라 파악되는 택시의 위치를 근거리 통신 장비(200)와 통신 상태에 있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로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사용자 정보 DB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도 전송한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추가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도 안전한 택시 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116)는 택시의 위치 추적 중, 상기 수신된 예상 이동 경로를 벗어나 택시가 이동하는 것을 검출하면, 소정의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400) 및/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500)로 전송함으로써(S36), 혹시 일어날 수도 있는 위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택시가 목적지에 도달하면,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300)의 요금 결제 유닛(312)을 통해 요금 결제가 이루어진다(S38).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택시 서비스를 평가할 수 있는데, 이용한 택시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그 신호를 전 송하면, 서비스 평가 신호 수신부(118)가 이를 수신하여 택시 정보 DB(130)에 저장한다(S4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제공하는 시스템 내에서 택시 기사의 이력 및 사용자 평가를 참조하여 택시를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받을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이동통신 서비스 접속 없이도 AP와 같은 근거리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택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어, 택시 호출로 인한 별도의 수수료 및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 요금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상기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미리 정해진 존마다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양태 및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를 추적하는 양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존 기반 택시 운영 서버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구성되는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의 기능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택시 콜 안심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Claims (14)

  1.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으로서,
    (a)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택시 호출 신호를 근거리 통신 장비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는 미리 정해진 존(zone)마다 설치되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자신이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여 검출하고 서로 통신 가능하며 상기 택시 호출 신호에는 그 신호를 발신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목적지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상기 수신 단계와,
    (b)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택시를 검출하여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택시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가 설치되어, 미리 정해진 존 내에 설치된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것인, 상기 전송 단계와;
    (c) 상기 검출된 택시에 대한 정보를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사용자의 택시 선택 명령을 대기하는 단계와;
    (d)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명령에 해당하는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고,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특정 택시 배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혹은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택시 선택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그 택시를 배제한 복수의 택시 중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와 관련 하여 가장 가까운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택시가 사용자의 현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가 속하는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고, 그 존 내에 택시가 검출되지 않으면, 인접 존의 근거리 통신 장비와의 통신을 통해 그 인접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 중 응답 신호를 전송한 택시를 검출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응답 신호를 전송한 택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는 택시기사에 대한 서비스 평가 정보 및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e)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통보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탑승한 상기 택시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택시 추적은 상기 존마다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f) 상기 이동하는 택시의 위치 정보를 그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g) 상기 택시의 위치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험 예고를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10.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로서,
    미리 정해진 존마다 설치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고 자신이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과 근거리 통신하여 검출할 수 있는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발신된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존 내의 택시들에 송신하는 택시 호출 신호 송수신 유닛과;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에 의해 커버가능한 존 내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택시를 검출하는 택시 검출 유닛으로서, 상기 택시에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가 설치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와 통신이 가능한 것인, 상기 택시 검출 유닛과;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수신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부터 발신되는 응답 신호가 상기 근거리 통신 장비를 경유하여 수신되면, 해당 택시에 대한 정보를 택시 정보 DB로부터 찾아내어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택시 정보 전송 유닛과;
    상기 택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소정의 택시 선택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거나 사용자가 이용하기가 가장 편리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이동 신호를 전송하는 이동 신호 전송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택시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를 고려하여,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근거리 통신 장비가 커버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하나 이상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인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택시 검출 유닛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위치가 속하는 존 내의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그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고, 그 존 내에 택시가 검출되지 않으면, 인접 존의 근거리 통신 장비와의 통신을 통해 그 인접 존 내의 택시를 검출하여 해당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 상기 택시 호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탑승한 택시의 콜 서비스 운영 단말기로부터 계산되는 목적지까지의 예상 이동 경로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상기 예상 이동 경로를 전송하는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예상 이동 경로 관리부는 상기 존마다 설치된 근거리 통신 장비를 통해 이동하는 택시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며, 상기 추적되는 택시의 이동 경로를 그 택시에 탑승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택시의 이동 경로가 상기 예상 이동 경로에서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제3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위험 예고를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0090052156A 2009-06-12 2009-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050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56A KR101050762B1 (ko) 2009-06-12 2009-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156A KR101050762B1 (ko) 2009-06-12 2009-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55A KR20100133555A (ko) 2010-12-22
KR101050762B1 true KR101050762B1 (ko) 2011-07-20

Family

ID=43508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156A KR101050762B1 (ko) 2009-06-12 2009-06-1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0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2922B1 (ko) * 2011-03-30 2012-01-10 이상현 식별코드를 이용한 차량/사용자위치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2047493B1 (ko) * 2012-08-24 2019-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의 교통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교통 서비스 관리 서버의 교통 서비스 관리 방법, 및 교통 서비스 제공 차량의 교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87848B1 (ko) * 2013-11-07 2016-01-26 김경수 택시 배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18140B1 (ko) * 2013-12-24 2015-05-08 박매호 콜택시 양방향 정보 제공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폰,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콜택시 양방향 정보 제공 시스템
KR101889046B1 (ko) * 2016-07-28 2018-08-21 주식회사 콜버스랩 주문형 교통 서비스를 위한 탑승 주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2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호출 시스템
KR20040106954A (ko) * 2003-06-05 2004-12-20 주식회사 케이티 단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60107894A (ko) * 2005-04-11 2006-10-16 전재성 택시 이용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44270A (ko) * 2005-10-24 2007-04-27 김경수 콜택시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25A (ko) * 2002-02-22 200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차량 호출 시스템
KR20040106954A (ko) * 2003-06-05 2004-12-20 주식회사 케이티 단거리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차량호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060107894A (ko) * 2005-04-11 2006-10-16 전재성 택시 이용 안전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70044270A (ko) * 2005-10-24 2007-04-27 김경수 콜택시 선택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3555A (ko) 201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3747B2 (en) Parking lot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LAN system
AU2006346396B2 (en) Emergency call system using specific mobile user information
US6615046B1 (en) Automatic dispatch of mobile services
KR1010507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존 기반 택시 콜 안심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90445A (ko) 안전한 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EP1901572B2 (en) A method and system based on secure user plane location
JPH10108246A (ja) 呼出局と1以上の被呼局との間で通信を確立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8012457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eo-fencing service via in-vehicle electric device
WO2006113716A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e of information amongst peers in a peer to peer wireless network
US2012018429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tely initiated parking service
JP2005503739A (ja) 電話呼び出し経路指定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80111866A (ko) 주차관리시스템
CN110312203A (zh) 信息处理方法、相关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9101111A1 (zh) 一种单车泊车管理方法及系统
KR100594433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교통수단의 승,하차 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200380533A1 (en) Driver verification for ride hailing service
KR101147371B1 (ko) 지하철 성추행발생 신고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4317477B2 (ja) バス運行システム、並びにこれに利用されるバス運行管理装置
KR20090116538A (ko) 이동통신망의 단말기 위치추적을 이용한 비상호출 방법
KR101401524B1 (ko)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JP2005252466A (ja) タクシー呼出システムおよびタクシー搭載装置
KR20160112805A (ko) 대중교통 서비스 시스템 및 대중교통 안심 이용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4070766A (ja) 車両到着時刻通知システム
JP2008287491A (ja) プローブデータ収集システム
KR100962379B1 (ko) 근접 지역에서의 p2p 기반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