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980B1 - 내시경 - Google Patents

내시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980B1
KR101049980B1 KR1020087030429A KR20087030429A KR101049980B1 KR 101049980 B1 KR101049980 B1 KR 101049980B1 KR 1020087030429 A KR1020087030429 A KR 1020087030429A KR 20087030429 A KR20087030429 A KR 20087030429A KR 101049980 B1 KR101049980 B1 KR 101049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illumination
lens
tip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30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976A (ko
Inventor
히로노부 이찌무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88Optical arrangements with focusing or zooming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2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for off-axis illum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1)의 선단면(2a1)에 피검체를 관찰하는 관찰부(3)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제1, 제2 조명부(4A, 4B)가 배치되고, 관찰부(3)의 관찰창(7)의 선단 관찰 렌즈인 제1 렌즈(18b1)는, 선단면(2a1)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생체에 접촉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에 의해 선명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한다.
Figure R1020087030429
내시경, 피검체, 생체, 선단 관찰 렌즈, 조명광, 관찰창

Description

내시경{ENDOSCOPE}
본 발명은, 대물 광학계의 선단부를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그 대상물을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5-640호 공보(특허 문헌 1)에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와, 통상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이 개시되어 있다.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는, 대물 광학계의 선단부를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그 대상물을 관찰한다. 통상의 관찰 광학계는, 대물 광학계를 대상물에 비접촉 상태에서 그 대상물을 관찰한다. 여기에서, 특허 문헌 1의 내시경에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면에,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는, 이 돌출부의 끝면에 배설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의 돌출부의 근원측의 끝면에는 통상의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과, 복수의 조명 광학계의 조명창과, 송기 송수 노즐과, 처치구 삽통 채널의 선단 개구부 등이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의 근원측의 끝면의 조명 광학계의 조명창으로부터 조명광이 내시경의 전방을 향해서 조사된다. 이 조명광은, 통상의 관찰 광학계의 조명광으로서 사용됨과 함께,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의 조명광으로서도 사용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38835호 공보(특허 문헌 2)에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면에, 전방을 향해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구성의 내시경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삽입부의 선단면의 돌출부의 끝면에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과, 조명 광학계의 조명창과, 제1 처치구 삽통 채널의 선단 개구부 등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의 돌출부의 근원측의 끝면에는 제2 처치구 삽통 채널의 선단 개구부가 배설되어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특허 문헌 1의 구성에서는, 돌출부의 끝면에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가 배설되어 있다. 조명 광학계의 조명창은 삽입부의 돌출부의 근원측의 끝면에 배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에 의한 세포 관찰 시에는 돌출부의 끝면의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은 대상물에 접촉 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조명창은 대상물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조명창과 대상물의 사이에 공기층이 개재하게 된다. 여기에서, 조명창의 글래스의 굴절률 n1은 1.5∼1.8, 공기층의 굴절률 n2는 1, 대상물인 생체 조직의 굴절률 n3은, 1.3∼1.5 정도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조명광이 통과하는 부분의 굴절률 n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조명창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에 산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 때문에, 관찰창으로부터 관찰되는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2에서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돌출부의 선단면에,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과, 조명 광학계의 조명창이 병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에 의한 세포 관찰 시에는 돌출부의 끝면의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과 조명창의 양방을 각각 대상물에 접촉시키기 쉽다. 그러나, 관찰 대상물인 생체 조직은, 부드럽고, 변형되기 쉬우므로, 돌출부의 끝면 전체를 항상 관찰 대상물인 생체 조직에 균일하게 접촉시킨 상태에서 유지시키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돌출부의 선단면의 관찰창이나, 조명창의 일부가 대상물에 대하여 비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서, 조명창의 일부가 대상물에 대하여 비접촉한 상태에서 유지된 경우에는 특허 문헌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조명창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에 산란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도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여,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에 의해, 선명한 관찰 화상을 얻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생체에 접촉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에 의해 선명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서의 내시경은, 선단 및 기단을 갖고, 가늘고 긴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선단에 배설된 선단면을 갖고, 피검체를 관찰하는 관찰부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상기 선단면에 배설되어 있는 내시경으로서, 상기 관찰부는, 상기 피검체의 관찰상을 입사하는 관찰창을 갖고, 적어도 상기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선단면보다도 상기 삽입부의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피검체의 접촉 관찰 시에는, 피검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의 선단부에 돌출하여 설치된 돌출면을 피검체에 접촉시키고, 조명부 및 관찰부를 피검체에 각각 꽉 누른다. 이 때,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은 선단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선단면이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삽입부의 선단면이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사시형의 내시경에 적용하고,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을 경사면의 끝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면은, 적어도 제1 면과, 이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을 갖고, 상기 관찰부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상기 관찰부의 상기 선단 관찰면은, 상기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선단면의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의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을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찰부는, 상기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부와, 상기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제2 관찰부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제1 관찰부에 의해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함과 함께, 제2 관찰부를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시키고, 접촉 상태에서 생체 조직의 세포 관찰을 행한다. 이 때, 선단면의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에 제2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을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2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제2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단면은, 적어도 제1 면과, 이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을 갖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피검체를 관찰하는 관찰부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배치되며, 또한 상기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 및 상기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은, 상기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선단면의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의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 및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을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 및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보다도 상기 제2 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을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보다도 제2 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은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보다도 상기 제2 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상태로 설정되며, 또한 상기 관찰부는, 상기 관찰창의 주위에 상기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상기 선단 관찰면에 직접적으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 수단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선단면의 제2 면에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 및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을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 및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함과 함께,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으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이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을 향해서 진행한 경우에 관찰창의 주위의 차광 수단에 의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선단 관찰면에 직접적으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관찰부는, 상기 제1 관찰부보다도 고배율의 관찰 광학계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내시경에서는, 제1 관찰부에 의해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함과 함께, 제2 관찰부의 고배율의 관찰 광학계를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시키고, 접촉 상태에서 생체 조직의 세포 관찰을 행한다. 이 때, 선단면의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에 제2 관찰부의 고배율의 관찰 광학계의 선단 관찰면을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제2 관찰부의 고배율의 관찰 광학계의 선단 관찰면 전체를 피검체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어,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제2 관찰부의 관찰창에 직접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체에 접촉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에 의해 선명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내시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의 끝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Ⅱa-Ⅱb-Ⅱc-Ⅱd-Ⅱe선 단면도.
도 3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관찰부의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4A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이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보다도 전방에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4B는 내시경의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이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과 거의 동일면의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5A는,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렌즈가 돌출된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에 의한 관찰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5B는, 렌즈가 돌출되어 있지 않은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에 의한 관찰 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Ⅶa-Ⅶb-Ⅶc-Ⅶd-Ⅶe-Ⅶf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는, 제6 실시 형태의 직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사시형의 내시경의 선단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A,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방 정면 방향을 관찰하는 직시형의 내시경의 끝면(2a1)을 나타낸다. 직시형의 내시경은,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이 삽입부(1)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선단부(2)의 끝면(2a1)에는, 1개의 관찰부(3)와, 2개(제1, 제2)의 조명부(4A, 4B)와, 처치구 삽통 채널('겸자 채널'이라고도 함)(5)의 1개의 선단 개구부(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전방 송수 채널)(6)의 1개의 개구부(6a)가 배설되어 있다. 관찰부(3)는, 피검체를 관찰한다. 제1, 제2 조명부(4A, 4B)는, 조명광을 조사한다. 처치구 삽통 채널(5)과 전방 송수용의 관로(6)는, 각각 삽입부(1)의 내부에 그 축 방향을 따라서 연정되어 형성되어 있다.
관찰부(3)에는, 후술하는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촬상 유닛)(15)(도 2 참조)의 1개의 관찰창(7)이 설치되어 있다. 이 관찰창(7)은,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부와,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부를 겸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 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 내에는, 경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원주 부재(선단 경성 부재)(8)와, 원환 형상의 보강 고리(9)가 배설되어 있다. 보강 고리(9)는, 원주 부재(8)의 기단측 외주부의 외측에 끼워진다. 원주 부재(8)에는, 삽입부(1)의 축 방향과 평행한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5개(제1∼제5)의 구멍부(8a1∼8a5)(제5 구멍부(8a5)는 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고리(9)의 기단 부분은, 만곡부(도시 생략)의 최선단의 만곡구와 연결되어 있다.
원주 부재(8)의 선단면 및 원주 부재(8)의 선단측 외주부에는 선단 커버(10)가 외측에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10)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 형상의 베이스면(제1 면)(11)과,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면(11)은, 삽입부(1)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는, 베이스면(1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돌출부(12)의 선단면에는, 돌출면(제2 면)(13)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면(13)은, 베이스면(11)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면(11)과 돌출부(12) 사이의 벽부에는,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45°정도인 경사면(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은, 선단 커버(10)의 전면 전체의 원 형상의 1/2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커버(10)의 원 형상의 전면 전체의 상반분의 부분에 돌출면(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2)의 외주 벽면(12w)과, 선단부(2)의 외주 벽면(2w)을 동일 곡면 상에 연속 형성시킨 연속 주벽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연속 주벽면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커버(10)의 원 형상의 외주면 전체 중 거의 반주분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는,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7)과, 제1, 제2 조명부(4A, 4B)가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관찰창(7)은, 돌출면(13)의 거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제2 조명부(4A, 4B)는, 관찰창(7)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면(11)에는, 처치구 삽통 채널(5)의 선단 개구부(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6)의 개구부(6a)가 배설되어 있다.
선단부(2)의 원주 부재(8)의 3개(제1∼제3)의 구멍부(8a1∼8a3)는, 돌출부(12)의 관찰부(3)와, 제1, 제2 조명부(4A, 4B)와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 부재(8)의 제1 구멍부(8a1)에는, 관찰부(3), 제2 구멍부(8a2)에는, 제1 조명부(4A), 제3 구멍부(8a3)에는, 제2 조명부(4B)의 각 구성 요소가 각각 조립되어 있다.
또한, 원주 부재(8)의 남은 2개(제4, 제5)의 구멍부(8a4, 8a5)는, 베이스면(11)의 처치구 삽통 채널(5)의 선단 개구부(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6)의 개구부(6a)와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 부재(8)의 제4 구멍부(8a4)에는, 처치구 삽통 채널(5)의 관로의 구성 요소가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주 부재(8)의 제5 구멍부(8a5)(도시 생략)에는, 전방 송수용의 관로(6)의 구성 요소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관찰부(3)에는,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은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다. 이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는, 관찰 배율을 Tele(확대) 위치로부터 Wide(광각) 위치까지 연속적으로 변경 가능한 줌 광학계를 구비한 줌 렌즈 유닛(16)과, 전기 부품 유닛(17) 을 갖고 있다.
줌 렌즈 유닛(16)은, 또한 4개(제1∼제4)의 유닛 구성체(18∼21)를 갖는다. 제1 유닛 구성체(18)는, 제1 렌즈 틀(18a)과, 대물 렌즈를 구성하는 제1 렌즈군(18b)을 갖는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군(18b)은, 6개(제1∼제6)의 렌즈(18b1∼18b6)를 갖는다. 여기에서, 관찰창(7)을 형성하는 관찰 렌즈인 제1 렌즈(18b1)는, 제1 렌즈 틀(18a)의 최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1 렌즈(18b1)의 선단부(선단 관찰면)는, 제1 렌즈 틀(18a)의 선단부보다도 전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제1 렌즈 틀(18a)에 예를 들면, 흑색 접착제(22)에 의해 접착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 렌즈(18b1)의 선단부 외주면에서의 제1 렌즈 틀(18a)의 선단부보다도 전방에 돌출된 부분은 흑색 접착제(22)에 의해 피복된 상태에서 유지되어 있다.
제2 유닛 구성체(19)는, 촬영 광축 방향에 대하여 진퇴 가능한 주밍용의 이동 광학 유닛이다. 이 제2 유닛 구성체(19)는, 제2 렌즈 틀(섭동 렌즈 틀)(19a)과, 제2 렌즈군(줌 렌즈)(19b)을 갖는다. 제2 렌즈군(19b)은, 2개(제1, 제2)의 렌즈(19b1, 19b2)를 갖는다.
제3 유닛 구성체(20)는, 제3 렌즈 틀(20a)과, 제3 렌즈군(20b)을 갖는다. 제3 렌즈 틀(20a)의 내부에는 선단측에 제2 유닛 구성체(19)를 촬영 광축 방향에 대하여 진퇴 가능하게 유지하는 가이드 공간(20c)을 갖는다. 그리고, 이 가이드 공간(20c)의 후방에 제3 렌즈군(20b)이 배설되어 있다. 제3 렌즈군(20b)은, 3개(제1∼제3)의 렌즈(20b1∼20b3)를 갖는다.
또한, 제4 유닛 구성체(21)는, 제4 렌즈 틀(21a)과, 제4 렌즈군(21b)을 갖는 다. 제4 렌즈군(21b)은, 2개(제1, 제2)의 렌즈(21b1, 21b2)를 갖는다.
또한, 제2 유닛 구성체(19)의 제2 렌즈 틀(19a)에는, 제2 유닛 구성체(19)를 촬영 광축 방향에 대하여 진퇴 조작하는 조작 와이어(도시 생략)의 선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내시경의 조작부에 설치되는 주밍용의 조작 레버(도시 생략)가 유저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조작 와이어가 촬영 광축 방향에 대하여 진퇴 구동된다. 이 때, 조작 와이어가 선단 방향으로 압출되는 조작에 수반하여 줌 광학계인 제2 유닛 구성체(19)는, 전방(Wide(광각) 위치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작 와이어가 바로 앞측 방향으로 당겨지는 조작에 수반하여 줌 광학계인 제2 유닛 구성체(19)는, 바로 앞측(Tele(확대) 위치 방향)을 향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유닛 구성체(19)가 제3 유닛 구성체(20)의 가이드 공간(20c)의 최후단 위치 이외의 위치로 이동되어 있는 상태가,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 위치의 범위(통상 관찰)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2 유닛 구성체(19)가 가이드 공간(20c)의 최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가,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 위치(모니터 관찰 배율로 200∼1000배 정도의 대상물 접촉 관찰)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주밍용의 조작 레버(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해 제2 유닛 구성체(19)가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 위치와,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 위치로 절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섭동하는 주밍용의 제2 유닛 구성체(19)에는, 제2 렌즈 틀(19a)에 밝기 조리개(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밝기 조리개(23)는, 제2 렌즈 틀(19a)에 유지 되어 있는 제1 렌즈(19b1)의 전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밝기 조리개(23)는, 차광성 시트(23a)의 중앙 부분에 광을 투과시키는 개구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유닛 구성체(20)에는, 제1 렌즈(20b1)와 제2 렌즈(20b2) 사이에 렌즈 간격을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간격 고리(24)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간격 고리(24) 사이에는, 광학 플레어를 방지하는 플레어 조리개(25)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4 유닛 구성체(21)의 후단부에는, 전기 부품 유닛(17)이 연장되어 설치되어 있다. 전기 부품 유닛(17)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26)와, 회로 기판(27)을 갖는다. 또한, 촬상 소자(26)의 전면의 수광면측에는, 커버 글래스(2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기 부품 유닛(17)의 커버 글래스(28)는, 제4 유닛 구성체(21)의 제2 렌즈(21b2)에 병설되는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줌 렌즈 유닛(16)과, 전기 부품 유니(17)이 일체화된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가 형성되어 있다.
회로 기판(27)은, 전기 부품 및 배선 패턴을 갖고, 신호 케이블(29)의 복수의 신호선의 선단부가 납땜 등의 수단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커버 글래스(28), 촬상 소자(26), 회로 기판(27) 및 신호 케이블(29)의 선단 부분은, 각각의 외주부가 일체적으로 절연 밀봉 수지 등에 의해 덮어져 있다.
그리고, 줌 렌즈 유닛(16)으로부터 촬상 소자(26)에 결상되는 광학상이 촬상 소자(26)에 의해 전기적인 화상 신호로 광전 변환되고, 그 화상 신호가 회로 기판(27)에 출력된다. 또한, 회로 기판(27)으로부터 출력되는 광학상의 전기 신호가 신호 케이블(29)을 통해서 후속하는 전기 기기(도시 생략)에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는, 원주 부재(8)의 제1 구멍부(8a1) 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접착되어 달라 붙어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조명부(4A, 4B)는, 거의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조명부(4A)의 구성만을 설명하고, 제2 조명부(4B)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조명부(4A)에는, 조명 렌즈 유닛(3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명 렌즈 유닛(30)은, 복수의 조명 렌즈(31)와, 이들 조명 렌즈(31)를 유지하는 유지 틀(32)을 갖는다.
또한, 선단부(2)의 원주 부재(8)의 제2 구멍부(8a2)의 전단부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조명 렌즈 유닛(30)의 조명 렌즈(31)가 끼워져 있다.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12)의 돌출면(13)으로부터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길이 L2는, 예를 들면 0.1㎜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 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전방에 돌출되고, L2>L1>0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구멍부(8a2)의 후단부에는 조명광을 전송하는 라이트 가이드(33)의 선단 부분이 끼워져 있다. 라이트 가이드(33)는, 선단 부분에 원통 부재(34)가 씌워지고, 복수의 파이버 섬유를 묶고 있는 외피(35) 및 고어 소재인 보호 튜브(36)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는, 삽입부(1), 내시경의 조작부, 유니버설 케이블(도시 생략)의 내부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커넥터 내에 연장되어 있다. 라이트 가이드(33)의 기단부측은 커넥터로부터 돌출하는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라이트 가이드 커넥터가 광원 장치(도시 생략)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라이트 가이드(33)는, 예를 들면 내시경의 조작부 내에서 분기되고, 삽입부(1)에서 2개로 분할된 상태에서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2개로 분할된 각 라이트 가이드(33)의 선단부는, 선단 커버(10)에 설치된 2개의 조명창, 즉 제1 조명부(4A), 제2 조명부(4B)의 각 조명 렌즈(31)의 배면 근방에 각각 대향 배치되며, 원주 부재(8)의 제2 구멍부(8a2)와, 제3 구멍부(8a3)의 후단부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광원 장치로부터의 조명광이 라이트 가이드(33)의 기단부에 조사되고, 이 라이트 가이드(33)를 통해서 도광되는 조명광이 제1 조명부(4A), 제2 조명부(4B)의 각 조명 렌즈(31)를 통해서 내시경의 전방에 출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의 원주 부재(8)에 형성되는 제4 구멍부(8a4)에는 기단부측으로부터 처치구 삽통 채널(5)에 연통하는 연통관(37)의 선단 부분이 끼워져 있다. 이 연통관(37)의 기단부는 원주 부재(8)의 후방에 돌출되고, 이 연통관(37)의 기단 부분에 처치구 삽통 채널(5)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 처치구 삽통 채널(5)의 선단은, 연통관(37)을 통해서 선단 커버(10)의 선단 개구부(5a)에 연통되어 있다.
이 처치구 삽통 채널(5)은, 삽입부(1)의 기단 부근에서 분기되고, 한쪽은 내시경의 조작부에 배설되는 처치구 삽입구(도시 생략)까지 삽통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은, 삽입부(1) 및 유니버설 케이블(도시 생략) 내를 통하여 흡인 채널에 연통하고, 그 기단이 커넥터를 통해서 흡인 수단(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또한, 선단부(2)의 원주 부재(8)에 형성되는 제5 구멍부(8a5)에는, 후단부측으로부터 대략 원통 형상의 관 부재의 선단 부분이 끼워져 있다. 이 관 부재의 기단부는 원주 부재(8)의 후방에 돌출되고, 이 관 부재의 기단 부분에 전방 송수용 관로(6)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 송수용 관로(6)의 선단부는 관 부재의 기단 부분을 덮고, 선단 부분이 실감개에 의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이 전방 송수용 관로(6)는, 삽입부(1), 내시경의 조작부 및 유니버설 케이블을 통하여, 커넥터까지 삽통되어 있으며, 전방 송수 장치(도시 생략)에 접속된다. 이 전방 송수용 관로(6)의 중도부에는, 내시경의 조작부에서, 전방 송수 버튼(도시 생략)이 개재하여 장착되어 있다.
이 전방 송수 버튼이 조작되면,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개구부(6a)로 부터 체강에의 삽입 방향을 향해서 멸균수 등의 액체가 뿌려진다. 이것에 의해, 체강 내의 피검 부위에 부착된 체액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내시경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사용 시에는, 내시경 시스템의 세트가 종료된 후, 환자의 체내에 내시경을 삽입하는 작업이 개시된다. 이 내시경의 삽입 작업 시에는 유저는, 미리, 관찰부(3)의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줌 광학계인 제2 유닛 구성체(19)를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 위치의 범위로 설정한다. 이 통상 관찰 상태에서, 내시경의 삽입부(1)를 체강 내에 삽입하고, 진단 대상의 환부 등을 관찰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라이트 가이드(33)에는 광원 장치로부터 예를 들면 RGB의 조명광이 면순차로 공급된다. 이것에 동기하여, 드라이브 회로는, CCD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하고, 제1 조명부(4A) 및 제2 조명부(4B)를 거쳐서 환자의 체강 내의 환부 등을 조명한다.
조명된 환부 등의 피사체는, 통상 관찰 위치의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을 통하여, 촬상 소자(26)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광전 변환된다. 그리고, 이 촬상 소자(26)는, 드라이브 신호의 인가에 의해, 광전 변환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 신호는, 신호 케이블(29)을 통해서 외부의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입력된다. 이 신호 처리 회로 내에 입력된 신호는, 내부에서 A/D 변환이 된 후, R, G, B용 메모리에 일시 저장된다.
그 후, R, G, B용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는, 동시에 읽어내어 동시화된 R, G, B 신호로 되고, 또한 D/A 변환되어 아날로그의 R, G, B 신호로 되어, 모니터에서 컬러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통상 관찰 위치의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을 사용하여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의 제1 렌즈(18b1)로부터 떨어진 관찰 대상물을 광범위하게 관찰하는 통상 관찰이 행해진다.
이 통상 관찰중에, 체강 내의 피검 부위에 체액 등이 부착되어 더러워진 경우에는 전방 송수 버튼이 조작된다. 이 전방 송수 버튼의 조작시에는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개구부(6a)로부터 체강에의 삽입 방향을 향해서 멸균수 등의 액체가 뿌려진다. 이것에 의해, 체강 내의 피검 부위에 부착된 체액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통상 관찰 위치의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에 의한 관찰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선단부가 원하는 관찰 대상 부위까지 유도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내시경의 선단부가 원하는 관찰 대상 부위에 접근한 상태에서, 주밍용의 조작 레버가 유저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의 제2 유닛 구성체(19)가 가이드 공간(20c)의 최후단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절환되고,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 위치(고배율의 대상물 접촉 관찰)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된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이 대상물인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진다. 이 때,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부분이 주로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지고, 이 이외의 베이스면(11) 등의 비돌출면은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대하여 피접촉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 때문에,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배치되어 있는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 및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가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압접 상태에서 접촉된다. 또한, 고배율로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표면을 확대 관찰하는 경우에는, 미리 관심 부위에 예를 들면 색소가 산포되고, 관심 부위가 염색되어 세포의 윤곽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 및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를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접촉시켜서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을 고배율로 관찰하는 고배율의 대상물 접촉 관찰 등이 행해진다.
그리고,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15)에 의한 생체 조직 H의 세포 관찰 시에는,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를 통과시켜서 조명광이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에 조사된다. 이 때,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에 조사되는 조명광의 일부는, 도 5A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내부까지 투과되고,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접합면의 주위에도 확산된다. 그 때문에,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의 전방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주위 부분에도 조명광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진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의해 관찰되는 부분에도 조명광이 조사됨으로써,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광 이,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을 통하여, 촬상 소자(26)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광전 변환된다.
그리고, 촬상 소자(26)는, 광전 변환된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 촬상 소자(26)의 내부에서 신호 증폭되어 촬상 소자(26)로부터 출력된다. 이 신호는, 신호 케이블(29)을 거쳐서 외부의 신호 처리 회로에 입력된다.
이 신호 처리 회로 내에 입력된 신호는, 내부에서 A/D 변환된 후, R, G, B용 메모리에, 예를 들면 동시에 저장된다. 그 후, R, G, B용 메모리에 저장된 신호는, 동시에 읽어내어 동시화된 R, G, B 신호로 되고, 또한 D/A 변환되어 아날로그의 R, G, B 신호로 되어, 모니터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15)를 사용한 고배율의 관찰 모드에서,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의 전방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관찰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18b1)와, 제1, 제2 조명부(4A, 4B)를 배치함과 함께, 관찰부(3)의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7)의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과, 제1, 제2 조명부(4A, 4B)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과, 제1, 제2 조명부(4A, 4B)를 선단부(2)의 돌출면(13)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피검체의 접촉 관찰 시에는,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면(13)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관찰 광학계(15)의 관 찰 렌즈인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과, 제1, 제2 조명부(4A, 4B) 전체를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배치된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와, 제1, 제2 조명부(4A, 4B)가 돌출부(12)의 돌출면(13)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여도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와, 제1, 제2 조명부(4A, 4B)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정확하게 접촉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여도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고, 제1, 제2 조명부(4A, 4B)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2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제2 조명부(4A, 4B)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에 산란이 발생하여,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와 같이 관찰부(3)의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7)의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과, 제1, 제2 조명부(4A, 4B)를 돌출부(12)의 돌출면(13)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한 경우에는,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면(13)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관찰 광학계(15)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과, 제1, 제2 조명부(4A, 4B) 전체를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거나, 제1, 제2 조명부(4A, 4B)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2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제2 조명부(4A, 4B)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에 산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부(12)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된 경우에는, 제1, 제2 조명부(4A, 4B)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에 산란이 발생하여,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강도가 약해진다. 그 때문에,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당접된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의해 관찰되는 생체 조직 H의 세포 관찰 등의 선명한 관찰 화상을 얻는 것이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 의 돌출 길이 L1과,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길이 L2의 관계는, L2>L1>0의 관계로 설정되고,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전방에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로부터 그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조명광이 출사된 경우이어도 그 조명광이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에 직접 입사될 우려가 없다. 따라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돌출 길이 L1과,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길이 L2의 관계가, L2=L1>0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로부터 그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조명광이 출사되었을 때에, 그 조명광이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에 직접 입사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제1 렌즈(18b1)의 선단부가, 제1 렌즈 틀(18a)의 선단부보다도 전방에 돌출된 상태에서 흑색 접착제(22)에 의해 제1 렌즈 틀(18a)에 제1 렌즈(18b1)가 접착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흑색 접착제(22)가 얇아진 부분에 제1 조명부(4A)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로부터 그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조명광이 진입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 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2)의 외주 벽면(12w)과, 선단부(2)의 외주 벽면(2w)을 동일 곡면 상에 연속 형성시킨 연속 주벽면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커버(10)의 원 형상의 외주면 전체 중 거의 반주분의 범위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외주면에 선단부(2)의 외주 벽면(2w)과 동일 곡면 상에 연속 형성시킨 연속 주벽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선단부(2)의 외주 벽면(2w)의 주위에 형성되는 데드 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삽입부(1)의 선단부(2) 전체의 외경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삽입부(1)의 선단부(2)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관찰 위치로부터 고배율의 확대 관찰 위치까지 줌 동작이 가능한 줌 광학계를 구비한 촬상 유닛의 관찰 광학계(15)를 사용하였으므로, 통상 관찰용의 촬상 유닛과 고배율의 확대 관찰용의 촬상 유닛을 별개로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촬상 유닛의 설치 스페이스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내시경의 선단부(2)의 소형화, 세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5A 참조)의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서는,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에 제 1 실시 형태의 돌출부(1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 전체가 거의 평활한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선단부(2)의 끝면(2a1)에는,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와,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로 이루어지는 2안 타입의 관찰 광학계를 갖는다. 또한, 조명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제1, 제2, 제3)의 조명부(44A, 44B, 44C)와, 처치구 삽통 채널('겸자 채널'이라고도 함)(45)의 1개의 선단 개구부(4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전방 송수 채널)(46)의 1개의 개구부(46a)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제3 조명부(44A, 44B, 44C)는, 제1 실시 형태의 제1, 제2 조명부(4A, 4B)와 거의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조명부(4A)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 부분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 내에는, 경질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원주 부재(선단 경성 부재)(48)와, 이 원주 부재(48)의 기단측 외주부에 외측에서 끼워지는 원환 형상의 보강 고리(49)가 배설되어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 부재(48)에는, 삽입부(1)의 축 방향으로 평행한 복수, 본 실시 형태에서는 7개(제1∼제7)의 구멍부(48a1∼48a7)(제5 구멍부(48a5)는 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보강 고리(49)의 기단 부분은, 만곡부(도시 생략)의 최선단의 만곡구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원주 부재(48)의 선단면 및 원주 부재(48)의 선단측 외주부에는 선단 커버(50)가 외측에서 끼워지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 선단 커버(50)는, 삽입부(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선단면(50a) 전체가 거의 평활한 평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에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41a)와,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42a)와, 3개(제1, 제2, 제3)의 조명부(44A, 44B, 44C)의 각 조명 렌즈 유닛(30)의 조명 렌즈(31)가 배설되어 있음과 함께, 처치구 삽통 채널(45)의 선단 개구부(4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46)의 개구부(46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선단부(2)의 원주 부재(48)의 5개(제1∼제5)의 구멍부(48a1∼48a5)는,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의 제1 관찰부(41)와, 제2 관찰부(42)와, 3개(제1, 제2, 제3)의 조명부(44A, 44B, 44C)와,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 부재(48)의 제1 구멍부(48a1)에는, 제1 관찰부(41), 제2 구멍부(48a2)에는, 제2 관찰부(42), 제3 구멍부(48a3)에는, 제1 조명부(44A), 제4 구멍부(48a4)(도시 생략)에는, 제2 조명부(44B), 제5 구멍부(48a5)(도시 생략)에는, 제3 조명부(44C)의 각 구성 요소가 각각 조립되어 있다.
또한, 원주 부재(8)의 남은 2개(제6, 제7)의 구멍부(48a6, 48a7)는,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의 처치구 삽통 채널(45)의 선단 개구부(4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46)의 개구부(46a)와 각각 대응하는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원주 부재(48)의 제6 구멍부(48a6)에는, 처치구 삽통 채널(45)의 관로의 구성 요소가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원주 부재(48)의 제7 구멍부(48a7)(도시 생략)에는, 전방 송수용의 관로(46)의 구성 요소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선단면과, 제1 내지 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의 선단면은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과 거의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는,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본 실시 형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사용시에 환자의 체내에 내시경을 삽입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에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가 사용된다.
또한, 광원 장치로부터 라이트 가이드(33)에는 예를 들면 RGB의 조명광이 면순차로 공급되고,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를 거쳐서 환자의 체강 내에 조명광이 출사되어, 환부 등을 조명한다.
조명된 환부 등의 피사체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관찰 광학계를 통하여,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광전 변환된다. 그리고, 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입력되고, 이 신호 처리 회로 내에서 처리된 후, 모니터에서 컬러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를 사용하여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로부터 떨어진 관찰 대상물 을 광범위하게 관찰하는 통상 관찰이 행해진다.
또한, 체강 내의 피검 부위에 체액 등이 부착되어 더러워진 경우에는 전방 송수 버튼이 조작된다. 이 전방 송수 버튼의 조작시에는 삽입부(1)의 선단 커버(50)의 개구부(46a)로부터 체강에의 삽입 방향을 향해서 멸균수 등의 액체가 뿌려진다. 이것에 의해, 체강 내의 피검 부위에 부착된 체액 등을 세정할 수 있다.
또한,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에 의한 관찰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된 내시경의 선단부(2)가 원하는 관찰 대상 부위까지 유도될 때까지 계속된다. 그리고, 내시경의 선단부(2)가 원하는 관찰 대상 부위에 접근한 상태에서,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제1 관찰부(41)에 의한 통상 관찰의 모드로부터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를 사용한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된 상태에서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선단부를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을 고배율로 관찰하는 고배율의 대상물 접촉 관찰 등이 행해진다. 또한, 고배율로 확대 관찰하는 경우에는, 미리 관심 부위에 예를 들면 색소가 산포되어, 관심 부위가 염색되어 세포의 윤곽을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에 의한 생체 조직 H의 관찰 시에는 삽입부(1)의 선단부(2)가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진다. 이 때,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으로부터 돌출된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부분이 주로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진다. 그 때문에,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가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를 통하여 조명광이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에 조사된다. 이 때,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에 조사되는 조명광의 일부는,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내부까지 투과되고,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의 접합면의 주위에도 확산된다. 그 때문에,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전방의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주위 부분에도 조명광이 조사된다. 이것에 의해,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표면에 꽉 눌려진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에 의해 관찰되는 부분에도 조명광이 조사됨으로써, 세포 조직 등의 생체 조직 H의 광이,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를 통하여,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결상되고, 광전 변환된다. 그리고, 이 촬상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신호 처리 회로(도시 생략)에 입력되고, 이 신호 처리 회로 내에서 처리된 후, 모니터에서 컬러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를 사용하여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를 관찰 대상물에 접촉시켜 관찰 대상의 세포 조직 등을 고배율로 관찰하는 고배율의 대상물 접촉 관찰 등이 행해진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선단면과,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의 선단면은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과 거의 동일면 상에 배치하고,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만 을,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 커버(50)의 선단면(50a)을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3 조명부(44A∼44C)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제3 조명부(44A∼44C)에 라이트 가이드(33)를 통하여 조명광을 도광하는 광 파이버식의 조명 광학계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등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온 오프 조작이 가능한 광원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도 6 및 도 7 참조)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에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와, 접촉 관찰용의 제2 관찰부(42)를 갖는 2안 타입의 관찰 광학계를 갖는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 경한 것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50)에 삽입부(1)의 축선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 형상의 베이스면(제1 면)(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베이스면의 일부에는, 전방에 돌출된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52)의 선단면에는, 베이스면(51)과 평행하게 배치된 돌출면(제2 면)(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면(51)과 돌출면(53) 사이의 벽부에는,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45°정도인 경사면(5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부(52)의 돌출면(53)은, 예를 들면 선단 커버(50)의 전면 전체의 원 형상의 3/4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커버(50)의 원 형상의 전면 전체의 1/4 정도의 면적이 베이스면(51)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52)의 돌출면(53)에는,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와,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1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제1, 제2, 제3)의 조명부(44A, 44B, 44C)(도 6 참조)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면(51)에는, 처치구 삽통 채널(45)의 1개의 선단 개구부(45a)와, 전방 송수용의 관로(46)의 1개의 개구부(46a)(도시 생략)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선단면과,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의 선단면은 돌출 부(52)의 돌출면(53)과 거의 동일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는, 돌출부(52)의 돌출면(5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3,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선단면과, 제1∼제3 조명부(44A∼44C)의 각 조명 렌즈(31)의 선단면과는 돌출부(52)의 돌출면(53)과 거의 동일면 상에 배치하고,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만을, 돌출부(52)의 돌출면(5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 커버(50)의 돌출면(53)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 커버(50)의 돌출면(53)을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제3 조명부(44A∼44C)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5A 참조)와 같이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를 갖는 1안 타입의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대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5A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서는, 특히,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대하여,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촬상 유닛만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위치와 동일면에 고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부(12)의 돌출면(13)으로부터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길이 L2는, 0이다. 그리고,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며, L2=0, L1>0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주위에는, 차광 벽(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광벽(61)은,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의 관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대하여,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만 전방을 향하여 돌출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이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된 상태에서,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을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의 관 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는,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 위치보다도 후방에 배치되며, L2=0, L1>0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상에서는,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일부가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직접 입사될 가능성이 있으며, 관찰 광학계(15)의 관찰상에는 플레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주위에, 차광벽(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5A 참조)와 같이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를 갖는 1안 타입의 내시경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대부분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10에서, 도 1 내지 도 5A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에서는, 특히,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대하여,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 와,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양방이 전방을 향해서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는 돌출부(12)의 돌출면(13)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1,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위치 L4는,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돌출 위치 L1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L1>L4>0의 관계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주위에는, 제4 실시 형태(도 9 참조)와 마찬가지의 차광벽(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차광 벽(61)은,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의 관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에 대하여, 접리 겸용형의 관찰 광학계(15)의 촬상 유닛과,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양방을 전방을 향하여 돌출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관찰 광학계(15)의 줌 렌즈 유닛(16)이 고배율의 관찰 모드로 절환된 상태에서,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 커버(10)의 돌출부(12)의 돌출면(13)을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선단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의 관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의 전단부의 돌출 위치 L4는,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돌출 위치 L1의 돌출량보다도 작아지도록 설정되고, L1>L4>0의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통상에서는,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되는 조명광의 일부가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직접 입사될 가능성이 있고, 관찰 광학계(15)의 관찰상에는 플레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4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유닛 구성체(18)의 제1 렌즈(18b1)의 전단부의 주위에, 차광벽(61)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1, 제2 조명부(4A, 4B)의 조명 렌즈(31)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에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찰 광학계(15)의 제1 렌즈(18b1)로부터의 세포 관찰이나 통상 관찰(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의 관찰) 시에 플레어 등의 악 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도 6 및 도 7 참조)와 같이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에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와, 접촉 관찰용의 제2 관찰부(42)를 갖는 2안 타입의 관찰 광학계를 갖는 내시경의 구성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대부분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도 11 및 도 12에서, 도 6 및 도 7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삽입부(1)의 선단부(2)에 배치되는 선단 커버(71)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에 돌출된 돌출 단부(72)와, 이 돌출 단부(72)보다도 1단 낮은 중단부(73)와, 이 중단부(73)보다도 1단 낮은 하단부(74)를 갖는 3단의 단부(72, 73, 7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돌출 단부(돌출부)(72)의 끝면은, 삽입부(1)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평면(72a)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에 의해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둘출 단부(72)의 평면(72a)은, 선단 커버(71)의 전면 전체의 원 형상의 1/4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1에서, 선단 커버(71)의 원 형상의 전면 전체의 하반분이며, 또한 상하간을 연결하는 중심선에 대하여 좌측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에는,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41a)와, 제1 조명부(44A)가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대상물 접 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는,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5,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중단부(73)는,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은 거의 평행한 평면(73a)을 갖는다. 이 중단부(73)의 평면(73a)에는, 통상 관찰용의 제1 관찰부(41)의 관찰 렌즈인 제1 렌즈(41a)와, 2개(제2, 제3)의 조명부(44B, 44C)가 배설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2, 제3 조명부(44B, 44C)는,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중단부(73)와 돌출 단부(72) 사이의 벽부에는,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45°정도인 경사면(7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 단부(72)의 평면(72a)과 중단부(73)의 평면(73a) 사이의 단차는, 돌출 단부(72)가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의 시야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높이, 예를 들면, 약 0.7㎜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하단부(74)는, 돌출 단부(72)의 평면(72a)과 거의 평행한 평면(74a)을 갖는다. 이 하단부(74)의 평면(74a)에는, 삽입부(1)의 내부에 배설된 처치구 삽통 채널('겸자 채널'이라고도 함)(45)의 선단 개구부(45a)와, 송기 송수 노즐(75)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하단부(74)와 중단부(73) 사이의 벽부에는,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45°정도의 경사면(73b)과, 이 경사면(73b)보다도 경사 각도가 작은 유체 가이드면(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체 가이드면(73c)은, 하단부(74)의 송기 송수 노즐(75)과, 중단부(73)의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유체 가이드면(73c)은,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18°정도인 완만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송기 송수 노즐(75)의 선단부는,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 측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송기 송수 노즐(75)의 선단 개구부의 분출구(75a)는 유체 가이드면(73c)을 향해서 대향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송기 송수 노즐(75)의 선단 개구부의 분출구(75a)의 선단면과 제1 관찰부(41)의 제1 렌즈(41a)는 거의 동일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세정시의 물빠짐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인 돌출면 이외의 부분, 예를 들면 중단부(73)의 평면(73a)과, 하단부(74)의 평면(74a)과, 중단부(73)와 돌출 단부(72) 사이의 벽부의 경사면(72b)과, 하단부(74)와 중단부(73) 사이의 벽부의 경사면(73b)이나 유체 가이드면(73c)과, 하단부(74)와 돌출 단부(72) 사이의 벽부의 경사면(72c)에 의해 비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면(72c)은, 경사 각도가 예를 들면, 45°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인 돌출면은, 송기 송수 노즐(75)의 선단부보다도 선단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이 피검체에 당접되었을 때에, 송기 송수 노즐(75)의 선단부가 피검체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삽입부(1)의 선단부(2)에는, 비돌출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하단부(74)와 돌출 단부(72) 사이의 경사면(72c)에 전방 송수용의 개구부(76)가 배설되 어 있다. 이 개구부(76)는, 삽입부(1)에 삽통된 전방 송수용의 관로(전방 송수 채널)(도시 생략)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는, 돌출 단부(72)의 평면(72a)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 L5, 예를 들면 0.05㎜ 정도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 커버(71)의 돌출 단부(72)를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 커버(71)의 돌출 단부(72)를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제3 조명부(44A∼44C)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대상물 접촉형의 제2 관찰부(42)의 제1 렌즈(42a)에 입사되어 관찰창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도 1 내지 도 5A 참조)에서는,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이 삽입부(1)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되고, 전방 정면 방향을 관 찰하는 직시형의 내시경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본 실시 형태는, 내시경의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끝면(2a1)이 삽입부(1)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사시형의 내시경(81)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이 이외의 부분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과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81)에서는, 선단부(2)의 끝면(2a1)의 경사면에 베이스면(제1 면)(82)으로부터 전방에 돌출된 돌출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83)의 선단면에는, 베이스면(82)과 평행하게 배치된 돌출면(제2 면)(8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83)의 돌출면(84)에는,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고배율의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의 관찰창(85)과, 조명부(86)가 배설되어 있다.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85)의 제1 렌즈는, 돌출부(83)의 돌출면(84)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로 돌출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85)의 제1 렌즈만을, 돌출부(83)의 돌출면(84)의 위치보다도 전방에 적절한 길이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고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검체의 접촉 관찰시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면(84)을 피검체에 꽉 눌렀을 때,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85)의 제1 렌즈의 선단 관찰면을 피검체의 생체 조직 H에 접촉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물결이나, 요철 등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돌출면(84)을 생체 조직 H의 표면 H1에 맞부딪히게 하였을 때에, 삽입부(1)의 선단부(2)의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85)의 제1 렌즈와, 생체 조직 H의 표면 H1 사이에 간극 S1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 형태에서도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명부(86)로부터 출사된 조명광의 일부가 직접,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창(85)의 제1 렌즈에 입사되어 관찰창(85)으로부터의 세포 관찰시에 플레어 등의 악영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조명창에 라이트 가이드를 통하여 조명광을 도광하는 광 파이버식의 조명 광학계를 사용한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조명창의 광원으로서 발광 다이오드(LED) 등 스위치(도시 생략)에 의해 온 오프 조작이 가능한 광원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그 밖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출원의 다른 특징적인 기술 사항을 하기와 같이 부기한다.
<부기항 1>
피검체에 삽입하기 위한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선단면에, 적어도 제1 면과, 이 제1 면으로부터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면에 상기 피검체를 관찰하는 관찰부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배치되며, 또한 적어도 상기 관찰부의 관찰창의 선단면은, 상기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의 선단부.
<부기항 2>
삽입부 선단면이, 제1 면과, 이 제1 면으로부터는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있는 제2 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면에는 해당 제2 면으로부터 더욱 선단측에 돌출한 그 표면이 위치하도록 설치한 관찰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부기항 3>
내시경 선단부의 일부가 돌출하고, 상기 돌출부에 초고배율의 관찰창을 갖는 접촉 관찰형 내시경에서, 상기 돌출부면보다도 관찰창이 더욱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체강내에 내시경을 삽입하고, 통상 관찰용의 관찰 광학계와, 대물 광학계의 선단부를 대상물에 접촉시켜서 그 대상물을 관찰하는 대상물 접촉형의 관찰 광학계를 구비한 내시경을 사용하는 기술 분야나, 그 내시경을 제조하는 기술 분야에 유효하다.

Claims (8)

  1. 선단 및 기단을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상기 선단에 배설된 선단면을 갖고,
    피검체를 관찰하는 관찰부와, 조명광을 조사하는 조명부가 상기 선단면에 배설되어 있는 내시경으로서,
    상기 관찰부는, 상기 피검체의 관찰상을 입사하는 관찰창을 갖고,
    상기 관찰창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선단면보다도 상기 삽입부의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선단면은, 평면 형상의 베이스면인 제1 면과, 이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삽입부의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된 제2 면을 갖고,
    상기 관찰부와 상기 조명부가 상기 제2 면에 배치되며,
    또한 상기 관찰부의 상기 선단 관찰면은, 상기 제2 면보다도 선단측에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선단면이 상기 삽입부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벗어난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내시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는, 상기 피검체에 대하여 비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1 관찰부와,
    상기 피검체에 대하여 접촉 상태에서 관찰하는 제2 관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찰부는, 상기 제2 면에 배치되어 있는 내시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보다도 상기 제2 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작은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내시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부의 선단 관찰면은, 상기 조명부의 조명창의 선단면보다도 상기 제2 면으로부터의 돌출량이 큰 상태로 설정되며,
    또한 상기 관찰부는, 상기 관찰창의 주위에 상기 조명부로부터의 조명광이 상기 선단 관찰면에 직접적으로 입사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 수단을 갖는 내시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찰부는, 상기 제1 관찰부보다도 고배율의 관찰 광학계를 갖는 내시경.
  7. 삭제
  8. 삭제
KR1020087030429A 2006-06-15 2007-06-15 내시경 KR1010499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66176A JP2007330529A (ja) 2006-06-15 2006-06-15 内視鏡の先端部
JPJP-P-2006-166176 2006-06-15
PCT/JP2007/062120 WO2007145320A1 (ja) 2006-06-15 2007-06-15 内視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976A KR20090009976A (ko) 2009-01-23
KR101049980B1 true KR101049980B1 (ko) 2011-07-19

Family

ID=38831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429A KR101049980B1 (ko) 2006-06-15 2007-06-15 내시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94013B2 (ko)
EP (1) EP2027810B1 (ko)
JP (1) JP2007330529A (ko)
KR (1) KR101049980B1 (ko)
CN (1) CN101472517B (ko)
WO (1) WO20071453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75319B2 (ja) * 2005-06-20 2012-02-15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
JP4964700B2 (ja) * 2007-07-26 2012-07-04 Hoya株式会社 内視鏡の先端部
US9642513B2 (en) 2009-06-18 2017-05-09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9713417B2 (en) 2009-06-18 2017-07-25 Endochoice, Inc. Image capture assembly for use in a multi-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165929B2 (en) 2009-06-18 2019-01-01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US8926502B2 (en) 2011-03-07 2015-01-06 Endochoice, Inc. Multi camera endoscope having a side service channel
US9402533B2 (en) 2011-03-07 2016-08-02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Endoscope circuit board assembly
US11278190B2 (en) 2009-06-18 2022-03-22 Endochoice, Inc.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9101268B2 (en) 2009-06-18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EP3811847A1 (en) 2009-06-18 2021-04-28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US9706903B2 (en) 2009-06-18 2017-07-18 Endochoice, Inc.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system with modular imaging units
US9901244B2 (en) 2009-06-18 2018-02-27 Endochoice, Inc. Circuit board assembly of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101287B2 (en) 2011-03-07 2015-08-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 camera endoscope assembly having multiple working channels
US9872609B2 (en) 2009-06-18 2018-01-23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US11547275B2 (en) 2009-06-18 2023-01-10 Endochoice, Inc. Compact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system
WO2012077117A1 (en) 2010-12-09 2012-06-14 Peermedical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multi-camera endoscope
US9492063B2 (en) 2009-06-18 2016-11-1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US11864734B2 (en) 2009-06-18 2024-01-09 Endochoice, Inc. Multi-camera endoscope
CN102665529B (zh) * 2010-07-08 2015-04-15 奥林巴斯医疗株式会社 内窥镜
JP5507376B2 (ja) * 2010-07-28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10080486B2 (en) 2010-09-20 2018-09-2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camera endoscope having fluid channels
US9560953B2 (en) 2010-09-20 2017-02-07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EP2635932B1 (en) 2010-10-28 2019-06-05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Optical systems for multi-sensor endoscopes
CN102068230A (zh) * 2010-11-01 2011-05-25 王卫东 可视喉镜
US11889986B2 (en) 2010-12-09 2024-02-06 Endochoice, Inc.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US9814374B2 (en) 2010-12-09 2017-11-14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Flexible electronic circuit board for a multi-camera endoscope
EP3228236A1 (en) 2011-02-07 2017-10-11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Multi-element cover for a multi-camera endoscope
JP5331840B2 (ja) * 2011-02-28 2013-10-3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5261518B2 (ja) 2011-03-01 2013-08-1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5345171B2 (ja) * 2011-03-28 2013-11-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WO2012132598A1 (ja) * 2011-03-31 2012-10-0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撮像ユニットの組立方法及び内視鏡
JP5736236B2 (ja) * 2011-05-26 2015-06-17 Hoya株式会社 内視鏡
CA2798716A1 (en) 2011-12-13 2013-06-13 Peermedical Ltd. Removable tip endoscope
EP2604172B1 (en) 2011-12-13 2015-08-12 EndoChoice Innovation Center Ltd. Rotatable connector for an endoscope
JP2013153813A (ja) * 2012-01-27 2013-08-15 Olympus Corp 内視鏡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560954B2 (en) 2012-07-24 2017-02-07 Endochoice, Inc. Connector for use with endoscope
US9993142B2 (en) 2013-03-28 2018-06-12 Endochoice, Inc. Fluid distribution device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9986899B2 (en) 2013-03-28 2018-06-05 Endochoice, Inc. Manifold for a multiple viewing elements endoscope
US10499794B2 (en) 2013-05-09 2019-12-10 Endochoice, Inc. Operational interface in a multi-viewing element endoscope
WO2015047980A1 (en) 2013-09-26 2015-04-02 GYRUS ACMI, INC. (d/b/a OLYMPUS SURGICAL TECHNOLOGIES AMERICA) Endoscope sheath deflection devices
JP5963977B1 (ja) * 2014-08-21 2016-08-0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硬性鏡セット
US9585547B2 (en) 2014-11-24 2017-03-07 Gyrus Acmi, Inc. Adjustable endoscope sheath
US9345386B1 (en) 2014-11-24 2016-05-24 Gyrus Acmi, Inc. Adjustable endoscope sheath
US9782525B2 (en) 2015-01-08 2017-10-10 Gyrus Acmi, Inc. Multi-way valve for a medical instrument
JP6023922B1 (ja) * 2015-05-13 2016-11-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EP3175771A4 (en) * 2015-05-13 2018-09-05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EP3513704B1 (en) * 2016-09-15 2021-04-28 FUJIFILM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JP6728480B2 (ja) * 2017-03-31 2020-07-22 Hoya株式会社 内視鏡
WO2019012794A1 (ja) * 2017-07-12 2019-01-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ユニット
JP6830876B2 (ja) * 2017-09-22 2021-02-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6849567B2 (ja) * 2017-09-28 2021-03-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WO2019230072A1 (ja) * 2018-05-31 2019-12-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WO2019235010A1 (ja) * 2018-06-05 2019-1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
JP2022152487A (ja) * 2021-03-29 2022-10-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JP2022152489A (ja) * 2021-03-29 2022-10-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640A (ja) * 2003-02-10 2005-01-06 Pentax Corp 内視鏡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0722B2 (ja) 1989-07-21 1995-08-30 ソマール株式会社 徐放性抗菌剤含有成形体
JPH0356402U (ko) * 1989-10-04 1991-05-30
JPH05199989A (ja) * 1991-10-25 1993-08-10 Asahi Optical Co Ltd 内視鏡の先端部
US5725477A (en) * 1993-11-18 1998-03-10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Front end structure of endoscope
JPH0910170A (ja) 1995-06-29 1997-01-1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対物光学系
JP3526531B2 (ja) * 1998-06-19 2004-05-17 富士写真光機株式会社 立体内視鏡の先端構造
JP4726025B2 (ja) 2001-02-16 2011-07-20 Hoya株式会社 処置用内視鏡の先端部
US6824509B2 (en) * 2001-07-23 2004-11-3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US7267647B2 (en) * 2003-02-10 2007-09-11 Pentax Corporation Endoscope
JP2005013708A (ja) * 2003-05-30 2005-01-20 Olympus Corp 内視鏡及びその組立方法
US7338439B2 (en) * 2003-09-05 2008-03-04 Pentax Corporation Condensing optical system, confocal optical system, and scanning confocal endoscope
JP4761882B2 (ja) * 2005-08-10 2011-08-31 オプティスキャン ピーティーワイ リミテッド 走査型共焦点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該システムの画像表示範囲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0640A (ja) * 2003-02-10 2005-01-06 Pentax Corp 内視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93681A1 (en) 2009-04-09
CN101472517A (zh) 2009-07-01
JP2007330529A (ja) 2007-12-27
EP2027810A1 (en) 2009-02-25
US8394013B2 (en) 2013-03-12
KR20090009976A (ko) 2009-01-23
WO2007145320A1 (ja) 2007-12-21
EP2027810B1 (en) 2012-08-08
EP2027810A4 (en) 2009-06-10
CN101472517B (zh)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980B1 (ko) 내시경
KR100999727B1 (ko) 내시경의 선단 후드와 후드를 갖는 내시경
KR100986578B1 (ko) 내시경의 선단부
JP4354425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4451316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5078309B2 (ja) 内視鏡
JP4542438B2 (ja) 内視鏡用挿入部および内視鏡
JP4391956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06320366A (ja) 内視鏡の先端部
JP5608580B2 (ja) 内視鏡
JP4350652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06187553A (ja) 内視鏡用挿入部、内視鏡及び内視鏡システム
JP4451333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4434964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4398381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WO2019049737A1 (ja) 内視鏡用照明ユニット及び内視鏡
JP4464860B2 (ja) 内視鏡用挿入部及び内視鏡
JP2006187554A (ja) 内視鏡用挿入部および内視鏡
JP2006191986A (ja) 内視鏡用挿入部および内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